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458A -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458A
KR20170056458A KR1020160150268A KR20160150268A KR20170056458A KR 20170056458 A KR20170056458 A KR 20170056458A KR 1020160150268 A KR1020160150268 A KR 1020160150268A KR 20160150268 A KR20160150268 A KR 20160150268A KR 20170056458 A KR20170056458 A KR 20170056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ink
compound
glyc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H01L51/501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k Jet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친수성의 용제 및 소수성의 용제의 상용성(相溶性)을 향상시킨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고형분과, 소수성의 용제 A와, 친수성의 용제 B와, 양친매성의 용제 C를 포함하고, 용제 C가 탄소수 8 이상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잉크 조성물{INK COMPOSITION}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계 잉크나 비수계 잉크에 있어서, 소망하는 잉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복수종의 용제를 조합하여 배합한 잉크가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색재(안료)를 분산시켜 함유하고, 복수종의 용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로서, 탄화수소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N-메틸피롤리돈,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등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제에, 안료를 분산시킨 잉크젯용 비수계 잉크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복수종의 용제를 포함하는 잉크로서, 방향족 탄화수소류, 할로겐 화합물류, 에테르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제에, 유기 반도체 전구체를 용해시킨 잉크가 제안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6246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23334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잉크(잉크 조성물)와 같이, 복수종의 용제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합 가능한 용제종이 한정되기 쉽다는 과제가 있었다. 자세하게는, 잉크 중에 포함되는 고형분의 용해성이나 분산성 등에 따라서,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용제를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면, 소수성의 유기 용제와 친수성의 유기 용제는 서로 상용하기 어렵고, 혼합하면 분리하거나 백탁하거나 하여, 쌍방의 유기 용제를 조합하여 잉크에 배합하는 것은 곤란했다.
한편으로, 상기 잉크를 잉크젯 헤드로부터 액적으로서 토출하고, 화상이나 막을 형성하는 잉크젯법에 이용하는 경우, 액적으로서 안정적으로 토출이 가능한 잉크 물성 및, 건조성이나 레벨링성 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점도나 극성이 상이한 복수종의 용제를 조합하여 배합하고 싶다는 요구도 있었다.
즉, 용제의 친수성이나 소수성 등에 속박되지 않고, 점도 등의 잉크 특성을 조정 가능한 용제의 선택 범위를 추가로 늘리고 싶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본 적용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는, 고형분과, 소수성의 용제 A와, 친수성의 용제 B와, 양친매성의 용제 C를 포함하고, 용제 C가 탄소수 8 이상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양친매성의 용제 C로서 탄소수 8 이상의 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극성이 상이한 용제끼리의 상용성(相溶性)이 향상하기 때문에, 배합 가능한 용제종의 조합을 늘릴 수 있다. 자세하게는, 용제 C는, 소수기(탄소수 8 이상의 알킬기) 및 친수기(수산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수기가 소수성의 용제 A와, 친수기가 친수성의 용제 B와, 각각 친화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용제 C를 개재함으로써, 용제 A와 용제 B의 상용성이 향상하여, 그들을 조합하여 배합해도 분리나 백탁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그 때문에, 비점 등이 상이한 용제의 선택지를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점도 등의 잉크의 물성 조정이 용이해지고, 토출된 액적의 건조성이나 레벨링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상에 의해, 첨가하는 고형분의 용해성이나 분산성에 적응하고, 잉크에 필요한 특성을 구비한 잉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용제 A가, 방향족계 화합물, 탄화수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용제 B가,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 알칸디올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용제 C가 1가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1가의 알코올인 용제 C를 배합함으로써, 극성이 상이한, 방향족계 화합물 또는 탄화수소계 화합물과,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 또는 알칸디올계 화합물을 조합하여 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잉크의 점도 및 액적의 건조성이나 레벨링성 등을 조정하여, 잉크젯법에 적합한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용제 A가, 방향족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탄화수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용제 B가,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알칸디올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용제 C가 1가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1가의 알코올인 용제 C를 배합함으로써, 극성이 상이한, 방향족계 화합물 및 탄화수소계 화합물과,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 및 알칸디올계 화합물을 조합하여 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잉크의 점도 및 액적의 건조성이나 레벨링성 등을 조정하여, 잉크젯법에 적합한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방향족계 화합물이, 디이소프로필벤젠, 사이클로헥실벤젠, 디페닐에테르, 3-페녹시톨루엔, 비스디메틸페닐에탄이며, 탄화수소계 화합물이, 데칸,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펜타데칸, 헥사데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비교적, 비점이 높고, 점도가 낮은 용제를 용제 A로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의 저(低)점도화와 액적의 레벨링성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친수성이 비교적 낮은 고형분에 대하여, 용해성이나 분산성이 향상한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이며, 알칸디올계 화합물이,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2-에틸-1,3-헥산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비교적, 비점이 높고, 점도가 높은 용제를 용제 B로서 배합하기 때문에, 잉크의 점도 조정과 액적의 레벨링성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친수성이 비교적 높은 고형분에 대하여, 용해성이나 분산성이 향상한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용제 C가 탄소수 8 내지 탄소수 13의 1가 알코올이며, 1-옥탄올, 1-노난올, 1-데칸올, 1-운데칸올, 1-도데칸올, 1-트리데칸올, 2-노난올, 2-운데칸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극성이 상이한 복수의 용제종의 상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용제 C의 함유 비율이,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극성이 상이한 복수의 용제종의 상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잉크가 액적으로서 피(被)토출물상에서 화상이나 막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액적의 건조가 진행해도 상기의 상용성이 유지되어, 균일한 화상이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층 더 상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용제 C의 함유 비율을 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상온에 있어서, 용제 A의 점도가 용제 B의 점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액적이 건조하여 화상이나 막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용제 A가 용제 B보다 먼저 휘발하여 용제 B가 남기 쉬워지기 때문에 레벨링성이 향상하고, 화상이나 막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용제 A로서, 나프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낮게 억제하여, 액적의 레벨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용제 A로서, 7-에틸-2-메틸-4-운데칸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7-에틸-2-메틸-4-운데칸올은, 용제 A로서는 점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점도가 낮은 용제 B와의 조합에 있어서, 잉크 조성물의 점도 조정을 용이하게 하여, 액적의 레벨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고형분으로서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액상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균질하고 평탄한 기능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기능층 형성용 재료가,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층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액상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의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도포 불균일이나 건조 불균일을 저감하여 평탄한 기능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고형분으로서, 색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잉크젯법을 이용하여 화상 등을 인쇄하는 경우에, 색재의 분포가 균일하고 표면이 평탄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잉크 조성물은, 고형분으로서 색재를 포함하지 않는 투광성의 수지를 포함하고, 수지의 함유 비율이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인쇄한 화상 등의 위에 겹쳐서 인쇄함으로써, 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이 보호되어 내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유기 EL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잉크젯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용성 평가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용제의 점도 및 표준 비점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는 상용성의 평가용 잉크의 용제 구성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상용성의 평가용 잉크의 용제 구성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1은 상용성의 평가용 잉크의 용제 구성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는 상용성의 평가용 잉크의 용제 구성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은 상용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4는 상용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5는 상용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6은 상용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층이나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하기 위해, 각 층이나 각 부재의 척도를 실제와는 상이하게 하고 있다.
