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938A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938A
KR20170071938A KR1020150180183A KR20150180183A KR20170071938A KR 20170071938 A KR20170071938 A KR 20170071938A KR 1020150180183 A KR1020150180183 A KR 1020150180183A KR 20150180183 A KR20150180183 A KR 20150180183A KR 20170071938 A KR20170071938 A KR 20170071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ver
case
flang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938A/ko
Publication of KR2017007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8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ssion control units, e.g. gearbox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럭의 외관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을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개폐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제1부품유니트(40)와 제2부품유니트(42)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측벽(13) 내면에는 제1커넥터안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측벽(13) 외면에는 제2커넥터안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에는 제1커넥터(50)의 플랜지(54)의 전면이 밀착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에는 제2커넥터(60)의 플랜지(62)의 배면이 밀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와 제2커넥터안착부(34)는 상기 케이스(10)를 제작한 후에 가공한 가공면이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50)는 레버를 사용하여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는 레버타입커넥터이고, 상기 제2커넥터(60)는 상대 커넥터가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타입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수밀상태가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수밀이 확실하게 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을 위해 고전압이 사용된다. 따라서,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고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자동차용 블럭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이외에도 다양한 전장품을 위한 상대적인 저전압도 필요하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고전압과 저전압 부품이 함께 사용된다.
자동차용 블럭이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로 물이 전달되면 부품의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경우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등에서 수밀을 위한 구성이 확실하게 되어야 한다.
최근에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서 전자파 차폐 등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자동차용 블럭의 케이스를 금속재료로 다이캐스팅작업을 통해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커버와의 사이에서 수밀이 잘 되어야 하는데 다이캐스팅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케이스의 표면이 거칠어서 수밀에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자동차용 블럭과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된 부분을 통해서도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입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759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가 금속재료로 만들어진 자동차용 블럭에서 부품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고 수밀작용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외관을 구성하며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제1커넥터장착부에 플랜지가 밀착고정되어 설치되며 내외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의 측벽 외면에 형성된 제2커넥터장착부에 플랜지가 밀착고정되어 설치되며 내외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장착부와 제2커넥터장착부는 각각 케이스를 제작한 후에 가공된 가공면으로 된다.
상기 제1커넥터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인 측벽의 외면에는 제1상대커넥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장착부와 상기 제1상대커넥터장착부의 중앙에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의 주변을 둘러서는 제1체결공이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는 레버타입 커넥터이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대 커넥터가 내부로 직접 삽입되는 타입의 커넥터이다.
상기 제1커넥터의 후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와의 사이에 시일을 두고 밀착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후단에도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와의 사이에 시일을 두고 밀착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커버가 안착되는 커버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안착단에는 상기 커버에 압착되는 시일이 안착되는 시일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안착단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공의 주변을 둘러서는 상기 커버가 밀착되는 커버밀착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밀착면은 가공면으로서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최대 180도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재질로 다이캐스팅되어 케이스가 만들어지지만,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설치되는 부분은 가공을 수행하여 매끈한 표면으로 만들었으므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고 수밀상태가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그 동작 특성에 맞게 케이스의 측벽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하였으므로 커넥터의 동작 특성에 따른 수밀작용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커버가 체결되는 부분에 가공을 수행하여 케이스에 커버가 보다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커버와 케이스의 사이에서 수밀작용이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버가 케이스에 안착되는 부분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케이스에 대한 가공면적을 줄여서 제조원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의 중요부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내면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의 외관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금속재료를 다이캐스팅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인데, 그 측벽(13)이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시작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2)은 내측보다 입구 쪽이 그 횡단면적이 더 넓게 만들어진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은 자동차에 장착되었을 때 지면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내부공간(12)의 입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커버안착단(14)에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상기 커버안착단(14)은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안착단(14)에는 시일채널(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채널(16)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어 상기 커버에 의해 눌러져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상기 케이스(10)와 커버 사이를 통해 수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시일채널(16)에 연통되게 스톱홈(18)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홈(18)은 상기 시일채널(16)에 안착되는 시일의 스톱돌기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안착단(14)에는 또한 장착브라켓(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블럭을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커버안착단(14)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2)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구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체결공(22)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 영역중에서 상기 커버안착단(14)의 바깥쪽 가장자리 쪽으로 커버안착면(24)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안착면(24)은 그 주변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고 표면이 매끈하게 가공되어 있다. 이는 커버가 안착되었을 때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안착면(24)을 상기 체결공(22)을 중심으로 일부만 형성한 것은 가공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측벽(13) 외면에는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는 상기 측벽(13)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의 표면은 상기 케이스(10)를 다이캐스팅하여 만든 후에 가공을 통해 매끄럽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의 표면은 가공면이다. 