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235A -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 - Google Patents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235A
KR20170056235A KR1020150159647A KR20150159647A KR20170056235A KR 20170056235 A KR20170056235 A KR 20170056235A KR 1020150159647 A KR1020150159647 A KR 1020150159647A KR 20150159647 A KR20150159647 A KR 20150159647A KR 20170056235 A KR20170056235 A KR 20170056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sh
crushing
ashe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152B1 (ko
Inventor
양송철
차종필
Original Assignee
양송철
차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송철, 차종필 filed Critical 양송철
Priority to KR102015015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1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01F3/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ornment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에 관한 것으로, 분쇄기기에서 분쇄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 내 유기물을 제거하여 탄화된 유골분말을 귀금속분말과 혼합하여 진공 상태에서 가열 가압하여 유골 보석을 성형하는 것으로 적은 비용으로 유골을 보석화하여 장신구로 이용할 수 있어 휴대 및 집안에 개별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적은 비용으로 유골을 보석화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고, 유골을 보석화하여 장신구로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색상 및 광택으로 유골에 대한 혐오감을 최소화하고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신구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MANUFACTURING APPARATUS FOR ASHES JEWEL, MANUFACTURING METHOD FOR ASHES JEWEL AND ASHES JEWEL THEREBY}
본 발명은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골을 보석으로 형성시켜 휴대 시 장신구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火葬) 후 남은 유골(遺骨) 또는 육탈(肉脫) 상태의 유골은 분쇄되어 분말형태로 형성된 후 납골함에 넣어 납골당이나 석조물 등으로 축조된 야외 납골묘에 보관된다.
이때, 납골함에 보관되는 유골은 주위의 습기를 강하게 흡수하는 성질로 인해 조금만 관리를 소홀히 하면 변질이 시작되고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며, 해충의 침입으로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납골당이나 납골묘는 정서적 거부감으로 인해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죽은 사람의 시신에서 수습한 유골을 고온 용융하여 보석처럼 빛깔이 영롱한 구형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유골을 고온 용융하여 구형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6-0028123에서는 유골을 1600 ℃에서 1차 열처리하고 1700 ℃에서 2차 열처리 하는 고온용융법을 이용한 유골의 결정체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8-0049410에서는 유골과 일정량의 광물을 배합한 후 1500 ~ 3500 ℃에서 열처리하여 용융액을 제조 한 후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골을 고온 용융하여 구형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유골의 융점이 1680℃인 것을 감안하면 유골을 완전 용융하는데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소모되고, 유골 용융시에 많은 미세먼지와 분진 발생으로 환경오염이 수반되며, 유골의 융점에서 탄화과정이 빨리 진행되어 결정체를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유골을 결정체로 용융제조하는 과정에서 실패할 경우 원래의 유골성질로 되돌릴 수 없고, 제조된 유골 결정체는 고가로 이를 이용하는데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유사한 기술로는 '화장한 유골에서 탄소성분을 추출하여 이를 초고압/초고온으로 가공하여 다이아몬드를 만들어 목걸이나 반지 등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다이아몬드는 유골성분이 아닌 탄소성분의 물질로 매우 고가이므로 가격적인 부담으로 인해 다수의 일반인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유골을 보석화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 가능한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골 보석 제조장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로 유골 보석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분쇄기기, 상기 분쇄기기에서 분쇄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 내 유기물을 제거하는 기화기기, 상기 기화기기에서 탄화된 유골분말을 귀금속분말과 혼합하여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혼합기기 및 혼합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성형하는 성형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쇄기기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1차 분쇄부, 유골에서 DNA를 보존하고 속성건조를 위해 200℃ 이하의 온도의 진공상태에서 유골분말을 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2차분쇄부 및 상기 2차 분쇄부(130)에서 배출되는 미세한 유골분말을 회수하는 제1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화기기는, 상기 유골분말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제1가열부에서 기화되고 남은 유골분말을 집진하는 제2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가열부는 진공 챔버,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진공시키는 진공부,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상기 진공부로 진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화기기는 상기 제1가열부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가열할 때 상기 유골분말의 성분 중 기화되어 제거되는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만을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는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기기는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1 : 9, 2 : 8, 3:7, 4:6, 5:5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기기는 유골분말과 귀금속분말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재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재 분말은 