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028A -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028A
KR20170077028A KR1020160164523A KR20160164523A KR20170077028A KR 20170077028 A KR20170077028 A KR 20170077028A KR 1020160164523 A KR1020160164523 A KR 1020160164523A KR 20160164523 A KR20160164523 A KR 20160164523A KR 20170077028 A KR20170077028 A KR 2017007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lexible substrate
flexible
film
dimensional cross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008B1 (ko
Inventor
가쓰히로 이노마타
오사무 사토
카즈히코 타마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국립대학법인 나고야공업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국립대학법인 나고야공업대학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05B33/28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of translucent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켜도, 본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은, Tg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이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에 사용되는 삼차원 가교체는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및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Substrates for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EL 디스플레이 등 각종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얇고 가벼우며, 유연해서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는 종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73636 호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기판을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리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키면 본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리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켜도 본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Tg(유리전이온도)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가,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특성을 갖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Tg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켜도 본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이하, '플렉서블 기판'으로 생략한다)은, Tg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삼차원 가교체'란, 삼차원 그물눈 구조를 갖는 가교체를 의미한다. Tg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는 Tg보다 저온측에서는 유리 상태가 되고, Tg보다 고온측에서는 고무 상태가 된다. 삼차원 가교체는 고무 상태에서 고무 탄성(엔트로피 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고무 상태의 삼차원 가교체에 부하를 부여해도 부하를 제거하면 본래 형상으로 돌아가기 쉽다. 한편 삼차원 가교체 이외의 재료에 부하를 부여하면 소성 변형이 생겨서 본래 형상으로 돌아가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기판에 사용하는 삼차원 가교체의 Tg를 실온 이하로 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사용 시에는 삼차원 가교체가 고무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켜도 본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실온'이란 일반적으로 25 ℃를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24 ℃,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이다. 즉, 본 발명에서 "실온"은 22℃~25℃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Tg’란, JIS K7121의 ‘플라스틱의 전이온도 측정 방법’을 바탕으로 한 시차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Tg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는, 플렉서블 기판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형상(예를 들면 필름상)을 갖는다.
삼차원 가교체의 두께는, 유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20 ㎛ ~ 2000 ㎛, 바람직하게는 30 ㎛ ~ 1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 1000 ㎛이다.
삼차원 가교체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삼차원 가교체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디스플레이 양면에 사용할지 또는 일면에만 사용할지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삼차원 가교체를 다른 기판과 적층한 것을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기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플렉서블 기판에 사용되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기판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고분자 필름, 유리 시트, 알루미늄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은 Tg가 실온보다 높고 또한 삼차원 가교체가 아니기 때문에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키면, 고분자 필름이 소성 변형되어 원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기 어렵다. 또한 유리 시트와 알루미늄 시트는 일반적으로 고분자 필름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 충분한 유연성을 발휘하는 두께까지 얇게 한 경우, 디스플레이를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키면, 디스플레이의 다른 구성 요소의 변형에 맞서 디스플레이를 원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되돌리는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알루미늄 시트와 같은 금속 박막 시트의 경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키면, 금속 박막 자체가 소성(연성) 변형 되는 일이 있다. 한편 상기 필름과 시트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키면 원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기 어렵지만, Tg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삼차원 가교체의 고무 탄성에 의해 원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삼차원 가교체를 다른 기판과 적층하는 경우, 그 사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면 된다.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감압 접착제(PSA)가 사용된다.
삼차원 가교체의 종류는 Tg가 실온 이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및 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고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각종 고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각종 고무 중에서도 투명성의 관점에서, 아크릴 고무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고무는 일반적으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둘 다 의미한다.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데실아크릴레이트, n-도데실아크릴레이트, n-라우릴아크릴레이트, n-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펜틸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n-데실메타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n-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n-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중에서도 실온 이하의 Tg를 안정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경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랜덤 공중합체, 교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삼차원 가교체는, 삼차원 가교체를 디스플레이의 표시면 측에 사용하는 경우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이란,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인 것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함께 가교제 및 중합 개시제를 원료로서 사용하고,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괴상중합(또는 벌크중합)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가교제 및 중합 개시제를 혼합한 후 혼합물을 소정의 틀에 부어 넣거나 지지체 상에 도포해서 필름상으로 형성하고 중합 및 가교시키면 된다.
