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86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866A
KR20170054866A KR1020150157541A KR20150157541A KR20170054866A KR 20170054866 A KR20170054866 A KR 20170054866A KR 1020150157541 A KR1020150157541 A KR 1020150157541A KR 20150157541 A KR20150157541 A KR 20150157541A KR 20170054866 A KR20170054866 A KR 20170054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dge region
processor
input devic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아현
박한솔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4866A/ko
Priority to PCT/KR2016/003961 priority patent/WO2017082490A1/en
Priority to CN201680065441.7A priority patent/CN108353204A/zh
Priority to US15/132,630 priority patent/US20170131789A1/en
Priority to EP16167335.5A priority patent/EP3169058B1/en
Publication of KR2017005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오브젝트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위블 및 틸트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위블 및 틸트 기능을 지원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켜야 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모터가 구비되어 스위블 및 틸트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경우에도, 단순히 방향 키 버튼을 이용하여 스위블 및 틸트 기능을 이용하는 것에 그쳤다.
그에 따라, 스위블 및 틸트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좀더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상 기설정된 제2 거리 미만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초기화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며 상기 일 에지 영역 외부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풀링 또는 푸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 및 상기 일 에지 영역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상 기설정된 제2 거리 미만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초기화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며 상기 일 에지 영역 외부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풀링 또는 푸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 및 상기 일 에지 영역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오브젝트가 위치한 영역을 풀링 또는 푸쉬하여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듯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의 회전 한계 지점 및 그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디폴트 위치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확장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회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나 중요도에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나 중요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연결(coupled)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하는 것은, 각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disclosure)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임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수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표현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회전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입력 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니터, TV,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거치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 장치(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 장치(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의 포인팅 버튼에 손가락을 올려놓는 경우에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의 포인팅 버튼에 손가락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입력 장치(200)의 이동 동작에 따라 오브젝트(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브젝트(10)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회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입력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 등과 같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용 리모컨 뿐만 아니라 통합 리모컨, 스마트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오브젝트(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 장치(20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방향 변경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의 방향 변경에 따라 오브젝트(1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방향 키 버튼, 터치 패드 등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방향 키 버튼, 터치 패드 및 기타 버튼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모터부(120), 통신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오브젝트(10)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오브젝트(10)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형태의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화살표형, 원형 등의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10)가 특정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면 그 형태에 제한이 없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부(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부(120)는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부(120)는 디스플레이(110)를 좌우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1 모터 및 디스플레이(110)를 상하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블이란 디스플레이(11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하고, 틸트란 디스플레이(11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모터부(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동작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부(120)는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10)의 위치에 따라 회전 속도가 다를 수 있다. 또는, 모터부(120)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오브젝트(10)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입력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거나 입력 장치(200)로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입력 장치(200)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3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3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입력 장치(200)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1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가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부(12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상측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측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방향은 디스플레이(110)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이고, 후면 방향은 디스플레이(110) 면으로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또한, 에지 영역은 디스플레이(110)의 테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위치한 일 에지 영역의 회전 방향을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의 특정 버튼이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오브젝트(10)가 위치한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의 특정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오브젝트(10)가 위치한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상 기설정된 제2 거리 미만인 영역에 위치하면 모터부(120)의 구동을 초기화하고, 오브젝트(10)가 제1 거리 미만이며 일 에지 영역 외부인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오브젝트(10)가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가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부(120)의 구동을 초기화하는 것은 모터부(120)에 전류를 흘려 예열시키나, 모터부(120)가 구동되지는 않아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모터부(120)의 구동을 초기화하는 경우, 모터부(120)의 구동을 초기화하지 않는 경우보다 모터 가동 딜레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110)가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오브젝트(10)의 형상을 변형하여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은 일 에지 영역에 풀링(pulling) 또는 푸쉬(push)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를 밀거나 당기는 듯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110)가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일 에지 영역 및 일 에지 영역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에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이 완료되면 일 에지 영역에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내구성 문제를 고려하여 특정 각도 이내로만 회전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0)의 상하 방향 회전은 하드웨어적으로 특정 각도 이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이 한계 지점에 도달하여 더 이상 디스플레이(11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에 따라 360도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10)를 기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디폴트 위치는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폴트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 및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오브젝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모터부(120), 통신부(130), 프로세서(140), 스토리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43)는 스토리지(15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43)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3)는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4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40)의 동작은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및 구동부 제어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30)는 와이파이 칩(131), 블루투스 칩(132), 무선 통신 칩(133), NFC 칩(13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31), 블루투스 칩(1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31)이나 블루투스 칩(1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33)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3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밖에, 도 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방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에 오브젝트(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10)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 및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오브젝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40)는 방향 키 버튼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가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부(12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오른쪽 테두리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를 지지부(310)를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a의 우측 도면은 디스플레이(11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지지부(310)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10)만을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왼쪽 테두리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를 지지부(310)를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를 지지부(31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스위블이라고 한다.
