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981A -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981A
KR20170081981A KR1020160001062A KR20160001062A KR20170081981A KR 20170081981 A KR20170081981 A KR 20170081981A KR 1020160001062 A KR1020160001062 A KR 1020160001062A KR 20160001062 A KR20160001062 A KR 20160001062A KR 20170081981 A KR20170081981 A KR 2017008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ain body
camera
scanning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200B1 (ko
Inventor
유병년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앤에이 filed Critical (주)씨에이앤에이
Priority to KR102016000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02B77/083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relating to maintenance, e.g. diagnostic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3Scanning by mechanical motion of s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실린더를 스캐닝하는 것으로서, 특히 프로브 유닛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브 유닛을 제어하거나 혹은 영상을 볼 수 있어 종래보다 편리하게 엔진의 실린더를 스캐닝할 수 있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 및 방법{ENGIN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NTROL TYPE}
본 발명은 엔진의 실린더를 스캐닝하는 것으로서, 특히 프로브 유닛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브 유닛을 제어하거나 혹은 영상을 볼 수 있어 종래보다 편리하게 엔진의 실린더를 스캐닝할 수 있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 및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실린더내부는 피스톤의 승하강으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크랙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실린더 내부에 프로브 유닛(1)을 설치한다.
이러한 프로브 유닛(1)은 구동부(M)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거나 혹은 원래 길이로 복귀하며 특정 각도로 밴딩되는 프로브 본체(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본체(2)의 저면에는 중앙 카메라(5)가 설치되고, 상기 프로브 본체(2) 일 측에서 분기되는 분기부(3)에는 상부 카메라(4)가 장착된다.
이러한 2개의 카메라에 의해 실린더 내부를 스캐닝하면서 크랙 등의 결함을 영상으로 확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M)는 실린더 헤드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3) 내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하우징(3)은 실린더 헤드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3)에 설치되는 프로브 본체(1)가 실린더 헤드의 인젝터 취부 홀에 삽입되면 실린더헤드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3)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3)에 컨트롤러(CON)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M)를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확보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스캐닝 장치의 경우 상기 컨트롤러(CON)와 하우징(3)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선박 엔진 등과 같이 크기가 큰 엔진의 경우 실린더별로 스캐닝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3)을 이전 설치함은 물론 규모가 큰 컨트롤러(CON) 역시 소정의 위치로 변경해야 해서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브 유닛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브 유닛을 제어하거나 혹은 영상을 볼 수 있어 종래보다 편리하게 엔진의 실린더를 스캐닝할 수 있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C) 내부를 스캐닝하는 무선 스캐너(100)와, 상기 무선 스캐너(100)를 제어하는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엔진 스캐너(10)로서 상기 무선 스캐너(100)는 실린더(C)의 인젝터 취부 홀에 장착되어 실린더(C) 내부로 진입하는 프로브 유닛(120)과, 상기 프로브 유닛(12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 헤드(CH)상에 배치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교신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프로브 유닛(120)을 구동하는 구동부(M)가 내장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유닛(120)은 구동부(M)에 의해 신장 또는 밴딩되는 프로브 본체(121)와, 상기 프로브 본체(121) 일 측에 설치되는 카메라(CA)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프로브 유닛(120)은 상기 프로브 본체(121) 일 측에 설치되는 분기부(122)와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CA)는 상기 프로브 본체(121)의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 카메라(123)와, 상기 분기부(122)에 설치되는 상부 카메라(124)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타블렛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엔진 스캐너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부를 스캐닝하는 방법으로서, 프로브 유닛(120)을 인젝터 취부 홀에 장착하는 제1단계(S100)와, 거리 측정 센서에 의해 실린더(C)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상면 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제2단계(S200)와, 프로브 본체(121)를 밴딩하여 상부 카메라(124)를 상면으로 향하게 하고 중앙 카메라(123)는 실린더(C) 내측면을 향하게 한후 실린더 헤드(CH)의 저면을 스캐닝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프로브 본체(121)를 신장하여 중앙 카메라(123)를 하강하면서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는 제4단계(S400)와, 상기 밴딩된 프로브 본체(121)를 펼친 후 상기 중앙 카메라(123)를 이용하여 피스톤 상면을 스캐닝하는 제5단계(S500)와, 상기 프로브 본체(121)가 원래 길이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6단계(S600)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3단계(S300)는 프로브 본체(121)를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상부 카메라(124)에 의해 실린더 헤더(CH)의 저면을 스캐닝하고, 상기 제4단계(S400)는 실린더(C) 내측을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구역으로 나눈 후 프로브 본체(121)를 특정 구역에서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중앙 카메라(123)에 의해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고, 프로브 본체(121)를 신장하여 중앙 카메라(123)가 인접하는 하측 구역으로 하강한 후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앙 카메라(123) 또는 상부 카메라(124)에 의해 확보된 