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71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718A
KR20170065718A KR1020150171534A KR20150171534A KR20170065718A KR 20170065718 A KR20170065718 A KR 20170065718A KR 1020150171534 A KR1020150171534 A KR 1020150171534A KR 20150171534 A KR20150171534 A KR 20150171534A KR 20170065718 A KR20170065718 A KR 2017006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s
terminals
dumm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209B1 (ko
Inventor
이동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1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209B1/ko
Priority to US15/208,247 priority patent/US9930784B2/en
Priority to CN201610997868.2A priority patent/CN107015407A/zh
Publication of KR2017006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1L51/5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01L27/3241
    • H01L27/327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8Terminals, e.g. bond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9Redundant conductors or connections, i.e. more than one current path between two poi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집적회로 칩이 배치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집적회로 칩과 중첩하며, 집적회로 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및 복수의 제1 더미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및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과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며, 제1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 사이에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기재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판의 주변 영역에 집적회로 칩이 실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집적회로 칩과 인쇄 회로 기판에 각각 연결되는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배선의 길이가 서로 달라 상대적으로 긴 연결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접한 연결 단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연결 단자들이 서로 단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패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의 길이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 지연을 줄이고, 서로 인접되어 있는 연결 단자들이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집적회로 칩이 배치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집적회로 칩과 중첩하며, 상기 집적회로 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및 복수의 제1 더미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제1 연결 단자들에 연결된 상기 제1 연결 배선들 각각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제1 연결 단자들과 상기 제2 연결 단자들 사이의 최단 거리의 100% ~ 200 % 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연결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2 더미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 단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연결 단자들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1 연결 배선들은, 서로 다른 제1 연결 단자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배치되는 집적회로 칩,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상기 집적회로 칩과 중첩하며, 상기 집적회로 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및 복수의 제3 더미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3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4 패드부 및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과 상기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3 더미 단자들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더미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제3 연결 단자들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 배선들 각각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제3 연결 단자들과 상기 제4 연결 단자들 사이의 최단 거리의 100% ~ 2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연결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4 패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4 더미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더미 단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제4 연결 단자들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은, 서로 다른 제3 연결 단자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가요성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에 의하면, 패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의 길이 차이를 줄여, 연결 배선들에 전달되는 신호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에서 인접한 연결 단자 사이에 더미 단자를 배치하여, 인접한 연결 단자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 패드부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3 및 제4 패드부의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 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기판(SUB), 표시 패널(100), 집적회로 칩(510), 제1 패드부(PA), 제2 패드부(PB) 및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배선들(LA)에 연결되는 제1 패드부(PA)의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일부인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사이에 제1 연결 배선(LA)이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배선(LA)이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 사이에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패드부(PA)와 제2 패드부(PB)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배선들(LA) 사이의 길이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SUB)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과 이웃하는 주변 영역(NDA)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DA)에는 빛을 발광하는 표시 패널(10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영역(NDA)에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칩(510), 제1 패드부(PA), 제2 패드부(PB), 표시 패널(100)과 제1 패드부(PA)를 연결하는 팬-아웃 배선(300) 및 복수의 제1 연결 배선(LA)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기판(SUB)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판(SUB)의 표시 영역(DA)에 형성되는 표시 패널(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은 제1 게이트 배선들(GW1), 제2 게이트 배선들(GW2), 데이터 배선들(DW), 화소들(150)을 포함하고, 화소들(150)은 표시부(140)에 위치한다.
게이트 구동부(210)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제어회로,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1 게이트 배선들(GW1) 또는 제2 게이트 배선들(GW2)에 포함된 제1 스캔 라인들(SC2~SC2n) 또는 제2 스캔 라인들(SC1~SC2n-1)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화소들(150)은 스캔 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순차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210)는 후술하는 집적회로 칩(510)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한 것이다.
제1 게이트 배선들(GW1)은 제1 절연층(GI1)을 사이에 두고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게이트 배선들(GW1)은 제2 스캔 라인(SC2n-1) 및 발광 제어 라인들(E1~En)을 포함한다.
