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075A - 자동 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075A
KR20170046075A KR1020160130449A KR20160130449A KR20170046075A KR 20170046075 A KR20170046075 A KR 20170046075A KR 1020160130449 A KR1020160130449 A KR 1020160130449A KR 20160130449 A KR20160130449 A KR 20160130449A KR 20170046075 A KR20170046075 A KR 2017004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mmunication hole
final gear
lubricating oil
horizont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528B1 (ko
Inventor
마사루 고토우
가즈야 후쿠다
도모히로 우타가와
마사시 이이다
야스히로 가와치
히로시 오노
유지 아이다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기어의 교반 저항을 저감시킨다.
변속기 케이스(10)와, 변속기 케이스(10)의 개구를 밀봉하는 커버(80)를,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축 방향에서 조립하여, 축선 X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변속기 케이스(10)의 벽부(61)와 커버(80)의 벽부(81)의 사이에, 파이널 기어 F를 수용하는 수용실 S를 형성한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벽부(61)와 벽부(81)의 파이널 기어 F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연직선 VL에 직교함과 함께 파이널 기어 F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HL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실 S 내의 연직선 VL 방향에 있어서의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의 영역의 용적이,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의 영역의 용적보다도 작아지게 되도록, 수용실 S 내로 팽출하는 덧댐부(65, 85)를 벽부(61)와 커버(80)에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가 구비하는 기어(파이널 기어)의 교반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기어의 근방에 배플 플레이트를 별도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3-113303호 공보
그러나, 배플 플레이트와 같은 부품을 별도 설치하는 것은, 자동 변속기의 제작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최근 부품 개수의 삭감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하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기어의 교반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어와,
상기 기어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갖는 자동 변속기이며,
상기 수용실은, 상기 기어의 축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기어를 사이에 두도록 설치된 한 쌍의 벽부를 갖고,
중력 방향의 연직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기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수평선으로 했을 때, 상기 한 쌍의 벽부는, 상기 수평선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실의 영역의 용적이, 상기 수평선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실의 영역의 용적보다도 작아지게 되도록 설치된 융기부를 갖는 구성의 자동 변속기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융기부를 설치하여, 중력 방향의 연직선과 직교함과 함께 기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선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실의 영역의 용적이, 상기 수평선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실의 영역의 용적보다도 작아지도록 하였으므로, 수용실의 수평선보다도 하측에서의 윤활유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배플 플레이트 등의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기어가 회전할 때의 교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변속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와 파이널 기어의 수용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부 영역에 덧댐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와 파이널 기어의 수용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변속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파이널 기어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윤활유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파이널 기어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윤활유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파이널 기어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윤활유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융기부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변속기 케이스(10)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변속기 케이스(10)를 풀리 실(20)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b)는, 변속기 케이스(10)를 풀리 실(20)과는 반대측(도시하지 않은 토크 컨버터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주위 벽부(12)의 내측에 위치하는 밸브 수용부(30)와, 설치부(40)와, 클러치 수용부(50)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의 (a)에서는, 주위 벽부(11)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주위 벽부(11)에 해칭을 넣어 나타내고 있으며, (b)에서는, 주위 벽부(12)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주위 벽부(12)에 해칭을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와, 파이널 기어 F의 수용실 S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도 1의 (b)에 있어서의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 주위의 확대도이며, (b)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며, 수용실 S의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변속기 케이스(10)와, 변속기 케이스(10)의 개구를 밀봉하는 커버(80)(토크 컨버터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실 S의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파이널 기어 F의 수용실 S에 덧댐부(65)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A) 주위의 확대도이며, (b)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며, 수용실 S의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수용실 S의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의 (b), (c), 도 3의 (b), (c)에서는, 수용실 S 내에 배치되는 파이널 기어 F와, 파이널 기어 F가 외주에 고정된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 D의 일부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변속기 케이스(10)를 도시하지 않은 오일 팬측의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며, 프라이머리 풀리 수용부(21)와 세컨더리 풀리 수용부(22)의 저벽부(21a, 22a)와, 프라이머리 풀리 수용부(21)의 측벽부(221)를 은선(隱線)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도, 밸브 수용부(30)의 주위 벽부(13)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주위 벽부(13)에 해칭을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에서는, 토크 컨버터(도시생략)와는 반대측의 면에, 풀리 실(20)이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다.
