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155A - 주조 설비 - Google Patents

주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155A
KR20170077155A KR1020177012660A KR20177012660A KR20170077155A KR 20170077155 A KR20170077155 A KR 20170077155A KR 1020177012660 A KR1020177012660 A KR 1020177012660A KR 20177012660 A KR20177012660 A KR 20177012660A KR 20170077155 A KR20170077155 A KR 2017007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sting
hot water
upper mold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785B1 (ko
Inventor
유키요시 후나코시
게이시로 가네다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B22D35/04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into moulds, e.g. base plates,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3/00Equipment for handling moulds
    • B22D33/02Turning or transpos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3/00Cast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2D1/00 - B22D21/00
    • B22D23/006Casting by filling the mould through rotation of the mould together with a molten metal holding recipient, about a comm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2Mechanisms for locking or open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3/00Cast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2D1/00 - B22D2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8Shaking, vibrating, or turning 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주조 설비의 주조 장치는 상부 금형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금형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과, 형폐쇄 기구와, 중앙부에 경동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주링크 부재와, 중앙부에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부링크 부재와, 회전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주링크 부재 및 부링크 부재가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 비해, 각 부재의 강도 확보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경량화 및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주조 장치가 소형화되는 결과, 주조 설비가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 설비{CASTING FACILITY}
본 개시는 주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2에는, 중력식 경동(傾動) 금형 주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개폐 가능하고 또한 경동 가능한 상하 금형을 구비하고, 형(型)폐쇄(mold closing)된 상하 금형을 회전 경동시켜, 중력을 이용하여 용융 금속(용탕(溶湯))을 상하 금형 내에 주탕(注湯)하여, 제품을 주조한다. 이들 장치에서는, 상부 금형이 수평 상태로부터 기립(起立) 상태가 되도록 대략 90도 열리는 상부 금형 올림 방식(flip-up type)이 채용되어 있다.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서는, 올림 기구, 형폐쇄용의 스토퍼, 경동 기구, 형폐쇄 기구 및 상하 금형마다의 형빼냄 기구 등에, 각각 액츄에이터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5-31809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3-205359호 공보
상술한 올림 기구에는, 형폐쇄, 형빼냄, 혹은 제품 압출(押出)시에 큰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고강도 부재가 채용되어 있다. 또, 올림 기구, 스토퍼, 경동 기구, 형폐쇄 기구, 및 상하형마다의 형빼냄 기구 등에, 각각 액츄에이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액츄에이터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다. 이들 때문에,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을 채용했을 경우, 장치의 치수 및 중량이 커진다. 그 결과,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를 구비하는 주조 설비에 있어서는, 장치 설치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해야만 하는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주조 설비가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축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조 설비는, 중력을 이용하여 주탕되고, 개폐 가능하고 또한 경동 가능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이용하여 주물을 주조하는 주조 장치와, 주조 장치에서 이용되는 용탕을 저장하는 유지로(爐)와, 유지로로부터 주조 장치로 용탕을 반송(搬送) 및 급탕(給湯)하는 급탕 장치를 구비하고, 주조 장치는 상부 금형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금형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부 금형을 승강하거나, 또는 하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하부 금형을 승강하는 형폐쇄 기구와, 상부 프레임에 상단부가, 하부 프레임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향 배치되고,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주링크 부재와, 주링크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에 상단부가, 하부 프레임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향 배치되고,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보조 링크 부재와, 한 쌍의 주링크 부재 중 일방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경동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주링크 부재 및 보조 링크 부재가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이 주조 설비의 주조 장치에서는, 상부 금형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금형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이, 좌우 한 쌍의 주링크 부재와 부링크 부재로 연결되어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주링크 부재 및 부링크 부재의 각각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경동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구동 수단이 한 쌍의 주링크 부재 중 일방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 형폐쇄 기구에 의해서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승강된다. 이것에 의해, 형폐쇄 공정에 있어서는, 형폐쇄 기구에 의해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폐쇄되고, 경동 공정에 있어서는, 폐쇄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구동 수단 및 평행 링크 기구에 의해 경동되고, 형빼냄, 혹은 제품 압출시 등의 공정에 있어서는, 형폐쇄 기구에 의해 개방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구동 수단 및 평행 링크 기구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금형의 형폐쇄, 형빼냄, 혹은 제품 압출 등 주조의 공정은, 평행 링크 기구로 연결된 상하부 프레임 내에서 행해진다. 추가로, 형폐쇄, 형빼냄, 혹은 제품 압출시의 힘은 평행 링크 기구로 받게 된다. 따라서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 비해, 각 부재의 강도 확보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경량화 및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서는, 형개방 등의 때,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 큰 힘이 전달되는데 대하여, 이 주조 설비의 주조 장치에서는, 평행 링크 기구로 힘을 받기 때문에,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전달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프레임도 경량화 및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주조 장치가 소형화되는 결과, 주조 설비가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조 장치는 용탕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주탕구(注湯口)가 하부 금형의 수탕구(受湯口)에 접속되고, 하부 금형에 장착된 레이들(ladle)을 구비하고, 급탕 장치는 형폐쇄 기구에 의해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된 형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해도 된다. 이 경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에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므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 상태가 되기 전에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는 경우에 비해,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고 나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경동 상태로 하여,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용탕을 경동 주탕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탕 장치 및 주조 장치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주조 장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 상태인 경우에, 형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급탕 장치에 출력하고, 급탕 장치는 주조 장치로부터 정보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 상태가 아닐 때는, 급탕 장치는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조 장치가 수탕 가능한 상태(자세)일 때 급탕 장치가 급탕한다고 하는 절차가 준수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조 장치는 용탕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주탕구가 하부 금형의 수탕구에 접속되고, 하부 금형에 장착된 레이들을 구비하고, 급탕 장치는 형폐쇄 기구에 의해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개방된 후, 구동 수단에 의해서 상부 금형이 급탕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하부 금형이 급탕 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한 제1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이격 상태에서는, 하부 금형이 급탕 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서 레이들이 급탕 장치에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급탕 장치가 용탕을 반송하는 거리가 단축되므로, 급탕 장치의 부담이 경감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탕 장치 및 주조 장치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주조 장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제1 이격 상태인 경우에, 제1 이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급탕 장치로 출력하고, 급탕 장치는 주조 장치로부터 정보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제1 이격 상태가 아닐 때는, 급탕 장치는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조 장치가 수탕 가능한 상태(자세)일 때 급탕 장치가 급탕한다고 하는 절차가 준수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이들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경동하는 경동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레이들로부터 용탕이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내에 경동 주탕될 때, 공기 및 산화막의 유입이 생기기 어려우므로, 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탕 장치는, 주조 장치가 수탕 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용탕의 반송을 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 상태 또는 제1 이격 상태 이동 상태가 되고 나서, 급탕 장치가 주조 장치로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하는 경우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조 설비는 복수의 주조 장치를 구비하고, 급탕 장치는 유지로로부터 복수의 주조 장치의 각각으로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조 장치가 소형화되므로, 각 주조 장치를 서로의 거리를 좁혀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급탕 장치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작업원이 코어를 담는 작업을 하는 경우 등, 각 주조 장치에 있어서 작업원의 작업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 주조 장치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탕 장치는 상부 금형으로부터 주물을 수취(受取)하는 수취부를 구비하고, 수취부는 형폐쇄 기구에 의해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개방된 후, 구동 수단에 의해서 상부 금형이 급탕 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하부 금형이 급탕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한 제2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상부 금형으로부터 주물을 수취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급탕 장치가 수취부를 구비하여, 수취 수단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수취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주조 설비가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한층 더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 및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조 설비가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조 설비에 있어서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주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주조 설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주조 설비에 의한 주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3에 있어서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으로,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평행 링크 기구의 동작에 의해서 상하 금형이 슬라이드하여 제2 이격 상태로 된 도면이다.
