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129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129B1
KR102590129B1 KR1020180077574A KR20180077574A KR102590129B1 KR 102590129 B1 KR102590129 B1 KR 102590129B1 KR 1020180077574 A KR1020180077574 A KR 1020180077574A KR 20180077574 A KR20180077574 A KR 20180077574A KR 102590129 B1 KR102590129 B1 KR 10259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isplay
rotation
fixing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567A (ko
Inventor
윤대식
정성수
최대수
최현용
정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129B1/ko
Priority to US17/256,360 priority patent/US20210160451A1/en
Priority to PCT/KR2018/010791 priority patent/WO2020009269A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회전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회전장치는 고정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의 제1방향 회전 시, 제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토션 스프링과, 회전 브라켓의 회전 동작 시,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 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스탠드등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대략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를 세우거나 지지하는 스탠드등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키 또는 사용환경이 다르고, 또한 사용자들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형태나 사용목적이 다르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치와 높이 등을 달리하면서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회전 마찰력과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회전축부재가 편심되어 회전과 동시에 높이가 조정되는 회전장치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방향 회전 시,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동작 시,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은 상기 제2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에 편심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 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의 회전 마찰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찰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제1회전 브라켓과, 상기 제1회전 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 브라켓과 상기 제2회전 브라켓은 각각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토션스프링 고정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토션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로 모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C1)은 상기 세로 모드 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C2) 보다 높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가로 모드에서의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세로 모드에서의 상기 회전축부재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1모드 및 제2모드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중심에 편심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브라켓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동작 시,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의 회전 마찰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찰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1방향(CW)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 시,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회전 마찰력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은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1모드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C2) 보다 높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장치가 댐퍼 역할을 하여 회전 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회전축부재가 무게중심 보다 편심되어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동시에 높이가 조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형태를 달리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장치 구조를 단순화하여 슬림한 디자인이 가능하고, 소형 또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고정 브라켓과 토션 스프링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회전 브라켓과 토션 스프링의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고정부재와 제2회전 브라켓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도 4 의 A-A'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제1 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 시의 회전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제2 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례로 설명하나, 디스플레이장치는 고정 곡률(curvature)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화면의 곡률을 변경 가능한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제품 군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전자 칠판)을 벽면 또는 바닥에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정형 스탠드, 이동형 스탠드, 월 마운트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10)와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20), 그리고 디스플레이(10)를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 보다 길게 배치되는 가로모드(이하, 제1모드, LM)와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 보다 길게 배치되는 세로모드(이하, 제2모드, PM, 도 9 참조)로 회전 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10)에 대하여 앞뒤 방향의 축을 Z축, 좌우 방향으로 뻗은 축을 X축, 그리고 상하 방향의 축을 Y축 이라고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10)는 가로모드(제1모드,LM)에서 세로모드(제2모드,PM), 또는 세로모드(제2모드,PM)에서 가로모드(제1모드,LM)로 회전 시,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디스플레이(10)는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CW, clock wise)인 제1방향(CW)과, 제1방향(CW)의 반대 방향 즉, 반시계방향(CCW, counter clock wise)인 제2방향(CCW)으로 회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광을 공급하는 백 라이트 유닛(미도시)과,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섀시(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디스플레이 섀시(12)는 그 후면(12a)에 회전장치(100)와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장치 고정부(12b)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장치 고정부(12b)는 볼트(25) 등의 체결부재가 