도 3b의 좌측 도면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상측 테두리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b의 우측 도면은 디스플레이(110)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지지부(310)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10)만을 상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하측 테두리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를 지지부(310)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를 지지부(3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틸트라고 한다.
모터부(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부(120)는 디스플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1 모터 및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부(120)는 하나의 모터만을 이용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다만, 모터부(120)의 구조에 대하여는 본원의 범위를 넘어가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방향은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 장치(200)의 특정 버튼의 누름 조작 여부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0)의 테두리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0)의 테두리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10)의 위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일 에지 영역(410) 내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가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에지 영역(410)은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지 영역(410)은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의(11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제1 거리 미만이며 일 에지 영역(410) 외부인 제1 영역(420)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일 에지 영역(410) 내에 위치한 경우보다 구동부(120)에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410)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상 기설정된 제2 거리 미만인 제2 영역(430)에 위치하면 모터부(120)의 구동을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제1 거리 미만인 영역에 위치한 경우보다 구동부(120)에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모터부(120)의 가동 딜레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410)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거리 이상인 제3 영역(440)에 위치하면 모터부(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에지 영역(410) 중 일 영역(410-1) 및 제1 영역(420) 중 일 영역(420-1)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110)가 상측 및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할 수도 있으나, 상측 및 좌측 등과 같이 두 가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지 영역(410) 및 제1 영역(420)의 상측 및 좌측의 영역(410-1, 420-1)에 대하여만 도시하였으나, 상측 및 우측 등의 영역에 대하여도 회전 방향만이 다르고 동일한 동작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오브젝트(10)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프로세서(140)가 모터부(120)를 제어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브젝트(10)가 위치한 영역을 다른 방법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에지 영역 및 그 밖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4의 경우에 오브젝트(1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하기 위한 별도의 오브젝트(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10)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와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하기 위한 제2 오브젝트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브젝트(10)를 이용하여 메뉴 선택 기능 및 디스플레이(110)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오브젝트(10)를 이용한다면 메뉴 선택을 위해 오브젝트(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1 및 제2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에지 영역 및 그 밖의 영역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하나의 오브젝트만을 이용하여 메뉴 선택 기능 및 디스플레이(110)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110)가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오브젝트(110)의 형상을 변형하여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은 일 에지 영역에 풀링 또는 푸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에지 영역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면, 사용자가 푸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오브젝트(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오브젝트(10)는 상하 방향이 좌우 방향보다 긴 타원형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를 누른다는 느낌이 들도록 오브젝트(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면, 사용자가 풀링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오브젝트(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오브젝트(10)는 좌우 방향이 상하 방향보다 긴 타원형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의 일부를 잡고 당긴다는 느낌이 들도록 오브젝트(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를 에지 영역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변형의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에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상하 방향이 길어지고 좌우 방향이 짧아지도록 오브젝트(10)를 변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에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좌우 방향이 길어지고 상하 방향이 짧아지도록 오브젝트(10)를 변형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동안에만 오브젝트(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후술할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이 완료되면, 변형된 오브젝트(10)를 원래의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회전이 불가함을 알릴 수 있다.
