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023A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023A
KR20170077023A KR1020160135260A KR20160135260A KR20170077023A KR 20170077023 A KR20170077023 A KR 20170077023A KR 1020160135260 A KR1020160135260 A KR 1020160135260A KR 20160135260 A KR20160135260 A KR 20160135260A KR 20170077023 A KR20170077023 A KR 2017007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prism
incident
photograph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851B1 (ko
Inventor
시로노 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144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11363A1/ko
Priority to CN201680076149.5A priority patent/CN108432226B/zh
Priority to US16/061,098 priority patent/US10845612B2/en
Publication of KR2017007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2Optical derotators, i.e. systems for compensating for image rotation, e.g. using rotating prisms,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7
    • H04N5/22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촬상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반사부의 제1 촬영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형(薄型)의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휴대 통신 단말기에는, 풍경이나 인물을 촬영하는 기능과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셀프 카메라(이하, "셀카"라 함) 기능을 갖는 것이 보급되고 있다. 풍경 등을 촬영하는 통상의 촬영과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셀카는 촬영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구성으로 양 방향 촬영의 실현화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 폰이 보급되기 이전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시대부터, 주촬영과 동등한 화질 성능으로, 배면에 배치된 액정 모니터 화면을 관찰하면서 셀카를 찍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이 요구에 따른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3에 나타내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주촬영시와 셀카 촬영시에 촬상 수단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 입사광 반사 수단에 의해 반사된 입사광축, 다시 말해서 반사광축을 중심으로 입사광 반사 수단을 회전시킴으로써, 촬상 수단을 공용한 채로 주촬영과 셀카 촬영을 가능하게 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주촬영시와 셀카 촬영시에 촬상 수단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 입사광 반사 수단이 구비하는 반사면이 촬영 화면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입사광 반사 수단을 회전시킴으로써, 촬상 수단을 공용한 채로 주촬영과 셀카 촬영을 가능하게 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주촬영시와 셀카 촬영시에 촬상 수단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품 본체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한 카메라 모듈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촬상 수단을 공용한 채로 주촬영과 셀카 촬영을 가능하게 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통상 촬영과 셀카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1999-4370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2005-221822호 공보
[특허 문헌 3]미국 특허 명세서 제7345833호
그러나, 만일 특허 문헌 1의 구성을,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스마트 폰의 케이스에 적용하였을 경우, 두께가 얇은 케이스에 광학 유닛을 수납한 구성을 상정할 수 있다. 도 1의 (a), (b), (c)는, 두께가 얇은 케이스(11)에 광학 유닛(10)을 수납한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1의 (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유닛(10)을 회전시키는 도중에, 최대 회전 반경이 카메라 모듈(또는 스마트 폰)의 두께를 넘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구성을,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스마트 폰의 케이스에 적용한 경우에도, 특허 문헌 2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를 회전시키는 도중에, 촬상 장치의 본체 보다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미러 부분이 촬상 장치 본체 보다 두꺼운 형상이 된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촬영 광학계를 모두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전체를 스마트 폰의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광학계 전체의 길이가 스마트 폰의 케이스 두께 보다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풍경 등을 촬영하는 통상 촬영 및 셀카 촬영의 2방향 촬영을 하나의 촬상 수단으로 실현하는 구성을 박형의 전자 기기 내에 넣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촬상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반사부의 제1 촬영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가 수광부의 수광부 방향으로 대략 수직한 촬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1 촬영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택하여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반사부의 회전에 의한 형상이 카메라 모듈의 주면(主面) 방향으로 변화되므로, 카메라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되는 일이 없고, 풍경 등을 촬영하는 통상 촬영 및 셀카 촬영의 2방향 촬영을 하나의 촬상 수단으로 실현하는 구성을 박형의 전자 기기 내에 넣을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2개의 프리즘 반사면을 서로 대향시킨 복합 프리즘일 수 있다. 공기 보다 굴절률이 높은 프리즘에 의해 광학적 거리가 길어지고, 소정 길이의 광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접촉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2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2 회전 위치를 가지며, 상기 반사부가 제1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1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되며, 상기 반사부가 제2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2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반사부의 제1 촬영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상기 반사부는 표면과 이면 양면에서 광을 반사하는 미러일 수 있다. 