회전장치(10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홈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장치(20)는 디스플레이(10)를 설치하는 설치면에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지지장치(20)는 바닥 또는 테이블에 안착되는 스탠드형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형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벽면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기 위한 벽걸이형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스탠드형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장치(20)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21)와, 베이스(21)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대(22), 그리고 지지대(22)의 상단에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3)는 고정 플레이트(24)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24)는 후술하는 회전장치(100)의 고정 브라켓(400)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고정 플레이트(24)에는 복수의 고정돌기(24a)가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400)에는 복수의 고정돌기(24a)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홈(410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24)에 고정되는 회전장치(100)의 고정 브라켓(400)은 지지장치(20)의 지지 플레이트(23)에 고정되어 회전장치(100)에 의해 디스플레이(10)가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10)가 고정 브라켓(4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고정 브라켓과 토션 스프링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회전 브라켓과 토션 스프링의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고정부재와 제2회전 브라켓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도 4 의 A-A'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를 제1모드(LM)와 제2모드(PM)로 전환시키도록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장치(100)는 고정 브라켓(400)과, 고정 브라켓(4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디스플레이(1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10)의 디스플레이 섀시(12) 후면(12a)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10)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10)와의 사이의 강도보강을 위해 결합되는 보강 브라켓(101)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브라켓(101)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도 3 참고)
회전 브라켓(200)에는 디스플레이(10)의 회전장치 고정부(12b)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고정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고정홀(214)은 회전장치 고정부(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고정홀(214)을 관통하는 볼트(25)에 의해 회전 브라켓(200)과 디스플레이(10)는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고정부재(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고정부재(216)는 회전 브라켓(20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고정부재(216)는 디스플레이 고정홀(2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고정부재(216)는 디스플레이(10)를 회전 브라켓(2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 브라켓(200)은 대략 사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 브라켓(210)을 포함한다. 제1회전 브라켓(210)은 디스플레이(10)의 후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전면(210a)과, 전면(210a)에 반대쪽에 마련되는 후면(210b)으로 마련된다.
제1회전 브라켓(210)의 후면(210b)에는 회전장치(10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 브라켓(210)의 후면(210b)에는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회전브라켓 수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재(110)를 포함한다. 회전축부재(110)는 제1회전 브라켓(210)에 결합된다.
회전축부재(110)는 제1회전 브라켓(210)의 제2회전브라켓 수용부(213)에 형성되는 제1회전축 관통홀(211)에 마련된다. 회전축부재(110)는 회전 브라켓(200)에 형성된 제1회전축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축 관통홀(211)은 제1회전 브라켓(21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 관통홀(211)은 제2회전브라켓 수용부(213)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 관통홀(211)은 회전축부재(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축 관통홀(211)은 대략 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 관통홀(211)은 제1회전 브라켓(210)의 무게 중심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110)는 디스플레이(10)의 무게 중심(C1) 보다 높거나 낮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110)는 제1회전 브라켓(210)의 전면(210a)을 통해 제1회전축 관통홀(211)에 결합된다. 제1회전 브라켓(210)과 회전축부재(110) 사이에는 제1마찰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마찰부재(1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마찰부재(120)는 제1회전 브라켓(210)과 회전축부재(110) 사이에서 제1회전 브라켓(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마찰부재(120)는 제1회전 브라켓(210)과 회전축부재(110) 사이의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마찰부재(1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110)는 원판 형상의 머리부(110b)와, 머리부(110b)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D 자 형상의 회전축바디(110a)를 포함한다. 회전축바디(110a)에는 수나사(122)가 형성된다. 회전축바디(110a)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형성된다.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회전축바디(110a)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30)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마찰부재(120)는 회전축부재(110)의 머리부(110b)와 제1회전 브라켓(210)의 전면(210a)사이에 배치된다.
제1마찰부재(120)는 회전축부재(110)가 관통하도록 그 중심에 회전축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회전축 관통홀(121)은 회전축부재(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축부재 관통홀(121)은 회전축바디(110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관통홀(121)은 회전축바디(110a)에 대응되도록 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찰부재(120)는 제1회전 브라켓(210)에 고정되기 위해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12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마찰부재(120)는 볼트 결합홀(122)에 결합되는 제1볼트(B1)에 의해 회전 브라켓(200)에 고정된다. 볼트 결합홀(122)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볼트 결합홀(122)은 회전축 관통홀(121)의 주변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 브라켓(210)에는 제1마찰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홀(215)이 형성되고, 복수의 결합홀(215)과, 제1마찰부재(120)의 볼트 결합홀(12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결합홀(215)과 볼트 결합홀(122)을 관통하는 제1볼트(B1)를 통해 제1마찰부재(120)는 제1회전 브라켓(210)에 고정된다.
