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26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267A
KR20230048267A KR1020230039765A KR20230039765A KR20230048267A KR 20230048267 A KR20230048267 A KR 20230048267A KR 1020230039765 A KR1020230039765 A KR 1020230039765A KR 20230039765 A KR20230039765 A KR 20230039765A KR 20230048267 A KR20230048267 A KR 2023004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ath
driving
wir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이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267A/ko
Publication of KR2023004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IC, 상기 복수의 화소가 위치되어 있는 표시 영역 및 상기 구동 IC가 위치되어 있는 구동 IC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및 상기 구동 IC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구동 IC와 절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전원 전압이 전달되는 전원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등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는 전원 배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 전압을 인가받는다.
전원 배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 전압은 전원 배선 자체의 저항 등에 의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장치에 가까이 위치되는 화소는 충분한 전압 레벨의 전원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으나, 전원 장치에서 멀리 위치되는 화소는 전압 강하에 의하여 충분한 전압 레벨의 전원 전압을 인가받지 못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동일한 계조 레벨의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화소에 입력할 때, 화소의 위치에 따라 휘도가 달라지는 휘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휘도 편차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높여서 전원 배선에 인가함으로써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개선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IC, 상기 복수의 화소가 위치되어 있는 표시 영역 및 상기 구동 IC가 위치되어 있는 구동 IC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및 상기 구동 IC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구동 IC와 절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상기 표시 기판의 외곽 측으로부터 상기 구동 IC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표시 영역 쪽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 기판은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단변과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 영역은 상기 2개의 단변 중 어느 하나의 단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 IC 영역이 위치하는 단변 측에 위치되어 있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구동 IC 영역을 가로질러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경로 배선,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구동 IC 영역을 가로지르지 않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로 배선,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구동 IC 영역의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경로 배선 및 상기 제2 경로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경로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경로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4 경로 배선, 및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제4 경로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5 경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IC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구동 IC와 절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제2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2 전원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양단이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경로 배선, 상기 제3 경로 배선 및 상기 제2 경로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6 경로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경로 배선은 상기 제1 경로 배선을 따라 상기 구동 IC 영역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양단이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을 따라 위치되어 있는 제7 경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IC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범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출력 범퍼, 및 상기 표시 기판 위에서 상기 복수의 입력 범퍼 및 상기 복수의 출력 범퍼에 지지되는 IC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IC 몸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데이터 라인 영역 및 전원 라인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입력 범퍼 및 상기 복수의 출력 범퍼가 위치되고, 상기 전원 라인 영역은 상기 제1 경로 배선 및 상기 제6 경로 배선이 위치되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로 배선 및 상기 제6 경로 배선은 상기 IC 몸체와 상기 표시 기판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로 배선과 상기 제6 경로 배선을 덮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제1 전원 배선,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범퍼,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출력 범퍼, 및 상기 복수의 입력 범퍼와 상기 복수의 출력 범퍼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전원 배선 위에 위치되어 있는 IC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제2 전원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IC 몸체는 상기 제2 전원 배선 위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IC 몸체와 상기 표시 기판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입력 범퍼 및 상기 복수의 출력 범퍼의 높이에 대응하는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제1 전원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상기 IC 몸체와 상기 표시 기판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배선을 덮고, 상기 제1 전원 배선, 상기 제2 전원 배선 및 상기 IC 몸체를 서로 절연시키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원 입력 범퍼, 상기 제1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원 출력 범퍼, 및 상기 IC 몸체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1 전원 출력 범퍼를 연결하는 제1 전원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전원 입력 범퍼, 상기 제2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전원 출력 범퍼, 및 상기 IC 몸체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2 전원 출력 범퍼를 연결하는 제2 전원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1 전원 출력 범퍼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단선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2 전원 출력 범퍼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단선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구동 IC 및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 IC 및 전원 배선을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구동 IC 및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동 IC 및 전원 배선을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휘도 편차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휘도 편차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110), 표시 기판(110) 위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 표시 기판(110) 위에 위치되어 있는 제1 전원 배선(150)과 제2 전원 배선(160), 제1 전원 배선(150)과 제2 전원 배선(160)에 연결되어 있는 패드부(180)를 포함한다.
