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674A -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 - Google Patents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674A
KR20170080674A KR1020177015286A KR20177015286A KR20170080674A KR 20170080674 A KR20170080674 A KR 20170080674A KR 1020177015286 A KR1020177015286 A KR 1020177015286A KR 20177015286 A KR20177015286 A KR 20177015286A KR 20170080674 A KR20170080674 A KR 2017008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face
reflection
main surfac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나카고메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53Moulding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e.g. ribs, high pol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44F1/04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 B44F1/045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having mirrors or metallic or reflective layers at the back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44F1/06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comprising at least two transparent elements, e.g. sheets,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59/025Fibrous surfaces with piles or similar fibre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83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4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combined with embossing

Abstract

화장 시트(5)를 구성하는 엠보싱 시트(1)는 투광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기재(3)와, 기재(3)의 한쪽 면(31)에 설치되는 복수의 반사부(2)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반사부(2) 각각은 입사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주면(21)과, 반사 주면(21) 및 기재(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면(22, 23)을 갖고 있다. 반사 주면(21) 각각은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이고 또한 제2 단면에 있어서 만곡선 형상이다.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인 반사 주면(21)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의 기재(3)의 한쪽 면(31)에 대한 구배가 복수의 반사부(2) 각각에 있어서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반사부(2)에서는 입사한 광을 정반사시키는 것에 더하여 정반사 광과는 상이한 각도로 반사광을 사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EMBOSSED SHEET AND DECORATIVE SHEET}
본 발명은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조명의 반사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엠보싱 시트 및 당해 엠보싱 시트와 일체화한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장이나 가구의 표면재에 사용되는 화장판으로서 나무결 모양이 인쇄된 화장 시트를 합판 등에 접합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판에 있어서 목재의 질감을 표현한 의장성이 우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화장판에서는 얇고 평탄하게 한 침엽수재에 광엽수재의 나무결 모양이 인쇄된 투명 올레핀 수지계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672636호 명세서
그런데,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은 「윤기」가 있는 광택을 갖는다. 「윤기」란 천연목에 광이 입사했을 때에 정반사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나타나는 광택이며, 광의 입사 각도 및 관찰 위치를 이동하면 윤기가 나타나는 개소도 이동한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따르면 윤기가 발생하는 개소의 이동에는 이방성이 있으며, 이는 천연목의 세포내강이 섬유상인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즉, 섬유상의 세포내강의 연장 방향으로 입사한 광은 대개 정반사 방향으로 반사되지만, 섬유상의 세포내강의 배열 방향으로 입사한 광은 세포내강의 각도에 따라 정반사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편향되어 반사된다. 이 세포내강의 각도가 위치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윤기가 발생하는 개소의 이동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반사 산란 특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 (a)는 반사 산란 특성 평가를 행한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 (b)는 Y 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입사했을 때의 반사 산란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 (c)는 X 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입사했을 때의 반사 산란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입사하면 정반사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제2 반사 피크가 발생하고, 측정 개소를 바꾸면 제2 반사 피크가 발생하는 각도가 변화되었다. 한편, 도 1 (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X 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입사하면 정반사 각도로 나타나는 정반사 피크 밖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즉, 전술한 섬유상의 세포내강에 기인한, 윤기가 발생하는 개소의 이동의 이방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윤기가, 천연목의 광택의 특징의 하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장 시트에서는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는 엠보싱 시트 및 당해 엠보싱 시트를 구비하는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시트는 그 일 형태로서 투광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기재와, 기재의 한쪽 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반사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반사부 각각은 입사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주면과, 반사 주면 및 기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면을 갖는다. 이 엠보싱 시트에서는, 반사 주면 각각은 한쪽 면과 교차하는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부분 또는 만곡선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한쪽 면 및 제1 단면에 교차하는 제2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부분 또는 만곡선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부분 또는 만곡선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반사 주면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의 한쪽 면에 대한 구배가, 복수의 반사부 각각에 있어서 -40도 이상 40도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다.