중합 조건은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 온도는 일반적으로 50 ℃ ~ 200 ℃, 바람직하게는 60 ℃ ~ 150 ℃, 중합 시간은 일반적으로 0.5 시간 ~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 24 시간이다.
또한 중합체 가교는 중합 후 또는 중합과 동시에 수행된다. 중합 후에 가교를 수행할 경우,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면 된다. 가교 시간 및 가교 온도는 사용하는 가교제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교 온도는 일반적으로 100 ℃ ~ 250 ℃, 가교 시간은 일반적으로 0.5 시간 ~ 5 시간이다.
가교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배합 비율은, 사용하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1 mol% ~ 20 mol%, 바람직하게는 0.3 mol% ~ 15 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ol% ~ 10 mol%이다.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100 mol에 대하여 가교제는 0.1 mol ~ 20 mol, 바람직하게는 0.3 mol ~ 15 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ol ~ 10 mol일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는 과산화벤조일, 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의 아조 화합물 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배합 비율은 사용하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합계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01 mol% ~ 10 mol%, 바람직하게는 0.03 mol% ~ 5 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mol% ~ 3 mol%이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제조할 경우, 각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배합 비율은, 공중합체의 Tg가 실온 이하가 되는 비율로 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의 삼차원 가교체를 갖는 플렉서블 기판은,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켜도 원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에 최적이다.
<실시예>
이하의 실험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필름 제작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를 플라스크에 넣고,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를 첨가했다. 여기서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배합 비율은, 몰비로 91:9 및 67:33의 2조건으로 공중합체를 합성했다. 또한 가교제의 배합 비율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의 합계에 대하여, 1.0 mol%로 했다. 다음으로 중합 개시제로서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했다. 여기서 중합 개시제의 배합 비율은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EGDMA의 합계에 대하여 0.1 mol%로 했다. 다음으로 10 분간 플라스크 내를 질소 버블링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틀에 부어 넣고, 85 ℃의 항온조에 넣어서 24 시간 중합시켰다. 그 후 온도를 120 ℃로 올려서 1 시간 가교시킴으로써 두께가 1 ㎜인 공중합체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Tg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배합 비율이 몰비로 91:9인 것(이하, '공중합체 필름(1)이라고 한다)은 24 ℃, 67:33인 것(이하, '공중합체 필름(2)'라고 한다)은 19 ℃였다.
(2) 플렉서블 기판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필름 및 시판 필름, 시트 및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여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필름 또는 시트는 폭 100 mm, 길이 200 mm로 절단했다.
시판 필름, 시트 및 감압 접착제로서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 쿠레하엘라스토머주식회사의 CB260NE, 두께 1mm, Tg 약 -40 ℃ 이하
실리콘 고무 시트 (1): 신에츠폴리머주식회사의 BA30, 두께 1 mm, Tg -40 ℃ ~ -50 ℃
실리콘 고무 시트 (2): 신에츠폴리머주식회사의 BA70, 두께 1 mm, Tg -40 ℃ ~ -5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토요보주식회사의 코스모샤인(등록상표) A4300, 두께 50 ㎛, 100 ㎛ 및 125 ㎛, Tg 약 80 ℃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후타무라화학주식회사의 FHK2, 두께 50 ㎛, Tg 약 0 ℃
알루미늄 시트: 두께 50 ㎛
유리 시트: 일본전기초자주식회사의 G-Leaf(등록상표), 두께 50 ㎛
감압 접착제(PSA): DIC주식회사의 ZB7011W
<샘플 A (본 발명예)>
공중합체 필름 (1)을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사용했다.
<샘플 B (본 발명예)>
공중합체 필름 (2)를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사용했다.
<샘플 C (본 발명예)>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에 PSA를 도포한 후 PET 필름(두께 50 ㎛)을 겹치고, 실온에서 라미네이트 처리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이 플렉서블 기판에서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와 PET 필름 사이의 PSA층의 두께는 25 ㎛로 하였다.
<샘플 D (본 발명예)>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에 PSA를 도포한 후 알루미늄 시트를 겹치고, 실온에서 라미네이트 처리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이 플렉서블 기판에서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와 알루미늄 시트 사이의 PSA층의 두께는 25 ㎛로 하였다.
