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579A -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 Google Patents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579A
KR20170063579A KR1020177007364A KR20177007364A KR20170063579A KR 20170063579 A KR20170063579 A KR 20170063579A KR 1020177007364 A KR1020177007364 A KR 1020177007364A KR 20177007364 A KR20177007364 A KR 20177007364A KR 20170063579 A KR20170063579 A KR 20170063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otatably connected
normal
support por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481B1 (ko
Inventor
슈이치로 우사
준이치 아사노
이사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bayone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유모차(10)는, 통상 부재(50)와, 통상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된 단부에 고정된 단부 부품(70)을 갖는다. 단부 부품은, 개구로부터 통상 부재 내로 삽입되는 내측 지지부(75)이며, 통상 부재의 내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내측 대향면(75a)을 가진 내측 지지부(75)와, 통상 부재의 외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외측 대향면(76a)을 가진 외측 지지부(76)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BABY CARRIAGE AND TUBULAR MEMBER FOR USE IN BABY CARRIAGE}
본 발명은 통상 부재 및 통상 부재의 단부에 고정된 단부 부품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JP2014-73846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유아를 데리고 나갈 때 유모차를 사용하는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유모차는, 그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통상부, 전형적으로는 비강도가 강한 알루미늄 합금제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 부재는, 경량화 및 고강성의 양쪽을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유모차에 적합하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통상 부재의 단부에는 단부 부품이 고정되어 있다. 단부 부품은, 통상,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원하는 형상이 용이하게 부여될 수 있다. 단부 부품은, 가공성에 한계가 있는 통상 부재 대신에, 소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다른 구성 요소와의 접속 개소를 형성한다. 또한, 단부 부품은, 통상 부재의 단부면을 덮음으로써, 유모차의 안전성이나 의장성을 개선한다.
그런데, 유모차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통상 부재를 경량화하면, 유모차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두께의 저감이나 재료 선택에 의해 통상 부재를 경량화하려고 하면, 유모차의 사용 중에 통상 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건 발명자들이 실험을 반복한바, 통상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 그리고 통상 부재를 경량 재료로 제작한 경우, 통상 부재는, 그 단부에 균열이 발생하여 파손되었다. 한편, 본건 발명자들은, 통상 부재로의 단부 부품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로서, 소정의 고정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통상 부재의 단부로의 균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본건 발명자들의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며, 통상 부재로의 단부 부품의 고정 방법을 개량함으로써, 통상 부재의 경량화를 통하여 유모차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된 단부에 고정된 단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삽입된 내측 지지부이며, 상기 통상 부재의 내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내측 대향면을 가진 내측 지지부와,
상기 통상 부재의 외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외측 대향면을 가진 외측 지지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은, 유모차의 다른 구성 요소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단부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유모차의 다른 구성 요소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내측 지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는 별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상기 통상 부재의 단부면에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내측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상기 통상 부재의 단부면에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내측 지지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의 양쪽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부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전각, 후각 및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및 상기 핸들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전각 및 후각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 레스트와,
상기 암 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와,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와,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한 쌍의 전각 및 한 쌍의 후각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암 레스트와,
상기 암 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제1 링크와,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제2 링크와,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제3 링크와,
상기 한 쌍의 후각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 연결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상기 제3 링크, 상기 후방 연결재 및 상기 링크 연결재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가, 핸들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전각 및 후각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 레스트와,
상기 암 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와,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와,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와,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상기 제3 링크 및 상기 핸들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 부재로의 단부 부품의 고정 방법을 개량함으로써, 통상 부재의 경량화를 통하여 유모차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통상 부재와, 통상 부재와 접속한 단부 부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통상 부재 및 단부 부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단부 부품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단부 부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단부 부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단부 부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유모차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내지 도 3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다리(14, 16)를 가진 절첩 가능한 유모차 본체(11)를 갖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모차 본체(11)에는, 쿠션성의 좌석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영유아는, 이 좌석재 상에 착좌한다. 유모차 본체(11)는, 전각(14) 및 후각(16)을 갖는 본체 프레임(12)과,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본체 프레임(12)에 접속된 핸들(48)을 갖고 있다. 후각(14) 및 후각(16)의 하단부에는, 차륜(45)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어, JP2006-117012A),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0)에 있어서는, 핸들(48)을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영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48)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영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도 1의 핸들(48)의 위치 참조), 그리고 조작자가 영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로부터 핸들(48)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도 2의 핸들(48)의 위치 참조)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승차하는 영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과 우측 상방을 연결하는 방향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영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측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방측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횡방향」이란 폭 방향이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우선,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서,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횡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는, 본체 프레임(12) 및 핸들(48)을 갖고 있다. 