풀리 실(20)은, 축 방향에서 볼 때 환상의 주위 벽부(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주위 벽부(11)의 내측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도시생략)의 수용부[프라이머리 풀리 수용부(21)]와, 세컨더리 풀리(도시생략)의 수용부[세컨더리 풀리 수용부(22)]가, 변속기 케이스(10)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 수용부(21)의 저벽부(21a)는, 프라이머리 풀리의 도시하지 않은 가동 원추판의 축선 X1 방향의 스트로크 폭을 확보하기 위해서, 세컨더리 풀리 수용부(22)의 저벽부(22a)보다도 지면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저벽부(21a, 22a)는, 축선 X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2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풀리 실(20)과는 반대측의 면(도시하지 않은 토크 컨버터측의 면)에는, 변속기 케이스(10)의 외주를 전체 주위에 걸쳐 둘러싸는 환상의 주위 벽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주위 벽부(12)의 내측에서는, 밸브 수용부(30)와, 오일 펌프(도시생략)의 설치부(40)와, 부변속 기구(도시생략)의 클러치 수용부(50)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가 위치하고 있다.
설치부(40)의 상측에는, 프라이머리 풀리의 입력축(도시생략)을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 구멍(40b)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부(40)의 하측에는, 컨트롤 밸브 바디(도시생략)를 수용하는 밸브 수용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 수용부(30)는, 도면 중 하측에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 수용부(30)는, 상기한 프라이머리 풀리 수용부(21)와의 구획벽으로 되는 저벽부(21a)보다도, 도 1의 (b)에 있어서의 지면 안쪽으로 팽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변속기 케이스(10)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 수용부(21)의 하부에 밸브 수용부(30)의 안쪽이 위치하고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삽입 관통 구멍(40b)의 좌측에 위치하는 클러치 수용부(50)는, 세컨더리 풀리 수용부(22)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클러치 수용부(50)는, 세컨더리 풀리 수용부(22)의 저벽부(22a)로부터 지면 바로 앞쪽으로 돌출하여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클러치 수용부(50)의 지면 앞쪽(토크 컨버터측)의 하부에는, 파이널 기어 F를 수용하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는, 도 1의 (b)에 있어서의 지면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주위 벽부(12)에 있어서의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외주를 규정하는 주연부(121)의 내측에, 파이널 기어 F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 내에 있어서 파이널 기어 F는, 프라이머리 풀리(도시생략) 및 세컨더리 풀리(도시생략)의 회전축(축선 X1, X2)에 대하여 평행한 축선 X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파이널 기어 F는, 세컨더리 풀리의 출력 회전이 도시하지 않은 리덕션 기어를 개재해서 입력되면, 도시하지 않은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도면 중 화살표 참조).
도 2의 (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에 있어서 밸브 수용부(30)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안쪽까지 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면에는, 밸브 수용부(30)가 개구하고 있으며, 밸브 수용부(30)를 구획 형성하는 주위 벽부(13)의 내측에는, 컨트롤 밸브 바디(도시생략)의 설치부(31, 32, 33)가, 지면 앞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측에서 볼 때, 밸브 수용부(30)의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측의 측벽부(301)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중앙 개구(61a)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안쪽 벽부(61)에서는, 밸브 수용부(30) 근처이며, 안쪽에 밸브 수용부(30)가 위치하는 부분에 연통 구멍(62, 63)이 설치되어 있으며,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와 밸브 수용부(30)가 연통 구멍(62, 63)을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연통 구멍(62)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축(축선 X3)보다도 연직선 VL 방향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하지 않을 때의 변속기 케이스(10) 내에서의 윤활유의 높이보다도 하측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는, 연통 구멍(62)을 통해 밸브 수용부(30)에 연통하고 있으며,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이 주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 내의 윤활유의 높이가, 밸브 수용부(30) 내의 윤활유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되어 있다.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연통 구멍(63)(제2 연통 구멍)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축(축선 X3)보다도 연직선 VL 방향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하지 않을 때의 변속기 케이스(10) 내에서의 윤활유의 높이보다도 상측이며, 밸브 수용부(30)와 풀리 실(20)의 경계를 이루는 주위 벽부(11)[도 2의 (a) 참조]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지면 안쪽의 벽부(61)에서는,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중앙 개구(61a)의 중심(축선 X3)을 통과하는 연직선 VL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의 소정 영역에, 덧댐부(65)[융기부(단차부)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의 (a)에 있어서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덧댐부(65)는, 벽부(61)로부터 지면 앞쪽으로 팽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중앙 개구(61a)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덧댐부(65)는, 중앙 개구(61a)의 내주를 따르는 호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중앙 개구(61a)의 근방에서,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외주를 규정하는 원호 형상의 주연부(121)의 근방까지 달하여 형성되어 있다.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덧댐부(65)는, 중앙 개구(61a)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VL을 기준으로 하여,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도면 중 좌측)의 각도 범위 θ2의 쪽이, 상류측(도면 중 우측)의 각도 범위 θ1보다도 커지게 되어 있다(θ2>θ1).