제2 스캔 라인(SC2n-1)은 게이트 구동부(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구동부(210)로부터 스캔 신호를 공급받는다. 발광 제어 라인(En)은 발광 제어 구동부(220)와 연결되어 있으며, 발광 제어 구동부(220)로부터 발광 제어 신호를 공급받는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발광 제어 구동부(220)는 게이트 구동부(210)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집적회로 칩(510)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서 좌표를 나타내는 X 축은 제1 방향을, Y 축은 제2 방향을 나타낸다.
제2 게이트 배선들(GW2)은 제2 절연층(GI2)을 사이에 두고 제1 게이트 배선들(GW1) 상에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게이트 배선들(GW2)은 제1 스캔 라인(SC2n) 및 초기화 전원 라인(Vinit)을 포함한다.
제1 게이트 배선들(GW1)과 제2 게이트 배선들(GW2)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제1 스캔 라인(SC2n)은 게이트 구동부(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구동부(210)로부터 스캔 신호를 공급받는다. 초기화 전원 라인(Vinit)은 게이트 구동부(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구동부(210)로부터 초기화 전원을 인가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초기화 전원 라인(Vinit)이 게이트 구동부(210)로부터 초기화 전원을 인가받으나, 초기화 전원 라인(Vinit)이 추가적인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상기 추가적인 다른 구성으로부터 초기화 전원을 인가받을 수도 있다.
발광 제어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 등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발광 제어 라인(En)로 발광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화소들(150)은 발광 제어 신호에 의해 발광이 제어된다.
즉, 발광 제어 신호는 화소들(150)의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단, 발광 제어 구동부(220)는 화소들(150)의 내부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타이밍 제어부 등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배선들(DW) 중 데이터 라인(DAm)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라인(DAm)으로 공급된 데이터 신호는 제1 스캔 라인(SC2n) 또는 제2 스캔 라인(SC2n-1)으로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스캔 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150)로 공급된다. 그러면, 화소(150)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고 이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230)는 게이트 구동부(210)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집적회로 칩(510)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 배선들(DW)은 제3 절연층(ILD)을 사이에 두고 제2 게이트 배선들(GW2) 상에 위치하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데이터 배선들(DW)은 데이터 라인들(DA1~DAm) 및 구동 전원 라인(ELVDDL)을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DAm)은 데이터 구동부(230)와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구동부(23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구동 전원 라인(ELVDDL)은 후술할 외부의 제1 전원(EL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구동 전원 라인(ELVDDL)과 데이터 라인(DAm)은 상기 제3 절연층(ILD) 상에 동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구동 전원 라인(ELVDDL)과 데이터 라인(DA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원 라인(ELVDDL)은 제1 게이트 배선(GW1)과 동일 층으로, 데이터 라인(DAm)은 제2 게이트 배선(GW2)와 동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구동 전원 라인(ELVDDL)은 제2 게이트 배선(GW2)과 동일 층으로, 데이터 라인(DAm)은 제1 게이트 배선(GW1)와 동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제1 게이트 배선들(GW1), 제2 게이트 배선들(GW2) 및 데이터 배선들(DW)의 교차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들(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화소들(150)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 전류에 상응하는 휘도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는 제1 게이트 배선들(GW1), 제2 게이트 배선들(GW2) 및 데이터 배선들(DW) 각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화소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화소들(150)은 유기 발광 소자로 설명되나,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화소들(150)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표시 소자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140)의 유기 발광 소자는 화소 회로를 사이에 두고 외부의 제1 전원(ELVDD)과 연결되고, 제2 전원(ELVSS)과 연결된다. 제1 전원(ELVDD) 및 제2 전원(ELVSS) 각각은 구동 전원 및 공통 전원 각각을 표시부(140)의 화소들(150)로 공급하며, 화소들(150)은 화소들(150)로 공급된 구동 전원 및 공통 전원에 따라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를 통하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들(150)을 제1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서로 비중첩되어 있는 게이트 배선들인 제2 스캔 라인(SC2n-1) 및 발광 제어 라인(En)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배선들(GW1) 및 제1 스캔 라인(SC2n) 및 초기화 전원 라인(Vinit)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배선들(GW2) 각각이 모두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게이트 배선들인 제1 게이트 배선들(GW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W2) 각각이 제2 절연층(GI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이웃하는 게이트 배선들 간의 거리(W)를 좁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면적에 보다 많은 화소들(15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고해상도의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집적회로 칩(510)은 기판(SUB) 상의 주변 영역(NDA)에 위치한다. 집적회로 칩(510)은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적회로 칩(510)은 기판(SUB)의 주변 영역(NDA)에 칩온글라스(COG, Chip On Glass)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집적회로 칩(510)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스캔 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구동 회로 또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게이트 구동부(210) 또는 데이터 구동부(230)가 상기 집적회로 칩(5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집적회로 칩(510)은 기판(SUB)의 주변 영역(NDA)에 위치하는 제1 패드부(P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패드부(PA)는 집적회로 칩(510)과 중첩된다.
