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307A - 레졸버 - Google Patents

레졸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307A
KR20170056307A KR1020150159823A KR20150159823A KR20170056307A KR 20170056307 A KR20170056307 A KR 20170056307A KR 1020150159823 A KR1020150159823 A KR 1020150159823A KR 20150159823 A KR20150159823 A KR 20150159823A KR 20170056307 A KR20170056307 A KR 20170056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ator
rotor
teeth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나병철
심다희
이성욱
최연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307A/ko
Priority to PCT/KR2015/014434 priority patent/WO2017082462A1/ko
Priority to US15/770,378 priority patent/US10677613B2/en
Priority to JP2018524717A priority patent/JP6867386B2/ja
Priority to DE212015000327.2U priority patent/DE212015000327U1/de
Priority to CN201621242203.2U priority patent/CN206163298U/zh
Publication of KR2017005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4/00Machines adapted for the instantaneous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angular displacement of rotating parts, e.g. synchro, selsy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 G01D5/204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by a movable ferromagnetic element, e.g. a co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외부 노이즈에 강건하고 회전 각도 검출의 오차를 줄인 레졸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졸버는,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는 자성체 재질의 고정자; 내측으로 상기 티스에 대응하는 티스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의 상하 양면에서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는 절연 커버; 및 상기 티스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티스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가 고정된 상태의 슬롯에서 상기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비인 하기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이,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하나의 슬롯에서 코일들이 차지하는 면적)/(하나의 슬롯의 면적)

Description

레졸버{RESOLVER}
본 발명은 회전하는 장치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레졸버에 관한 것이다.
회전하는 장치, 예를 들어 전동기를 제어할 때 회전 정보는 정밀하고 빠르게 검출되어야 한다. 회전하는 장치의 제어에 있어서 회전하는 축에 설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하여 회전체의 움직임 또는 회전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채택되고 사용되어 온 검출기로 레졸버(resolver)와 인코더(encoder)가 있으며 이 검출 장치들은 서로 장점과 단점을 갖고 있다. 이 중 레졸버는 회전자의 절대 위치를 직접적으로 검지하여 회전자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를 계산하게 된다.
차량에는 배터리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핸들 조작을 보조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EPS : Electric Power Steering)이 채용되고 있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은 엔진의 회전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킨 경우에 비해 엔진의 파워 로스가 적은 효율적인 시스템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EPS에서는 정밀한 제어를 실현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가 필요하고,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차량용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로, 인코더에 비해 높은 내환경성을 갖는 레졸버가 이용되고 있다.
레졸버는 모터의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레졸버는 여자 코일과 출력 코일이 모두 고정자에 위치하고 타원 또는 다극의 형상을 지닌 회전자가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레졸버에 관하여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6-178610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상기 일본 공개특허의 공보에 첨부된 도면으로서, 레졸버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회전자(10)와 그 회전자(10)에 대해 갭을 두고 마주하는 환형의 고정자(11)를 포함한다. 회전자(10)는 외주를 따라 다수의 돌극부(10a)가 형성되고, 환형의 고정자(11)는 내주를 따라 다수의 티스(11b)와 슬롯(11a)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자(11)의 티스(11b)에는 여자 코일과 출력 코일이 권취되어 슬롯(11a)에 여자 코일과 출력 코일이 수납되는데, 출력 코일은 제 1 출력 코일과 제 2 출력 코일로 구성된다. 여자 코일에 여자 전압을 인가하고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제 1 출력 코일과 제 2 출력 코일에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들을 분석하여 레졸버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졸버에 있어서 고정자(11)의 티스(11b)에 권취되는 코일은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따라서 레졸버와 같은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 코일 권취시 정밀한 설계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티스(11b)에 코일이 많이 감기는 경우 티스(11b) 사이의 슬롯(11a)에서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이 많아져 이웃하는 두 티스(11b)에 권취된 코일 간에 전기적 간섭을 일으켜 오차를 유발하고, 반대로 티스(11b)에 코일이 적게 감기는 경우 출력 코일의 유도 전압의 변압비가 떨어져 외부 노이즈에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6-178610호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 외부 노이즈에 강건하고 회전 각도 검출의 오차를 줄인 레졸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졸버는,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는 자성체 재질의 고정자; 내측으로 상기 티스에 대응하는 티스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의 상하 양면에서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는 절연 커버; 및 상기 티스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티스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가 고정된 상태의 슬롯에서 상기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비인 하기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이, 35% 이하이다.