<유기 EL 장치>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잉크 조성물에 따른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유기 EL 장치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기 EL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유기 EL 장치를 예로 들어, 잉크젯법에 의해 유기 EL 소자의 유기 반도체층(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유기 EL 장치(100)는, 적(R), 녹(G), 청(B)의 발광(발광색)이 얻어지는 서브 화소(110R, 110G, 110B)가 배치된 소자 기판(101)을 갖고 있다. 각 서브 화소(110R, 110G, 110B)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소자 기판(101)의 표시 영역(E)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적(R), 녹(G), 청(B)의 서브 화소(110R, 110G, 110B)를 총칭하여, 서브 화소(110)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서브 화소(110R)에는, 적(R)의 발광이 얻어지는 유기 EL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 화소(110G)에는 녹(G)의 발광이 얻어지는 유기 EL 소자가 형성되고, 서브 화소(110B)에는 청(B)의 발광이 얻어지는 유기 EL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전술한 각 서브 화소(110R, 110G, 110B)에는, 도 2에 나타낸 유기 EL 소자(130)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130)는, 소자 기판(101)상에 형성된 반사층(102), 절연막(103), 화소 전극(104), 대향 전극(105), 화소 전극(104)과 대향 전극(105)의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133)을 포함하는 기능층(136)을 갖고 있다.
기능층(136)은, 화소 전극(104)측으로부터, 정공 주입층(131), 정공 수송층(132), 발광층(133), 전자 수송층(134), 전자 주입층(135)이 순서대로 적층된 것이다. 특히, 발광층(133)은 발광색에 따라서 구성 재료가 선택된다. 또한, 기능층(136)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층 이외에, 캐리어(정공이나 전자)의 이동을 제어하는 중간층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유기 EL 소자(130)는, 발광 방식이 톱 이미션 방식인 구성을 예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화소 회로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유기 EL 소자(130)는, 화소 전극(104)상에 개구부(106a)를 구성하는 격벽(106)을 갖고 있다. 이 격벽(106)은, 화소 전극(104)의 외연과 겹쳐져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130)의 기능층(136)은, 기능층(136)을 구성하는 정공 주입층(131), 정공 수송층(132), 발광층(133) 중, 적어도 1층이 액상 프로세스로 형성된 것이다. 액상 프로세스란, 1층을 구성하는 성분과 용제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격벽(106)으로 둘러싸인 막 형성 영역으로서의 개구부(106a)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1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1층을 소망하는 막두께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정량의 상기 잉크 조성물을 양호한 정밀도로 개구부(106a)에 도포할 필요가 있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상 프로세스로서 잉크젯법(액적 토출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후, 잉크 조성물을 단순히 잉크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잉크젯법을 채용한,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4, 도 5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기능층의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유기 EL 소자(130)의 제조 방법은, 격벽 형성 공정(스텝 S1), 표면 처리 공정(스텝 S2), 기능층 형성 공정(스텝 S3) 등을 갖고 있다.
스텝 S1(격벽 형성 공정)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층(102) 및 화소 전극(104)이 형성된 소자 기판(101)에, 감광성 수지 재료를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전사법, 슬릿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형성된 감광성 수지층을, 서브 화소(110)의 형상에 대응한 노광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현상하여, 화소 전극(104)의 외주와 겹침과 함께, 화소 전극(104)상에 개구부(106a)를 구성하는 격벽(106)을 형성한다.
스텝 S2(표면 처리 공정)에서는, 격벽(106)이 형성된 소자 기판(101)에 표면 처리를 행한다. 표면 처리 공정은, 다음 공정에서 기능층(136)을 구성하는 정공 주입층(131), 정공 수송층(132), 발광층(133)을 잉크젯법(액적 토출법)으로 형성할 때에, 격벽(106)으로 둘러싸인 개구부(106a)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이 불균일 없이 젖어 번지도록, 화소 전극(104)의 표면의 격벽 잔사 등의 불필요물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행해진다.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엑시머 자외선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스텝 S3(기능층 형성 공정)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공 주입층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150)를, 개구부(106a)에 도포한다. 잉크(150)의 도포 방법은, 잉크(150)를, 잉크젯 헤드(50)의 노즐(52)로부터 잉크적(액적(D))으로서 토출하는 잉크젯법을 이용하고 있다. 잉크젯 헤드(50)로부터 토출되는 액적(D)의 토출량은, pl(피코리터) 단위로 제어되고, 소정량을 액적(D)의 토출량으로 나눈 수의 액적(D)이 개구부(106a)에 토출된다. 이후, 건조 공정으로 진행된다.
건조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잉크(150)가 도포된 소자 기판(101)을 감압하에 방치하고, 잉크(150)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시키는 감압 건조를 이용한다(감압 건조 공정). 그 후, 예를 들면, 대기압하에서 가열·소성 처리를 행함으로써, 잉크(150)가 고화(固化)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공 주입층(13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정공 수송층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160)를 이용하여, 정공 수송층(132)을 형성한다. 정공 수송층(132)의 형성 방법도, 정공 주입층(131)과 동일하게, 잉크젯법을 이용하여, 소정량의 잉크(160)를 토출하여 행한다. 또한, 정공 주입층(131)과 동일하게, 감압 건조와 가열 소성을 행하여 정공 수송층(13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발광층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170)를 이용하여, 발광층(133)을 형성한다. 발광층(133)의 형성 방법도, 정공 주입층(131)과 동일하게, 잉크젯법을 이용하여, 소정량의 잉크(170)를 토출하여 행한다. 또한, 정공 주입층(131)과 동일하게, 감압 건조와 가열 소성을 행하여 발광층(133)을 형성한다. 이때, 감압 건조 후, 산소나 수분 등이 발광 기능에 부여하는 영향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소성하여 고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정 이후, 전자 수송층(134), 전자 주입층(135), 음극으로서의 대향 전극(105)을 진공 증착법 등의 기상(氣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유기 EL 소자(130)(도 2)가 제조된다.
전술한 기능층(136)의 형성 방법에서는, 정공 주입층(131), 정공 수송층(132), 발광층(133)을 액상 프로세스(잉크젯법)로 형성했지만, 이들 층 중 1개를 액상 프로세스(잉크젯법)로 형성하면 좋고, 기타 층은 진공 증착 등의 기상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전자 수송층(134)이나 전자 주입층(135)을, 액상 프로세스(잉크젯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기능층(136)의 형성에 이용하는 잉크젯법에 있어서는, 액적(D)의 토출량을 pl 단위로 제어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액적(D)을 계속하여 안정적으로 토출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분리나 백탁이 없고, 균질한 액체이지 않으면 안 된다.
