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429B1 -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429B1
KR102615429B1 KR1020220025436A KR20220025436A KR102615429B1 KR 102615429 B1 KR102615429 B1 KR 102615429B1 KR 1020220025436 A KR1020220025436 A KR 1020220025436A KR 20220025436 A KR20220025436 A KR 20220025436A KR 102615429 B1 KR102615429 B1 KR 10261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aign
campaign vehicle
speech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952A (ko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여의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여의도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여의도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12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유세차량 플랫폼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유세차량을 관리하는 유세차량 관리서버,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상기 유세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정보 및 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연설신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에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을 등록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ampaign Car Platform And Method}
본 실시예는 선거운동을 하고 있는 유세차량의 위치정보 및 선거운동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앱(Application)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거유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종래의 선거 운동에 참여하는 유세차량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장소를 이동하며 선거운동에 참여하는 연설자를 지원하는 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고, 일반 시민이 유세차량의 선거운동에 참여하여 연설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전에 전화 또는 방문을 통해 사전에 협의되지 않는다면 참여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유세차량의 선거운동에 참여하고자 할 경우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유세차량의 선거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선거운동을 지원하는 유세차량의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고, 자신이 희망하는 장소에서 선거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유세차량을 관리하는 유세차량 관리서버,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상기 유세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정보 및 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연설신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에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을 등록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세차량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유세차량의 현 위치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설신청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연설신청 정보를 조회하여 승인결과를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세차량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유세차량에서 선거운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선거 운동원이나 시민이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세차량이 방문하는 장소를 선택하여 연설 등의 선거 운동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유세차량 앱을 통해 유세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유세차량의 선거운동 상황 및 연설을 실시간 내지 녹화된 영상의 형태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세차량 관리서버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연설원의 일정과 연설 동영상 제공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유세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유세차량의 일정을 표시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유세차량을 검색한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된 인기인물의 일정을 도시하고 인기인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연설신청 및 연설신청 진행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유세차량의 운전자 단말기(210 내지 211), 사용자 단말기(310 내지 311), 운전자 단말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31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유세차량 관리서버(400),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에 연결되어 유세차량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500)로 구성되나,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 사용자 단말기(310) 및 관리자단말기(50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 사용자 단말기(310) 및 관리자 단말기(50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 사용자 단말기(310) 및 관리자 단말기(500)는 각기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및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31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하고,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근거리통신장치인 Wi-Fi, 블루투스, NFC와 광대역 통신장치인 2G, 3G, LTE, 5G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310)는 사용자의 조작 및 명령에 의해 구동되는 사용자 앱을 구비하고 있으며, 운전자 단말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310)에 구비된 앱은 운전자 단말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310)에 구비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전자 단말기(210)는 GPS 정보,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 비이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세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는 운전자로부터 주소나 POI(Point Of Interest), 지도를 통해 유세차량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는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주소 정보, 지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주소나 지도 정보를 지도와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210)는 실시간으로 유세 차량의 현장 동영상 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210)가 전송하는 유세차량의 영상정보는 연설자 정보, 유세차량의 위치정보, 동영상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간 유세 동영상은 반드시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되어 저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유튜브를 비롯한 SNS나 동영상 스트리밍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동영상이 저장된 주소정보가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각 유세차량의 일정을 지도에 표시할 수 있고, 각 유세차량의 연설자에 대응하는 연설 동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지역을 입력하거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유세차량을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이나 인물에 대하여 관심등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등록한 지역에서의 유세나 관심등록한 인물에 대한 일정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관심등록된 지역이나 인물에 대한 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유세차량의 일정정보는 유세차량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와 이동 경로 상에서 유세차량이 정차하여 연설하는 장소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310)는 연설장소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연설장소에 유세차량이 선거운동을 하는 시간, 연설원 및 각 연설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특정한 유세차량에 대하여 지정된 일자의 일정을 지도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유세차량의 일정에 포함된 이동경로와 연설장소를 사용자 단말기(310)의 한 부분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10)의 다른 한 부분에 유세차량의 이동경로 상에서 연설장소에서 선거운동을 하는 시간과 장소의 명칭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210)가 전송하는 유세차량의 위치정보, 영상정보 또는 유세차량에서 선거운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각종 선거와 관련하여 수집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에서 유세차량, 위치, 시간을 지정하여 연설신청을 할 수 있으며, 연설신청을 위해서 연설위치, 일자, 연설주제, 연설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연설신청을 열람하여 승인여부를 입력하고, 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며,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승인여부를 사용자 단말기(310)로 전송한다. 이때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문자메시지, 푸시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메일, TCP/IP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10)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유세차량 관리부(410), 연설원 관리부(420), 지도 관리부(430), 동영상 관리부(440) 및 사용자 관리부(4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의 구성요소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각 유세차량의 일정을 입력받아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각 유세차량의 일정은 시간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각 유세차량별 또는 위치정보에 따라 유세차량의 일정이 검색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부터 각 유세차량에 대하여 접수된 연설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접수된 연설신청 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신청에 대해서 신청을 승인하고 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500)가 직접 또는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를 통하여 연설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310)로 연설신청 승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유세차량의 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유세차량 관리부(410)는 각 유세차량의 일정, 연설위치, 연설자, 선거운동원, 운전자 정보를 관리하며 유세차량 식별정보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유세차량 관리부(410)는 운전자 단말기(210)로부터 유세차량의 현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유세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10)가 유세차량을 지역 또는 인물에 따라 검색하는 경우 이를 조회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3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설원 관리부(420)는 일자별 각 유세차량의 연설원을 관리한다. 사용자 단말기(310)를 통해 연설신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가 연설신청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연설신청의 승인여부를 심사하고 그 결과를 연설원 관리부(420)로 전송하고, 연설원 관리부(420)는 승인심사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310)로 전송한다.
