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533A -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기판의 연마방법 - Google Patents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기판의 연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533A
KR20170065533A KR1020177009454A KR20177009454A KR20170065533A KR 20170065533 A KR20170065533 A KR 20170065533A KR 1020177009454 A KR1020177009454 A KR 1020177009454A KR 20177009454 A KR20177009454 A KR 20177009454A KR 20170065533 A KR20170065533 A KR 2017006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film
cmp
abrasive
cmp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717B1 (ko
Inventor
미츠히토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7/00Compounds of rare earth metals
    • C01F17/20Compounds containing only rare earth metals as the metal element
    • C01F17/206Compounds containing only rare earth metals as the metal element oxide or hydroxide being the only anion
    • C01F17/224Oxides or hydroxides of lanthanides
    • C01F17/235Cerium oxides or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2Poli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brasives or gr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4Aqueous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8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wax
    • C09G1/10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wax based on mixtures of wax and natural or synthetic resin
    • C09G1/12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wax based on mixtures of wax and natural or synthetic resin mixtures of wax and silicon-containing poly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09Abrasive particles per 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54Abrasive powders, suspensions and pastes for polishing
    • C09K3/1463Aqueous liquid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3/00Brightening metals by chemical means
    • C23F3/04Heavy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25With simultaneous mechanical treatment, e.g. mechanico-chemical poli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입자, 보호제, 및 물을 포함하는 CMP 연마제로서, 상기 보호제는,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이다. 이에 따라, CMP 공정에 있어서, 연마에 의해 발생하는 연마흠집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는 CMP 연마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기판의 연마방법{CMP POLISHING AGEN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POLISHING SUBSTRATE}
본 발명은,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CMP 연마제를 이용한 기판의 연마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대규모 집적회로의 집적도의 향상, 고성능화를 위해서는 고밀도화가 필요하며, 고밀도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배선패턴의 미세화에 수반하는 가공선폭의 저감, 및 배선의 다층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배선구조는, 도전막이나 절연막의 성막과 에칭을 수회에 걸쳐 반복 형성되므로, 표면의 단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배선의 패터닝을 위하여 이용하는 레지스트의 초점심도는, 배선의 미세화에 수반하여 얕아지는 경향이 있고, 표면의 단차가 패터닝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패터닝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하여 표면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는 광역적인 평탄화가 필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광역적인 평탄화기술로서,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의 코팅기술, 금속 및 절연막에 대한 에치백기술, 금속 및 절연막에 대한 리플로우기술, 그리고, 화학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기술이 알려져 있다.
CMP는, 연마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슬러리를 기판 상에 투입하고 연마장치에 장착된 연마패드를 사용하여 연마를 행하는 방법이다. 이때, 연마입자는 연마장치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기계적으로 표면을 연마하고, 슬러리에 포함되는 화학성분은 기판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기판의 표면부위를 화학적으로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CMP에 이용되는 슬러리는, 연마대상막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사용되는 연마입자로는, 실리카(SiO2), 세리아(CeO2), 알루미나(Al2O3), 티타니아(TiO2), 지르코니아(ZrO2) 등이 있고, 연마대상막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 산화규소막 등의 절연막을 평탄화하기 위한 CMP용 슬러리로서, 실리카계의 슬러리가 일반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실리카계의 슬러리는, 실리카입자를 사염화규소의 열분해에 의해 입성장시키고,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알칼리용액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제조하고 있다.
또한, 산화규소막 등의 무기절연막의 CMP용 슬러리로서, 세리아슬러리도 사용되고 있다. 세리아입자는, 실리카입자나 알루미나입자에 비해 경도가 낮으므로, 연마 후의 막표면에 흠집 등의 결함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유용시되고 있다. 또한, 세리아입자는 강산화제로서 알려져 있고, 화학적으로 활성인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세리아슬러리는 산화규소막 등의 무기절연막용 CMP 연마에 유용시되고 있다. CMP 연마에 사용하는 세리아슬러리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STI(Shallow Trench Isolation)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질화규소막을 하드마스크로 하는 공정이 실시된다. 기판 상에 질화규소막을 형성한 후, 질화규소막과 기판의 소정 영역에 트렌치를 형성하고,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산화규소막을 형성한 후, 산화규소막을 연마하여 소자 분리막이 형성된다. 이때, 산화규소막과 질화규소막의 높은 연마선택비를 확보할 수 있는 건식 세리아슬러리를 이용하여, 질화규소막이 노출될 때까지 산화규소막을 연마한다.
