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330A -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 Google Patents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330A
KR20170062330A KR1020150168002A KR20150168002A KR20170062330A KR 20170062330 A KR20170062330 A KR 20170062330A KR 1020150168002 A KR1020150168002 A KR 1020150168002A KR 20150168002 A KR20150168002 A KR 20150168002A KR 20170062330 A KR20170062330 A KR 20170062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bacter pylori
composition
strain
lactic acid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626B1 (ko
Inventor
서상훈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제이나인바이오 영농조합법인
서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나인바이오 영농조합법인, 서상훈 filed Critical 제이나인바이오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5016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6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되는 유산균 균주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내산성 유산균 균주 획득을 위한 배양조건으로서 산도 조건 및 배양 배지 조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하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헬리코박터균의 위점막 부착을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하며, 자세하게는 청국장으로부터 유래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Enterococcus faecium J9 (KCCM 11735P)를 포함하는 유산균 균주의 배양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Composition for preventing Helicobacter pylori from attaching on the epithelial cells of stomach, the preparation therefor, and the functional beverage using them}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되는 유산균 균주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산성 유산균 균주 획득을 위한 배양조건으로서 산도 조건 및 배양 배지 조건에 관한 것이다.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 H. pylori)은 미호기성 나선형 그람음성간균으로 1983년 위점막에서 처음 배양된 이후 위궤양, 만성 전정부 위염, 위암 및 MALT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림프종의 원인균으로 알려졌으며, 각종 소화기계 질환뿐만 아니라 혈액, 심장 질환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몇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는 나선형의 세균으로 헬리코박터균은 위장점막에 주로 감염되어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선암, 위림프종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위장점막의 표면이나 위장의 점액에서 발견되며, 위장점막 세포 자체를 뚫고 감염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 강산성의 위장 환경에서 요소분해효소(urease)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세균이 알칼리성 환경을 만들어 위장점막에서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 위암 발생 위험성이 3.8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1994년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헬리코박터균은 분명한 발암 인자로 분류 되었다.
따라서,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가 위암예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은 성인의 5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이 80∼9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 보고에 따르면 61.3%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는 양성자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를 기본으로 한 clarithromycin (500 mg bid)과 amoxicillin (1 g bid)의 병합요법을 일차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일차 치료제로 제균 치료를 시행한 경우 제균율이 55∼90%로 알려져 있고,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표준일차 치료법의 제균율이 1991년부터 1998년까지 90% 이상을 보여 매우 효과적이었던 것에 반해 2000년 이후의 제균율이 8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난다는 보고도 있어, 제균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The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Vol. 11, No. 1, 26-36, June 2011]
항생제 치료법에 있어서 제균율 저하의 원인은, 헬리코박터균이 위장점막 표면이나 점액에 존재하므로 항생제 유효성분이 헬리코박터균이 있는 곳까지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이며, 여러 차례 항생제에 노출이 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약물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치료가 쉽지 않다는 원인 또한 존재한다.
한편, 항생제를 복용하다가 임의로 중단하는 경우에는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다음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고, 항생제를 병용했을 때 설사, 복통, 쓴맛, 오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도 있다.
헬리코박터균의 위점막 부착 억제를 위한 항생제 치료의 대체로서, 생물학적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가장 많이 연구된 유산균에는 젖산을 생산하는 젖산간균속 세균(Lactobacillus spp.)과 비피도세균(Bifidobacterium spp.)이 있으며, 이중 Lactobacilli는 정상인의 위에 우세하게 존재하는 균으로 0∼103/mL가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10-2004-0013654호]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10-0357668호]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10-2014-0134021호]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10-2004-0013654호]는 항 헬리코 박터(Anti Helicobacter) 유산균의 생리활성 기능을 이용하여 기능성 수산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 비교하여 유산균 제조의 원료물질로서 수산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지는 기술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10-0357668호]는 유산균 제제, 발효유에 관한 것으로서, 위염, 위궤양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해 항균활성, 우레아제활성억제, 위내 정착억제, 인터루킨-8 생성억제 능력을 가지며, 나아가 이를 이용하여 발효유, 유산균식품, 정장제 등의 제품으로의 활용을 제시하고 있는 기술인데, 관련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HY 2177,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HY 2743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특정하는 균주와 구분이 되는 것으로서, 양 발명은 상이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10-2014-0134021호]는 김치에서 유래하는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발효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유산균으로서 Lactobacillus sakei C-11, L. sakei M-5,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L. buchneri BK-1 및 P. inopinatus BK-3을 제공하고 있으며, 해당 유산균주 5종에 대한 장내 생존성, 인공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선행문헌은 김치에서 유래하는 유산균을 활용한다는 점, 특정되는 균주에 있어서 본 발명과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헬리코박터균의 위점막 부착 억제에 관한 항생제 약물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되는 유산균 균주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와 관련하여, 천연물질 활용의 측면에서 진행된 연구로서, 김치를 활용하는 방법, 발효홍삼을 이용하는 방법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청국장으로부터 유래하는 유산균을 이용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되지 않았다.