표시 기판(110)은 표시 영역(120) 및 비표시 영역(130)으로 구분될 수 있고, 비표시 영역(130)은 구동 IC 영역(140)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120)은 복수의 화소(PX)가 위치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130)은 표시 영역(120)의 주변 영역이다. 구동 IC 영역(140)은 복수의 화소(PX)의 구동을 위한 구동 IC(도 2 또는 도 4 참조)가 위치되는 영역이다. 도 2 또는 도 4에 예시한 구동 IC(200)가 구동 IC 영역(140)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구동 IC 영역(140)의 크기는 구동 IC(200)의 IC 몸체(240)의 크기에 일치할 수 있다. 구동 IC 영역(140)은 비표시 영역(1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IC 영역(140)은 표시 영역(12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표시 기판(110)은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단변(SS)과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장변(LS)을 가지는 기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각형의 기판일 수 있다. 이때, 구동 IC 영역(140)은 어느 하나의 단변(SS) 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하, 표시 기판(110)의 장변(LS)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y)이라 하고, 표시 기판(110)의 단변(SS)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x)이라 한다. 제2 방향(x)은 제1 방향(y)에 수직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제1 방향(y)을 세로 방향이라 하고, 제2 방향(x)을 가로 방향이라 할 수 있다.
패드부(180)는 표시 기판(110)에서 구동 IC 영역(140)이 위치하는 단변(SS) 측에 위치되어 있다. 구동 IC 영역(140)은 패드부(180)와 표시 영역(12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패드부(180)는 구동 IC 영역(140)이 위치하는 단변(SS) 측에 일렬로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 패드(P1, P2, P3, Pj-1, Pj, Pj+1, Pn-2, Pn-1, Pn)를 포함한다. 이하, 복수의 연결 패드(P1, P2, P3, Pj-1, Pj, Pj+1, Pn-2, Pn-1, Pn)는 단변(SS)을 따라 좌측부터 우측으로 일렬로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한다.
패드부(18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연결되고, FPCB를 통해 외부의 전원 장치에서 생성된 제1 전원 전압 및 제2 전원 전압을 전달받는다. 제1 전원 전압 및 제2 전원 전압은 패드부(180)를 통해 제1 전원 배선(150) 및 제2 전원 배선(160)에 전달된다.
제1 전원 배선(150)은 복수의 화소(PX)의 구동을 위한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이다. 제2 전원 배선(160)은 복수의 화소(PX)의 구동을 위한 제2 전원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이다. 제1 전원 전압은 하이 레벨 전압일 수 있으며, 제2 전원 전압은 제1 전원 전압보다 낮은 로우 레벨 전압일 수 있다.
제1 전원 배선(150)은 제1 경로 배선(151), 제2 경로 배선(152, 152'), 제3 경로 배선(153), 제4 경로 배선(154) 및 제5 경로 배선(155)을 포함한다.
제1 경로 배선(151)은 제j 연결 패드(Pj)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j 연결 패드(Pj)에는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제1 경로 배선(151)은 제j 연결 패드(Pj)로부터 제1 방향(y)으로 연장되어 구동 IC 영역(140)과 중첩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1 경로 배선(151)은 대체적으로 구동 IC 영역(14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제1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경로 배선(151)은 표시 기판(110)의 외곽 측, 즉 구동 IC 영역(140)이 위치하는 단변(SS)으로부터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질러 표시 영역(120) 측으로 연장된다. 제1 경로 배선(151)의 일부는 구동 IC 영역(140)과 중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중첩한다는 것은 표시 기판(110)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경로 배선(152, 152')은 비표시 영역(130)에서 구동 IC 영역(140)의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하나의 제2 경로 배선(152)과 구동 IC 영역(140)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제2 경로 배선(152')을 포함한다.
좌측의 제2 경로 배선(152)은 제2 연결 패드(P2)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2 연결 패드(P2)에는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좌측의 제2 경로 배선(152)은 제2 연결 패드(P2)로부터 제1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된다.
우측의 제2 경로 배선(152')은 제n-1 연결 패드(Pn-1)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n-1 연결 패드(Pn-1)에는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우측의 제2 경로 배선(152')은 제n-1 연결 패드(Pn-1)로부터 제1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된다.
제2 경로 배선(152, 152')은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르지 않고 구동 IC 영역(140)의 양 옆을 빗겨서 제1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된다. 즉, 제2 경로 배선(152, 152')은 구동 IC 영역(140)에 위치되지 않는다.