이 중 본체 프레임(1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14)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16)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암 레스트(19)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20)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각(14)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 레스트(19)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16)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 레스트(19)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20)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 레스트(19)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링크(20)는, 주 링크재(21)와, 주 링크재(21)의 상단 부분에 고정된 상부 접속재(22)를 갖고 있다. 주 링크재(2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접속재(22)의 일부분이, 주 링크재(2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링크(20)는, 상부 접속재(22)에 있어서, 암 레스트(19)의 후단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전각(14)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25)와, 후각(16)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30)를 갖고 있다. 제1 링크(20)는, 제2 링크(25) 및 제3 링크(30)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0) 및 제3 링크(30)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3 링크(30)는, 제1 링크(20) 및 제2 링크(25)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2 링크(25)를 이루는 부재로서, 프레임재(26)와, 프레임재(26)에 고정된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재(26)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성 파이프에 굽힘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된 통상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후방 접속재(28)의 일부분이, 통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재(26) 내에 삽입되어 있다. 프레임재(2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26a)와, 한 쌍의 측부(26a) 사이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연결부(26b)를 갖고 U자상을 이루고 있다. 전방 접속재(27)는, 일단부 부분이 전각(14)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 부분이 측부(26a)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 접속재(28)는, 측부(26a)의 후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6)의 측부(26a)와, 이 우측의 측부(26a)에 고정된 우측의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에 의해, 우측의 제2 링크(25)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6)의 측부(26a)와, 이 좌측의 측부(26a)에 고정된 좌측의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에 의해, 좌측의 제2 링크(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링크(30)는, 후각(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축재(31)와, 주축재(31)의 상단 부분에 고정된 단부재(32)를 갖고 있다. 주축재(3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재(32)의 일부분이, 주축재(3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주축재(31)는, 하단부 부분에 있어서 후각(16)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링크(20), 제2 링크(25) 및 제3 링크(30)는, 동일한 축 부재(34)를 사용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축 부재(34)는, 제1 링크(20)의 주 링크재(21), 제3 링크(30)의 단부재(32) 및 제2 링크(25)를 이루는 후방 접속재(28)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링크(20), 제2 링크(25) 및 제3 링크(30)는, 축 부재(34)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과, 베이스 프레임(41)과 상방 프레임(42)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43)을 더 갖고 있다. 프레임재(26) 및 베이스 프레임(41)에는, 베이스 포재(도시하지 않음)가 걸쳐진다. 베이스 포재는, 프레임재(26), 베이스 프레임(41), 상방 프레임(42) 및 연결 프레임(43)과 함께, 쿠션성의 좌석재(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한다.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은, 모두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축 부재(34)에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41)은, 프레임재(26)나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42)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암 레스트(19)의 후단 부분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42)의 암 레스트(19)에 대한 회동 축선은, 제1 링크(20)의 암 레스트(19)에 대한 회동 축선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의 연결 프레임(4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43)은, 그 양단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14)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재(15)와, 한 쌍의 후각(16)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재(17)를 갖고 있다. 전방 연결재(15)는, 풋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한 쌍의 후방 접속재(28) 사이에는, 링크 연결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연결재(15), 후방 연결재(17) 및 링크 연결재(29)에 의해, 유모차(10)의 횡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암 레스트(19) 사이에 가요성을 가진 가드 부재(38)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핸들(48)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핸들(48)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축부(48a)와, 한 쌍의 축부(48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48b)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48)은, 전체로서 대략 U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48)은, U자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48)은, 축 부재(34)를 사용하여,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링크(20), 제2 링크(25), 제3 링크(30), 베이스 프레임(41) 및 핸들(48)은, 축 부재(34)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유모차 본체(11)에 있어서, 핸들(48)은, 측면에서 보아 수직축보다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1 위치(배면 누름 위치)와, 수직축보다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2 위치(대면 누름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핸들(48)은,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핸들(48)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유모차(10)는, 각 구성 부재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절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위치에 배치된 핸들(48)을 일단 뒤쪽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제3 링크(30)를 후각(16)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암 레스트(19) 및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0)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핸들(48)과 전각(14)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48)의 배치 위치가 내려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다. 도 3의 절첩된 상태에서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밟으면 된다.