연설원 관리부(420)는 사용자 단말기(310)의 보안등급에 따라 검색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의 보안등급이 낮은 경우 주요 인사에 대한 일정을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이내에는 조회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지도 관리부(430)는 유세차량의 현 위치, 지정된 일자의 전체 일정에 포함된 각 유세차량의 연설위치 전체가 지도에 표시될 수 있다. 지도 관리부(430)는 유세차량 관리부(410)에 등록된 각 유세차량의 일정과 위치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지도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지도 관리부(430)는 지도 정보를 별도의 서버에 보관할 수 있으며, 포탈 사이트의 지도 API를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영상 관리부(440)는 연설자, 연설장소, 연설시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일자별 주요한 연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관리부(440)는 각 유세차량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연설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한 연설 동영상에 관련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동영상은 연설원의 다른 연설동영상이나 함께 연설한 다른 연설원의 동영상, 유사한 주제의 연설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450)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에 가입된 회원의 회원정보 관리, 각 회원의 관심등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일자별로 주요한 연설이나 선거운동 관련 동영상을 선정하여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에 별도로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310)가 이를 요청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연설원의 일정과 연설 동영상 제공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310)에 특정한 연설원의 유세차량의 일정을 지도에 표시하고, 해당일자의 주요한 연설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에 설치된 사용자 앱은 유세차량의 일정을 지도에 표시하는 지도부, 영상을 검색하여 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관리부, 유세차를 검색하여 조회할 수 있는 유세차부, 사용자가 연설을 신청할 수 있는 연설신청부 및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마이페이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 앱의 구성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앱은 영상 타이틀, 영상에 포함된 태그, 관리자가 등록한 영상태그, 채널명에 따라 영상을 검색할 수 있으며, 유세차량에 등록된 연설자에 대한 인물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한 지역의 유세차량 방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앱은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검색한 위치 또는 사용자의 위치로 지도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해당하는 위치의 주소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앱은 등록된 영상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영상 리스트는 최신, 조회수, 연설원, 연설시기에 따라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에 따른 유세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앱에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 지번, 도로명, POI, 건물명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위치를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하는 위치에 가까운 유세차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위치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고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해당하는 위치 정보에 가까운 유세차량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유세 차량 관리서버(400)가 사용자 단말기(3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지도 관리부(430)에 전송하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지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10)로 전송한다.