한편으로, 질화규소막을 하드마스크로서 이용하는 대신에 폴리실리콘막을 연마정지막으로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폴리실리콘막은 질화규소막에 비해 경도가 낮으므로, CMP 연마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에 흠집 등의 결함(스크래치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CMP 연마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에 흠집 등의 결함이 발생하면, 미세한 트랜지스터나 배선의 단선불량이나 단락불량 등이 발생한다. 습식 세리아는 건식 세리아에 비해 다면체 구조를 갖고 있으며, 건식 세리아에 비해 스크래치 결함을 개선할 수 있어 유용하나, 반도체 디바이스의 회로치수가 보다 미세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CMP 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래치 결함은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어, 향상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스크래치 결함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3에서는, 미소한 4가의 금속수산화물입자를 지립으로 사용함으로써, 스크래치 결함을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지립을 작게 함으로써 스크래치 결함은 개선되지만, 한편으로는 연마속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도체 디바이스의 회로치수가 보다 미세화됨으로써, 스크래치 결함 외에 연마선택비의 부족이 문제시되고 있다. 산화규소막과 폴리실리콘막의 연마선택비가 낮은 연마제를 사용하여 CMP 연마를 행한 경우, 연마정지막인 폴리실리콘막이 과잉으로 연마된다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서는, 폴리실리콘 연마마무리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아민에테르를 함유한 슬러리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5에서는, 양이온화폴리비닐알코올과, 아미노당, 또는 그 유도체, 아미노당을 갖는 다당류,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당류를 함유한 슬러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슬러리는 폴리실리콘의 막의 보호기능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CMP 연마 후의 세정성에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시된다.
일본특허공개 H08-02297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10-10699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2-084906호 공보 일본특허공표 2011-529269호 공보 일본특허 제4894981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CMP 공정에 있어서, 연마에 의해 발생하는 연마흠집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는 CMP 연마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마입자, 보호제, 및 물을 포함하는 CMP 연마제로서,
상기 보호제는,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인 CMP 연마제를 제공한다.
이러한 CMP 연마제이면, CMP 공정에 있어서, 연마흠집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는 연마제가 된다.
또한 이때, 상기 연마입자가, 습식 세리아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입자가 습식 세리아입자이면, 연마흠집의 발생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극성기로서 설포기 및 카르복시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갖는 수용성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이면, 설포기나 카르복시기에 의해, 연마정지막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연마선택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이때, 상기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상기 CMP 연마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1질량부 이하로 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량이면, 연마정지막에 대하여 충분히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연마선택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이때, 상기 CMP 연마제는, 절연막연마용 CMP 연마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MP 연마제는,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고, 절연막을 정도좋게 연마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절연막의 연마에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CMP 연마제의 pH가, 3 이상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H이면, 보다 보존안정성이나 연마속도가 우수한 CMP 연마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반 상에 붙여진, 기판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패드 상에, 상기의 CMP 연마제를 공급하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된 연마정지막 상의 절연막을 상기 연마패드에 맞대어 가압하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정반을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절연막을 연마하는 기판의 연마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사용한 기판의 연마방법이면, 절연막의 연마정지막에 대한 높은 연마선택비를 얻을 수 있고, 연마정지막을 과잉으로 연마하는 일 없이 정도가 높은 연마가 가능해진다. 또한, 기판의 연마면에 흠집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때, 상기 연마정지막을 폴리실리콘막으로 하고, 상기 절연막을 산화규소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마방법은, 특히, 절연막으로서 산화규소막을, 연마정지막으로서 폴리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의 절연막을 연마하는 경우에 호적하며, 산화규소막의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높은 연마선택비가 얻어지고, 나아가, 연마면에서의 흠집 등의 결함의 발생을 보다 한층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CMP 연마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보호제로서, 극성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모노머의 가수분해와 중축합반응에 의해 합성된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CMP 연마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이면, CMP 공정에 있어서, 연마흠집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는 CMP 연마제를 확실히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CMP 연마제이면, CMP 공정에 있어서, 높은 연마선택비를 얻을 수 있고, 정도가 높은 CMP 연마를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기판의 연마면에 있어서의 