<샘플 E (본 발명예)>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를 대신하여 실리콘 고무 시트 (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샘플 C와 동일하게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샘플 F (본 발명예)>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를 대신하여 실리콘 고무 시트 (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샘플 D와 동일하게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샘플 G (본 발명예)>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를 대신하여 실리콘 고무 시트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샘플 C와 동일하게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샘플 H (본 발명예)>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를 대신하여 실리콘 고무 시트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샘플 D와 동일하게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샘플 I (비교예)>
PET 필름(두께 50 ㎛)을 플렉서블 기판으로써 사용했다.
<샘플 J (비교예)>
PET 필름(두께 100 ㎛)을 플렉서블 기판으로써 사용했다.
<샘플 K (비교예)>
PET 필름(두께 125 ㎛)을 플렉서블 기판으로써 사용했다.
<샘플 L (비교예)>
알루미늄 시트를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사용했다.
<샘플 M (비교예)>
PET 필름(두께 50 ㎛)에 PSA를 도포한 후 PET 필름(두께 50 ㎛)을 겹치고, 실온에서 라미네이트 처리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이 플렉서블 기판에서 2개의 PET 필름 사이의 PSA층의 두께는 25 ㎛로 하였다.
<샘플 N (비교예)>
PSA층의 두께를 5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M과 동일하게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샘플 O (비교예)>
알루미늄 시트에 PSA를 도포한 후 PET 필름(두께 50 ㎛)을 겹치고, 실온에서 라미네이트 처리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이 플렉서블 기판에서 알루미늄 시트와 PET 필름 사이의 PSA층의 두께는 25 ㎛로 하였다.
<샘플 P (비교예)>
유리 시트에 PSA를 도포한 후 PET 필름(두께 50 ㎛)을 겹치고, 실온에서 라미네이트 처리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이 플렉서블 기판에서 유리 시트와 PET 필름 사이의 PSA층의 두께는 25 ㎛로 하였다.
<샘플 Q (비교예)>
PSA층의 두께를 5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P와 동일하게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샘플 R (비교예)>
CPP 필름을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사용했다.
<샘플 S (비교예)>
유리 시트에 PSA를 도포한 후 CPP 필름을 겹치고, 실온에서 라미네이트 처리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제작했다. 이 플렉서블 기판에서 유리 시트와 CPP 필름 사이의 PSA층의 두께는 25 ㎛로 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플렉서블 기판을 반경 30 mm의 원통형 파이프에 권취했다. 또한 샘플 C, E, G 및 O~Q에서는 PET 필름측, 샘플 D, F 및 H에서는 알루미늄 시트측, 샘플 S에서는 CPP 필름측이 각각 내측이 되도록 권취했다. 다음으로 플렉서블 기판을 권취한 파이프를 60 ℃의 오븐에 넣고 24 시간 유지한 후 오븐에서 꺼냈다. 이어서 플렉서블 기판을 수평대 위에서 펼쳐 플렉서블 기판의 말린(curl)량을 측정했다.
플렉서블 기판의 말린(curl)량은, 플렉서블 기판의 일방 단변을 수평대에 고정하고, 플렉서블 기판의 타방 단변과 수평대의 거리(말린 높이) 및 수평대로부터 떨어진 플렉서블 기판의 장변 부분의 길이(말린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샘플 A ~ H의 플렉서블 기판은, 샘플 I ~ S의 플렉서블 기판과 비교하여 말린 높이, 말린 길이가 모두 작아서 본래 형상으로 돌아가기 쉽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샘플 C, D, F, G 및 H의 플렉서블 기판에 대해서는, 24 시간 경과 후에 말린 높이 및 말린 길이를 재측정했다. 그 결과, PSA를 통하여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와 알루미늄 시트를 부착한 샘플 D, F 및 H의 플렉서블 기판에 대해서는 말린 높이 및 말린 길이에 그다지 변화는 보이지 않았지만, PSA를 통하여 클로로프렌 고무 시트와 PET 필름을 부착한 샘플 C 및 G의 플렉서블 기판에 대해서는 말린 높이 및 말린 길이가 0 mm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말거나 변형을 반복하거나 변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켜도 본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Tg가 실온 이하인 삼차원 가교체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가교체의 Tg가 25 ℃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가교체가 투명인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가교체가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및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가교체가 아크릴 고무인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고무가,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고무가,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가교체가 필름상인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가교체에 감압 접착제를 통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폴리아릴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유리 시트 및 알루미늄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필름 또는 시트가 적층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0160164523A 2015-12-25 2016-12-05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035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3390 2015-12-25
JP2015253390A JP6915961B2 (ja) 2015-12-25 2015-12-25 ディスプレイ用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028A true KR20170077028A (ko) 2017-07-05
KR102035008B1 KR102035008B1 (ko) 2019-10-22

Family