도 10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된 형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형폐쇄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90°회동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부 금형을 도중 위치까지 끌어 올린 도면이다.
도 13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슬라이드하여 제1 이격 상태로 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상부 금형을 상승단(上昇端)까지 끌어 올린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에 의한 주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포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에 있어서의 주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에 있어서의 주조 장치의 레이들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하는 것과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다. 또, 「상」 「하」 「좌」 「우」란 말은, 도시하는 상태에 기초한 것으로, 편의적인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조 설비에 있어서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면 중의 X방향 및 Y방향이 수평 방향이고, Z방향이 수직 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설비(100)는 주조 장치(50), 유지로(52), 급탕 장치(급탕용 로봇)(60), 컨베이어(53) 및 코어 조형(造型) 장치(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조 설비(100)는 컨베이어(53) 및 코어 조형 장치(54)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주조 설비(100)는 도시하지 않은 전(前) 공정 또는 후(後) 공정의 장치(예를 들면, 제품 냉각 장치, 사락(砂落) 장치, 제품 마무리 장치 등)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조 설비(100)는 일례로서 3개의 주조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주조 장치(50)는, 일례로서 옆으로 줄지어(X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주조 장치(50)와 유지로(52)와의 사이에는, 급탕 장치(6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주조 장치(50)에 대해서 유지로(52)의 반대측에 코어 조형 장치(54)가 배치되어 있다. 주조 설비(100)는, 일례로서, 3개의 주조 장치(50) 각각에 대응하는 3개의 코어 조형 장치(54)를 구비하고 있다. 주조 장치(50)와 코어 조형 장치(54)와의 사이에는, 작업원의 작업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또, 주조 장치(50)와 코어 조형 장치(54)와의 사이에는, 컨베이어(53)가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53)는, 예를 들면 각 주조 장치(50)의 배열을 따라서 X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53)는, 예를 들면 후 공정의 장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조 장치(50)는 중력을 이용하여 용융 금속이 주탕되고, 개폐 가능하고 또한 경동 가능한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도 3 참조)을 이용하여 주물을 주조하는, 이른바 중력식 경동 금형 주조 장치이다. 주탕되는 용융 금속의 재질은 묻지 않는다. 용융 금속으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 등이 이용된다. 주조 장치(50)는 후술하는 컨트롤러를 가지고,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조 장치(50)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유지로(52)는 주조 장치(50)에서 이용되는 용탕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유지로(52)는, 예를 들면, 용탕을 소정 온도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유지로(52)는 금속을 용해시켜 용융 금속으로 하는 용해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급탕 장치(60)는 유지로(52)로부터 주조 장치(50)로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탕 장치(60)는 유지로(52)로부터 복수의 주조 장치(50)의 각각으로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한다. 급탕 장치(60)는, 예를 들면, 암(61) 및 취과(取鍋(국자 모양의 용기), 62)를 구비한 로봇이다. 암(61)은, 예를 들면 다관절 구조를 가지고, 후술하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취과(62)은 암(61)의 선단(先端)에 장착되어 있다. 암(61)의 동작에 의해, 유지로(52)의 용탕이 취과(62)에 퍼내져 주조 장치(50)까지 반송되어, 주조 장치(50)로 급탕된다.
급탕 장치(60) 및 주조 장치(50)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급탕 장치(60) 및 주조 장치(50)는, 소정의 통신 규격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쌍방향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컨베이어(53)는 주조 장치(50)에 의해 주조된 주물(주물 제품)을 반송하는 장치이다. 컨베이어(53)는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 슬라트(slat) 컨베이어 등이다. 컨베이어(53)는, 예를 들면 주물을 후 공정의 장치로 반송한다.
코어 조형 장치(54)는 금형에 코어 모레를 불어넣어 코어를 조형하는 장치이다. 코어 조형 장치(54)로서, 구체적으로는, 쉘 머신, 콜드 박스 조형기, 및 생형(生型) 코어 조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코어 조형 장치(54)로 조형된 코어는, 주조 장치(50)와 코어 조형 장치(54)와의 사이의 작업 스페이스에 배치된 작업원에 의해, 주조 장치(50)의 소정 위치에 세트된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주조 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주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베이스 프레임(17),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6), 형폐쇄 기구(21), 좌우 한 쌍의 주링크 부재(7), 좌우 한 쌍의 부링크 부재(보조 링크 부재)(8), 회전 액츄에이터(구동 수단)(16) 및 레이들(25)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17)은 기대(基臺)(18), 구동측 지지 프레임(19) 및 종동측(從動側) 지지 프레임(20)을 가지고 있다. 기대(18)는 복수의 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대략 평판 모양을 이루는 부재이며, 주조 설비(100)의 설치면상에 수평으로 마련되어 있다. 구동측 지지 프레임(19)과 종동측 지지 프레임(20)은, 기대(18)상에 있어서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입설(立設)되어, 기대(18)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측 지지 프레임(19)의 상단부 및 종동측 지지 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경동 회전 베어링(9)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5)은 베이스 프레임(1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5)에는, 상부 금형(1)이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5)의 하면에는, 상부 형(型)다이베이스(3)를 매개로 하여 상부 금형(1)이 장착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에는, 상부 금형(1)을 승강하는 형폐쇄 기구(21)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5)은 형폐쇄 기구(21)를 내장하고, 형폐쇄 기구(21)에 의해 상부 금형(1)을 승강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형폐쇄 기구(21)는 형폐쇄 실린더(22),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드(guide rod, 23) 및 좌우 한 쌍의 안내통(24)을 가지고 있다. 형폐쇄 실린더(22)의 하단부는, 상부 형다이베이스(3)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형폐쇄 실린더(22)는 상하 방향(수직 방향 여기에서는 Z방향)으로 신장(伸張)함으로써, 상부 형다이베이스(3)를 매개로 하여 상부 금형(1)을 강하시킴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상부 형다이베이스(3)를 매개로 하여 상부 금형(1)을 상승시킨다. 가이드 로드(23)는, 상부 프레임(5)에 장착된 안내통(24)을 관통하여, 상부 형다이베이스(3)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6)은 베이스 프레임(17)의 상방이며, 상부 프레임(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6)에는 하부 금형(2)이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프레임(6)의 상면에는, 하부 형(型)다이베이스(4)를 매개로 하여 하부 금형(2)이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지는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5)과 하부 프레임(6)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주링크 부재(7)는, 상부 프레임(5)에 상단부가, 하부 프레임(6)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향 배치되고, 중앙부에 경동 회전축(10)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주링크 부재(7)는 좌우 방향(수평 방향 여기에서는 X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각각, 상부 프레임(5)과 하부 프레임(6)을 연결하고 있다. 