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304A - 이동 메커니즘, 외부 미러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이동 메커니즘, 외부 미러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304A
KR20170057304A KR1020177008941A KR20177008941A KR20170057304A KR 20170057304 A KR20170057304 A KR 20170057304A KR 1020177008941 A KR1020177008941 A KR 1020177008941A KR 20177008941 A KR20177008941 A KR 20177008941A KR 20170057304 A KR20170057304 A KR 2017005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ment
imaginary axis
base element
imaginary
dri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루스 제라두스 마리아 반 스팁호트
Original Assignee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5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gears essentially having intermeshing elements other than involute or cycloid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01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conveying reciprocating or limited ro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0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82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pplication in vehicles other than propelling, e.g.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삽입되어 볼 힌지 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 요소 및 지지 요소를 구비하는 이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 요소는 적어도 제 1 가상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을 통과한다. 지지 요소에는 지지 요소가 베이스 요소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구동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제 1 전기 모터 및 아웃풋 기어 휠을 갖는 제 1 구동 트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지지 요소가 상기 베이스 요소에 대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요소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요소에 수용된다. 제 1 구동 트레인의 아웃풋 기어휠은 지지 요소 내에 위치된 비 직선형, 즉 커브된 제 1 구동로드와 결합하고, 이 제 1 구동로드는 기부 요소와 연결되어 제 1 구동 장치 로드는 지지 요소가 베이스 요소에 대해 이동 될 때지지 요소와 함께 움직이지 않는다.

Description

이동 메커니즘, 외부 미러 장치 및 차량{MOTION MECHANISM, EXTERIOR MIRROR DEVICE AND VEHICLE}
본 발명은 이동 메커니즘, 특히 차량을 위한 후방 장치(rearview device)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메커니즘은 미러 조정 메커니즘(mirror adjusting mechanism) 및/또는 차량을 위한 외부 미러(exterior mirror)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 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동 메커니즘은 적어도 후방 장치를 갖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는 전자 후방 장치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일 수 있다. 이동 메커니즘은 미러 플레이트, 카메라 및/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후방 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바디의 외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이동 메커니즘에는 서로 삽입되어 볼 힌지 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요소 및 베이스 요소가 제공되고, 지지 요소는 적어도 제 1 가상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제 1 가상 축은 실질적으로 볼 힌지 구조의 가상의 중심을 통과하고, 지지 요소에는 지지 요소가 베이스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수단이 제공되고, 지지 요소가 베이스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구동 수단은 지지 요소와 함께 이동하기 위해 지지 요소 안에 수용된다.
이러한 이동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지지 요소가 예를 들어 외부 미러 장치의 케이싱 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set up) 베이스 요소에 대해 1개 또는 2개의 (가상) 축들을 중심으로 이동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지지 요소 상에, 예를 들어 미러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고, 베이스 요소가 장착될 수 있는 미러 장치 케이싱은, 예를 들어,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이 지지 요소에 제공 됨에 따라, 이동 메커니즘의 상당히 컴팩트한 축적(buildup)이 얻어질 수 있고, 이는 그러한 이동 메커니즘 및 외부 미러 장치들의 치수들과 관련하여 부단하게 증가하는 요구 사항들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 메커니즘은, 볼 힌지 구조에서 중간 쉘이 베이스 요소 및 지지 요소 사이에 존재하는 국제 특허 출원 WO 00/67685호로부터 약 2개의 축들을 중심으로 한 이동에 대해 공지된다. 이러한 이동 메커니즘은 축적에 있어서 상당히 컴팩트하지만, 다소 복잡한 디자인을 가지고, 제조 및/또는 조립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고장에 비교적 민감하다. 또한, 실제로, 이동 메커니즘은 적절하게 진동 없지 않고, 상대적으로 많은 플레이(play)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대안의 이동 메커니즘 및/또는 대안의 외부 미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공지된 이동 메커니즘 및/또는 외부 미러 장치의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감소하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는 이동 메커니즘 및/또는 외부 미러 장치의 제공을 고려한다. 