제1 패드부(PA)는 제1 노드(PA1)와 제2 노드(PA2)를 포함하며, 집적회로 칩(510)은 제1 노드(PA1) 및 제2 노드(PA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노드(PA1)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집적회로 칩(51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2 노드(PA2)는 집적회로 칩(51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표시 패널(100)로 전달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패드부(PA)는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과 복수의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과 복수의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은 전술한 도 1의 제1 노드(PA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은 일렬로 배치되어 집적회로 칩(510) 및 제1 연결 배선들(L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은 집적회로 칩(51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은 제1 패드부(PA)의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과 후술하는 제2 패드부(PB)의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 중 제1 연결 배선(LA1)은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IA3)와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중 제2 연결 단자(IB4)를 서로 연결하고,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 중 제1 연결 배선(LA2)은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IA3)와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중 제2 연결 단자(IB5)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 중 제1 연결 배선(LA3)은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IA4)와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중 제2 연결 단자(IB6)를 서로 연결하고,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 중 제1 연결 배선(LA4)은 은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IA4)와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중 제2 연결 단자(IB7)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 단자(IA3)에 두 개의 제1 연결 배선들(LA1, LA2)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IA4)에 두 개의 제1 연결 배선들(LA3, LA4)이 연결된다. 즉, 제1 패드부(PA)의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 배선(LA)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드부(PA)의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 배선(LA)이 연결되면, 외부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된 제1 연결 배선들(LA) 중 일부의 배선이 파손되어 신호가 전달되지 않더라도, 다른 배선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패드부(PB)는 제1 연결 배선들(LA)을 통해 제1 패드부(PA)와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부(PB)는 주변 영역(NDA)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드부(PA)에서는 제1 연결 배선들(LA)이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 사이에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 중 제1 더미 단자(DA1)와 제1 더미 단자(DA2) 사이에 제1 연결 단자들(IA4, IA5)이 배치된다. 또한,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 중 제1 더미 단자(DA2)와 제1 더미 단자(DA3) 사이에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들(IA6, IA7)이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더미 단자(DA1)와 상기 제1 더미 단자(DA2) 사이에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들(IA4, IA5)이 배치되면, 제1 연결 단자들(IA1∼ IA8)과 제2 연결 단자들(IB1∼IB15)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배선들(LA) 사이의 길이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만약, 도 4에서,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IA3)와 제1 연결 단자(IA4) 사이에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 중 제1 더미 단자(DA1)가 배치되지 않으면,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 중 제1 연결 배선(LA3) 및 제1 연결 배선(LA4)이 연결된 상기 제1 연결 단자(IA4)는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IA8) 중 제1 연결 단자(IA4)는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 중 제1 더미 단자(DA1)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1 더미 단자(DA1)가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제1 더미 단자(DA1)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의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LA) 중 제1 연결 배선(LA3) 및 제1 연결 배선(LA4)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IA3)와 제1 연결 단자(IA4) 사이에 제1 더미 단자(DA1)를 배치함으로써, 제1 연결 배선들(LA3, LA4)과 제1 연결 배선들(LA3, LA4)에 인접한 제1 연결 배선들(LA1, LA2) 사이의 길이 차이를 줄일 수 있다.