이는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에 제1커넥터(50)의 상대 커넥터의 선단이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에는 제1통공(28)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가 연통되게 한다. 상기 제1통공(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50)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통공(28)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제1체결공(3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3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50)를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구(56)가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가 형성된 측벽(13)의 내면에는 제1커넥터안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50)가 장착된다.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도 가공면이다. 이는 상기 제1커넥터(50)의 플랜지(54)가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측벽(13)의 외면, 즉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가 형성된 외면에는 제2커넥터안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도 측벽(13)의 다른 영역에 비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의 표면도 가공면이다.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가 반드시 상기 제1상대커넥터안착부(26)와 나란히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에는 제2통공(36)이 관통하여 형성된다.상기 제2통공(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통공(36)의 주변에는 제2체결공(3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공(38)은 상기 측벽(13)을 관통하지 않은 홈형태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는 제1부품유니트(40)와 제2부품유니트(42)가 설치된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40)와 제2부품유니트(42)는 각각이 일체로 된 것으로, 제1부품유니트(40)에는 주로 저전압용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제2부품유니트(42)에는 주로 고전압용 부품이 설치된다. 이들 제1부품유니트(40)와 제2부품유니트(42)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 체결구(44)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44)는 방진구(46)를 관통한다. 상기 방진구(46)는 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케이스(10)와 제1부품유니트(40)의 사이 그리고 제1부품유니트(40)와 체결구(44) 사이에 위치되어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40)와 제2부품유니트(42)에는 다수개의 와이어(48)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와이어(48)는 제1부품유니트(40)와 제2부품유니트(42)에 설치된 부품들과 외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48)와 연결되어 제1커넥터(50)가 상기 제1통공(28)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커넥터(50)의 외면 양측에는 레버연동돌기(52)가 있다. 즉 상기 제1커넥터(50)는 레버를 사용하여 상대 커넥터와 결합분리동작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5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커넥터(50)가 상대 커넥터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제1커넥터(50)와 측벽(13) 사이의 수밀상태가 손상되지 않고 제1커넥터(50)의 설치상태도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50)에는 플랜지(54)가 후단에 있다. 상기 플랜지(54)의 전면은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에 밀착된다. 상기 플랜지(54)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의 표면에 압착된다. 상기 제1커넥터(50)의 플랜지(54)에는 상기 제1체결공(30)을 관통한 제1체결구(56)가 체결된다. 사익 제1체결구(56)가 상기 제1체결공(30)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54)에 체결되면 상기 플랜지(54)는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에 상기 플랜지(54)가 밀착된다.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의 제2통공(36)을 관통하여서는 제2커넥터(60)의 와이어가 통과한다. 상기 제2커넥터(60)도 후단에 플랜지(62)가 있다. 상기 플랜지(62)의 배면은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에 안착된다. 상기 플랜지(62)에도 시일을 두어 상기 시일이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60)의 플랜지(52)를 제2체결구(64)가 관통하여 제2체결공(38)에 체결됨에 의해 제2커넥터(60)가 체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60)를 상기 측벽(13)의 외면에 형성된 제2커넥터안착면(34)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제2커넥터(60)의 상대 커넥터가 결합될 때 작용하는 힘이 상기 측벽(13)의 외면에 상기 제2커넥터(60)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제2커넥터(60)의 체결상태와 수밀상태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10)의 측벽(13)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가 설치된다.
먼저, 상기 제1커넥터(50)는 상기 측벽(13)의 내면에 형성된 제1커넥터안착부(32)에 플랜지(54)의 전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50)의 선단은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통공(3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측벽(13)의 외부에서 상기 제1체결공(30)을 관통하여 제1체결구(56)를 상기 제1커넥터(50)의 플랜지(54)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제1체결구(56)를 사용하여 제1커넥터(50)를 체결하면 상기 플랜지(54)에 설치된 시일이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의 표면에 밀착되어 수밀작용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50)는 회전하는 레버를 지렛대원리로 사용하여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이다. 상기 제1커넥터(50)가 상대 커넥터와 레버를 사용하여 결합될 때, 상기 제1커넥터(50)는 상기 측벽(13)의 전방을 향해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54)는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32)에 밀착되는 힘을 받게 되어 수밀상태를 더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커넥터(60)는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에 제2커넥터(60)의 플랜지(62)가 밀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체결공(38)에는 상기 플랜지(62)를 관통한 제2체결구(64)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통공(36)을 통해서는 상기 제2커넥터(60)에서 연장된 와이어(48)가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제2커넥터(60)의 플랜지(62)가 상기 제2체결구(64)의 체결력에 의해 제2커넥터안착부(34)에 밀착된다. 물론, 상기 플랜지(62)에 설치된 시일이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34)에 압착된다.
한편, 상기 제2커넥터(60)에는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즉, 상기 제2커넥터(60)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제2커넥터(60)는 상기 측벽(13)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커넥터(60)의 플랜지(62)는 제2커넥터안착부(34)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시일이 보다 더 압착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제2커넥터(60)와 제2커넥터안착부(34) 사이의 수밀작용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 입구는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데,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커버안착단(14)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시일채널(16)에 안착된 시일은 상기 커버의 표면에 밀착되어 수밀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안착단(14)중에서 커버안착면(24)에 밀착된다. 상기 커버안착면(24)에 상기 커버가 안착될 때,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진 케이스(10)의 해당 부분을 가공하여 매끈하게 한다. 즉 상기 커버안착면(24)을 가공면으로 만든다.
여기서, 상기 커버안착면(24)은 상기 커버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2) 둘레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공(22)의 부분에서 가장 체결력이 크게 작용하여 커버가 커버안착면(24)에 더 밀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공(22)의 주변중에서 최대 180도 정도의 범위에 걸쳐서 상기 커버안착면(24)을 형성하였다.
이는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와의 밀착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인데, 지나치게 넓은 면적에 걸쳐서 커버안착면(2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공시간이 많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설치와 관련된 구성과 상기 커버의 장착과 관련된 구성이 반드시 동시에 채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 들 구성이 별개로 채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을 차폐하는 커버도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커버안착단(14)에 가공이 가해진 부분과 맞닿는 커버의 부분에도 동일한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10: 케이스 12: 내부공간
14: 커버안착단 16: 시일채널
18: 스톱홈 20: 장착브라켓
22: 체결공 24: 커버안착면
26: 제1상대커넥터안착부 28: 제1통공
30: 제1체결공 32: 제1커넥터안착부
34: 제2커넥터안착부 36: 제2통공
38: 제2체결공 40: 제1부품유니트
42: 제2부품유니트 44: 체결구
46: 방진구 48: 와이어
50: 제1커넥터 52: 레버연동돌기
54: 플랜지 56: 제1체결구
60: 제2커넥터 62: 플랜지
64: 제2체결구