붕소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귀금속 분말은 은분말, 금분말, 백금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상 성형부는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1000℃ 이상의 온도에서 1KBar 이상의 고압을 가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골 보석 제조 방법은,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을 탄화시키는 탄화단계, 탄화된 유골분말을 귀금속분말과 혼합하여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및 혼합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로 원하는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쇄단계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제1분쇄과정, 상기 제1분쇄과정으로 분쇄된 1차 유골분말을 유골에서 DNA를 보존하고 속성건조를 위해 200℃ 이하의 온도의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는 건조과정 및 건조된 상기 1차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제2분쇄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화단계는, 상기 유골분말에서 기화되어 제거되는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추출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화단계는 진공챔버 내에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유골분말을 진공상태에서 가열시켜 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단계는 탄화된 상기 유골분말과 귀금속 분말을 1 : 9, 2 : 8, 3:7, 4:6, 5:5의 비율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귀금속 분말은 은분말, 금분말, 백금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재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재 분말은 붕소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성형 단계는 1000℃ 이상의 온도에서 대략 1KBar 이상의 고압을 가해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골 보석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골 보석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유골을 보석화하여 장신구로 이용할 수 있어 휴대 및 집안에 개별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유골을 보석화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골을 보석화하여 장신구로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색상 및 광택으로 유골에 대한 혐오감을 최소화하고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신구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 보석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 보석 제조장치에서 형상 성형부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 보석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 보석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써,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골 보석 제조장치는 상기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분쇄기기(100), 상기 분쇄기기(100)에서 분쇄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 내 유기물을 제거하는 기화기기(200), 상기 기화기기(200)에서 가열된 유골분말을 귀금속분말과 혼합하여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혼합기기(300) 및 혼합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성형하는 성형 기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기기(100)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유골분말로 미세하게 분쇄한다.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한다. 분쇄기기(100)는 1차 분쇄부(110), 건조부(120), 2차 분쇄부(130), 제1집진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분쇄부(110)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한다. 즉, 1차 분쇄부(110)는 사람 또는 동물을 화장한 후에 남은 유골 또는 뼈와 살이 완전 분리된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 크기로 분쇄한다. 특히 육탈 상태의 유골은 부피가 크고 화장한 유골에 비해 강도가 높아 일반적인 분쇄기기(100)로는 파쇄과정(평균 입자의 크기가 3㎜ 이상으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분쇄하는데 소음과 소요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1차 분쇄부(110)는 소음이 적고 입자의 평균 크기를 3㎜ 이하로 분쇄할 수 있는 유압장치에 의한 가압분쇄기기가 사용된다.
건조부(120)는 1차 분쇄부(110)에서 분쇄된 유골분말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건조부(120)는 1차 분쇄부(110)에서 분쇄된 유골분말을 진공상태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즉, 건조부(120)는 유골에서 DNA를 보존하고 속성건조를 위해 200℃ 이하의 온도의 진공상태에서 유골분말을 건조한다. 예를 들면, 건조부(120)는 200℃ 이하의 온도에서 진공상태와 대기상태를 반복하여 유골분말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건조부(120)로는 진공상태와 대기상태를 반복하여 유골분말을 건조하는 진공건조장치가 사용된다.
2차 분쇄부(130)는 상기 건조부(120)에서 건조된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한다. 즉, 상기 2차 분쇄부(130)는 유골분말의 응집력을 높이고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 건조부(120)에서 건조된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미세하게 분쇄한다. 예를 들면, 상기 2차 분쇄부(130)는 상기 건조부(120)에서 건조된 3㎜ 이하의 유골분말을 대략 3,000RPM 이상의 속도로 고속회전하는 다수의 충격 판에 충돌시켜서 분쇄한다. 이때, 2차 분쇄부(130)에서 분쇄되어 입자의 크기가 0.1㎜를 초과하는 유골분말은 분쇄기의 내부에 환류(還流)하고, 입자의 크기가 0.1㎜ 이하의 유골분말을 배출된다.
상기 제1집진부(140)는 상기 2차 분쇄부(130)에서 배출되는 미세한 유골분말을 회수한다. 즉, 상기 제1집진부(140)는 상기 2차 분쇄부(130)에서 유골분말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과정에서 0.1㎜ 이하의 크기로 분쇄되어 배출되는 유골분말을 회수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집진부(140)는 상기 2차 분쇄부(130)에서 고속회전하는 다수의 충격 판에 충돌하여 0.1㎜ 이하의 크기로 미세하게 분쇄되어 배출되는 유골분말을 회수한다. 여기서, 제1집진부(140)가 유골분말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집진부(140)에서 집진된 유골분말은 기화기기(200)에 의해 가열되어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되어 유골을 구성하는 일정한 유기물을 제거하고, 유골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해 또는 화학적 변화에 따라 탄화되어 탄소로 변화된다.