(수학식)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하나의 슬롯에서 코일들이 차지하는 면적)/(하나의 슬롯의 면적)
상기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은, 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절연 커버가 고정된 상태의 슬롯에서, 인접한 두 티스에 권취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는 4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적어도 1상 이상의 여자 코일과 적어도 1상 이상의 출력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자 코일과 상기 출력 코일은 각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졸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자와 협동하여 갭 퍼미언스(gap permeance)를 변화시키는 자성체 재질의 회전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의 내측 중심에 배치되는 이너(inner) 타입의 회전자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는, 소정 두께의 자성체 강판이 복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강판일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자성체 강판을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환형 가공하여 적층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자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고, 외주에는 상기 갭 퍼미언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극을 갖는 환형일 수 있다.
상기 돌극은, 적어도 상기 회전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원호의 중심은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돌극을 구성하는 원호의 직경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레졸버는,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는 자성체 재질의 고정자; 내측으로 상기 티스에 대응하는 티스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의 상하 양면에서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는 절연 커버; 및 상기 티스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티스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가 고정된 상태의 슬롯에서 인접한 두 티스에 권취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는 4mm 이상이다.
상기 코일은 적어도 1상 이상의 여자 코일과 적어도 1상 이상의 출력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자 코일과 상기 출력 코일은 각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졸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자와 협동하여 갭 퍼미언스(gap permeance)를 변화시키는 자성체 재질의 회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의 내측 중심에 배치되는 이너(inner) 타입의 회전자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는, 소정 두께의 자성체 강판이 복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강판일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자성체 강판을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환형 가공하여 적층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자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고, 외주에는 상기 갭 퍼미언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극을 갖는 환형일 수 있다.
상기 돌극은, 적어도 상기 회전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원호의 중심은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돌극을 구성하는 원호의 직경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졸버는, 외부 노이즈에 강건하고 출력 파형의 정확도를 높여 모터와 같은 회전하는 장치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졸버는, 인접한 티스에서 발생하는 자속 간 간섭을 줄여 제품 성능을 개선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졸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졸버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의 회전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의 테스트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샘플 제작한 각 레졸버의 오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졸버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의 회전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는, 회전자(300), 내주를 따라 다수의 티스(111)와 슬롯(112)이 교대로 형성되는 자성체 재질의 고정자(110)와, 상기 고정자(110)의 상하 양면에 장착되는 환형의 절연 커버(120), 그 절연 커버(120)를 매개로 각 티스(111)에 권취되는 코일(140)을 포함한다.
회전자(300)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관통홀(301)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강자성체이다. 회전자(300)는 소정의 두께의 자성체 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300)는 고정자(110)의 내측 중심에 배치되는 이너(inner) 타입의 강자성체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자(110)와 협동하여 갭 퍼미언스(gap permeance)를 변환시키기 위해 외주를 따라 다수의 돌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자(300)의 돌극은 회전자(300)의 직경(R1)보다 작은 직경(R2)을 갖는 원호 형상이다. 돌극의 원호의 중심(C2)은 회전자(300)의 중심(C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 돌극의 원호의 직경(R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고정자(110)는 그 회전자(300)에 대해 갭을 두고 마주하고 내주를 따라 다수의 티스(111)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인접한 티스(111) 사이에는 슬롯(112)이 형성되는 환형의 강자성체이다. 고정자(110)는, 자성체 강판을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111)와 슬롯(112)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환형 가공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절연 커버(120)는, 고정자(110)의 상하 양면에 장착되므로 상부 절연 커버와 하부 절연 커버로 구성된다. 절연 커버(120)는 내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자(110)의 티스(111)를 덮는 다수의 티스 절연부(121)가 형성된다. 절연 커버(120)가 고정자(110)의 상하 양면에 장착되므로 티스(111)의 상하 양면에 티스 절연부(121)가 덮힌다.