반사부로서 미러를 사용함으로써, 수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제1 반사면과 반대 방향에 배치된 제2 반사면을 가지는 미러이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반사면이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2 반사면이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2 회전 위치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직각 프리즘은 굴절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2개의 프리즘의 반사면을 서로 대향시킨 복합 프리즘에 대해 굴절 특성이 서로 다른 프리즘을 대향시킴으로써, 초점 거리가 다른 촬상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촬영 방향 또는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반사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촬상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반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수광부 방향 및 촬영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 이동함으로써,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1 촬영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택하여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구비함으로써, 반사부의 평행 이동에 의한 형상 변화가 카메라 모듈의 두께 방향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풍경 등을 촬영하는 통상 촬영 및 셀카 촬영의 2방향 촬영을 하나의 촬상 수단으로 실현하는 구성을 박형의 전자 기기 내에 넣을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2개의 직각 프리즘의 경사면끼리 직교 배치된 프리즘일 수 있다. 공기 보다 굴절률이 높은 프리즘에 의해 광학적 거리는 길어지고, 소정 길이의 광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반사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2개의 미러의 반사면끼리 직교 배치된 미러일 수 있다. 반사부로서 미러를 사용함으로써, 수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반사 미러와, 상기 제2 촬영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반사 미러를 가지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촬상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반사부의 제1 촬영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접촉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2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2 회전 위치를 가지며, 상기 반사부가 제1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1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되며, 상기 반사부가 제2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2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반사부에 배치된 마그넷과, 상기 반사부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은 굴절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반사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반사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의하면, 풍경 등을 촬영하는 통상 촬영 및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셀카 촬영의 2방향 촬영을 하나의 촬상 수단으로 실현하는 구성을 박형의 전자 기기 내에 넣을 수 있다.
도 1은 박형의 케이스에 광학 유닛을 수납한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주면 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 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배면 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5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도 3 및 5는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6은,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제1 촬영 방향(풍경 등을 촬영하는 방향) 및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셀카 촬영 방향)을 X축,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수광부(120)의 수광부 방향)을 Y축, X축 및 Y축으로 수직한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있다.
최초로, 도 2 내지도 6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촬영 방향을 전환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100)은 반사부(110), 수광부(120), 및 회전부(또는 회전 이동부)(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반사부(110)는 제1 프리즘(111), 제2 프리즘(112), 및 기어(113)를 구비한다. 또한, 수광부(120)는 손떨림 보정부(121), 포커싱부(122), 미러(123), 및 수광 소자(124)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부(130)는 모터(131), 웜(132), 웜 휠(135), 기어(134), 및 기어(133)를 구비한다.
우선, 반사부(1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프리즘(111) 및 제2 프리즘(112)은 광을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 부분에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프리즘이다.
제1 프리즘(111)은 제1 촬영 방향 측, 예를 들어 메인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프리즘이다. 여기서,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이란 제1 촬영 방향에 배치된 물체에 의해 반사된 광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제1 프리즘(111)은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1111)과,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1112)과, 상기 제1 입사면(1111)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1 출사면(1112)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1123)을 가질 수 있다.
제1 입사면(1111)과 제1 출사면(1112)이 대략 직교하고, 제1 반사면(1123)이 제1 입사면(1111)과 제1 출사면(1112)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가 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프리즘(111)은 제1 입사면(1111)을 오목 형상으로 하고, 제1 출사면(1112)을 볼록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2 프리즘(112)은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 예를 들어, 셀카 방향으로 측부터 입사된 광을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프리즘이다. 여기서,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이란 제2 촬영 방향에 배치된 물체에 의해 반사된 광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제2 프리즘(112)은 제1 프리즘(111)과 유사하게,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1121)과,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1122)과, 상기 제2 입사면(1121)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2 출사면(1122)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1123)을 가질 수 있다.
