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679A - 와류형 채널 - Google Patents

와류형 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679A
KR20170078679A KR1020177012294A KR20177012294A KR20170078679A KR 20170078679 A KR20170078679 A KR 20170078679A KR 1020177012294 A KR1020177012294 A KR 1020177012294A KR 20177012294 A KR20177012294 A KR 20177012294A KR 20170078679 A KR20170078679 A KR 20170078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
chamber
fluid
passag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더블유. 크럼프
키이스 비. 코브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2Chain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1Line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Abstract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품은 제1 보어가 내부로 개방되는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제1 보어보다도 직경이 실질적으로 큰 제2 보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1 보어가 제2 보어에 개방되도록 블록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2 보어로부터 압력 챔버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제2 보어에 개방되고 제2 보어에 대한 접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체가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제1 보어로부터 제2 보어 및 통로를 통해 압력 챔버로 흐를 수 있다. 제1 보어, 제2 보어 및 통로의 구성 결과로서 통로로부터 제1 보어로의 유체 흐름이 방해된다.

Description

와류형 채널{VORTEX CHANNEL}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4년 10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072,158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있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밸브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일 방향으로는 자유 흐름을 허용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흐름을 방해하는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 자동 텐셔너는 압력을 이용하여 슬랙을 제거하고 엔진의 타이밍 체인 또는 벨트가 인접하는 스프로킷들 또는 풀리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그 타이밍 체인 또는 벨트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진동을 약화시킨다. 타이밍 체인의 장력은 텐셔너 안과 밖으로의 유압 유체의 흐름에 의해 엔진 속도 및 진동 발생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다수의 변형예에 따른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품은, 제1 보어가 내부로 개방되는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제1 보어보다도 직경이 실질적으로 클 수 있는 제2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1 보어가 제2 보어에 개방되도록 블록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 보어로부터 압력 챔버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제2 보어 내로 개방되어 제2 보어에 대한 접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체는,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제1 보어로부터 제2 보어 및 통로를 통해 압력 챔버로 흐를 수 있다. 제1 보어, 제2 보어 및 통로의 구성의 결과로서 통로로부터 제1 보어로의 유체 흐름은 방해될 수 있다.
다수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품은, 블록에 연결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피스톤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주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주 보어 밖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주 보어 내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챔버는 피스톤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주 보어 내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크로스 보어는 제1 챔버에 개방되도록 본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크로스 보어는 본체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축을 가질 수 있다. 제2 크로스 보어는 제1 크로스 보어보다도 실질적으로 클 수 있고, 제1 보어로부터 이격되며, 제1 보어에 평행할 수 있다. 제1 통로는 제1 및 제2 크로스 보어 사이에서 본체를 통해 연장되어 제2 크로스 보어에 대한 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로는 블록 내에 설치되며, 제2 크로스 보어에 개방되고 제2 크로스 보어와 동축일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는 또한 블록 내의 가압 유체 챔버에도 개방될 수 있다. 가압 유체 챔버로부터의 가압 유체는, 피스톤이 제1 크로스 보어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통로, 제2 크로스 보어, 제1 통로 및 제1 크로스 보어를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제1 챔버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본체를 향한 피스톤에 대한 힘은, 유체가 제1 챔버로부터 제1 크로스 보어, 제1 통로, 제2 크로스 보어, 및 제2 통로를 통해 가압 유체 챔버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다수의 변형예에 따르면, 엔진의 구성요소에 힘을 가하기 위한 유압식 텐셔너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텐셔너의 본체는 제1 직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의 피스톤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2 직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의 주 챔버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은, 본체와 피스톤 사이의 보어 내에 제1 챔버를 정의하도록 피스톤 보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로는 피스톤 보어와 주 챔버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본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주 챔버에 대한 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로는 엔진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주 챔버에 개방된다. 상기 제2 통로는 주 챔버와 동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다른 예시적인 변형예는 본원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변형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단지 예시를 위해 의도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변형예의 선택적인 실시예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충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변형예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다수의 변형예에 따른, 엔진 블록에 대하여 배치되는 유압식 텐셔너의 개략적인 등각도이다.