이 상태에 있어서,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덧댐부(65)의 한쪽의 측연부(651)는, 중앙 개구(61a)의 중심을 통과함과 함께, 연직선 VL에 직교하는 수평선 HL보다도, 도면 중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 쪽의 측연부(652)는, 수평선 HL보다도, 도면 중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덧댐부(65)는,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선 VL보다도 하류측의 길이 L2 쪽이, 상류측의 길이 L1보다도,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있다.
이것은, 윤활유는,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의해 연직선 VL보다도 하류측으로 이동하므로,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가 많이 존재하는 영역의 쪽에 덧댐부(65)를 설치함으로써, 필요가 없는 영역까지 덧댐부(65)가 설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변속기 케이스(10)의 중량 증가를 최소로 억제하기 때문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이 덧댐부(65)는, 벽부(61)의 일부 영역 축선 X3 방향의 두께 Wa를 두껍게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도 2의 (c) 참조], 이 덧댐부(65)의 파이널 기어 F와의 대향면(65a)은, 파이널 기어 F의 축선 X3 방향의 측면(연직선 VL)에 대하여 평행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기 케이스(10)의 토크 컨버터측의 개구를, 커버(80)에 의해 밀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커버(80)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사이에, 파이널 기어 F를 수용하는 수용실 S가 형성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80)에 있어서의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와 대향하는 영역에,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덧댐부(65)와 거의 정합하는 형상의 덧댐부(8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덧댐부(85)도 또한, 커버(80)의 벽부(81)의 일부 영역의 축선 X3 방향의 두께 Wb를 두껍게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덧댐부(85)의 파이널 기어 F와의 대향면(85a)은, 파이널 기어 F의 축선 X3 방향의 측면(연직선 VL)에 대하여 평행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파이널 기어 F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덧댐부(65, 85)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실 S(공간)에 수용되어 있으며, 덧댐부(65, 85)에 의해 수용실 S의 용적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최소의 용적이 되도록, 덧댐부(65, 85)의 두께 Wa, Wb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있어서,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벽부[벽부(61) 및 벽부(81)]와 파이널 기어 F와의 클리어런스 CL은,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벽부[벽부(61) 및 벽부(81)]와 파이널 기어 F와의 클리어런스 CL보다도 좁아지도록 융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실 S의 영역(공간)의 용적은,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수용실 S의 영역(공간)의 용적보다도 작아지도록 융기부가 설치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댐부(65)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벽부(61)와의 경계를 규정하는 덧댐부(65)의 측연부(651)는,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축선 X3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경선 Lm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윤활유 OL, OL2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덧댐부(65)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되는 윤활유 OL, OL2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를 토크 컨버터(도시생략)측에서 본 확대도이며,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댐부(65)의 측연부(651)는, 회전하는 파이널 기어 F에 의해 연통 구멍(62)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되는 윤활유 OL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을 따르는 윤활유 OL의 흐름이, 이 측연부(651)에 의해 저해되도록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측연부(651)가 위치하는 직경선 Lm 위에, 상기한 연통 구멍(62)이 위치하고 있으며, 측연부(651)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의 근방 영역에는, 연통 구멍(62)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벽부로 되는 오목부(65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측연부(651)에 의해 이동이 저해된 윤활유 OL은, 측연부(651)를 따라 연통 구멍(62)측에 거의 강제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덧댐부(65)에 연통 구멍(62)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부(65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통 구멍(62)의 주연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벽부(61)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통 구멍(62)을 향해서 이동한 윤활유 OL은, 연통 구멍(62)의 주위의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균등하게 