양태들에서, 본 발명은 보다 컴팩트한 이동 메커니즘을 제공을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대적으로 디자인이 간단하고, 사용 중에 비교적 진동이 없고, 및/또는 비교적 적은 플레이를 갖는 이동 메커니즘의 제공을 고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 메커니즘의 컴팩트한 축적이 유지되고, 특히 실시 예들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동 메커니즘(movement mechanism)을 제공하고, 구동 수단은 제 1 전기 모터(electric motor) 및 아웃풋 기어휠(output gearwheel)을 구비하는 제 1 구동 트레인(drive train)을 포함하고, 아웃풋 기어휠은 지지 요소에 위치되는 비선형 제 1 구동 로드(non-straight first drive rod)에 맞물리고, 제 1 구동 로드에는 베이스 요소에 예를 들어, 스냅됨으로써 연결되는 앵커 파트(anchor part)가 제공되어, 지지 요소가 베이스 요소에 대해 이동할 때, 제 1 구동 로드는 지지 요소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비선형의 제 1 구동 로드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나는 형상을 가지므로, 특히 구부러지거나 커브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 로드는, 원 호의 부분을 따라, 예를 들어 베이스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형 세그먼트(spherical segment)의 실질적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표면을 따라 또는 그 표면을 실질적으로 넘어서 연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1 구동 로드는 링 세그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구동 로드에는 제 1 구동 트레인의 아웃풋 기어휠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 구동 로드는 구부러지거나 커브된 랙(curved rack)일 수 있다.
앵커 파트(anchor part)의 도움으로 제 1 구동 로드를 베이스 요소에 연결함으로써, 지지 요소에 제공된 제 1 구동 트레인의 아웃풋 기어휠은, 구동 로드를 통해 베이스 요소로부터 밀어내고, 지지 요소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피봇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좋은 방식으로, 따라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축적되고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이동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메커니즘의 이러한 축적으로 인해, 중간 쉘(intermediate shell)이 생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 메커니즘에서의 플레이가 줄어들 수 있고, 사용 중에 상대적으로 진동이 적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르면, 지지 요소는 제 2 가상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2 가상 축은 실질적으로 앞서 언급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을 통과한다(pass through). 지지 요소 내에 수용된 구동 수단은 제 2 아웃풋 기어휠을 구비하는 제 2 구동 트레인을 포함하고, 제 2 아웃풋 기어휠은 지지 요소에 위치되는 제 2 비선형 구동 로드에 맞물리고, 제 2 구동 로드에는 베이스 파트에 예를 들어, 스냅됨으로써 연결되는 제 2 앵커 파트가 제공되어, 지지 요소가 베이스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제 2 구동 로드는 지지 요소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동 메커니즘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어떠한 대상 또는 요소이고, 예를 들어, 미러 표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카메라와 같은 것들은 적어도 2개의 이동의 정도(degree of movement)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가 언급된 대상 또는 요소의 위치 설정 또는 미세 조정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요구 사항 및/또는 희망 사항에 상대적으로 잘 따르도록 상대적으로 잘 조정될 수 있다.
비선형의 제 2 구동 로드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나는 형상을 가지므로, 특히 구부러지거나 커브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 로드는, 원 호의 부분을 따라, 예를 들어 베이스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형 세그먼트(spherical segment)의 실질적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표면을 따라 또는 그 표면을 실질적으로 넘어서 연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2 구동 로드는 링 세그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구동 로드에는 제 2 구동 트레인의 아웃풋 기어휠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구동 로드는 구부러지거나 커브된 랙(curved rack)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 1 앵커 파트는 베이스 요소의 리세스의 제 2 가상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후, 제 2 가상 축은 실질적으로 볼 힌지 구조의 앞서 언급한 가상 중심을 통과하고, 제 2 가상 축은 2개의 가상 축들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서 제 1 가상 축과 약 90 °의 각도를 이룬다. 이 평면은 또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을 실질적으로 통과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앵커 부는 베이스 요소의 제 2 리세스에서 제 1 가상 축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및/또는 제 2 구동 로드는 링 세그먼트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링 세그먼트 형상의 제 1 구동 로드는 제 1 가상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상의 중심 축을 구비하고, 및/또는 링 세그먼트 형상의 제 2 구동 로드는 제 2 가상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상의 중심 축을 구비한다.