영상을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영상별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파노라마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 일측에는 실린더(C)를 높이 및 원주 방향 특정 각도별로 구획하여 표현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 타 측에는 상기 구획된 실린더(C)구역을 도표화하여 나타내되, 가로는 원주 방향 특정 각도별 구역을 나타내고 수직은 높이 별 구역을 나타내며 현재 스캐닝 되는 영역을 특정 색채로 채색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또 다른 일 측에는 현재 스캐닝되는 영상을 연이어 표시하는 파노라마 형식으로 나타내되 각 영상의 상부에는 현재 스캐닝된 실린더의 구획을 나타내고 각 영상의 상부 양 측단에는 원주 방향 각도를 각각 나타내며 세로축은 실린더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다수 개의 엔진 실린더를 보다 편리하게 스캐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프로브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방법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방법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C) 내부를 스캐닝하는 무선 스캐너(100)와, 상기 무선 스캐너(100)를 제어하는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즉, 엔진 실린더에 설치되는 무선 스캐너(100)를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어하여 실린더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캔하고자 하는 실린더를 변경할 경우 무선 스캐너(100)만 이전 설치하면 되고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소형인 관계로 사용자가 들고 있을 수 있어 종래보다 용이하게 스캔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스캐너(100)는 실린더(C)의 인젝터 취부 홀에 장착되어 실린더(C) 내부에 진입하는 프로브 유닛(120)과, 상기 프로브 유닛(12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 헤드(CH)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교신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프로브 유닛(120)을 구동하는 구동부(M)가 내장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 통신부(130)와 구동부(M)가 설치되며, 이러한 하우징(110)이 실린더 헤드(CH)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M)에 연결되는 프로브 유닛(120)은 실리더(C)의 인젝터 취부 홀에 설치되어 실린더(C)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브 유닛(120)은 구동부(M)에 의해 신장 또는 밴딩되는 프로브 본체(121)와, 상기 프로브 본체(121) 일 측에 설치되는 카메라(CA)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프로브 본체(121)는 구동부(M)의 작동에 의해 길이가 길어지거나 혹은 축소되며 특정 부분이 밴딩된다. 이러한 프로브 본체(121) 자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프로브 본체(121)에 카메라(CA)를 부착하여 실린더(C)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브 유닛(120)은 상기 프로브 본체(121) 일 측에 설치되는 분기부(122)와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CA)는 상기 프로브 본체(121)의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 카메라(123)와, 상기 분기부(122)에 설치되는 상부 카메라(124)를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카메라에 의해 실린더 내벽 즉 라이닝을 촬영하거나 혹은 피스톤 상부등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널리 알려진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타블렛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프로브 유닛(120)은 상술된 통신부(130)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bluetooth, wifi나 3g, 4g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상기 통신부(130)와 구동부(M)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엔진 스캐너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부를 스캐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프로브 유닛(120)을 인젝터 취부 홀에 장착하는 제1단계(S10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프로브 유닛(120)을 인젝터 취부 홀에 장착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실린더 헤드(CH)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동부(M)와 통신부(130)가 배치된다.
이후, 거리 측정 센서에 의해 실린더(C)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상면 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제2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는 널리 알려진 레이저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단계(S200)에 의해 프로브 유닛(200)이 피스톤 상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S200) 수행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본체(121)를 밴딩하여 상부 카메라(124)를 상면으로 향하게 한 후 실린더 헤드(CH)의 저면을 스캐닝하는 제3단계(S30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프로브 본체(121)는 구동부(M)의 작동에 의해 밴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부(M)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카메라(124)에 의해 확보된 영상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확인하여 소정의 결함이 발생한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브 본체(121)의 밴딩 또는 후술되는 신장/압축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이때, 상기 제3단계(S300)는 프로브 본체(121)를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상부 카메라(124)에 의해 실린더 헤더(CH)의 저면을 스캔하여 확보된 영상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측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S300)에 의해 중앙 카메라(123)는 실린더(C) 내측면을 향하게 되며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본체(121)를 신장하여 중앙 카메라(123)를 하강하면서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는 제4단계(S40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4단계(S400)는 실린더(C) 내측을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구역으로 나눈 후 프로브 본체(121)를 특정 구역에서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중앙 카메라(123)에 의해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고, 프로브 본체(121)를 신장하여 중앙 카메라(123)가 인접하는 하측 구역으로 하강한 후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실린더(C) 내측을 높이 방향으로 다수 구역(예를 들어 4구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각 구역마다 수평 방향으로 30도씩 12회 회전하여 360도에 걸쳐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캔하는 것이다. 이후, 하측 구역으로 하강하여 동일하게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한다.