도 5에서는 오브젝트(10)가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10)는 화살표 형태나 모래시계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서(140)는 상하 방향이 길어지고 좌우 방향이 짧아지도록 오브젝트(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110)가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일 에지 영역 및 일 에지 영역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에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도 6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제1 시각적 피드백(610)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시각적 피드백(61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도 6의 두 번째, 세 번째 도면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시각적 피드백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동안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반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시각적 피드백(610), 제2 시각적 피드백(620) 및 제3 시각적 피드백(630)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 후에도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면, 다시 제1 시각적 피드백(610), 제2 시각적 피드백(620) 및 제3 시각적 피드백(630)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각적 피드백은 기설정된 색상으로 기설정된 형태를 이동시키는 GUI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40)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영역 주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파악하여, 시각적 피드백의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영역 주변이 어두운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면, 시각적 피드백의 색상을 밝은 색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제1 시각적 피드백(610), 제2 시각적 피드백(620) 및 제3 시각적 피드백(630)의 세 가지 상태만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고, 시각적 피드백은 연속적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회전 방향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으로부터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우측 에지 영역으로부터 시각적 피드백이 생성되어 상측 및 하측 에지 영역을 거쳐 좌측 에지 영역에서 종료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회전 방향과 인접한 복수의 타 에지 영역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오브젝트(10)가 위치한 일 에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에지 영역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 상에 원형의 영역을 설정하여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편의 방향으로부터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도 6의 세 번째 도면과 같이 좌측 에지 영역에만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하고 깜빡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동적인 시각적 피드백이 아닌 정적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6의 세 번째 도면과 같이 좌측 에지 영역에만 정적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한계 지점 및 그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은 한계 지점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가 좌측 에지 영역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110)가 좌측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위치(710)로부터 제2 위치(720)를 거쳐 제3 위치(730)에서 정지하게 된다. 디스플레이(110)가 제3 위치(730)에 위치하게 되면, 모터부(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의 위치에 따라 회전 속도가 다르도록 모터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위치(710)로부터 제2 위치(720)로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면서 회전 속도를 점점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2 위치(720)로부터 제3 위치(730)로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면서 회전 속도를 점점 느리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a에는 디스플레이(11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한계 지점을 나타내었으나,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한계 지점이 있을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과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도 7b는 디스플레이(110)가 한계 지점에 위치한 경우의 시각적 피드백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이 완료되면 일 에지 영역에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한계 지점에 도달하면, 회전하는 동안 타원형이었던 오브젝트(10)를 원형으로 변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에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동적인 시각적 피드백을 정적인 시각적 피드백(740)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디폴트 위치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10)를 기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입력 장치(200)의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되는 경우 해당 버튼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10)를 기설정된 디폴트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기설정된 디폴트 위치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디폴트 위치는 제조사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디폴트 위치로 회전되면, 그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디폴트 위치로 회전되면, 모든 에지 영역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어느 하나의 에지 영역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확장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오브젝트(10)의 위치와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는 입력 장치(200)의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입력 장치(20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연속적으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수신하여 연속적인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되는 순간부터 입력 장치(200)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장치(200)는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없이 입력 장치(200)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입력 장치(200)는 입력 장치(200)의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입력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거리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수신하여 연속적인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010). 그리고, 입력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S1020). 그리고,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를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S1030).
특히, 제어하는 단계(S1030)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하는 단계(S1030)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일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하는 단계(S1030)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상 기설정된 제2 거리 미만인 영역에 위치하면 모터부의 구동을 초기화하고, 오브젝트가 제1 거리 미만이며 일 에지 영역 외부인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오브젝트가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가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형하여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은 일 에지 영역에 풀링 또는 푸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일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가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일 에지 영역 및 일 에지 영역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에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완료되면 일 에지 영역에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를 기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S1030)는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 및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부는 디스플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1 모터 및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오브젝트가 위치한 영역을 풀링 또는 푸쉬하여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듯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실시 예가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의 4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회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오브젝트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를 회전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를 회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입력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를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200 : 입력 장치
10 : 오브젝트 110 : 디스플레이
120 : 모터부 130 : 통신부
140 : 프로세서 150 : 스토리지
155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카메라
183 : 마이크

Claims (20)