공간의 이유들로 인해, 예를 들어, 제 1 구동 트레인의 제 1 전기 모터 및 제 2 구동 트레인의 제 2 전기 모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및/또는 제 2 구동 로드는 제 3 가상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링 세그먼트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제 3 가상 축과 제 1 가상 축 및/또는 제 2 가상 축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서 제 3 가상 축은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을 실질적으로 통과하고, 제 3 가상 축은 제 1 가상 축과 45도 각도를 이루고 및/또는 제 2 가상 축과 45도 각도를 이룬다.
그러나 공간 면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 실시 예는 관련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제 3 가상 축은, 제 1 가상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45도의 각도로 연장한다. 그러나, 제 1 가상 축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가 회전할 때, 제 1 앵커 요소는 의도하지 않게 메커니즘을 잠그고, 메커니즘에서 충분한 플레이가 없으면 이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옵션들이 있다.
따라서, 첫째로, 제 1 리세스는, 예를 들어, 슬롯형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1 앵커 파트는, 상기 슬롯형 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롯형 홀 내에서 회전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실린더형 샤프트의 형태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슬롯형 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가상 중심을 실질적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되고, 실질적으로 2개의 가상 축들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둘째로, 제 1 가상 축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가 회전할 때, 제 1 앵커 파트의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가 가능하게 되도록, 제 1 구동 로드는 예를 들어 지지 요소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상 축들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이 비교적 작은 변위는 가상 중심에 대한 비교적 작은 피봇 운동일 수 있다.
셋째로, 베이스 요소는 예를 들어 베이스 요소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제 1 리세스(recess)를 구비할 수 있어서, 제 1 가상 축에 대한 지지 요소의 회전 시, 제 1 리세스의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 및/또는 제 1 앵커 파트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는 2개의 가상의 축들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는 가상의 중심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피벗 운동일 수 있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게 제 1 앵커 요소가 이동 메커니즘을 의도적으로 잠그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술한 3 가지 예시들에서는, 플레이가 이동 메커니즘에 도입된다.
보다 나은 실시 예들에서, 제 2 앵커 파트가 제 1 가상 축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도록 제 2 리세스 및 제 2 앵커 파트를 배치함으로써, 제 2 앵커 파트 및/또는 제 1 가상 축의 베이스 요소에 대한 시프팅(shigting)이 방지되고, 많은 플레이는 훌륭하게 방해될 수 있다. 놀랍게도, 제 2 리세스는 제 2 앵커 파트 주위에 예를 들어 둥근 홀과 같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제 2 리세스는 슬롯형 홀 또는 변위 가능형 홀로써 제공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렇게 하지 않고 그러한 방식으로 제 1 리세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실제로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방법은 2개의 가상 축들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회전하는 베이스 요소 및 지지 요소의 가능성을 훌륭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요소 및 미러 표면 및/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카메라와 같은 지지된 다른 요소는 회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구속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미러 표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불필요한 회전들 및/또는 진동들을 강력하게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동 메커니즘이 제공된 차량을 위한 위부 미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메커니즘의 제 1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메커니즘의 제 2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 의 이동 메커니즘의 제 3 개략 사시도이고, 부분적으로 절취된 부분이 있다.
도 4는 도 3의 절취된 이동 메커니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개략적인 표현들만을 도시한다.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파트들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메커니즘(movement mechanism, 1)은 베이스 요소(2) 및 지지 요소(3)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에게 삽입되고, 볼 힌지 구조(ball hinge construction)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요소(2) 및 지지 요소(3)는 정합 구형 세그먼트들(mating spherical segment, 2a, 3a)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구형 세그먼트(2a)는 볼록한 구형 세그먼트인 다른 구형 세그먼트(3a)에 끼워지는 오목한 구형 세그먼트일 수 있다. 구형 세그먼트들에 관하여, 2개의 구형 세그먼트들 중 하나의 구형 세그먼트(2a)는 구의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을 커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지 실질적으로 링 형상 구형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다른 구형 세그먼트(3a)에 또는 그 주위에 배치된다.
