KR20130069479A -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479A
KR20130069479A KR1020120145992A KR20120145992A KR20130069479A KR 20130069479 A KR20130069479 A KR 20130069479A KR 1020120145992 A KR1020120145992 A KR 1020120145992A KR 20120145992 A KR20120145992 A KR 20120145992A KR 20130069479 A KR20130069479 A KR 2013006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targeting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영
박동욱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6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 있어서,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녹음하고, 녹음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TV, PC,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청취하다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대행사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광고 접근 방식에 기존의 클릭, 터치, 검색 등이 아닌 모션 인식 및 오디오 인식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비즈니스가 가능하고, 그에 따른 광고 수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본 발명은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은 TV, 신문 등의 매스미디어(Mass Media)에 필적할 만큼 많은 사람이 수시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으로, 이동 단말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노력이 여러 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종래 이동 단말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들을 예를 들면, 쿠폰이나 마일리지, 할인서비스 등을 포함한 광고물을 텍스트나 이미지로 제작하여 이동 단말에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미리 제작된 모바일 광고 사이트를 사용자들에게 인지시킨 후, 사용자들이 이동 단말기를 통해 직접 모바일 사이트를 방문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통해 시각 정보(QR 코드 등)를 인식하여, 광고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된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광고 제공 방법들 중 광고물을 일방적으로 전달받는 푸쉬(push)방식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리 제작된 모바일 광고 사이트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광고 사이트를 직접 찾아 접속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QR 코드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시각 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시각 정보를 송신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가 광고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 단말 조작을 여러 번 취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이동 단말 기술 및 각종 인식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단말에서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를 인식하거나, 모션 인식이 가능해지고 있다. 음성 또는 오디오 인식 기술은 사용자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거나, 해당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모션 인식 기술은 이동 단말의 움직임(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모션에 해당하는 명령을 인식하거나,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이동 단말이 사용자가 별다른 이동 단말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이동 단말이 음성 또는 모션 인식을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명령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인식 및 모션 인식 등과 같은 인식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단말 조작을 하지 않아도 광고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편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번거롭게 키입력을 하거나 터치를 하는 등의 이동 단말 조작 없이도 모션 인식을 통해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TV, PC,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광고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다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 있어서,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녹음하고, 녹음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송신하고, 광고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DB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 정보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는 광고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서버에서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DB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해당 광고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과, 상기 제공 받은 광고 정보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TV, PC,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청취하다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대행사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광고 접근 방식에 기존의 클릭, 터치, 검색 등이 아닌 이동 단말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것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이라는 방식과,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오디오 인식 방식과 같은 새로운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비즈니스가 가능하고, 그에 따른 광고 수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서버와 과금 서버 및 광고 DB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
도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광고 제공을 위한 동작 흐름도
도 13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광고 오디오 신호가 녹음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광고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TV, 라디오, PC 등의 각종 광고 매체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 등이 될 수 있으며,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광고 서버는 이동 단말에서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한 광고 정보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광고 오디오 신호는 TV, PC, 라디오 등과 같이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매체로부터 출력되는 광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으며, 광고 오디오 신호는 광고 매체와 상관없이 광고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모션 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TV와 같은 광고 매체(10)로부터 광고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모션이 인식됨에 따라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한다. 이때 모션 인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사용자 입력 예컨대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등에 따라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100)은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한다. 이때 광고 매체는 TV, PC, 라디오 등 외에도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매체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V 등과 같은 광고 매체(10)를 통해 광고를 시청하다가 해당 광고에 대한 좀더 상세한 정보나 부가적인 정보를 더 얻고 싶을 때 이동 단말(100)을 이용한 모션을 취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광고 제공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상세한 정보나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50)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한다. 광고 컨텐츠는 오디오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50)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전달받아 광고 매체(10)로 송신할 수 있다.
