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529A - 편광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529A
KR20170057529A KR1020150160741A KR20150160741A KR20170057529A KR 20170057529 A KR20170057529 A KR 20170057529A KR 1020150160741 A KR1020150160741 A KR 1020150160741A KR 20150160741 A KR20150160741 A KR 20150160741A KR 20170057529 A KR20170057529 A KR 2017005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film
adhesive
polarizer
guide roll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4508B1 (ko
Inventor
이도헌
한인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5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편광자의 양면에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을 각각 접착제로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착제를 1차 경화시키고,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방향 전환 각도 30° 내지 75°로 상기 수평 방향으로 경사 방향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1차 경화된 접착제를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양면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필름을 접착제로 접착시켜 제조될 수 있다.
편광자는 길이가 긴 필름 형태라서 롤 등에 의해 감긴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필름을 접착제로 접합하고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공정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편광자를 수평 방향으로 공급하고, 편광자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보호필름을 공급하고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접합하는 공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부와 하부에서 접착제의 도포 정도는 중력의 영향으로 서로 다르게 되어, 편광자의 양면에서 보호필름의 접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자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방향으로 공급하여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편광자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최종적으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 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밖에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 또는 주름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되는 보호필름의 접착 정도가 다를 경우, 편광판의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편광판의 휨은 광학표시장치의 빛샘 등의 문제를 일으켜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고, 액정패널 등에도 영향을 주어 광학표시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08-09027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이동시킨 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더라도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박리가 없게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이동시킨 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더라도 편광자의 양면에서 보호필름 간의 접착 정도가 균일하여 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편광자의 양면에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을 각각 접착제로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착제를 1차 경화시키고,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방향 전환 각도 30° 내지 75°로 상기 수평 방향으로 경사 방향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1차 경화된 접착제를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킨 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더라도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박리, 보호필름의 주름 발생이 없게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킨 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더라도 편광자의 양면에서 보호필름 간의 접착 정도가 균일하여 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방향 전환 각도의 개념도이다.
도 3은 휨 측정의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 전환 각도"는 도 2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 공정 전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 필름의 이동 방향(실선의 화살표 방향)과,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에 의한 방향 전환 공정 동안의 적층 필름의 이동 방향(점선의 화살표 방향)이 이루는 각도(θ)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휨"은 도 3을 참조하면, 사각형 형태의 편광판(1)을 바닥(2)에 놓고 25℃ 및 40% 상대습도에서 방치하였을 때, 편광판(1)이 휘어지는 경우 바닥(2)으로부터 편광판(1)의 네 모서리 부분까지의 각각의 높이(H)를 측정하고 평균한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편광자의 양면에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을 각각 접착제로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착제를 1차 경화시키고,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방향 전환 각도 30° 내지 75°로 상기 수평 방향으로 경사 방향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1차 경화된 접착제를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접합 공정(30), 1차 경화 공정(40), 및 2차 경화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 공정(50)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 공정(30)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편광자(11)의 양면에 접착제로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을 각각 접합하여 적층 필름(14)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 공정(10)으로 공급되는 편광자(11)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편광자(11)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킨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시킨 폴리엔계 편광자가 될 수 있다. 편광자(11)는 두께가 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11)는 안내 가이드 롤(21) 등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접합 공정(3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자(1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 개의 가이드 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접합 공정(30)에서 편광자(11)는 수직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은 편광자(11)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합 공정(30)에 도입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수직이 아닌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수도 있다. 편광자(11)의 이동 속도는 10m/min 내지 50m/min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와 보호필름간의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은 각각 편광자(11)의 양면 즉 편광자(11)의 좌우 방향에서 편광자(11)의 양면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은 각각 가이드 롤(22a)(22b)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 개의 가이드 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은 편광판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필름으로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구체적으로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로 형성된 필름이 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은 동일 또는 이종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은 각각 두께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예를 들면 두께는 10㎛ 내지 200㎛, 구체적으로 20㎛ 내지 1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11)는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되고 편광자(11)의 양면 즉 편광자(11)의 좌우에서 각각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이 접합되어 적층 필름(14)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편광자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편광자의 상하에서 각각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을 접합한 경우 대비 접착제의 도포가 좌우로 편광자에 대칭적으로 실시됨으로써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접착력의 균일성이 커질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의 접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을 동시에 접합함으로써 편광자의 양면에서의 접착력의 균일성이 커질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과 제2보호필름(13)은 각각 접착제에 의해 편광자(11)의 양면에 접합될 수 있다. 접착제는 광경화 편광판용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판용 접착제는 (A)비-(메트)아크릴레이트형 에폭시계 화합물, (B)비-에폭시형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C)(메트)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에폭시계 화합물, (D)광증감제, (E)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A)비-(메트)아크릴레이트형 에폭시계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지 않는 에폭시계 화합물로서,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B)비-에폭시형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1개 이상의 친수성기 예를 들면 수산기 또는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수성기를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비-에폭시형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친수성기를 갖지 않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페녹시기 함유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메트)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에폭시계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기와 에폭시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비스페놀 A 에폭시 모노 또는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에폭시 모노 또는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D)광증감제는 광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티오크산톤계, 인계, 트리아진계, 아세토페논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광에 의해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양이온과 음이온의 오늄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2641호에 기재된 바와 같다.