베이스 요소(2) 및 지지 요소(3)는 서로에 대해 카디널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 지지 요소(3)는 베이스 요소(2)에 삽입되지만, 대안적인 실시 예들에서, 반대로, 베이스 요소(2)는 예를 들어 지지 요소(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 요소(2)의 구형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볼록한 구형 세그먼트로서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지지 요소(3)는 그와 함께 협동하는 오목 구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지지 요소(3)는 실질적으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 또는 중간점(M)을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적어도 제 1 가상 축(A)을 중심으로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가상 중심(M)은 베이스 요소(2)의 구형 세그먼트(2a)가 파트인 가상 구의 중심 및/또는 지지 요소(3)의 파트인 구형 세그먼트(3a)가 파트를 형성하는 구의 중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 개의 구형 세그먼트들(2a, 3a)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지지 요소(3)가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 요소(3)에는 구동 수단(16, 18a, 18b, 18c, 18d, 11)이 제공된다. 구동 수단은 제 1 전기 모터(16) 및 아웃풋 기어휠(output gearwheel, 11)을 구비하는 제 1 구동 트레인(drive train, 10)을 포함한다. 구동 수단(16, 18a, 18b, 18c, 18d, 11)은 지지 요소(3)와 함께 이동하는 방식으로 지지 요소(3)에 수용된다. 이는 지지 요소(3)가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지지 요소(3)와 함께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동 수단(16, 18a, 18b, 18c, 18d, 11)은 예를 들어 지지 요소(3)에 매달려 있거나 지지 요소에 배치된 지지 구조에 매달려있고 지지 구조는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수단(16, 18a, 18b, 18c, 18d, 11)의 각각의 견본(specimen)은 예를 들어 지지 요소(3) 및/또는 지지 구조에 고정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그 안에 회전 가능하게 매달려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거기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벌류트(involute) 또는 다른 외부 톱니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아웃풋 기어휠(11)은, 예를 들어 인벌류트 또는 다른 내부 톱니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지지 요소(3) 내에 위치되는 비선형 제 1 구동 로드(13)와 맞물린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동 로드(13)에는 지지 요소(3)가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제 1 구동 로드(13)가 지지 요소(3)와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베이스 요소(2)에 예를 들어, 스냅(snap)됨으로써 연결되는 앵커 파트(14)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구동 로드(13)는 실질적으로 지지 요소(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앵커 파트(14)는 바람직하게 슬롯형 개구부(12)를 통해 베이스 요소(2)까지 연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로드(13)는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로드(13)는 지지 요소(3)의 외부에 제공된 슬롯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아웃풋 기어휠(11)이 구동 로드(13)와 맞물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 요소(3)에 바람직하게는 슬롯형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다.