이 엠보싱 시트에 의하면 기재에 설치된 복수의 반사부에 있어서 각 반사 주면이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 또는 만곡선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반사 주면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의 한쪽 면에 대한 구배가 복수의 반사부 각각에 있어서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다. 이 경우, 구배가 상이한 반사 주면에 의해 기재의 한쪽 면에 있어서의 정반사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반사광을 사출할 수 있고 또한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이 반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장 시트에 적용한 경우,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윤기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배가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시인될 기회가 많은 각도 범위의 방향으로 광을 반사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주면 각각은 제2 단면에 있어서 만곡선 형상의 부분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정한 반사 피크를 갖지 않는 산란 반사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재가 투광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사부가 설치되지 않은 면측에 나무결 무늬의 인쇄면을 배치함으로써, 리얼한 나무결감을 표현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 인쇄면을 열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인쇄면의 나무결 무늬와 본 엠보싱 시트의 나무결 방향을 위치 정렬함으로써 리얼한 나무결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엠보싱 시트를 예를 들어 화장 시트에 적용하면,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적합하게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반사 주면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과 기재의 한쪽 면이 이루는 각도가 상이한 반사부(렌즈)가 다수 배치되기 때문에 개소에 따라 그 반사광 각도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제1 단면에 있어서 접속면은 반사 주면과 접속하는 측의 부위가 원호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접속면에 입사한 광을 산란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제1 단면에 있어서 접속면은 한쪽 면과 접속하는 부위가 직선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엠보싱 시트를 성형할 때의 형 빠짐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제1 단면에 있어서 접속면은 반사 주면의 일단부측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윤기를 재현하는 반사 주면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접속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저감할 수 있다. 접속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은 설계된 윤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반사 주면 각각은 제1 단면에 있어서 반사 주면의 임의의 2점에 있어서의 접선들이 0도 이상 4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완만한 만곡선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기재의 한쪽 면에 있어서의 정반사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반사광을 사출할 수 있고, 또한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이 반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장 시트에 적용한 경우, 특정 방향으로의 번쩍임을 억제한 보다 자연스러운 윤기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반사 주면은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이고 또한 제2 단면에 있어서 만곡선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단면을 따른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을 정반사 각도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사출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2 단면을 따른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 피크를 갖지 않는 산란 반사광으로 할 수 있고, 화장 시트에 적용한 경우, 특정 방향으로의 번쩍임을 억제한 보다 자연스러운 윤기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기재의 한쪽 면에 대하여 반사 주면이 차지하는 총 면적 비율이 1% 이상 70% 이하여도 된다. 이 경우,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하기 쉬워진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구배는 제1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제2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보다도 변동이 커도 된다. 이 경우, 반사부의 배열에 따라 광의 반사에 이방성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산란 반사의 이방성을 선상 또는 띠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구배는 제1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주기적이어도 된다. 이 경우, 구배의 각도가 주기적으로 추이하는 반사 주면에 따라서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이 반사되기 때문에,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구배는 제2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제1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보다도 변동이 커도 된다. 이 경우, 반사부의 배열에 따라 광의 반사에 이방성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산란 반사의 이방성을 선상 또는 띠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구배는 제2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주기적이어도 된다. 이 경우, 구배의 각도가 주기적으로 추이하는 반사 주면에 의해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이 반사되기 때문에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구배의 각도 및 구배의 각도가 추이하는 주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복수의 반사부가 설치된 복수의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사광을 강하게 표현하고 싶은 영역과 약하게 표현하고 싶은 영역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복수의 반사부의 표면 및 한쪽 면 중 적어도 한쪽은 표면 조도 Ra가 0.01㎛ 이상 20㎛ 이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을 반사시키면서 적합한 산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시트에서는 복수의 반사부는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측면으로서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 화장 시트는 상기 어느 하나의 엠보싱 시트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화장 시트에 의하면 상기 작용 효과를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다.
도 1 (a)는 반사 산란 특성 평가를 행한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b)는 Y 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입사했을 때의 반사 산란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c)는 X 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입사했을 때의 반사 산란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 시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사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1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제2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제3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제4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제5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제6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7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8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반사부의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반사부의 다른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반사부의 배열에 대한 흔들림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반사부의 배열에 대한 다른 흔들림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시트 및 당해 엠보싱 시트를 구비하는 화장 시트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엠보싱 시트의 상면도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1의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2의 방향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 시트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엠보싱 시트의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화장 시트(5)는 합판 등에 접합함으로써 내장이나 가구의 표면재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장 시트(5)는 시트 형상의 하층 기재(6)와, 하층 기재(6) 상에 설치된 나무결 무늬의 인쇄면(4)과, 하층 기재(6)와의 사이에서 인쇄면(4)을 끼워넣듯이 하층 기재(6) 상에 배치된 엠보싱 시트(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층 기재(6)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하층 기재(6)의 적합한 재료의 일례로서는 랜덤 PP(폴리프로필렌)나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열가소성 수지에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를 첨가해도 된다.
인쇄면(4)에 이용되는 잉크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바인더에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를 첨가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 시트(5)의 하층 기재(6)와 엠보싱 시트(1)의 계면(인쇄면(4))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추가해도 된다. 접착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장 시트(5)의 하층 기재(6)와 엠보싱 시트(1)의 밀착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계를 혼합한 앵커층을 화장 시트(5)의 하층 기재(6)와 접착층의 사이에 추가해도 된다.