이와 같은 제4단계(S400)에 의해 실린더(C)의 내측면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여 스캐닝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S400) 수행 후, 상기 밴딩된 프로브 본체(121)를 펼친 후 상기 중앙 카메라(123)를 이용하여 피스톤 상면을 스캐닝하는 제5단계(S500)를 수행한다.
즉, 상기 중앙 카메라(123)는 프로브 본체(121)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밴딩된 프로브 본체(121)가 펼쳐지면 상기 중앙 카메라(123)는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되어 피스톤 상면을 스캔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프로브 본체(121)가 원래 길이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6단계(S600)를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승되게 하여 스캔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제3단계(S300) 또는 제4단계(S400)에 의해 확보된 영상은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중앙 카메라(123) 또는 상부 카메라(124)에 의해 확보된 영상을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영상별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파노라마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 영상별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도록 하거나 혹은 특정 영상을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파노라마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관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 일측, 도 7에서는 도면상 좌측 상부에는 실린더(C)를 높이 및 원주 방향 특정 각도별로 구획하여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C)를 높이 방향으로 분할하는 한편 동시에 원주 방향 기준으로 특정 각도별로 구획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 타 측 도 7에서는 도면상 우측 상부에는 상기 구획된 실린더(C)구역을 도표화하여 나타내되, 가로는 원주 방향 특정 각도별 구역을 나타내고 수직은 높이 별 구역을 나타내며 현재 스캐닝 되는 영역을 특정 색채로 채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현재 스캔되는 구역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또 다른 일 측 도 7에서는 도면상 하부에는 현재 스캐닝되는 영상을 연이어 표시하는 파노라마 형식으로 나타내되 각 영상의 상부에는 현재 스캐닝된 실린더의 구획을 나타내고 각 영상의 상부 양 측단에는 원주 방향 각도를 각각 나타내며 세로축은 실린더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된 영상의 상부 중앙에 상기 구획된 부분 예를 들어 z1r5로 표기하되 z1은 높이 방향 최상부이고 r5는 원주 방향 5번째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의 상부 양 측단에 원주 방향 각도 예를 들어 180도와 225도사이의 영상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기에 의해 현재 나타나는 영상의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의 세로축에는 실린더의 높이를 나타내는 일종의 스케일을 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 부분에 높이 방향의 거리를 표시하여 영상에 나타난 결함의 크기를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가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무선 스캐너 110 : 하우징
120 : 프로브 유닛 121 : 프로브 본체
122 : 분기부 123 : 중앙 카메라
124 : 상부 카메라 130 : 통신부
C : 실린더 CH : 실린더 헤드
200 : 스마트 디바이스

Claims (7)

  1. 실린더(C) 내부를 스캐닝하는 무선 스캐너(100)와, 상기 무선 스캐너(100)를 제어하는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엔진 스캐너(10)로서
    상기 무선 스캐너(100)는 실린더(C)의 인젝터 취부 홀에 장착되어 실린더(C) 내부로 진입하는 프로브 유닛(120)과,
    상기 프로브 유닛(12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 헤드(CH)상에 배치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교신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프로브 유닛(120)을 구동하는 구동부(M)가 내장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유닛(120)은 구동부(M)에 의해 신장 또는 밴딩되는 프로브 본체(121)와, 상기 프로브 본체(121) 일 측에 설치되는 카메라(CA)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120)은 상기 프로브 본체(121) 일 측에 설치되는 분기부(122)와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CA)는 상기 프로브 본체(121)의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 카메라(123)와, 상기 분기부(122)에 설치되는 상부 카메라(124)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타블렛인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엔진 스캐너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부를 스캐닝하는 방법으로서,
    프로브 유닛(120)을 인젝터 취부 홀에 장착하는 제1단계(S100)와,
    거리 측정 센서에 의해 실린더(C)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상면 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제2단계(S200)와,
    프로브 본체(121)를 밴딩하여 상부 카메라(124)를 상면으로 향하게 하고 중앙 카메라(123)는 실린더(C) 내측면을 향하게 한후 실린더 헤드(CH)의 저면을 스캐닝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프로브 본체(121)를 신장하여 중앙 카메라(123)를 하강하면서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는 제4단계(S400)와,