도 3은 다수의 변형예에 따른, 엔진 블록에 대하여 배치되는 유압식 텐셔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수의 변형예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의 유로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다수의 변형예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의 유로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이하의 변형예에 대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결코 본 발명, 그의 적용, 또는 용도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내연 기관에서는, 체인 또는 벨트와 같은 연결 요소가, 다양한 밸브의 동작을 동기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 요소에 원하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텐셔너(10)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 요소가 슬라이딩하며, 텐셔너(10)의 피스톤(12)에 의해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장력을 가함으로써 슬랙을 제거하기 위해 연결 요소를 향해 강제될 수 있는 텐셔너 가이드(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텐셔너(10)의 하우징 또는 본체(14)에는 텐셔너를 엔진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홀(20 및 21)이 설치될 수 있다. 보어(22)는, 피스톤(1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지하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 형성을 단순화하도록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12)이 보어(22)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14)와 피스톤(12) 사이에 챔버(16)가 정의되고, 챔버(16)는 압력 하에 유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압력 챔버일 수 있다. 챔버(16) 내의 압력은 피스톤(12)을 본체(14) 밖으로 압출하고, 본체를 관련하는 엔진에 고정하여, 텐셔너 가이드 및 연결 요소에 힘을 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24)이 보어(22)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12)을 본체(14) 밖으로 부세한다.
다른 보어(26)는 보어(22)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보어(22)보다도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보어(26)는 크로스 보어(28)에 의해 교차될 수 있고, 이들이 함께 본체를 통해 후술하는 가압 유체 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는 통로(30)를 형성할 수 있다. 피스톤(12)에 대한 힘을 감소시키는 연결 요소에서의 움직임, 진동 또는 슬랙에 응답하여, 스프링(24)은 피스톤(12)을 본체(14) 밖으로 압출하고 유체 공급부로부터의 압력과 함께 유체를 챔버(16) 내로 인입한다. 연결 요소에 원하는 양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통로(30) 내로 그리고 통로(30)를 통한 유체의 공급은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 요소의 장력이 증가하면, 피스톤(12)에 대한 힘이 증가되어, 피스톤(12)이 본체(14) 내로 후퇴하는 경향이 있다. 챔버(16) 내의 유체는 피스톤(12)의 후퇴를 방해한다. 과도한 후퇴를 억제하고 원하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통로(30)를 통한 흐름이 도 2에 관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한되거나 또는 방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압식 텐셔너(10)는 엔진(32)의 섹션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엔진(32)은 엔진 내의 가압 유체의 공급부와 유압식 텐셔너(10) 내로의 개구 사이에서 연장되어 유체 및 유체 압력의 전달을 위한 통로(37)를 제공하는 보어(3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어(36)와의 연통으로, 다른 보어는 엔진(32)에 대하여 배치되는 텐셔너(10)의 해당 표면(38)을 통해 보여진다. 이러한 다른 보어는 직경(D), 수직 축(x), 및 축(x) 방향으로의 높이(h)를 갖는 원통형 섹션 형상의 주 챔버(40)를 정의한다. 보어(36)는 축(x) 주위에 주 챔버(40)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D보다도 실질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다. 주 챔버(40)는 제1 및 제2 포트(42 및 44)를 제외하고는 폐쇄되어 있다. 제1 포트(42)는, 주 챔버(40) 및 통로(37)가 동일한 축을 갖기 때문에, 주 챔버(40) 내로의 보어(36)의 개구에 설치되고 축방향 포트이다. 제2 포트(44)는 주 챔버(40)로의 통로(46)의 개구에 설치되고 접선방향 포트이다. 주 챔버(40)와 제2 보어(28) 사이의 본체(14) 내에 설치된 통로(46)는 압력 챔버(16)(도 1에 나타냄)로의 통로(3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본체(14)의 벽(48)은, 통로(46)의 에지를 정의하고, 주 챔버(40)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섹션에 대한 접선을 형성하여, 접선방향 포트(44)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엔진(32)의 블록(34) 내의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와 압력 챔버(16) 사이의 유체 경로를 볼 수 있다. 본체(14) 내의 통로(30)는 보어(26) 및 보어(28)를 포함하고, 압력 챔버(16)와 통로(46) 사이에서 연장된다. 본체(14) 내의 통로(46)는 보어(28)와 주 챔버(40) 사이에서 연장되어 접선방향 포트(44)에서 주 챔버(40)에 개방된다. 주 챔버(40)는 보어(36)에 의해 제공된 축방향 포트(42) 및 통로(37)를 통해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에 개방된다. 유체 및 유체 압력은,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로부터 통로(37)(보어(36)), 축방향 포트(42), 주 챔버(40), 접선방향 포트(44), 통로(46) 및 통로(30)(보어(28, 26))를 통해 압력 챔버(16)로 전달될 수 있다. 유체 및 유체 압력은, 압력 챔버(16)로부터 통로(30)(보어(26, 28)), 통로(46), 접선방향 포트(44), 주 챔버(40), 축방향 포트(42) 및 통로(37)(보어(36))를 통해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로 전달될 수 있다.