주링크 부재(7)는 중앙부에 경동 회전축(10), 상단부에 주링크 상부 회전축(11) 및 하단부에 주링크 하부 회전축(12)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주링크 부재(7)의 중앙부는, 한 쌍의 경동 회전축(10)을 매개로 하여, 한 쌍의 경동 회전 베어링(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주링크 부재(7)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5)의 한 쌍의 측면(5a)에 한 쌍의 주링크 상부 회전축(11)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주링크 부재(7)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6)의 한 쌍의 측면(6a)에 한 쌍의 주링크 하부 회전축(12)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을 형폐쇄했을 때,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깊이 방향(Y방향)에 있어서, 주링크 부재(7)가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 각각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주링크 부재(7)의 상부 프레임(5) 및 하부 프레임(6)으로의 장착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부링크 부재(8)는 주링크 부재(7)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5)에 상단부가, 하부 프레임(6)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향 배치되고, 중앙부에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15)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부링크 부재(8)는 좌우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5)과 하부 프레임(6)을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부링크 부재(8)는 상단부에 한 쌍의 부링크 상부 회전축(13), 하단부에 한 쌍의 부링크 하부 회전축(14) 및 중앙부에 한 쌍의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15)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부링크 부재(8)는 한 쌍의 측면(5a) 및 한 쌍의 측면(6a)에, 한 쌍의 주링크 부재(7)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링크 부재(8)의 길이는 주링크 부재(7)의 길이와 같다.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6), 주링크 부재(7) 및 부링크 부재(8)로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부링크 부재(8)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5)의 한 쌍의 측면(5a)에 한 쌍의 부링크 상부 회전축(13)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링크 부재(8)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6)의 한 쌍의 측면(6a)에 한 쌍의 부링크 하부 회전축(14)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링크 부재(8)의 장착 위치는 주링크 부재(7)에 대해서, 레이들(25)이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는,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15)이 구동측 지지 프레임(19)의 상면에 재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 액츄에이터(16)는 구동측 지지 프레임(19)상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액츄에이터(16)는 한 쌍의 주링크 부재(7) 중 일방의 경동 회전축(10)에 연결하여 마련된다. 회전 액츄에이터(16)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을 경동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회전 액츄에이터(16)는 전동(電動), 유압(油壓), 공압(空壓)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6), 주링크 부재(7) 및 부링크 부재(8)로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고, 주링크 부재(7)의 경동 회전축(10)을 좌우 한 쌍의 평행 링크 기구의 외측에 경동 회전 베어링(9)으로 베이스 프레임(17)에 유지함과 아울러, 부링크 부재(8)의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15)을 베이스 프레임(17)상에 재치(載置)하고, 편방(片方)의 주링크 부재(7)의 경동 회전축(10)에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장착하고 있다.
레이들(25)은 하부 금형(2)의 측면이며, 급탕 장치(60)와 대향하는 측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레이들(25)은 용탕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주탕구(25a)(도 8 참조)가 하부 금형(2)의 수탕구(2a)(도 8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하부 금형(2)의 상면에 복수의 코어(34)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상부 금형(1)은 한 쌍의 압출핀(26)과 한 쌍의 리턴핀(27)이 연결된 압출판(28)을 내장하고 있다. 상부 프레임(5)의 하면에는, 복수의 누름봉(push rod, 29)이 상부 형다이베이스(3)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누름봉(29)의 길이는, 형폐쇄 실린더(22)가 단축되어 상부 금형(1)이 상승단이 되었을 때, 압출판(28)을 눌러 내리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승단이란, 형폐쇄 실린더(22)가 단축됨으로써, 상부 금형(1)을 취할 수 있는 가장 상방의 위치이다.
하부 프레임(6)에는 압출 실린더(30)가 내장되어 있다. 압출 실린더(30)는 상단부가 압출 부재(31)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드(32)는, 하부 프레임(6)에 장착된 안내통(33)을 관통하여, 압출 부재(31)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하부 금형(2)은 상부 금형(1)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압출핀(26)과 한 쌍의 리턴핀(27)이 연결된 압출판(28)을 내장하고 있다. 하부 금형(2)에서는, 압출 실린더(30)의 신장 동작에 의해, 압출 부재(31)가 상승하여, 압출판(28)을 밀어 올림으로써, 한 쌍의 압출핀(26)과 리턴핀(27)이 상승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의 리턴핀(27)은, 형폐쇄시에, 리턴핀(27)의 선단이 대향하는 금형의 맞댐면, 혹은 대향하는 리턴핀(27)의 선단에 의해 되밀어내진다. 이것에 따라서, 압출판(28)에 연결된 압출핀(26)도 되밀어내진다. 또, 형폐쇄시에는, 압출 실린더(30)의 단축 동작으로 압출 부재(31)는, 하강단(下降端)의 위치가 된다. 또한, 하강단이란, 압출 실린더(30)가 단축됨으로써, 하부 금형(2)을 취할 수 있는 가장 하방의 위치이다.
상부 금형(1)의 하부 주위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 키(35)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금형(2)의 상부 주위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 키(35)에 대응하여, 한 쌍의 위치 결정 키 홈(36)이 장착되어 있다.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의 형폐쇄시에, 위치 결정 키(35)가 위치 결정 키 홈(36)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게 되어 있다. 이들 위치 결정 키(35)와 위치 결정 키 홈(36)에 의하면,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수평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므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어긋나 형폐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주조 설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설비(100)는 중앙 컨트롤러(70), 조작 입력부(74), 출력부(75), 급탕 장치 컨트롤러(77), 주조 장치 컨트롤러(78) 및 센서(79)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컨트롤러(70), 급탕 장치 컨트롤러(77) 및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에 쌍방향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중앙 컨트롤러(70)는 주조 설비(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중앙 컨트롤러(70)는 예를 들면, 통신부(71), CPU(Central Processing Unit)(72) 및 기억 장치(73)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71)는 접속된 네트워크로의 통신을 실현한다. 통신부(71)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카드 등의 통신 디바이스이다. 통신부(71)는 조작 입력부(74) 및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로부터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출력부(75), 급탕 장치 컨트롤러(77), 및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로 정보를 송신한다. CPU(72)는 중앙 컨트롤러(70)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 장치(73)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이다.
