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091A -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091A
KR20170076091A KR1020150185920A KR20150185920A KR20170076091A KR 20170076091 A KR20170076091 A KR 20170076091A KR 1020150185920 A KR1020150185920 A KR 1020150185920A KR 20150185920 A KR20150185920 A KR 20150185920A KR 20170076091 A KR20170076091 A KR 2017007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pyran
acid
ylmethyl ester
salic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237B1 (ko
Inventor
노호식
유재원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18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237B1/ko
Priority to PCT/KR2016/014592 priority patent/WO2017111380A1/ko
Priority to CN201680075847.3A priority patent/CN108473458A/zh
Priority to EP16879247.1A priority patent/EP3395807B1/en
Priority to US16/064,753 priority patent/US20180370940A1/en
Priority to JP2018532243A priority patent/JP2018538322A/ja
Priority to TW105142175A priority patent/TWI729050B/zh
Publication of KR2017007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40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s 3 and 4, e.g. malto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one oxygen atom in position 2 or 4, e.g. pyr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살리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멜라닌을 생성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에 작용하여 멜라닌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기존에 피부 미백제로 알려진 코지산, 알킬 살리실산,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에 비하여 향상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화장품, 외용제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SALICYLIC ACID DERIVATIV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살리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혈액 내의 적혈구, 카로틴 및 멜라닌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결정되나 인종 간의 피부색 차이나 기미, 주근깨 등의 과색소증은 멜라닌에 의한 영향이다. 피부의 외각인 표피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자외선 차단의 역할을 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내, 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멜라닌은 생체 내에서 티로신(Tyrosine) 혹은 도파(DOPA)를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 등의 효소를 촉매로 한 중합화 산화과정을 통해 피부에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생성이 많아지거나, 염증반응이 있거나 자외선 등을 받게 되면 멜라닌 생성은 증가한다. 특히, 자외선은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켜 부분적으로 증가된 멜라닌이 기미 등으로 발전하여 미관상 원하지 않는 결과가 생길 수도 있고 더 심하게는 피부암 등을 유발하여 생명에 위험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현재 알부틴, 글루타치온, 비타민 A, 비타민 C 등을 함유한 연고, 크림, 로션 등의 많은 멜라닌 생성 억제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미백효과를 갖는 미백 제품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한 미백제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미백효과가 있지만, 피부자극이 심하여 그 이용이 제한적이다.
살리실산 유도체는 각질 제거 효능 및 세포 분열 촉진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세이도에서 알킬 살리실산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이 미백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9375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380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93758호, 피부외용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3808호, 유중수형 피부 미백 화장료
본 발명자들은 알킬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의 미백효과를 증가시키려는 목적으로 다양한 유도체를 예의 연구한 결과, 미백제로 잘 알려진 코지산과 알킬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을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한 신규 화합물의 경우 살리실산 모핵과 코지산 모핵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멜라닌 생성 주 효소인 티로시나제 (tyrosinase)의 활성을 크게 억제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살리실산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리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리실산 유도체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살리실산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명세서 내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며,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의 반응을 통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리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R, X 및 M은 명세서 내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살리실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리실산 유도체는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코지산, 알킬 살리실산,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에 비하여 향상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기미, 주근깨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을 생성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에 작용하여 멜라닌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다양한 화장료 제품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알킬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의 미백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미백제로 잘 알려진 코지산과 알킬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을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한 신규 화합물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신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살리실산 유도체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C1 내지 C4의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이며, 바람직하기로 메틸기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또는 부톡시기이며, 바람직하기로 메톡시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1) 2-하이드록시-3-메틸-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3-methyl-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pat00004