제3 경로 배선(153)은 비표시 영역(130)에서 표시 영역(120)의 일변을 따라 위치된다. 즉, 제3 경로 배선(153)은 표시 영역(120)과 구동 IC 영역(140) 사이에서 제2 방향(x)으로 연장된다. 제3 경로 배선(153)은 제1 경로 배선(151) 및 제2 경로 배선(152, 152')에 연결된다.
제4 경로 배선(154)은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120)에서 제1 방향(y)으로 연장된다. 표시 영역(120)에는 복수의 제4 경로 배선(154)이 포함된다. 복수의 제4 경로 배선(154)은 표시 영역(120)에서 제2 방향(x)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5 경로 배선(155)은 표시 영역(120)에서 제2 방향(x)으로 연장된다. 표시 영역(120)에는 복수의 제5 경로 배선(155)이 포함되며, 복수의 제5 경로 배선(155)은 표시 영역(120)에서 제1 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4 경로 배선(154)과 제5 경로 배선(155)은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표시 영역(120)에서 복수의 제4 경로 배선(154)과 복수의 제5 경로 배선(155)은 서로 연결되어 메시(mesh) 형태의 배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120)에 위치되는 복수의 화소(PX)는 복수의 제4 경로 배선(154) 또는 복수의 제5 경로 배선(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제1 전원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제2 전원 배선(160)은 제6 경로 배선(161, 161') 및 제7 경로 배선(162)을 포함한다.
제6 경로 배선(161, 161')은 제1 경로 배선(151)의 좌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6 경로 배선(161) 및 제1 경로 배선(151)의 우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제6 경로 배선(161')을 포함한다.
좌측의 제6 경로 배선(161)은 제3 연결 패드(P3)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j-1 연결 패드(Pj-1)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3 연결 패드(P3) 및 제j-1 연결 패드(Pj-1)에는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좌측의 제6 경로 배선(161)은 제1 경로 배선(151), 제3 경로 배선(153) 및 좌측의 제2 경로 배선(152)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우측의 제6 경로 배선(161')은 제j+1 연결 패드(Pj+1)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n-2 연결 패드(Pn-2)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j+1 연결 패드(Pj+1) 및 제n-2 연결 패드(Pn-2)에는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우측의 제6 경로 배선(161')은 제1 경로 배선(151), 제3 경로 배선(153) 및 우측의 제2 경로 배선(152')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6 경로 배선(161, 161')은 제1 경로 배선(151)의 좌우측에서 제1 경로 배선(151)을 따라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른다. 즉, 제6 경로 배선(161, 161')의 일부는 구동 IC 영역(140)에 위치된다.
제7 경로 배선(162)은 제1 연결 패드(P1)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n 연결 패드(Pn)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1 연결 패드(P1) 및 제n 연결 패드(Pn)에는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제7 경로 배선(162)은 제6 경로 배선(161, 161')이 위치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표시 영역(120)의 외곽을 따라 위치되어 있다.
표시 영역(120)에 위치되는 복수의 화소(PX)는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은 표시 영역(120)의 외곽을 따라 위치되어 있는 제6 경로 배선(161, 161') 또는 제7 경로 배선(16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제2 전원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제1 전원 배선(150) 및 제2 전원 배선(160)이 위치되어 있는 표시 기판(110) 위에 장착되는 구동 IC(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구동 IC(200) 및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복수의 입력 범퍼(241), 제1 경로 배선(151) 및 제6 경로 배선(161, 161')의 단면은 도 3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도면은 생략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구동 IC(200)는 IC 몸체(240), 복수의 입력 범퍼(input bumper)(241) 및 복수의 출력 범퍼(output bumper)(242)를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범퍼(241)는 복수의 입력 배선(17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입력 배선(171)은 패드부(180)와 구동 IC(200)의 복수의 입력 범퍼(241)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패드부(180), 복수의 입력 배선(171) 및 복수의 입력 범퍼(241)를 통해 영상 데이터 신호가 IC 몸체(240)로 입력된다. 복수의 입력 범퍼(241)는 표시 기판(110) 위에서 IC 몸체(240)를 지지한다.
복수의 출력 범퍼(242)는 복수의 출력 배선(17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 배선(172)은 표시 영역(120)에 위치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과 구동 IC(200)의 복수의 출력 범퍼(242)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은 복수의 화소(PX)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 범퍼(242)는 표시 기판(110) 위에서 IC 몸체(240)를 지지한다.