그런데,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통상 부재, 전형적으로는 비강도가 강한 알루미늄 합금제 파이프가 내장되어 있다. 통상 부재는, 경량화 및 고강성의 양쪽을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유모차에 적합하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통상 부재의 단부에는 단부 부품이 고정되어 있다. 단부 부품은, 통상,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원하는 형상이 용이하게 부여될 수 있다. 단부 부품은, 가공성에 한계가 있는 통상 부재 대신에, 소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다른 구성 요소와의 접속 개소를 형성한다. 또한, 단부 부품은, 통상 부재의 단부면을 덮음으로써, 유모차의 안전성이나 의장성을 개선한다. 도시된 유모차(1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제1 링크(20)를 이루는 주 링크재(21)가 통상 부재에 상당하고, 상부 접속재(22)가 단부 부품에 상당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25)를 이루는 프레임재(26)가 통상 부재에 상당하고, 후방 접속재(28)가 단부 부품에 상당할 수 있다. 또한, 제3 링크(30)의 주축재(31)가 통상 부재에 상당하고, 단부재(32)가 단부 부품에 상당할 수 있다.
유모차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통상 부재를 경량화하면, 유모차의 운반성이나 조종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두께의 저감이나 재료 선택에 의해 통상 부재를 경량화하려고 하면, 유모차의 사용 중에 통상 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본건 발명자들이 실험을 반복한바, 통상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 그리고 통상 부재의 재료를 저강도 경량 재료로 변경한 경우, 통상 부재의 단부에 균열이 발생하여, 당해 통상 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모차(10)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의 단부로의 균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루는 부재로서 통상 부재(50)가 사용되며, 당해 통상 부재(50)에 대한 단부 제품(70)의 고정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유모차(10)의 전각(14), 후각(16), 후방 연결 부재(17), 제1 링크(20)를 이루는 주 링크재(21), 제2 링크(25)를 이루는 프레임재(26), 링크 연결재(29), 제3 링크(30)를 이루는 주축재(31), 베이스 프레임(41), 상방 프레임(42), 및 연결 프레임(43), 및 핸들(4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루는 부재로서 사용된 통상 부재(50)에 대한 단부 제품(70)의 고정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단부 부품(70)의 통상 부재(50)로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통상 부재(50) 및 단부 부품(70)은, 조합되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각(14)을 이루고 있다. 이 전각(14)은, 단부 부품(70)에 있어서 암 레스트(19)에 접속되며, 통상 부재(50)의 하단부에 차륜(45)을 보유 지지하는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부품(70)은, 통상 부재(50)의 한쪽의 개구된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부품(70)은, 제1 부재(주 부재)(71)와, 제1 부재(71)와는 별체로서 형성된 제2 부재(별도 부재, 보조 부재)(72)를 갖고 있다. 즉, 단부 부품(70)은, 2개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재(71)는, 기부(74)와, 기부(74)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내측 지지부(75)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기부(74)는, 암 레스트(19)와 접속되는 부위로 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75)는, 통상 또는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기부(74)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내측 지지부(75)는, 통상 부재(50)의 한쪽 개구로부터 통상 부재(50) 내로 삽입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내측 지지부(75)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75)를 이루는 원통의 외주면은, 통상 부재(50)의 내면(50a) 중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에 인접하는 부분(50a1)(도 4 참조)에, 통상 부재(50)의 두께 방향(dt)에 있어서의 내측으로부터,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내측 대향면(75a)을 형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부재(72)는, 외측 지지부(76)와, 외측 지지부(76)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77)를 갖고 있다. 외측 지지부(76)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 부재(50)의 한쪽 단부가 외측 지지부(76) 내에 삽입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외측 지지부(76)는, 통상 부재(50)의 원통상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76)를 이루는 원통의 내주면은, 통상 부재(50)의 외면 중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에 인접하는 부분(50b1)(도 4 참조)에, 통상 부재(50)의 두께 방향(dt)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외측 대향면(76a)을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부(77)는, 외측 지지부(76)의 단부로부터, 통상 부재(50)의 두께 방향(dt)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플랜지부(77)는,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에, 통상 부재(50)의 축선 방향(dl)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대면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77)는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71)의 내측 지지부(75)는, 제2 부재(72)를 관통하여, 통상 부재(50) 내에 연장되어 들어와 있다. 플랜지부(77)는, 제1 부재(71)의 기부(74)와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 부재(50)에 대한 축선 방향(dl)이란, 통상 부재(50)의 한 쌍의 개구를 연결하는 방향이다(도 5 참조). 통상 부재(50)에 대한 두께 방향(dt)이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d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다. 도 5에 도시된 원통상의 통상 부재(50)에 있어서는, 축선 방향(dl)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통상 부재(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방향에 일치한다.