흠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절연막이 산화규소막, 연마정지막이 폴리실리콘막인 기판의 CMP 연마를 행할 때, 설포기나 카르복시기 등의 극성기를 갖는 수용성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보호제로서 포함하는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이용하면, 연마흠집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보다 높은 연마선택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폴리실리콘막과 산화규소막의 pH에 대한 제타 전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마방법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편면연마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전막을 연마정지막으로 한 반도체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CMP 연마제에 의해 절연막을 CMP 연마한 후의 반도체소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CMP 공정에 있어서, 연마에 의해 발생하는 연마흠집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는 CMP 연마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의 CMP 연마제이면, 보호제로서 포함되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의 작용에 의해 연마흠집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갖는 극성기의 작용에 의해 높은 연마선택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연마입자, 보호제, 및 물을 포함하는 CMP 연마제로서,
상기 보호제는,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인 CMP 연마제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 중 하나인, 높은 연마속도비(연마선택비)가 얻어지는 기구에 대하여, 절연막이 산화규소막, 연마정지막이 폴리실리콘막인 기판의 연마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자의 지견에 따르면, 상기 효과는 산화규소막에 대한 실세스퀴옥산폴리머(극성기)와의 상호작용과,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실세스퀴옥산폴리머(극성기)와의 상호작용에 정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산화규소막의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높은 연마선택비가 얻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도 1에 산화규소막과 폴리실리콘막의 pH에 대한 제타 전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리실리콘막은, pH 3 ~ pH 7의 범위에 있어서는, 산화규소막에 비해 보다 플러스측의 전위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이너스로 분극되어 있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의 설포기나 카르복시기(극성기)가, 보다 플러스측의 전위를 갖고 있는 폴리실리콘막에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보호막이 되어, 폴리실리콘막의 연마를 저해하므로, 산화규소막에 대하여 연마속도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CMP 연마과정에 있어서는, 연마입자(지립)가 연마 중에 지립표면간에 축합하거나, 피연마막인 산화규소막으로부터 제거된 산화규소와 지립간에 축합하여 대입자화하고, 이 대입자화한 지립이 연마작용에 의해 스크래치 결함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첨가하면, 상기의 대입자화한 지립을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형성하는 고분자 네트워크로 포획하고, 대입자화한 지립의 피연마막에 대한 접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스크래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하, 본 발명의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이용한 기판의 연마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CMP 연마제>
본 발명의 CMP 연마제는, 연마입자, 보호제,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제로서,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다.
[연마입자]
본 발명의 CMP 연마제에 포함되는 연마입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피연마대상이 산화규소막이면, 습식 세리아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세리아입자는, 2차 입경이 큰 입자가 생성되지 않고, 다면체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마이크로스크래치 등의 연마흠집을 개선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식 세리아입자의 평균입경은, 5nm~200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m~1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40nm~70nm의 범위이다. 이러한 평균입경이면, 습식 세리아입자의 평균입경이 지나치게 작지 않고, 연마대상막에 대한 연마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는다. 또한, 습식 세리아입자의 평균입경이 지나치게 크지 않으므로, 마이크로스크래치 등의 연마흠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연마입자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절연막에 대한 호적한 연마속도가 얻어지는 점에서, CMP 연마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마입자의 배합량의 상한으로는, CMP 연마제의 보존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점에서, 2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습식 세리아입자의 제조방법으로는, 세륨염을 전구체 물질로 하고, 염기성 용액과 혼합·가열처리함으로써 습식 세리아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습식 침전법)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이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습식 세리아입자의 전구체인 세륨염을 초순수와 혼합하여 세륨수용액을 제조한다. 세륨염과 초순수는, 예를 들어 2:1~4: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세륨염으로는, Ce(III)염, 및 Ce(IV)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Ce(III)염을 초순수와 혼합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Ce(IV)염을 초순수와 혼합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Ce(III)염과 적어도 하나의 Ce(IV)염을 초순수와 혼합할 수 있다.
Ce(III)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세륨(III), 불화세륨(III), 황산세륨(III), 질산세륨(III), 탄산세륨(III), 과염소산세륨(III), 브롬화세륨(III), 황화세륨(III), 요오드화세륨(III), 옥살산세륨(III), 아세트산세륨(III) 등을 이용할 수 있다.
Ce(IV)염으로는, 예를 들어 황산세륨(IV), 질산암모늄세륨(IV), 수산화세륨(IV)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Ce(III)염으로는 질산세륨(III)이, Ce(IV)염으로 질산암모늄세륨(IV)이 사용하기 쉽다는 면에서 특히 호적하다.