  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상 기설정된 제2 거리 미만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초기화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며 상기 일 에지 영역 외부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풀링 또는 푸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 및 상기 일 에지 영역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로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상 기설정된 제2 거리 미만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초기화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며 상기 일 에지 영역 외부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풀링 또는 푸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인,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에지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일 에지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일 에지 영역 및 상기 일 에지 영역과 인접한 타 에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일 에지 영역에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157541A 2015-11-10 2015-1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4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41A KR20170054866A (ko) 2015-11-10 2015-1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6/003961 WO2017082490A1 (en) 2015-11-10 2016-04-1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80065441.7A CN108353204A (zh) 2015-11-10 2016-04-15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5/132,630 US20170131789A1 (en) 2015-11-10 2016-04-1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167335.5A EP3169058B1 (en) 2015-11-10 2016-04-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41A KR20170054866A (ko) 2015-11-10 2015-1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866A true KR20170054866A (ko) 2017-05-18

Family

ID=5623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41A KR20170054866A (ko) 2015-11-10 2015-1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31789A1 (ko)
EP (1) EP3169058B1 (ko)
KR (1) KR20170054866A (ko)
CN (1) CN108353204A (ko)
WO (1) WO2017082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6226B1 (en) * 2017-04-27 2023-08-23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method and a device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display screen
KR102373510B1 (ko) * 2017-08-11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회전함에 따라 컨텐츠를 시각화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90129B1 (ko) * 2018-07-04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891B1 (en) * 1996-11-21 2001-09-11 Canon Kabushiki Kaisha Movable display apparatus
KR100279633B1 (ko) * 1998-12-08 2001-02-01 구자홍 2축 동력회전장치와 그 제어방법
US6856303B2 (en) * 2000-10-24 2005-02-15 Daniel L. Kowalewski Rotating display system
KR100443990B1 (ko) * 2002-09-16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259971B2 (ja) * 2003-09-29 2009-04-30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20050083300A1 (en) * 2003-10-20 2005-04-21 Castle Daniel C. Pointer control system
US8230366B2 (en) * 2003-10-23 2012-07-24 Apple Inc. Dynamically changing cursor for user interface
JP4727301B2 (ja) * 2005-06-01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4951881B2 (ja) * 2005-06-20 2012-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7545108B2 (en) * 2006-01-31 2009-06-09 Andy Flessas Robotically controlled display
US8638321B2 (en) * 2006-03-13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JP4151708B2 (ja) * 2006-04-27 2008-09-17 船井電機株式会社 回動装置及び回動装置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JP2008182620A (ja) * 2007-01-26 2008-08-07 Funai Electric Co Ltd 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080186A (ja) * 2007-09-25 2009-04-16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US8115877B2 (en) * 2008-01-04 2012-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viewing angle for display based on viewer positions and lighting conditions
JP4530071B2 (ja) * 2008-04-23 2010-08-25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画面旋回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TWM348883U (en) * 2008-09-10 2009-01-11 Amtran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device
JP5322287B2 (ja) * 2009-05-28 2013-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台付カメラ装置
KR20110071546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에장치
KR20110071547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W201123032A (en) * 2009-12-30 2011-07-01 Hon Hai Prec Ind Co Ltd Monitor adjusting system and the method use the same
WO2011102656A2 (en) * 2010-02-17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N102422249B (zh) * 2010-03-10 2015-11-2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按入位置控制装置、按入位置控制方法以及触摸传感器系统
KR20110135707A (ko) * 2010-06-11 2011-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933910B2 (en) * 2010-06-16 2015-0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input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CN102736254B (zh) * 2011-04-12 2014-10-08 夏普株式会社 视认切换用眼镜及显示控制装置
KR101831400B1 (ko) * 2011-06-16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JP2013046297A (ja) * 2011-08-25 2013-03-04 Toshiba Corp 三次元映像表示装置およびチルト制御方法
US8743055B2 (en) * 2011-10-13 2014-06-03 Panasonic Corporation Hybrid pointing system and method
KR101948665B1 (ko) * 2012-08-23 201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1524B1 (ko) * 2012-11-02 2016-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9858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4115937A1 (en) * 2013-01-24 2014-07-31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EP2797314B1 (en) * 2013-04-25 2020-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KR2014013336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181984A (zh) * 2013-05-24 2014-12-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器旋转装置、实现显示器旋转的控制系统及方法
KR20150041482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JP6141516B2 (ja) * 2014-03-13 2017-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吊り革用情報表示装置
US10474315B2 (en) * 2015-06-26 2019-11-12 The Boeing Company Cursor enhancement effects
KR20170105865A (ko) * 2016-03-10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9058B1 (en) 2019-11-06
CN108353204A (zh) 2018-07-31
WO2017082490A1 (en) 2017-05-18
US20170131789A1 (en) 2017-05-11
EP3169058A1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7833B1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5712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919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CN105763921B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KR10241480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30820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948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12213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mobile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29988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6905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00680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31387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28788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87887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6339567A (zh) 显示装置
JP2015049836A (ja) 携帯端末
US201601102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1785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8999A (ko) 스마트 단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400892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