Claims (7)

  1.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외관을 구성하며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제1커넥터장착부에 플랜지가 밀착고정되어 설치되며 내외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의 측벽 외면에 형성된 제2커넥터장착부에 플랜지가 밀착고정되어 설치되며 내외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장착부와 제2커넥터장착부는 각각 케이스를 제작한 후에 가공된 가공면으로 되는 자동차용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인 측벽의 외면에는 제1상대커넥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장착부와 상기 제1상대커넥터장착부의 중앙에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의 주변을 둘러서는 제1체결공이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레버타입 커넥터이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대 커넥터가 내부로 직접 삽입되는 타입의 커넥터인 자동차용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후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안착부와의 사이에 시일을 두고 밀착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후단에도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안착부와의 사이에 시일을 두고 밀착되는 자동차용 블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커버가 안착되는 커버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안착단에는 상기 커버에 압착되는 시일이 안착되는 시일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안착단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체결되는 자동차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주변을 둘러서는 상기 커버가 밀착되는 커버밀착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밀착면은 가공면으로서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최대 180도 영역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150180183A 2015-12-16 2015-12-16 자동차용 블럭 KR20170071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83A KR20170071938A (ko) 2015-12-16 2015-12-16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83A KR20170071938A (ko) 2015-12-16 2015-12-16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938A true KR20170071938A (ko) 2017-06-26

Family

ID=5928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183A KR20170071938A (ko) 2015-12-16 2015-12-16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9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0713A (zh) * 2021-04-02 2022-10-14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的外壳和通信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0713A (zh) * 2021-04-02 2022-10-14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的外壳和通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4977B2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き取付部材
JP5194609B2 (ja) 機器用コネクタ
JP661095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240522B2 (ja) コネクタ
JP2009117306A (ja) 機器用コネクタ
KR101470276B1 (ko) 차량용 방수 커넥터
US8956172B2 (en) Device-connecting connector
JP2012128966A (ja) 防水コネクタ
CN108271427B (zh) 密封盖
KR101637721B1 (ko)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WO2015060112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4536444B2 (ja) 機器用コネクタ
US10218110B2 (en) Seal cover
WO201506011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500543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8098103A (ja) 機器用コネクタ
US10658788B2 (en) Cover with interlock connector
JP562610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604516B2 (ja) 防水コネクタ
KR20170071938A (ko) 자동차용 블럭
JP522958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270012B1 (ko) 일괄차폐 커넥터
JP4075718B2 (ja) シール構造
JP5672140B2 (ja) ゴム栓抜止部材の取付構造
JP540334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1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30

Effective date: 2019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