이어서, 화장 시트(5)에 이용되는 엠보싱 시트(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엠보싱 시트(1)는 투광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기재(3)와, 기재(3)의 한쪽 면(31)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반사부(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복수 배치되는 반사부(2) 중 하나에 대하여 상면도(도 3 (a))와, 1의 방향 및 2의 방향 각각을 따른 2개의 단면도(도 3 (b) 및 (c))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의 방향이란 도 3 (a)의 상면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이고, 2의 방향이란 그 상하 방향인 것으로 하고, 다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또한, 제1 단면이란 도 3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3)의 한쪽 면(31)과 교차하는 단면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기재(3)의 한쪽 면(31)과 직교하고 또한 1의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제2 단면이란 도 3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3)의 한쪽 면(31) 및 제1의 단면과 교차하는 단면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기재(3)의 한쪽 면(31)과 직교하고 또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2의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 3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부(2) 각각은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사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주면(21)과, 반사 주면(21) 및 기재(3)의 사이에 형성된 접속면(22, 23)을 갖고 있다. 접속면(22, 23)은 제1 단면에 있어서 반사 주면(21)과 접속하는 부위가 원호 형상을 이루며, 당해 반사 주면(21)과 기재(3)의 한쪽 면(31)을 접속한다. 이와 같이 접속면(22, 23)에 원호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1의 방향으로부터 엠보싱 시트(1)에 입사한 광 중 접속면(22, 23)에 입사한 광을 산란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반사부(2)는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면에 있어서는 전체가 만곡선 형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반사부(2)는 2의 방향으로부터 엠보싱 시트(1)에 입사한 광을 산란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반사부(2)는 볼록 형상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오목 형상이어도 된다.
반사부(2)에 있어서 제1 단면 및 제2 단면의 폭은 10㎛ 이상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500㎛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를 하회하면 회절광의 영향에 의해 무지개빛으로 빛나고, 1mm를 초과하면 반사부(2)의 하나하나가 사람의 눈에 시인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반사 주면(21)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부분은 제1 단면에 있어서 기재(3)의 한쪽 면(31)과의 이루는 구배의 각도(θ)가 ±40도의 범위 내로 되도록 경사져 있고, 복수의 반사부(2) 각각에 있어서 이 구배의 각도(θ)가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반사부(2) 중 일부의 반사부(2)에서는 반사 주면(21)의 직선 부분이 기재(3)의 한쪽 면(31)과 평행해도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반사부(2)를 구비한 엠보싱 시트(1)에 광이 입사하면 주로 기재(3)의 한쪽 면(31) 및 반사부(2)의 반사 주면(21)에서 입사한 조명광 등의 광이 반사된다. 이와 같이 반사 주면(21)의 경사 각도(θ)가 ±40도의 범위(0도도 포함함)에서 변동되도록 반사부(2)가 배치되기 때문에, 기재(3)의 한쪽 면(31)에서 반사되는 정반사 광에 대하여 상이한 방향으로의 반사광(제2 반사 피크, 도 1의 (b) 참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구배는 예를 들어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을 따라 각도(θ)가 추이하고 있다.
이 제2 반사 피크의 강도에 대해서는 엠보싱 시트(1)에 있어서의 반사부(2)의 면적률을 조정함으로써 그 강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2)의 면적률이란 엠보싱 시트(1)의 한쪽 면(31)의 단위 면적당에 있어서의 반사부(2)의 반사 주면(21)의 면적이다. 반사부(2)의 면적률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 이상 70% 이하의 범위이다. 반사부(2)의 면적률이 1%를 하회하면 반사 주면(21)의 면적이 적어지고, 제2 반사 피크가 약해지고, 또한 반사부(2)의 배치가 성겨짐으로써 반사부(2)가 하나하나의 점상으로서 시인되어버리기 때문이다. 한편, 반사부(2)의 면적률이 70%를 초과하면 기재(3)의 한쪽 면(31)의 평탄부의 면적이 적어지고, 엠보싱 시트(1)에 의한 반사광의 대부분이 반사부(2)에 의한 것이 되어 정반사 광의 양이 적어져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엠보싱 시트(1)에 있어서의 반사부(2)의 면적률은 1% 이상 70%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3)의 한쪽 면(31) 내에 있어서의 반사부(2)의 면적률은 일정해도 되지만, 장소에 따라 반사부(2)의 면적률을 변동(소밀 분포)시키도록 해도 된다. 즉, 제2 반사 피크의 강약을 엠보싱 시트(1) 내에서 표현하고 싶은 경우, 예를 들어 제2 반사 피크를 약하게 하고 싶은 영역은 반사부(2)의 면적률을 1 내지 20%의 범위로 낮게 하고, 제2 반사 피크를 강화하고 싶은 영역은 면적률을 50 내지 70%의 범위로 높게 하고, 그 중간은 면적률을 20 내지 50%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시트(1)에 입사한 광을 산란 반사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재(3)의 한쪽 면(31) 및 반사부(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을 조면화해도 된다. 엠보싱 시트(1)를 성형할 때의 형을 조면화함으로써 조면을 전사해도 되고 또는 엠보싱 시트(1)를 직접 조면화해도 된다. 또는 미립자를 함유한 코팅을 실시해도 된다. 이때 표면 조도 Ra는 0.01㎛ 이상 2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 이하는 거의 경면이라고 해도 지장 없으며 바라는 바와 같은 산란 특성을 얻을 수 없고, 한편 20㎛를 초과하면 반사부(2)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즉, 복수의 반사부(2)의 표면 및 한쪽 면(31)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 조도 Ra가 0.01㎛ 이상 20㎛ 이하인 경우,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을 반사시키면서 적합한 산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 시트(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사부(2)와 기재(3)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별체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변형예]