제2 입사면(1121)과 제2 출사면(1122)이 대략 직교하고, 제2 반사면(1123)이 제2 입사면(1121)과 제2 출사면(1122)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가 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프리즘(112)도 제2 입사면(1121)을 오목 형상으로 하고, 제2 출사면(1122)을 볼록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111)과 제2 프리즘(112)은 제1, 제2 반사면(1113, 1123)이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제2 반사면(1113, 1123)은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사면(1111)과 제2 입사면(1121)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출사면(1112)과 제2 출사면(1122)도 서로 대략 평행한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사면(1111)과 제2 입사면(112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출사면(1112)과 제2 출사면(112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어(113)는 외주에 톱니를 가지며 중심부에 구멍을 가지는 중공의 기어일 수 있다. 기어(113)는 중심부의 구멍을 통해 촬영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통과하고, 광을 제1 프리즘(111) 및 제2 프리즘(112)의 제1, 제2 반사면(1113, 1123)으로 이끄는 위치에서 제1 프리즘(111) 및 제2 프리즘(1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어(113)는 외주의 절반에 톱니를 가지고, 나머지 절반에 톱니를 갖지 않음으로써 , 기어(113)의 회전각을 180° 이내로 규정할 수 있다. 즉, 이 회전각은 제1 프리즘(111)이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프리즘(112)은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회전 위치까지의 180°로 규정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반사부(11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은 반사부(110)에 배치된 제1, 제2 마그넷(1411, 1412)과, 제1, 제2 마그넷(1411, 1412)과 이격 배치된 홀 센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1411)은 제1 프리즘(111)의 측면에 배치되며, 제2 마그넷(1412)은 제2 프리즘(112)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1, 제2 마그넷(1411, 1412)은 반사부(110)의 회전과 함께 회전 이동되며, 홀 센서(142)는 반사부(110)의 회전과 관계 없이 위치가 고정된다. 카메라 모듈(110)은 홀 센서(142)를 통해 제1, 제2 마그넷(1411, 1412)의 위치를 검출 가능하며, 그에 따라 반사부(110)가 180° 회전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즘(111), 제2 프리즘(112), 및 기어(113)를 포함하는 반사부(110)는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반사부(110)의 외주에 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반사부(110)는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반사부(110)는 회전부(130)에 의해 수광부(120)의 수광부 방향과 대략 수직인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반사부(110)의 회전에 의해, 제1 촬영 방향(풍경 등을 촬영하는 방향) 또는 제1 촬영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셀카 촬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즉, 수광부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을 회전축(A)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반사부(110)는 제1 촬영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수광부 방으로 반사시키는 상태에서, 제2 촬영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변화도 가능하다.
이어서, 수광부(1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손떨림 보정부(121)는 반사부(110)와 포커싱부(122) 사이의 광로에 배치되고, 촬상시의 손떨림 보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손떨림 보정부(121)는 진동 자이로 기구를 구비한 보정 렌즈를 장착하고, 떨림을 없애는 방향으로 보정 렌즈를 움직임으로써 광축을 보정한다. 광학식 손떨림 보정을 수행한다.
포커싱부(122)는 손떨림 보정부(121)와 미러(123) 사이의 광로에 배치되고, 촬상에 있어서의 포커싱을 수행한다. 예컨대, 포커싱부(122)는 렌즈와 렌즈를 수광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에 의해 초점을 조정한다. 또한, 포커싱부(122)는 액체 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미러(123)는 제1 프리즘(111), 제2 프리즘(112), 손떨림 보정부(121) 및 포커싱부(122)를 경유한 광을 반사시켜 수광 소자(124) 방향으로 광을 인도한다.
수광 소자(124)는 수광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화상을 촬상한다. 예컨대, 수광 소자(124)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일 예로서, 수광 소자(124)는 카메라 모듈(100)의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주면에 평행한 전자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미러(123)에 의해 반사한 광을 수광한다. 수광 소자(124)의 수광면은 카메라 모듈(100)의 주면에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광 소자(124)의 수광면이 수광축에 수직하게 되도록 수광 소자(124)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123)는 불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광부(120)는 손떨림 보정 및 포커싱을 하고, 촬상하며,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회전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131)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웜(132)을 회전시킨다. 예컨대 모터(131)는 스태핑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웜(132)은 나사 형태의 기어이고, 모터(13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웜 휠(135)은 헬리컬 기어이고, 기어(134)와 동일한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웜(132)의 나사 형태의 기어와, 웜 휠(135)의 헬리컬 기어가 치합함으로써, 모터(131)로부터의 Z축 회전을 X축 회전으로 변환한다.