제1회전 브라켓(210)의 제2회전브라켓 수용부(213)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제2회전브라켓 수용부(213)는 링 형상의 경사면(213a)을 포함한다. 제2회전브라켓 수용부(213)의 경사면(213a)에는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300)이 고정되기 위한 제1토션스프링 고정홀(212)이 형성된다.
회전 브라켓(200)은 제1회전 브라켓(210)의 제2회전브라켓 수용부(213)에 마련되는 제2회전 브라켓(220)을 포함한다. 제2회전 브라켓(22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 브라켓(220)은 제1회전 브라켓(210)에 고정되어 제1회전 브라켓(2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제2회전 브라켓(220)에는 토션 스프링(300)을 수용하기 위한 토션스프링 안착부(223)가 형성된다. 제2회전 브라켓(220)은 제1회전 브라켓(210)에 고정되어 토션 스프링(300)을 안착하고 고정 브라켓(400)과의 회전 마찰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회전 브라켓(220)은 제1회전 브라켓(210)과 별로도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브라켓은 제1회전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 브라켓(220)의 중심에는 회전축부재(110)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축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제2회전축 관통홀(221)은 제1회전 브라켓(210)의 제1회전축 관통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 브라켓(220)의 토션스프링 안착부(22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 토션 스프링(300)이 고정되기 위한 제2토션스프링 고정홀(222)이 형성된다. 제2토션스프링 고정홀(222)은 제1토션스프링 고정홀(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400)은 지지장치(20)의 지지 플레이트(23)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400)은 회전 브라켓(200)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400)은 지지 플레이트(2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400)은 고정브라켓 바디(410)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 바디(410)에는 지지 플레이트(23)가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홈(410a)이 형성된다. 고정브라켓 바디(410)에는 회전장치(100)의 토션 스프링(300)이 설치되기 위한 토션스프링 설치부(440)가 마련된다.
토션스프링 설치부(440)는 고정브라켓 바디(410)의 내면에 형성된다.토션스프링 설치부(440)는 제2회전 브라켓(220)의 토션스프링 안착부(2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토션스프링 설치부(440)는 토션스프링 안착부(223)에 안착되는 토션 스프링(3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400)에는 회전축 부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3회전축 관통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회전축 관통홀(411)은 토션스프링 설치부(440)의 중심에 형성된다. 제3회전축 관통홀(411)은 제1회전축부재 관통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토션스프링 설치부(4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며, 토션 스프링(300)이 고정되기 위한 토션스프링 고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 고정부(430)는 고정브라켓 바디(410)의 내면에 형성된다. 토션스프링 고정부(430)는 회전 브라켓(200)에 형성된 토션스프링 고정홀(212,222)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토션스프링 고정부(430)는 상측에 배치되고, 토션스프링 고정홀(212,222)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 고정부(430)는 고정 브라켓(4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 고정부(430)는 고정브라켓 바디(410)의 적어도 일부가 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 고정부(430)는 고정브라켓 바디(410)로부터 회전 브라켓(20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 고정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300)은 고정 브라켓(400)과 회전 브라켓(200) 사이에서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된다.