제1 패드부(PA)와 제2 패드부(PB)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배선들(LA) 사이의 길이 차이가 커되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1 연결 배선들(LA)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어 신호는 지연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제1 연결 단자(IA3)와 제1 연결 단자(IA4) 사이에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 중 제1 더미 단자(DA1)를 배치하면,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더미 단자를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사이에 적절히 배치하면, 제1 연결 배선들(LA)의 길이를 인접한 제1 연결 단자들(IA1∼IA8)과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사이의 최단 거리(DL)에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배선들(LA)의 길이가 상기 최단 거리(DL)의 100%∼200%가 되도록,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일부인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사이에 제1 연결 배선들(LA)에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을 배치한다. 제1 연결 배선들(LA)의 길이가 상기 최단 거리(DL)에 대한 상기 범위로 배치되면, 제1 연결 배선들(LA)을 통해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변형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 패드부의 변형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패드부(PB)는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더미 단자들(DB1, D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더미 단자들(DB1, DB2)은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와 달리 상기 제1 연결 배선들(LA)이 연결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제2 더미 단자(DB1)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연결 단자들(IB5, IB6)에 각각 연결된 제1 연결 배선들(LA2, LA3)은 서로 다른 제1 연결 단자들(IA3, IA4)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중 제2 연결 단자(IB5)에 연결된 제1 연결 배선(LA2)은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IA8) 중 제1 연결 단자(IA3)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IB1∼IB15) 중 제2 연결 단자(IB6)에 연결된 제1 연결 배선(LA3)은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IA1∼IA8) 중 제1 연결 단자(IA4)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 단자(IB5)와 상기 제2 연결 단자(IB6)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각각 다른 경로, 즉 다른 제1 연결 배선들(LA2, LA3)을 통해 표시 패널 측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제2 연결 단자(IB5)와 상기 제2 연결 단자(IB6)가 서로 단락되면, 정확한 제어 신호를 표시 패널 측으로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2 연결 단자(IB5)와 상기 제2 연결 단자(IB6) 사이에 제2 더미 단자(DB1)를 배치하여, 상기 제2 연결 단자(IB5)와 상기 제2 연결 단자(IB6)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결 단자(IB5)와 상기 제2 연결 단자(IB6) 사이에 제2 더미 단자들(DB1, DB2) 중 제2 더미 단자(DB1)가 배치되면, 제1 연결 배선들(LA3, LA4)의 길이가 증가되어 인접한 제1 연결 배선들(LA1, LA2)과 길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 배선들(LA3, LA4)의 길이가 증가되어 신호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서와 달리 상기 제1 연결 단자(IA3)과 상기 제1 연결 단자(IA4) 사이에 두 개의 제1 더미 단자들(DA1, DA2)이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기판(SUB), 표시 패널(100), 베이스 필름(400), 집적회로 칩(530), 제3 패드부(PC), 제4 패드부(PD),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LB), 복수의 제3 연결 배선들(600)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결 배선들(LB)에 연결되는 제3 패드부(PC)의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일부인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사이에 제2 연결 배선들(LB)이 연결되지 않는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이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제2 연결 배선(LB)이 연결되지 않는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 사이에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패드부(PC)와 제4 패드부(PD)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들(LB) 사이의 길이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기판(SUB)의 주변 영역(NDA)의 일측 단부에는 가요성인 베이스 필름(400)이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400)에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집적회로 칩(53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필름(400)에 형성된 제5 패드부(P1)를 통해, 상기 베이스 필름(400)은 상기 기판(SUB)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적회로 칩(530)은 베이스 필름(400)에 형성되는 칩온필름(COF, Chip On Film)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집적회로 칩(530)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스캔 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구동 회로 또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게이트 구동부(210) 또는 데이터 구동부(230)가 상기 집적회로 칩(53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집적회로 칩(530)은 베이스 필름(400)에 위치하는 제3 패드부(PC)와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이때, 제3 패드부(PC)는 집적회로 칩(530)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제3 패드부(PC)는 제3 노드(PC1)와 제4 노드(PC2)를 포함하며, 집적회로 칩(530)은 제3 노드(PC1) 및 제4 노드(PC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노드(PC1)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집적회로 칩(5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4 노드(PC2)는 집적회로 칩(53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제3 연결 배선(600) 및 제5 패드부(P1)를 통해 표시 패널(100)로 전달한다.