<잉크젯 헤드>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잉크젯 헤드의 개요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잉크젯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잉크젯 헤드(50)는, 도입부(53), 헤드 기판(55), 헤드 본체(56) 등을 갖고 있다. 도입부(53)는, 잉크젯 헤드(50)에 있어서의 잉크 도입부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도입부(53)에는, 2련(連)의 접속 바늘(54)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 바늘(54)은, 잉크 공급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배관에 의해 접속되고, 전술한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잉크젯 헤드(50)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헤드 기판(55)은, 한쪽의 면이 도입부(53)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다른 한쪽의 면이 헤드 본체(56)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헤드 기판(55)에는 2련의 커넥터(58)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58)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잉크젯 헤드(5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헤드 본체(56)는 헤드 기판(55)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접속 바늘(54)로부터 도입된 잉크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헤드 본체(56)는, 가압부(57), 노즐 플레이트(51) 등을 갖고 있다. 가압부(57)에는, 잉크젯 헤드(50)의 구동 수단(액추에이터)으로서의 압전 소자가 캐비티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즐 플레이트(51)의, 잉크젯 헤드(50)가 상기 잉크를 액적(D)으로서 토출하는 면에는, 노즐면(5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즐면(51a)에는, 복수의 노즐(52)이 일정 간격으로 정렬된, 2개의 노즐열(52a, 52b)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노즐열(52a, 52b)이 2열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잉크젯 헤드(50)는 소위 2련형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노즐(52)은 원형이며, 그 직경은 약 30㎛로 하고 있다. 이 노즐(52)마다 캐비티부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잉크가 잉크 공급 기구로부터 잉크젯 헤드(50)에 공급되어, 충전된다. 이어서, 헤드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잉크젯 헤드(50) 내의 압전 소자에 구동 신호(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압전 소자의 변형에 의해 가압부(57)의 캐비티에 체적 변화가 발생한다. 이 체적 변화에 의한 펌프 작용으로, 캐비티 내에 충전된 상기 잉크가 가압되고, 노즐(52)로부터 액적(D)으로서 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잉크젯 헤드(50)의 노즐(52)마다 설치되는 구동 수단(액추에이터)은, 압전 소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로서의 진동판을 정전 흡착에 의해 변위시키는 전기 기계 변환 소자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잉크를 잉크적으로서 토출시키는 전기열 변환 소자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잉크젯 헤드(50)는, 왕복 운동이 자유로운 캐리지(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고, 소자 기판(101)(도 1 참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주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다음으로, 전술한 잉크젯 헤드(50)로부터 액적(D)으로서 토출되는,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이후, 단순히 잉크라고도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잉크는, 용제(용매)와 기능층 형성용 재료(고형분)를 포함하고 있다. 용제는 복수종을 조합하여 배합하고 있고, 소수성의 용제 A, 친수성의 용제 B 및, 양친매성의 용제 C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용제 중, 적어도 1종은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용해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기능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 액적(D)의 건조 시간을 확보하여 레벨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 비점이 150℃ 이상, 340℃ 이하인 용제를 이용하고, 또한 표준 비점이 약 200℃ 이상인 용제를, 잉크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 A로서는, 방향족계 화합물, 탄화수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계 화합물로서, 디이소프로필벤젠(DIPB), 사이클로헥실벤젠(CHB), 디페닐에테르(DPE), 3-페녹시톨루엔(3PT), 비스디메틸페닐에탄(BDMP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계 화합물로서, 데칸,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펜타데칸, 헥사데칸 등의 쇄식 탄화수소 화합물이나, 나프텐계 화합물 등의 환식 탄화수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탄화수소 화합물은, 표준 비점이 전술한 범위에 있으면, 혼합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JX 닛코 닛세키 에너지 제조 NS 클린(200, 220, 230)(상표), JX 닛코 닛세키 에너지 제조 나프테졸(그레이드 160, 200, 220)(상표), 이데미츠 고산 제조 IP 솔벤트(1620, 2028)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제 A로서, 탄소수 14 이상의 쇄식 알코올을 이용해도 좋다. 이들은, 알코올성의 수산기를 갖고 있지만, 분자 구조 중의 장쇄 탄화수소기의 영향에 의해, 용제 A로서 적용이 가능한 소수성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7-에틸-2-메틸-4-운데칸올(7E2M4U) 등을 들 수 있다.
용제 B로서는,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 알칸디올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로서, 디에틸렌글리콜(DEG), 디프로필렌글리콜(DPG), 트리에틸렌글리콜(TEG), 테트라에틸렌글리콜(TetraEG),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칸디올계 화합물로서, 1,2-에탄디올(12ED), 1,2-프로판디올(12PD), 1,3-부탄디올(13BD), 1,4-부탄디올(14BD), 2,3-부탄디올(23BD), 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2M24PD), 1,6-헥산디올, 2-에틸-1,3-헥산디올(2E13HD) 등을 들 수 있다.
용제 C로서는, 탄소수 8 이상, 탄소수 13 이하의 직쇄 모노알코올(1가의 직쇄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알코올을 이용하고 있다. 용제 C로서, 구체적으로는, 1-옥탄올, 1-노난올, 1-데칸올, 1-운데칸올, 1-도데칸올, 1-트리데칸올, 2-노난올, 2-운데칸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제 C의 함유 비율은, 잉크 전체 질량에 대하여 1질량% 이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함유 비율을 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용제 A와 용제 B의 상용성이 향상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이며, 용제 A와 용제 B의 상용성이 한층 향상한다.
여기에서, 상온에 있어서, 용제 B의 점도는 용제 A의 점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 B의 점도는 20mPa·s(초) 이상이 바람직하다. 용제 B의 상기 점도를 용제 A보다 높게 함으로써, 액적(D)이 건조하여 기능층이 형성될 때에, 액적(D)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커피스테인 현상(coffee stain phenomenon)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레벨링성이 향상하여 평탄한 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온이란, 5℃ 이상, 35℃ 이하의 온도로 한다(JIS Z 8703).