기어(134)는 외주에 톱니를 갖는 기어이고, 기어(133)와 치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어(133)는 외주에 톱니를 갖는 기어이며, 기어(134)와 기어(113)가 치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부(130)는 촬영 방향(X축)과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A)으로 하여 반사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의 반사부(110), 수광부(120) 및 회전부(130)의 구성에 의해,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A)으로 하여 반사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촬영 방향을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2 촬영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촬영 방향을 전환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풍경 등, 제1 촬영 방향을 촬영하는 경우,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부(110)는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리즘(111)이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프리즘(111)과 제2 프리즘(112) 중 제1 프리즘(111)의 제1 출사면(1112)이 수광부(120)를 향하는 제1 회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1 프리즘(111)에 의해 반사되고, 수광부 방향으로 진행하고, 수광부(120)로 입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촬영 방향의 촬영(풍경 등의 촬영)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셀카 촬영 방향, 즉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을 촬영하는 경우,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A)으로 하여 반사부(110)를 180° 회전시킨다. 회전의 결과,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부(110)은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리즘(111)과 제2 프리즘(112) 중 제2 프리즘(112)의 제2 출사면(1122)이 수광부(120)를 향하는 제2 회전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2 프리즘(112)에 의해 반사되고, 수광부 방향으로 진행하고, 수광부(120)로 입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촬영 방향의 촬영(셀카 촬영)이 가능해진다.
이 카메라 모듈(100)을 박형의 전자 기기에 탑재한 예를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VIII-VIII 단면 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배면 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은 박형의 전자 기기(200)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다. 박형의 전자 기기(200)의 전후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에 따른 두께는 10 mm 이하일 수 있다.
전자 기기(200)의 정면에는 반사부(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를 가진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0)의 배면에도 반사부(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개구를 가진다.
한편, 카메라 모듈(100)은 배면측 제2 개구를 통해 풍경 등을 촬영하는 경우로부터, 정면측 제1 개구를 통해 셀카 촬영으로 전환하는 경우, 반사부(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반사부(110)는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A)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반사부의 회전에 의한 형상 변화는 도 8의 단면도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00)의 두께 방향(즉 촬영 방향, X축)에는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반사부(110)가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A)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2 촬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반사부(110)의 회전에 의한 형상의 변화가 카메라 모듈의 두께 방향에 미치지 않으므로, 풍경 등을 촬영하는 통상 촬영 및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셀카 촬영의 2방향 촬영을 하나의 촬상 수단으로 실현하는 구성을 박형의 전자 기기(200) 내에 넣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200)에서는, 반사부(110)가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위치 사이로 회전 이동 가능하되, 이러한 반사부(110)가 회전 이동하는 동안, 반사부(110)의 제1 촬영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2방향 촬영을 하나의 촬상 수단으로 실현하는 박형의 전자 기기(2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제1, 제2 프리즘의 제1, 제2 반사면을 서로 대향시킨 복합 프리즘으로 함으로써, 공기 보다 굴절률이 높은 프리즘에 의해 광학적 거리(광경로 길이)는 길어지고, 소정 길이의 광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2개의 프리즘의 반사면을 서로 대향시킨 복합 프리즘을 이용하여 반사부를 구성하고 있지만, 실시예 2에서는, 이 2개의 프리즘의 굴절 특성을 서로 달리 하여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2~도 6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있어서, 반사부(110)는 프리즘(311), 프리즘(312), 및 기어(113)를 구비한다.
제1 프리즘(311) 및 제2 프리즘(312)은 광을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경사면 부분에서 광을 반사하는 제1, 제2 반사면(3113, 3123)을 갖는 프리즘이다.
제1 프리즘(311)은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프리즘이다. 예컨대, 제1 프리즘(311)은 제1 입사면(3111)과 제1 출사면(3112)이 대략 직교하고, 제1 반사면(3113)이 제1 입사면(3111)과 제1 출사면(3112)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가 되는 형상을 갖는 프리즘이다.
제2 프리즘(312)은 제2 촬영 방향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프리즘이다. 예컨대, 제2 프리즘(312)은 제1 프리즘(311)과 유사하게, 제2 입사면(3121)과 제2 출사면(3122)이 대략 직교하고, 제2 반사면(3123)이 제2 입사면(3121)과 제2 출사면(3122)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가 되는 형상을 갖는 프리즘이다.