광고 매체(10)는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광고 매체로서, TV, PC, 라디오뿐만 아니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매체(10)에 의해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로 저장하고,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이동 단말(10)은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타겟팅용 데이터는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100)의 디바이스 ID, 모델 번호, 제조사, OS(Operating System) 정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정보(단말기 식별 정보), IDFA(Identifier For Advertisers) 정보(단말기나 사용자에게 부여된 익명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이동 단말(100) 사용자의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Cell-ID, GP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통신망(50)을 통해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하거나, 광고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광고 제공 결과를 과금 서버(400)에 제공하여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이 수행되도록 한다.
광고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주(500)들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 정보를 제공받아 광고 DB(350)에 저장한다. 이러한 광고 서버(300)는 통신망(50)을 통해 이동 단말(10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겟팅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 또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 및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광고 DB(350)로부터 수신하여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광고 서버(300)도 광고 제공 결과를 과금 서버(400)에 제공하여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광고 DB(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주(500)가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들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저장한다. 광고 정보는 각 광고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과 같이 광고를 나타내기 위한 광고 데이터와, 광고별 카테고리, 광고별 주요어(키워드), 광고별 주요어(키워드)에 대한 유사어 및 추천 주요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DB(350)는 키워드 또는 인덱스 정보, 또는 광고 음원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가 없는 경우 키워드가 속하는 광고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유사 키워드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광고 음원 DB(3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에 대한 광고 음원들을 저장한다. 광고 음원이란 어떤 광고가 있을 때 그 광고에 포함된 오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음원이 될 수 있다. 광고 음원 DB(360)는 광고 음원과 해당 광고의 광고주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하거나, 광고 음원과 해당 광고의 광고 제목을 연관시켜 저장하거나, 광고 음원과 해당 광고에 대한 컨텐츠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인덱스 정보 DB(3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저장한다. 인덱스 정보란 어떤 광고가 있을 때 그 광고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구별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인덱스 정보를 의미한다. 인덱스 정보 DB(370)는 인덱스 정보와 해당 광고의 광고 제목 또는 광고주 정보 또는 컨텐츠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타겟팅 정보 DB(3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광고에 대한 타겟팅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팅 정보는 광고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광고를 제공할 대상이 되는 타겟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타겟팅용 데이터 즉,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00) 및 그 이동 단말(100)의 디바이스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타겟에 속하는지가 판단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가 타겟팅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0대 여성 사용자라면 타겟팅 정보는 스마트 폰 또는 20대 연령대에 타겟팅된 광고가 어떤 광고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타겟팅 정보 DB(380)는 미리 저장된 타겟팅 정보들 중 디바이스 아이디와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타겟팅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과금 서버(400)는 광고 정보 제공에 관련된 과금 정책 정보를 저장하고, 과금 정책 정보에 따라 광고 정보 제공에 따른 과금을 수행한다. 예컨대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을 통해 광고를 제공받는 것인지 다른 방식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받는 것인지에 따라 상이한 과금 정책 정보를 저장하고, 과금 정책 정보에 따라 광고 정보 제공에 따른 과금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광고 제공 장치에서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한 실시 예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제1 내지 제7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각각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동 단말(100)이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여 광고 서버(300)에 전송하면, 광고 서버(300)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음원을 추출하고, 광고 음원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50)는 202단계에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매체(10)로 제공한다. 광고 매체(10)는 204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100)은 이동 단말(100)은 206단계에서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를 제공받기 위한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 오디오 신호 녹음 후, 이동 단말(100)은 208단계에서 상기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은 상기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예컨대 10초)마다 FFT(Fast Fourier Transform) 처리하여 주파수 대역의 광고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광고 오디오 신호들을 해쉬 함수를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BASE64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하여 인코딩 및 압축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은 상기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광고 서버(300)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21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음원들을 저장하고 있는 광고 음원 DB(36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음원을 추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인코딩된 및 압축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인코딩 및 압축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복원)한 후, 광고 음원 DB(360)로부터 상기 복원된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광고 음원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광고 오디오 신호의 파형이 수신되는 경우, 광고 음원 DB(360)로부터 광고 오디오 신호의 파형에 해당하는 광고 음원을 추출할 수도 있다.