사용자 앱은 위치정보를 미리 관심등록한 후 관심등록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특정한 유세차량이나 특정한 인물을 관심등록한 후 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유세차량의 일정을 표시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유세차량의 일정을 지도화면에 표시하고, 유세차량의 연설위치를 지도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유세차량의 시간대별 위치(주소)와 각 위치별 연설인원의 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관심등록(즐겨찾기)으로 지정할 수 있다.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이동 중인 유세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운전자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310)에 전송하여 유세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의 주소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지도에 표시된 연설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위치를 방문하는 유세차량의 시간과 주소, 연설원의 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연설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화면의 상부에 지도를 표시하고, 지도에 유세차량의 이동 경로와 연설장소를 표시하며, 화면의 하부에 유세차량이 연설장소에서 유세하는 시간과 장소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지도상에 표시된 유세차량의 이동 경로 상의 연설장소를 터치하는 경우, 하부에 표시된 연설장소 부분이 하이라이트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유세차량을 검색한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310)가 유세차량을 검색한 결과를 검색 지역에 따라 표시하고 그 상세한 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유세차 목록에는 지역(선거구 명칭), 유세차량의 이동 구간, 이동 시간, 차량번호 또는 유세차량 식별정보, 유세차량의 별명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유세차량의 상세한 정보는 차량번호 또는 유세차량 식별정보, 유세차량 별명, 이동 구간, 이동 시간 정보를 표시하며, 이동 시간별 유세차량 위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가 등록한 인기인물의 일정을 도시하고 인기인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기 설정된 지역별로 기 설정된 인기인물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각 지역별로 인기인물을 지정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각 지역별 인기인물의 리스트 및 상세한 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310)가 인기인물을 요청하는 경우 각 지역별 인기인물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인기인물에 대한 지정된 일자의 일정, 현재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인기인물의 상세한 정보는 직급/직책, 소개글, 연설일정, 연설장소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인기인물과 관련된 동영상의 목록이 썸네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해당 썸네일을 터치하는 경우 동영상이 스트리밍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인기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인기위치에서 선거운동을 하는 유세차량, 연설원, 선거운동원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인기위치는 기 설정된 일정한 기간 동안 누적 검색수에 따라 인기위치가 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10)에는 기 설정된 수의 인기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연설신청 및 연설신청 진행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10)에 설치된 사용자 앱을 통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일자와 장소에서 연설에 참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연설신청에는 연설위치, 연설 희망일자, 연설주제, 간략한 연설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설신청 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연설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자에게 연설신청 정보 수신을 통지한다. 관리자는 연설신청 정보 수신을 통지받으면, 관리자 단말기(500)에서 수신된 연설신청 정보를 열람하고 이를 심사하여 연설신청에 대한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사용자가 연설신청을 한 경우 연설신청의 처리과정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관리자로부터 연설신청 승인여부에 대한 결과를 입력받고, 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며,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연설신청이 승인된 경우, 해당 유세차량의 일정에 이를 반영하여 해당 유세차량의 일자와 위치에 연설원을 등록하며, 사용자 단말기(310)에 연설신청 승인여부를 통지한다. 이때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문자메시지, 푸시메시지, SNS, 이메일, TCP/IP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화면에 연설신청한 전체 인원수, 지정된 일자의 신청 인원수, 지정된 위치의 신청 인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운전자 단말기(210)는 유세차량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를 전송한다(S110). 관리자 단말기(500)는 각 유세차량의 일정을 등록한다(S120). 이때 관리자 단말기(500)는 각 유세차량의 보안등급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10) 중 보안등급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해당 유세차량의 일정을 조회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10)의 보안등급이 낮은 경우 높은 보안등급의 유세차량에 대한 일정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해야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유세차량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S210),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부터 유세차량의 일정 정보, 유세차량의 일정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211). 사용자 단말기(310)는 지역별, 연설원, 일시를 지정하여 유세차량을 조회할 수 있으며, 인기인물, 인기위치에서의 유세차량을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조회된 유세차량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조회된 상세한 정보는 유세차량 번호, 별명, 이동구간, 이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자신이 조회된 지역, 인물에 대한 관심등록(즐겨찾기)를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연설위치, 희망일자, 연설주제, 연설내용 및 사용자 단말기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설신청 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S220).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연설신청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하고(S310), 관리자는 연설신청 정보를 심사하고 승인여부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며(S320),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는 연설신청 승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310)로 전송한다(S330).
운전자 단말기(210)는 실시간 유세영상 정보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S410). 다만 운전자 단말기(210)와 실시간 유세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별개의 장치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운전자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영상정보를 심사하여 공개여부를 심사할 수 있고, 그 심사결과를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420).