주 챔버(40)를 통한 유체 및 유체 압력의 연통 또는 흐름은,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로부터 압력 챔버(16)로의 전진방향으로는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는다. 이것은, 자신의 축방향 포트(42)를 갖는 통로(37), 주 챔버(40), 및 자신의 접선방향 포트(44)를 갖는 통로(46)의 구성에 기인한다. 흐름 및 압력은 압력 챔버(16)로부터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로의 역방향으로는 방해된다. 이것은, 자신의 접선방향 포트(44)를 갖는 통로(46), 주 챔버(40), 및 자신의 축방향 포트(42)를 갖는 통로(37)의 구성에 기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포트(42)에서 통로(37)로부터 주 챔버(40)로 진입하는 전진방향 흐름(f)은 접선방향 포트(44)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를 통해 통로(46) 내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46)로부터 접선방향 포트(44)를 통해 주 챔버(40)로 진입하는 역방향 흐름(-f)은 주 챔버(40)의 에지에 의해 유도되어 축방향 포트(42)를 통한 유출을 방해하는 와류(vortex)를 형성한다. 이 구성을 통해, 유체 및 유체 압력의 연통은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로부터 압력 챔버(16)로 공급되며, 기계식 체크 밸브 또는 다른 이동 가능한 요소의 사용 없이 압력 챔버(16)로부터 가압 유체 공급 챔버(50)로의 유체 및 유체 압력의 연통은 방해된다. 이동형 부품 없이, 구성이 단순화되고, 이동형 부품의 마모 및 피로가 회피될 수 있다.
이하의 변형예에 대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생각되는 구성요소, 요소, 동작, 제품 및 방법의 예시일 뿐이고, 구체적으로 개시되거나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것에 의해 이러한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결코 아니다. 구성요소, 요소, 동작, 제품 및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조합 및 재구성할 수 있으며,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생각된다.
변형예 1은, 제1 보어가 내부로 개방되는 블록을 갖는,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상기 제1 보어보다 직경이 실질적으로 클 수 있는 제2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보어가 상기 제2 보어에 개방되도록 상기 블록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보어로부터 압력 챔버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제2 보어 내로 개방되어 상기 제2 보어에 대한 접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체는,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상기 제1 보어로부터 상기 제2 보어 및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압력 챔버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제1 보어, 제2 보어 및 통로의 구성의 결과로서 상기 통로로부터 상기 제1 보어로의 유체 흐름이 방해될 수 있다.
변형예 2는, 상기 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을 갖는, 변형예 1에 따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챔버는 상기 본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본체 밖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제1 보어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압력 챔버로 진입할 수 있다.