한편, 유산균을 활용하여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하는 방법은, 강한 산성인 사람 위장 환경에서 유산균이 정상적으로 증식하며 활동하기에 매우 어렵다는 점과, 헬리코박터균의 구조적 특징상 생명력이 우수하여 균체의 완전한 사멸이 어렵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산성을 가지는 유산균주의 획득을 위하여, 산도를 높인 유산균의 배양액이나 균체 분리 배양여액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나아가 이를 위한 유산균 배양배지의 조성비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이외에도,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루테우리(Lactobacillus ruteuri),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디움(Bifidobacterium bifidium) 및 이들이 하나 이상 포함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이 유산균 배양액 또는 배양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배양액 또는 배양여액의 pH 가 3.0 내지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배양배지원액,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의 제조단계; 상기 배양배지에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를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배지를 배양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양배지는 C(탄소) : N(질소) 비율이 0.5 내지 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양배지는 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원이 2 내지 5 중량부와 질소원이 1 내지 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배지의 탄소원이 글루코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양배지의 질소원이 이스트 추출물 또는 펩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으로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효과를 가지는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 자체를 제공하며, 유산균 배양액을 활용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한다.
청국장에서 유래하는 본 발명의 균주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고 항균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은 식품 첨가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바, 기능성 음료 제조 등의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산균의 16s rRNA 서열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산균의 16s rRNA 서열분석 결과에 기초로 한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 의 계통발생 관계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유산균 배양여액 처리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부착능력을 비교한 실시예 3의 FACS 분석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부착된 헬리코박터균의 1차, 2차, 3차 실험 결과에서 유산균 및 대조군의 수를 비교하는 결과이다.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균의 위점막 부착 억제에 관한 생물학적 경감으로서,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되는 유산균 균주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산성 유산균 균주 획득을 위한 배양조건으로서 산도 조건 및 배양 배지 조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실시예 (1) :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1) 청국장으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수집된 청국장으로부터 MRS 아가에 도말하는 작업을 수차례 반복 실시하여 5가지 종류의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이중 배양이 잘되고 산도가 높은 배양 균주를 선택하여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에 16s rDNA Sequencing 의뢰하였고, NCBI BLAST 프로그램으로 비교하여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인 것으로 나타났다.
2) 16s rDNA 서열분석을 통한 유산균 동정
분리된 유산균의 최종적인 동정을 위하여 16s rRNA 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서열 분석을 위해 분리된 유산균을 Lactobacilli MRS broth에 배양하고, 배양액 1.5 mL를 취해 원심 분리한 후 0.8% 멸균 생리식염수로 수세하였다.
그리고 genomic DNA kit를 사용하여 chromosomal DNA를 추출하여 PCR을 위한 주형 DNA로 사용하였으며, 세균의 16s rRNA에 대한 universal primer로서 F-341(CCTACGGGAGGCAGCAG) 및 786-R(GACTACCAGGGTATCTAATC)를 사용하였다. PCR 수행이후 DNA 증폭산물을 확인하고, 다시 정제하였다.
염기서열은 DNA 염기서열 분석 자동화기기를 활용하였으며, 프라이머는 상기 언급한 것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16S rRNA 서열의 상동성 분석은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http://www.ncbi.nlm.nih.gov/)의 BLAST 서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NA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였다.
또한, 동정된 유산균의 계통학적 분석도구로서 Clustal X, BioEdit, MEGA 4(www.megasoftware.net/)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염기서열 간의 유전적 거리와 계통도를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산균의 16s rRNA 서열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산균의 16s rRNA 서열분석 결과에 기초로 한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의 계통발생 관계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3)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결과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결과로서,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를 포함하는 총 7개의 유산균 균주를 분리 선발할 수 있었다.
Lactobacilli MRS 아가에서 배양된 집락을 형태학적인 특성에 따라 분리한 후, 그램 시험, 카탈라아제 시험,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하여 젖산균 의심 대상 균주를 선발하였다. 그리고 API 50 CHL kit 를 이용하여 당 발효특성 등의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동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재확인하였다.