IC 몸체(240)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생성한다. IC 몸체(240)는 영상 데이터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C 몸체(240)는 생성된 데이터 전압을 복수의 출력 범퍼(242)를 통해 출력한다. 복수의 출력 범퍼(242), 복수의 출력 배선(172)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복수의 화소(PX)에 전달된다.
IC 몸체(240)는 제2 방향(x)으로 데이터 라인 영역(DL) 및 전원 라인 영역(PL)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영역(DL)은 복수의 입력 범퍼(241) 및 복수의 출력 범퍼(242)가 위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데이터 라인 영역(DL) 내에서 복수의 입력 범퍼(241)는 제2 방향(x)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영역(DL) 내에서 복수의 출력 범퍼(242)는 제2 방향(x)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전원 라인 영역(PL)은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르는 제1 전원 배선(150) 및 제2 전원 배선(160)이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라인 영역(PL)은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르는 제1 경로 배선(151)과 제6 경로 배선(161, 161')이 위치되는 영역에 대응된다. 전원 라인 영역(PL)에는 입력 범퍼(241) 및 출력 범퍼(242)가 위치되지 않는다. 다만, 전원 라인 영역(PL)에는 복수의 입력 범퍼(241) 또는 복수의 출력 범퍼(242)와 같이 일렬로 위치되는 복수의 더미 범퍼(미도시)가 위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더미 범퍼는 제1 경로 배선(151) 및 제6 경로 배선(161, 161')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IC 몸체(240)는 표시 기판(110) 위에서 복수의 입력 범퍼(241) 및 복수의 출력 범퍼(242)로 지지된다. IC 몸체(240)와 표시 기판(110) 사이에는 복수의 입력 범퍼(241) 및 복수의 출력 범퍼(242)의 제3 방향(z)의 높이에 대응하는 공간(S)이 존재하게 된다. 표시 기판(110) 위에 위치되는 제1 경로 배선(151)과 제6 경로 배선(161, 161')은 전원 라인 영역(PL)에 존재하는 공간(S)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제1 경로 배선(151)과 제6 경로 배선(161, 161')의 높이는 제3 방향(z)으로의 폭을 의미한다. 제1 경로 배선(151)과 제6 경로 배선(161, 161') 위에는 제1 경로 배선(151)과 제6 경로 배선(161, 161')을 덮는 절연막(190)이 위치된다. 절연막(190)은 구동 IC(200), 제1 경로 배선(151) 및 제6 경로 배선(161, 161')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절연막(190)은 유기 절연막 또는 무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C 몸체(240)와 표시 기판(110) 사이의 공간(S)에서 제1 경로 배선(151), 제6 경로 배선(161, 161') 및 절연막(190)이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공기 등이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기판(110) 위에서 구동 IC 영역(140)을 지나가는 제1 전원 배선(150)과 제2 전원 배선(160)은 구동 IC(200)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구동 IC 영역(140)에 위치되는 구동 IC(200),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질러 위치되는 제1 전원 배선(150) 및 제2 전원 배선(16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3과 비교하여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구동 IC(200) 및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전원 입력 범퍼(251), 제1 전원 연결 배선(271) 및 제1 전원 출력 범퍼(252)의 단면은 도 5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도면은 생략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구동 IC(200)는 IC 몸체(240), 복수의 입력 범퍼(241), 복수의 출력 범퍼(242), 복수의 더미 범퍼 및 범퍼 연결 배선을 포함한다. 복수의 더미 범퍼는 구동 IC(200)의 영상 데이터 신호의 입력 및 데이터 전압의 출력과 무관한 범퍼이다.
복수의 더미 범퍼는 제1 전원 입력 범퍼(251), 제1 전원 출력 범퍼(252), 제2 전원 입력 범퍼(261) 및 제2 전원 출력 범퍼(262)를 포함한다. 제1 전원 입력 범퍼(251), 제1 전원 출력 범퍼(252), 제2 전원 입력 범퍼(261) 및 제2 전원 출력 범퍼(262)는 전원 라인 영역(PL)에 위치되어 있다.