사용자 단말기(310)는 유세차량, 유세장소, 연설원, 선거운동원, 인기인물, 인기장소 검색을 통하여 유세영상과 해당 유세영상의 관련영상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S430), 사용자 단말기(310)는 유세차량 관리서버(400)로부터 유세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S440). 다만, 사용자 단말기(310)가 수신한 유세영상 정보는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세차량 관리서버(400)가 반드시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필요는 없으며,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주소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의 처리 과정은 반드시 위와 같은 시계열적 순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의 순서가 바뀌거나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210 운전자 단말기 310 사용자 단말기
400 유세차량 관리서버 5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3)

  1.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유세차량을 관리하는 유세차량 관리서버;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상기 유세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정보 및 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연설신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에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을 등록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는,
    상기 유세차량의 이동 경로, 연설장소, 연설원을 관리하는 유세차량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받은 연설신청의 승인결과에 따라 연설원을 관리하는 연설원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세차량 조회를 수신하고,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에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전송하는 지도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역별, 일자별, 연설자별 동영상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동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동영상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앱은 상기 유세차량의 일정을 지도에 표시하는 지도부;
    상기 동영상을 검색하여 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관리부;
    상기 유세차량을 검색하여 조회할 수 있는 유세차부;
    사용자가 연설을 신청할 수 있는 연설신청부; 및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마이페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설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보안등급에 따라 기 설정된 보안등급보다 낮은 등급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는 기 설정된 주요인사에 대한 조회가 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기 설정된 지역별로 기 설정된 인기인물과 상기 인기인물의 상세한 정보를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에 등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기인물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기 설정된 일정한 기간 동안 누적 검색수에 따라 선정된 인기위치 및 상기 인기위치에서 선거운동을 하는 유세차량, 연설원, 선거운동원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일정정보 및 상기 현 위치정보와 상기 일정정보의 유세차량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경로와 연설장소를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지역이나 현 위치에 따라 상기 유세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유세차량에 대한 이동 구간, 이동 시간, 연설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연설위치, 희망일자, 연설주제, 연설내용을 포함하는 연설신청 정보를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연설을 신청하고,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설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설신청 정보에 대한 연설신청 승인 여부를 입력받아 그 결과를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유세차량관리서버는 수신한 연설신청 승인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주소, POI 정보, 지도입력을 통한 위치정보나 GPS, 기지국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상기 유세차량의 위치정보를 상기 유세차량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화면의 상부에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에 상기 유세차량의 이동 경로와 연설장소를 표시하며, 화면의 하부에 상기 유세차량의 연설장소에서 유세하는 시간과 장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등록된 영상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때 최신, 연설시기, 연설원, 연설시기에 따라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13. 삭제
KR1020220025436A 2022-02-10 2022-02-25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5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23 2022-02-10
KR20220017723 2022-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52A KR20230120952A (ko) 2023-08-17
KR102615429B1 true KR102615429B1 (ko) 2023-12-20

Family

ID=8780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436A KR102615429B1 (ko) 2022-02-10 2022-02-25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4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40B1 (ko) 2021-07-09 2022-01-06 주식회사 상하 유권자 능동 참여형 선거 후보자 조직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526A (ko) * 2008-05-07 2009-11-11 (주) 후인텔레콤 물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
KR20120005075A (ko) * 2010-07-08 2012-01-16 에스엠소프트웨어 (주) 모바일을 이용한 선거홍보 시스템
KR20130017788A (ko) * 2011-08-12 2013-02-20 김종호 선거정보 처리시스템
KR20150062600A (ko) * 2013-11-29 2015-06-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어린이집 등하원 관리방법
KR20150078957A (ko) * 2013-12-31 2015-07-08 고재성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선거 지원 시스템
KR101603488B1 (ko) * 2014-06-20 2016-03-16 (주)에이텍티앤 차량 위치식별용 고속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위치확인 시스템
KR101648470B1 (ko) * 2015-03-12 2016-08-16 신용균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는 코드 및 키워드 기반의 실시간 정보 유통 시스템 및 정보 유통 방법
KR20170063133A (ko) * 2015-11-30 2017-06-08 박종진 주문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문배달방법 및 주문배달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40B1 (ko) 2021-07-09 2022-01-06 주식회사 상하 유권자 능동 참여형 선거 후보자 조직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주식회사 에바다, 제7회 전국 동시지방선거 유세차량 제안서, 2019.11.14.*
청년국민의힘 연설원 모집, 2021.3.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52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10022A1 (en) Scalable visual search system simplifying access to network and device functionality
JP3929894B2 (ja) 位置関連情報仲介・獲得方法、仲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7890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regional community service based on mobile blog in mobile terminal
KR102141362B1 (ko) 위치 정보에 기반한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CN110710190B (zh) 一种生成用户画像的方法、终端、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181613A1 (zh) 搜索响应方法、装置及系统
US20080301568A1 (en) Method for Proposing the Meeting in the Regional Community Service System Based on Mobile Blog Through a Mobile Terminal
US9178841B2 (en) Geographically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JP2004289828A (ja) 情報の送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憶媒体
JP2014044721A (ja) 友達推薦方法及びそのためのサーバ、並びに端末
JP5984685B2 (ja) 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98941A (ko) 전자 기기와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JP2003284139A (ja) 情報提供サービス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6453167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528858A (ja) チケット情報ディスプレイ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20663B2 (ja) ディスプレイ連動装置及び方法
JP2006004318A (ja) 情報交換サービス提供方法、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US7525932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a virtual posting service
JP4703713B2 (ja) 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の運営方法
KR102615429B1 (ko)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2055A (ko) 가상 펜스 기반의 일정 서비스 제공 사용자 장치, 서비스 장치, 시스템 그리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WO2013073474A1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94063B1 (ko) 위치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US20160057084A1 (en) Location-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ustomer experience
US10003931B2 (en) Method for retrieval of unrecalled information from digital advertis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