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756A -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 Google Patents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756A
KR20170048756A KR1020150149238A KR20150149238A KR20170048756A KR 20170048756 A KR20170048756 A KR 20170048756A KR 1020150149238 A KR1020150149238 A KR 1020150149238A KR 20150149238 A KR20150149238 A KR 20150149238A KR 20170048756 A KR20170048756 A KR 2017004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ous
roller
unit
elastic body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372B1 (ko
Inventor
이명국
Original Assignee
이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국 filed Critical 이명국
Priority to KR102015014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3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3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Abstract

구근류 자동 박피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 자동 박피기는 프레임, 복수의 이송부들, 복수의 박피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은 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구근류를 이송한다.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은 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의 외면을 박피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 각각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근류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과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이송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체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1탄성체의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 보다 큰 값을 가져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는 상기 제1탄성체의 상기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상기 부위에 밀착되어 이송된다.

Description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peeler using cutter for bulbous plants}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를 이용하여 구근류를 이송하면서 구근류의 외면을 박피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자연식품과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 우엉, 연근, 마, 당근, 오이 등과 같은 알뿌리 식물 즉, 구근류에 대한 소비도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구근류의 경우 표면이 거칠고, 표면에 흙이 많이 묻어 있어 이들을 식품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껍질을 벗겨내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구근류의 경우 표면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껍질이 질겨 이들 껍질을 효과적으로 벗기는 데에 숙련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구근류의 껍질을 효과적으로 벗겨낼 수 있는 구근류 박피기에 대한 자동화된 기술이 요구된다. 구근류 박피기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 KR 20-0469328 “박피헤드 및 그것을 구비한 박피기”, 한국등록특허 KR 10-1223369 “도라지 박피기” 등이 있다. 선행기술의 경우 전자의 경우에는 대량 박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박피기의 구조가 복잡하며, 박피기로 주입되는 도라지의 위치가 틀어질 경우에 자동으로 위치를 잡아주지 못한다는 제약이 존재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고정 설비형에 적합한 구조로서 장소를 이동해 가며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이송부, 박피부 등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손쉬운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는 자동화된 방식을 취하여 대량으로 구근류의 박피가 가능하며, 한 쌍의 롤러들로 구성되는 이송부와 한 쌍의 칼날부들로 구성되는 박피기를 손쉽게 분리 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이송부 및 박피기의 교체가 용이하며, 장치의 부피가 적어 장소를 옮겨가며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 상수의 분포가 다른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박피기로 공급되는 구근류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이들 구근류의 위치를 롤러의 중심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구근류를 안정적으로 박피할 수 있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구근류 자동 박피기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구근류 자동 박피기는 프레임, 복수의 이송부들, 복수의 박피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은 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구근류를 이송한다.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은 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의 외면을 박피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 각각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근류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과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이송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체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1탄성체의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 보다 큰 값을 가져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는 상기 제1탄성체의 상기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상기 부위에 밀착되어 이송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는 자동화된 방식을 취하여 대량으로 구근류의 박피가 가능하며, 롤러의 구조를 변형함으로써 박피기로 공급되는 구근류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구근류가 롤러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 있어 다량의 구근류를 안정적으로 박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는 복수의 박피기들을 탈착형으로 배치할 수 있어 칼날이 마모되거나 고장난 박피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는 개방형의 구조를 가져 작동이 용이하며, 내부 청소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는 한 쌍의 롤러들로 구성되는 이송부를 탈착형으로 배치할 수 있어 이송부를 손쉽게 분리 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에 사용되는 롤러의 일례와 다른 예 및 이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에 사용되는 박피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와 결합"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하는”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에 사용되는 롤러의 일례와 다른 예 및 이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롤러의 일례와 이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e) 및 (f)는 롤러의 다른 예와 이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에 사용되는 박피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b)는 실제로 제작된 구근류 자동 박피기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의 이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프레임(110), 복수의 이송부들(120) 및 복수의 박피기들(13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동력기(140) 및 동력전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선택적으로 세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복수의 이송부들(120), 복수의 박피기들(130) 및 세척부(180)가 배치된다. 