(2) 2-하이드록시-4-메틸-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4-methyl-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화학식 3)
[화학식 3]
Figure pat00005
(3) 2-하이드록시-5-메틸-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5-methyl-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화학식 4)
[화학식 4]
Figure pat00006
(4) 2-하이드록시-3-메톡시-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3-methoxy-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화학식 5)
[화학식 5]
Figure pat00007
(5)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4-methoxy-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화학식 6)
[화학식 6]
Figure pat00008
(6) 2-하이드록시-5-메톡시-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5-methoxy-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화학식 7)
[화학식 7]
Figure pat00009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코지산 및 살리실산 유도체가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분자에 비하여 향상된 티로시나제 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살리실산 유도체는 알킬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과 코지산이 에스터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며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의 반응을 통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리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0
(상기 반응식 1에서,
R은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고,
M은 Li, Na, 또는 K이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코지산으로부터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출발물질인 화학식 3의 화합물은 알킬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을 극성용매에서 LiOH, NaOH, 또는 KOH의 무기염기와 반응시켜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의 반응 온도는 10 내지 200℃, 바람직하기로 50 내지 150℃의 범위에서 0.5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때 사용하는 용매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살리실산 유도체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화학식 1의 살리실산 유도체는 살리실산 모핵과 코지산 모핵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종래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알킬 또는 알콕시 살리실산 및 코지산 각각에 비하여 멜라닌 생성 주 효소인 티로시나제 (tyrosinase)의 활성을 크게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화학식 1의 살리실산 유도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그 함량은 제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0.01 내지 2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유효성분을 함유할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용해도를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썬 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터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터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 하이드록시 -3- 메틸 - 벤조익 애시드 5- 하이드록시 -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의 제조
50g의 5-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4H-피란-4-온(0.35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0ml에 녹이고, 10℃의 빙수욕에서 냉각한 후 티오닐클로라이드 50g(0.42mol)을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뒤 빙수 2000 ml에 반응액을 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초산에틸 1000 ml에 고체(여과물)를 녹였다. 황산마그네슘과 활성탄을 가하여 건조, 탈색을 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농축하고 핵산을 가하여 결정을 얻었다. 진공 건조하여 반응 생성물인 5-하이드록시-2-(클로로메틸)-4H-피란-4-온 39.5g (70%)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3-메틸살리실산 (3-methylsalicylic acid) 4.4g (0.026mol)과 수산화나트륨 1.3g (0.031mol)을 메탄올 40ml에 녹이고 메탄올을 증류한 후 남은 잔사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70ml에 녹였다. 여기에 5-하이드록시-2-(클로로메틸)-4H-피란-4-온 4.2g (0.026mol)을 가하고 110℃의 오일 욕조에서 2시간 동안 가열 교반 하였다. 용매를 증류하고 잔사를 초산에틸 300ml에 녹인 후, 초산에틸 용액을 5% 염산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과 활성탄을 가하여 건조, 탈색을 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반응 생성물 5.5g (73% 수율)을 미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v/v) Rf = 0.45
1H NMR(DMSO-d6) δ 10.60 (s, 1H), 9.22 (s, 1H), 8.12 (s, 1H), 7.71 (d, 1H, J = 8.1 Hz), 7.48 (d, 1H, J = 8.1 Hz), 6.88 (m, 1H), 6.58 (s, 1H), 5.27 (s, 2H), 2.20 (s, 3H).
실시예 2: 2 - 하이드록시 -4- 메틸 - 벤조익 애시드 5- 하이드록시 -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의 제조
3-메틸살리실산 대신에 4-메틸살리실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5.3g, 70%)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v/v) Rf = 0.44
1H NMR(DMSO-d6) δ 10.00 (s, 1H), 9.23 (s, 1H), 8.12 (s, 1H), 7.70 (d, 1H, J = 8.1 Hz), 6.82 (s, 1H), 6.80 (d, 1H, J = 8.1 Hz), 6.57 (s, 1H), 5.22 (s, 2H), 2.31 (s, 3H).
실시예 3: 2 - 하이드록시 -5- 메틸 - 벤조익 애시드 5- 하이드록시 -4-옥소-4H-피란-2- 일메틸 에스터의 제조
3-메틸살리실산 대신에 5-메틸살리실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5.9g, 78%)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v/v) Rf = 0.45
1H NMR(DMSO-d6) δ 10.10 (s, 1H), 9.24 (s, 1H), 8.12 (s, 1H), 7.60 (s, 1H), 7.36 (d, 1H, J = 8.1 Hz), 6.90 (d, 1H, J = 8.1 Hz), 6.59 (s, 1H), 5.21 (s, 2H), 2.24 (s, 3H).
실시예 4: 2 - 하이드록시 -3- 메톡시 - 벤조익 애시드 5- 하이드록시 -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의 제조
3-메틸살리실산 대신에 3-메톡시살리실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4.9g, 65%)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v/v) Rf = 0.43
1H NMR(DMSO-d6) δ 10.19 (s, 1H), 9.26 (s, 1H), 8.11 (s, 1H), 7.41 (d, 1H, J = 8.1 Hz), 7.20 (d, 1H, J = 8.1 Hz), 6.57 (s, 1H), 5.23 (s, 2H), 3.81 (s, 3H).