제1 전원 입력 범퍼(251) 및 제1 전원 출력 범퍼(252)는 제1 경로 배선(151) 위에 위치되고, 제1 경로 배선(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구동 IC 영역(140) 중에서 제1 전원 입력 범퍼(251)와 제1 전원 출력 범퍼(252)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1 경로 배선(151)이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경로 배선(151)은 구동 IC 영역(140)의 바깥으로부터 제1 전원 입력 범퍼(251)와 제1 전원 출력 범퍼(252)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까지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경로 배선(151)은 구동 IC 영역(140) 내에서 단선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전원 입력 범퍼(261)는 제1 전원 입력 범퍼(251)의 좌우측에 하나씩 위치되고, 제2 전원 출력 범퍼(262)는 제1 전원 출력 범퍼(252)의 좌우측에 하나씩 위치된다. 제2 전원 입력 범퍼(261) 및 제2 전원 출력 범퍼(262)는 제6 경로 배선(161, 161') 위에 위치되고, 제6 경로 배선(161, 1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구동 IC 영역(140) 중에서 제2 전원 입력 범퍼(261)와 제2 전원 출력 범퍼(262) 사이에는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6 경로 배선(161, 161')이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6 경로 배선(161, 161')은 구동 IC 영역(140)의 바깥으로부터 제2 전원 입력 범퍼(261)와 제2 전원 출력 범퍼(262)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까지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6 경로 배선(161, 161')은 구동 IC 영역(140) 내에서 단선되어 있을 수 있다.
범퍼 연결 배선은 제1 전원 연결 배선(271) 및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을 포함한다. 제1 전원 연결 배선(271) 및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은 전원 라인 영역(PL)에서 IC 몸체(240)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 배선(271)과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은 IC 몸체(240)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되지만, 구동 IC(200)의 구동 회로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1 전원 연결 배선(271)은 제1 전원 입력 범퍼(251)와 제1 전원 출력 범퍼(252)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은 제1 전원 연결 배선(271)의 좌우측에 하나씩 위치되고, 제2 전원 입력 범퍼(261)와 제2 전원 출력 범퍼(262)를 서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동 IC 영역(140)에서 단선되어 있는 제1 경로 배선(151)이 제1 전원 입력 범퍼(251), 제1 전원 연결 배선(271) 및 제1 전원 출력 범퍼(25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IC 영역(140)에서 단선되어 있는 제6 경로 배선(161, 161')이 제2 전원 입력 범퍼(261), 제2 전원 연결 배선(272) 및 제2 전원 출력 범퍼(26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 배선(271)과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은 구동 IC(200)의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경로 배선(151) 및 제2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6 경로 배선(161, 16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1 전원 연결 배선(271)과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은 제1 전원 배선(150)과 제2 전원 배선(160)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1 전원 배선(150)은 제1 전원 연결 배선(271)을 통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질러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전원 배선(160)은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을 통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질러 제2 전원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에서는 제1 경로 배선(151)과 제6 경로 배선(161, 161')이 구동 IC 영역(140) 내에서 단선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경로 배선(151)과 제6 경로 배선(161, 161')은 구동 IC 영역(140) 내에서 단선되지 않고 도 2에서와 같이 제1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전원 연결 배선(271)과 제2 전원 연결 배선(27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비교하여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과 비교하여, 제1 전원 배선(150)은 3개의 제1 경로 배선(151-1, 151-2, 151-3)을 포함하고, 제2 전원 배선(160)은 4개의 제6 경로 배선(161-1, 161-2, 161-3, 161-4)을 포함하며, 패드부(180)는 제1 전원 배선(150) 또는 제2 전원 배선(160)에 연결되는 더 많은 수의 연결 패드(P1, P2, P3, Pi-1, Pi, Pi+1, Pj-1, Pj, Pj+1, Pk-1, Pk, Pk+1, Pn-2, Pn-1, Pn)를 포함한다.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1 경로 배선(151-2)은 제j 연결 패드(Pj)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중앙의 제1 경로 배선(151-2)은 제j 연결 패드(Pj)로부터 제1 방향(y)으로 연장되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른다.
좌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제1 경로 배선(151-1)은 제i 연결 패드(Pi)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좌측의 제1 경로 배선(151-1)은 제i 연결 패드(Pi)로부터 제1 방향(y)으로 연장되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른다.
우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제1 경로 배선(151-3)은 제k 연결 패드(Pk)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3 경로 배선(153)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우측의 제1 경로 배선(151-3)은 제k 연결 패드(Pk)로부터 제1 방향(y)으로 연장되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른다.