비선형 구동 로드(13)는 예를 들어 2개의 리브들(rib, 4) 또는 구동 로드(13)의 옆쪽 변위(lateral displacement)를 방지할 수 있는 표면들(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동 로드(13)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 베어링의 도움으로 베어링-장착(bearing-mount)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아웃풋 기어휠(11)에는 예를 들어 구동 로드(13)의 그루브에 방사상으로 베어링-장착된 샤프트 파트(11a)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트레인(10)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감속 스테이지들을 정의할 수 있는 다수의 협력 요소들, 바람직하게는 기어휠들(18a, 18d, 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모터(16)의 아웃풋 또는 구동 샤프트(16a)는 예를 들어 슬립 커플링(slip coupling)의 도움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 1 기어휠(18a)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웜(worm, 18a)으로서 형성된다. 제 1 기어휠(18a)은 제 2 기어휠(18b)을 구동할 수 있고, 제 2의 기어휠(18b)은 예를 들어 웜(18c)과 같은 실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제 3의 기어휠(18c)을 통해 제 4 기어휠(18d)을 구동할 수 있다. 제 4 기어휠(18d)은 제 5 기어휠과 실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의 구동 트레인(10)의 아웃풋 기어휠(11)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트레인(10)의 회전 샤프트 및 기어휠들(18a-18d, 11)은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그리고 지지 요소(3)에서 옆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예를 들어, Y축 및 X축 주위의 미러 글래스(mirror glass)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 요소(3)를 2개의 축들을 중심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지지 요소(3)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 2 가상 축(B)을 중심으로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2 가상 축(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M)을 통과한다. 지지 요소(3)에 수용된 구동 수단은 제 2 아웃풋 기어휠(21)을 갖는 제 2 구동 트레인(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아웃풋 기어휠(21)은 지지 요소(3)에 위치된 비선형 제 2 구동 로드와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구동 트레인(20)은 예를 들어 지지 요소(3)의 제 1 전기 모터(16)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제 2 전기 모터(26)에 의해 구동된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 트레인(20)은 들어 제 1 구동 트레인(10)에 대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기 모터(16) 및/또는 제 2 전기 모터(26)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관련 전기 모터의 코일들을 제어하기 위한 로터 위치의 기계적 또는 감각 위치 피드백을 갖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또는 제 2 전기 모터는 예를 들어 브러시들을 갖는 직류 모터와 같은 브러시들을 갖는 전기 모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메커니즘(1)이 비교적 저렴한 디자인으로 제조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및/또는 제 2 전기 모터는 스테핑 모터가 아닌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비선형 구동 로드(23)는 제 2, 바람직하게는 슬롯형 개구부(22)가 보이도록 생략된다. 슬롯형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개구부(12, 22)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길쭉하고(elongate), 실질적으로 제 1 및 제 2 가상 축들(A, B)이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각각의 개구부들(12, 22)을 통해 연장되는 앵커 파트들(14, 24)을 통과하는 각각의 가상 축들(B, A)과 평행하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 로드(13)와 마찬가지로, 제 2 구동 로드(23)에는 베이스 요소(2)와 연결되는 자체 앵커 파트(24)가 제공될 수 있고, 제 2 구동 로드는, 지지 요소(3)가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이동할 때 지지 요소(3)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제 1 앵커 파트(14)는 베이스 요소2)의 바람직하게는 약간 길쭉한 리세스(15)에 제 2 가상 축(B)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2 가상 축(B)은 실질적으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M)을 통과할 수 있고, 제 2 가상 축(B)은 2개의 가상 축들(A, B)가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서 제 1 가상 축(A)과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2 앵커 파트(24)는 베이스 요소(2)의 제 2 바람직하게 둥근 리세스(25)에서 제 1 가상 축(A)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구동 로드(13, 23)는 제 3 가상 축(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링 세그먼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3 가상 축(C)은, 제 3 가상 축(C)과 제 1 가상 축(A) 및/또는 제 2 가상 축(B)이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평면에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M)을 실질적으로 통과하고, 제 1 가상 축(A)과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및/또는 제 2 가상 축(B)과 약 45도의 각도를 이룬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M)은 대략 지지 요소(3)의 상부 표면(5)에 있고, 제 3 가상 축(C)은 상부 표면(5)에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실시 예들에서 상부 표면은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M)의 아래 또는 위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 3 가상 축(C)은 예를 들어 상부 표면(5)의 아래 또는 위에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3 가상 축(C)은 상부 표면(5)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스듬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지지 요소(3)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상부 