변형예 3은, 상기 본체 내의 제3 보어가 상기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보어가 상기 제1 보어 및 상기 제2 보어 양자에 평행하며 상기 압력 챔버에 개방되는, 변형예 1 또는 2에 따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4는, 블록 내에 유체 챔버를 갖고, 상기 제1 보어가 상기 유체 챔버에 개방되는, 변형예 3에 따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5는, 상기 유체 챔버가, 유체 흐름을 방해하도록 배치된 이동 가능한 기계적 요소 없이 양 방향으로의 유체 압력의 연통을 위해 상기 압력 챔버에 연속적으로 개방되는, 변형예 4에 따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6은, 블록에 연결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는,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주 보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을 갖는 주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주 보어 밖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주 보어 내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챔버는 상기 피스톤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주 보어 내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의 제1 크로스 보어는 상기 제1 챔버에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 내의 제2 크로스 보어는 축을 가지며 상기 제1 크로스 보어보다도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상기 제2 크로스 보어는 상기 제1 보어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보어에 평행할 수 있다. 제1 통로는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보어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에 대한 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로는 블록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에 개방되며, 상기 제2 크로스 보어와 동축일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는 또한 상기 블록 내의 가압 유체 챔버에도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유체 챔버로부터의 가압 유체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1 크로스 보어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통로,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1 크로스 보어를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본체를 향한 상기 피스톤에 대한 힘은, 유체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1 크로스 보어, 상기 제1 통로,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및 상기 제2 통로를 통해 상기 가압 유체 챔버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변형예 7은, 상기 제2 통로로부터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내로 흐르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로부터 상기 제1 통로 내로 흐르는, 변형예 6에 따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8은, 상기 제1 챔버로부터의 흐름이 상기 제1 크로스 보어로부터 상기 제1 통로 내로, 상기 제1 통로로부터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내로, 그리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로부터 상기 제2 통로 내로 흐르는, 변형예 6 또는 7에 따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 제2 크로스 보어 및 제2 통로의 구성에 의해 상기 제2 통로로 진입하는 흐름이 방해된다.
변형예 9는, 상기 가압 유체 챔버가 이동 가능한 기계적 방해물 없이 양 방향으로 상기 제1 챔버와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유체 연통하는, 변형예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0은, 엔진의 구성요소에 힘을 가하기 위한 유압식 텐셔너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텐셔너의 본체는 제1 직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의 피스톤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2 직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의 주 챔버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은, 상기 본체와 상기 피스톤 사이의 상기 보어 내에 제1 챔버를 정의하도록 상기 피스톤 보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로는, 상기 피스톤 보어와 상기 주 챔버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주 챔버에 대한 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로는, 상기 주 챔버에 개방되도록 상기 엔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주 챔버와 동축일 수 있다.
변형예 11은, 상기 제2 통로가 제3 직경을 갖고, 상기 주 챔버의 제2 직경이 상기 제3 직경보다도 실질적으로 큰, 변형예 10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2는, 상기 제1 압력 챔버가 이동 가능한 방해물 없이 양 방향으로 상기 제2 통로와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유체 연통하는, 변형예 10 또는 11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3은, 상기 제2 통로가 가압 유체 공급부를 갖는 엔진 내의 유체 챔버에 개방될 수 있는, 변형예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유체는, 상기 제2 통로, 주 챔버, 제1 통로, 및 제1 챔버를 포함하는 유로를 통해 상기 유압식 텐셔너로 진입해서, 상기 피스톤에 유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변형예 14는, 상기 유체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는, 변형예 1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5는, 상기 피스톤에 대한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유체 챔버로의 흐름이 상기 제1 통로, 주 챔버 및 제2 통로의 구성에 의해 방해되는, 변형예 13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6은, 상기 구성요소이 연결 요소이고, 상기 제3 직경이 상기 연결 요소에 대한 엔진 하중에 기인한 유압식 텐셔너 압력을 완화시키는 비율로 상기 주 챔버로부터 상기 제2 통로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2 직경에 대하여 선택적인 크기로 되는, 변형예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7은, 상기 연결 요소의 슬랙은, 상기 유체 챔버로부터의 유체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피스톤 보어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상기 유체 압력은 상기 피스톤을 통해 상기 연결 요소에 대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변형예 16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8은, 상기 유체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의 유체 압력이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변형예 13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19는, 상기 연결 요소에 대한 엔진 하중에 기인한 유압식 텐셔너 압력은, 상기 제1 챔버 내의 유압을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압보다도 실질적으로 높아지게 하는, 변형예 13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 20은, 유체가 상기 유체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 흐를 때, 상기 주 챔버를 통한 흐름은 상기 제2 통로로부터 상기 제1 통로로 실질적으로 직접 진행하고, 유체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유체 챔버로 흐를 때, 상기 주 챔버를 통한 흐름은 상기 제1 통로로부터 상기 주 챔버 주위로 와류로 진행한 다음 상기 주 챔버의 중심을 향해 상기 제2 통로로 진행하는, 변형예 13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압식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선택적인 변형예의 상기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순한 예시이며, 그 변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제1 보어가 내부로 개방되는 블록; 및 상기 제1 보어보다도 직경이 실질적으로 큰 제2 보어를 갖고, 상기 제1 보어가 상기 제2 보어에 개방되도록 상기 블록에 대하여 배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보어로부터 압력 챔버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제2 보어에 개방되고 상기 제2 보어에 대한 접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유체는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상기 제1 보어로부터 상기 제2 보어 및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압력 챔버로 흐르며, 상기 제1 보어, 상기 제2 보어 및 상기 통로의 구성의 결과로서 상기 통로로부터 상기 제1 보어로의 유체 흐름이 방해되는,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챔버가 상기 본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보어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본체 밖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유체 챔버로 진입하는,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상기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3 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보어는 상기 제1 보어 및 상기 제2 보어 양자에 평행하고 상기 압력 챔버에 개방되는,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내에 유체 챔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어가 상기 유체 챔버 내에 개방되는,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는, 유체 흐름을 방해하도록 배치되는 이동 가능한 기계적 요소 없이 양 방향으로의 유체 압력의 연통을 위해 상기 압력 챔버에 연속적으로 개방되는, 제품.
