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935A -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935A
KR20170051935A KR1020150153664A KR20150153664A KR20170051935A KR 20170051935 A KR20170051935 A KR 20170051935A KR 1020150153664 A KR1020150153664 A KR 1020150153664A KR 20150153664 A KR20150153664 A KR 20150153664A KR 20170051935 A KR20170051935 A KR 2017005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lane
determin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986B1 (ko
Inventor
차봉현
신언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9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5Number or size of road 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FLS 제어기를 제외한 다른 모듈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전조등을 제어하여 특정 빔을 출력시키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 각 모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작동 판단부; 및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조등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빔만 출력시키는 전조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전조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AFL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때에 차량에 장착된 전조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FL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는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운전 환경이나 외부 환경에 따라 조명을 조정하여 비추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AFLS는 AFLS 제어기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한해 페일 세이프(Fail safe) 동작을 수행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6159호는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AFLS)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주행 환경에 따라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AFLS 제어기를 제외한 다른 모듈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전조등을 제어하여 특정 빔을 출력시키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 각 모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작동 판단부; 및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조등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빔만 출력시키는 전조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조등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빔으로 하이빔(High beam)을 출력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상 작동 판단부는 각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조등 제어부는 정상 작동하지 않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만 상기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키거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든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모듈들로 상기 전조등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듈, 상기 전조등에서 출력될 빔을 생성하는 모듈, 및 생성된 빔을 출력하는 모듈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는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 정보를 획득하는 차선 정보 획득부; 상기 차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도로 차선 판단부; 및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 차량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방송하는 경고 메시지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는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존재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조등 제어부는 상기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을 오프(OFF)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는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도로 차선 판단부;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존재 판단부; 및 상기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지 여부 또는 상기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부는 상기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차량에게 상기 경고 메시지를 방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는 상기 맞은편 도로에 대한 영상 또는 상기 타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도로/차량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각 모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조등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빔만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빔으로 하이빔(High beam)을 출력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각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정상 작동하지 않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만 상기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키거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든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듈들로 상기 전조등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듈, 상기 전조등에서 출력될 빔을 생성하는 모듈, 및 생성된 빔을 출력하는 모듈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 차량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지 여부 또는 상기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차량에게 상기 경고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맞은편 도로에 대한 영상 또는 상기 타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들을 통하여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AFLS 제어기를 제외한 다른 모듈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더라도 이에 대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즉 ISM(Intelligent Stepper Motor)의 동작 이상으로 인해 빔(Beam)의 방향이 틀어지더라도 이를 바로잡는 것이 가능해지며, LDM(LED Driver Module), 밸러스트(Ballast) 등의 동작 이상으로 인해 로우빔(Low beam)이 오프(OFF)되더라도 이 고장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둘째, 전조등의 방향이 상대편 차량을 향한 상태로 정지하거나, 전조등이 오프되는 돌발 상황 등 야간 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4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AFLS 제어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즉, AFLS 제어기가 LDM, 밸러스트 등 전조등을 직접 구동하는 모듈에 제어 명령을 보내지 못하는 경우, LDM, 밸러스트 등이 하이빔(High beam)과 로우빔(Low beam) 모두 출력이 가능하도록 상향등과 하향등을 온(ON)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타 모듈들은 정상이고 단지 AFLS 제어기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 대한 페일 세이프(Fail Safe) 동작이다.
본 발명은 AFLS 제어기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상황에서 타 모듈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이를 감지하여 페일 세이프 동작을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100)은 AFLS(110)를 구성하는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하향등을 끄고(OFF) 상향등만 켜서(ON) 하이빔만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100)은 AFL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110) 및 전조등(Head lamp; 120)을 포함한다.
AFLS(110)는 통합 제어기(111), ISM(115), LDM(116), SSA(117) 및 밸러스트(118)를 포함한다.
ISM(Intelligent Stepper Motor; 115)은 전조등(12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스위블(Swivel) 및 레벨링(Leveling) 동작용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SSA(Smart Shield Actuator; 117)는 전조등(120)을 통해 출력될 빔을 생성하는 모듈로서, 로우빔의 빔 패턴(Beam pattern)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LDM(LED Driver Module; 116)과 밸러스트(Ballast; 118)는 전조등(120)을 통해 SSA(117)에 의해 생성된 빔을 출력시키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LDM(116)은 LED를 구동시키는 모듈이며, 밸러스트(118)는 HID 램프를 구동시키는 모듈이다.
통합 제어기(111)는 BCM SW 모듈(112), AFLS 제어 SW 모듈(113) 및 통신 모듈(114)를 포함한다.