여기서, 엠보싱 시트(1)에 이용되는 반사부(2)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변형예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면에 있어서 반사 주면(21a)이 만곡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4는 제1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반사부(2a)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경(R1)으로 만곡된 반사 주면(21a)과, R1보다 작은 반경(r2)으로 만곡된 접속면(22)과, 반경(r3)으로 만곡된 접속면(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경 r2와 r3의 크기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반사 주면(21)이 직선인 경우, 제2 반사 피크의 폭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천연목에서는 제2 반사 피크는 어느 정도의 각도 범위를 갖기 때문에 반사 주면(21)은 완전한 직선인 것보다 본 변형예 1과 같이 만곡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제1 변형예에서는 반사 주면(21a)은 제1 단면에 있어서 반사 주면(21a)의 임의의 2점에 있어서의 접선들이 0도 이상 4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완만한 만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반사 주면(21a)의 2개의 단부점을 연결한 직선(m)과 반사 주면(21a)의 2개의 단부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20도 이하여도 된다. 반사 주면(21a)의 곡률 반경이 너무 작으면 반사 주면(21a)과 기재(3)의 한쪽 면(31)이 이루는 각도(θ)의 변동이 의미를 이루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반사부(2a)는 만곡선 형상인 반사 주면(21a)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과 기재(3)의 한쪽 면(31)이 이루는 구배의 각도(θ)가 ±40도의 범위 내에 있고, 각 반사부(2a)에 있어서 이 범위 내에서 변동됨으로써, 반사부(2)와 마찬가지로 기재(3)의 한쪽 면(31)에 의한 정반사 피크에 대하여 제2 반사 피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범위 내에서 반사함으로써 실제로 시인될 기회가 많은 각도 범위의 방향으로 광을 반사할 수도 있다.
[제2 변형예]
계속해서 반사부의 제2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변형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면에 있어서 접속면(22b) 중 기재(3)의 한쪽 면(31)과 접속하는 측의 부위가 직선 형상인 점에서 제1 변형예와 상이하고, 다른 형상은 제1 변형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5는 제2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반사부(2b)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경(R1)으로 만곡된 반사 주면(21b)과, 반사 주면(21b)와 접속하는 부위가 R1보다 작은 반경(r2)으로 만곡된 원호 형상을 이루는 접속면(22b)과, 반경(r3)으로 만곡된 접속면(23)으로 구성되어 있고, 접속면(22b)은 기재(3)의 한쪽 면(31)과 접속하는 부위가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엠보싱 시트(1)를 성형할 때의 형 빠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사 주면(21b)은 변형예 1의 반사 주면(21a)과 마찬가지이다.
[제3 변형예]
계속해서 반사부의 제3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변형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면에 있어서 접속면(22)이 반사 주면(21c)의 일단부측에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측의 접속면이 생략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예와 상이하다. 도 6은 제3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반사부(2c)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사 주면(21c)의 타단부측이 기재(3)의 한쪽 면(31)에 직접 접속되고, 접속면(23)이 생략된 것이다. 이 경우, 제2 피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윤기를 재현하는 반사 주면(21c)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접속면(22, 23) 중 어느 한쪽이 생략됨으로써 접속면(22, 23)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저감할 수 있다. 접속면(22, 23)에 입사하는 조명광은 설계된 윤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당연히 반사 주면(21c)이 직선 또한 반사 주면(21c)과 기재(3)의 한쪽 면(31)이 이루는 각도(θ)가 0도인 경우에 있어서는 접속면(22, 23)을 생략할 수는 없지만, 반사 주면(21c)의 경사 각도(θ) 등은 그 이외에서는 반사부(2)의 반사 주면(2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반사 주면(21c)은 반사 주면(21)과 마찬가지로 구배의 각도(θ)가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다.
[제4 변형예]
계속해서 반사부의 제4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변형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부(2d)가 파선상을 이루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7은 제4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반사부(2d)가 주기적으로 파선상으로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2의 방향으로부터 엠보싱 시트(1)에 입사한 광은 파선상의 반사부(2d)에 의해 산란 반사된다. 또한, 제4 변형예에서는 반사부(2d)의 제1 단면은 반사부(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했지만, 반사부(2a, 2b, 2c) 중 어느 경우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제5 변형예]
계속해서 반사부의 제5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변형예에서는 도 8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면에 있어서 접속면(22e)이 반사 주면(21e)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미소한 원호인 접속면(23e)이 반사 주면(21e)의 타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제3 변형예와 상이하다. 도 8 (a) 내지 (c)는 제5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사 주면(21e)은 제1 단면에 있어서 그 일단부측에서 미소한 반경(r4)으로 만곡된 부분을 개재하여 접속면(22e)과 접속되고, 타단부측에서 미소한 반경(r5)을 포함하는 접속면(23e)을 개재하여 기재(3)의 한쪽 면(31)에 접속된다. 이 반사 주면(21e)은 반사 주면(21)과 마찬가지로 구배의 각도(θ)가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고, 이 경우 제2 피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윤기를 재현하는 반사 주면(21e)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접속면(23e)을 거의 생략시키는 형태로 되고, 접속면(23e)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면(22e)은 미소한 반경(r6)으로 만곡된 부분을 거쳐 기재(3)의 한쪽 면(31)에 접속된다. 또한, 제5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2e)의 반사 주면(21e)은 제3 변형예에 관한 반사 주면(21c)과 달리 제1 단면을 따른 쪽이 장축이고 제2 단면을 따른 쪽이 단축이 되는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단면을 따르는 반사 주면(21e)의 형상은 변형예 3의 반사 주면(21c)과 마찬가지이다.