표면(5)은 미러 표면, 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요소 또는 대상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지지 요소(3)에는 예를 들어 스크류 홀(screw hole)들, 부쉬(bush)들, 핀들 및/또는 눈(eye, 6 )들과 같은 고정 수단(fastening means)이 제공될 수 있고, 고정 수단은 지지 요소(3) 상에 미러 표면을 정의하는 미러 글래스를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 요소(3)는 미러 표면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러 표면은 지지 요소(3)의 상부 표면(5)에 덮일(coat)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고, 도 2에서 더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리세스(15)는 슬롯형 홀(15) 또는 길쭉한 홀처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앵커 파트(14)는 바람직하게는 슬롯형 홀(15)에서 회전 가능한 실린더 형상 샤프트(14)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슬롯형 홀(15)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롯형 홀(15)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가상 중심(M)의 주위의 아크의 파트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향할 수 있고, 아크의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상 축들(A, B)가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앵커 파트(14) 및/또는 제 2 가상 축(B)은 다른 정도로 가상 중심(M)에 대해, 2개의 가상 축들(A, B)가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리세스(15)를 구비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둥근 홀처럼,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제 1 리세스를 베이스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요소에서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슬라이딩 요소는 예를 들어 가상 중심(M)의 주위의 아크의 파트를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고, 아크의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상 축들(A, B)들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매우 유리하게, 도 2에서 적절히 보여지는 것처럼, 제 2 리세스(25) 및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앵커 파트(24)는 제 2 앵커 파트(24)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제 1 가상 축(A)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요소(2)에 대한 제 2 앵커 파트(24)의 시프팅 및/또는 제 1 가상 축(A)의 시프팅은 방지된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제 2 리세스(25)는 예를 들어 둥근 홀(25)처럼 형성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베이스 요소(2)에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고, 반면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 제 1 리세스(15)는 예를 들어 움직일 수 있고 및/또는 예를 들어 길쭉한 디자인 어떤 곳에서 플레이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이동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차량을 위한 외부 미러 장치에 또한 관련된다. 미러 장치에서는, 베이스 요소(2)는 예를 들어 미러 장치의 프레임 및/또는 미러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내부 또는 표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요소(2)는 예를 들어 프레임 또는 미러 하우징과 같은 통합된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메커니즘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미러 장치에 제공되는 차량,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자동차, 트럭, 캠퍼 또는 버스와 같은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명확하고 정확한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다른 양태들 및 실시 예들의 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은 본원에서 동일한 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 예들의 파트처럼 설명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요소들 및/또는 특징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들을 명쾌하게 설명하지 않는 구성의 실시 예들을 아우른다. 따라서, 도시되고 설명된 이동 메커니즘의 상술된 및 설명된 요소들 및/또는 특징들 각각은 또한 개별적으로 기술되고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며, 개별적으로 및/또는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으로 이해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요소와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많은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 로드는 제 1 구동 로드를 위해 설명된 바와 같이 구현, 배치 및/또는 베어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및 다른 변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명백 할 것이다.

Claims (15)

  1. 이동 메커니즘(1)에 있어서,
    서로에게 삽입되고, 볼 힌지 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 요소(2) 및 지지 요소(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3)는 적어도 제 1 가상 축(A)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1 가상 축(A)은 실질적으로 볼 힌지 구조의 가상 중심(M)을 통과하고,
    상기 지지 요소(3)에는 상기 지지 요소(3)가 상기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아웃풋 기어휠(11)을 구비하는 제 1 구동 트레인(10) 및 제 1 전기 모터(16)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지지 요소(3)가 상기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지지 요소(3)와 함께 이동하기 위해, 상기 지지 요소(3)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구동 트레인(10)의 상기 아웃풋 기어휠(11)은 상기 지지 요소(3)에 위치된 비선형, 즉 커브된 제 1 구동 로드(13)에 맞물리고,