나아가서는, 23℃에 있어서의 잉크의 점도는, 1mPa·s(초) 이상, 10mPa·s(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가 1mPa·s 이상임으로써, 잉크를 액적(D)으로서 잉크젯 헤드(50)로부터 토출할 때의, 토출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점도를 10mPa·s 이하로 함으로써, 액적(D)의 토출 질량이 확보되고, 개구부(106a)(도 4 참조)에 있어서의 잉크의 피복성이 향상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mPa·s 이하이며, 상기의 피복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용제 및 잉크의 점도 측정에는 점탄성 시험기 MCR 302(Anton Paar사 제조)를 이용하여, 잉크 또는 용제의 온도를 23℃로 조정하여 측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Shear Rate를 10으로부터 1000으로 순차로 올려가, Shear Rate가 200일 때의 점도를 판독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정공 주입층(131), 정공 수송층(132), 발광층(133; 모두 도 2 참조)을, 잉크젯법으로 형성하기 위한 기능층 형성용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능층 형성용 재료로서는, 정공 주입층 재료, 정공 수송층 재료, 발광층 재료를 들 수 있다. 정공 주입층(131)이나 정공 수송층(132)의 형성에 적합한 정공 주입 수송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p형의 고분자 재료나, 각종 p형의 저분자 재료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p형의 고분자 재료(유기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2,7-(9,9-디-n-옥틸플루오렌)-(1,4-페닐렌-((4-sec-부틸페닐)이미노)-1,4-페닐렌))(TFB) 등의 폴리아릴아민과 같은 아릴아민 골격을 갖는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 플루오렌-비티오펜 공중합체와 같은 플루오렌 골격이나, 플루오렌-아릴아민 중공합체와 같은 아릴아민 골격 및 플루오렌 골격의 쌍방을 갖는 폴리플루오렌 유도체(PF), 폴리(N-비닐카르바졸)(PVK), 폴리비닐필렌, 폴리비닐안트라센, 폴리티오펜, 폴리알킬티오펜, 폴리헥실티오펜, 폴리(p-페닐렌비닐렌)(PPV), 폴리티에닐렌비닐렌, 피렌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틸카르바졸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메틸페닐실란(PMPS) 등의 폴리실란계, 폴리[bis(4-페닐)(2,4,6-트리메틸페닐)아민](PTTA), 폴리[N,N'-bis(4-부틸페닐)-N,N'-bis(페닐)-벤지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p형의 고분자 재료는, 기타 화합물과의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폴리티오펜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스티렌술폰산)(PEDOT/PSS), 소켄카가쿠 제조 도전성 폴리머 베라졸(verazol)(상표) 등, 폴리아닐린으로서 닛산카가쿠 제조 엘 소스(EL source)(상표)를 들 수 있다.
p형의 저분자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1,1-bis(4-디-파라-톨릴아미노페닐)사이클로헥산, 1,1'-bis(4-디-파라-톨릴아미노페닐)-4-페닐-사이클로헥산(TAPC)과 같은 아릴사이클로알칸계 화합물, 4,4',4''-트리메틸트리페닐아민, N,N'-디페닐-N,N'-bis(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N,N,N',N'-테트라페닐-1,1'-비페닐-4,4'-디아민, N,N'-디페닐-N,N'-bis(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1), N,N'-디페닐-N,N'-bis(4-메톡시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2), N,N,N',N'-테트라키스(4-메톡시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3), N,N'-bis(1-나프틸)-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α-NPD), 트리페닐아민-테트라머(TPTE), 1,3,5-트리스-[4-(디페닐아미노)벤젠](TDAPB), 트리스-(4-카르바졸-9-일-페닐)-아민(스피로-TAD), 트리스-파라-톨릴아민(HTM1), 1,1-bis[(디-4-톨릴아미노)페닐]사이클로헥산(HTM2), N4,N4'-(비페닐-4,4'-디일)bis(N4,N4',N4'-트리페닐비페닐-4,4'-디아민)(TPT1)과 같은 아릴아민계 화합물, N,N,N',N'-테트라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N,N,N',N'-테트라(파라-톨릴)-파라-페닐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타-톨릴)-메타-페닐린디아민(PDA), PDA-Si(Mol.Cryst.Liq.Cryst.Vol.462.pp. 249-256, 2007), N,N'-디페닐-1,4-페닐렌디아민(DPPD)과 같은 페닐렌디아민계 화합물, 카르바졸, N-이소프로필카르바졸, N-페닐카르바졸, VB-TCA(Adv.Mater.2007, 19, 300-304)와 같은 카르바졸계 화합물, 스틸벤, 4-디-파라-톨릴아미노스틸벤과 같은 스틸벤계 화합물, OxZ와 같은 옥사졸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m-MTDATA), 4,4',4"-트리스(N,N-(2-나프틸)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2-TNATA), 4,4',4"-트리(N-카르바졸릴)트리페닐아민(TCTA)과 같은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1-페닐-3-(파라-디메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과 같은 피라졸린계 화합물, 벤진(사이클로헥사디엔)계 화합물, 트리아졸과 같은 트리아졸계 화합물, 이미다졸과 같은 이미다졸계 화합물, 1,3,4-옥사디아졸, 2,5-디(4-디메틸아미노페닐)-1,3,4,-옥사디아졸과 같은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안트라센, 9-(4-디에틸아미노스티릴)안트라센과 같은 안트라센계 화합물, 플루오렌온, 2,4,7,-트리니트로-9-플루오렌온, 2,7-bis(2-하이드록시-3-(2-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1-나프틸아조)플루오렌온과 같은 플루오렌온계 화합물, 폴리아닐린과 같은 아닐린계 화합물, 실란계 화합물, 1,4-디티오케토-3,6-디페닐-피롤로-(3,4-c)피롤로피롤과 같은 피롤계 화합물, 플루오렌과 같은 플루오렌계 화합물, 포르피린, 금속 테트라페닐포르피린과 같은 포르피린계 화합물, 퀴나크리돈과 같은 퀴나크리돈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테트라(t-부틸) 구리 프탈로시아닌, 철 프탈로시아닌과 같은 금속 또는 무금속(non-metal)의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구리 나프탈로시아닌, 바나딜나프탈로시아닌, 모노클로로갈륨나프탈로시아닌과 같은 금속 또는 무금속의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N',N'-테트라페닐벤지딘과 같은 벤지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DA-Si는, 고분자화를 도모하기 위해,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 자일렌비스옥세탄(도아고세이 아론옥세탄 OXT-121), 라디칼 중합 개시제: 지방족계 디아실퍼옥사이드(퍼로일 L, 니혼유시가부시키가이샤)가 첨가되어 이용된다.
다음으로, 형광 또는 인광이 얻어지는 발광층 재료에 대해서, 발광색 마다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적색 발광 재료]
적색 발광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적색 형광 재료, 적색 인광 재료를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적색 형광 재료로서는, 적색의 형광을 발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페릴렌 유도체, 유로퓸 착체, 벤조피란 유도체, 로다민 유도체, 벤조티오잔텐 유도체, 포르피린 유도체, 나일 레드, (2-(1,1-디메틸에틸)-6-(2-(2,3,6,7-테트라하이드로-1,1,7,7-테트라메틸-1H,5H-벤조(ij)퀴놀리진-9-일)에테닐)-4H-피란-4H-이리덴)프로판디니트릴(DCJTB),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DCM),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1-시아노비닐렌페닐렌)], 폴리[{9,9-디헥실-2,7-bis(1-시아노비닐렌)플루오레닐렌}오르토-co-{2,5-bis(N,N'-디페닐아미노)-1,4-페닐렌}],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1-시아노비닐렌페닐렌)}-co-{2,5-bis(N,N'-디페닐아미노)-1,4-페닐렌}] 등을 들 수 있다.