제i 연결 패드(Pi), 제j 연결 패드(Pj) 및 제k 연결 패드(Pk)에는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좌측의 제2 경로 배선(152)과 좌측의 제1 경로 배선(151-1)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6 경로 배선(161-1)은 제3 연결 패드(P3)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i-1 연결 패드(Pi-1)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6 경로 배선(161-1)은 좌측의 제2 경로 배선(152), 제3 경로 배선(153) 및 좌측의 제1 경로 배선(151-1)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좌측의 제1 경로 배선(151-1)과 중앙의 제1 경로 배선(151-2)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제6 경로 배선(161-2)은 제i+1 연결 패드(Pi+1)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j-1 연결 패드(Pj-1)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6 경로 배선(161-2)은 좌측의 제1 경로 배선(151-1), 제3 경로 배선(153) 및 중앙의 제1 경로 배선(151-2)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중앙의 제1 경로 배선(151-2)과 우측의 제1 경로 배선(151-3) 사이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제6 경로 배선(161-3)은 제j+1 연결 패드(Pi+1)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k-1 연결 패드(Pk-1)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6 경로 배선(161-3)은 중앙의 제1 경로 배선(151-2), 제3 경로 배선(153) 및 우측의 제1 경로 배선(151-3)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우측의 제1 경로 배선(151-3)과 우측의 제2 경로 배선(152') 사이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제6 경로 배선(161-4)은 제k+1 연결 패드(Pk+1)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제n-2 연결 패드(Pn-2)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한다. 제6 경로 배선(161-4)은 우측의 제1 경로 배선(151-3), 제3 경로 배선(153) 및 우측의 제2 경로 배선(152')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3 연결 패드(P3), 제i-1 연결 패드(Pi-1), 제i+1 연결 패드(Pi+1), 제j-1 연결 패드(Pj-1), 제j+1 연결 패드(Pj+1), 제k-1 연결 패드(Pk-1), 제k+1 연결 패드(Pk+1) 및 제n-2 연결 패드(Pn-2)에는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경로 배선(151-1, 151-2, 151-3) 및 제2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6 경로 배선(161-1, 161-2, 161-3, 161-4)을 더욱 많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4의 구동 IC(200)는 제1 경로 배선(151-1, 151-2, 151-3) 및 제6 경로 배선(161-1, 161-2, 161-3, 161-4)의 위치에 대응하여 3개의 전원 라인 영역(PL)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전원 라인 영역(PL)에서 구동 IC(200)의 구조는 도 2 또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동 IC(20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PX)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1), 구동 트랜지스터(M2), 저장 커패시터(C1)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 라인(Gi)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데이터 라인(Dj)에 연결되어 있는 일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M2)에 연결되어 있는 타 전극을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 라인(Gi)에 인가되는 게이트 온 전압의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 온되고, 데이터 라인(Dj)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M2)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2)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1)의 타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전압(ELVDD)에 연결되어 있는 일 전극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되어 있는 타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2)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여 제1 전원 전압(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저장 커패시터(C1)는 제1 전원 전압(ELVDD)에 연결되어 있는 일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타 전극을 포함한다. 저장 커패시터(C1)는 구동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압을 저장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M2)의 타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EL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의 빛을 낼 수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M2)를 통해 흐르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삼원색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삼원색의 공간적 합 또는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기본색으로 적색, 녹색, 청색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화소(PX)는 황색(yellow),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등의 기본색 중 하나의 빛을 낼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화소는 기본색의 혼합색 또는 백색의 빛을 낼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전원 배선(150)은 화소(PX)에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ELVDD)을 전달하고, 제2 전원 배선(160)은 화소(PX)에 인가되는 제2 전원 전압(ELVSS)을 전달한다.