    상기 제 1 구동 로드(13)에는, 상기 지지 요소(3)가 상기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구동 로드(13)가 상기 지지 요소(3)와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요소(2)에 연결되는 앵커 파트(14)가 제공되는 이동 메커니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는 상기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 2 사상 축(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 2 가상 축(B)은 실질적으로 상기 볼 힌지 구조의 상기 가상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제 2 아웃풋 기어휠(21)을 갖는 제 2 구동 트레인(20)을 포함하는 상기 지지 요소(3)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아웃풋 기어휠(21)은, 상기 지지 요소(3)에 위치된 비선형, 즉 커브된 제 2 구동 로드에 맞물리고,
    상기 제 2 구동 로드에는, 상기 지지 요소(3)가 상기 베이스 요소(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구동 로드가 상기 지지 요소(3)와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파트에 연결되는 제 2 앵커 파트(24)가 제공되는 이동 메커니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앵커 파트(14)는 상기 베이스 요소(2)의 리세스(15)의 제 2 가상 축(B)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가상 축(B)은 실질적으로 상기 볼 힌지 구조의 상기 가상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가상 축(B)은, 2개의 가상 축들(A, B)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서, 상기 제 1 가상 축(A)과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이동 메커니즘(1).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앵커 파트(24)는 상기 베이스 요소(2)의 제 2 리세스(25)의 상기 제 1 가상 축(A)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메커니즘(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로드(13)는 가상 중심 축이 상기 제 1 가상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링 세그먼트의 형태를 갖는 이동 메커니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로드(23)는 가상 중심 축이 상기 제 2 가상 축(B)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링 세그먼트의 형태를 구비하는 이동 메커니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구동 로드들(13, 23)은 제 3 가상 축(C)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링 세그먼트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가상 축(C)은 실질적으로 상기 볼 힌지 구조의 상기 가상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제 3 가상 축(C)과 상기 제 1 가상 축(A) 및/또는 제 2 가상 축(B)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에서, 상기 제 3 가상 축(C)은 상기 제 1 가상 축(A)과 약 45도 각도를 이루고, 및/또는 상기 제 3 가상 축(C)은 상기 제 2 가상 축(B)과 약 45도 각도를 이루는 이동 메커니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세스(15)는 슬롯형 홀(15)의 형태이고,
    상기 제 1 앵커 파트(14)는 상기 슬롯형 홀(15) 내에서 회전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모양의 샤프트(14)의 형태이고, 상기 슬롯형 홀(15)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형 홀(15)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상 중심(M) 주위를 실질적으로 향하는 방향 및 실질적으로 2개의 가상 축들(A, B)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으로 지향되는 이동 메커니즘.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축(A)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요소(3)가 회전할 때, 상기 제 1 앵커 파트(14)의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구동 로드(13)는 상기 지지 요소(3)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기 2개의 가상 축들(A, B)이 위치되는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는 상기 가상 중심(M)에 대한 상대적으로 작은 피봇 이동인 이동 메커니즘(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축(A)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요소(3)가 회전할 때, 제 1 리세스(15) 및/또는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앵커 파트(14)의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가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요소(2)에는 상기 베이스 요소(2)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제 1 리세스(15)가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변위는 2개의 가상 축들(A, B)이 실질적으로 위치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가상 중심(M)에 대한 상대적으로 작은 피봇에 관련되는 이동 메커니즘(1).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세스(25) 및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앵커 파트(24)는, 상기 제 2 앵커 파트(24)가 상기 제 1 가상 축(A)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앵커 파트(24) 및/또는 상기 제 1 가상 축(A)의 상기 베이스 요소(2)에 대한 상대적인 시프팅이 방지되는 이동 메커니즘(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로드(13) 및/또는 상기 제 2 구동 로드에는 각각의 아웃풋 기어휠(11, 21)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아웃풋 기어휠(11, 21)에는, 상기 각각의 구동 로드(13, 23)의 그루브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샤프트 파트(11a, 21a)가 제공되는 이동 메커니즘(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되는 미러 표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카메라를 지지하는 이동 메커니즘(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메커니즘(1)이 제공되는 차량을 위한 외부 미러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메커니즘(1) 및/또는 제 14 항에 따른 외부 미러 장치가 제공되는 차량, 특히 모터 차량.
KR1020177008941A 2014-09-22 2015-09-21 이동 메커니즘, 외부 미러 장치 및 차량 KR201700573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3509A NL2013509B1 (nl) 2014-09-22 2014-09-22 Bewegingsmechanisme, buitenspiegelinrichting en voertuig.