상기 기화기기(200)는 상기 유골분말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210), 상기 제1가열부(210)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220), 상기 제1가열부(210)에서 기화되고 남은 유골분말을 집진하는 제2집진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열부(210)는 진공 챔버,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진공시키는 진공부,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열부(210)는 일반적인 대기압 상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상기 진공 챔버 내의 유골분말을 가열하기 불가능하므로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상기 진공부로 진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시킨다.
상기 온도제어부는 유골의 용융온도 설정에 따른 유골분말의 가열온도 및 가열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진공 챔버를 진공시키는 진공부의 작동도 함께 제어한다.
즉, 사람 또는 동물을 화장한 후에 남은 유골의 주성분은 인삼삼칼슘(화학식 Ca3(PO4)2)이며 기타 구리,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 염소, 수분, 기름성분이다. 유골의 주성분인 인삼삼칼슘의 녹는점은 1670℃이므로,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제1가열부(210)를 통해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고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에 비례하여 유골의 탄화시간 및 잔여 량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온도제어부(110)는 상기 제1가열부(210) 즉,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진공 챔버 내의 유골분말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며, 저전압 대전류 일 예로 8V, 10,000A의 전기 전원을 상기 히터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의 온도로 진공 가열한다.
상기 유골분말은 상기 온도제어부에 의해 저전압 대전류가 상기 제1가열부(210)에 공급되면서 1670℃ 이상 2400℃ 이하, 일 예로 2200℃로 정상 또는 순간 가열되어 탄화된다.
즉, 상기 제1가열부(210)는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에서 유골분말을 가열하여 유골분말을 탄화시켜 유골분말에서 탄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기물을 기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유골분말의 양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기화기기(200)는 상기 제1가열부(210)에서 탄화 및 기화되고 남은 유골분말에서 특정원소 즉, 상기 제1가열부(210)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가열할 때 상기 유골분말의 성분 중 기화되어 제거되는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만을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는 추출부(2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기기(300)는 상기 제2집진부(230)에서 회수된 탄화된 유골분말을 저장하는 유골분말 저장부(310), 상기 유골분말과 혼합되는 귀금속분말을 저장하는 귀금속분말 저장부(320),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혼합하는 교반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유골분말 저장부(310)와 상기 귀금속분말 저장부(320)는 탄화된 유골분말과 금분말 또는 은분말 등의 귀금속분말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화된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상기 교반부(330)로 공급한다.
즉, 상기 혼합기기(300)는 상기 유골분말 저장부(310)와 상기 귀금속분말 저장부(320) 내에 저장된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기설정된 비율로 상기 교반부(330)로 공급하고, 상기 교반부(330)에 의해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고르게 혼합시킨다.
상기 교반부(3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교반부(330)가 장입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 내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하단부 측에 교반 날개가 구비된 교반 회전축을 포함한다.
즉, 상기 교반부(330)는 상기 교반조 내에 기설정된 비율로 장입된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상기 교반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고르게 혼합시킨다.
상기 혼합기기(300)는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1 : 9, 2 : 8, 3:7, 4:6, 5:5 등의 비율로 고르게 혼합시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혼합기기(300)는 유골분말과 귀금속분말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재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재 분말은 붕소 분말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결합시키고 서로 원활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은 상기 성형 기기(400)로 소정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성형 기기(400)는 가압부(410), 형상 성형부(420), 제2가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 성형부(420)는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소정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형상 성형부(420)는 유골성형방법에 따라 가압부(410)의 최대 압력과 제2가열부(430)의 최대온도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한다. 즉, 상기 형상 성형부(420)는 상기 가압부(410)의 최대 압력과 상기 제2가열부(430)의 최대온도에 견딜 수 있는 초경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든 거푸집장치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혼합분말 저장부(421)에 투입하고 가압공간(422)을 진공상태로 만든 다음 혼합분말 저장부(421)를 거푸집(423)에 밀착하여 피스톤(424)을 이용하여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거푸집(423)에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은 주입된 거푸집(423)의 형상에 따라 소정형태(예를 들면, 계란형, 원기둥, 각기둥, 링형태 등)로 형성된다.
상기 제2가열부(430)는 상기 형상 성형부(420)에서 소정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가열한다. 상기 제2가열부(430)는 상기 유골분말의 DNA를 보존하기 위해 1000℃ 이상의 열로 상기 형상 성형부(420)에서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가열한다.