나아가, 초순수와 혼합하여 제조된 세륨수용액의 안정화를 위하여 산성 용액을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산성 용액과 세륨용액은, 1:1~1:100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산성 용액으로는, 과산화수소, 질산, 아세트산, 염산, 황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용액과 혼합된 세륨용액은, pH를 예로 들어 0.01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륨용액과는 별도로 염기성 용액을 제조한다. 염기성 용액으로는,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초순수와 혼합하여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된다. 희석하는 비율로는, 염기성 물질과 초순수를 1:1~1:100의 비율로 희석할 수 있다. 희석된 염기성 용액은, pH를 예를 들어 11~13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희석된 염기성 용액을 반응용기로 옮긴 후, 질소, 아르곤, 헬륨 등의 불활성 가스분위기하에서, 예를 들어 5시간 이하 교반을 행한다. 그리고, 희석된 염기성 용액에 세륨수용액을, 예를 들어 매초 0.1L 이상의 속도로 혼합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소정의 온도로 열처리를 행한다. 이때의 열처리온도는, 100℃ 이하, 예를 들어 60℃ 이상 100℃ 이하로 할 수 있고, 열처리시간은, 2시간 이상, 예를 들어 2시간~10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온으로부터 열처리온도까지의 승온속도는, 매분 0.2℃~1℃, 바람직하게는 매분 0.5℃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열처리를 실시한 혼합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차입경이 예를 들어 100nm 이하인 습식 세리아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습식 세리아입자는, 전구체인 세륨염 수용액과 희석된 염기성 용액의 혼합액을, 적절한 승온속도로 승온하여, 적절한 범위의 열처리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승온과정에서 혼합액내의 세륨염이 반응하여, 세리아(CeO2)의 미세핵이 생성되고, 이들 미세핵을 중심으로 결정을 성장시켜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nm~100nm의 결정입자로 제조할 수 있다.
[보호제]
본 발명의 CMP 연마제는, 보호제로서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제를 포함함으로써, 연마흠집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는 CMP 연마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갖는 극성기가 분극하고, 폴리실리콘막 등의 연마정지막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연마정지막의 표면에 보호막이 형성되고, 이 보호막에 의해 연마가 저해됨으로써, 연마대상막과 연마정지막의 연마속도에 차가 발생하여, 연마대상막의 연마정지막에 대한 연마속도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CMP 연마공정 중에 대입자화한 연마입자를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형성하는 고분자 네트워크로 포획하고, 대입자화한 연마입자가 피연마막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스크래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로는, 극성기로서 설포기 및 카르복시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갖는 수용성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이면, 설포기나 카르복시기에 의해, 연마정지막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연마선택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물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됨으로써, CMP 연마제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는, 예를 들어 극성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모노머의 가수분해와 중축합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합성에 사용되는 극성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극성기가 설포기가 되는 모노머로는, 염기성 조건하에서의 산화반응에 의해 설포기를 형성하는 치환기인 메르캅토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을 들 수 있다. 메르캅토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모노머로는,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11-메르캅토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반응성의 면에서 특히 호적하다.
극성기가 카르복시기가 되는 모노머로는, 염기성 조건하에서의 가수분해에 의해 카르복시기를 형성하는 치환기인 시아노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을 들 수 있다. 시아노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모노머로는, 2-시아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 2-시아노에틸트리에톡시실란, 3-시아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시아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11-시아노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2-시아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이 반응성의 면에서 특히 호적하다.
또한,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제로서 이용되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의 극성기는, 상기의 설포기나 카르복시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연마대상막이나 연마정지막의 종류, 이들의 조합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의 배합량은, CMP 연마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1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량이면, 연마정지막에 대하여 충분히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연마선택성이 높은 CMP 연마제로 할 수 있다.
[물]
본 발명의 CMP 연마제에 이용되는 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순수나 초순수 등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CMP 연마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80질량부 이상 99.8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90질량부 이상 99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CMP 연마제는, 상기의 필수성분 외에, 예를 들어 연마특성을 조정하는 첨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연마입자의 표면전위를 마이너스로 전환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모노알킬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모노알킬인산염, 라우릴황산염, 폴리카르본산,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어 아르기닌, 라이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히스티딘, 프롤린, 티로신, 세린, 트립토판, 트레오닌, 글리신, 알라닌, 메티오닌, 시스테인, 페닐알라닌, 류신, 발린, 이소류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첨가제의 배합량은, 연마입자 1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 0.1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마입자 1질량부에 대하여 0.02질량부 이상 0.06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연마입자 1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이면, CMP 연마제의 분산안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마입자 1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하이면, 연마대상막의 연마를 저해하는 일이 없어, 연마속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배합량으로 조정하면, 연마를 저해하는 일 없이, CMP 연마제의 분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CMP 연마제의 pH는, CMP 연마제의 보존안정성이나, 연마속도가 우수한 점에서, 3.0 이상 7.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H의 하한값은 연마제의 분산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H의 상한값은 연마속도에 영향을 주어,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H 7.0 이하이면 염기성에 기인하여 폴리실리콘막의 연마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일이 없고, 산화규소막의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연마선택비가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한, CMP 연마제의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염산, 질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옥살산 등의 유기산 등의 산이나,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시드(TMAH) 등의 염기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CMP 연마제는, 높은 연마선택성을 갖고, 절연막을 정도 좋게 연마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절연막의 연마에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MP 연마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CMP 연마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연마입자, 보호제, 물, 및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면 된다. 또한, 이때, 극성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모노머의 가수분해와 중축합반응에 의해 합성된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면,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확실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혼합후, 초음파분산이나 필터를 이용한 여과 등을 행할 수도 있다.