BCM SW 모듈(112)은 BCM(Body Control Module)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BCM SW 모듈(112)은 상향등과 하향등을 온(ON)/오프(OFF)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BCM SW 모듈(112)은 이를 통해 전조등(120)의 출력을 하이빔(High beam) 모드 또는 로우빔(Low beam)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이빔 모드는 전조등(120)을 통하여 빛을 멀리 비추어서 시야를 확보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로우빔 모드는 빛을 낮게 비추어서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및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통신 모듈(114)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모듈, CAN(Controller Area Network)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AN 모듈은 B-CAN 모듈, C-CAN 모듈, MM-CAN 모듈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 AFLS(110)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FLS(110)를 구성하는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하향등을 끄고(OFF) 상향등만 켜서(ON) 하이빔만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야간에 차량 운행시 AFLS(110)의 어떤 모듈에 동작 이상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 및 상대편 차량의 운행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FLS 제어 SW 모듈(113)을 이용하여 AFLS(110)를 구성하는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이상이 발생한 Low Beam을 대신하여 High Beam을 ON시킨다.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동작 이상으로 Beam의 방향이 틀어진 경우 Low Beam을 OFF하고 High Beam을 ON한다. 또한 AFLS 제어 SW 모듈(113)은 LDM(116), 밸러스트(118) 등의 동작 이상으로 Low Beam이 ON되지 않거나 ON에서 OFF가 되는 경우 High Beam을 ON시킨다.
이상 설명한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다음 순서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먼저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FLS(110)의 각 모듈들(115, 116, 117, 118)과 LIN 통신을 통해 제어 및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획득된 각 모듈들(115, 116, 117, 118)의 정보를 이용하여 AFLS(110)의 동작을 판단한다.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각 모듈들(115, 116, 117, 118)의 동작이 정상이 아닐 경우(예를 들어 LDM(116)이나 밸러스트(118)의 동작 이상으로 전조등(120)이 로우빔 모드로 ON되지 않거나 ON에서 OFF가 된 경우, ISM(115) 이상으로 전조등(120)의 방향이 틀어진 상태가 유지되거나 동작이 안되는 경우 등), Low Beam을 OFF하고 High Beam을 ON한다.
정상적인 경우 Left Low Beam과 Right Low Beam은 모두 ON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ISM(115)에 동작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Left Low Beam의 방향이 틀어진 채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LDM(116)이나 밸러스트(118)에 동작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Left Low Beam이 OFF된다. 본 발명에서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문제가 된 쪽의 Low Beam을 대신하여 High Beam을 ON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의 예시는 Fail이 발생한 방향만 Fail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S205), AFLS(110)의 AFLS 제어 SW 모듈(113)은 LIN을 통하여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210).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215).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차량이 주행을 종료할 때까지 S210 단계로 회귀하여 S215 단계와 S22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FLS(110) 중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5).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를 오프시키고(S230) 하이빔 모드를 작동시킨다(S235).
반면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우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를 오프시키고(S240) 하이빔 모드를 작동시킨다(S245).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의 예시는 왼쪽이나 오른쪽 어느 한쪽이라도 Fail 발생시 양쪽 모두 Fail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먼저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S305), AFLS(110)의 AFLS 제어 SW 모듈(113)은 LIN을 통하여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310).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315).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차량이 주행을 종료할 때까지 S310 단계로 회귀하여 S315 단계와 S32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양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를 오프시키고(S325) 하이빔 모드를 작동시킨다(S3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High Beam On시 대향 차량의 눈부심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도 4의 실시예에는 AVN 시스템의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왕복 4차로 이상 도로에서 주행중 고장 발생시 클러스터Cluster)나 AVN 시스템에서 대향 차량의 눈부심 최소화를 위해 1차선 주행 자제 경고 내용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S405),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VN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410). AFLS 제어 SW 모듈(113)은 MM-CAN을 이용하여 AVN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LIN을 통하여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415).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420).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5).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차량이 주행을 종료할 때까지 S415 단계로 회귀하여 S420 단계와 S42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FLS(110) 중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를 오프시키고(S435) 하이빔 모드를 작동시킨다(S440).
반면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우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를 오프시키고(S445) 하이빔 모드를 작동시킨다(S450).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VN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도로 종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가 왕복 4차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55).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가 왕복 4차로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S405 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반면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가 왕복 4차로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클러스터나 AVN 시스템을 통하여 안전 운전을 위해 1차선 운행을 지양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방송한다(S460).