편광자(11)와 제1보호필름(12) 및 제2보호필름(13)간의 접합이 잘 되게 하기 위해 핀칭 롤(23a)(23b)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핀칭 롤(23a)(23b)은 회전함으로써 편광자(11)의 양면에 제1보호필름(12), 제2보호필름(13)이 잘 접합되게 하고 적층 필름(1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적층 필름(14)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1차 경화 공정(40)을 거쳐,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이 될 수 있다.
1차 경화 공정(40)은 편광자(11)와 제1보호필름(12) 및 편광자(11)와 제2보호필름(13) 간의 접착제를 일부 경화시킬 수 있다. 편광판 제조시 편광자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공간 부족으로 인해 적층 필름을 계속에서 하부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밖에 없다. 이때 1차 경화 공정(40)은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초기 접착력을 향상시켜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스트레스를 막아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를 최소화하고, 추후 편광판의 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차 경화는 접착제의 총 경화율 100% 중 20% 내지 80%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초기 접착력 유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1차 경화는 광경화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는 UV 파장 예를 들면 UVA 파장에서 10mJ/cm2 내지 500mJ/cm2의 광량으로 적층 필름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는 편광판의 제조 공정 중 적층 필름(14)에서 최종 편광판의 제조까지 가해져야 하는 총 광량 중 20% 내지 80%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적층 필름의 방향 전환시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를 최소화하고 초기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1차 경화 공정(40)은 제1 경화조(4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보호필름, 제2보호필름의 양쪽에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편광자와 제1보호필름, 그리고 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접착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고, 이것은 최종 편광판의 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은 방향 전환 공정(50)을 거쳐 편광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방향 전환 공정(50)은 제1 방향 전환 가이드 롤(24),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 및 제2 경화조(5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은 수직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공간 부족으로 인해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야 한다. 이때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은 방향 전환 각도 30° 내지 75°로 경사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최종 편광판의 휨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박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은 방향 전환 공정(50)에 의해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90° 방향 전환될 수 있다.
방향 전환 공정(50)은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25)로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방향 전환 공정(50)은 35℃ 미만, 구체적으로 20℃ 내지 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은 제1 경화조(41)의 하부 및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의 우측면에 위치한다.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은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의 우측면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2차 경화된 적층 필름(16)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이 상기 방향 전환 각도로 이동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은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에 의해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을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로 이동시키는 경우 즉 90° 로 급격하게 이동시키는 경우 대비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에 의해 방향 전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25) 사이에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 가이드 롤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방향 전환에 따른 편광자와 보호필름에 대한 영향을 더 최소화할 수도 있다.
방향 전환 공정(50)은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을 방향 전환함과 동시에 제2 경화조(51)에 의해 접착제를 2차 경화시킬 수 있다. 방향 전환과 2차 경화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경화조(51)는 적층 필름에 대해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의 반대 측 즉 적층 필름(15)의 좌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의 두께가 동일하고 동일 재질이라고 가정할 때, 적층 필름을 일 방향으로 경사 방향시킴으로 인하여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 중 제1 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이 접하는 쪽에서만 상대적으로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압력이 커져서 최종 제조되는 편광판에서 휨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2차 경화는 제1 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25) 사이에서 상기 적층 필름에 장력이 유지되어 적층필름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경화 정도를 높임으로써 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차 경화시 제1 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이 접하는 쪽 또는 접하지 않는 쪽으로 어느 한쪽 이상에서 보호필름과 편광자 간의 접착제도 추가로 경화될 수 있다.