절연 커버(120)가 고정자(110)의 상하 양면에 장착 고정된 상태에서, 티스 절연부(121)에 코일(140)이 권취된다. 즉, 코일(140)은 티스(111)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으면서 티스 절연부(121)를 매개로 티스(111)에 감긴다. 이와 같이 티스 절연부(121)를 매개로 티스(111)에 코일(140)이 권취되므로 따라서 슬롯(112)에 코일(140)이 수납된다. 코일은 1상의 여자 코일과 2상의 출력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2상의 출력 코일 중 하나의 출력 코일은 SIN 신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코일은 COS 신호를 출력한다. 여자 코일에 여자 전압을 인가하고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제 1 출력 코일과 제 2 출력 코일에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들을 분석하여 레졸버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다.
이러한 레졸버에 있어서 절연 커버(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티스 절연부(121)를 매개로 티스(111)에 코일이 권취되어 슬롯(112)에 수납될 때, 하나의 슬롯(112)의 면적에서 코일들의 면적이 차지하는 면적비인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이 레졸버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 = (하나의 슬롯에서 코일들이 차지하는 면적)/(하나의 슬롯의 면적)
보다 구체적으로, 점적율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자(110)의 내주를 따라 다수의 티스(111)와 슬롯(112)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자(110)의 상하 양면에는 절연 커버(120)가 장착되어 고정된다. 절연 커버(120)의 내주에는 상기 고정자(110)의 티스(111)에 대응하는 티스 절연부(121)가 형성되어 고정자(110)의 각 티스(111)를 상하 양면에서 덮는다. 이때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티스(111)를 덮는 티스 절연부(121)는 티스(111)보다 약간 더 크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스 절연부(121)의 폭은 티스(111)의 폭보다 좀 더 크도록 폭 마진(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및 이하의 청구범위에 있어서 슬롯(112)의 면적은 이러한 마진의 면적을 제외한 부분의 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슬롯(112)의 면적은, 인접한 두 티스(111) 사이의 면적이 아닌, 인접한 두 티스 절연부(121) 사이의 면적이다. 그리고 하나의 슬롯(111)의 면적은 도 5에 도시된 인접한 두 티스 절연부(121)의 네 지점(a, b, c, d)을 꼭지점으로 하는 도형의 면적이다.
이러한 슬롯(112)의 면적에서 코일(140)들이 차지하는 면적은, 코일(140)의 턴 수 및 각 코일(140)의 직경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두 티스 절연부(121) 각각에서 여자 코일이 n회 권취되고 출력 코일(제 1 출력 코일과 제 2 출력 코일의 반지름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이 m회 권취된다면, 그 두 티스 절연부(121) 사이의 슬롯(112)에 수납되는 코일(140)의 면적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코일의 면적 = 2nπr1 2+4mπr2 2. 여기서 r1은 여자 코일의 반지름, r2는 출력 코일의 반지름이다.
일반적으로 티스 절연부(121)에 여자 코일이 권취될 때 최소로 필요로 하는 출력 코일의 최소 턴 수는,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에서, a는 여자 코일의 턴 수, b는 변압비, c는 고정자와 회전자 간의 최소 에어 갭, d는 코일당 단면적, e는 입력 전압을 의미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1
일반적으로 여자 코일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은 최소 4Vrms이고 주파수는 10kHz이다. 이때 강자성체인 고정자 및 회전자의 자속 밀도는 포화되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여자 코일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의 최대 크기는 0.5A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여자 코일의 최소 턴 수를 결정하면 상기 수학식 3에 따라 출력 코일의 최소 턴 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여자 코일 및 출력 코일의 턴 수와, 여자 코일 및 출력 코일의 반지름, 그리고 티스 절연부(121) 사이의 슬롯(112)의 면적을 이용하여 점적율을 계산하면 최소 점적율이 되고, 이 최소 점적율은 3%이다. 즉 슬롯(112)에서의 코일의 점적율이 3% 미만이 되면, 여자 코일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가 증가하여 입력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에 손상을 주고, 또한 자속 밀도가 증가하여 출력 측 유도 전압의 파형이 일그러진다. 또한, 출력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전압의 변압비가 떨어져 외부 노이즈에 취약해진다. 그러므로,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은 최소 3% 이상이 되어야 한다.