상기 가압부(410)는 상기 형상 성형부(420)를 가압하여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소정형상으로 성형한다. 즉, 상기 가압부(410)는 상기 형상 성형부(420)의 내부에서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유골분말의 주성분인 DNA를 보존하기 위해 1000℃ 이상의 온도에서 1KBar 이상의 고압을 가해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성형한다. 상기 가압부(410)는 형상 성형부(420)에 의해 형성되는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의 형태에 따라 형상 성형부(420)의 한 면을 가압하는 1면 가압장치, 두 면을 가압하는 2면 가압장치, 네 면을 가압하는 4면 가압장치, 육면을 가압하는 6면 가압장치 중 하나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면 가압장치가 설치된 가압성형장치에서 상부 가압장치(425)와 하부 가압장치(426)가 형상 성형부(420)를 1000℃ 이상의 온도에서 1KBar 이상의 고압을 가하면, 상부 가압장치(425)와 하부 가압장치(426)에 각각 연결된 피스톤(424)이 가압공간(422)에 주입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가압하여 소정형상으로 성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골 보석 제조 방법은,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S100), 상기 분쇄단계(S100)에서 분쇄된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을 탄화시키는 탄화단계(S200), 탄화된 유골분말을 귀금속분말과 혼합하여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혼합단계(S300); 및 혼합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로 원하는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성형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단계(S100)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한다.
상기 분쇄단계(S100)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제1분쇄과정; 상기 제1분쇄과정으로 분쇄된 1차 유골분말을 건조하는 건조과정, 건조된 상기 1차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제2분쇄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분쇄과정은 소음이 적고 입자의 평균 크기를 3㎜ 이하로 분쇄할 수 있는 유압장치에 의한 가압분쇄기기로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과정은 유골에서 DNA를 보존하고 속성건조를 위해 200℃ 이하의 온도의 진공상태에서 유골분말을 건조한다. 예를 들면, 건조부(120)는 200℃ 이하의 온도에서 진공상태와 대기상태를 반복하여 유골분말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건조과정은 진공상태와 대기상태를 반복하여 유골분말을 건조하는 진공건조장치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유골분말을 건조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분쇄과정은 유골분말의 응집력을 높이고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 건조부(120)에서 건조된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미세하게 분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분쇄과정은 상기 건조과정에서 건조된 3㎜ 이하의 1차 유골분말을 3,000RPM 이상의 속도로 고속회전하는 다수의 충격판이 내부에 구비된 회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며, 상기 제2분쇄과정은 상기 1차 유골분말을 상기 회전 분쇄기 내에서 상기 충격판에 충돌시켜서 분쇄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때, 분쇄되어 입자의 크기가 0.1㎜를 초과하는 유골분말은 분쇄기의 내부에 환류(還流)시키고, 입자의 크기가 0.1㎜ 이하의 유골분말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분쇄단계(S100)는 상기 제2분쇄과정으로 분쇄되어 회전 분쇄기에서 배출되는 0.1㎜ 이하의 유골분말을 집진하는 집진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과정은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가 0.1㎜ 이하의 유골분말을 집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집진과정으로 집진된 유골분말은 상기 탄화단계(S200)를 통해 내부에 포함된 유기물이 제거되고 탄화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탄화단계(S200)는 유골분말을 진공상태에서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을 구성하는 일정한 유기물을 제거하고, 유골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해 또는 화학적 변화에 따라 탄화되어 탄소로 변화된다.
상기 탄화단계(S200)는, 상기 유골분말에서 기화되어 제거되는 성분 즉, 인삼삼칼슘(화학식 Ca3(PO4)2), 구리, 수소, 질소, 산소, 황, 염소, 수분, 기름성 등을 기화시켜 제거하고, 상기 유골분말에서 기화되어 제거되는 인삼삼칼슘(화학식 Ca3(PO4)2), 구리, 수소, 질소, 산소, 황, 염소, 수분, 기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추출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탄화단계(S200)는 진공챔버 내에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유골분말을 진공상태에서 가열시켜 탄화시키며, 8V, 10,000A의 전기 전원을 상기 히터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의 온도로 진공 가열하며, 일 예로 2200℃로 정상 또는 순간 가열시켜 탄화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상기 탄화단계(S200)는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에서 유골분말을 가열하여 유골분말을 탄화시켜 유골분말에서 탄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기물을 기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유골분말의 양을 줄이게 된다.