제3 패드부(PC)는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과 복수의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과 복수의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은 전술한 도 6의 제3 노드(PC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은 일렬로 배치되어 집적회로 칩(530) 및 제2 연결 배선들(L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은 집적회로 칩(53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LB)은 제3 패드부(PC)의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과 제4 패드부(PD)의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LB) 중 제2 연결 배선(LB1)은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IC3)와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중 제4 연결 단자(ID4)를 서로 연결하고,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LB) 중 제2 연결 배선(LB2)은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IC3)와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중 제4 연결 단자(ID5)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LB) 중 제2 연결 배선(LB3)은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IC4)와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중 제4 연결 단자(ID6)를 서로 연결하고,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LB) 중 제2 연결 배선(LB4)은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IC4)와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중 제4 연결 단자(ID7)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3 패드부(PC)의 제3 연결단자들(IC1∼IC8)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연결 배선(LB)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패드부(PC)의 제3 연결단자들(IC1∼IC8)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연결 배선(LB)이 연결되면, 외부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4 패드부(PD)는 제2 연결 배선들(LB)을 통해 제3 패드부(PC)와 연결되는 것으로,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패드부(PD)는 베이스 필름(4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패드부(PC)에서는 제2 연결 배선들(LB)이 연결되지 않는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 사이에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 중 제3 더미 단자(DC1)와 제3 더미 단자(DC2) 사이에 제3 연결 단자들(IC4, IC5)이 배치된다. 또한,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 중 제3 더미 단자(DC2)와 제3 더미 단자(DC3) 사이에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들(IC6, IC7)이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더미 단자(DC1)와 상기 제3 더미 단자(DC2) 사이에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들(IC4, IC5)이 배치되면, 제3 연결 단자들(IC1∼IC8)과 제4 연결 단자들(ID1∼ID15)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들(LB) 사이의 길이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IC3)와 제3 연결 단자(IC4) 사이에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 중 제3 더미 단자(DC1)를 배치함으로써, 제2 연결 배선들(LB3, LB4)과 제2 연결 배선들(LB3, LB4)에 인접한 제2 연결 배선들(LB1, LB2) 사이의 길이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패드부(PC)와 제4 패드부(PD)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들(LB) 사이의 길이 차이가 증가되면, 제2 연결 배선들(LB)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어 신호는 지연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 연결 단자(IC3)와 제3 연결 단자(IC4) 사이에 제3 더미 단자(DC1)를 배치하면,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3 더미 단자를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사이에 적절히 배치하면, 제2 연결 배선들(LB)의 길이를 인접한 제3 연결 단자들(IC1∼IC8)과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사이의 최단 거리(DL)에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결 배선들(LB)의 길이가 상기 최단 거리(DL)의 100%∼200%가 되도록,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일부인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사이에 제2 연결 배선들(LB)이 연결되지 않는 제3 더미 단자들(DC1, DC2, DC3)을 배치한다. 제2 연결 배선들(LB)의 길이가 상기 최단 거리(DL)에 대한 상기 범위로 배치되면, 제2 연결 배선들(LB)을 통해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변형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의 제3 및 제4 패드부의 변형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패드부(PD)는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사이에 배치되는 제4 더미 단자들(DD1, DD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더미 단자들(DD1, DD2)은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과 달리 상기 제2 연결 배선들(LB)이 연결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제4 더미 단자(DD1)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제4 연결 단자들(ID5, ID6)에 각각 연결된 제2 연결 배선들(LB2, LB3)은 서로 다른 제3 연결 단자들(IC3, IC4)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중 제4 연결 단자(ID5)에 연결된 제2 연결 배선(LB2)은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IC3)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ID1∼ID15) 중 제4 연결 단자(ID6)에 연결된 제2 연결 배선(LB3)은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IC1∼IC8) 중 제3 연결 단자(IC4)에 연결된다.