적색 인광 재료로서는, 적색의 인광을 발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리듐, 루테늄, 백금, 오스뮴, 레늄, 팔라듐 등의 금속 착체를 들 수 있고, 이들 금속 착체의 배위자(配位子) 중의 적어도 1개가 페닐피리딘 골격, 비피리딜 골격, 포르피린 골격 등을 갖는 것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스(1-페닐이소퀴놀린)이리듐, bis[2-(2'-벤조[4,5-α]티에닐)피리디네이트-N,C3']이리듐(아세틸아세토네이트)(btp2Ir(acac)), 2,3,7,8,12,13,17,18-옥타에틸-12H,23H-포르피린-백금(Ⅱ), bis[2-(2'-벤조[4,5-α]티에닐)피리디네이트-N,C3']이리듐, bis(2-페닐피리딘)이리듐(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색의 발광층(133) 중에는, 전술한 적색 발광 재료 외에, 적색 발광 재료가 게스트 재료로서 첨가되는 호스트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호스트 재료는, 정공과 전자를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함과 함께, 그 여기자의 에너지를 적색 발광 재료로 이동(펠스터 이동 또는 덱스터 이동)시켜, 적색 발광 재료를 여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호스트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게스트 재료인 적색 발광 재료를 도펀트로서 호스트 재료에 도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호스트 재료로서는, 이용하는 적색 발광 재료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색 발광 재료가 적색 형광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면, 나프타센 유도체, 나프탈렌 유도체, 안트라센 유도체와 같은 아센 유도체(아센계 재료), 디스티릴아릴렌 유도체, 페릴렌 유도체,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디스티릴아민 유도체,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 착체(Alq3) 등의 퀴놀리노라토계 금속 착체(BAql), 트리페닐아민의 4량체 등의 트리아릴아민 유도체(TDAPB), 옥사디아졸 유도체, 실롤 유도체(SimCP, UGH3), 디카르바졸 유도체(CBP, mCP, CDBP, DCB), 올리고티오펜 유도체, 벤조피란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벤조옥사졸 유도체, 벤조티아졸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4,4'-bis(2,2'-디페닐비닐)비페닐(DPVBi), 인 유도체(PO6)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적색 발광 재료(게스트 재료) 및 호스트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적색의 발광층(133) 중에 있어서의 적색 발광 재료의 함유량(도프량)은,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색 발광 재료의 함유량을 이러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녹색 발광 재료]
녹색 발광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종 녹색 형광 재료 및 녹색 인광 재료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녹색 형광 재료로서는, 녹색의 형광을 발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쿠마린 유도체, 퀴나크리돈 및 그의 유도체, 9,10-bis[(9-에틸-3-카르바졸)-비닐레닐]-안트라센, 폴리(9,9-디헥실-2,7-비닐렌플루오레닐렌),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co-(1,4-디페닐렌-비닐렌-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벤젠)], 폴리[(9,9-디옥틸-2,7-디비닐렌플루오레닐렌)-오르토-co-(2-메톡시-5-(2-에톡실헥실옥시)-1,4-페닐렌)],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오르토-co-(1,4-벤조-{2,1',3}-티아디아졸)](F8BT) 등을 들 수 있다.
녹색 인광 재료로서는, 녹색의 인광을 발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리듐, 루테늄, 백금, 오스뮴, 레늄, 팔라듐 등의 금속 착체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팩(fac)-트리스(2-페닐피리딘)이리듐(Ir(ppy)3), bis(2-페닐피리디네이트-N,C2')이리듐(아세틸아세토네이트), 팩-트리스[5-플루오로-2-(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딘)페닐-C,N]이리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녹색의 발광층(133) 중에는, 전술한 녹색 발광 재료 외에, 녹색 발광 재료가 게스트 재료로서 첨가되는 호스트 재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호스트 재료로서는, 전술한 적색의 발광층(133)으로 설명한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청색 발광 재료]
청색 발광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청색 형광 재료 및 청색 인광 재료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청색 형광 재료로서는, 청색의 형광을 발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스티릴디아민계 화합물 등의 디스티릴아민 유도체, 플루오란텐 유도체, 피렌 유도체, 페릴렌 및 페릴렌 유도체, 안트라센 유도체, 벤조옥사졸 유도체, 벤조티아졸 유도체, 벤조이미다졸 유도체, 크리센 유도체, 페난트렌 유도체,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테트라페닐부타디엔, 4,4'-bis(9-에틸-3-카르바조비닐렌)-1,1'-비페닐(BCzVBi),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co-(2,5-디메톡시벤젠-1,4-디일)], 폴리[(9,9-디헥실옥시플루오렌-2,7-디일)-오르토-co-(2-메톡시-5-{2-에톡시헥실옥시}페닐렌-1,4-디일)],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co-(에티닐벤젠)],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co-(N,N'-디페닐)-N,N'-디(파라-부틸페닐)-1,4-디아미노-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청색 인광 재료로서는, 청색의 인광을 발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리듐, 루테늄, 백금, 오스뮴, 레늄, 팔라듐 등의 금속 착체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bis[4,6-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트-N,C2']-피콜리네이트-이리듐(FIrpic), 트리스(1-페닐-3-메틸벤조이미다졸린-2-이리덴-C,C2')(Ir(pmb) 3), bis(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트)(5-(피리딘-2-일)-1H-테트라졸)이리듐(FIrN4), 트리스[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트-N,C2']이리듐, bis[2-(3,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디네이트-N,C2']-피콜리네이트-이리듐, bis(4,6-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트-N,C2')이리듐(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발광층(133) 중에는, 전술한 청색 발광 재료 외에, 청색 발광 재료가 게스트 재료로서 첨가되는 호스트 재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호스트 재료로서는, 전술한 적색의 발광층(133)으로 설명한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134) 또는 전자 주입층(135)의 형성에 이용하는, 전자 주입 수송층 재료에 대해서도, 용제 A 또는 용제 B에 용해 가능한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선택하여, 전술한 잉크젯법에 의해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주입 수송층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스(8-퀴놀리라토)알루미늄(Alq3) 등의 8-퀴놀린올 또는 그의 유도체를 배위자로 하는 유기 금속 착체의 퀴놀린 유도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81039호에 기재된 4,4',4"-트리스(디페닐포스피닐)-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이하, 「TPPO-Burst」로 생략함)와 탄산 세슘의 혼합 재료, 옥사디아졸 유도체, 페릴렌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디페닐퀴논 유도체, 니트로 치환 플루오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저분자 재료란 분자량 혹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것을 가리키고, 고분자 재료란 분자량 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으로서, 기본 골격이 반복된 구조를 갖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잉크에 있어서의 기능층 형성용 재료의 함유량(고형분 농도)은, 23℃에 있어서의 잉크의 점도가 전술한 범위 내에 있으면,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능층 형성용 재료가 저분자 재료인 경우, 잉크에 첨가해도 점도 상승은 거의 없기 때문에, 잉크 점도에 대해서는 고형분 농도에 상한은 없다. 또한, 고분자 재료의 경우는 첨가하면 점도 상승이 일어나고, 점도 상승의 정도는 고분자 재료의 중량 평균 분자량과 상관이 있다. 따라서, 고분자 재료의 고형분 농도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미만이면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동일하게 10만 이상이면 0.1질량% 이상, 3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잉크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서, 용제 및 형성하는 기능층에 따른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선택하여 잉크를 조제한다.