<연마방법>
이어서,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사용한 기판의 연마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반도체기판의 편면을 CMP 연마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편면연마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마패드(4)가 첩부된 정반(3)과, 연마제 공급기구(5)와, 연마헤드(2) 등으로 구성된 편면연마장치(6)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편면연마장치(6)에서는, 연마헤드(2)로 기판(W)을 유지하고, 연마제 공급기구(5)로부터 연마패드(4) 상에 본 발명의 CMP 연마제(1)를 공급함과 함께, 정반(3)과 연마헤드(2)를 각각 회전시켜 기판(W)의 표면을 연마패드(4)에 슬라이드 접촉시킴으로써 연마를 행한다.
연마패드로는, 부직포, 발포폴리우레탄, 다공질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마를 실시하는 동안에는, 항상 패드표면이 연마제로 덮여있도록, 펌프 등을 구비한 연마제 공급기구(5)로 연속적으로 CMP 연마제(1)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마방법은, 정반(3) 상에 붙여진, 연마패드(4) 상에 본 발명의 CMP 연마제(1)를 공급하면서, 기판(W)에 형성된 연마정지막 상의 절연막을 연마패드(4)에 맞대어 가압하면서, 기판(W)과 정반(3)을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절연막을 연마한다.
여기서 연마대상이 되는 기판(W)으로는, 반도체소자 제조에 관계하는 기판이며, 예를 들어 STI패턴, 배선패턴 등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에, 절연막 및 연마정지막이 형성된 기판을 들 수 있다. 연마대상인 막은 이들 패턴 상에 형성된 절연막이며, 예를 들어 산화규소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연마정지막으로는 폴리실리콘막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막을, 본 발명의 CMP 연마제로 연마함으로써, 반도체기판의 표면을 평탄한 면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사용한 연마방법은, 산화규소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막 등의 연마대상막의 하측(베이스기판측)의 연마정지막이 폴리실리콘막인 기판의 연마에 대하여 특히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기판으로서, NAND플래시 메모리 소자기판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 NAND플래시 메모리 소자기판의 CMP 공정에,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NAND플래시 메모리 소자기판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영역의 도전막(30), 터널산화막(20)으로부터 베이스기판(10)을 소정의 깊이까지 에칭하여 복수의 트렌치가 형성되고, 그리고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절연막(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전막(30)은 플로팅 게이트가 되는 폴리실리콘막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연마정지막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절연막(40)은 산화막계의 물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절연막으로는, 예를 들어 BPSG막, PSG막, HDP막, TEOS막, USG막, PETEOS막, HARP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절연막(40)의 형성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PVD법, CVD법, MOCVD법, ALD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기판(10)으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트렌치에 절연막(40)이 매립된 베이스기판(10)을 갖는 NAND플래시 메모리 소자기판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마장치내에 세트한 후, 본 발명의 CMP 연마제를 이용하여 도전막(30)이 노출될 때까지 절연막(40)을 연마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막(40)이 연마제거되고 STI 분리막(50)이 형성된다.
이때, 절연막(40)의 도전막(30)에 대한 연마선택비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선택비가 10 이상이면, 절연막(40)과 도전막(30)의 연마속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연마정지위치의 검출이 용이해져, 절연막(40) 및 도전막(30)에 대하여 과잉연마되는 일 없이,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마선택비이면, 상기 STI 분리막의 형성에 의해 호적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면, 이 절연막의 도전막에 대한 연마선택비를 예를 들어 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포함하는 CMP 연마제를, 연마정지막에 도전막(30)이 적용된 경우의, 절연막(40)의 CMP 연마에 적용함으로써, 절연막(40)의 도전막(30)에 대한 높은 연마선택비가 얻어지고, 예를 들어 STI형성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연마흠집 등의 결함이 적은 STI막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습식 세리아의 합성)
1,000g의 질산세륨육수화물(Ce(NO3)6H2O)을 순수 250g에 용해한 용액에, 질산 100g을 혼합하여 세륨(III)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1g의 질산이암모늄세륨((NH4)2Ce(NO3)3)을 순수 500g에 용해하여 세륨(IV)용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세륨(III)용액과 세륨(IV)용액을 혼합하여 세륨혼합액을 얻었다.