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부 부품(70)의 내측 지지부(75)에 한 쌍의 관통 구멍(7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 부재(50)에도, 한 쌍의 관통 구멍(50d)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 부품(70)을 통상 부재(50)의 단부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단부 부품(70)의 한 쌍의 관통 구멍(75b)과 통상 부재(50)의 한 쌍의 관통 구멍(50d)은, 일직선 상에 배열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이나 리벳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78)가, 관통 구멍(75b, 50d)을 관통하여 통상 부재(50)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단부 부품(70)이, 통상 부재(5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단부 부품(70)은, 통상 부재(50)의 내면(50a)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내측 대향면(75a)을 가진 내측 지지부(75)와, 통상 부재(50)의 외면(50b)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외측 대향면(76a)을 가진 외측 지지부(76)를 갖고 있다. 본건 발명자들이 확인한바, 이 단부 부품(70)을 통상 부재(50)의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으로부터 터지게 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던 통상 부재(50)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단부 부품(70)에 의한 균열 방지 기능의 상세한 이유는 불명확하지만,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에 인접하는 영역에 있어서, 외측 지지부(76)에 의해 통상 부재(50)가 팽창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음과 함께, 내측 지지부(75)에 의해 통상 부재(50)의 벽부가 내측으로 쓰러지는 것(좌굴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 한 요인이라고 추정된다.
단부 부품(70)에 의해 통상 부재(50)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통상 부재(5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박육화된 통상 부재(50)는, 유모차(10)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유모차(10)의 취급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통상 부재(50)를 이루는 재료 선택의 자유도도 증가한다. 따라서,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통상 부재(50)를 형성함으로써, 유모차(1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일 구체예로서, 탄소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이루어지는 통상 부재를, 유모차(10)의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할 수 있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 부재는, 경량일 뿐만 아니라, 우수한 유연성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 부재(50)에 대하여 상술한 단부 부품(70)의 고정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유모차(10)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또한 유모차(10)의 진동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애당초 진동 흡수 성능의 개선은, 유모차(10)의 경량화 자체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경량의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 부재(50)와, 상술한 단부 부품(70)의 고정 방법의 조합에 따르면, 유모차(10)의 진동 흡수 성능을 구성 요소의 경량화 및 유연화의 양면으로부터 상승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모차(10)는, 통상 부재(50)와, 통상 부재(50)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된 단부에 고정된 단부 부품(70)을 갖는다. 단부 부품(70)은, 통상 부재(50)의 내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내측 대향면(75a)을 가진 내측 지지부(75)와, 통상 부재(50)의 외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외측 대향면(76a)을 가진 외측 지지부(76)를 갖고 있다. 이러한 통상 부재(50)와 단부 부품(70)의 조합에 따르면, 통상 부재(50)로의 균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의 저감에 의해 혹은 경량 소재를 채용함으로써, 통상 부재(50)를 경량화하고, 유모차(10)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내측 지지부(75) 및 외측 지지부(76)를 가진 단부 부품(7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유모차(10)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단부 부품(70)은, 기부(74) 및 내측 지지부(75)를 포함하는 제1 부재(71)와, 외측 지지부(76) 및 플랜지부(77)를 포함하는 제2 부재(72)를 갖고 있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부품(70)이, 기부(74) 및 외측 지지부(76)를 포함하는 제1 부재(81)와, 내측 지지부(75) 및 플랜지부(83)를 포함하는 제2 부재(82)를 갖도록 해도 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부재(81)의 기부(74) 및 외측 지지부(76)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 지지부(76)는 외측 대향면(76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부재(82)의 내측 지지부(75) 및 플랜지부(8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 지지부(75)는 내측 대향면(75a)을 형성하고 있다. 제2 부재(82)의 내측 지지부(75)는, 통상 또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된다. 제2 부재(82)의 플랜지부(83)는, 내측 지지부(75)의 단부로부터, 통상 부재(5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플랜지부(83)는,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재(81)의 외측 지지부(76)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82)는, 통상으로 형성된 외측 지지부(76)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부(74)는,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과의 사이에서 제2 부재(82)의 플랜지부(83)를 끼움 지지하는 저면부(74b)를 갖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외측 지지부(76)가 내측 지지부(75)보다 짧게 되어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외측 지지부(76)가 내측 지지부(75)보다 길게 되어 있다. 