토션 스프링(300)은 코일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단부(310)와, 그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단부(320)를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300)은 양측에 형성되는 제1단부(310)와 제2단부(320)의 비틀림으로 힘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토션 스프링(300)의 제1단부(310)는 회전 브라켓(200)에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300)의 제2단부(320)는 고정 브라켓(40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즉, 토션 스프링(300)의 제1단부(310)는 제1회전 브라켓(210)의 제1토션스프링 고정홀(212)과 제2회전 브라켓(220)의 제2토션스프링 고정홀(22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단부(320)는 고정 브라켓(400)의 토션스프링 고정부(43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300)의 제1단부(310)와 제2단부(320)는 초기 상태에서 각각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토션 스프링(300)의 제1단부(310)는 토션스프링 고정홀(212,222)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토션 스프링(300)의 제2단부(320)는 토션스프링 고정부(430)에 초기 상태 보다 더 감긴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토션 스프링(300)은 고정 브라켓(400)과 회전 브라켓(200)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 브라켓(200)의 회전 시, 회전 브라켓(2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400)은 회전 브라켓(20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마련되는 스토퍼(160)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160)는 제2회전 브라켓(2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2회전 브라켓(220)의 회전 반경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회전 브라켓(220)은 스토퍼(160)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제1스토퍼 돌기(161)와 제2스토퍼 돌기(162)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 돌기(161)와 제2스토퍼 돌기(162)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 돌기(161)는 제1모드(LM)에서 스토퍼(160)에 걸림되고, 제2스토퍼 돌기(162)는 제2모드(PM)에서 스토퍼(160)에 걸림된다. 스토퍼(160)는 제1스토퍼 돌기(161)와 제2스토퍼 돌기(1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 돌기(161)와 제2스토퍼 돌기(162)는 제2회전 브라켓(220)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스토퍼(160)는 디스플레이(10)의 회전을 90도로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400)에는 스토퍼(160)가 설치되기 위한 스토퍼 설치부(460)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장치(100)는 고정 브라켓(400)의 제3회전축 관통홀(411)을 통해 회전축부재(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30)는 그 내측에 회전축부재(110)의 수나사(122)에 대응되는 암나사(13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회전 브라켓(200)과 고정 브라켓(400) 사이의 회전 마찰을 조절하도록 마련된다. 고정부재(130)는 회전축부재(110)에 결합되어 회전 브라켓(200)과 고정 브라켓(400) 사이의 회전 마찰을 조정하도록 마련된다.
고정부재(130)는 지지 브라켓(150)에 의해 고정 브라켓(400)에 고정된다. 지지 브라켓(15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브라켓(150)은 중심에 회전축부재(110)가 관통되도록 제4회전축 관통홀(151)이 형성된다. 제4회전축 관통홀(151)은 제1회전축 관통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 브라켓(150)은 고정부재(130)와 회전축부재(110) 사이에서 고정부재(1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지지 브라켓(150)은 고정 브라켓(400)과 고정부재(130) 사이의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찰부재일 수 있다.
또, 지지 브라켓(150)과 고정 브라켓(400)의 사이에는 고정 브라켓(400)과 지지 브라켓(150) 사이의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마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찰부재(1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찰부재(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찰부재(140)는 고정 브라켓(400)과 지지 브라켓(150) 사이의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400)의 고정브라켓 바디(410)에는 지지 브라켓(150) 및 제2마찰부재(140)가 설치되기 위한 마찰부재 수용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 수용부(420)는 제3회전축 관통홀(411)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부재(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0)와, 회전축부재(110)와 고정부재(1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찰부재들(120,220,140,150)에 의해 회전 브라켓(200)과 고정 브라켓(400) 사이에는 마찰력이 형성되고, 토션 스프링(300)은 고정 브라켓(400)과 회전 브라켓(200) 사이에서 디스플레이(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되어, 부드러운 회전 동작을 발생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제1 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 시의 회전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10)가 제1모드(가로모드, LM)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제1방향(CW)으로 디스플레이(10)에 힘을 가해 제2모드(세로모드, PM)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가 제1모드(LM)에서 회전장치(100)의 회전축부재(110)는 디스플레이(10)의 무게 중심(C1)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된다. 회전축부재(110)는 디스플레이(10)의 무게 중심(C1) 보다 낮게 위치된다.
디스플레이(10)의 제1모드(LM)에서 제2회전 브라켓(220)의 제1스토퍼 돌기(161)는 스토퍼(160)에 지지되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0)를 제1모드(LM)에서 제2모드(PM)로 전환하도록,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를 제1방향(CW)으로 회전시킨다.
디스플레이(10)가 제1방향(CW)으로 회전되면, 디스플레이(10) 후면에 고정된 회전 브라켓(200)이 함께 회전한다.