이어서, 반응용기에 순수 4,000g을 질소가스분위기하에서 적하하고, 계속해서 1,000g의 암모니아수를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교반하여 염기성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세륨혼합액을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염기성 용액과 혼합하고 교반하여, 질소가스분위기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다. 8시간 열처리를 행하여, 세리아입자를 함유한 혼합용액을 얻었다.
세리아입자를 함유한 혼합액을 실온까지 냉각 후, 혼합액에 질산을 적하하고, 혼합액의 pH를 4 이하의 산성으로 조정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혼합액 중의 세리아입자를 침전시킨 후, 순수에 의해 수회 세정 및 원심분리를 반복하여 세정하고, 최종적으로 세리아입자를 얻었다.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의 합성)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시아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을 각각 가수분해/축합하고, 설포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 카르복시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합성하였다.
(CMP 연마제의 조제)
상기의 방법으로 합성한 세리아입자, 실세스퀴옥산폴리머, 및 순수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초음파분산을 60분 행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0.5μm 필터로 여과하고, 순수로 희석함으로써 CMP 연마제를 조제하였다.
(절연막 연마)
도 2에 나타낸 편면연마장치의 연마헤드에, 플라즈마 CVD법으로 산화규소막(SiO2막)을 형성한 실리콘기판을, 산화규소막의 표면을 아래로 하여 세트하였다. 그리고, 연마가중 6psi(pound per square inch), 정반 및 연마헤드의 회전속도를 70rpm, 상기 조제한 CMP 연마제를 매분 100mL로 공급하면서, 연마패드(IC1000/SubaIV CMP 패드: Dowchemical)를 이용하여, 60초간 연마를 실시하였다. 연마종료 후, 기판을 연마헤드로부터 분리하고, 순수로 세정 후 다시 초음파세정을 행하고, 건조기를 사용하여 80℃에서 건조시켰다. 그 후, 분광엘립소미터에 의해, 연마 전후의 막두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연마속도를 산출하였다. 마찬가지로, 저압CVD법으로 폴리실리콘막(Poly-Si막)을 형성한 실리콘기판을 동일 조건으로 연마하고, 연마 전후의 막두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연마속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해, 연마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에 발생한 연마흠집의 개수를 구하였다.
[실시예 1]
세리아입자 500g, 극성기로서 설포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 15g, 순수 5,000g을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초음파분산을 60분 행한 후, 0.5μm 필터로 여과하고, 순수로 다시 희석하여 세리아입자농도가 1질량%, 실세스퀴옥산폴리머농도가 0.15질량%인 CMP 연마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CMP 연마제의 pH는 6.3이었다. 입도분포를 초음파감쇠식 입도분포계(Zeta-APS: Matec제)로 측정한 결과, 평균입자경은 0.10μm였다.
[실시예 2]
극성기로서 설포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 대신에 극성기로서 카르복시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CMP 연마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CMP 연마제의 pH는 6.5였다. 입도분포를 초음파감쇠식 입도분포계(Zeta-APS: Matec제)로 측정한 결과, 평균입자경이 0.11μm였다.
[비교예 1]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CMP 연마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CMP 연마제의 pH는 6.0이었다. 입도분포를 초음파감쇠식 입도분포계(Zeta-APS: Matec제)로 측정한 결과, 평균입자경이 0.11μm였다.
[비교예 2]
실세스퀴옥산폴리머 대신에, 폴리메타크릴산암모늄염을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CMP 연마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세리아연마제의 pH는 6.6이었다. 입도분포를 초음파감쇠식 입도분포계(Zeta-APS: Matec제)로 측정한 결과, 평균입자경이 0.10μm였다.
상기 기판을 연마장치에 세트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제한 CMP 연마제를 이용하여, 상기 연마조건으로 60초간 CMP 연마를 행하였다. 연마 전후의 막두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산화규소막 및 폴리실리콘막의 연마속도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숫자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CMP 연마한 기판 5매의 평균값이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제로서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1, 2의 CMP 연마제를 이용하여 CMP 연마를 행한 경우에는, 절연막(산화규소막)의 연마정지막(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연마선택비가 90 이상이며, 비교예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연마선택비가 얻어졌다. 또한, 연마흠집의 발생이 없고, 연마흠집의 수에 대해서도 비교예와 비교했을 때 크게 저감되어 있었다.