상기 제4 연결 단자(ID5)와 상기 제4 연결 단자(ID6)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각각 다른 경로, 즉 다른 제2 연결 배선들(LB2, LB3)을 통해 표시 패널 측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제4 연결 단자(ID5)와 상기 제4 연결 단자(ID6)가 서로 단락되면, 정확한 제어 신호를 표시 패널 측으로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4 연결 단자(ID5)와 상기 제4 연결 단자(ID6) 사이에 제4 더미 단자(DD1)를 배치하여, 상기 제4 연결 단자(ID5)와 상기 제4 연결 단자(ID6)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연결 단자(ID5)와 상기 제4 연결 단자(ID6) 사이에 제4 더미 단자들(DD1, DD2) 중 제4 더미 단자(DD1)가 배치되면, 제2 연결 배선들(LB3, LB4)의 길이가 증가되어 인접한 제2 연결 배선들(LB1, LB2)과 길이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 배선들(LB3, LB4)의 길이가 증가되어 신호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서와 달리 상기 제3 연결 단자(IC3)과 상기 제3 연결 단자(IC4) 사이에 두 개의 제3 더미 단자들(DC1, DC2)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집적회로 칩과 연결되는 제1 패드부(PA)의 제1 연결 단자들(IA1∼ IA8) 중 일부인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사이에 제1 연결 배선들(LA)이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DA1, DA2, DA3)을 배치하여, 제1 연결 배선(LA)들 사이의 길이 차이를 줄여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SUB 기판
DA 표시 영역
NDA 주변 영역
LA 제1 연결 배선
LB 제2 연결 배선
PA 제1 패드부
PB 제2 패드부
PC 제3 패드부
PC 제4 패드부
IA1∼ IA8 제1 연결 단자
IC1∼IC8 제3 연결 단자
DA1, DA2, DA3 제1 더미 단자
DC1, DC2, DC3 제3 더미 단자
100 표시 패널
510, 530 집적회로 칩

Claims (13)

  1. 집적회로 칩이 배치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집적회로 칩과 중첩하며, 상기 집적회로 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및 복수의 제1 더미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1 더미 단자들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중 일부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제1 연결 단자들에 연결된 상기 제1 연결 배선들 각각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제1 연결 단자들과 상기 제2 연결 단자들 사이의 최단 거리의 100% ~ 200 % 인,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연결 배선이 연결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들은 일렬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2 더미 단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단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연결 단자들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1 연결 배선들은, 서로 다른 제1 연결 단자들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7.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배치되는 집적회로 칩;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상기 집적회로 칩과 중첩하며, 상기 집적회로 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및 복수의 제3 더미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3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4 패드부; 및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과 상기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3 더미 단자들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중 일부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더미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제3 연결 단자들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 배선들 각각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제3 연결 단자들과 상기 제4 연결 단자들 사이의 최단 거리의 100% ~ 200 % 이하인,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연결 배선이 연결되는,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단자들은 일렬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패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4 연결 단자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이 연결되지 않는 제4 더미 단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더미 단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제4 연결 단자들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은, 서로 다른 제3 연결 단자들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가요성인, 표시 장치.