광고 서버(300)는 광고 음원이 추출되면 212단계에서 광고 DB(350)에 광고 음원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광고 서버(300)는 광고 음원에 대한 광고주 정보 또는 광고 음원에 대한 광고 제목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광고 DB(350)는 214단계에서 광고 음원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이때 광고 DB(350)는 광고 음원에 대한 광고주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하거나, 광고 음원에 대한 광고 제목에 매칭되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서버(300)는 216단계에서 광고 DB(350)로부터 제공된 광고 정보를 수신하고,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218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정보를 제공하고 나서, 220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광고 서버(300)가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릴 수도 있다. 과금 서버(400)는 220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의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다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등 제공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이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여 광고 서버(300)에 전송하면, 광고 서버(300)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50)는 302단계에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매체(10)로 제공한다. 광고 매체(10)는 304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100)은 306단계에서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를 제공받기 위한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 오디오 신호 녹음 후, 이동 단말(100)은 308단계에서 상기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한다.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광고 서버(300)는 310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때 광고 서버(300)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 데이터로부터 광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가 추출되면 광고 서버(300)는 312단계에서 광고 DB(350)로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광고 DB(350)는 314단계에서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 또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유사 키워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DB(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주(500)가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들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데, 광고 정보는 각 광고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과 같이 광고를 나타내기 위한 광고 데이터와, 광고별 카테고리, 광고별 주요어(키워드), 광고별 주요어(키워드)에 대한 유사어 및 추천 주요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DB(350)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하거나,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가 없는 경우 키워드가 속하는 광고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유사 키워드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광고 서버(300)는 316단계에서 광고 DB(350)로부터 광고 정보가 제공되는지 판단하고, 광고 정보가 아닌 광고 카테고리에 속하는 유사 키워드가 제공되면 312단계로 되돌아가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광고 서버(300)는 광고 정보가 제공되면 318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320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정보를 제공하고 나서, 322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광고 서버(300)가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릴 수도 있다. 과금 서버(400)는 324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의 모션 인식에 따른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다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등 제공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이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여 광고 서버(300)에 전송하면, 광고 서버(300)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검출하고,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 서버(300)는 402단계에서 광고 인덱스로 구별되거나 식별 가능한 광고가 포함된 광고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50)에게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50)는 404단계에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매체(10)로 제공한다. 광고 매체(10)는 406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100)은 408단계에서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를 제공받기 위한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 오디오 신호 녹음 후, 이동 단말(100)은 410단계에서 상기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한다.
광고 서버(300)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412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인덱스 정보 DB(37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인코딩된 및 압축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인코딩 및 압축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복원)한 후, 광고 음원 DB(360)로부터 상기 복원된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광고 오디오 신호의 파형이 수신되는 경우, 광고 음원 DB(360)로부터 광고 오디오 신호의 파형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광고 서버(300)는 인덱스 정보가 추출되면 414단계에서 광고 DB(350)에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광고 DB(350)는 416단계에서 광고 인덱스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이때 광고 DB(350)는 광고 인덱스에 대한 광고주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하거나, 광고 인덱스에 대한 광고 제목에 매칭되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서버(300)는 418단계에서 광고 DB(350)로부터 제공된 광고 정보를 수신하고,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420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정보를 제공하고 나서, 422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광고 서버(300)가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릴 수도 있다. 과금 서버(400)는 424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의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다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등 제공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타겟팅용 데이터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광고 서버(300)에 전송하면, 광고 서버(300)가 타겟팅용 데이터를 이용한 타겟팅 정보와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고 서버(300)는 502단계에서 인덱스 정보로 구별되거나 식별 가능한 광고 오디오가 포함된 광고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50)에게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50)는 504단계에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매체(10)로 제공한다. 광고 매체(10)는 506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100)은 508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광고 요청에 대응되는 모션이 입력되면 해당 모션을 인식하고, 모션인식에 따라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는 광고 서버(300)가 미리 타겟팅용 데이터에 따른 타겟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타겟팅 정보란 광고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광고를 제공할 대상이 되는 타겟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 정보와 사용자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겟팅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단말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타겟에 속하는지가 판단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가 타겟팅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 서버(300)가 타겟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타겟팅용 데이터가 제공되면, 광고 서버(300)는 510단계에서 타겟팅 정보 DB(380)에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요청한다.