  6. 블록에 연결되며, 주 보어를 갖는 본체; 상기 주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 보어 밖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주 보어 내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갖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주 보어 내의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에 개방되는, 상기 본체 내의 제1 크로스 보어; 축을 갖고, 상기 제1 크로스 보어보다도 실질적으로 크며, 상기 제1 보어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보어에 평행한, 상기 본체 내의 제2 크로스 보어;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보어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제2 크로스 보어에 대한 접선을 형성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2 크로스 보어에 개방되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와 동축이며, 상기 블록 내의 가압 유체 챔버에 개방되는, 상기 블록 내의 제2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유체 챔버로부터의 가압 유체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1 크로스 보어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통로,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1 크로스 보어를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로 진입하고; 상기 피스톤에 대한 힘은, 유체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1 크로스 보어, 상기 제1 통로,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및 상기 제2 통로를 통해 상기 가압 유체 챔버로 흐르게 하는,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로부터의 유체는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내로 흐르고,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로부터 상기 제1 통로 내로 흐르는,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로부터의 유체는 상기 제1 크로스 보어로부터 상기 제1 통로 내로, 상기 제1 통로로부터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내로, 그리고 상기 제2 크로스 보어로부터 상기 제2 통로 내로 흐르고, 상기 제1 통로, 상기 제2 크로스 보어 및 상기 제2 통로의 구성에 의해 상기 제2 통로로 진입하는 흐름이 방해되는, 제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챔버는 이동 가능한 기계적 방해물 없이 양 방향으로 상기 제1 챔버와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유체 연통하는, 제품.
  10. 원통형 형상을 갖고 제1 직경을 갖는 피스톤 보어, 및 원통형 형상을 갖고 제2 직경을 갖는 주 챔버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상기 피스톤 사이의 상기 피스톤 보어 내에 제1 챔버를 정의하하도록, 상기 피스톤 보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 보어와 상기 주 챔버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본체 내의 제1 통로로서, 상기 제1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 챔버에 대한 접선을 형성하는,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주 챔버에 개방되며, 상기 주 챔버와 동축인, 상기 엔진 내의 제2 통로를 포함하는, 엔진의 구성요소에 힘을 가하기 위한 유압식 텐셔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는 제3 직경을 갖고, 상기 주 챔버의 상기 제2 직경은 상기 제3 직경보다도 실질적으로 큰, 유압식 텐셔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챔버는 이동 가능한 방해물 없이 양 방향으로 상기 제2 통로와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유체 연통하는, 유압식 텐셔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는 가압 유체 공급부를 갖는 엔진 내의 유체 챔버에 개방되고, 가압 유체는 상기 제2 통로, 상기 주 챔버,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1 챔버를 포함하는 유로를 통해 상기 유압식 텐셔너로 진입해서 상기 피스톤에 유체 압력을 가하는, 유압식 텐셔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의 흐름은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는, 유압식 텐셔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대한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유체 챔버로의 흐름은 상기 제1 통로, 상기 주 챔버 및 상기 제2 통로의 구성에 의해 방해되는, 유압식 텐셔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성요소는 연결 요소이고, 상기 제3 직경은, 상기 연결 요소에 대한 엔진 하중에 기인한 유압식 텐셔너 압력을 완화시키는 비율로 상기 주 챔버로부터 상기 제2 통로로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 직경에 대하여 선택적인 크기로 되는, 유압식 텐셔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의 슬랙은 스프링에 응답하여 상기 피스톤 보어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피스톤 보어 내의 유체 압력은 상기 피스톤을 통해 체인에 대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유압식 텐셔너.