조작 입력부(74)는, 예를 들면,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이다. 출력부(75)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디바이스이다.
급탕 장치 컨트롤러(77)는 급탕 장치(60)의 동작을 제어한다. 급탕 장치 컨트롤러(77)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 CPU 및 기억 장치를 가지고 있다. 급탕 장치 컨트롤러(77)에 구비되는 기억 장치에는, 예를 들면, 퍼 올림 동작, 반송 동작, 주탕 동작 등의 자세를 정의하는 작업(job)이 기억되어 있다. 급탕 장치 컨트롤러(77)의 CPU는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암(61)의 자세를 제어한다. 급탕 장치 컨트롤러(77)는 중앙 컨트롤러(7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주조 장치 컨트롤러(78)와 통신한다. 또한, 급탕 장치 컨트롤러(77)는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서, 암(61)의 자세를 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급탕 장치 컨트롤러(77)는, 암(61)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중앙 컨트롤러(70)로 송신해도 된다.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는 주조 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 CPU 및 기억 장치를 가지고 있다. 주조 장치 컨트롤러(78) 및 센서(79)는, 예를 들면, 주조 장치(50)마다 마련되어 있다. 주조 장치 컨트롤러(78)에 구비되는 기억 장치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형폐쇄 상태, 초기 상태, 제1 이격 상태 및 제2 이격 상태 등의 자세를 정의하는 작업이 기억되어 있다. 주조 장치 컨트롤러(78)의 CPU는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주조 장치(50)의 자세를 제어한다. 센서(79)는 주조 장치(50)에 있어서의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의 상태를 검지하여,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79)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후술하는 형폐쇄 상태, 초기 상태, 제1 이격 상태 및 제2 이격 상태 등인 것을 검지하여, 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로 송신한다.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는 중앙 컨트롤러(7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급탕 장치 컨트롤러(77)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는, 주조 장치(50)가 후술하는 형폐쇄 상태, 초기 상태, 제1 이격 상태 및 제2 이격 상태 등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급탕 장치 컨트롤러(77)로 송신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급탕 장치 컨트롤러(77) 및 주조 장치 컨트롤러(78)는, 중앙 컨트롤러(70)의 제어에 의해 (혹은 중앙 컨트롤러(70)가 개입하지 않고), 정보의 교환을 행하여, 협동하여 주물을 주조할 수 있다. 또, 중앙 컨트롤러(70)는 주조 설비(100)의 가동 정보 등을 기억 장치(73)에 기억할 수 있다. 중앙 컨트롤러(70)는 조작 입력부(74)에 입력된 관리자의 조작을 접수하고, 조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부(75)로 출력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구성요소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코어 조형 장치(54)의 컨트롤러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중앙 컨트롤러(70) 등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7~도 14를 참조하여, 주조 설비(100)에 의한 주조 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주조 설비에 의한 주조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3에 있어서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으로,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평행 링크 기구의 동작에 의해서 상하 금형이 슬라이드하여 제2 이격 상태로 된 도면이다. 도 10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폐쇄된 형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형폐쇄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90°회동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부 금형을 도중 위치까지 끌어 올린 도면이다. 도 13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슬라이드하여 제1 이격 상태로 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상부 금형을 상승단까지 끌어 올린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우선, 주조 장치(50)가 일련의 주조 공정의 초기 상태로 된다(S11). 초기 상태에서는, 상부 금형(1)은 상승단에 있고, 주링크 부재(7)와 부링크 부재(8)가, 주조 설비(100)의 설치면에 대해서 수직을 이루고 있다.
이어서, 도 7 및 도 9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을 우회전이라고 하고, 반대 회전을 좌회전이라고 한다. 이것에 따라서, 평행 링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호를 그리며 슬라이드한다(S12). 구체적으로는, 서로 대향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경동 회전축(10)을 중심축으로 하여 우회전의 원운동을 함으로써,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이동한다. 이때, 상부 금형(1)이 급탕 장치(60)(도 1 참조)측으로 이동한 상태(제2 이격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금형(2)이 급탕 장치(60)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제1 이격 상태라고 하고, 상부 금형(1)이 급탕 장치(60)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제2 이격 상태라고 한다. 즉, 제1 이격 상태(도 13 참조)는, 회전 액츄에이터(16)에 의해서 상부 금형(1)이 급탕 장치(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하부 금형(2)이 급탕 장치(6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한 상태이다. 제2 이격 상태(도 9 참조)는 회전 액츄에이터(16)에 의해서 상부 금형(1)이 급탕 장치(6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하부 금형(2)이 급탕 장치(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한 상태이다.
다음에, 코어 조형 장치(54)에 의해 조형된 코어(34)가 하부 금형(2)의 소정의 위치에 넣어진다(S13). 코어(34)를 넣는 코어 세트 작업은,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행해진다. 제2 이격 상태에서는, 하부 금형(2)은 상방이 개방된 상태이고, 또한 하부 금형(2)에 장착된 레이들(25)이 상부 금형(1)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금형(2)의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하부 금형(2)에 코어를 안전하게 넣을 수 있다.
이어서, 주조 장치(50)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좌회전하여, 일단 도 8의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S14). 이어서,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형폐쇄 실린더(22)를 신장하여,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을 형폐쇄한다(S15). 이때, 상부 금형(1)의 위치 결정 키(35)와, 하부 금형(2)의 위치 결정 키 홈(36)이 감합되어,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고정된다. 또, 형폐쇄에 의해, 주링크 부재(7) 및 부링크 부재(8)와, 주링크 상부 회전축(11), 주링크 하부 회전축(12), 부링크 상부 회전축(13), 및 부링크 하부 회전축(14)이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상부 금형(1), 하부 금형(2),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6), 주링크 부재(7) 및 부링크 부재(8)가 일체화된다.
다음에,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된 형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 급탕 장치(60)(도 1 참조)가 레이들(25)에 용탕을 공급한다(S16). 상세하게는, 상기 S14의 공정에 있어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도 8의 초기 상태로 돌아갔을 때, 급탕 장치(60)는 유지로(52)(도 2 참조)로부터 주조 장치(50)로 용탕을 반송한다. 즉, 급탕 장치(60)는 취과(62)(도 2 참조)에 의해 유지로(52)의 용탕을 퍼 올리고, 용탕을 레이들(25)에 주탕할 수 있는 위치까지 취과(62)를 이동시키고, 급탕의 준비를 행한다. 그 후, 상기 S16의 공정에 있어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 급탕 장치(60)는 취과(62)의 용탕을 레이들(25)에 주탕한다. 이와 같이, 급탕 장치(60)는 주조 장치(50)가 수탕 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용탕의 반송을 개시한다.