<용제의 상용성 평가 방법>
다음으로, 잉크에 있어서의 용제의 상용성 평가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용제의 상용성 평가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잉크로서, 잉크(180)를 이용했다. 잉크(180)는, 용제의 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뺀 조성으로 하고 있다. 잉크(180)의 조성으로서는. 용제 A의 방향족계 화합물로서 3-페녹시톨루엔, 동일하게 탄화수소계 화합물로서 도데칸을 선택하고, 용제 B의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을 선택하고, 동일하게 알칸디올계 화합물로서 1,6-헥산디올을 선택하고, 용제 C로서 1-옥탄올을 선택했다. 각 성분의 함유 비율은, 3-페녹시톨루엔: 25질량%, 도데칸: 25질량%, 디에틸렌글리콜: 25질량%, 1,6-헥산디올: 24질량%, 1-옥탄올: 1질량%로 했다.
다음으로, 상기의 각 용제에 대해서, 3-페녹시톨루엔: 5.0g, 도데칸: 5.0g, 디에틸렌글리콜: 5.0g, 1,6-헥산디올: 4.8g, 1-옥탄올: 0.2g을 유리관병(200)(내용량 약 22㎖)에 넣어, 덮개(210)를 덮었다.
이어서, 유리관병(200)을 손에 들고 진탕(振湯)하여, 잉크(180)의 각 성분을 교반했다. 진탕 조건은, 상하로 약 20㎝의 진탕폭에 있어서, 1분간에 약 100회로 했다. 여기에서, 상기 진탕 조건은, 진탕폭이 15㎝ 이상, 25㎝ 이하, 진탕 횟수로 1분간에 50회 이상, 150회 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좋다. 또한, 교반은, 진탕 장치나 교반자를 이용한 마그네틱 스티러 등을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그 후, 진탕한 유리관병(200)을 정치(靜置)했다. 교반(진탕) 직후는, 미세한 기포가 잉크(180) 내부에 혼재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정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3시간이 된 시점에서, 잉크(180)에 있어서의 분리 및 백탁의 발생의 유무를, 육안에 의해 관찰했다. 이때, 용제의 상용성이 낮으면, 용제에 분리(상(相)분리)나 백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잉크(180)에는 분리나 백탁이 없고, 상용성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평가는, 약 23℃로 온도 조절된 실내에서 실시했다. 또한, 상기 경과 시간이 3시간 미만, 또는 3시간 초과의 시점에서도 관찰을 실시하여, 상용성을 보다 상세하게 평가해도 좋다.
여기에서, 평가에 이용하는 유리관병(200)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용성 관찰의 용이함에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잉크(180)의 절약을 위해서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관병(200)의 재질은 유리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지제의 용기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유리관병(200)에 넣는 잉크(180)의 양은, 유리관병(200)의 내용량에 대하여, 40체적% 이상, 90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잉크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잉크에 의하면, 극성이 상이한 용제끼리의 상용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배합 가능한 용제종의 조합을 늘릴 수 있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잉크에서는, 극성이 상이한 용제를 조합하여 잉크에 배합하면, 분리나 백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소수 8 이상의 1가 알코올을, 잉크 전체 질량의 1질량% 이상 배합함으로써, 소수성의 용제와 친수성의 용제를 조합하여 배합해도, 양친매성의 상기 알코올이 쌍방의 용제의 사이에 개재하여, 분리나 백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제의 친수성이나 소수성 등에 속박되지 않고, 점도 등의 잉크 특성을 조정 가능한 용제의 선택 범위를 더욱 늘릴 수 있다.
또한, 점도나 극성 등이 상이한 복수의 용제의 조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잉크젯법용의 잉크에 요구되는, 잉크 물성 및 건조성이나 레벨링성 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잉크보다도 잉크 물성이나 잉크 특성이 우수한 잉크젯법에 적합한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종래보다도 용제의 선택지가 확대되기 때문에, 잉크의 물성 및 특성을 확보한 후에, 환경 적합성, 안전성, 비용 저감 등으로의 대응이 용이해진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잉크에 대해서, 용제의 상용성을 평가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제>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열거한 용제의 일부에 대해서, 23℃에 있어서의 점도(일부는 40℃에 있어서의 점도) 및 표준 비점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8에 예로 들은 것 중으로부터 용제를 선택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를 행했다. 또한, 도 8의 표 중에서는 약호를 이용하여, 디이소프로필벤젠을 「DIPB」, 사이클로헥실벤젠을 「CHB」, 디페닐에테르를 「DPE」, 3-페녹시톨루엔을 「3PT」, 비스디메틸페닐에탄을 「BDMPE」, 7-에틸-2-메틸-4-운데칸올을 「7E2M4U」, 디에틸렌글리콜을 「DEG」, 디프로필렌글리콜을 「DPG」, 트리에틸렌글리콜을 「TEG」, 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TetraEG」, 2,3-부탄디올을 「23BD」, 1,2-프로판디올을 「12PD」, 1,2-에탄디올을 「12ED」, 2-메틸-2,4-펜탄디올을 「2M24PD」, 1,3-부탄디올을 「13BD」, 1,4-부탄디올을 「14BD」, 2-에틸-1,3-헥산디올을 「2E13HD」로서 나타냈다.