이때, 고정 브라켓(400)과 회전 브라켓(200) 사이에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300)의 회전력이 동작한다. 토션 스프링(300)의 일단부는 고정 브라켓(4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회전 브라켓(200)에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300)의 제2단부(320)는 고정 브라켓(400)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회전 브라켓(200)에 제1단부(310)가 고정된 토션 스프링(300)이 감기면서 댐퍼의 역할을 한다.
토션 스프링(300)은 디스플레이(10)가 빠르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하는 회전 브라켓(200)의 제2스토퍼 돌기(162)가 스토퍼(160)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면, 디스플레이(10)가 제2모드(PM)로 전환된다.
디스플레이(10)는 회전장치(100)의 회전축부재(110)와 고정부재(130)의 압착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평형상태를 이루면서 디스플레이(10)는 제2모드(PM)로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제1모드(LM)에서 제2모드(PM)로의 전환 시, 회전 브라켓(200)과 고정 브라켓(400) 사이의 마찰력과 토션 스프링(300)의 회전력은 디스플레이(10)가 회전하는 제1방향(CW)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10)를 돌리기 위한 힘과 중력은 디스플레이(10)를 회전시키는 제1방향(CW)으로 작용하여 부드러운 회전 동작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제2 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가 제2모드(세로모드, PM)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중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CCW)으로 디스플레이(10)에 힘을 가해 제1모드(가로모드, LM)로 회전한다.
디스플레이(10)가 제2모드(PM)에서 회전장치(100)의 회전축부재(110)는 디스플레이(10)의 무게중심(C2)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된다. 회전축부재(110)는 디스플레이(10)의 무게중심(C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디스플레이(10)의 제1모드(LM)일 때의 무게 중심(C1)은 제2모드(PM)일 때의 무게중심(C2)일 때 보다 높다.
디스플레이(10)를 제1모드(LM)에서 제2모드(PM) 또는 제2모드(PM)에서 제1모드(LM)로 전환 시, 회전축부재(11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10)의 무게중심(C1,C2) 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제2모드(PM) 시, 제2회전 브라켓(220)의 제2스토퍼 돌기(162)는 스토퍼(160)에 지지되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10)를 제2모드(PM)에서 제1모드(LM)로 전환하도록,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를 제2방향(CCW)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10)가 제2방향(CCW)으로 회전되면, 디스플레이(10) 후면에 고정된 회전 브라켓(200)이 함께 제2방향(CCW)으로 회전한다.
이때, 토션 스프링(300)은 고정 브라켓(400)에 고정된 제2단부(320)는 지지하고, 회전 브라켓(200)에 고정된 제1단부(310)가 풀리면서 제2방향(CCW) 즉, 회전 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토션 스프링(300)은 디스플레이(10)가 적은 힘으로도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가한다. 토션 스프링(300)은 디스플레이(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된다.
회전하는 회전 브라켓(200)의 제1스토퍼 돌기(161)가 스토퍼(160)에 걸려 회전 브라켓(200)의 회전이 제한되면, 디스플레이(10)가 제1모드(LM)로 전환된다.