또, 주조 장치(50)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인 경우에, 형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급탕 장치(60)로 출력한다. 급탕 장치(60)는 주조 장치(50)로부터 정보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장치 오작동이나 장치 오조작이 있었을 경우더라도, 주조 장치(50)가 수탕 가능한 상태(자세)일 때 급탕 장치(60)가 급탕한다고 하는 절차가 준수된다. 이러한 이른바 인터락 기능은 센서(79), 주조 장치 컨트롤러(78), 중앙 컨트롤러(70), 및 급탕 장치 컨트롤러(77)의 협동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인터락 기능은 중앙 컨트롤러(70)가 개입하지 않고 실현해도 된다.
이어서,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대체로 90° 좌회전시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을 경동 상태로 한다(S17). 이것에 의해,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15)이 재치되어 있던 베이스 프레임(17)의 상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이것에 따라서, 형폐쇄되어 일체화된 상부 금형(1), 하부 금형(2),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6), 주링크 부재(7) 및 부링크 부재(8)가 회전하여, 레이들(25) 내의 용탕이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의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에 경동 주탕된다(S18).
상기 S18의 공정이 종료된 후, 도 11의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고, 주탕된 용탕의 응고를 기다린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여기에서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대체로 90° 좌회전시키고 있지만, 45~130°의 범위 내의 필요한 각도(바람직하게는 45°~90°)로 회전시켜도 된다.
이어서,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우회전시키고, 일단 도 11의 상태로 돌아간다(S19). 이어서, 하부 금형(2)으로부터의 형빼냄 및 형개방을 병행하여 행한다(S20). 도 7 및 도 12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형개방을 행하고, 동시에 하부 금형(2)으로부터의 형빼냄도 행해진다. 형개방은 주조 장치(50)가 형폐쇄 실린더(22)를 동작시킴으로써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조 장치(50)는 형폐쇄 실린더(22)를 단축시킴으로써, 상부 금형(1)을 상승시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의 형개방을 개시한다. 그리고 형폐쇄 실린더(22)의 단축 동작과 동시에, 압출 실린더(30)의 신장이 개시된다. 압출 실린더(30)를 신장시킴으로써, 하부 금형(2)에 내장된 압출핀(26)(도 5 참조)을 압출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 내에서 용탕이 응고되어 이루어지는 주물(도시하지 않음)이 하부 금형(2)으로부터 형빼냄되어, 상부 금형(1)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주조 장치(50)는 소정의 위치까지 상부 금형(1)을 상승시켜, 형개방을 완료한다. 소정의 위치는 누름봉(29)의 선단과 상부 금형(1)의 압출판(28)의 상면이 접촉하지 않는 위치이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위치는 누름봉(29)의 선단과 상부 금형(1)의 압출판(28)의 상면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위치이다.
다음에, 도 7 및 도 13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좌회전시킨다(S21). 이것에 따라서, 평행 링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주조 장치(50)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을 호를 그리며 슬라이드시켜,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킨다. 이때, 상부 금형(1)이 컨베이어(53)(도 2 참조)측으로 이동한 상태, 즉, 하부 금형(2)이 급탕 장치(60)(도 1 참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제1 이격 상태가 된다. 이때의 회전 액츄에이터(16)의 좌회전의 각도는, 상부 금형(1)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는 30°~45°정도로 한다.
다음에, 도 7 및 도 14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형폐쇄 실린더(22)를 단축시킴으로써, 상부 금형(1)을 상승단까지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누름봉(29)의 선단이 상부 금형(1)에 내장되어 있는 압출판(28)을 매개로 하여, 압출핀(26)(도 5 참조)을 상부 금형(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압출한다. 이 결과, 상부 금형(1)에 유지되어 있던 주물이 상부 금형(1)으로부터 형빼냄된다(S22). 상부 금형(1)으로부터 형빼냄된 주물은 낙하하여, 상부 금형(1)의 하방에 마련된 컨베이어(53)(도 2 참조)상에 수취된다. 그 후, 주물은 컨베이어(53)에 의해, 예를 들면, 제품 냉각 장치, 사락 장치, 및 디버링(deburring)을 행하는 제품 마무리 장치 등으로 반송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일련의 주조 공정이 완료되어, 주조 설비(100)에 의해 주물이 주조된다. 또, 이상의 주조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주물을 연속하여 주조할 수 있다.
또한, 금형 교환을 행하는 경우는, 우선, 도 8에 나타내지는 상태로부터 상부 금형(1)을 하강시켜, 도 10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된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부 프레임(5)에 의한 상부 금형(1)의 장착을 해제하고, 상부 형다이베이스(3)로부터 상부 금형(1)을 떼어낸다. 다음에, 형폐쇄 실린더(22)를 단축 동작하여 상부 형다이베이스(3)를 상승시키면 하부 금형(2)의 위에 상부 금형(1)이 적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회전 액츄에이터(16)를 45°정도 우회전시키면, 형맞춤된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의 상방이 개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 형다이베이스(4)로부터 하부 금형(2)을 떼어내면, 일체가 된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을 주조 장치(50)로부터 취출(取出)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을 취출한 상태로부터 따로따로 일체가 된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을 하부 형다이베이스(4)에 장착하고, 반대의 동작을 행하면,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금형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주조 설비(100)의 주조 장치(50)는 상부 금형(1)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5), 하부 금형(2)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6), 좌우 한 쌍의 주링크 부재(7) 및 부링크 부재(8)를 연결하여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 주링크 부재(7)의 중앙부에 경동 회전축(10)을 마련함과 아울러, 부링크 부재(8)의 중앙부에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15)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경동 회전축(10)을 좌우 한 쌍의 평행 링크 기구의 외측에 마련된 경동 회전 베어링(9)으로 베이스 프레임(17)에 유지함과 아울러, 부링크 중앙부 회전축(15)을 베이스 프레임(17)상에 재치하여, 구동측 지지 프레임(19)측의 경동 회전축(10)에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장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금형의 형폐쇄, 형빼냄, 혹은 제품 압출 등 주조의 공정은 모두 평행 링크 기구로 연결된 상부 프레임(5) 및 하부 프레임(6) 내에서 행해진다. 형폐쇄, 형빼냄, 혹은 제품 압출시의 힘은 평행 링크 기구만으로 받기 때문에,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 비해, 각 부재의 강도 확보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경량화 및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서는, 형개방 등의 때,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 큰 힘이 전달되는데 대하여, 이 주조 설비(100)의 주조 장치(50)에서는, 평행 링크 기구로 힘을 받기 때문에,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7)에 전달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7)도 경량화 및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평행 링크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 비해, 액츄에이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추가로, 상부 금형(1)의 상승 동작에 의해, 상부 금형(1)으로부터 주물의 형빼냄을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으로부터도, 액츄에이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주조 장치(50)가 소형화되는 결과, 주조 설비(100)가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것에 따라서, 주물의 생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또, 주조 설비(100)는 복수의 주조 장치(50)를 구비하고, 급탕 장치(60)는 유지로(52)로부터 복수의 주조 장치(50)의 각각으로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조 장치(50)가 소형화되므로, 각 주조 장치(50)를 서로의 거리를 좁혀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급탕 장치(60)의 부담을 경감시킴과 아울러, 각 주조 장치(50)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즉, 급탕 장치(60)의 경우는,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할 때, 복수의 주조 장치(50)가 늘어서는 세로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가 단축되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또, 작업원의 경우는, 각 주조 장치(50)에 코어 세트 작업시, 및 각 주조 장치(50)의 금형 교환을 행할 때 등에, 세로 방향으로 걷는 거리가 단축되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예를 들면, 2대의 주조 장치(50)가 배치되는 간격이 600mm 짧아졌을 경우, 작업원이 코어 세트 작업시에 걷는 거리는, 종래 보다도 600mm×2(1왕복)만큼 단축된다. 또, 3대의 주조 장치(50)의 경우, 작업원이 코어 세트 작업시에 걷는 거리는, 종래보다도 1200mm×2(1 왕복)만큼 단축된다.