<잉크의 조성>
도 9, 도 10, 도 11, 도 1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용 잉크의 용제 구성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9에 나타낸 수준(용제의 조합예의 No.1 내지 No.35)에서는, 용제 C로서, 탄소수 8의 제1급 알코올로서, 1-옥탄올을 이용했다. 마찬가지로, 도 10(용제의 조합예의 No.36 내지 No.70)에서는 탄소수 9의 제2급 알코올로서 2-노난올을, 도 11(용제의 조합예의 No.71 내지 No.105)에서는 탄소수 9의 제1급 알코올로서 1-노난올을, 각각 이용했다. 도 12(용제의 조합예의 No.106 내지 No.110)에서는, 탄소수 9의 제1급 알코올로서 1-노난올을, 각각 이용했다. 또한, 이들 표에서는 일부의 화합물명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과 동일한 약호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용 잉크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평가용 잉크와 동일하게, 기능층 형성용 재료는 배합하고 있지 않지만, 기능층 형성 재료가 본 용제 조성에 용해되면 커피스테인 현상이 억제된 평탄한 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용제 A에 포함되는 방향족계 화합물을 A1, 탄화수소계 화합물 등을 A2로 하고, 도 9, 도 10, 도 11에 있어서는, A1과 A2를 1 대 1의 질량비(比)로 혼합하여 용제 A로 했다. 마찬가지로, 용제 B에 포함되는 알칸디올계 화합물을 B1,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을 B2로 하고, B1과 B2를 1 대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용제 B로 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A1과 A2를, 또는 B1과 B2를 혼합하지 않고, 용제를 단체로 이용했다. 구체적으로는, No.107 내지 No.110의 용제 A는, A1과 A2를 혼합하지 않고, A1 또는 A2의 어느 한편만을 배합했다. 또한, No.106 내지 No.110의 용제 B는, B1과 B2를 혼합하지 않고, B1 또는 B2의 어느 한편만을 배합했다.
전술한 용제를 이용하여, 용제 A 대 용제 B의 질량비를, 실시예에서는 50 대 49, 50 대 45, 50 대 40, 55 대 35, 40 대 50으로 하고, 비교예에서는 50 대 50, 50 대 49.5로 하여, 잔량을 용제 C로 보충하고, 합계가 100이 되도록 평가용 잉크를 제작했다. 또한, No.106 내지 No.110의 용제의 조합의 예(도 12)에 있어서는, 용제 A 대 용제 B의 질량비의 실시예 40 대 50을 대신하여, 45 대 50의 평가용 잉크를 제작했다. 즉, 전잉크 질량에 대한 용제 C의 함유 비율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로 하고, 비교예에 있어서는 0질량%(용제 C 없음) 및 0.5질량%로 했다. 또한, 도 9, 도 10, 도 11, 도 12의 각 도표에 있어서 좌단열에 부여한 번호(No.)는,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의 도표의 번호(No.)와 대응하고 있다.
<상용성 평가>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용 잉크에 대해서, 용제의 상용성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도 13, 도 14, 도 15, 도 16에 나타냈다. 전술한 대로,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의 각 도표의 좌단열에 부여한 번호(No.)는, 각각 도 9, 도 10, 도 11, 도 12의 번호(No.)와 대응하고, 그들의 용제 구성에 있어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중에 있어서, 분리 및 백탁이 발생하지 않고 상용한 것을 『○(적합)』, 분리 또는 백탁이 발생한 것을 『×(부적합)』로 하여 평가했다. 또한, 용제 C의 함유량이 0질량%(함유하지 않음)인 비교예의 평가 결과는, 도 13에만 기재했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제 C가 1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어느 혼합비라도 용제 A와 용제 B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인 것이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에 있어서는, 용제 C를 함유하지 않는 잉크 및, 함유 비율이 0.5질량%인 쌍방에서, 용제 A와 용제 B가 상용하지 않고 분리나 백탁이 발생하여, 실시예에 비해 상용성이 뒤떨어져 있는 것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잉크(잉크 조성물)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를 들어 설명한다.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피토출물(피기록 매체)상으로 화상 등을 형성(인쇄)하기 위한 색재를 포함하는 잉크에도, 본 발명의 잉크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색재를 포함하는 잉크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비닐제 피기록 매체용의 비수계 소프트 솔벤트 잉크를 들 수 있다. 이들 잉크는, 종래는,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 및 환상 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의 친수성의 용제를 주체로 하고, 색재로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유용성 염료 중 적어도 1종, 정착 수지, 그 외의 첨가제 등을 함유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들에 본 발명의 잉크를 적용함으로써, 소수성의 용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제 B로서,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 든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에 더하여,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디에테르류를 이용해도 좋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그 외의 친수성 용제로서, 예를 들면, γ-부티로락톤 등의 환상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제 A 및 용제 C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수지로서는, 염화 비닐 수지, 아세트산 비닐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아크릴 수지 등을 적어도 1종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쇄 개소(화상)의 내찰성이 향상한다. 잉크 전체량에 대한 정착 수지의 함유 비율은,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 수지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잉크 점도의 상승을 억제한 후에, 인쇄물의 정착성이나 내찰성이 향상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소프트 솔벤트 잉크에 소수성의 용제를 이용함으로써, 인쇄물의 건조 시간이 단축되어, 종래의 잉크보다도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용제 C를 함유시킴으로써, 소수성의 용제 A의 첨가가 가능해지고, 잉크의 극성이 종래보다도 낮아져, 잉크의 흡습성이 억제된다. 잉크의 흡습성이 억제되면, 피기록 매체상에 있어서, 잉크 액적이 건조할 때까지의 사이에, 액적 중에 잔존하는 용제의 흡습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용제가 흡습하여 휘발이 지연되는 일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용제 B와 비교하여 표준 비점이 낮은 용제 A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잉크 액적의 건조성이 향상한다. 이에 따라, 후공정(권취나 그라밋(grommet) 가공 등)으로의 건조 대기 시간이 삭감되어, 단시간에 후(後)공정으로 이행 가능해진다. 즉, 인쇄에서 건조까지의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소프트 솔벤트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잉크는, 색재를 포함하지 않는 투광성의 수지를 포함하는 클리어 잉크로 해도 좋다. 클리어 잉크란, 인쇄 개소의 표면을 투광성의 수지로 피복함으로써, 인쇄 개소를 보호하는 목적 등에 이용된다. 본 변형예의 잉크를, 클리어 잉크로 이용함으로써, 클리어 잉크의 건조 시간이 단축된다. 이에 따라, 보호 피막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2)
상기 변형예 이외에 색재를 함유하는 잉크로서,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의 컬러 필터용 잉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컬러 필터는, 통상, 상이한 복수색의 착색층(RGB에 대응하는 3색의 착색층)을 갖고 있다. 이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해, 컬러 필터용 잉크가 이용되고 있다.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색재로서는, 기존의 안료나 염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점도나 극성이 상이한 복수의 용제를, 조합하여 배합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컬러 필터용 잉크에 있어서, 건조성 및 레벨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활한 착색층을 단시간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컬러 필터용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예로 들어, 잉크젯법으로 기능층(유기 반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유기 EL 소자 이외의 유기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소자의 형성에, 본 발명의 잉크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유기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나 유기 태양 전지 등의 소자를 들 수 있다. 이들에 본 발명의 잉크를 적용함으로써, 잉크에 이용하는 용제의 선택지가 넓어지고, 잉크젯법에 의한 유기 반도체층의 형성에 적합한 특성을, 잉크에 부여할 수 있다.