[제6 변형예]
계속해서 반사부의 제6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변형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면에 있어서 반사 주면(21f)의 양단에 접속면(24, 25)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제5 변형예와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제5 변형예 등과 마찬가지이다. 도 9는 제6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반사부(2f)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방향에 있어서 반사 주면(21f)의 양단에 접속면(24, 25)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속면(24, 25)이 한쪽 면(31)과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9에서는 이들 접속면(24, 25)은 직선이 되어 있지만, 만곡선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단면에 있어서의 반사 주면(21f), 접속면(22f, 23f)은 제5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2e)의 반사 주면(21e), 접속면(22e, 23e)에 대응하고 있으며, 거의 동일 형상이다.
[제7 변형예]
계속해서 반사부의 제7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 변형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면에 있어서 반사 주면(21f)의 양단에 접속면(24g, 25g)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 주면(21f)이 직선 형상이 되어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제5 변형예와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제5 변형예 등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제7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반사부(2g)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방향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반사 주면(21g)의 양단이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면(24g, 25g)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속면(24g, 25g)이 한쪽 면(31)과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9에서는 이들 접속면(24g, 25g)은 만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직선 형상이어도 된다. 제1 단면에 있어서의 반사 주면(21g), 접속면(22g, 23g)은 제5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2e)의 반사 주면(21e), 접속면(22e, 23e)에 대응하고 있으며, 거의 동일 형상이다.
[제8 변형예]
계속해서 반사부의 제8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 변형예에서는 도 11 (a)에 도시하는 제5 변형예와 달리 한쪽 면(31)과 접속하는 접속면(23h)의 R부가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11 (b)는 제8 변형예에 관한 반사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반사부(2h)는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에 있어서 반사 주면(21e)의 양단에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면(22e, 23h)이 형성되어 있고, 접속면(23h)의 R부가 반전하여 한쪽 면(31)과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접속면(23h)이 이러한 끝단을 끄는 것 같은 역R 형상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방향으로 엠보싱 시트를 형성했을 때 수지의 흐름이나 판 박리 등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엠보싱 시트(1)에 있어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 및 당해 배열에 대한 흔들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반사부의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엠보싱 시트(1)에서는 반사 주면(21)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과 기재(3)의 한쪽 면(31)에 의한 구배는 제1 단면과 평행한 1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에 따른 각도(θ)의 추이가 제2 단면과 평행한 2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에 따른 각도(θ)의 추이보다 변동이 크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반사부(2)의 배열에 의해 광의 반사에 이방성을 갖게 할 수 있고, 산란 반사의 이방성을 선상 또는 띠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일례로서 2의 방향에 있어서 구배의 각도(θ)는 추이하지 않고 일정하게 되어 있는 엠보싱 시트(1)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3은 반사부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엠보싱 시트(1)에서는 반사 주면(21)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과 기재(3)의 한쪽 면(31)에 의한 구배는 제2 단면과 평행한 2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에 따른 각도(θ)의 추이가 제1 단면과 평행한 1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에 따른 각도(θ)의 추이보다 변동이 커져 있다. 이 경우도 반사부(2)의 배열에 따라 광의 반사에 이방성을 갖게 할 수 있고, 산란 반사의 이방성을 선상 또는 띠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일례로서 1의 방향에 있어서 구배의 각도(θ)는 추이하지 않고 일정해져 있는 엠보싱 시트(1)가 나타나 있다.
이상과 같이 반사부(2) 자체에 산란 반사의 이방성을 갖게 하고 또한 배치에 있어서도 이방성을 갖게 함으로써 산란 반사의 이방성을 선상 또는 띠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어서, 엠보싱 시트(1)에 있어서의 흔들림의 예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반사부의 및 대한 흔들림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5는 반사부의 배열에 대한 다른 흔들림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엠보싱 시트(1)는 복수의 반사부(2)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하여 흔들림을 가해도 된다. 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엠보싱 시트(1)는 복수의 반사부(2)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흔들림을 가하지 않고, 배열에 흔들림을 가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사부(2) 등에서는 반사부(2) 등의 반사 주면(21)과 기재(3)의 한쪽 면(31)에 의한 구배의 각도(θ)는 1의 방향에 있어서 ±40도 이하의 범위에서 변동되지만, 예를 들어 -35도→-30도, … -5도→0도→+5도→ … +30도→+35도 …라는 각도(θ)의 추이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구배의 각도(θ)의 추이는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5도 간격과 같이 큰 간격 값이어도 되지만, 1도 이하의 작은 간격 값이어도 된다. 간격 값이 작을수록 광의 입사 각도나 관찰 위치를 변경했을 때에 있어서 제2 반사 피크가 발생하는 각도의 변화가 매끄러워지고, 윤기가 발생하는 개소의 이동이 매끄러워져서 바람직한 한편, 단위 값이 클수록 제조 프로세스가 간략화된다.