제2경화조(51)는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15)을 2차 경화시킬 수 있다. 2차 경화는 광경화는 UV 파장 예를 들면 UVA 파장에서 100mJ/cm2 내지 1,000mJ/cm2의 광량으로 적층 필름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는 편광판의 제조 공정 중 적층 필름(14)에서 상기 접착제의 총 경화율 중 20% 내지 80%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적층 필름의 방향 전환시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를 최소화하고 휨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광경화는 편광판의 제조 공정 중 적층 필름(14)에서 최종 편광판의 제조까지 가해져야 하는 총 광량 중 20% 내지 80%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2차 경화로 인해 접착제의 최종 경화율은 100%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은 방향 전환 공정에서 하나의 제2경화조(51)가 포함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나, 방향 전환 공정은 복수의 경화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은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이 적층 필름(15)의 우측면에 위치하고,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이 적층 필름(15)의 우측면에 위치하고, 제2경화조(51)가 적층 필름(15)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 제2경화조(51)는 적층 필름의 일측면 중 하나 이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이 적층 필름(15)의 좌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및/또는 제2경화조(51)는 적층 필름(15)의 우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제2경화조(51)는 적층 필름(15)에 대해 동일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25)은 적층 필름이 상기 방향 전환 각도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24)과 동일 측면 또는 다른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방향 전환 공정(50) 후, 적층 필름은 추가로 경화되거나 건조될 수 있고, 이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편광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일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된 제1보호필름, 편광자의 다른 일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된 제2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휨 발생율이 낮고, 고온 고습에서도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가 적을 수 있다.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비-(메트)아크릴레이트형 에폭시계 화합물로 비스페놀 A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KDS-8128, 국도화학) 50중량부, 비-에폭시형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SK CYTEC) 49중량부, (메트)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에폭시계 화합물로 비스페놀 A 에폭시 디아크릴레이트(PE210, MIWON) 1중량부, 광증감제로 Thioxanthone(DETX-S Nippon Kayaku) 1중량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요오드늄염(Irgacure 250, BASF) 3중량부를 용제 없이 배합하여 편광판용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편광자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광자의 양면에 상기 제조한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을 편광자의 양면에 접합시켜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를 사용하였고,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은 각각 동일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을 사용하였고, 접착제는 광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UVA 파장에서 300mJ/cm2 광량으로 접착제를 1차 경화시켰다.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과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을 통해 방향 전환 각도 40°로 방향 전환시키면서 UVA 파장에서 700mJ/cm2 광량으로 접착제를 2차 경화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휨은 0.34cm이었고,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분리가 없었다. 휨은 도 3의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에서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을 사용하지 않고 방향 전환 각도 90°로 방향 전환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휨은 1.29cm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편광판의 휨 발생을 억제하고,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분리를 없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편광자의 양면에 제1보호필름과 제2보호필름을 각각 접착제로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적층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착제를 1차 경화시키고,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을 방향 전환 각도 30° 내지 75°로 상기 수평 방향으로 경사 방향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1차 경화된 접착제를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상기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적층 필름은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90° 방향 전환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하는 단계는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과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로 상기 적층 필름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은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은 상기 1차 경화된 적층 필름이 상기 방향 전환 각도로 이동하도록 위치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과 상기 제2 방향 전환 가이드 롤 사이에 상기 적층 필름을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 가이드 롤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2차 경화시키는 제2경화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화조는 상기 적층 필름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화조는 상기 적층 필름에 대해 상기 제1방향 전환 가이드 롤과 제2방향 전환 가이드 롤 대비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경화는 상기 접착제를 상기 접착제의 총 경화율 중 20% 내지 80%로 경화시키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150160741A 2015-11-16 2015-11-16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1854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41A KR101854508B1 (ko) 2015-11-16 2015-11-16 편광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41A KR101854508B1 (ko) 2015-11-16 2015-11-16 편광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29A true KR20170057529A (ko) 2017-05-25
KR101854508B1 KR101854508B1 (ko) 2018-05-04

Family

ID=5905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41A KR101854508B1 (ko) 2015-11-16 2015-11-16 편광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9929A (zh) * 2021-08-04 2021-08-31 苏州天立达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双面自动定位模切贴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9929A (zh) * 2021-08-04 2021-08-31 苏州天立达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双面自动定位模切贴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508B1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883B1 (ko)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TWI613472B (zh) 偏光板的製造方法及製造裝置
KR20120068706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752584B1 (ko) 위상차 필름, 해당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원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634354B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JP6216497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
CN108474891B (zh) 偏振板
KR101750147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US20130169912A1 (en) Multilayer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52353A (ko) 광학 이방성 필름 및 광학 이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TW201629550A (zh) 偏光板
CN109477927B (zh) 偏振板组件、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JP6075826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
KR101854508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TWI556018B (zh) 偏光板之製造方法
WO2015072268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412245B1 (ko) 편광판 세트
US9310529B2 (en) Retarda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JP2014164142A (ja) 配向基材と位相差フィルムとの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697216B2 (ja) 位相差フィルム
CN114488378A (zh) 偏振板及显示装置
KR20220144876A (ko)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및 해당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130074942A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9215584A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CN112969940A (zh) 偏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