여자 코일에 입력된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은 출력 코일을 쇄교(interlinkage)하여 유도 전압을 발생시킨다.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정상적인 자속은 회전자에 링크(link)된다. 이때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은 회전자에 링크되면서 맴돌이 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키고 이 맴돌이 전류는 정상적인 입력 자속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한다. 그리고 제 1 출력 코일과 제 2 출력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성분은 서로 충돌하여 서로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맴돌이 전류와, 출력 코일의 유도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성분은, 출력 측 유도 전압을 왜곡함으로써 레졸버의 성능을 악화시킨다. 이와 같은 출력 측 유도 전압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은 35%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상을 종합하면, 레졸버에 있어서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은, 3% 내지 35%의 범위 내에 존재해야 성능 왜곡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인접한 두 티스(111)에서 제 1 티스에 권취된 코일과 제 2 티스에 권취된 코일 사이에는 일정한 이격 거리가 유지되어야 자속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인접한 두 티스(111)에서 제 1 티스에 권취된 코일과 제 2 티스에 권취된 코일 간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각 티스(111)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출력 파형의 왜곡을 야기하여 회전 각도 검출에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오차 발생을 줄이기 위해, 슬롯(112)에서, 인접한 두 티스(111)에 권취된 코일 간에는 일정한 이격 거리를 확보해야 하고,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는 4mm 이상이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lmin)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아래 표 1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과,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에 따른 레졸버의 성능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샘플 제작
슬롯(112)의 수가 24개인 고정자(110), 절연 커버(120), 돌극이 8개인 회전자(300) 그리고 코일(140)을 준비한다. 이때 고정자(110)와 회전자(300)는 투자율이 높은 강자성체이며 철손을 줄이기 위해 0.5mm 두께의 전기 강판을 적층하여 제조한다. 고정자(110)와 절연 커버(120)를 조립한 후 각 슬롯(112)에 원형 권선기를 사용하여 여자 코일과 출력 코일을 권취하여 레졸버를 제작한다. 레졸버는 총 9개를 제작하고, 각 레졸버는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점적율 및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를 갖도록 제작한다.
오차율 측정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의 테스트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 샘플 제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레졸버를 제작한 후, 각 레졸버(630)를 모터(610)의 회전축의 일단에 체결하고, 그 회전축의 타단에 인코더(620)를 체결한다. 그리고 연산기(calculator)(640)는 레졸버(630) 및 인코더(620)의 출력 파형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모터(610)의 회전축을 구동한 후, 연산기(calculator)(640)는 레졸버(630)의 출력 파형을 분석하여 회전 각도 프로파일을 연산하고, 인코더(620)의 회전 각도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오차율을 산출한다. 각 레졸버(630)마다 10번의 테스트를 진행하고 이 중 가장 큰 오차율을 최대 오차율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레졸버는 최대 오차율이 0.5 이하를 만족할 것을 요구한다.
도 8 내지 도 16은 샘플 제작한 각 레졸버의 오차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레졸버(630)마다 10번의 테스트를 하였을 때 그 중 최대 오차율이 나타난 테스트에서의 시간에 따른 오차율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2 각각은 표 1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5 각각의 오차율 그래프이고, 도 13 내지 도 16 각각은 표 1의 비교예1 내지 비교예4 각각의 오차율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1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3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36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마이너스 오차율의 절대값인 0.36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2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32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33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마이너스 오차율의 절대값인 0.33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3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29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29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0.29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4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39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42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마이너스 오차율의 절대값인 0.42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5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48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44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0.48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교예1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61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12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0.61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교예2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24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52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마이너스 오차율의 절대값인 0.52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비교예3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64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21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0.64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비교예4의 레졸버는, 플러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61이고 마이너스 오차율의 최대값은 -0.23이다. 따라서 최대 오차율은 0.61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점적율 최단 이격 거리 최대 오차율