실시예 5: 2 - 하이드록시 -4- 메톡시 - 벤조익 애시드 5- 하이드록시 -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의 제조
3-메틸살리실산 대신에 4-메톡시살리실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6.0g, 80%)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v/v) Rf = 0.42
1H NMR(DMSO-d6) δ 10.60 (s, 1H), 9.20 (s, 1H), 8.06 (s, 1H), 7.78 (d, 1H, J = 8.1 Hz), 6.56 (s, 1H), 6.53 (s, 1H), 6.52 (s, 1H), 5.21 (s, 2H), 3.80 (s, 3H).
실시예 6: 2 - 하이드록시 -5- 메톡시 - 벤조익 애시드 5- 하이드록시 -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의 제조
3-메틸살리실산 대신에 5-메톡시살리실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5.7g, 76%)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v/v) Rf = 0.45
1H NMR(DMSO-d6) δ 9.92 (s, 1H), 9.22 (s, 1H), 8.08 (s, 1H), 7.24 (s, 1H), 7.18 (d, 1H, J = 8.1 Hz), 6.94 (d, 1H, J = 8.1 Hz), 6.60 (s, 1H), 5.29 (s, 2H), 3.72 (s, 3H).
시험예 1: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살리실산 유도체들의 티로시나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버섯 유래의 티로시나제와 티로신은 Sigma Chemical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0.1 M 포스페이트 버퍼 (pH 6.5) 150 마이크로 리터와 8 마이크로 리터의 버섯 티로시나제 (2,100unit/ml, 0.05M 포스페이트 버퍼, pH 6.5), 36 마이크로리터의 1.5 mM 농도의 L-티로신과 함께 각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였다. 37℃에서 20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 시킨 후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 (Bio-Rad 3550, Richnmond, CA, U.S.A.)를 사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하기의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살리실산 유도체들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구하였다.
[수학식 1]
티로시나제 저해율 (%) = 100 - ((각 시료의 반응 흡광도/대조군의 반응 흡광도)X100)
상기 공식에 의해 티로시나제 활성을 50% 감소시키는 각 시험물질의 농도를 구하였으며, 얻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
시험물질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IC50)
코지산 40.97 μM
3-메틸살리실산 > 200 μM
3-메톡시살리실산 > 200 μM
실시예 1의 화합물 3.20 μM
실시예 2의 화합물 1.51 μM
실시예 3의 화합물 5.30 μM
실시예 4의 화합물 4.21 μM
실시예 5의 화합물 4.20 μM
실시예 6의 화합물 3.29 μM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메틸살리실산과 3-메톡시살리실산은 200 μM 이하의 농도에서는 티로시나제 억제 효능을 나타내지 않으며, 실시예 1 내지 6의 화합물은 출발물질인 메틸살리실산, 메톡시살리실산, 및 코지산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크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살리실산 유도체들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살리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제형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화장수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화합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화합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마사지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화합물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팩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화합물 0.2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살리실산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리실산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리실산 유도체는,
    2-하이드록시-3-메틸-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3-methyl-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2-하이드록시-4-메틸-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4-methyl-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2-하이드록시-5-메틸-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5-methyl-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2-하이드록시-3-메톡시-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3-methoxy-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4-methoxy-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 또는
    2-하이드록시-5-메톡시-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4-옥소-4H-피란-2-일메틸 에스터(2-Hydroxy-5-methoxy-benzoic acid 5-hydroxy-4-oxo-4H-pyran-2-ylmethyl es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리실산 유도체.