구근류(10)는 프레임(110) 상에서 복수의 이송부들(120)을 통하여 이송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박피기들(130)에 의하여 외면이 박피된다. 프레임(110)의 소재로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목재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구근류(10)는 예로서 무, 우엉, 연근, 마 등과 같은 알뿌리 식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10)라는 용어는 알뿌리 식물 이외에 당근 등과 같은 야채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복수의 이송부들(120)은 프레임(110)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구근류(10)를 이송한다. 복수의 이송부들(120) 각각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들(122)을 포함한다. 구근류(10)는 한 쌍의 롤러들(122)과 밀착되어 한 쌍의 롤러들(122)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이송된다. 도 1에는 한 쌍의 롤러들(122)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송부들(12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1에는 복수의 이송부들(120)로서 4개의 이송부들(120)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구근류(10)를 이송할 수 있는 한 이송부(12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한 쌍의 롤러들(122)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은 제1롤러(122a), 제2롤러(122b)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구근류(10)의 직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및 도 4에는 평면에 놓여진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수직으로 세워져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박피된 구근류(10)의 외면은 중력에 의하여 자유낙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박피된 구근류(10)의 외면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복수의 이송부들(120) 좌측 즉, 구근류(10) 투입부에는 구근류(10)의 투입을 도와주는 한 쌍의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복수의 이송부들(120) 우측 즉, 구근류(10) 배출부에는 구근류(10)의 배출을 도와주는 한 쌍의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부들(120)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은 후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이송부들(120)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내용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한 쌍의 롤러들(122)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124)와 제2플레이트(126) 및 제1플레이트(124)와 제2플레이트(126)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체(128, 128')를 포함한다. 제1탄성체(128, 128')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는 제1탄성체(128, 128')의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 보다 큰 값을 가져 복수의 이송부들(120)을 통하여 이송되는 구근류(10)는 제1탄성체(128, 128')의 상기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상기 부위에 밀착되어 이송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탄성체(128, 128')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제1탄성체(128)는 도 2의 (a) 내지 (c)에 예로서 표현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24)와 제2플레이트(126)를 연결하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탄성체(128)는 일단 및 타단이 제1플레이트(124) 및 제2플레이트(126)와 결합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판스프링들로 구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의 소재로는 금속재, 카본소재, 합성수지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판스프링의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판스프링 구조의 제1탄성체(12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판스프링의 두께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의 스프링 상수의 분포는 판스프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의 열처리 조건을 변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의 양끝단의 구조를 변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들(122) 사이로 구근류(10)가 통과할 경우에 구근류(10)의 직경에 따라 제1탄성체(128) 즉 판스프링은 변형되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판스프링의 두께가 다르므로 판스프링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판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가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판스프링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동일한 변형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게 된다. 반발력은 판스프링의 탄성에 따른 복원력에 기인한다. 따라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근류(10)가 박피기(100)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부(120)의 중심이 아닌 가장자리부분으로 치우쳐 이송되거나 공급될 때, 판스프링의 가장자리 또는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의 반발력이 판스프링의 중심부 또는 중심부에 인접한 부위의 반발력 보다 커서 구근류(10)는 반발력의 차이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이송부(120)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공급되거나 이송되는 구근류(10)의 위치가 이송부(120)의 중심부에서 벗어나더라도 구근류(10)의 위치를 이송부(120) 즉, 한 쌍의 롤러들(122)의 중심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다량의 구근류를 순차적으로 안정적으로 박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판스프링들 중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판스프링들-이하 제1판스프링 및 제2판스프링이라 함- 중 상기 제1판스프링의 측면 또는 상기 제2판스프링의 측면은 복수의 이송부들(120)을 통하여 구근류(10)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구근류(10)의 표면을 압박하여 구근류(10)가 복수의 이송부들(120)을 통하여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탄성체(128')는 도 2의 (e) 및 (f)에 예로서 표현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24)와 제2플레이트(126) 사이에 서로 다른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탄성체를 적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탄성체(12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송부(120)를 통해 이동하는 구근류(10)는 자연스럽게 이송부(120)의 중심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탄성체(12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스프링상수가 증가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들(122) 사이로 구근류(10)가 통과할 경우에 구근류(10)의 직경에 따라 제1탄성체(128')는 변형되게 된다. 이때, 제1탄성체(128')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스프링상수가 증가하므로 제1탄성체(128')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동일한 변형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근류(10)가 박피기(100)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부(120)의 중심이 아닌 가장자리부분으로 치우쳐 이송되거나 공급될 때, 제1탄성체(128')의 가장자리 또는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의 반발력이 제1탄성체(128')의 중심부 또는 중심부에 인접한 부위의 반발력 보다 커서 구근류(10)는 반발력의 차이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이송부(120)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공급되거나 이송되는 구근류(10)의 위치가 이송부(120)의 중심부에서 벗어나더라도 구근류(10)의 위치를 이송부(120) 즉, 한 쌍의 롤러들(122)의 중심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다량의 구근류를 순차적으로 안정적으로 박피할 수 있다.