한편, 상기 혼합단계(S300)는 탄화된 상기 유골분말과 귀금속 분말을 기설정된 비율 즉, 1 : 9, 2 : 8, 3:7, 4:6, 5:5 등의 비율로 고르게 혼합시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귀금속 분말은 은분말, 금분말, 백금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귀금속 분말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혼합단계(S300)는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재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재 분말은 붕소 분말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결합시키고 서로 원활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혼합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은 성형단계(S400)를 통해 제조시 설계된 형태를 가지는 성형체를 형성한다.
상기 성형단계(S400)는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설계된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거푸집 내에 장입하고, 상기 거푸집 내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진공상태에서 가열 가압하여 소정형태의 성형체 일 예로 계란형, 원기둥, 각기둥, 링형태 등의 성형체를 성형한다.
상기 성형단계(S400)는 상기 형상 성형부(420)의 내부에서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유골분말의 주성분인 DNA를 보존하기 위해 1000℃ 이상의 온도에서 대략 1KBar 이상의 고압을 가해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성형한다.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유골을 보석화하여 장신구로 이용할 수 있어 휴대 및 집안에 개별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유골을 보석화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골을 보석화하여 장신구로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색상 및 광택으로 유골에 대한 혐오감을 최소화하고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신구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분쇄기기 110 : 1차 분쇄부
120 : 건조부 130 : 2차 분쇄부
140 : 제1집진부 200 : 기화기기
210 : 제1가열부 220 : 온도 제어부
230 : 제2집진부 240 : 추출부
300 : 혼합기기 310 : 유골분말 저장부
320 : 귀금속분말 저장부 330 : 교반부
400 : 성형 기기 410 : 가압부
420 : 형상 성형부 430 : 제2가열부
S100 : 분쇄단계 S200 : 탄화단계
S300 : 혼합단계 S400 : 성형단계

Claims (20)

  1.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로 유골 보석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분쇄기기;
    상기 분쇄기기에서 분쇄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 내 유기물을 제거하는 기화기기;
    상기 기화기기에서 탄화된 유골분말을 귀금속분말과 혼합하여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혼합기기; 및
    혼합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성형하는 성형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기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1차 분쇄부;
    유골에서 DNA를 보존하고 속성건조를 위해 200℃ 이하의 온도의 진공상태에서 유골분말을 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2차분쇄부; 및
    상기 2차 분쇄부(130)에서 배출되는 미세한 유골분말을 회수하는 제1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기는,
    상기 유골분말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제1가열부에서 기화되고 남은 유골분말을 집진하는 제2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진공 챔버,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진공시키는 진공부,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상기 진공부로 진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기는 상기 제1가열부에서 상기 유골분말을 가열할 때 상기 유골분말의 성분 중 기화되어 제거되는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만을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기는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을 1 : 9, 2 : 8, 3:7, 4:6, 5:5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기는 유골분말과 귀금속분말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재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 분말은 붕소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 분말은 은분말, 금분말, 백금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 성형부는 상기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1000℃ 이상의 온도에서 1KBar 이상의 고압을 가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장치.
  11.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유골분말을 1670℃ 이상 2400℃ 이하로 가열하여 유골을 탄화시키는 탄화단계;
    탄화된 유골분말을 귀금속분말과 혼합하여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및
    혼합된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로 원하는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쇄단계는 화장 후 남은 유골 또는 육탈 상태의 유골을 3㎜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제1분쇄과정;
    상기 제1분쇄과정으로 분쇄된 1차 유골분말을 유골에서 DNA를 보존하고 속성건조를 위해 200℃ 이하의 온도의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는 건조과정; 및
    건조된 상기 1차 유골분말을 0.1㎜ 이하의 유골분말로 분쇄하는 제2분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화단계는, 상기 유골분말에서 기화되어 제거되는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추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화단계는 진공챔버 내에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유골분말을 진공상태에서 가열시켜 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탄화된 상기 유골분말과 귀금속 분말을 1 : 9, 2 : 8, 3:7, 4:6, 5:5의 비율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 분말은 은분말, 금분말, 백금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유골분말과 상기 귀금속분말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재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 분말은 붕소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는 1000℃ 이상의 온도에서 대략 1KBar 이상의 고압을 가해 유골 귀금속 혼합분말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제조 방법.
  20.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유골 보석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보석.