타겟팅 정보 DB(380)는 미리 저장된 타겟팅 정보들 중 타겟팅용 데이터 즉,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타겟팅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한편,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가 타겟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타겟팅용 데이터를 제공하고 나서, 514단계에서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516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고, 518단계에서 추출된 인덱스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송신한다. 이때 인덱스 정보는 어떤 광고가 있을 때 그 광고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구별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인덱스 정보를 의미한다. 이동 단말(100)은 인덱스 정보와 해당 광고의 광고 제목 또는 광고주 정보 또는 컨텐츠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인덱스 정보는 광고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SOUND ID, 광고 ID등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인덱스 정보의 형식은 SOUND ID, 광고 ID 외에도 광고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연관시킬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든지 가능하다.
광고 서버(300)는 타겟팅 정보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520단계에서 광고 DB(350)로 인덱스 정보 및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광고 정보 DB(300)는 522단계에서 인덱스 정보 및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광고 서버(300)는 524단계에서 광고 DB(350)로부터 제공된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526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528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전달햇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광고 서버(300)가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릴 수도 있다. 과금 서버(400)는 530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과금 정책에 따라 이동 단말(100)의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다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등 제공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이 타겟팅용 데이터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에 전송하면, 광고 서버(300)가 타겟팅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팅 정보를 획득하고,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여 타겟팅 정보와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50)는 702단계에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매체(10)로 제공한다. 광고 매체(10)는 704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100)은 706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광고 요청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있거나 모션이 입력되면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708단계에서 타겟팅용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타겟팅용 데이터는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100)의 디바이스 ID, 모델 번호, 제조사, OS(Operating System) 정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정보(단말기 식별 정보), IDFA(Identifier For Advertisers) 정보(단말기나 사용자에게 부여된 익명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이동 단말(100) 사용자의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Cell-ID, GP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710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 서버(300)에 타겟팅용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면, 광고 서버(300)는 712단계에서 타겟팅 정보 DB(380)에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요청하고, 714단계에서 타겟팅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타겟팅 정보 DB(380)는 미리 저장된 타겟팅 정보들 중 타겟팅용 데이터 즉,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타겟팅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300)는 716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인덱스 정보는 어떤 광고가 있을 때 그 광고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구별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인덱스 정보를 의미한다. 광고 서버(300)은 인덱스 정보와 해당 광고의 광고 제목 또는 광고주 정보 또는 컨텐츠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인덱스 정보는 광고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SOUND ID, 광고 ID등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인덱스 정보의 형식은 SOUND ID, 광고 ID 외에도 광고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연관시킬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든지 가능하다.
광고 서버(300)는 718단계에서 광고 DB(350)에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하고, 720단계에서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광고 서버(300)는 직접 광고 DB(350)로부터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광고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광고 서버(300)는 722단계에서 광고 DB(350)로부터 수신한 또는 검색된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726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724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전달햇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광고 서버(300)가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릴 수도 있다. 과금 서버(400)는 728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과금 정책에 따라 이동 단말(100)의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다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등 제공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이 별도의 오디오 서버(80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제공받아 타겟팅용 데이터와 인덱스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하면, 광고 서버(300)가 타겟팅 정보와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50)는 802단계에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매체(10)로 제공한다. 광고 매체(10)는 704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100)은 806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광고 요청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있거나 모션이 입력되면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808단계에서 광고 서버(300)와 별도인 오디오 서버(800)에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오디오 서버(800)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812단계에서 오디오 서버(800)로부터 인덱스 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814단계에서 타겟팅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816단계에서 광고 서버(300)로 상기 추출된 타겟팅용 데이터와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한다.