  4.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며,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의 반응을 통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리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012

    (상기 반응식 1에서,
    R은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고,
    M은 Li, Na, 또는 K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은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이고, X는 Cl이며, M은 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리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살리실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85920A 2015-12-24 2015-12-24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920A KR102463237B1 (ko) 2015-12-24 2015-12-24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6/014592 WO2017111380A1 (ko) 2015-12-24 2016-12-13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201680075847.3A CN108473458A (zh) 2015-12-24 2016-12-13 水杨酸衍生化合物、其制备方法和包含该化合物的美白化妆品组成物
EP16879247.1A EP3395807B1 (en) 2015-12-24 2016-12-13 Salicylic acid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omprising same
US16/064,753 US20180370940A1 (en) 2015-12-24 2016-12-13 Salicylic acid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omprising same
JP2018532243A JP2018538322A (ja) 2015-12-24 2016-12-13 サリチル酸誘導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美白用化粧料組成物
TW105142175A TWI729050B (zh) 2015-12-24 2016-12-20 水楊酸衍生物、其製備方法和包含其的化妝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920A KR102463237B1 (ko) 2015-12-24 2015-12-24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091A true KR20170076091A (ko) 2017-07-04
KR102463237B1 KR102463237B1 (ko) 2022-11-04

Family

ID=5909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920A KR102463237B1 (ko) 2015-12-24 2015-12-24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370940A1 (ko)
EP (1) EP3395807B1 (ko)
JP (1) JP2018538322A (ko)
KR (1) KR102463237B1 (ko)
CN (1) CN108473458A (ko)
TW (1) TWI729050B (ko)
WO (1) WO20171113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254A (ko)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카르니틴살리실레이트(ca-s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406A (ko) * 1993-07-14 1996-05-22 오가 노리오 자기헤드
KR100293758B1 (ko) 1992-05-15 2001-09-17 겜마 아키라 피부외용제
JP2013014530A (ja) * 2011-07-01 2013-01-24 Nippon Yakuyo Shokuhin Kenkyusho:Kk 美白用組成物
KR101453808B1 (ko) 2011-08-12 2014-10-2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수형 피부 미백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6440A1 (en) * 1992-09-14 1994-03-31 Smith Walter P Skin-conditioning composition, its application and manufacture
KR960015406B1 (ko) * 1993-11-16 1996-11-13 주식회사 태평양 코지산 유도체
FR2782269B1 (fr) * 1998-08-17 2001-08-3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enant de l'acide salicylique ou un derive d'acide salicylique et son utilisation
CA2471953A1 (en) * 2001-12-28 2003-07-17 Mediquest Therapeutics, Inc. Hydroxamic acid and its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melanocyte tyrosinase for topical skin lighteners
KR100482668B1 (ko) * 2002-06-22 2005-04-13 주식회사 태평양 히드록시 피라논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070398A1 (en) * 2009-04-10 2012-03-22 Shiseido Company, Ltd. Hair Cosmetic
KR20120088036A (ko) * 2010-10-19 2012-08-08 주식회사 콧데 살리신과 글루코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26747B1 (ko) * 2011-06-30 2018-02-08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코지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758B1 (ko) 1992-05-15 2001-09-17 겜마 아키라 피부외용제
KR960015406A (ko) * 1993-07-14 1996-05-22 오가 노리오 자기헤드
JP2013014530A (ja) * 2011-07-01 2013-01-24 Nippon Yakuyo Shokuhin Kenkyusho:Kk 美白用組成物
KR101453808B1 (ko) 2011-08-12 2014-10-2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수형 피부 미백 화장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2 (2012) 4159~4162, Jun-Cheol Cho 외 10인, "Depigmenting activities of kojic acid derivatives withou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2012.04.1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254A (ko)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카르니틴살리실레이트(ca-s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191602A1 (ko)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카르니틴살리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8322A (ja) 2018-12-27
TWI729050B (zh) 2021-06-01
EP3395807B1 (en) 2020-10-14
KR102463237B1 (ko) 2022-11-04
TW201736358A (zh) 2017-10-16
CN108473458A (zh) 2018-08-31
EP3395807A4 (en) 2018-11-14
EP3395807A1 (en) 2018-10-31
US20180370940A1 (en) 2018-12-27
WO2017111380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635B1 (ko) 3,4,5-트리메톡시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26747B1 (ko) 신규한 코지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61911B1 (ko)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091A (ko)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90B1 (ko) 신규한 레티놀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1044B1 (ko)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3,5-디히드록시 벤즈아미드 유도체,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9091B1 (ko) 아스코르빈산이 결합된 피리독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002432B1 (ko)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10029576A (ko) 신규한 이원환 화합물의 유도체 및 그의 용도
KR101451401B1 (ko)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KR101491728B1 (ko) 비타민 c와 비타민 b3의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KR100630905B1 (ko) 신규한 히드록시아닐린 유도체의 염을 포함하는 화장품조성물
KR100456974B1 (ko) 신규한 크로만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63238B1 (ko) 신규 히드록시 피라논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9759A (ko) 미용 용도의 레조르시놀 유도체
KR101520653B1 (ko) 복합 비타민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JP2018162237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US7943599B2 (en) Sesamol derivatives or their salts,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457370B1 (ko) 신규 벤젠 디올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36737B1 (ko) 몰식자산 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623702B1 (ko) 신규한 코직산 컨쥬게이트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100740575B1 (ko) 2,3-디히드록시벤조산 유도체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4160A (ko)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화장료
KR20140032151A (ko) 사이클로헥산디올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JP2005119989A (ja) 新規1,4−ベンゼンジオール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又はその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