복수의 박피기들(130)은 프레임(110)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복수의 이송부들(120)을 통하여 이송되는 구근류(10)의 외면을 박피한다. 복수의 박피기들(130) 각각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칼날부들(132)을 포함한다. 구근류(10)의 상기 외면은 복수의 이송부들(120)을 통하여 구근류(10)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칼날부들(132)에 의하여 박피된다. 칼날부(132a, 132b)는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칼날체 설치부(135) 및 일측이 칼날체 설치부(135)와 회동축(136) 및 제2탄성체(137)를 통하여 탄성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칼날체(138)를 포함한다. 칼날체(138)의 타측에는 구근류(1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된 칼날(138a)이 형성되며, 칼날(138a)은 회동축(136)과 제2탄성체(137)에 의하여 구근류(10)의 상기 외면에 밀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박피기(130)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박피기(130)는 칼날체 설치부(135)를 통하여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칼날체 설치부(135)로부터는 회동축(136)이 연장된다. 회동축(136)은 칼날체(138)의 회동축 관통부(138b)를 통과하여 제2탄성체 고정부(137a) 및 칼날체 초기 위치 설정부(139)와 연결된다. 칼날체(138)는 회동축 관통부(138b)를 통하여 회동축(136)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축(136)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제2탄성체(137)의 일단은 제2탄성체 고정부(137a)에 고정되며, 타단은 칼날체(138) 표면에 배치된다. 칼날체(138)는 회동축(136)을 중심으로 도면 기준으로 하방으로 제2탄성체(137)에 의하여 전달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하나, 칼날체 초기 위치 설정부(139)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된다. 즉, 칼날체 초기 위치 설정부(139)는 칼날체(138)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구근류(10)가 이송부(120)에 의하여 이송되어 칼날체(138)와 접하면 칼날체(138)는 구근류(10)와의 접촉에 의하여 도면 기준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2탄성체(137)의 탄성력에 의하여 칼날체(138) 즉, 칼날(138a)은 구근류(10)의 외면에 밀착되며 이를 통하여 구근류(10)의 외면을 박피한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칼날체(138)를 회동축(136) 및 제2탄성체(137)와 연결함으로써 구근류(10)의 박피과정에서 탄성 회동할 수 있어 박피 대상인 구근류(1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박피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성에서 개시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구근류(10)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박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의 박피기들(13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박피기-이하 제1박피기라 함-와 복수의 박피기들(130) 중에서 선택되는 다른 한 박피기-이하 제2박피기라 함-는 복수의 이송부들(120)을 통하여 이송되는 구근류(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회전 위상차를 질 수 있다. 상기 제1박피기의 회전 위상차와 상기 제2박피기의 회전 위상차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2박피기는 상기 제1박피기가 박피하지 아니한 상기 구근류의 상기 외면을 박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4의 (a) 및 (b)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류(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이송부들(120) 각각의 전측 또는 후측에는 복수의 박피기들(130)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피기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a)에는 도면을 간략하게 표기하여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로서 박피기(130)가 아닌 칼날(138a)이 표현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박피기(130)가 배치되는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의 (b)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복수의 박피기들(130) 각각은 구근류(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회전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박피기들(130) 각각은 구근류(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프레임(110)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부들(120)에 의하여 이송되는 구근류(10)의 외면은 상기 서로 다른 회전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의 박피기들(130) 각각에 의하여 박피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a)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는 3개의 박피기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맨 좌측의 박피기의 회전 위상차를 기준으로 가운데 박피기는 약 60도의 회전 위상차를 가지고, 우측의 박피기는 약 120도의 회전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송부(120)을 통하여 이송되는 구근류(10)의 표면을 중복 없이 효과적으로 박피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구근류 자동 박피기(100)에 적용되는 박피기(13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박피기(130)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각각의 박피기(130) 간의 회전 위상차 즉,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구근류의 외면을 효과적으로 박피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동력기(140)는 외부 전원에 의하여 회전력을 생성한다. 