광고 서버(300)는 타겟팅용 데이터와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가 요청되면, 818단계에서 타겟팅 정보 DB(380)에 타겟팅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요청하고, 820단계에서 타겟팅 정보 DB(380)로부터 타겟팅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타겟팅 정보 DB(380)는 미리 저장된 타겟팅 정보들 중 타겟팅용 데이터 즉,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타겟팅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100)의 디바이스 ID, 모델 번호, 제조사, OS(Operating System) 정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정보(단말기 식별 정보), IDFA(Identifier For Advertisers) 정보(단말기나 사용자에게 부여된 익명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이동 단말(100) 사용자의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Cell-ID, GP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300)는 타겟팅 정보가 수신되면, 822단계에서 광고 DB(350)에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하고, 824단계에서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광고 서버(300)는 직접 광고 DB(350)로부터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광고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광고 서버(300)는 826단계에서 광고 DB(350)로부터 수신한 또는 검색된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830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828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전달햇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광고 서버(300)가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릴 수도 있다. 과금 서버(400)는 832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과금 정책에 따라 이동 단말(100)의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다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등 제공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은 녹음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방송 정보를 획득하고,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되는 인덱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50)는 902단계에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매체(10)로 제공한다. 광고 매체(10)는 904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을 통해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방송 정보는 광고 매체(10)를 통해 어떠한 광고 컨텐츠가 방송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예컨대 광고 매체(10)가 TV 인 경우 TV 프로그램 이름 및 방송 시간, TV 광고 이름 및 방송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에 미리 정해진 방송 정보 요청 입력을 통해 현재 광고 매체(10)를 통해 방송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가 어떤 광고 컨텐츠인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방송 정보 요청 입력은 미리 정해진 모션 동작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요청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한 방송 정보 요청에 따라 906단계에서 별도의 오디오 서버(800)로 방송 정보를 요청하고, 908단계에서 오디오 서버(800)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서버(800)가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방송 정보는 콘텐츠 제공자(50)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고, 광고 매체(10)에 방송 정보가 있는 경우 광고 매체(10)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방송 수신기(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방송 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대의 방송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고, 방송 정보가 요청된 시간대의 방송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방송 정보가 제공되면 이동 단말(100)은 방송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 매체(10)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오디오에 대한 방송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동 단말(100)은 910단계에서 광고 오디오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동 단말(100)은 912단계에서 방송 정보 중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방송 정보와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서버(800)로 전달한다.
오디오 서버(800)는 914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해당 방송 정보에 해당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고, 916단계에서 인덱스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때 인덱스 정보는 어떤 광고가 있을 때 그 광고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구별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인덱스 정보를 의미한다. 오디오 서버(800)는 방송 정보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와 맵핑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OUND ID, 광고 ID등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인덱스 정보의 형식은 SOUND ID, 광고 ID 외에도 방송 정보와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와 맵핑시킬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든지 가능하다.
이동 단말(100)은 인덱스 정보가 전달되면, 918단계에서 타겟팅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920단계에서 광고 서버(300)에 타겟팅용 데이터와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를 요청한다.
광고 서버(300)는 타겟팅용 데이터와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가 요청되면, 922단계에서 타겟팅 정보 DB(380)에 타겟팅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요청하고, 924단계에서 타겟팅 정보 DB(380)로부터 타겟팅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타겟팅 정보 DB(380)는 미리 저장된 타겟팅 정보들 중 타겟팅용 데이터 즉,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타겟팅 정보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100)의 디바이스 ID, 모델 번호, 제조사, OS(Operating System) 정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정보(단말기 식별 정보), IDFA(Identifier For Advertisers) 정보(단말기나 사용자에게 부여된 익명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이동 단말(100) 사용자의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Cell-ID, GP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300)는 타겟팅 정보가 수신되면, 926단계에서 광고 DB(350)에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요청하고, 928단계에서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광고 서버(300)는 직접 광고 DB(350)로부터 상기 타겟팅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광고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광고 서버(300)는 830단계에서 광고 DB(350)로부터 수신한 또는 검색된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100)은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934단계에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932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전달햇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광고 서버(300)가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전달했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릴 수도 있다. 과금 서버(400)는 936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과금 정책에 따라 이동 단말(100)의 광고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모션 인식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다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를 제공했는지 등 제공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100), 광고 서버(300), 광고 DB(350), 과금 서버(400) 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광고 서버(300), 광고 DB(350), 과금 서버(400)를 설명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서버(300), 광고 DB(350), 과금 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고 DB(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주(500)가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들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저장한다. 광고 정보는 각 광고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과 같이 광고를 나타내기 위한 광고 데이터(352)와, 광고별 카테고리(354), 광고별 주요어(키워드)(358), 광고별 주요어(키워드)에 대한 유사어 및 추천 주요어(356)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DB(350)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하거나,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가 없는 경우 키워드가 속하는 광고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유사 키워드를 광고 서버(300)로 제공한다.