도 7에서 상술한 화소(PX)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제한이 아니다. 실질적으로, 다양한 구조의 화소(PX)가 표시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질러 제1 전원 배선(150) 및 제2 전원 배선(160)을 위치하는 경우에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및 휘도 편차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제1 전원 배선(150) 및 제2 전원 배선(160)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지르지 않도록 위치되는 비교예의 경우에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및 휘도 편차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영역(120) 전체에서 제1 전원 전압의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경로 배선(151)과 제2 경로 배선(152, 152')이 위치되어 있는 부분(HP1)에서 제1 전원 전압의 레벨이 높게 나타나고, 제1 경로 배선(151)과 제2 경로 배선(152, 152')이 위치되는 부분(HP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전원 전압의 레벨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 전원 전압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의 차이인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값은 0.1570V로 측정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영역(120) 전체에서 제2 전원 전압의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6 경로 배선(161, 161')이 위치되어 있는 부분(LP1)에서 제2 전원 전압의 레벨이 낮게 나타나고, 제6 경로 배선(161, 161')이 위치되는 부분(LP1)에서 멀어질수록 제2 전원 전압의 레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제7 경로 배선(162)이 표시 영역의 외곽에 위치되므로, 제2 전원 전압의 최소 레벨은 표시 영역(120) 내에 나타난다.
제2 전원 전압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의 차이인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값은 2.8497V로 측정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휘도 편차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영역(120) 전체에서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경로 배선(151)과 제2 경로 배선(152, 152')이 위치되어 있는 부분(HP1)에서 휘도가 높게 나타나고, 제1 경로 배선(151)과 제2 경로 배선(152, 152')이 위치되는 부분(HP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표시 영역(120) 중앙의 휘도는 358.77cd/cm2이고, 최대 휘도는 458.28cd/cm2이고, 최소 휘도는 336.32cd/cm2으로 측정되었으며, 휘도의 균일율은 79.27%로 산출되었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전원 전압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의 차이인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값은 0.2455V로 측정되었다. 도 8과 비교하여, 제1 경로 배선(151)이 위치되지 않음으로 인해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가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전원 전압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의 차이인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 값은 2.9870V로 측정되었다. 도 9와 비교하여, 제2 전원 배선(160)이 구동 IC 영역(140)을 가로질러 위치되지 않음으로 인해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가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3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휘도 편차를 실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120) 중앙의 휘도는 341.96cd/cm2이고, 최대 휘도는 458.78cd/cm2이고, 최소 휘도는 288.42cd/cm2으로 측정되었으며, 휘도의 균일율은 73.80%로 산출되었다. 도 10과 비교하여, 휘도의 균일율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알 수 있듯이, 제1 전원 배선(150) 및 제2 전원 배선(160)을 구동 IC 영역(140)에도 추가적으로 위치함으로써,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고, 휘도의 균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가 줄어듦으로써,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의 전압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표시 기판
120: 표시 영역
130: 비표시 영역
140: 구동 IC 영역
150: 제1 전원 배선
160: 제2 전원 배선
180: 패드부

Claims (16)

  1.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IC;
    상기 복수의 화소가 위치되어 있는 표시 영역 및 상기 구동 IC가 위치되어 있는 구동 IC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및
    상기 구동 IC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구동 IC와 절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 및
    상기 구동 IC 영역이 위치하는 단변 측에 위치되어 있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구동 IC 영역을 가로질러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경로 배선;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구동 IC 영역을 가로지르지 않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로 배선;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구동 IC 영역의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경로 배선 및 상기 제2 경로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경로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단변과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 영역은 상기 2개의 단변 중 어느 하나의 단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영역이 위치하는 단변 측에 위치되어 있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경로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4 경로 배선; 및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제4 경로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5 경로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구동 IC와 절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한 제2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2 전원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양단이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경로 배선, 상기 제3 경로 배선 및 상기 제2 경로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6 경로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경로 배선은 상기 제1 경로 배선을 따라 상기 구동 IC 영역을 가로지르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양단이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을 따라 위치되어 있는 제7 경로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범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출력 범퍼; 및
    상기 표시 기판 위에서 상기 복수의 입력 범퍼 및 상기 복수의 출력 범퍼에 지지되는 IC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IC 몸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데이터 라인 영역 및 전원 라인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입력 범퍼 및 상기 복수의 출력 범퍼가 위치되고, 상기 전원 라인 영역은 상기 제1 경로 배선 및 상기 제6 경로 배선이 위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배선 및 상기 제6 경로 배선은 상기 IC 몸체와 상기 표시 기판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배선과 상기 제6 경로 배선을 덮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제1 전원 배선;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범퍼;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출력 범퍼; 및
    상기 복수의 입력 범퍼와 상기 복수의 출력 범퍼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전원 배선 위에 위치되어 있는 IC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원 입력 범퍼;