동력기(140)는 예로서 전기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50)는 동력기(140)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을 복수의 이송부들(120)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150)는 복수의 이송부들(120) 중에서 서로 인접하는 이송부들-이하 제1이송부 및 제2이송부라 함- 중 상기 제1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동력기(140)는 상기 제1이송부에 직접 또는 상기 제1이송부에 인접한 추가적인 이송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이송부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는 동력전달부(150)를 통하여 상기 제1이송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이송부들(120)은 하나의 동력기(1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50)는 예로서 벨트 또는 체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150)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들(122)-이하 제1롤러(122a) 및 제2롤러(122b)라 함- 중 제1롤러(122a)는 일측이 제1롤러(122a)의 제1플레이트(124)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전축(160)과 제1플레이트(124)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롤러(122a)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다. 제2롤러(122b)는 일측이 제2롤러(122b)의 제1플레이트(124)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회전축(170)과 제1플레이트(124)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롤러(122b)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다. 제1회전축(160)의 타측에는 동력기(140)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제1회전축(160)을 통하여 제1롤러(122a)를 회전시키는 제1풀리(16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축(160)의 상기 타측 및 제2회전축(170)의 타측에는 각각 제1기어(162) 및 제2기어(172)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어(162) 및 제2기어(172)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제1풀리(164)가 동력기(140)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할 때 제1롤러(122a) 및 제2롤러(122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벨트(150)는 상기 제1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의 상기 제1풀리 및 상기 제2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의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가 상기 동력기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구근류(10)가 상기 제1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동력전달부(150)는 체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1풀리(164)는 상기 체인과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돌기는 가지는 기어형상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인은 상기 제1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의 상기 기어형상의 구조물 및 상기 제2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의 상기 기어형상의 구조물과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가 상기 동력기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구근류(10)가 상기 제1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50)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들(122)-이하 제1롤러(122a) 및 제2롤러(122b)라 함- 중 제1롤러(122a)는 일측이 제1롤러(122a)의 제1플레이트(124)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롤러(122b)는 일측이 제2롤러(122b)의 제1플레이트(124)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축(160)의 타측에는 동력기(140)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제1회전축(160)을 통하여 제1롤러(122a)를 회전시키는 제1스프라켓(16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회전축(170)의 타측에는 동력기(140)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제2회전축(170)을 통하여 제2롤러(122b)를 회전시키는 제2스프라켓(17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프라켓(164’) 및 제2스프라켓(17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와 상기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한 기어의 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을 체인을 통하여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롤러(122a) 및 제2롤러(122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스프라켓(164’) 및 제2스프라켓(174’)은 각각 풀리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인도 벨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된 제1기어(162), 제1풀리(164) 및 제2기어(172)를 가지는 이송부(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회전축(160)의 상기 일측 및 제2회전축(170)의 상기 일측은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각각 제1롤러(122a)의 제1플레이트(124) 및 제2롤러(122b)의 제1플레이트(124)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기어(162), 제1풀리(164) 및 제2기어(172)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박피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에 의한 제1기어(162), 제1풀리(164) 및 제2기어(172)의 오염,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기어(162), 제1풀리(164) 및 제2기어(172)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세척부(180)는 복수의 박피기들(130)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박피기들(130)에 의하여 박피된 구근류(10)의 외피를 구근류(10)의 박피된 상기 외면에서 씻어내거나 구근류(10)의 박피된 상기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액을 제공한다. 도 1에는 맨 끝단에 배치된 하나의 세척부(18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세척부(180)는 박피기(130)에 인접하여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구근류
100 : 구근류 자동 박피기
110 : 프레임
120 : 복수의 이송부들
122 : 한 쌍의 롤러들
122a : 제1롤러
122b : 제2롤러
124 : 제1플레이트
126 : 제2플레이트
128, 128' : 제1탄성체