그리고, 제1 프리즘(311)과 제2 프리즘(312)은 굴절 특성이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1 촬영 방향으로 풍경 등의 원거리 촬영을 수행하고, 제2 촬영 방향으로 셀카 촬영 등의 근거리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 제1 촬영 방향용 제1 프리즘(311)의 초점 거리가 더 길고, 제2 촬영 방향용 제2 프리즘(312)의 초점 거리가 더 짧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예컨대, 제1 프리즘(311)은 제1 입사면(3111)을 오목 형상으로 하고, 제1 출사면(3112)을 볼록 형상으로 한다. 한편, 제2 프리즘(312)은 제2 입사면(3121)을 볼록 형상으로 하고, 제2 출사면(3122)을 볼록 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2개의 프리즘 반사면을 서로 대향시킨 복합 프리즘에 대해 굴절 특성이 서로 다른 프리즘을 대향시킴으로써, 초점 거리가 다른 촬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프리즘(311, 312)의 제1 입사면(3111)과 제2 입사면(3121)의 형상이 서로 다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예를 들어, 제1, 제2 프리즘(311, 312)으로 굴절률이 다른 프리즘의 재질을 조합함으로써, 2개의 프리즘의 굴절 특성을 달리 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2개의 제1, 제2 프리즘의 제1, 제2 반사면끼리 직교하여 병렬로 배치하고, 수광부 방향 및 촬영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 이동함으로써,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2 촬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선택하여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도 11 및 12는, 실시예 3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도 2~도 6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도 13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400)은 반사부(410), 수광부(120), 및 평행 이동부(420)를 구비한다.
반사부(410)는 제1 프리즘(411), 및 제2 프리즘(412)을 구비한다. 또한, 평행 이동부(420)는 액튜에이터(421), 및 샤프트(422)를 구비한다.
제1 프리즘(411) 및 제2 프리즘(412)은 광을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경사면 부분에서 광을 반사하는 제1, 제2 반사면(4113, 4123)을 갖는 프리즘이다.
제1 프리즘(411)은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프리즘이다. 예컨대, 프리즘(411)은 제1 입사면(4111)과 제1 출사면이 대략 직교하고, 제1 반사면(4113)이 제1 입사면(4111)과 제1 출사면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가 되는 형상을 갖는 프리즘이다. 또한, 예컨대 프리즘(411)은 제1 입사면(4111)을 오목 형상으로 하고, 제1 출사면을 볼록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2 프리즘(412)은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프리즘이다. 예컨대, 제2 프리즘(412)은 제1 프리즘(411)과 유사하게, 제2 입사면(4121)과 제2 출사면이 대략 직교하고, 제2 반사면(4123)이 제2 입사면(4121)과 제2 출사면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가 되는 형상을 갖는 프리즘이다. 또한, 예컨대 제2 프리즘(412)도 제2 입사면(4121)을 오목 형상으로 하고, 제2 출사면을 볼록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411)과 제2 프리즘(412)는 제1 촬영 방향 및 반사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프리즘(411)과 제2 프리즘(412)은 제1, 제2 반사면(4113, 4123)이 직교하여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즘(411)과 제2 프리즘(412)은 측면(즉, 반사면, 입사면, 출사면 이외의 면)을 서로 대향시켜 고정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즘(411)과 제2 프리즘(412)의 제1, 제2 입사면(4111, 4121)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프리즘(411)과 제2 프리즘(412)의 제1, 제2 출사면이 동일하게 수광부를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1 입사면(4111)과 제2 입사면(4121)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액튜에이터(421)는, 도 11~도 13에 있어서의 Z축 방향으로 샤프트(422)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이다. 그리고, 액튜에이터(421)는 샤프트(422)를 통해 수광부 방향 및 촬영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도 12~도 14에 있어서의 Z축 방향)으로 반사부(410)를 평행 이동시킨다. 예컨대, 액튜에이터(421)는 전자력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가 바람직하다.
샤프트(422)는 반사부(410)의 일단면에 고정되어 있고, 액튜에이터(421)로부터의 움직임을 전달한다.