이와 같이 구배의 1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에 따른 각도(θ)의 추이가 주기적인 경우, 구배의 각도(θ)가 주기적으로 추이하는 반사 주면(21)에 의해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이 반사된다. 따라서, 엠보싱 시트(1)를 이용한 화장 시트(5)에 있어서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적합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2의 방향에 있어서도 반사부(2)의 반사 주면(21)과 기재(3)의 한쪽 면(31)에 의한 구배는 각도(θ)의 추이를 주기적으로 반복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배의 2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에 따른 각도(θ)의 추이가 주기적인 경우, 구배의 각도(θ)가 주기적으로 추이하는 반사 주면(21)에 의해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이 반사된다. 따라서, 엠보싱 시트(1)를 이용한 화장 시트(5)에 있어서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시트(1)는 구배의 각도(θ) 및 구배의 각도(θ)가 추이하는 주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복수의 반사부(2)가 설치된 복수의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사광을 강하게 표현하고 싶은 영역과 약하게 표현하고 싶은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화장 시트(5)에 이용됨으로써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다. 즉, 반사부(2)의 반사 주면(21)과 기재(3)의 한쪽 면(31)에 의한 구배가 각도(θ)의 추이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경우, 변동 주기가 1종이어도 되지만 2종 이상의 주기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한 1주기 내의 각도(θ)의 변동 범위도 1종이어도 되지만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떤 개소의 1주기의 폭은 50mm이며 각도(θ)의 변동은 ±35도의 범위이고, 다른 개소의 1주기의 폭은 20mm이며 각도(θ)의 변동은 ±20도의 범위라는 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반사부(2)가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상이한 주기 동안에는 연속해서 각도(θ)가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부(2)의 반사 주면(21)과 기재(3)의 한쪽 면(31)에 의한 구배의 각도(θ)의 추이는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부(2)를 하나하나 바꾸어도 되지만, 2개 이상의 반사부(2)를 1단위로 하여 각도(θ)를 추이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1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10개의 반사부(2)를 1단위로 하고, 1단위 내에서는 반사 주면(21)과 한쪽 면(31)에 의한 구배의 각도(θ)를 일정하게 해도 된다. 또한, 배열에 대하여 전술한 흔들림을 가한 경우, 1단위 내의 반사부(2)의 수가 변동되어도 된다(도 14, 도 15 참조).
계속해서 엠보싱 시트(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엠보싱 시트(1)는 예를 들어 절삭에 의해 반사부(2)에 상당하는 오목부를 형성한 판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법, 사출 성형법 또는 열 프레스 성형법에 의해 기재(3)와 반사부(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용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포로글리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플루오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단독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폴리메틸펜텐, 지환식 올레핀 공중합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을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또한 이들 수지의 혼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법, 사출 성형법에 의해 기재(3)를 성형한 후, 반사부(2)를 형성하는 판을 이용하여 열 프레스법, 자외선 경화 성형법, 전자선 경화 성형법 등에 의해 반사부(2)를 형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엠보싱 시트(1)를 구비한 화장 시트(5)에 의하면, 기재(3)에 설치된 복수의 반사부(2)에 있어서 각 반사 주면(21)이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 또는 완만한 만곡선 형상이고, 또한 반사 주면(21)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의 한쪽 면(31)에 대한 구배가 복수의 반사부(2) 각각에 있어서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배가 상이한 반사 주면(21)에 의해 기재(3)의 한쪽 면(31)에 있어서의 정반사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반사광을 사출할 수 있고, 또한 적당한 각도 범위의 방향에 걸쳐 광이 반사되기 때문에 나무결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 같은 윤기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배가 ±40도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시인될 기회가 많은 각도 범위의 방향으로 광을 반사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주면(21) 각각은 제2 단면에 있어서 만곡선 형상이기 때문에 특정한 반사 피크를 갖지 않는 산란 반사광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3)가 투광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사부(2)가 설치되지 않은 면측에 나무결 무늬의 인쇄면(4)을 배치함으로써 리얼한 나무결감을 표현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 인쇄면(4)을 열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인쇄면(4)의 나무결 무늬와 본 엠보싱 시트(1)의 나무결 방향을 위치 정렬함으로써 리얼한 나무결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 시트(5)에 의하면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으로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적합하게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엠보싱 시트(1)에는 전술한 반사부(2)뿐만 아니라 도관을 표현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해도 되고, 이 경우 보다 리얼한 나무결감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시트(1)의 표면에 오버코트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오버코트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계를 혼합한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제 등을 첨가한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는 인쇄면(4)으로서 나무결 무늬를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무늬를 채택해도 된다. 이 경우, 화장 시트뿐만 아니라 식료품이나 음료품, 세제류 용품 등의 액체, 분체, 고체를 충전하는 스탠딩 파우치나 포장 주머니, 포장 상자, 마개 딸린 파우치, 라미네이트 튜브, 백크 인 박스 등의 포장재에 윤기감을 부여할 수 있고, 포장재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효과 검증을 위해서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엠보싱 시트(1) 및 화장 시트(5)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엠보싱 시트(1)의 반사부(2)는 제1 단면에 있어서 반사 주면(21)과 접속면(22, 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반사 주면(21)은 만곡되어 있고, 2개의 단부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2개의 단부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10도, 2개의 단부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는 50㎛였다. 접속면(22, 23)은 원호 형상으로 하였다(도 5 참조). 반사 주면(21)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곡선 부분의 접선과 기재(3)의 한쪽 면(31)이 이루는 각도(θ)가 0도인 경우에 있어서 접속면(22, 23)과 반사 주면(21)의 접점에 있어서의 접선과 기재(3)의 한쪽 면(31)이 이루는 각도를 10도로 함과 함께 원호의 다른 쪽 점에 있어서의 접선과 기재(3)의 한쪽 면(31)이 이루는 각도를 50도로 하고, 이 점으로부터 기재(3)측은 기재(3)의 한쪽 면(31)과의 이루는 각도가 50도인 직선으로 하였다(도 5 참조).