한편, 보호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CMP 연마제를 이용하여 CMP 연마를 행한 경우에는,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연마선택비가 작고, 또한, 연마흠집의 발생도 많은 결과가 되었다.
또한, 보호제로서 실세스퀴옥산폴리머 대신에, 폴리메타크릴산암모늄염을 사용한 비교예 2의 CMP 연마제를 이용하여 CMP 연마를 행한 경우는,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연마선택비의 향상이나 연마흠집의 저감효과는 다소 있으나, 실시예의 CMP 연마제에는 크게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CMP 연마제에 의해 폴리실리콘막을 연마정지막으로 한 CMP 연마를 행함으로써,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높은 연마선택비가 얻어지고, 연마흠집의 발생을 적게 연마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연마입자, 보호제, 및 물을 포함하는 CMP 연마제로서,
    상기 보호제는, 극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입자가, 습식 세리아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극성기로서 설포기 및 카르복시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갖는 수용성 실세스퀴옥산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세스퀴옥산폴리머가, 상기 CMP 연마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1질량부 이하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MP 연마제는, 절연막연마용 CMP 연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MP 연마제의 pH가, 3 이상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
  7. 정반 상에 붙여진, 기판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패드 상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CMP 연마제를 공급하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된 연마정지막 상의 절연막을 상기 연마패드에 맞대어 가압하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정반을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절연막을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연마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정지막을 폴리실리콘막으로 하고, 상기 절연막을 산화규소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연마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CMP 연마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보호제로서, 극성기 함유 유기트리알콕시실란모노머의 가수분해와 중축합반응에 의해 합성된 실세스퀴옥산폴리머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제의 제조방법.
KR1020177009454A 2014-10-09 2015-08-28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기판의 연마방법 KR102394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8014A JP6170027B2 (ja) 2014-10-09 2014-10-09 Cmp研磨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基板の研磨方法
JPJP-P-2014-208014 2014-10-09
PCT/JP2015/004360 WO2016056165A1 (ja) 2014-10-09 2015-08-28 Cmp研磨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基板の研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533A true KR20170065533A (ko) 2017-06-13
KR102394717B1 KR102394717B1 (ko) 2022-05-06

Family

ID=5565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454A KR102394717B1 (ko) 2014-10-09 2015-08-28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기판의 연마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7461B2 (ko)
JP (1) JP6170027B2 (ko)
KR (1) KR102394717B1 (ko)
CN (1) CN106795422B (ko)
WO (1) WO2016056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3791B2 (ja) * 2014-05-09 2017-12-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Cmp研磨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基板の研磨方法
JP2017228576A (ja) * 2016-06-20 2017-12-28 日立化成株式会社 研磨液及び研磨方法
JP6748010B2 (ja) * 2017-03-21 2020-08-26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7841288A (zh) * 2017-12-12 2018-03-27 戚明海 Cmp研磨剂及其制造方法
CN107828374A (zh) * 2017-12-12 2018-03-23 戚明海 一种新型cmp研磨剂及其制造方法
JP7106907B2 (ja) * 2018-03-19 2022-07-27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49744A (ko) * 2019-03-28 2021-12-09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막형성용 조성물
CN111087930A (zh) * 2019-12-23 2020-05-01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化学机械抛光研磨剂的制备方法及化学机械抛光方法
CN112680185A (zh) * 2021-01-04 2021-04-20 上海晖研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改性的二氧化硅作为磨粒的应用
CN112778970B (zh) * 2021-01-04 2022-05-10 上海晖研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表面改性的氧化铈颗粒及含其的抛光液的方法
CN112680186A (zh) * 2021-01-04 2021-04-20 上海晖研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改性的二氧化硅及含其的磨料组合物的制备方法
CN112680187A (zh) * 2021-01-04 2021-04-20 上海晖研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改性的二氧化硅及含其的磨料组合物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70A (ja) 1994-07-08 1996-01-23 Toshiba Corp 研磨方法
JPH10106994A (ja) 1997-01-28 1998-04-24 Hitachi Chem Co Ltd 酸化セリウム研磨剤及び基板の研磨法