이어서, 촬영 방향을 제1, 제2 촬영 방향으로 전환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풍경 등 제1 촬영 방향을 촬영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411)이 제1 촬영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프리즘(411)과 제2 프리즘(412) 중 제1 프리즘(411)이 수광부(120)에 대응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1 프리즘(411)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 방향으로 진행하고, 수광부(120)로 입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촬영 방향의 촬영(풍경 등의 촬영)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셀카 촬영 방향, 즉 제2 촬영 방향을 촬영하는 경우, 수광부 방향 및 제1 촬영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부(410)를 이동시킨다. 반사부(410)의 이동 결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411)과 제2 프리즘(412) 중 제2 프리즘(412)이 수광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2 프리즘(412)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 방향으로 진행하고, 수광부(120)로 입사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촬영 방향의 촬영(셀카 촬영)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반사부(410)가 수광부 방향 및 제1 촬영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 이동함으로써,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2 촬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부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부의 평행 이동에 의한 형상의 변화가 카메라 모듈의 두께 방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풍경 등을 촬영하는 통상 촬영 및 셀카 촬영의 2 방향의 촬영을 하나의 촬상 수단으로 실현하는 구성을 박형의 전자 기기 내에 넣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사부(110)를 프리즘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반사부는 표면과 이면 양면에서 광을 반사하는 미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110, 310, 410)는 제1 촬영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1113, 3113, 4113)과 제2 촬영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2 반사면(1123, 3123, 4123)을 가지는 미러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4와 같이, 반사부(110a)는 제2 반사면(1123a)이 제1 반사면(1113a)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미러일 수 있다. 제1, 제2 반사면(1113a, 1123a)은 수광부 방향 및 제1 촬영 방향에 대해 45°의 기울기를 갖는 배치로 하고,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A)을 중심으로 미러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5와 같이, 반사부(410a)는 제1 반사면(4113a)을 가지는 제1 반사 미러(411a)와 제2 반사면(4123a)을 가지는 제2 반사 미러(412a)를 가진다. 제1 반사 미러(411a)와 제2 반사 미러(412a)는 반사부(410a)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제1 반사면(4113a)과 제2 반사면(4123a)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부(110a, 410a)를 미러로 구성함으로써, 수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프리즘의 조합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굴절 특성의 프리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0, 400 카메라 모듈
110 반사부
111, 112, 311, 312, 411, 412 프리즘
113, 134, 135 기어
120 수광부
121 보정부
122 포커싱부
123 미러
124 수광 소자
130 회전부
131 모터
132 웜
135 웜 휠
200 전자 기기
410 반사부
420 평행 이동부
421 액튜에이터
422 샤프트

Claims (20)

  1.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촬상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반사부의 제1 촬영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접촉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2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2 회전 위치를 가지며,
    상기 반사부가 제1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1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되며,
    상기 반사부가 제2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2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배치된 마그넷과, 상기 반사부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은 굴절 특성이 서로 다른 카메라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제1 반사면과 반대 방향에 배치된 제2 반사면을 가지는 미러이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반사면이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2 반사면이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2 회전 위치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반사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반사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반사 미러와, 상기 제2 촬영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로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반사 미러를 가지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촬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촬상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반사부의 제1 촬영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접촉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자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2 출사면이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제2 회전 위치를 가지며,
    상기 반사부가 제1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1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1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되며,
    상기 반사부가 제2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제2 프리즘에 의해 상기 제2 촬영 방향 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되는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반사부에 배치된 마그넷과, 상기 반사부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은 굴절 특성이 서로 다른, 전자 기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 및 상기 반사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한, 전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을 가지는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촬영 방향을 향하는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제2 출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면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가지는 제2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반사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서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기기.
KR1020160135260A 2015-12-25 2016-10-18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8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438 WO2017111363A1 (ko) 2015-12-25 2016-12-09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201680076149.5A CN108432226B (zh) 2015-12-25 2016-12-09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电子装置
US16/061,098 US10845612B2 (en) 2015-12-25 2016-12-09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4078 2015-12-25
JP2015254078A JP2017116814A (ja) 2015-12-25 2015-12-25 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023A true KR20170077023A (ko) 2017-07-05
KR102589851B1 KR102589851B1 (ko) 2023-10-16

Family

ID=5923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60A KR102589851B1 (ko) 2015-12-25 2016-10-18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45612B2 (ko)
JP (1) JP2017116814A (ko)
KR (1) KR102589851B1 (ko)