제1 부재(81)가, 고정구(78)를 통하여 통상 부재(50)에 고정되고, 제1 부재(81)는, 통상 부재(50)와의 사이에서 제2 부재(82)를 끼움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단부 부품(70)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 즉 통상 부재(50)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단부 부품(70)은, 별체로서 형성된 제1 부재(71) 및 제2 부재(72)를 갖고 있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부품(70)이, 단일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단부 부품(70)에서는, 내측 지지부(75) 및 외측 지지부(76)의 양쪽이, 기부(74)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통상 부재(50)의 단부면(50c)은, 내측 지지부(75)와 외측 지지부(76)의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 간 면(74a)에 대면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내측 지지부(75)가 외측 지지부(76)보다 길게 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내측 지지부(75)가 외측 지지부(76)보다 짧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단부 부품(70)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 즉 통상 부재(50)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단부 부품(70)과 통상 부재(50)의 조합에 있어서, 통상 부재(50)는, 단부 부품(70)을 통하여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암 레스트(19)와 접속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부품(70)을 통상 부재(5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79)를 통하여, 통상 부재(50)가 다른 구성 요소와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통상 부재(50)는, 단부 부품(70)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유모차(10)의 다른 구성 요소와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통상 부재(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핸들(48)의 축부(48a)를 형성하고, 단부 부품(70)은, 통상 부재(50)의 단부의 개구를 막는 캡재를 구성한다. 이러한 통상 부재(50)에 있어서도, 그 사용 중에 단부면(50c)으로부터 터지게 되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단부 부품(70)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 즉 통상 부재(50)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8454호에 개시된 유모차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하도록 절첩한 후에 더 절첩하여 폭 방향으로도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유모차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 즉 핸들(48)의 중간부(48b), 전방 연결재(15), 후방 연결재(17), 링크 연결재(29),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 등이 힌지(굴곡점)를 갖고, 이들 부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되도록 절첩된 후에, 또한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굴곡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에 있어서, 핸들(48)이 배면 누름 위치(후방 위치)와 대면 누름 위치(전방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즉,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48)이 제1 링크(20)와는 별도로 설치되고, 핸들(48)이 유모차 본체(11)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48)이 후방 위치에 고정되고, 배면 누름 위치로부터 요동 불가능하게 유모차(10)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핸들(48)의 축부(48a)의 하단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 한 쌍의 제1 링크(20)가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링크(20)가, 암 레스트(19)와의 연결 개소를 넘어서 더 연장되어, 핸들(48)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9)

  1.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된 단부에 고정된 단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삽입된 내측 지지부이며, 상기 통상 부재의 내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내측 대향면을 가진 내측 지지부와,
    상기 통상 부재의 외면에 원주상의 영역에서 대면하는 외측 대향면을 가진 외측 지지부를 갖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내측 지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는 별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상기 통상 부재의 단부면에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내측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상기 통상 부재의 단부면에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은, 상기 내측 지지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의 양쪽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부를 더 갖는,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전각, 후각 및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및 상기 핸들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전각 및 후각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 레스트와,
    상기 암 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와,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와,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유모차.
  7.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 및 한 쌍의 후각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암 레스트와,
    상기 암 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제1 링크와,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제2 링크와,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제3 링크와,
    상기 한 쌍의 후각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 연결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상기 제3 링크, 상기 후방 연결재 및 상기 링크 연결재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유모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가 핸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모차.
  9. 제1항에 있어서, 전각 및 후각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 레스트와,
    상기 암 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와,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와,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와,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전각, 상기 후각,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상기 제3 링크 및 상기 핸들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유모차.