JP2007084799A (ja) * 2005-08-24 2007-04-05 Toray Fine Chemicals Co Ltd オキセタニル基を有するシリコーン共重合体
KR20080045326A (ko) * 2006-11-20 2008-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용매를 이용한 산화세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분말을 포함하는cmp슬러리
JP2011529269A (ja) 2008-07-24 2011-12-01 テクノ セミケム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 ポリシリコン研磨仕上げ剤を含有する化学機械的研磨組成物
JP4894981B2 (ja) 2009-10-22 2012-03-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研磨剤、濃縮1液式研磨剤、2液式研磨剤及び基板の研磨方法
KR20130081599A (ko) * 2012-01-09 2013-07-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연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학기계적 평탄화 방법
US20130244433A1 (en) * 2012-03-14 2013-09-19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Cmp compositions selective for oxide and nitride with high removal rate and low defe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735B2 (ja) * 1998-11-05 2009-11-18 Jsr株式会社 重合体粒子を含有する研磨剤
US6646348B1 (en) * 2000-07-05 2003-11-11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Silane containing polishing composition for CMP
JP4508635B2 (ja) * 2003-12-26 2010-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7009080A (ja) * 2005-06-30 2007-01-18 Nagase Chemtex Corp 光学コーティング組成物
EP2479686B1 (en) * 2011-01-24 2014-09-17 AO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clustering search queries
KR101931930B1 (ko) 2011-12-21 2018-12-24 바스프 에스이 Cmp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적용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70A (ja) 1994-07-08 1996-01-23 Toshiba Corp 研磨方法
JPH10106994A (ja) 1997-01-28 1998-04-24 Hitachi Chem Co Ltd 酸化セリウム研磨剤及び基板の研磨法
JP2007084799A (ja) * 2005-08-24 2007-04-05 Toray Fine Chemicals Co Ltd オキセタニル基を有するシリコーン共重合体
KR20080045326A (ko) * 2006-11-20 2008-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용매를 이용한 산화세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분말을 포함하는cmp슬러리
JP2011529269A (ja) 2008-07-24 2011-12-01 テクノ セミケム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 ポリシリコン研磨仕上げ剤を含有する化学機械的研磨組成物
JP4894981B2 (ja) 2009-10-22 2012-03-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研磨剤、濃縮1液式研磨剤、2液式研磨剤及び基板の研磨方法
JP2012084906A (ja) 2009-10-22 2012-04-26 Hitachi Chem Co Ltd 研磨剤、濃縮1液式研磨剤、2液式研磨剤及び基板の研磨方法
KR20130081599A (ko) * 2012-01-09 2013-07-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연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학기계적 평탄화 방법
US20130244433A1 (en) * 2012-03-14 2013-09-19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Cmp compositions selective for oxide and nitride with high removal rate and low def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97461B2 (en) 2019-05-21
JP2016076676A (ja) 2016-05-12
CN106795422B (zh) 2019-10-11
CN106795422A (zh) 2017-05-31
KR102394717B1 (ko) 2022-05-06
WO2016056165A1 (ja) 2016-04-14
JP6170027B2 (ja) 2017-07-26
US20170278718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717B1 (ko) Cmp 연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기판의 연마방법
US10647887B2 (en) Tungsten buff polish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topography
US10639766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cessing dielectric substrate
JP4053165B2 (ja) 研磨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US10414947B2 (en) Polishing composition containing ceria particles and method of use
US8262435B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queous dispersio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queous dispersion preparation kit
KR102366907B1 (ko) Cmp 연마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기판의 연마 방법
US20090221213A1 (en) Aqueous dispers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TWI679272B (zh) 研磨用組成物及使用其之研磨方法
KR20080042043A (ko) 연마제, 피연마면의 연마 방법 및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제조 방법
TWI621702B (zh) Slurry composition for cerium oxide film
JP2009218558A (ja) Cmp用研磨液、基板の研磨方法及び電子部品
WO2018124017A1 (ja) 酸化セリウム砥粒
JP2012186339A (ja) 研磨液及びこの研磨液を用いた基板の研磨方法
WO2016021325A1 (ja) Cmp用研磨液及びこれを用いた研磨方法
JP2009266882A (ja) 研磨剤、これを用いた基体の研磨方法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7076694A (ja) Cmp用研磨液及び研磨方法
CN113632205A (zh) 研磨液及研磨方法
JP6551053B2 (ja) Cmp用研磨液及びこれを用いた研磨方法
JP6627283B2 (ja) 研磨液及び研磨方法
JP2017210497A (ja) Cmp用研磨液及びこれを用いた研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