또, 주조 장치(50)에서는, 상부 금형 올림 방식의 장치에 비해,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금형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평행 링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슬라이드되므로, 하부 금형(2)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코어 넣기를 행할 수 있다.
또, 급탕 장치(60)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한다. 이 때문에,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가 되기 전에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하는 경우에 비해,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하고 나서,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을 경동 상태로 하여,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 내에 용탕을 경동 주탕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주조 설비(100)는 센서(79), 주조 장치 컨트롤러(78), 중앙 컨트롤러(70), 및 급탕 장치 컨트롤러(77)에 의해 실현되는 인터락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가 아닐 때는, 급탕 장치(60)는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조 장치(50)가 수탕 가능한 상태(자세)일 때 급탕 장치(60)가 급탕한다고 하는 절차가 준수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급탕 장치(60)는 주조 장치(50)가 수탕 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용탕의 반송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가 되기 전에, 용탕이 레이들(25)에 급탕할 수 있는 위치에 반송되어,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 용탕이 레이들(25)에 급탕된다. 이 때문에,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폐쇄 상태가 되고 나서, 급탕 장치(60)가 주조 장치(50)로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하는 경우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100)와 기본 구성이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100)와 비교하여, 주조 장치(50) 및 급탕 장치(60)의 동작이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1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에 의한 주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우선, S31~S33의 공정이 행해진다. S31~S33의 공정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의 S11~S13의 공정과 동일하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좌회전시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을 좌방향으로 호를 그리며 슬라이드시킨다(S41). 이때,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은, 하부 금형(2)이 급탕 장치(60)(도 1 참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제1 이격 상태가 된다.
다음에, 급탕 장치(60)(도 1 참조)가 레이들(25)에 용탕을 공급한다(S42). 상세하게는, 상기 S41의 공정에 있어서, 급탕 장치(60)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제1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주조 장치(50)로 용탕을 공급한다. 또한, 급탕 장치(60)는 제1 이격 상태가 되기 전에, 취과(62)(도 2 참조)에 의해 유지로(52)의 용탕을 퍼 올려, 용탕을 레이들(25)에 주탕할 수 있는 위치까지 취과(62)를 이동시키고, 급탕의 준비를 행해도 된다.
또, 주조 장치(50)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제1 이격 상태인 경우에, 제1 이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급탕 장치(60)로 출력한다. 급탕 장치(60)는, 주조 장치(50)로부터 정보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장치 오작동이나 장치 오조작이 있었을 경우더라도, 주조 장치(50)가 수탕 가능한 상태(자세)일 때 급탕 장치(60)가 급탕한다고 하는 절차가 준수된다. 이러한 이른바 인터락 기능은, 센서(79), 주조 장치 컨트롤러(78), 중앙 컨트롤러(70) 및 급탕 장치 컨트롤러(77)의 협동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인터락 기능은, 중앙 컨트롤러(70)가 개입하지 않고 실현해도 된다.
이어서, 주조 장치(50)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우회전시켜, 도 8의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S43). 다음에, 도 10 및 도 15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주조 장치(50)는 형폐쇄 실린더(22)를 신장시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을 형폐쇄한다(S44).
이어서, 도 15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S47~S52의 공정이 행해진다. S47~S52의 공정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의 S17~S22의 공정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일련의 주조 공정이 완료되어, 주조 설비에 의해 주물이 주조된다. 또, 이상의 주조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주물을 연속하여 주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에서는, 급탕 장치(60)는 형폐쇄 기구(21)에 의해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개방된 후, 회전 액츄에이터(16)에 의해서 하부 금형(2)이 급탕 장치(6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제1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한다. 이 때문에, 하부 금형(2)이 급탕 장치(6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서 레이들(25)이 급탕 장치(60)에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급탕 장치(60)가 용탕을 반송하는 거리가 단축되므로, 급탕 장치(60)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 급탕 장치(60)는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형개방된 후, 제1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한다. 따라서 급탕 장치(60)가 용탕을 반송하는 거리가 단축되므로, 급탕 장치(60)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 주조 설비는 센서(79), 주조 장치 컨트롤러(78), 중앙 컨트롤러(70) 및 급탕 장치 컨트롤러(77)에 의해 실현되는 인터락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제1 이격 상태가 아닐 때는, 급탕 장치(60)는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조 장치(50)가 수탕 가능한 상태(자세)일 때 급탕 장치(60)가 급탕한다고 하는 절차가 준수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포크(fork)의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100A)는 급탕 장치(60A)가 상부 금형(1)으로부터 주물을 수취하는 포크(수취부)(65)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100)와 상위(相違)하고, 그 외는 동일하다. 포크(65)는 취과(62)의 상방에 있어서, 장착부(66)에 의해 암(61)에 장착되어 있다. 포크(65)는 장착부(66)로부터 2개의 다리로 나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암(67)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크(65)의 형상은 주물의 형상에 맞추고, 예를 들면, 평판 부재, 상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부재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주조 설비(100A)에 의한 주조 방법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S20의 공정까지는, 주조 설비(100)에 의한 주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도 7에 나타내는 S21의 공정에 있어서, 주조 장치(50)는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좌회전시키는 대신에, 우회전시킨다. 이것에 따라서, 상부 금형(1)이 급탕 장치(60)측으로 이동한 제2 이격 상태가 된다. 이때, 급탕 장치(60A)는 각 암(67)이 상부 금형(1)의 하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포크(65)를 상부 금형(1)의 하방에 배치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S22의 공정과 마찬가지로, 주물이 상부 금형(1)으로부터 형빼냄된다. 상부 금형(1)으로부터 형빼냄된 주물은 낙하하고, 컨베이어(53)에 수취되는 대신에, 포크(65)에 수취된다. 이와 같이, 포크(65)는 제2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상부 금형(1)으로부터 주물을 수취한다. 급탕 장치(60A)는, 예를 들면, 주조 설비(100A)의 설치 스페이스에 마련된 소정의 놓을 장소에, 수취한 주물을 반송한다. 주물은 소정의 놓을 장소로부터 컨베이어 등의 반송 수단에 의해 제품 마무리 장치 등으로 반송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100A)에서는, 급탕 장치(60)가 포크(65)를 구비하고, 주물을 수취한다. 이 때문에, 수취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주조 설비(100A)가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한층 더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장치의 개요 구성 정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장치(50A)는, 주로, 하부 금형(2)을 승강하는 형폐쇄 기구(21)가 하부 프레임(6)에 마련됨과 아울러, 압출 실린더(30)가 상부 프레임(5)에 마련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장치(50)와 상위하다. 이것에 의해, 주조 장치(50A)에서는, 하부 금형(2)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금형 교환을 행하는 경우는, 우선, 도 18에 나타내지는 상태로부터 하부 금형(2)을 상승시켜 하부 금형(2)과 상부 금형(1)이 형폐쇄된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부 프레임(5)에 의한 상부 금형(1)의 장착을 해제하여, 상부 형다이베이스(3)로부터 상부 금형(1)을 떼어낸다. 