광고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고 서버(300)는 사용자 관리부(312), 송수신부(314), 오디오 데이터 문자 변환부(316), 키워드 추출부(318), 광고 정보 제공부(320), DB 매니저(332), 매칭 정보 DB(324), 오디오 파일 DB(326), 주요어 매칭 DB(328), 광고 음원 추출부(332), 인덱스 정보 추출부(334), 타겟팅 정보 추출부(3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12)는 이동 단말(100)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고 접속 정보를 관리하며, 이동 단말(100)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링 하고, 이동 단말(100) 사용자가 이용한 광고 정보를 관리한다. 송수신부(314)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송신한다.
오디오 파일 DB(326)는 수신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한다. 주요어 매칭 DB(328)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주요어를 저장한다. 매칭 정보 DB(324)는 이전에 매칭했던 주요어 정보를 저장한다.
DB 매니저(322)는 오디오 파일 DB(326), 주요어 매칭 DB(328), 매칭 정보 DB(324)의 정보 저장 및 저장된 정보 출력을 관리한다.
광고 정보 제공부(320)는 키워드 추출부(318)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에 매칭되는 주요어를 이용하여 광고 DB(350)에 주요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된 광고 정보를 제공받아 송수신부(314)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송신되도록 한다. 광고 정보 제공부(320)는 광고 음원 추출부(332)에 의해 추출된 광고 음원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광고 정보 제공부(320)는 인덱스 정보 추출부(334)에 의해 추출된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광고 정보 제공부(320)는 타겟팅 정보 추출부(336)에 의해 추출된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광고 정보 제공부(320)는 이동 단말(100)로 광고 정보를 송신하였음을 과금 서버(400)로 알린다.
광고 음원 추출부(332)는 광고 음원 DB(36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음원을 추출하여 광고 정보 제공부(320)로 제공한다.
인덱스 정보 추출부(334)는 인덱스 정보 DB(37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여 광고 정보 제공부(320)로 제공한다.
타겟팅 정보 추출부(336)는 타겟팅 정보 DB(380)로부터 타겟팅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팅 정보를 추출하고 타겟팅 정보를 광고 정보 제공부(320)로 제공한다.
과금 서버(400)는 과금 정책 관리부(412) 및 과금 처리부(414)를 포함한다. 과금 정책 관리부(412)는 이동 단말(100)의 모션 인식에 의해 제공될 광고 각각에 대한 과금 정책을 저장한다. 이때 과금 정책 관리부(412)는 모션 인식에 의해 광고가 제공되었는지, 다른 방식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광고가 제공되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과금 정책을 저장할 수 있다. 과금 처리부(414)는 광고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과금 정책 관리부(412)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처리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션 인식이 발생함에 따라 과금을 할 수 있고, 많은 광고주들이 구매를 원하는 키워드에 대하여 경매방식을 통해 더 높은 단가의 광고 금액을 책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 혹은 청취하면서 얼마나 광고 요청을 했는지 측정이 가능해지면서 모션 인식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하다. 광고 효과 측정이란 예를 들면, 모션 인식을 통해 광고를 제공받은 횟수 또는 광고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광고로 인한 구매, 행동 등을 수행한 결과 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100)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송수신부(130), 모션 인식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각종 숫자, 문자 및 기호 등을 입력하고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또는 오디오 녹음 요청을 입력 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32)를 통해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를 광고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송수신부(13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송신하고,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된 광고 정보를 수신한다.