이때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맞은편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들의 운전자들이 인식할 수 있게 충분한 볼륨으로 경고 메시지를 방송한다. AFLS 제어 SW 모듈(113)은 클러스터를 이용하는 경우 B-CAN으로 클러스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AVN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MM-CAN으로 AVN 시스템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4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High Beam On시 대향 차량의 눈부심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는 경고 표시 이후에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추가 경고를 고려한다. 1차 경고 이후 차량의 조향각에 변화가 없을 경우 2차 경고를 한다. 좌측 방향지시등, 조향각 등으로 왼쪽으로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 후 추가 경보를 실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S460 단계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대향 차량에 대하여 일정 시간동안 조향각 변화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5).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대향 차량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들을 기초로 상기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조향각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대향 차량에 대하여 왼쪽 방향으로 조향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왼쪽 방향으로 조향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클러스터나 AVN 시스템을 통하여 대향 차량에게 안전 운전을 위해 1차선 운행을 지양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다시 방송한다(S515).
S505 단계에서 조향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S510 단계에서 왼쪽 방향으로 조향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대향 차량에 대하여 왼쪽에 위치한 방향지시등이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대향 차량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을 기초로 상기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왼쪽에 위치한 방향지시등이 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S405 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반면 왼쪽에 위치한 방향지시등이 ON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뒤 대향 차량에 대하여 왼쪽 방향으로 조향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525). AFLS 제어 SW 모듈(113)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대향 차량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들을 기초로 상기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왼쪽 방향으로 조향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S405 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반면 왼쪽 방향으로 조향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S415 단계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예도 도 4의 실시예 및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High Beam On시 대향 차량의 눈부심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도 6의 실시예는 AVN 시스템의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왕복 2차로(편도 방향 차로가 1개만 있는 경우)에서 주행중 운전석 Light 고장 발생시 상대편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크게 줄 수 있는 운전석 쪽 Light를 OFF한다. 조수석 Light의 고장 발생시에는 Fail 모드로 Light를 동작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S605),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VN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610).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LIN을 통하여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615).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620).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ISM(115), LDM(116), SSA(117), 밸러스트(118) 등으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5).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차량이 주행을 종료할 때까지 S615 단계로 회귀하여 S620 단계와 S62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AFLS(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AFLS(110) 중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가 왕복 4차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35).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가 왕복 4차로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와 하이빔 모드를 모두 오프시킨다(S640).
반면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가 왕복 4차로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클러스터나 AVN 시스템을 통하여 안전 운전을 위해 1차선 운행을 지양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방송한다(S645).
이후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를 오프시키고(S650) 하이빔 모드를 작동시킨다(S655).
한편 좌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제어 SW 모듈(113)은 우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을 제어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에 위치한 전조등(120)의 로우빔 모드를 오프시키고(S660) 하이빔 모드를 작동시킨다(S665).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는 상태 정보 획득부(710), 정상 작동 판단부(720), 전조등 제어부(730), 전원부(740) 및 주제어부(750)를 포함한다.
전원부(740)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750)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는 AFLS(110)의 통합 제어기(111)에 탑재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전원부(740)와 주제어부(750)는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태 정보 획득부(710)는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도 1의 AFLS(1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상태 정보 획득부(710)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로 전조등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듈, 전조등에서 출력될 빔을 생성하는 모듈, 및 생성된 빔을 출력하는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조등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듈은 도 1의 ISM(115)에 대응하는 개념이고, 빔을 생성하는 모듈은 도 1의 SSA(117)에 대응하는 개념이여, 빔을 출력하는 모듈은 도 1의 LDM(116), 밸러스트(118) 등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정상 작동 판단부(720)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상 작동 판단부(720)는 각 측에 위치하는 전조등에 대하여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조등 제어부(730)는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조등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빔만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조등 제어부(730)는 미리 정해진 빔으로 하이빔(High beam)을 출력시킨다. 즉 전조등 제어부(730)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조등을 제어하여 하향등(Low beam)을 OFF시키고 상향등(High beam)을 ON시킨다.
정상 작동 판단부(720)가 각 측에 위치하는 전조등에 대하여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전조등 제어부(730)는 정상 작동하지 않는 측에 위치하는 전조등만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전조등 제어부(730)는 상기한 경우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전조등에 대하여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든 측에 위치하는 전조등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는 차선 정보 획득부(810),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 및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선 정보 획득부(810)는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는 차선 정보 획득부(810)에 의해 획득된 차선 정보를 기초로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는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에 의해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 차량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방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경고 메시지는 맞은편(Opposite side)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상향등을 ON하고 있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가 차선 정보 획득부(810),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 및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를 더 포함하는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작한 것이다.
한편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는 차선 정보 획득부(810),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 및 차량 존재 판단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존재 판단부(840)는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에 의해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조등 제어부(730)는 차량 존재 판단부(840)에 의해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전조등을 오프(OFF)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가 차선 정보 획득부(810),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 및 차량 존재 판단부(840)를 더 포함하는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작한 것이다.