ID=5923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523A KR102035008B1 (ko) 2015-12-25 2016-12-05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15961B2 (ko)
KR (1) KR1020350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636A (ja) 2004-08-31 2006-03-16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フレキシブル透明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KR20070029714A (ko) * 2004-05-28 2007-03-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유연한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JP2010153364A (ja) * 2008-11-18 2010-07-08 Tokai Rubber Ind Ltd 導電膜、およびそれを備えたトランスデューサ、フレキシブル配線板
KR20110022533A (ko) * 2009-08-27 2011-03-0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수지 적층판
JP2014031444A (ja) * 2012-08-03 2014-02-20 Hitachi Chemical Co Ltd 回路接続用接着剤組成物、接着シート、接着剤リール及び回路部材の接続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645A (ja) * 2001-07-19 2003-01-3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用積層板及び画像表示装置のパネルに用いる透明粘着シート
JP2004079432A (ja) * 2002-08-21 2004-03-11 Nitto Denko Corp 透明ガスバリア性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050259189A1 (en) * 2002-10-16 2005-11-24 Koninkljke Philips Electronics N.V. Low modulus substrate for flexible flat panel display
JP4202828B2 (ja) * 2003-06-04 2008-12-24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ゲル粘着剤、透明ゲル粘着シート及び衝撃吸収積層体
KR100563971B1 (ko) * 2004-06-14 2006-03-29 이엘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무기 el 소자
DE112006000871T5 (de) * 2005-04-13 2008-06-12 Mitsubishi Plastics, Inc. Doppelseitige Klebefolie und Laminatplatte
JP2006327098A (ja) * 2005-05-27 2006-12-07 Nitto Denko Corp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14418A (ja) * 2007-03-01 2008-09-18 Nippon Zeon Co Ltd アクリルゴム、アクリルゴム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ゴム架橋物
US8383220B2 (en) * 2008-02-05 2013-02-26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Acrylic rubber
TWI464066B (zh) * 2011-02-02 2014-12-11 Toyo Boseki 積層體
JP6078051B2 (ja) * 2012-03-30 2017-02-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電子デバイス用部材、及び電子デバイス
KR101957978B1 (ko) * 2012-12-26 2019-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기판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714A (ko) * 2004-05-28 2007-03-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유연한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JP2006073636A (ja) 2004-08-31 2006-03-16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フレキシブル透明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2010153364A (ja) * 2008-11-18 2010-07-08 Tokai Rubber Ind Ltd 導電膜、およびそれを備えたトランスデューサ、フレキシブル配線板
KR20110022533A (ko) * 2009-08-27 2011-03-0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수지 적층판
JP2014031444A (ja) * 2012-08-03 2014-02-20 Hitachi Chemical Co Ltd 回路接続用接着剤組成物、接着シート、接着剤リール及び回路部材の接続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008B1 (ko) 2019-10-22
JP6915961B2 (ja) 2021-08-11
JP2017116784A (ja)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169B1 (ko)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192123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 사용 방법
TW202325815A (zh) 可撓性圖像顯示裝置用黏著劑組合物、可撓性圖像顯示裝置用黏著劑層、可撓性圖像顯示裝置用積層體及可撓性圖像顯示裝置
KR2018003074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점착 시트, 플렉서블 적층 부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JP6688054B2 (ja) 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および粘着シート
CN111484809B (zh) 触摸面板
JP2013082880A5 (ko)
JP2012246477A5 (ko)
JP2014129538A5 (ko)
WO2021066191A1 (ja) 表示装置及び基材積層体
JP6970849B2 (ja) 表示装置及び基材積層体
KR20160138154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JP7009665B2 (ja)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78444B2 (ja) タッチパネル用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KR20170077028A (ko)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기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WO2021070755A1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WO2012117898A1 (ja) 粘着性高分子ゲル用組成物及び粘着性高分子ゲル
JP2021061140A (ja) 表示装置及び基材積層体
WO2022219957A1 (ja) 保護部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WO2021261120A1 (ja) 光学積層体、粘着剤層付き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833702B (zh) 撓性影像顯示裝置用積層體及撓性影像顯示裝置
KR20160018238A (ko) 감온성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온성 점착 테이프
KR20230038802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