실시예1 32 2.2 0.36
실시예2 32 3.7 0.33
실시예3 32 4.5 0.29
실시예4 37 4.5 0.42
실시예5 42 4.5 0.48
비교예1 37 2.2 0.61
비교예2 37 3.7 0.52
비교예3 42 2.2 0.64
비교예4 42 3.7 0.61
표 1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보면, 슬롯(112)에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미만이더라도, 코일의 점적율이 35% 이하인 경우, 최대 오차율은 0.5 이하로서 제품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를 보면, 슬롯(112)에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미만이면서 코일의 점적율이 35%를 초과하는 경우, 최대 오차율은 0.5보다 커져 제품 요구 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2와 실시예 3을 비교하면, 슬롯(112)에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이상이면서 코일의 점적율이 35% 이하인 경우의 최대 오차율은, 슬롯(112)에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미만이면서 점적율이 35% 이하인 경우의 최대 오차율보다 더 낮다. 즉, 슬롯(112)에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이상인 조건과 점적율이 35% 이하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성능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를 보면, 슬롯(112)에서 코일의 점적율이 35%를 초과하는 경우라도,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이상이 되면, 최대 오차율은 0.5 이하인 0.48이므로, 제품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를 보면, 슬롯(112)에서 코일의 점적율이 35%를 초과하고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미만이면, 최대 오차율은 0.5보다 커져 제품 요구 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슬롯(112)에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가 4mm 이상이 되는 조건과 코일의 점적율이 35% 이하인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레졸버의 최대 오차율은 0.5 이하를 나타내어 제품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 아울러, 그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의 최대 오차율은 그 두 조건 중 하나만을 만족할 때보다 더 낮아져 성능은 더 좋아진다. 반면, 그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최대 오차율은 0.5보다 커져 제품 요구 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고정자
120 : 절연 커버
111 : 티스
112 : 슬롯
121 : 티스 절연부
140 : 코일
300 : 회전자

Claims (22)

  1.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는 자성체 재질의 고정자;
    내측으로 상기 티스에 대응하는 티스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의 상하 양면에서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는 절연 커버; 및
    상기 티스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티스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가 고정된 상태의 슬롯에서 상기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비인 하기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이,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수학식)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하나의 슬롯에서 코일들이 차지하는 면적)/(하나의 슬롯의 면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당 코일의 점적율은,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가 고정된 상태의 슬롯에서, 인접한 두 티스에 권취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는 4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적어도 1상 이상의 여자 코일과 적어도 1상 이상의 출력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코일과 상기 출력 코일은 각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6. 제 4 항에 있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자와 협동하여 갭 퍼미언스(gap permeance)를 변화시키는 자성체 재질의 회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의 내측 중심에 배치되는 이너(inner) 타입의 회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는, 소정 두께의 자성체 강판이 복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자성체 강판을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환형 가공하여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고, 외주에는 상기 갭 퍼미언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극을 갖는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극은, 적어도 상기 회전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의 중심은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돌극을 구성하는 원호의 직경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3.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는 자성체 재질의 고정자;
    내측으로 상기 티스에 대응하는 티스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의 상하 양면에서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는 절연 커버; 및
    상기 티스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티스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가 고정된 상태의 슬롯에서 인접한 두 티스에 권취된 코일 간 최단 이격 거리는 4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적어도 1상 이상의 여자 코일과 적어도 1상 이상의 출력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코일과 상기 출력 코일은 각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자와 협동하여 갭 퍼미언스(gap permeance)를 변화시키는 자성체 재질의 회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의 내측 중심에 배치되는 이너(inner) 타입의 회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는, 소정 두께의 자성체 강판이 복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자성체 강판을 내측으로 다수의 티스와 슬롯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환형 가공하여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고, 외주에는 상기 갭 퍼미언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극을 갖는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극은, 적어도 상기 회전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의 중심은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돌극을 구성하는 원호의 직경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KR1020150159823A 2015-11-13 2015-11-13 레졸버 KR20170056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823A KR20170056307A (ko) 2015-11-13 2015-11-13 레졸버