제작한 엠보싱 시트(1)의 반사부(2)는 제2 단면에 있어서는 전체가 원호 형상으로 되고, 기재(3)의 한쪽 면(31)과 접하는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기재(3)의 한쪽 면(31)과의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가 25도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엠보싱 시트(1)에서는 전술한 구성의 복수의 반사부(2)를 이하와 같이 나란히 배치하였다. 즉, 반사 주면(21)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접선과 기재(3)의 한쪽 면(31)이 이루는 각도(θ)를 2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을 따라± 30도의 범위에서 5도 간격으로 변동되도록 추이시켰다. 또한, 상기 추이의 주기 폭을 이하의 순서로 바꾸어 배열한 배치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mm, 8mm, 3mm, 6mm, 10mm, 6mm, 3mm, 8mm, 10mm, 8mm, 3mm, 6mm, 10mm, 6mm, 3mm이고, 전체 100mm의 폭이었다. 한편, 1의 방향으로의 복수의 반사부(2)의 배열에 있어서는 일정한 피치로 반사부(2)를 나란히 배치하였다. 반사부(2)의 면적률은 30%로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엠보싱 시트(1)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샌드블라스트 처리를 행하여 기재(3)의 한쪽 면(31)이 전사되는 평탄면에 있어서의 표면 조도가 약 2㎛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관을 표현하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패턴도 금형 상에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탄한 금형에 마찬가지의 샌드블라스트 처리와 도관을 표현하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패턴을 형성한 금형을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나무결 무늬가 인쇄된 시트 형상의 하층 기재(6) 상에 상기 2개의 금형을 이용하여 투광성을 갖는 수지로 엠보싱 시트(1)를 성형함으로써 엠보싱면을 갖는 화장 시트(5) 및 비교예에 의한 화장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에 의한 화장 시트(5)는 조명하에서 띠상의 휘선이 보이고, 보는 각도나 화장 시트(5)의 각도를 바꾸면 띠상의 휘선이 이동하는 시각 표현이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에 의한 화장 시트는 상기와 같은 휘선을 발생시키지 않았다. 2개를 비교하여 실시예에 의한 화장 시트(5) 쪽이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목의 나무결 모양에 나타나는 윤기가 있는 광택을 재현할 수 있는 엠보싱 시트 및 당해 엠보싱 시트를 구비하는 화장 시트가 제공된다.
1 : 엠보싱 시트
2, 2a 내지 2h : 반사부
21, 21a 내지 21e : 반사 주면
22, 22b, 22e 내지 22g : 접속면
23, 23e 내지 23h : 접속면
3 : 기재
31 : 한쪽 면
4 : 인쇄면
5 : 화장 시트
6 : 하층 기재

Claims (15)

  1. 투광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 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 각각은, 입사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주면과, 상기 반사 주면과 상기 기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면을 갖고,
    상기 반사 주면 각각은, 상기 한쪽 면과 교차하는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부분 또는 만곡선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한쪽 면 및 상기 제1 단면에 교차하는 제2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부분 또는 만곡선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부분 또는 만곡선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반사 주면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에서의 접선의 상기 한쪽 면에 대한 구배가 상기 복수의 반사부 각각에 있어서 -40도 이상 40도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는, 엠보싱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접속면은, 상기 반사 주면과 접속하는 부위가 원호 형상인, 엠보싱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접속면은, 상기 한쪽 면과 접속하는 부위가 직선 형상인, 엠보싱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접속면은 상기 반사 주면의 일단부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주면 각각은, 상기 제1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반사 주면의 임의의 2점에서의 접선들이 0도 이상 4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완만한 만곡선 형상인, 엠보싱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주면은 상기 제1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이고 또한 상기 제2 단면에 있어서 만곡선 형상인, 엠보싱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한쪽 면에 대하여 상기 반사 주면이 차지하는 총 면적 비율이 1% 이상 70% 이하인, 엠보싱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는, 상기 제1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상기 제2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보다 변동이 큰, 엠보싱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는, 상기 제1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주기적인, 엠보싱 시트.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는, 상기 제2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상기 제1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보다 변동이 큰, 엠보싱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는, 상기 제2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반사부의 배열에 따른 각도의 추이가 주기적인, 엠보싱 시트.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의 각도 및 상기 구배의 각도가 추이하는 주기가 상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반사부가 설치된 복수의 영역을 갖는, 엠보싱 시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의 표면 및 상기 한쪽 면 중 적어도 한쪽은 표면 조도 Ra가 0.01㎛ 이상 20㎛ 이하인, 엠보싱 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 각각은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인, 엠보싱 시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엠보싱 시트를 구비하는 화장 시트.