KR1020150159647A 2015-11-13 2015-11-13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 KR10244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647A KR102441152B1 (ko) 2015-11-13 2015-11-13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647A KR102441152B1 (ko) 2015-11-13 2015-11-13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35A true KR20170056235A (ko) 2017-05-23
KR102441152B1 KR102441152B1 (ko) 2022-09-08

Family

ID=5905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647A KR102441152B1 (ko) 2015-11-13 2015-11-13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14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마일스톤인터내셔널 인간 또는 동물에 포함된 인산칼슘과 미량의 금속원소에 따라 고유한 컬러와 결정구조를 갖는 인조보석 제조방법 및 인조보석
KR102045890B1 (ko) * 2018-10-24 2019-12-04 비아로지스 주식회사 인조 보석 제조방법
KR20230088060A (ko) 2021-12-10 2023-06-19 홍연정 유골 결정체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2468A (ko) * 1998-06-10 2001-06-25 김상국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2004105540A1 (ja) * 2003-05-29 2004-12-09 Eiji Fukasawa 人工宝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3115B1 (ko) * 2006-02-15 2006-11-13 (주)기억되는 사람들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결정체
KR20090062419A (ko) * 2007-12-13 2009-06-17 양송철 유골성형 장치 및 방법
JP3195189U (ja) * 2014-10-21 2015-01-08 大崎一世 アクセサリ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189B2 (ja) * 1995-04-13 2001-08-06 合同資源サービス株式会社 回収古紙の結束紐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2468A (ko) * 1998-06-10 2001-06-25 김상국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2004105540A1 (ja) * 2003-05-29 2004-12-09 Eiji Fukasawa 人工宝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3115B1 (ko) * 2006-02-15 2006-11-13 (주)기억되는 사람들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결정체
KR20090062419A (ko) * 2007-12-13 2009-06-17 양송철 유골성형 장치 및 방법
JP3195189U (ja) * 2014-10-21 2015-01-08 大崎一世 アクセサリ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14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마일스톤인터내셔널 인간 또는 동물에 포함된 인산칼슘과 미량의 금속원소에 따라 고유한 컬러와 결정구조를 갖는 인조보석 제조방법 및 인조보석
KR102045890B1 (ko) * 2018-10-24 2019-12-04 비아로지스 주식회사 인조 보석 제조방법
WO2020085647A1 (ko) * 2018-10-24 2020-04-30 비아로지스 주식회사 인조 보석 제조방법
US10844512B2 (en) 2018-10-24 2020-11-24 Boram Holding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ynthetic gemstone
KR20230088060A (ko) 2021-12-10 2023-06-19 홍연정 유골 결정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152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561B1 (ko) 유골성형 장치 및 방법
KR20170056235A (ko) 유골 보석 제조장치, 유골 보석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골 보석
AU2003234962A1 (en) A wear part intended for a crush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513005A (ja) 機械的粉砕法によるミクロンサイズ人参粉末の製造方法
TW200841004A (en) Method of preparing test samples from recycled material and device thereof
CN109863128A (zh) 生产用于制造陶瓷砖的粉体形式的可流动陶瓷材料的方法
KR20100020554A (ko) 피부노폐물과 유분 흡착용 마사지 볼과 그 제조방법
KR101121756B1 (ko) 유골 성형장치
CN106032323A (zh) 一种以TiAl粉体为原料的Ti2AlC陶瓷粉体制备方法
CN219784949U (zh) 一种制粉筛分结构
JP5827648B2 (ja) 塊成物の製造方法
KR102069447B1 (ko)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CN1323757A (zh) 一种超细煅烧高岭土的生产方法
KR101891766B1 (ko) 간접 열에 의한 무연 쑥 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물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연 쑥 제조방법
KR101140786B1 (ko) 유골 결정체 성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7172B1 (ko) 인조보석 제조방법
JPH11229047A (ja) 製鉄用原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295999B (zh) 一种和田玉超细粉体及其制备方法
KR102462328B1 (ko) 유해물질 저감과 피부 비자극성이 우수한 피부마사지용 기능성 온열기구의 제조방법
KR20080016230A (ko) 연옥을 고밀도 분말로 제조하는 방법
US387588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hydraulic cement
SE8404333L (sv) Sett vid framstellning av en bearbetad produkt av forlegeringspulver pa pulvermetallurgisk veg
JPH02275710A (ja) 有機化合物の微細な炭化粉末
JP2002059023A (ja) トルマリンの球状粉体製造方法
TW202327556A (zh) 製備電氣石貼片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