KR1020150171534A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KR10237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34A KR102372209B1 (ko)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US15/208,247 US9930784B2 (en) 2015-12-03 2016-07-12 Display device having dummy terminals
CN201610997868.2A CN107015407A (zh) 2015-12-03 2016-11-11 具有虚设端子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34A KR102372209B1 (ko)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718A true KR20170065718A (ko) 2017-06-14
KR102372209B1 KR102372209B1 (ko) 2022-03-08

Family

ID=5879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534A KR102372209B1 (ko)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0784B2 (ko)
KR (1) KR102372209B1 (ko)
CN (1) CN1070154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988A1 (ko) * 2018-01-23 2019-08-01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회로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13988B2 (en) 2017-08-18 2020-07-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16622B2 (en) 2019-03-26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7479B (zh) 2017-11-15 2021-01-22 京东方(河北)移动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面板
CN109817164B (zh) * 2017-11-20 2020-10-27 上海视涯技术有限公司 Amoled显示面板和图像显示装置
CN108877520A (zh) * 2018-06-27 2018-11-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8803166B (zh) * 2018-07-06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组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346994B (zh) * 2019-07-23 2022-07-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面板
CN116567922A (zh) * 2022-01-29 2023-08-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印刷电路板和显示触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113A (ko) * 2011-09-22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117A (ja) * 1998-01-26 1999-08-06 Advanced Display Inc Tftアレイ基板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EP1092676B1 (en) * 1999-03-31 2008-01-02 Seiko Epson Corporation Narrow-pitch connector, electrostatic actuator, piezoelectric actuator, ink-jet head, ink-jet printer, micromachine, liquid crystal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2215059A (ja) * 2001-01-18 2002-07-3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
JP3708467B2 (ja) * 2001-09-26 2005-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KR100945585B1 (ko) 2003-06-12 2010-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835442B2 (ja) * 2003-09-24 2006-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34683B1 (ko) * 2004-06-28 2011-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022086A (ko) 2004-09-06 200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70002278A (ko) 2005-06-30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70063310A (ko) 2005-12-14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라인 검사 패드를 구비한 액정 표시 패널 및 이를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JP2009258655A (ja) * 2008-03-24 2009-11-05 Epson Imaging Devices Corp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83953B1 (ko) * 2010-12-27 2017-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826898B1 (ko) * 2011-05-26 2018-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MY167330A (en) * 2012-04-20 2018-08-16 Sharp Kk Display device
KR102260060B1 (ko) * 2013-11-22 2021-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113A (ko) * 2011-09-22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3988B2 (en) 2017-08-18 2020-07-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64497B2 (en) 2017-08-18 2021-1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35083B2 (en) 2017-08-18 2023-08-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9146988A1 (ko) * 2018-01-23 2019-08-01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회로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016622B2 (en) 2019-03-26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29236B2 (en) 2019-03-26 2022-08-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15407A (zh) 2017-08-04
US9930784B2 (en) 2018-03-27
KR102372209B1 (ko) 2022-03-08
US20170164478A1 (en)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209B1 (ko) 표시 장치
KR102482758B1 (ko) 표시 장치
KR102403234B1 (ko) 표시 장치
KR1020548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6927B1 (ko)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0805224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軟性部材
KR20180041301A (ko) 표시 장치
KR102569967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96739A (ko) 표시 장치
KR10230592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18426B1 (ko) 표시 장치
KR20160052922A (ko) 표시 장치
KR20180007738A (ko) 표시 장치
KR20230048267A (ko) 표시 장치
KR201500743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9168A (ko) 표시 장치
KR20170052719A (ko) 표시 장치
KR20180004881A (ko) 인쇄회로기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42963B1 (ko) 표시 장치
KR20190018296A (ko)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90079487A (ko) 패널 내장형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한 표시장치
US11476320B2 (en) Flat panel LED display
KR20220001050A (ko)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05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042657A (ko) 연성 필름 케이블을 가지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