그 결과,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 이외에도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루테우리(Lactobacillus ruteuri),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디움(Bifidobacterium bifidium)의 유산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한 유산균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생육을 억제하고 내산성, 내염성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청국장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유산균주는 pH 3.0 내지 4.5 범위에서 생리활성을 가지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는 2015년 7월 23일자로 미생물 기탁기관인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에 기탁하였고, 기탁번호 KCCM 11735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 헬리코박터 파리로리의 위점막 부착 저해 성능 실험
1) 유산균 배양여액의 준비 및 산도 측정
먼저, 배양배지로서 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원 (Glucose) 2 내지 5 중량부와 질소원 (Y.ext, Peptone류를 총합)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시켜 배지를 조성하고, 산도 pH 6.2 로 하여 온도 121℃ 조건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이후 Enterococcus faecium J9을 접종하고, 17시간 배양한 다음 15,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유산균체를 제거한 배양여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배양배지는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를 C(탄소) : N(질소) 비율로 나타내면 0.5 내지 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양배지의 탄소원이 글루코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 또는 펩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양배지에서 유산균을 획득하는 조건은 산성 조건으로서 이는 유산균 배양에 의하여 발생하는 유기산 함량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유기산은 산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기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초산(Acet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젖산(Lac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사과산(Malic acid), 뷰티르산(Butyric acid), 개미산(Form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양배지를 조성하고 pH 6.2 조건에서 121℃ 조건 15분간 멸균한 후, 유산균을 접종하였다. 이후, 17시간 배양한 후, 젖산의 함량을 정량하여 산도 조건을 결정하였다.
배양배지에 유산균 접종 이후 3시간이 경과하면, 산도가 pH 4.5로 나타나며, 접종 이후 17시간이 경과하면, 산도는 pH 4.0로 나타났다. 이때의 유기산 함량은 1.84 % v/v 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에 의한 산도 측정과 관련하여, 배양액 30ml를 0.1M NaOH 용액으로 pH가 8.3이 될 때까지 적정하여 소비된 0.1M NaOH 소비량을 구하여 젖산의 함량을 결정하였다.
이 경우, 배양액의 유산균 개체수가 2.5 X 1010 CFU/g 에 이르러 균체가 최적으로 배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 효과의 확인을 위하여, 배양액 자체 또는 배양여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양여액을 활용하였는데, 분리절차로서 배양액을 대상으로 하여 15,000g 조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균체를 분리하고 배양여액을 회수하여 사용하였다.
2) 위벽 상피세포 배양
위벽 상피세포 배양을 위하여, RPMI-1640 배지를 준비하는데, RPMI-1640 배지에 송아지 혈청 10%, 항생제-항진균제 1%가 함유되도록 첨가하였다.
준비된 위벽 상피세포 배양용 RPMI-1640 배지를 2ml를 넣고, 여기에 위벽 상피세포(MKN-28 또는 MKN-45)를 접종하였다. 접종하는 세포 배양접시당 세포수는 1 X 105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벽 상피세포가 접종된 세포 배양접시를 5% 이산화탄소 존재하의 배양기에 넣어 37℃ 에서 2일 내지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위벽 상피세포가 완전 단층(confluent monolayer)을 이루는 면적이 세포배양접시의 80% 정도에 이르면 세포 배양접시로부터 배지를 제거하였다.
위벽 상피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배양접시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로 3회 세척하였다.
3) 헬리코박터균 배양
헬리코박터균 배양을 위하여, 브루셀라 혈액 배지를 준비하는데, 시판하는 브루셀라 배지(Brucella broth/agar)에 말 혈청 10%, 스키로 보충제 0.2%, 암포테리신 B 0.2%가 함유되도록 첨가하였다.
이후, 준비된 브루셀라 혈액 배지에 헬리코박터 파이로리(ATCC 43504)를 접종하고, 10% 이산화탄소 배양기에 넣어 37℃ 에서 3일 동안 배양한 다음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헬리코박터 저해 in vitro 효과 확인
측정의 대상이 되는 유산균 한 종류당 최소한 4개의 세포 배양접시를 준비하였다.
1. 음성 대조군용 1 : 위벽 상피세포만 배양한 것
2. 음성 대조군용 2 : 위벽 상피세포와 유산균 배양여액을 배양한 것
3. 양성 대조군용 : 위벽 상피세포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배양한 것
4. 부착 억제 기능 측정용 : 위벽 상피세포,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산균 배양여액을 모두 배양한 것 ( H.pylori 1 ml + 유산균 100 ug / ml처리)
상기 준비한 4개의 배양접시를 최소 3회 이상 반복 실험하였다.
헬리코박터의 위벽 상피세포 부착저해 효과의 확인을 위하여, FACS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산균 배양여액 처리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부착능력을 비교한 FACS 분석결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1차, 2차, 3차 실험 결과에서 위벽에 부착된 헬리코박터균의 수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결과이다.
헬리코박터의 위벽 상피세포 부착저해 효과의 확인을 위하여, 유산균 배양여액으로 처리한 군과 대조군의 세포를 떼어내어 FACS 분석을 통하여 헬리코박터 수를 측정하였고, 도 3 및 도 4 에서와 같이 유산균 처리군에서 헬리코박터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배양접시중 위벽 상피세포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배양한 양성 대조군용 접시와, 위벽 상피세포,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산균 배양여액을 모두 배양한 부착 억제 기능 측정용 접시에 대하여, 3회 반복 실험을 통하여 얻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수를 비교한 결과이다.