CN (1) CN1084322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29A (ko) * 2021-12-24 2023-07-03 (주)캠시스 회전형 프리즘을 구비한 폴디드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2336B (zh) * 2017-06-26 2019-0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TWI653523B (zh) * 2017-12-04 2019-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US20190260943A1 (en) * 2018-02-22 2019-08-22 Perspective Components, Inc. Methods for dynamic camera position adjustment
KR102581599B1 (ko) * 2018-05-11 202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즘 모듈,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및 영상표시장치
US10955658B2 (en) * 2018-05-23 2021-03-23 Lg Electronics Inc. Camera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O2019225978A1 (en) 2018-05-23 2019-11-28 Lg Electronics Inc. Camera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JP6710864B1 (ja) * 2018-12-20 2020-06-17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移動体
CN109889635A (zh) * 2019-03-27 2019-06-14 德淮半导体有限公司 双摄像头手机
CN110062141B (zh) * 2019-04-09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光装置、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US11609436B2 (en) * 2019-05-16 2023-03-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d optics reflecting module
CN110661951B (zh) * 2019-09-30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6960985B2 (ja) * 2019-12-27 2021-11-05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CN111064876B (zh) * 2019-12-30 2021-08-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拍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10405333A1 (en) * 2020-06-26 2021-12-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11867312B (zh) * 2020-07-31 2021-1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72A (ko) * 2003-05-09 2003-06-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활주식 반사판을 이용하여 양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KR100641570B1 (ko) * 2005-09-14 2006-11-01 주식회사 팬택 양방향 촬영이 용이한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150091010A (ko) * 2014-01-30 2015-08-07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70A (ja) * 1997-06-13 1999-01-06 Canon Inc 撮像装置
JP2003060765A (ja) * 2001-08-16 2003-02-28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JP2004260413A (ja) 2003-02-25 2004-09-16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2005017569A (ja) 2003-06-25 2005-01-20 Nec Saitama Ltd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TWI220837B (en) * 2003-07-14 2004-09-01 Primax Electronics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laser-framing viewfinder and laser pointer functions
TWI231050B (en) 2003-09-29 2005-04-11 Primax Electronics Ltd Moveable mirror module for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taking multi angle pictures
CN1610382A (zh) * 2003-10-20 2005-04-27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可拍摄不同角度的影像的数字影像摄取装置
JP2005221822A (ja) 2004-02-06 2005-08-18 Olympus Corp カメラ及び撮影装置
KR20050106913A (ko) 2004-05-06 2005-11-11 주식회사 팬택 다방향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454459B2 (ja) 2004-10-04 2010-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TWI260905B (en) 2005-05-17 2006-08-21 Jin-Chiuan Huang Lens turning device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function
JP2007116361A (ja) 2005-10-19 2007-05-10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撮像装置
KR100704982B1 (ko) 2005-11-21 2007-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촬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201335933Y (zh) * 2009-01-12 2009-10-28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读取装置
KR101806542B1 (ko) 2011-01-07 2017-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3118498A (zh) * 2011-11-16 2013-05-22 西安中科麦特电子技术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bga返修工作站的成像系统
JP2014164216A (ja) 2013-02-27 2014-09-08 Omron Corp 広角撮像装置
US9338357B2 (en) 2014-01-30 2016-05-10 Hoya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US9335560B2 (en) * 2014-01-30 2016-05-10 Hoya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US9280033B2 (en) * 2014-07-24 2016-03-08 Designs For Vision, Inc. Adjustable optical axis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72A (ko) * 2003-05-09 2003-06-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활주식 반사판을 이용하여 양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KR100641570B1 (ko) * 2005-09-14 2006-11-01 주식회사 팬택 양방향 촬영이 용이한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150091010A (ko) * 2014-01-30 2015-08-07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29A (ko) * 2021-12-24 2023-07-03 (주)캠시스 회전형 프리즘을 구비한 폴디드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16814A (ja) 2017-06-29
KR102589851B1 (ko) 2023-10-16
US20180364494A1 (en) 2018-12-20
CN108432226B (zh) 2021-01-08
US10845612B2 (en) 2020-11-24
CN108432226A (zh)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702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190170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942743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7667897B2 (en) Dual lens optical system and dual lens camera having the same
KR20180102946A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7889435B2 (en) Imaging device having a dual lens optical system
JP6415102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4835095B2 (ja) レンズ鏡筒
JP4493046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5092285A (ja) 屈曲式ズームカメラモジュールの防振装置
CN109327571B (zh) 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US20100086291A1 (en) Camera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18242B1 (ko) 반사계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345552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1104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JP6278735B2 (ja) 偏心調整装置、光学機器および偏心調整方法
JP2019078903A (ja) レン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CN211791692U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2007102141A (ja) 光学モジュール
KR2021013178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20210135780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022755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07232756A (ja) 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光学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KR20200020138A (ko) 프리즘을 포함하는 영상 흔들림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04126029A (ja) 沈胴式レンズ鏡筒とそ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