PCT/KR2015/014434 WO2017082462A1 (ko) 2015-11-13 2015-12-29 레졸버
US15/770,378 US10677613B2 (en) 2015-11-13 2015-12-29 Resolver
JP2018524717A JP6867386B2 (ja) 2015-11-13 2015-12-29 レゾルバ
DE212015000327.2U DE212015000327U1 (de) 2015-11-13 2015-12-29 Resolver
CN201621242203.2U CN206163298U (zh) 2015-11-13 2016-11-14 旋转变压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823A KR20170056307A (ko) 2015-11-13 2015-11-13 레졸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44A Division KR20170056485A (ko) 2017-05-02 2017-05-02 레졸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307A true KR20170056307A (ko) 2017-05-23

Family

ID=5866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823A KR20170056307A (ko) 2015-11-13 2015-11-13 레졸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7613B2 (ko)
JP (1) JP6867386B2 (ko)
KR (1) KR20170056307A (ko)
CN (1) CN206163298U (ko)
DE (1) DE212015000327U1 (ko)
WO (1) WO20170824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817A (ko) 2018-05-21 2019-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 레졸버 장착구조
KR20200005728A (ko) * 2018-07-06 2020-01-16 (주)글로벌시스템즈 가변 릴럭턴스형 리졸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0035B (zh) * 2019-03-14 2020-11-24 武汉纺织大学 单对极绕线式旋转变压器绕组配合与线匝选择方法
CN113098205B (zh) * 2021-03-16 2022-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变压器及新能源汽车电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487B2 (ja) 1994-12-27 2000-10-30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JP4296486B2 (ja) 2003-08-18 2009-07-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可変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
JP4781666B2 (ja) * 2004-11-17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JP4764281B2 (ja) * 2006-08-07 2011-08-31 日本システム開発株式会社 位置測定センサ及び位置測定方法
US7605512B2 (en) * 2007-06-17 2009-10-20 Hiwin Mikrosystem Corp. Method of designing a reluctance resolver
JP4910175B2 (ja) 2007-06-19 2012-04-04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冗長型リニアセンサ
JP4654368B2 (ja) 2007-11-21 2011-03-16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レゾルバ及び角度検出装置
JP5083782B2 (ja) 2008-05-15 2012-11-28 多摩川精機株式会社 角度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82752B2 (ja) 2008-08-11 2013-04-17 多摩川精機株式会社 角度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18363B2 (ja) 2009-04-27 2014-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
JP2011102701A (ja) 2009-11-10 2011-05-26 Ribekkusu:Kk 直線変位検出器
JP5437118B2 (ja) * 2010-03-08 2014-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ゾルバ
JP5435580B2 (ja) 2010-05-27 2014-03-05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回転角検出又は回転同期装置
JP2013110819A (ja) 2011-11-18 2013-06-06 Jtekt Corp レゾルバ及びレゾルバの製造方法
JP5956757B2 (ja) 2012-01-30 2016-07-27 ミネベア株式会社 ツインレゾルバ
KR101297273B1 (ko) 2012-02-10 2013-08-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졸버
JP5939868B2 (ja) 2012-04-11 2016-06-22 株式会社一宮電機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
JP2014010051A (ja) 2012-06-29 2014-01-20 Okuma Corp レゾルバおよび多回転検出器
KR101964371B1 (ko) 2012-11-02 2019-04-01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리졸버 및 그 제조 방법
JP6227315B2 (ja) * 2013-07-29 2017-11-0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Vr型レゾルバのステータ構造
JP2015186370A (ja) 2014-03-25 2015-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可変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モータ及びロボ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817A (ko) 2018-05-21 2019-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 레졸버 장착구조
KR20200005728A (ko) * 2018-07-06 2020-01-16 (주)글로벌시스템즈 가변 릴럭턴스형 리졸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7613B2 (en) 2020-06-09
DE212015000327U1 (de) 2018-06-15
CN206163298U (zh) 2017-05-10
US20180313667A1 (en) 2018-11-01
WO2017082462A1 (ko) 2017-05-18
JP6867386B2 (ja) 2021-04-28
JP2018537669A (ja)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6313A (ko) 레졸버
KR20170056307A (ko) 레졸버
CN102723185B (zh) 一种双通道轴向磁路磁阻式旋转变压器
US10753772B2 (en) Resolver having decreased permanence error due to harmonic components
JP5182752B2 (ja) 角度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362670B2 (en) Stator and electrical apparatus
US9441942B2 (en) Resolver and multiple-rotation detector
JP2019060739A (ja) 可動側部材
KR20170056485A (ko) 레졸버
JP7042485B2 (ja) レゾルバ
EP3820028B1 (en) Variable reluctance resolver
KR20170056486A (ko) 레졸버
EP3468016A1 (en) Stator core for a variable reluctance type angle sensor
JP2014092482A (ja) 位置センサ
JP6792441B2 (ja) レゾルバステータ
EP4256276B1 (en) A variable reluctance position sensor
CN219351458U (zh) 一种电主轴用电机
EP4158280B1 (en) Variable reluctance position sensor
CN215373838U (zh) 一种圆筒形直线位移传感器
CN102664099B (zh) 空间机械臂用外转子轴向磁路单极磁阻式旋转变压器
US20180316253A1 (en) Resolver
KR101891929B1 (ko) 레졸버
US11221235B2 (en) Position sensor
KR101852059B1 (ko) 권선형 회전 가변식 차등변환기
CN112762810A (zh) 一种圆筒形直线位移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