유산균 처리에 의한 부착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저농도의 유산균 배양여액을 처리한 접시에서, 위벽 상피세포로부터 제균된 헬리코박터균이 59%~76% 정도 범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높은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735P 20150723

Claims (13)

  1.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효과를 가지는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
  2.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루테우리(Lactobacillus ruteuri),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디움(Bifidobacterium bifidium) 및 이들이 하나 이상 포함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는 청국장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배양액 또는 배양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또는 배양여액은 pH 가 3.0 내지 4.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
  7. 배양배지원액,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의 제조단계;
    상기 배양배지에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를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배지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슘 J9 균주(Enterococcus faecium J9 기탁번호 : KCCM 11735P)는 청국장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양배지는 C(탄소) : N(질소) 비율이 0.5 내지 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양배지는 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원이 2 내지 5 중량부와 질소원이 1 내지 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배지의 탄소원이 글루코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배지의 질소원이 이스트 추출물 또는 펩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위점막 부착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2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KR1020150168002A 2015-11-27 2015-11-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KR10178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002A KR101786626B1 (ko) 2015-11-27 2015-11-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002A KR101786626B1 (ko) 2015-11-27 2015-11-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330A true KR20170062330A (ko) 2017-06-07
KR101786626B1 KR101786626B1 (ko) 2017-10-17

Family

ID=5922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002A KR101786626B1 (ko) 2015-11-27 2015-11-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753B1 (ko) * 2021-07-16 2022-06-03 주식회사 신성랩메디컬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 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 식품
CN116509900A (zh) * 2022-12-01 2023-08-01 佛山科学技术学院 益生菌或其细胞外囊泡在制备防治胃溃疡产品中的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753B1 (ko) * 2021-07-16 2022-06-03 주식회사 신성랩메디컬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 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 식품
CN116509900A (zh) * 2022-12-01 2023-08-01 佛山科学技术学院 益生菌或其细胞外囊泡在制备防治胃溃疡产品中的应用
CN116509900B (zh) * 2022-12-01 2023-11-10 佛山科学技术学院 益生菌或其细胞外囊泡在制备防治胃溃疡产品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626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97653C (zh) 包含戊糖乳杆菌菌株的组合物及其用途
CN101068918B (zh) 具有减少身体脂肪活性的鼠李糖乳杆菌以及包含它们的食品
TWI678208B (zh) 新穎的雷曼氏乳桿菌菌株(lactobacillus rhamnosus)與其用於抑制黃嘌呤氧化酶及治療痛風之代謝產物
CN102089422B (zh) 新的益生长双歧杆菌
KR101399712B1 (ko) 신규 유발효물 및 그의 이용
CN113832077B (zh) 鼠李糖乳杆菌及其应用
CN114480229B (zh) 一种动物双歧杆菌乳亚种菌株wkb148及其产品与应用
CN113913346B (zh) 一种副干酪乳杆菌jn-1及其应用
CN112812999B (zh) 一株对阴沟肠杆菌具有抑制作用的植物乳杆菌slb01及其衍生产品和应用
CN114774326B (zh) 一株抑制幽门螺旋杆菌的植物乳杆菌a21136及其应用
CN116083325B (zh) 一种改善幽门螺杆菌相关性胃肠疾病的鼠李糖乳杆菌及其应用
CN114891675B (zh) 胃源性植物乳杆菌lpf-01及其应用
CN112625979A (zh) 一种对抗幽门螺杆菌的干酪乳杆菌及其应用
CN114774315B (zh) 鼠李糖乳杆菌菌株LRa05在制备增强免疫力制品和/或缓解湿疹制品方面的用途
CN111566200A (zh) 对乙醇和乙醛具有降解功能的微生物,包括所述微生物的组合物和试剂盒
KR101786626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력을 가지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음료.
CN115851551B (zh) 一株具有抗幽门螺杆菌作用的戊糖片球菌a21358及其应用
CN113528367A (zh) 一株具有预防腹泻和降解胆固醇功能的凝结芽孢杆菌
JP4457364B2 (ja) 新規な乳酸菌及び当該乳酸菌を使用して加工した各種製品
TW201016847A (en) A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its use for inhibiting Helicobacter pylori growth
JP2015500016A (ja) ロイテリン産生ラクトバチルス・ブレビス
CN114806953A (zh) 一种具有改善1型糖尿病特性的格氏乳杆菌
CA2908031A1 (en) Bacterium belonging to genus lactobacillus
Yasiri et al. Isolation of bile salt hydrolase and uricase 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SF121 from pak sian dong (fermented spider plant) for using as probiotics
JP4612971B2 (ja) ケフィア粒から分離したラクトコッカス属乳酸菌とそれを用いた食品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