다음에, 하부 금형(2)상에 재치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6)을 하강한 뒤, 평행 링크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상부 프레임(5)과 하부 프레임(6)을 상대적으로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프레임(6)으로부터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을 떼어내고, 다른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을 하부 프레임(6)상에 장착한다고 하는 절차에 의해, 금형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장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설명 이해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부 금형(1)의 내면(1s) 및 하부 금형(2)의 내면(2s)은, 가상적인 형상으로 나타내지고 있다. 도 19의 (a)에 나타내지는 레이들(25)은, 하부 금형(2)에 대해서 수평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19의 (b)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장치와 관련되는 레이들(25)은,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이 경동하는 경동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부 금형(2)에 장착되어 있다. 경동 방향이란, 레이들(25) 내의 용탕이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 내에 경동 주탕될 때,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이 경동하는 방향이다. 여기에서는, 좌회전하는 방향이다. 즉, 레이들(25)의 주탕구(25a)와 하부 금형(2)의 수탕구(2a)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레이들(25)을 좌회전하는 방향이다. 레이들(25)을 도 19의 (a)의 상태로부터 도 19의 (b)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좌회전시켰을 때의 회전 각도가, 레이들(25)의 하부 금형(2)에 대한 장착 각도에 대응한다. 레이들(25)의 장착 각도는, 예를 들면 5°~30°의 범위에서 방안에 따른 적절한 각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된 레이들(25)에 용탕을 급탕할 때는, 도 19의 (c)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레이들(25)이 수평하게 된다. 즉,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의 상기 S15의 공정에 대응하는 공정과, 상기 S16의 공정에 대응하는 공정과의 사이에, 회전 액츄에이터(16)를 우회전시켜, 상부 금형(1)과 하부 금형(2)을 경동 상태로 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의 회전 액츄에이터(16)의 우회전의 각도는, 예를 들면, 상기 장착 각도로 된다.
레이들(25)을 이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레이들(25)로부터 용탕이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 내에 경동 주탕될 때, 용탕은 레이들(25)로부터, 주탕구(25a) 및 수탕구(2a)를 통해서, 하부 금형(2)의 내면(2s)을 따르도록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 내에 주탕된다. 이 때문에, 공기 및 산화막의 유입이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압출 실린더(30)에 의해, 상부 금형(1) 또는 하부 금형(2)으로부터의 주물의 형빼냄을 행하는 대신에, 스프링으로 압출판(28)을 압축해도 된다. 그 경우, 상부 금형(1) 및 하부 금형(2)의 형폐쇄시에 상부 금형(1)에 의해 하부 금형(2)의 리턴핀(27)을 눌러 내려 압출핀(26)을 내리게 되어, 형폐쇄 힘이 리턴핀(27)을 눌러 내리는 힘만큼 상쇄되게 되지만, 액츄에이터수를 줄일 수 있다.
또, 형폐쇄 실린더(22) 및 압출 실린더(30)는, 전동, 유압, 공압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용융 금속을 취급하는 관점으로부터, 전동, 공압, 또는 가연성의 작동유를 이용하지 않는 유압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급탕 장치(60, 60A)에 의해 급탕 가능하면, 각 주조 장치(50, 50A)의 배치에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급탕 장치(60, 60A)를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주조 장치(50, 50A), 유지로(52), 코어 조형 장치(54) 및 급탕 장치(60, 60A)의 수는 각각 1개 이상이면 된다. 또, 코어 세트 작업은 작업원에 의존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관절 구조의 암을 구비한 코어 세트용 로봇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1 … 상부 금형, 1s … 내면,
2 … 하부 금형, 2a … 수탕구,
2s … 내면, 5 … 상부 프레임,
6 … 하부 프레임, 7 … 주링크 부재,
8 … 부링크 부재, 10 … 경동 회전축,
16 … 회전 액츄에이터(구동 수단), 17 … 베이스 프레임,
21 … 형폐쇄 기구, 25 … 레이들,
25a … 주탕구, 26 … 압출핀,
27 … 리턴 핀, 28 … 압출판,
29 … 누름봉, 50, 50A … 주조 장치,
52 … 유지로, 53 … 컨베이어,
54 … 코어 조형 장치, 60, 60A … 급탕 장치,
65 … 포크(수취부), 70 … 중앙 컨트롤러,
77 … 급탕 장치 컨트롤러, 78 … 주조 장치 컨트롤러,
79 … 센서, 100, 100A … 주조 설비.

Claims (9)

  1. 중력을 이용하여 주탕(注湯)되고, 개폐 가능하고 또한 경동(傾動) 가능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이용하여 주물을 주조하는 주조 장치와,
    상기 주조 장치에서 이용되는 용탕(溶湯)을 저장하는 유지로(爐)와,
    상기 유지로로부터 상기 주조 장치로 용탕을 반송(搬送) 및 급탕(給湯)하는 급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조 장치는
    상기 상부 금형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금형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금형을 승강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금형을 승강하는 형폐쇄 기구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향 배치되고,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주링크 부재와,
    상기 주링크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향 배치되고,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보조 링크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주링크 부재 중 일방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을 경동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주링크 부재 및 상기 보조 링크 부재가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주조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조 장치는 용탕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주탕구(注湯口)가 상기 하부 금형의 수탕구(受湯口)에 접속되고, 상기 하부 금형에 장착된 레이들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 장치는 상기 형폐쇄 기구에 의해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이 형폐쇄된 형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는 주조 설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탕 장치 및 상기 주조 장치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주조 장치는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이 상기 형폐쇄 상태인 경우에, 상기 형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급탕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급탕 장치는 상기 주조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상기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지 않는 주조 설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조 장치는 용탕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주탕구가 상기 하부 금형의 수탕구에 접속되고, 상기 하부 금형에 장착된 레이들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 장치는 상기 형폐쇄 기구에 의해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이 형개방된 후,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급탕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 금형이 상기 급탕 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한 제1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는 주조 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급탕 장치 및 상기 주조 장치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주조 장치는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이 상기 제1 이격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 이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급탕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급탕 장치는 상기 주조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상기 레이들에 용탕을 급탕하지 않는 주조 설비.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은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이 경동하는 경동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하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는 주조 설비.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 장치는 상기 주조 장치가 수탕 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용탕의 반송을 개시하는 주조 설비.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탕 장치는 상기 유지로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조 장치의 각각으로 용탕을 반송 및 급탕하는 주조 설비.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 장치는 상기 상부 금형으로부터 주물을 수취하는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취부는 상기 형폐쇄 기구에 의해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이 형개방된 후,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급탕 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 금형이 상기 급탕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한 제2 이격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상부 금형으로부터 주물을 수취하는 주조 설비.