KR1020177015286A 2014-12-10 2015-12-10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 KR20170080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9856 2014-12-10
JP2014249856 2014-12-10
PCT/JP2015/084700 WO2016093322A1 (ja) 2014-12-10 2015-12-10 エンボス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674A true KR20170080674A (ko) 2017-07-10

Family

ID=5610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286A KR20170080674A (ko) 2014-12-10 2015-12-10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22541B2 (ko)
EP (1) EP3231578A4 (ko)
JP (1) JPWO2016093322A1 (ko)
KR (1) KR20170080674A (ko)
CN (1) CN107000307A (ko)
WO (1) WO20160933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2351A (ko) * 1973-12-20 1975-07-23
JPH081895A (ja) * 1994-06-21 1996-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08512A (ja) * 1994-10-07 1996-04-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4931B2 (ja) * 1995-09-22 2001-04-09 凸版印刷株式会社 エンボス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3672636B2 (ja) 1995-09-28 2005-07-2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板の製造方法
JP4044171B2 (ja) * 1997-04-15 2008-0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木調質感エンボスシートの作成方法および作成装置
JP4237878B2 (ja) * 1999-06-29 2009-03-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万線状凹凸模様を有する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8728610B2 (en) * 2000-02-25 2014-05-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und mold and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267821A (ja) * 2001-03-14 2002-09-18 Omron Corp 反射板、該反射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TW548467B (en) * 2001-04-19 2003-08-21 Alps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viewing angle property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219449A (ja) * 2003-01-09 2004-08-05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の製造方法及び反射体並びに液晶表示装置
CA2578203C (en) 2004-06-23 2014-03-11 Quin Media Arts And Sciences Inc. Sculptural imaging with optical tiles
KR100821860B1 (ko) * 2005-11-28 2008-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연원목에 유사한 외관과 질감의 합성목재판
KR100781932B1 (ko) * 2005-11-28 2007-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연원목의 외관 및 질감을 가진 합성목재판 패널의 연속식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R2942811B1 (fr) * 2009-03-04 2011-05-06 Oberthur Technologies Element de securite pour document-valeur.
JP5922859B2 (ja) * 2009-03-11 2016-05-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積層板
US20120009382A1 (en) * 2010-07-06 2012-01-12 Tosoh F-Tech, Inc. Guard substrate for optical electromotive force equipment, and its production process
DE102012018479A1 (de) * 2012-09-19 2014-03-20 Vpw Nink Gmbh PVC-Prägeplatte als Dach- oder Fassadenelement mit verbesserten UV-Schutzeigenschaften
CN103309047A (zh) * 2013-06-09 2013-09-18 上海天臣控股有限公司 视觉立体漂浮图像的薄膜及其制备方法
CN203496540U (zh) * 2013-07-02 2014-03-26 至善实业股份有限公司 装饰纸结构改良
CN203732746U (zh) * 2013-11-06 2014-07-23 苏州东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反射式二次透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3322A1 (ja) 2016-06-16
CN107000307A (zh) 2017-08-01
EP3231578A1 (en) 2017-10-18
US20170266866A1 (en) 2017-09-21
JPWO2016093322A1 (ja) 2017-09-21
US10322541B2 (en) 2019-06-18
EP3231578A4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06564A (zh) 使用菲涅耳透鏡膜之裝飾膜物件
JP6152214B1 (ja) 加飾樹脂成形品
KR101926648B1 (ko)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WO2014007975A1 (en) Wood-like films and other decorative films utilizing fresnel mirrors
JP6079946B1 (ja) 離型シートおよび樹脂皮革
JP5323469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導光体の製造方法
JP7062897B2 (ja) 化粧シート
JP6702162B2 (ja) 離型シートおよび樹脂皮革
KR20170080674A (ko)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
JP2018197818A (ja) エンボス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
WO2019189407A1 (ja) 化粧材
TW201141718A (en) Curable film with three-dimensional pattern
JP6571453B2 (ja) 化粧材
JP2017217824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100971465B1 (ko) 인테그럴 포토그라피 기술을 응용한 입체표면 시트
WO2017213053A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17114002A (ja) エンボス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
CN211222871U (zh) 一种视觉3d光栅板
JP2017128089A (ja) エンボスシート、化粧シート
JP2018030315A (ja) エンボス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化粧シート
JP2017156639A (ja) エンボス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
JP5917177B2 (ja) 表示部材用背面部材及び表示部材
US11879613B2 (en) Optical lens system for vehicle lighting applications
JP7322785B2 (ja) モジュールおよび加飾シート
JP7176613B2 (ja) 化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