130 : 복수의 박피기들
132 : 한 쌍의 칼날부들
132a : 제1칼날부
132b : 제2칼날부
135 : 칼날체 설치부
136 : 회동축
137 : 제2탄성체
137a : 제2탄성체 고정부
138 : 칼날체
138a : 칼날
138b : 회동축 관통부
139 : 칼날체 초기 위치 설정부
140 : 동력기
150 : 동력전달부
160 : 제1회전축
162 : 제1기어
164 : 제1풀리
170 : 제2회전축
172 : 제2기어
180 : 세척부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구근류를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부들; 및
    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의 외면을 박피하는 복수의 박피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 각각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근류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과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이송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체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1탄성체의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부위의 스프링 상수 보다 큰 값을 가져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는 상기 제1탄성체의 상기 중심부 또는 상기 중심부에 인접한 상기 부위에 밀착되어 이송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판스프링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판스프링들 중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판스프링들-이하 제1판스프링 및 제2판스프링이라 함- 중 상기 제1판스프링의 측면 또는 상기 제2판스프링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상기 구근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근류의 표면을 압박하여 상기 구근류가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 각각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칼날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근류의 상기 외면은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상기 구근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칼날부들에 의하여 박피되며,
    상기 칼날부는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칼날체 설치부; 및
    일측이 상기 칼날체 설치부와 회동축 및 제2탄성체를 통하여 탄성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칼날체를 포함하되,
    상기 칼날체의 타측에는 상기 구근류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된 칼날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은 상기 회동축과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구근류의 상기 외면에 밀착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박피기-이하 제1박피기라 함-와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 중에서 선택되는 다른 한 박피기-이하 제2박피기라 함-는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을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의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회전 위상차를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박피기의 회전 위상차와 상기 제2박피기의 회전 위상차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2박피기는 상기 제1박피기가 박피하지 아니한 상기 구근류의 상기 외면을 박피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의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 각각의 전측 또는 후측에는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피기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 각각은 상기 구근류의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회전 위상차를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구근류의 상기 외면은 상기 서로 다른 회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 각각에 의하여 박피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하여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기; 및
    상기 동력기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이송부들 중에서 서로 인접하는 이송부들-이하 제1이송부 및 제2이송부라 함- 중 상기 제1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동력기는 상기 제1이송부에 직접 또는 상기 제1이송부에 인접한 추가적인 이송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이송부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제1이송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들-이하 제1롤러 및 제2롤러라 함- 중 상기 제1롤러는 일측이 상기 제1롤러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롤러는 일측이 상기 제2롤러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의 타측에는 상기 동력기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풀리가 배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의 상기 타측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타측에는 각각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배치되되,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풀리가 상기 동력기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벨트는 상기 제1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의 상기 제1풀리 및 상기 제2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의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이송부의 상기 제1롤러가 상기 동력기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구근류가 상기 제1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박피기들에 의하여 박피된 상기 구근류의 외피를 상기 구근류의 박피된 상기 외면에서 씻어내거나 상기 구근류의 박피된 상기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액을 제공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구근류 자동 박피기.