    상기 밴딩된 프로브 본체(121)를 펼친 후 상기 중앙 카메라(123)를 이용하여 피스톤 상면을 스캐닝하는 제5단계(S500)와,
    상기 프로브 본체(121)가 원래 길이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6단계(S600)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S300)는 프로브 본체(121)를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상부 카메라(124)에 의해 실린더 헤더(CH)의 저면을 스캐닝하고,
    상기 제4단계(S400)는 실린더(C) 내측을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구역으로 나눈 후 프로브 본체(121)를 특정 구역에서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중앙 카메라(123)에 의해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고, 프로브 본체(121)를 신장하여 중앙 카메라(123)가 인접하는 하측 구역으로 하강한 후 30도씩 12회에 걸쳐 360도 회전하며 실린더(C) 내측면을 스캐닝하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카메라(123) 또는 상부 카메라(124)에 의해 확보된 영상을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영상별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파노라마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 일측에는 실린더(C)를 높이 및 원주 방향 특정 각도별로 구획하여 표현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 타 측에는 상기 구획된 실린더(C)구역을 도표화하여 나타내되, 가로는 원주 방향 특정 각도별 구역을 나타내고 수직은 높이 별 구역을 나타내며 현재 스캐닝 되는 영역을 특정 색채로 채색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또 다른 일 측에는 현재 스캐닝되는 영상을 연이어 표시하는 파노라마 형식으로 나타내되 각 영상의 상부에는 현재 스캐닝된 실린더의 구획을 나타내고 각 영상의 상부 양 측단에는 원주 방향 각도를 각각 나타내며 세로축은 실린더의 높이를 나타내는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KR1020160001062A 2016-01-05 2016-01-05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KR10176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62A KR101764200B1 (ko) 2016-01-05 2016-01-05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62A KR101764200B1 (ko) 2016-01-05 2016-01-05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81A true KR20170081981A (ko) 2017-07-13
KR101764200B1 KR101764200B1 (ko) 2017-08-02

Family

ID=5935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62A KR101764200B1 (ko) 2016-01-05 2016-01-05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973B1 (ko) * 2018-07-10 2019-07-19 (주)태경이엔씨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유간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606B1 (ko) * 2000-11-15 2002-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통체의 내표면 영상 스캐닝 시스템
KR101567773B1 (ko) 2013-12-30 2015-11-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200B1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509B1 (ko) 터널 표면 검사장치
CN102450005B (zh) 校正目标检测装置、检测校正目标的校正目标检测方法
US20150249821A1 (en) Surrounding information-obtain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JP2007261463A (ja) 車載カメラ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20190362483A1 (en)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JP2020174361A (ja) 動画カメラフォーカス用途における距離測定デバイス
WO2008117689A1 (ja) 物体検知装置
WO2015145725A1 (ja) 情報提示装置、クレーン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方法
JP2017227611A (ja) 三次元測定装置
KR101764200B1 (ko) 무선 제어 방식의 엔진 스캐닝 방법
KR102037384B1 (ko)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220219923A1 (en) Camera-enabled loader system and method
US20210352208A1 (en)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ed-portion setting apparatus,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US894176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JP5506656B2 (ja) 画像処理装置
JP4853064B2 (ja) ピストン型ガスホルダーの傾斜測定装置および傾斜測定方法
JP2004138737A (ja) 撮像装置
US1032885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on-vehicle apparatus
JP6409316B2 (ja) 現場記録システム
JP6606880B2 (ja) タイヤ測定用パターン形成方法、タイヤ測定方法
JP715966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254428B2 (ja) 中空電柱の非破壊検査装置および中空電柱の非破壊検査方法
KR101921927B1 (ko) 대형 중공식 구조물의 내부 원격조사장치
JPH07115571A (ja) 雲台情報表示用コントローラ
KR20170127804A (ko)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