모션 인식부(140)는 이동 단말(100)의 모션(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모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동 단말(100)의 모션을 인식한다. 이때 모션 인식부(140)는 감지된 모션이 미리 정해진 모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인 경우 이를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모션은 광고 오디오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일 수도 있고, 광고 제공 요청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일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B 매니저(152), 오디오 데이터 DB(154), 사용자 정보 DB(156)를 저장한다. DB 매니저(152)는 오디오 데이터 DB(154), 사용자 정보 DB(156)의 입출력 및 데이터 저장을 관리한다. 오디오 데이터 DB(154)는 오디오 처리부(132)에 의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 DB(156)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이동 단말 ID 등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100)의 식별을 위한 사용자 기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요청 입력 예컨대,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입력 또는 오디오 녹음 요청 입력 등이 있으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모션 인식부(140)를 통한 미리 정해진 모션이 감지된 경우,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를 제공받기 위한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제어부(160)는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제어부(160)는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송신하거나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EL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광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100)의 동작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602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TV, PC,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광고를 청취하다가 청취중인 광고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모션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단말(100)은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나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모션이 인식되는지를 판단하였으나, 터치 입력, 키입력, 등과 같은 다른 방식의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이동 단말(100)은 604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를 광고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광고 오디오 신호가 녹음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광고 매체(10) 예컨대 TV에서 'XX' 라는 자동차에 대해 연비가 좋은 XX 자동차와 같은 광고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광고가 제공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이동 단말(100)은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고, 광고 오디오 신호를 광고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이동 단말(100)은 606단계에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광고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608단계에서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된 광고 정보 또는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에 대응된 광고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광고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재시도 요청을 알리고, 608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동 단말(100)은 광고 정보가 수신되면 612단계에서 수신된 광고 정보를 출력한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광고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TV, PC,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청취하다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 정보를 이동 단말(100)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대행사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광고 접근 방식에 기존의 클릭, 터치, 검색 등이 아닌 이동 단말(100)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것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비즈니스가 가능하고, 그에 따른 광고 수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 검출이 광고 서버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 검출은 이동 단말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광고 매체를 TV, PC, 라디오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오디오 신호를 통한 광고가 가능한 광고 매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Claims (32)

  1. 광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 있어서,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녹음하고, 녹음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는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는 TV, PC,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광고 매체로부터 출력되는 광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녹음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을 흔드는 모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를 제공받기 위한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의 광고 제공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광고 제공 요청 입력에 따라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정해진 모션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광고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의 식별이 가능한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덱스 정보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추출된 인덱스 정보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광고 제공 장치에 상기 광고 정보를 제공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과금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광고 제공 장치에 제공될 광고 각각에 대한 과금 정책을 저장하고, 상기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저장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모션 인식에 의한 광고 정보를 제공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제공 횟수를 포함하는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15.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녹음하고, 녹음된 광고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송신하고, 광고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녹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은 모션을 인식하는 과정이고,
    미리 정해진 모션이 인식되면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녹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장치의 모션을 인식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대기화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모션 동작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모션 동작이 미리 정해진 모션인지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장치의 모션을 인식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모션 동작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모션 동작이 미리 정해진 모션인지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장치의 모션을 인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광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는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오디오 신호는 TV, PC,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광고 매체로부터 출력되는 광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 제공 장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웹사이트, URL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에서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24.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DB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 정보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는 광고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는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D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주들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는 인덱스 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인덱스 정보와 상기 타겟팅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DB로부터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상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오디오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광고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인덱스 정보와 상기 타겟팅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DB로부터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상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