KR1020177007364A 2014-09-22 2015-09-02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KR102384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3081A JP6415912B2 (ja) 2014-09-22 2014-09-22 乳母車および乳母車に用いられる筒状部材
JPJP-P-2014-193081 2014-09-22
PCT/JP2015/074992 WO2016047407A1 (ja) 2014-09-22 2015-09-02 乳母車および乳母車に用いられる筒状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579A true KR20170063579A (ko) 2017-06-08
KR102384481B1 KR102384481B1 (ko) 2022-04-08

Family

ID=5558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64A KR102384481B1 (ko) 2014-09-22 2015-09-02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15912B2 (ko)
KR (1) KR102384481B1 (ko)
CN (1) CN106715237B (ko)
TW (1) TWI656999B (ko)
WO (1) WO2016047407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0809U (ko) * 1986-04-18 1987-10-29
JPH11310086A (ja) * 1998-04-27 1999-11-09 Joto Kogyo Kk パイプジョイント装置
JP2001171011A (ja) * 1999-12-21 2001-06-26 Nitto Denko Corp 難燃性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部材
JP2005082082A (ja) * 2003-09-10 2005-03-31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09074009A (ja) * 2007-09-25 2009-04-09 Toray Ind Inc プリプレグおよび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09247590A (ja) * 2008-04-07 2009-10-29 Mizuno Technics Kk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10234988A (ja) * 2009-03-31 2010-10-21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11509862A (ja) * 2008-01-10 2011-03-31 グラコ チルドレンズ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片手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JP2013193509A (ja) * 2012-03-16 2013-09-30 Combi Corp 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9107D0 (en) * 1988-12-14 1989-01-25 Raleigh Industries Ltd Jointing of tubular elements
CN2690255Y (zh) * 2003-11-09 2005-04-06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收折关节结构及婴儿车骨架结构
CN101767602B (zh) * 2008-12-26 2012-07-0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手把高度调整机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0809U (ko) * 1986-04-18 1987-10-29
JPH11310086A (ja) * 1998-04-27 1999-11-09 Joto Kogyo Kk パイプジョイント装置
JP2001171011A (ja) * 1999-12-21 2001-06-26 Nitto Denko Corp 難燃性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部材
JP2005082082A (ja) * 2003-09-10 2005-03-31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09074009A (ja) * 2007-09-25 2009-04-09 Toray Ind Inc プリプレグおよび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11509862A (ja) * 2008-01-10 2011-03-31 グラコ チルドレンズ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片手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JP2009247590A (ja) * 2008-04-07 2009-10-29 Mizuno Technics Kk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10234988A (ja) * 2009-03-31 2010-10-21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13193509A (ja) * 2012-03-16 2013-09-30 Combi Corp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15912B2 (ja) 2018-10-31
TW201615461A (zh) 2016-05-01
CN106715237A (zh) 2017-05-24
WO2016047407A1 (ja) 2016-03-31
CN106715237B (zh) 2019-10-01
TWI656999B (zh) 2019-04-21
KR102384481B1 (ko) 2022-04-08
JP2016064686A (ja)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47401A1 (ja) 乳母車
EP2524853B1 (en) Baby carriage
JP2018047865A (ja) 乗物用シート用バックフレーム
US20140015228A1 (en) Stroller
KR20170063579A (ko)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JP2017144856A (ja) ベビーカー
JP2020001661A (ja) 鞍乗型車両
KR20170034625A (ko) 유모차 겸용 자전거
JP3181390U (ja) 車椅子兼用自転車
JP4759767B2 (ja) 車両のランバーサポート機構
KR20170058930A (ko)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KR102371058B1 (ko) 유모차
CN108528580B (zh) 用于车辆的脚踏组件
JP6183795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KR102488862B1 (ko) 유모차
US20140027992A1 (en) seat unit for child and a wheeled child conveyance using it
CN206374589U (zh) 一种运动式汽车儿童安全座椅
JP2007118877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5728594B2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TWI754265B (zh) 嬰兒車
JP6255278B2 (ja) 背対面切替式乳母車
JP5613345B2 (ja) 車椅子兼用自転車
JP2015160471A (ja) 背対面切替式乳母車
WO2014184848A1 (ja) 自動二輪車
JP2015009729A (ja) 車輪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