    상기 제1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원 출력 범퍼; 및
    상기 IC 몸체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1 전원 출력 범퍼를 연결하는 제1 전원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 위에 위치되어 있는 제2 전원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IC 몸체는 상기 제2 전원 배선 위에 위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배선을 덮고, 상기 제1 전원 배선, 상기 제2 전원 배선 및 상기 IC 몸체를 서로 절연시키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전원 입력 범퍼;
    상기 제2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전원 출력 범퍼; 및
    상기 IC 몸체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2 전원 출력 범퍼를 연결하는 제2 전원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1 전원 출력 범퍼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단선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범퍼와 상기 제2 전원 출력 범퍼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단선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230039765A 2015-12-03 2023-03-27 표시 장치 KR2023004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765A KR20230048267A (ko) 2015-12-03 2023-03-27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47A KR20170065713A (ko)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KR1020230039765A KR20230048267A (ko) 2015-12-03 2023-03-27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447A Division KR20170065713A (ko)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67A true KR20230048267A (ko) 2023-04-11

Family

ID=588003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447A KR20170065713A (ko)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KR1020230039765A KR20230048267A (ko) 2015-12-03 2023-03-27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447A KR20170065713A (ko) 2015-12-03 2015-12-0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770006B2 (ko)
KR (2) KR20170065713A (ko)
CN (1) CN1068471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713A (ko) 2015-12-03 2017-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544711B (zh) * 2019-08-13 2022-09-2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10025167A (ko) * 2019-08-26 2021-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030482A4 (en) * 2019-11-15 2022-09-2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11883509A (zh) * 2020-07-30 2020-11-0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US20230011187A1 (en) * 2021-07-09 2023-01-12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ynamic compensation of power supply voltages for different sections of display area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603B1 (ko) * 2001-04-09 2003-07-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구동 아이씨 연결부
JP2003157020A (ja) * 2001-11-22 2003-05-30 Advanced Display Inc フレキシブル基板の実装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4443140B2 (ja) * 2003-04-25 2010-03-3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0591798B1 (ko) 2003-06-27 2006-06-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능동 구동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 패널
JP2005062582A (ja) * 2003-08-18 2005-03-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TW594323B (en) * 2003-10-21 2004-06-2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system conductive line structure
KR100579195B1 (ko) * 2004-01-05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5268282A (ja) * 2004-03-16 2005-09-29 Nec Corp 半導体チップの実装体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583138B1 (ko) * 2004-10-08 2006-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KR101127856B1 (ko) 2005-10-18 2012-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07064689A1 (en) * 2005-12-02 2007-06-07 Nitronex Corporation Gallium nitride material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7839083B2 (en) * 2007-02-08 2010-11-23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911972B1 (ko) * 2007-10-24 2009-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09208361A (ja) 2008-03-04 2009-09-17 Sony Corp サーマルヘッド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WO2011122280A1 (en) * 2010-03-31 2011-10-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KR101755441B1 (ko) 2010-12-14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101903566B1 (ko) * 2011-10-26 2018-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1484642B1 (ko) * 2012-10-24 2015-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13611B1 (ko) 2013-10-01 2020-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US10403197B2 (en) * 2014-03-20 2019-09-03 Joled Inc. Gate driver IC, chip-on-film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KR20170065713A (ko) 2015-12-03 2017-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2126A1 (en) 2017-06-08
US11244634B2 (en) 2022-02-08
KR20170065713A (ko) 2017-06-14
US20200402468A1 (en) 2020-12-24
CN106847146A (zh) 2017-06-13
US10770006B2 (en) 2020-09-08
CN106847146B (zh)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8267A (ko) 표시 장치
KR102482758B1 (ko) 표시 장치
KR102403234B1 (ko) 표시 장치
KR1020548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2495B1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2569967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72549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372209B1 (ko) 표시 장치
KR102646911B1 (ko) 표시 장치
US2009010873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2644863B1 (ko) 표시 장치
KR102518426B1 (ko) 표시 장치
KR10230592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92010B1 (ko) 표시 장치
KR201600112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5966A (ko) 표시장치
KR102567483B1 (ko) 표시 장치
KR102649645B1 (ko) 표시 장치
KR10200969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743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5811B1 (ko)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5209B1 (ko) 인쇄회로기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80899A (ko) 표시장치
KR1006905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00568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