130 : 유기 EL 소자
133 : 발광층
134 : 전자 수송층
135 : 전자 주입층
136 : 기능층
150, 160, 170 : 잉크 조성물로서의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180 : 잉크

Claims (14)

  1. 고형분과, 소수성의 용제 A와, 친수성의 용제 B와, 양친매성의 용제 C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 C가 탄소수 8 이상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A가, 방향족계 화합물, 탄화수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용제 B가,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 알칸디올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용제 C가 1가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A가, 방향족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탄화수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용제 B가,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알칸디올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용제 C가 1가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계 화합물이, 디이소프로필벤젠, 사이클로헥실벤젠, 디페닐에테르, 3-페녹시톨루엔, 비스디메틸페닐에탄이고,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이, 데칸,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펜타데칸, 헥사데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이고,
    상기 알칸디올계 화합물이,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2-에틸-1,3-헥산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C가 탄소수 8 내지 탄소수 13의 1가 알코올이고, 1-옥탄올, 1-노난올, 1-데칸올, 1-운데칸올, 1-도데칸올, 1-트리데칸올, 2-노난올, 2-운데칸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C의 함유 비율이, 1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온에 있어서, 상기 용제 A의 점도가, 상기 용제 B의 점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A로서, 나프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A로서, 7-에틸-2-메틸-4-운데칸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으로서, 기능층 형성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 형성용 재료가,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층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으로서, 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으로서, 색재를 포함하지 않는 투광성의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의 함유 비율이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KR1020160150268A 2015-11-13 2016-11-11 잉크 조성물 KR20170056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2779A JP6645132B2 (ja) 2015-11-13 2015-11-13 インク組成物
JPJP-P-2015-222779 2015-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458A true KR20170056458A (ko) 2017-05-23

Family

ID=5725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268A KR20170056458A (ko) 2015-11-13 2016-11-11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5282B2 (ko)
EP (1) EP3168269B1 (ko)
JP (1) JP6645132B2 (ko)
KR (1) KR20170056458A (ko)
CN (1) CN1069057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8186B2 (ja) * 2014-12-02 2020-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成膜用インクおよび成膜方法
JP6638187B2 (ja) * 2014-12-02 2020-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成膜用インクおよび成膜方法
JP6711628B2 (ja) * 2016-01-22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方法
JP6897021B2 (ja) * 2016-07-26 2021-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有機半導体装置、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7046938B2 (ja) * 2016-10-31 2022-04-04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US10950792B2 (en) 2016-10-31 2021-03-16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JP6880952B2 (ja) * 2017-04-07 2021-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系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19006862A (ja) * 2017-06-22 2019-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水性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記録方法
CN109181414B (zh) * 2017-07-14 2022-04-15 苏州星烁纳米科技有限公司 量子点墨水以及发光二极管
CN108400259B (zh) * 2018-03-20 2020-05-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器件的制备方法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CN112236488A (zh) 2018-06-15 2021-01-15 默克专利有限公司 有机功能材料的制剂
TWI824014B (zh) * 2018-09-25 2023-12-01 日商日產化學股份有限公司 附有機功能膜之基板的製造方法
JP6933399B2 (ja) 2019-12-17 2021-09-08 株式会社Joled 機能層形成用インクおよび自発光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0663A (en) * 1966-09-12 1969-06-17 Commercial Solvents Corp Ternary solvent system containing 2-nitropropane for flexographic inks
CN1232481A (zh) * 1996-10-01 1999-10-20 曾尼卡有限公司 含水油墨组合物
DE50207293D1 (de) * 2001-03-10 2006-08-03 Merck Patent Gmbh Lösung und dispersionen organischer halbleiter
JP2002285086A (ja) 2001-03-26 2002-10-03 Jsr Corp 膜形成用組成物、膜の形成方法およびシリカ系膜
DE102004007777A1 (de) * 2004-02-18 2005-09-08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Lösungen organischer Halbleiter
DE102004023276A1 (de) 2004-05-11 2005-12-01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Lösungen organischer Halbleiter
JP4616596B2 (ja) * 2004-08-27 2011-01-1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2012230904A (ja) 2005-05-20 2012-11-22 Sumitomo Chemical Co Ltd 高沸点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KR101277916B1 (ko) 2005-05-20 2013-06-2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고분자 발광 소자
JP4273132B2 (ja) 2006-04-03 2009-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2008124157A (ja) * 2006-11-09 2008-05-29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材料含有溶液、有機el材料の薄膜形成方法、有機el材料の薄膜、有機el素子
JP2010034316A (ja) 2008-07-29 2010-02-12 Idemitsu Kosan Co Ltd インク及びそれを用いて作成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811542B2 (ja) 2010-06-15 2015-11-11 株式会社リコー ジチエノベンゾジチオフェン誘導体からなる有機半導体材料前駆体、インク、絶縁部材、電荷輸送性部材の製造方法
JP2012062460A (ja) 2010-08-20 2012-03-29 Riso Kagaku Corp インクジェット用非水系インク組成物
JP5940790B2 (ja) * 2010-10-26 2016-06-29 株式会社ダイセル 印刷用溶剤又は溶剤組成物
JP2014169418A (ja) * 2013-03-05 2014-09-18 Toppan Printing Co Ltd 電荷輸送膜用インク、電荷輸送膜用インクに使用可能な芳香族オリゴヨードニウム塩および電荷輸送膜用インクを用いた電荷輸送膜の製造方法
JP6201538B2 (ja) * 2013-09-03 2017-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機能層形成用インクの製造方法、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2015076220A (ja) * 2013-10-08 2015-04-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EP3072613B1 (en) * 2013-11-20 2019-05-29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Yamagata University Silver nano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silver nanoparticles, and silver nanoparticle ink
JP6897021B2 (ja) * 2016-07-26 2021-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有機半導体装置、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7651A1 (en) 2017-05-18
US10125282B2 (en) 2018-11-13
CN106905766A (zh) 2017-06-30
JP2017088780A (ja) 2017-05-25
EP3168269A1 (en) 2017-05-17
EP3168269B1 (en) 2020-10-28
JP6645132B2 (ja) 2020-02-12
CN106905766B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282B2 (en) Ink composition
CN104946006B (zh) 功能层形成用油墨、发光元件的制造方法、发光装置、电子设备
US10717886B2 (en) Ink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semiconductor element,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element
KR102166377B1 (ko) 성막용 잉크, 성막 방법, 막 부착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JP6201538B2 (ja) 機能層形成用インクの製造方法、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1953592B1 (ko) 기능층 형성용 조성물, 기능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 유기 el 장치, 전자 기기
KR20170090469A (ko) 성막용 잉크, 성막 방법, 막 부착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US10167403B2 (en) Ink, ink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element
KR101899914B1 (ko) 성막용 잉크, 성막 방법, 액적 토출 장치,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발광 소자,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17045631A (ja) 液状体、液状体の消泡性評価方法、および有機半導体層を含む素子の形成方法
JP2017004782A (ja)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