디스플레이(10)는 회전장치(100)의 회전축부재(110)와 고정부재(130)의 압착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평형상태를 이루면서 디스플레이(10)는 제1모드(LM)로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제2모드(PM)에서 제1모드(LM)로의 전환 시, 회전 브라켓(200)과 고정 브라켓(400) 사이의 마찰력과 중력은 회전 반대방향 즉, 제1방향(CW)으로 작용하고, 토션 스프링(300)의 회전력과 디스플레이(10)를 돌리기 위한 사용자의 힘은 회전하는 제2방향(CCW)으로 작용하여 부드러운 회전 동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할 때 디스플레이 무게중심이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회전축부재의 위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로모드에서 세로모드로 전환하면서 디스플레이 무게중심이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 디스플레이
11 : 디스플레이 패널 12 : 섀시
20 : 지지장치 100 : 회전장치
110 : 회전축부재 120 : 제1마찰부재
130 : 고정부재 140 : 제2마찰부재
150 : 지지 브라켓 160 : 스토퍼
200 : 회전 브라켓 210 : 제1회전 브라켓
211 : 제1회전축 관통홀 220 : 제2회전 브라켓
300 : 토션 스프링 310 : 제1단부
320 : 제2단부

Claims (18)

  1.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브라켓;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방향 회전 시,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동작 시,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 및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반경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접하도록 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회전브라켓과,
    상기 제1회전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에 편심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 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되며, 상기 제1회전브라켓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1회전축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은 상기 제2방향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의 회전 마찰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찰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브라켓과 상기 제2회전 브라켓은 각각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토션스프링 고정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토션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로 모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C1)은 상기 세로 모드 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C2) 보다 높게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모드에서의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세로 모드에서의 상기 회전축부재와 동일한 위치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1모드 및 제2모드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중심에 편심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브라켓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동작 시, 회전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 및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반경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회전브라켓과,
    상기 제1회전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브라켓과,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제1스토퍼 돌기와,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제2스토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에 편심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되며, 상기 제1회전브라켓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1회전축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의 회전 마찰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찰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1방향(CW)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 시,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회전 마찰력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은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C2) 보다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77574A 2018-07-04 2018-07-04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74A KR102590129B1 (ko) 2018-07-04 2018-07-04 디스플레이 장치
US17/256,360 US20210160451A1 (en) 2018-07-04 2018-09-13 Display device
PCT/KR2018/010791 WO2020009269A1 (ko) 2018-07-04 2018-09-13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74A KR102590129B1 (ko) 2018-07-04 2018-07-0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67A KR20200004567A (ko) 2020-01-14
KR102590129B1 true KR102590129B1 (ko) 2023-10-18

Family

ID=6905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74A KR102590129B1 (ko) 2018-07-04 2018-07-0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60451A1 (ko)
KR (1) KR102590129B1 (ko)
WO (1) WO2020009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2381A (ko) * 2022-05-20 202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18B1 (ko) * 2002-07-16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803629B1 (ko) * 2006-08-21 2008-02-19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180B1 (ko) * 2004-03-08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스탠드 구조
KR101372268B1 (ko) * 2007-02-13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72163A (ko) * 2009-12-22 2011-06-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컴퓨터용 모니터의 자동 회전장치
KR200458260Y1 (ko) * 2009-12-22 2012-02-24 박정기 비틀림바를 이용한 복수의 모니터를 갖는 랩텁 컴퓨터
KR20170054866A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75884A1 (en) * 2016-03-25 2017-09-28 Carefree/Scott Fetzer Company Residential awning canopy assembly
CN106601171A (zh) * 2016-12-31 2017-04-26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的转动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18B1 (ko) * 2002-07-16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803629B1 (ko) * 2006-08-21 2008-02-19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269A1 (ko) 2020-01-09
US20210160451A1 (en) 2021-05-27
KR20200004567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7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02110A1 (en) Multi-position mount for electronic display
JP5589118B2 (ja) 可変式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814952B2 (ja) 表示装置およびスタンドセット
WO2003050786A1 (fr) Systeme d'orientation de dispositif d'affichage
WO2003050787A1 (fr) Regulateur d'elevation d'afficheur
JP2009204902A (ja) プロジェクタ天吊り装置
KR102590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081841B1 (en) Display apparatus
JP2020134927A (ja) 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及び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システム
US8472187B2 (en) Display apparatus
JP201404785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支持装置
CN209357378U (zh) 显示装置
US20190231098A1 (en) Bracket and display device
JP6926612B2 (ja) 電子機器の支持機構
CA2711326C (en) Multi-position mount for electronic display
US11892118B2 (en) Display stand and display stand system
JP2019004211A (ja) 支持装置および回転可能範囲規制機構
WO2007037565A1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display device
KR20110076303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어셈블리
JP6059988B2 (ja) ヒンジ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100112A (ja) 表示装置の支持構造
JPH0756516A (ja) 自立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0205502A (ja) 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090130551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