  29. 광고 서버에서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타겟팅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DB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해당 광고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과,
    상기 제공 받은 광고 정보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에서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는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DB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해당 광고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타겟팅 DB로부터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덱스 정보와 상기 타겟팅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DB로부터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상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에서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DB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해당 광고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은,
    오디오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과,
    타겟팅 DB로부터 상기 타겟팅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겟팅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덱스 정보와 상기 타겟팅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DB로부터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들 중 상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타겟팅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버에서 광고 제공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20145992A 2011-12-14 2012-12-14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69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4909 2011-12-14
KR1020110134909 2011-12-14
KR1020120075695A KR20130069322A (ko) 2011-12-14 2012-07-11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120075695 2012-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479A true KR20130069479A (ko) 2013-06-26

Family

ID=488647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695A KR20130069322A (ko) 2011-12-14 2012-07-11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120145992A KR20130069479A (ko) 2011-12-14 2012-12-14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695A KR20130069322A (ko) 2011-12-14 2012-07-11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2015507784A (ko)
KR (2) KR20130069322A (ko)
CN (1) CN103988569A (ko)
AU (1) AU2012353108A1 (ko)
BR (1) BR112014014310A2 (ko)
CA (1) CA2859498A1 (ko)
IN (1) IN2014CN04281A (ko)
RU (1) RU2014128539A (ko)
SG (1) SG11201402091P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427B1 (ko) * 2013-08-23 2014-12-15 투브플러스 주식회사 사용자에 의한 컨텐트 이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811B1 (ko) 2019-10-23 2022-04-18 장운석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와 방송진행자와의 소통을 통한 광고를 게시하는 방법과 이에 웹과 모바일 ui에 응답하는 기술에 관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9704A1 (en) * 2006-08-25 2008-02-28 Skyclix, Inc. Phone-based broadcast audio identification
KR20090000164A (ko) * 2007-01-22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그에 따른 시스템
US9174123B2 (en) * 2009-11-09 2015-11-03 Invensense, Inc. Handheld computer systems and techniques for character and command recognition related to human movements
US8694533B2 (en) * 2010-05-19 2014-04-08 Google Inc. Presenting mobile content based on programming contex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427B1 (ko) * 2013-08-23 2014-12-15 투브플러스 주식회사 사용자에 의한 컨텐트 이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28539A (ru) 2016-02-10
IN2014CN04281A (ko) 2015-07-31
KR20130069322A (ko) 2013-06-26
CA2859498A1 (en) 2013-06-20
BR112014014310A2 (pt) 2017-06-13
SG11201402091PA (en) 2014-06-27
JP2015507784A (ja) 2015-03-12
AU2012353108A1 (en) 2014-05-22
CN103988569A (zh) 2014-08-13
AU2012353108A2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4728B2 (ja) サウンド認識による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18986B1 (ko) 오디오 입력에 기초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902498B2 (en) Providing content based on abandonment of an item in a physical shopping cart
US877611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subscriber usage profiles in a multi-platform targeted advertising system
EP3876441B1 (en) Method for surveying broadcast ratings and ratings statistics information server
JP2012098598A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管理装置、広告提供管理方法および広告提供管理プログラム
US97946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ted content at low pow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US201403722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advertisements related to segments of a media program
US20130091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broadcast media events
CN110381204B (zh) 一种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27061B (zh) 一种广告推送方法和数据管理平台
US20140172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dvertising effect
US20140136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udio of a video to display supplement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video
JP552785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00126243A (ko) 광고주가 원하는 대상을 선별하여 분류한 광고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자동으로 수신하게 하여 인터넷폰을 통해서 전화를 무료로 사용하게 하는 시스템.
KR20130069479A (ko)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JP6082716B2 (ja) 放送照合システム及び方法
JP6008021B2 (ja) 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装置
JP2008226014A (ja)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配信装置
US825430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coustically triggering electronic coupon retrieval
EP2605535A1 (en) Advertisement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KR20140017106A (ko) 다수 이동 단말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동 단말
KR20200055576A (ko) 개인화된 광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JPWO201812324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2198797A (ja) 広告閲覧システムおよび広告閲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