  18. 제17항에 있어서, 유체 압력은, 상기 유체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 연통되었을 때에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유압식 텐셔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에 대한 엔진 하중에 기인한 유압식 텐셔너 압력은, 상기 제1 챔버 내의 유압을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압보다도 실질적으로 높아지게 하는, 유압식 텐셔너.
  20. 제19항에 있어서, 유체가 상기 유체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 흐를 때, 상기 주 챔버를 통한 흐름은 상기 제2 통로로부터 상기 제1 통로로 실질적으로 직접 진행하고, 유체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유체 챔버로 흐를 때, 상기 주 챔버를 통한 흐름은 상기 제1 통로로부터 상기 주 챔버 주위로 와류로 진행한 다음에 상기 주 챔버의 중심을 향해 상기 제2 통로로 진행하는, 유압식 텐셔너.
KR1020177012294A 2014-10-29 2015-10-14 와류형 채널 KR201700786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2158P 2014-10-29 2014-10-29
US62/072,158 2014-10-29
PCT/US2015/055422 WO2016069261A1 (en) 2014-10-29 2015-10-14 Vortex cha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679A true KR20170078679A (ko) 2017-07-07

Family

ID=5585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294A KR20170078679A (ko) 2014-10-29 2015-10-14 와류형 채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08838B2 (ko)
JP (1) JP2018503029A (ko)
KR (1) KR20170078679A (ko)
CN (1) CN107110309A (ko)
DE (1) DE112015004282T5 (ko)
WO (1) WO2016069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4316T5 (de) * 2014-10-29 2017-06-14 Borgwarner Inc. Ventilartige pfade
JP7041349B2 (ja) * 2018-05-28 2022-03-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1780U (ko) * 1974-01-25 1975-08-22
JPS5817956Y2 (ja) * 1979-12-19 1983-04-12 株式会社クボタ タイトナ調整装置
JPH068361Y2 (ja) * 1987-09-07 1994-03-02 日鍛バルブ株式会社 液圧式テンシヨナ
JPH0369347U (ko) * 1989-11-06 1991-07-10
JP2549817Y2 (ja) * 1991-01-31 1997-10-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マウントプレート及びガスケットが一体化された油圧式テンショナ
US5277664A (en) * 1992-05-19 1994-01-11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Hydraulic tensioner with a molded valve base and cap
JPH0645141U (ja) * 1992-11-27 1994-06-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オイルリザーバ付きチェーン用テンショナ
US5346436A (en) * 1993-09-23 1994-09-13 Borg-Warner Automotive, Inc. Air vent for hydraulic chain tensioner
JP2601539Y2 (ja) * 1993-10-15 1999-11-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ザーバタンクを平坦又は凸状のプレートで覆ったテンショナ
JPH07280049A (ja) * 1994-04-12 1995-10-27 Tsubakimoto Chain Co 摺動面に螺旋状溝を設けたオイル式テンショナ
US5577970A (en) * 1995-04-11 1996-11-26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pressure relief valve
JP2895786B2 (ja) * 1995-11-10 1999-05-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チェーンのテンショナ装置
US5797817A (en) * 1995-12-15 1998-08-25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JP3722909B2 (ja) * 1996-05-10 2005-11-30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油圧テンショナ
JP3371727B2 (ja) * 1996-12-20 2003-01-27 スズキ株式会社 チェーンアジャスタのオイル供給構造
US5967921A (en) * 1997-10-09 1999-10-19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chain tensioner with molded plastic body
US5967920A (en) * 1997-10-09 1999-10-19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bore cup
US6196939B1 (en) * 1998-09-21 2001-03-0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rack
JP2000266145A (ja) * 1999-03-18 2000-09-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油圧テンショナ
JP2001021011A (ja) * 1999-07-05 2001-01-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液圧テンショナ
JP2001021013A (ja) * 1999-07-06 2001-01-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液圧テンショナ