한편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는 차선 정보 획득부(810),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 차량 존재 판단부(840), 제2 도로 차선 판단부(850) 및 차량 상태 판단부(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로 차선 판단부(850)는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에 의해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존재 판단부(840)는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에 의해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상태 판단부(860)는 제2 도로 차선 판단부(850)에 의해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 존재 판단부(840)에 의해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지 여부 또는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는 차량 상태 판단부(860)에 의해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 차량에게 경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는 도로/차량 영상 획득부(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로/차량 영상 획득부(870)는 맞은편 도로에 대한 영상 또는 타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도로 차선 판단부(820), 차량 존재 판단부(840), 제2 도로 차선 판단부(850), 차량 상태 판단부(860) 등은 도로/차량 영상 획득부(87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7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상태 정보 획득부(710)가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910).
이후 정상 작동 판단부(720)가 각 모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20).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조등 제어부(730)가 전조등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빔만 출력시킨다(S930).
한편 S930 단계 이후에 다음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선 정보 획득부(810)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 정보를 획득한다(A).
이후 제 도로 차선 판단부(820)가 차선 정보를 기초로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B).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가 주변 차량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방송한다(C).
상기한 A 단계 내지 C 단계는 S93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C 단계 이후에 다음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존재 판단부(840)가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D).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조등 제어부(730)가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전조등을 오프(OFF)시킨다.
상기한 D 단계는 C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C 단계 이후에 다음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도로 차선 판단부(850)가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E). 또한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존재 판단부(840)가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F).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고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상태 판단부(860)가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지 여부 또는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G).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 출력부(830)가 타 차량에게 경고 메시지를 방송한다(H).
상기한 E 단계 내지 H 단계는 C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
    각 모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작동 판단부; 및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조등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빔만 출력시키는 전조등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빔으로 하이빔(High beam)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작동 판단부는 각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조등 제어부는 정상 작동하지 않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만 상기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키거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든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빔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모듈들로 상기 전조등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듈, 상기 전조등에서 출력될 빔을 생성하는 모듈, 및 생성된 빔을 출력하는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 정보를 획득하는 차선 정보 획득부;
    상기 차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도로 차선 판단부; 및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 차량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방송하는 경고 메시지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존재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조등 제어부는 상기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전조등을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도로 차선 판단부;
    상기 도로가 왕복 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맞은편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존재 판단부; 및
    상기 맞은편 도로가 적어도 2차선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지 여부 또는 상기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상태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부는 상기 타 차량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한 것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의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차량에게 상기 경고 메시지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맞은편 도로에 대한 영상 또는 상기 타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도로/차량 영상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9. 차량에서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각 모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조등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빔만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빔으로 하이빔(High beam)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 방법.
KR1020150153664A 2015-11-03 2015-11-03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0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64A KR102301986B1 (ko) 2015-11-03 2015-11-03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64A KR102301986B1 (ko) 2015-11-03 2015-11-03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35A true KR20170051935A (ko) 2017-05-12
KR102301986B1 KR102301986B1 (ko) 2021-09-14

Family

ID=5874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64A KR102301986B1 (ko) 2015-11-03 2015-11-03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1915A (zh) * 2018-04-23 2018-10-09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自适应远近光交替控制系统
WO2022142353A1 (zh) * 2020-12-28 2022-07-07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车灯控制装置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649A (ko) * 2008-06-13 2009-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17442A (ko) * 2011-04-15 2012-10-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휴대용 운행상태 판단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649A (ko) * 2008-06-13 2009-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17442A (ko) * 2011-04-15 2012-10-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휴대용 운행상태 판단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1915A (zh) * 2018-04-23 2018-10-09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自适应远近光交替控制系统
WO2022142353A1 (zh) * 2020-12-28 2022-07-07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车灯控制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986B1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4771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KR101934751B1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34867B1 (ko)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
KR101962727B1 (ko) 네비게이터와 연동되는 차량용 조명 시스템
JP2014144725A (ja) 車両情報表示装置
KR101460724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US10071680B2 (en) Evacuation travelling control device and evacuation travelling control method
US2011007543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eadlamp
WO2013031404A1 (ja) 車両前照灯制御装置
KR20100079941A (ko) 안전 장치 기능을 구비한 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시스템
KR101934750B1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그 제어방법
KR20170051935A (ko)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JP5626966B2 (ja) 車両用前照灯の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4492725B2 (ja) ライト制御装置
JP4985232B2 (ja) 衝突判定装置
US9988059B2 (en) Vehicle behavior detection device
JP2006096158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の配光制御装置
JP6370534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装置
JP2008062856A (ja) ヘッドライト制御システム
KR20120017748A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83166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7290548A (ja) 放電管点灯制御装置
JP2019006321A (ja) 車両
JP2019123260A (ja) 車両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RU2772159C1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предупреждающих сигналов автомобиля, система и автомоби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