NL2013509 2014-09-22
PCT/NL2015/050652 WO2016048140A1 (en) 2014-09-22 2015-09-21 Motion mechanism, exterior mirror device and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304A true KR20170057304A (ko) 2017-05-24

Family

ID=5194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941A KR20170057304A (ko) 2014-09-22 2015-09-21 이동 메커니즘, 외부 미러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240113A1 (ko)
EP (1) EP3197719B1 (ko)
JP (1) JP2017530047A (ko)
KR (1) KR20170057304A (ko)
CN (1) CN107000645A (ko)
NL (1) NL2013509B1 (ko)
WO (1) WO2016048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8303B4 (de) 2019-03-29 2020-12-10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V. Sichteinstellmechanismus und Stellmittel für einen solchen
DE102022107619B3 (de) 2022-03-30 2023-09-21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Aktuatorbaugruppe, Rückblickvorrichtung und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1077C1 (de) * 1999-10-23 2001-05-10 Buhler Motor Gmbh Stellantrieb zum Verstellen eines Stellglieds in zumindest zwei Freiheitsgraden
NL1016676C2 (nl) * 2000-11-22 2002-05-23 Iku Holding Montfoort Bv Bewegingsmechanisme.
KR100539070B1 (ko) * 2003-12-16 2005-12-26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 조립체의 미러조정기구
EP2017127B1 (en) * 2007-07-19 2010-09-29 SMR Patents S.à.r.l. Device to adjust the orientation of a mirror of a motorcar
US20110192952A1 (en) * 2010-02-07 2011-08-11 Chin-Hui Chiang Angle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Rear View Mirror
US10661714B2 (en) * 2012-01-24 2020-05-26 SMR Patents S.à.r.l.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and method
WO2014046334A1 (ko) * 2012-09-24 2014-03-27 (주)오앤케이테크 클러치 기어 및 미러 액추에이터
KR101652893B1 (ko) * 2015-03-13 2016-09-01 주식회사 호영자동차부품 아웃사이드미러 조정 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40113A1 (en) 2017-08-24
EP3197719A1 (en) 2017-08-02
EP3197719B1 (en) 2018-07-04
JP2017530047A (ja) 2017-10-12
CN107000645A (zh) 2017-08-01
NL2013509B1 (nl) 2016-09-29
WO2016048140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8226B1 (en) Device for adjusting a shell-shaped housing part, a supporting frame for use in such a device, and a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device
US11208043B2 (en) Vehicle and vehicle step apparatus with multiple drive motors
US10227044B2 (en) Movement mechanism and wing mirror for a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movement mechanism
US10807534B2 (en) Electric retractable view device for vehicle
US11084425B2 (en) Actuator mechanism, exterior mirror device and vehicle
KR101232563B1 (ko) 힌지 구조체
KR20170057304A (ko) 이동 메커니즘, 외부 미러 장치 및 차량
JP5981210B2 (ja) ミラー支持体、及び、ミラーの向きを調整する装置
KR100886047B1 (ko) 이동 장치
CN208101837U (zh) 流媒体后视镜
US6164148A (en) Motorized actuator for vehicle wing mirrors
JP5638149B2 (ja) ウインドウワイパ装置
DE10006220A1 (de) Motorische Verschwenkeinrichtung für eine Träger-Platte insbesondere zur Aufnahme eine Kraftfahrzeugspiegels
US20110192952A1 (en) Angle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Rear View Mirror
WO2017164737A1 (en) Rear view device adjustment mechanism
CN103249608B (zh) 窗玻璃刮水装置
CN110525345B (zh) 一种后视镜折叠装置
JP2004523416A (ja) 特に自動車ミラ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支持体板のためのモータ駆動式の旋回装置
JP6540402B2 (ja) シート調整装置
SE505250C2 (sv) Ytmonterbart vridkolvslås
JP2000272420A (ja) 外部ミラー駆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