JP3926128B2 (ja) * 2001-10-12 2007-06-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機構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3202060A (ja) * 2001-11-02 2003-07-18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3322400B1 (ja) * 2002-01-11 2002-09-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ラチェット式油圧テンショナ
JP3926182B2 (ja) * 2002-03-27 2007-06-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ラチェット式油圧テンショナ
US6945889B2 (en) * 2002-10-04 2005-09-20 Borgwarner Inc. Hydraulic chain tensioner
JP2004138152A (ja) * 2002-10-17 2004-05-13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7691017B2 (en) * 2004-04-23 2010-04-06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Hydraulic tensioner
DE102004043733A1 (de) * 2004-09-10 2006-03-16 Ina-Schaeffler Kg Gehäuse eines Spannsystems mit integrierter Spritzdüse
JP4180591B2 (ja) * 2005-08-04 2008-11-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プラスチック製の油圧式テンショナ
US8403783B2 (en) * 2005-12-13 2013-03-2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band type check valve
JP4376278B2 (ja) * 2007-06-25 2009-12-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US8523720B2 (en) * 2009-07-02 2013-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in tensioner
EP2458246B1 (de) * 2010-11-29 2013-10-02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Dämpfungseinrichtung, die ein Mindestaufnahmevolumen aufweist
JP5903445B2 (ja) * 2011-02-28 2016-04-13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油圧テンショナー用の可変流量チェックバルブ
US8951154B2 (en) * 2011-03-31 2015-02-10 Honda Motor Co., Ltd. Hydraulic tensioner
DE102011104420A1 (de) * 2011-06-16 2012-12-20 Daimler Ag Kettenspannvorrichtung zur An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1122185A1 (de) * 2011-12-23 2013-06-27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Dämpfungskanal in der Fluidzuführung
JP6255418B2 (ja) * 2012-12-21 2017-12-27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非作動になるラチェットを有するチェーン又はベルトテンショナ
JP6448983B2 (ja) * 2014-10-29 2019-01-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6449012B2 (ja) * 2014-12-24 2019-01-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9261A1 (en) 2016-05-06
CN107110309A (zh) 2017-08-29
JP2018503029A (ja) 2018-02-01
US10208838B2 (en) 2019-02-19
US20170314651A1 (en) 2017-11-02
DE112015004282T5 (de)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1174B2 (en) Chain tensioner
WO2009016314A3 (fr) Machine hydraulique comprenant des moyens d'injection d'un écoulement prélevé d'un écoulement principal
WO2009076489A3 (en) Smooth bore nozzle with adjustable bore
KR102038316B1 (ko) 가변 유동 유압 체인 텐셔너
EP3180176B1 (en) Actuator apparatus and method enabling multiple piston velocities
US10753433B2 (en) Tensioner
KR20160093640A (ko)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고유량/신속 응답 디스크형 체크 밸브
KR20170078679A (ko) 와류형 채널
US20160153530A1 (en) Tensioner
US20120329590A1 (en) Hydraulic tensioner
CN106687681B (zh) 溢流阀以及燃料供给系统
US20180128354A1 (en) Tensioner
US10400870B2 (en) Valvular paths
KR20080036614A (ko) 인장 장치
WO2016142060A3 (de) Sanitäres umschaltventil sowie baugruppe mit einem solchen umschaltventil
JP2015222108A (ja) シリンダ装置
KR20140050068A (ko) 유체압 실린더
US10738860B2 (en) Hydraulic tensioner with controllable inlet pressure
CN101634352A (zh) 可变泄沉链传动张紧装置
KR200467301Y1 (ko) 저진동 저소음 볼륨 부스터
US9714694B2 (en) High damping low force hydraulic strut tensioner
JP6098077B2 (ja) 逆止弁を有する油圧式テンショナ
CN202901513U (zh) 锅炉给水专用控制阀
JP2008190595A (ja) ダンパ付きテンショナ装置
JP2008303969A (ja) オートテンショ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