KR1020177012660A 2015-04-14 2015-08-10 주조 설비 KR101836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2564 2015-04-14
JP2015082564A JP5880759B1 (ja) 2015-04-14 2015-04-14 鋳造設備
PCT/JP2015/072698 WO2016166903A1 (ja) 2015-04-14 2015-08-10 鋳造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155A true KR20170077155A (ko) 2017-07-05
KR101836785B1 KR101836785B1 (ko) 2018-03-08

Family

ID=5545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660A KR101836785B1 (ko) 2015-04-14 2015-08-10 주조 설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868152B2 (ko)
EP (1) EP3162465B1 (ko)
JP (1) JP5880759B1 (ko)
KR (1) KR101836785B1 (ko)
CN (1) CN106660114B (ko)
BR (1) BR112017003749A2 (ko)
DE (1) DE112015006447T5 (ko)
MX (1) MX2017003120A (ko)
PL (1) PL3162465T3 (ko)
RU (1) RU2686132C1 (ko)
TW (1) TWI574760B (ko)
WO (1) WO2016166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7002450A2 (pt) * 2014-12-24 2017-12-05 Sintokogio Ltd dispositivo de fundição e método de substituição de molde para dispositivo de fundição
TWI633953B (zh) * 2017-02-15 2018-09-01 國立高雄科技大學 射蠟機之成品產出量的計算方法
AT519681B1 (de) * 2017-03-02 2021-02-15 Fill Gmbh Gießvorrichtung zum Gießen von Formteilen
CN107538662B (zh) * 2017-09-05 2019-06-14 青岛海思威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树脂基蜡模快速成型模具
JP6720947B2 (ja) 2017-09-26 2020-07-08 新東工業株式会社 鋳造装置及び非常停止方法
JP6863306B2 (ja) * 2018-01-31 2021-04-21 新東工業株式会社 鋳型ばらし方法及び鋳型ばらし装置
CN108480603A (zh) * 2018-04-25 2018-09-04 河南摩西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浇筑用机械手
CN112276049B (zh) * 2020-11-09 2021-11-09 山西建邦集团铸造有限公司 一种防止高合金铸钢件内浇口根部产生裂纹的铸造装置
CN112846145B (zh) * 2021-02-06 2022-09-02 常州市宏汇合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精度轴承铸件加工方法
WO2022168311A1 (ja) * 2021-02-08 2022-08-11 Tpr株式会社 鋳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29659C1 (ru) * 1991-10-22 1995-02-27 Натфуллин Зифер Литейная линия
JPH09225622A (ja) * 1996-02-23 1997-09-02 Aisin Takaoka Ltd 鋳造方法及び装置
CN1246111C (zh) * 2001-01-16 2006-03-22 新东工业株式会社 重力型可倾斜的金属模铸造机械
ES2250264T3 (es) 2001-06-18 2006-04-16 Kwc Ag Instalacion de colada en coquilla a baja presion y coquilla para la misma.
JP3716922B2 (ja) * 2002-01-10 2005-11-16 新東工業株式会社 重力式傾動金型鋳造装置
JP4277265B2 (ja) * 2003-10-14 2009-06-10 新東工業株式会社 鋳造設備における金型鋳造装置
JP2007054850A (ja) * 2005-08-23 2007-03-08 Metal Eng Kk 重力式傾動金型鋳造装置
JP4674141B2 (ja) * 2005-09-26 2011-04-20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可傾鋳造装置
JP5158501B2 (ja) * 2008-06-26 2013-03-06 新東工業株式会社 鋳造装置
CN202655610U (zh) * 2012-06-20 2013-01-09 南京法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在铸造机上使用的可平移和翻转的开合模具机构
CN203526546U (zh) * 2013-11-04 2014-04-09 安徽省新方尊铸造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金属型重力铸造机的检测反馈系统
BR112017002450A2 (pt) * 2014-12-24 2017-12-05 Sintokogio Ltd dispositivo de fundição e método de substituição de molde para dispositivo de fundiçã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5226A1 (en) 2017-08-10
US9868152B2 (en) 2018-01-16
EP3162465A4 (en) 2018-05-02
EP3162465A1 (en) 2017-05-03
CN106660114B (zh) 2019-07-30
EP3162465B1 (en) 2019-05-01
JP2016198813A (ja) 2016-12-01
TW201636130A (zh) 2016-10-16
DE112015006447T5 (de) 2017-12-28
WO2016166903A1 (ja) 2016-10-20
JP5880759B1 (ja) 2016-03-09
RU2686132C1 (ru) 2019-04-24
MX2017003120A (es) 2017-05-12
CN106660114A (zh) 2017-05-10
KR101836785B1 (ko) 2018-03-08
TWI574760B (zh) 2017-03-21
PL3162465T3 (pl) 2019-10-31
BR112017003749A2 (pt)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785B1 (ko) 주조 설비
EP3153252B1 (en) Casting device and mold replacement method for casting device
TWI656925B (zh) 資料管理系統
EP1905523B1 (en) Flask unit, cope and drag molding device, and molding line
CN107116828B (zh) 一种可快速切换的模具
US11014154B2 (en) Casting device
CN108463298B (zh) 用于铸造的装置
JP5880792B1 (ja) 鋳造装置及び鋳造装置の金型交換方法
CN111050949A (zh) 铸造装置以及铸造方法
JP6844578B2 (ja) 鋳造装置
JPH03281055A (ja) 竪型ダイカストマシンとそのドッキング方法
JP2002011568A (ja) 2つの半型で構成した鋳型による鋳造方法及びその鋳型・ヒ−トシンク並びに鋳造ステ−ション設備
JP2019058927A (ja) 遮熱カバー及び鋳造装置
KR19990054882A (ko) 알루미늄 주물 중력주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