KR1020150149238A 2015-10-27 2015-10-27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KR101887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38A KR101887372B1 (ko) 2015-10-27 2015-10-27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38A KR101887372B1 (ko) 2015-10-27 2015-10-27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56A true KR20170048756A (ko) 2017-05-10
KR101887372B1 KR101887372B1 (ko) 2018-08-10

Family

ID=5874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238A KR101887372B1 (ko) 2015-10-27 2015-10-27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3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6874A (zh) * 2017-06-23 2017-09-15 长沙联博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不规则甘蔗的削皮机构
KR20180121186A (ko) * 2017-04-28 2018-11-07 정연선 근채류 탈피장치
KR20180138045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엘리트식품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KR101989508B1 (ko) 2018-04-27 2019-06-14 티이티 주식회사 무 박피장치
CN110200297A (zh) * 2019-07-19 2019-09-06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柱状食材削皮设备
KR102063251B1 (ko) * 2018-07-24 2020-01-07 김영길 우엉 박피세척장치
CN114947146A (zh) * 2022-05-28 2022-08-30 安徽工程大学 一种全自动山药削皮机及其自适应调节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676B1 (ko) 2021-05-27 2022-01-24 박수학 무 탈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5980A (ja) * 1985-06-12 1986-12-16 Iseki & Co Ltd 大根等根菜類の剥皮装置
JP3037100U (ja) * 1996-10-22 1997-05-06 欽矢 稲垣 牛蒡皮むき機
KR200313057Y1 (ko) * 2003-02-21 2003-05-16 김재동 마늘쪽 분리기
KR20100009127U (ko) * 2009-03-09 2010-09-17 김용만 과일제피기의 컷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100B2 (ja) * 1995-03-27 2000-04-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5980A (ja) * 1985-06-12 1986-12-16 Iseki & Co Ltd 大根等根菜類の剥皮装置
JP3037100U (ja) * 1996-10-22 1997-05-06 欽矢 稲垣 牛蒡皮むき機
KR200313057Y1 (ko) * 2003-02-21 2003-05-16 김재동 마늘쪽 분리기
KR20100009127U (ko) * 2009-03-09 2010-09-17 김용만 과일제피기의 컷팅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186A (ko) * 2017-04-28 2018-11-07 정연선 근채류 탈피장치
KR20180138045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엘리트식품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CN107156874A (zh) * 2017-06-23 2017-09-15 长沙联博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不规则甘蔗的削皮机构
KR101989508B1 (ko) 2018-04-27 2019-06-14 티이티 주식회사 무 박피장치
KR102063251B1 (ko) * 2018-07-24 2020-01-07 김영길 우엉 박피세척장치
CN110200297A (zh) * 2019-07-19 2019-09-06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柱状食材削皮设备
CN114947146A (zh) * 2022-05-28 2022-08-30 安徽工程大学 一种全自动山药削皮机及其自适应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372B1 (ko)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72B1 (ko)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KR960001834B1 (ko) 신선한 과일의 박피 장치 및 방법
KR101774998B1 (ko)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101545165B1 (ko)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CN106889633B (zh) 一种核果切片加工方法
CN107373697B (zh) 一种甘蔗加工方法
KR101832391B1 (ko) 무 껍질 제거장치
CN104255892A (zh) 烤肠切花机
MXPA06013319A (es) Aparato para pelar aguacates.
EP0174697B1 (en) Appliance for the alignment of onions or other vegatable bulbs
KR101666145B1 (ko) 껍질 제거 장치
US5196222A (en) Method for peeling fresh fruit
KR100840693B1 (ko) 과실가공 시스템
JP4830004B2 (ja) 棒状野菜の皮剥き装置
WO2017169407A1 (ja) 根菜類などの皮むき装置
KR101067667B1 (ko) 수확된 양파의 줄기를 자동으로 절단해 주는 장치
CN104287056A (zh) 芡实籽粒脱壳机
KR20170133764A (ko) 수직형 마늘 탈피장치
KR102084069B1 (ko) 아몬드 가공방법 및 아몬드 내피 탈피장치
CN107048447A (zh) 一种毛豆剥壳装置
CN207626445U (zh) 全自动炸油条炸麻花一体机
CN206963939U (zh) 柚子深加工机
KR101706572B1 (ko) 덩이 형태의 피성형물 성형장치
KR101996556B1 (ko) 양파 탈피장치
KR101942909B1 (ko) 근채류 탈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