연통 구멍(62)으로 유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윤활유 OL의 대부분이, 연통 구멍(62)측으로 유도된 다음, 연통 구멍(62)을 통과하여, 밸브 수용부(30)측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버(80)의 덧댐부(85)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덧댐부(65) 사이의 수용실 S 내에 유입되는 윤활유 OL의 양을 적게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보다도 상류측에는, 연통 구멍(62)의 내경 D1보다도 큰 내경 D2의 연통 구멍(63)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통 구멍(63)의 개구 면적은 연통 구멍(62)의 개구 면적보다도 커지게 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63)은, 연통 구멍(62)보다도 축선 X3측(내경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선 X3을 기준으로 하여 연통 구멍(63)의 외경측에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와 밸브 수용부(30)를 구획하는 구획벽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벽부(122)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외주를 규정하는 주연부(121)의 연장선 위를 호 형상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파이널 기어 F에 의해 쓸어 올려져 도면 중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 OL2가, 설치부(4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벽부(122)에서 진행 방향이 굽어진 윤활유 OL2의 이동선 위에 위치하도록, 연통 구멍(63)이 설치되어 있으며, 파이널 기어 F에 의해 쓸어 올려진 다음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 내를 향해 낙하(이동)하는 윤활유 OL2의 대부분을, 연통 구멍(63)을 통해 밸브 수용부(30)측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은, 연통 구멍(62A)이 덧댐부(65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윤활유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를 토크 컨버터(도시생략)측에서 본 확대도이며,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의 토크 컨버터측의 개구를, 커버(80)에 의해 밀봉하면,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와 커버(80)의 사이에 파이널 기어 F를 수용하는 수용실 S가 형성된다.
여기서,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와 커버(80)에서는, 파이널 기어 F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벽부(61, 81)의 축선 X3 방향의 두께 Wa, Wb를 두껍게 하여 형성한 덧댐부(65, 8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실 S 내의 덧댐부(65, 85)가 설치된 영역[도 2의 (c) 참조]에서는, 덧댐부(65, 85)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도 2의 (b) 참조]보다도 용적이 적어지게 되어 있다. 이 덧댐부(65, 85)가 설치된 영역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가 많이 존재하는 영역이므로,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 OL에 기인하여 파이널 기어 F에 작용하는 저항(프릭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이널 기어 F를 수용하는 수용실 S의 용적은, 덧댐부(65, 85)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예의 경우의 수용실 S1[도 3의 (b), (c) 참조]의 용적보다도 작아지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실 S 내에 저류되는 윤활유 OL의 양이, 종래예의 수용실 S1 내에 저류되는 윤활유 OL의 양보다도 적어지므로,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 OL에 기인하여 파이널 기어 F에 작용하는 저항(프릭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하면, 수용실 S 내의 윤활유 OL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도 2의 (a)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쓸어 올려져서,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선 VL보다도 하류측의 쪽에 많은 윤활유 OL이 치우치게 된다.
그로 인해,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덧댐부(65, 85)의 길이를,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선 VL보다도 하류측의 쪽의 길이 L2가, 상류측의 쪽의 길이 L1보다도 길어지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많은 윤활유 OL이 존재하게 되는 영역(수용실 S)의 용적이, 확실하게 좁아지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 OL에 기인하여 파이널 기어 F에 작용하는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연직선 VL은,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연직선 VL이다.
파이널 기어 F에 의해 쓸어 올려진 윤활유는, 최종적으로,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상측을 통과하여, 밸브 수용부(30)측(도면 중 우측)으로 낙하한다[도 5의 (a) 참조].
여기서, 실시 형태에서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설치부(40)측[도 5의 (a)에 있어서의 우측]에, 연통 구멍(62, 6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연통 구멍(62, 63)은 밸브 수용부(30)에 연통하고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연통 구멍(63)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설치부(40)측으로 낙하한 윤활유 OL2는, 연통 구멍(62)보다도 먼저 연통 구멍(63)에 도달하여, 연통 구멍(63)으로부터 밸브 수용부(30) 내로 배출되게 된다[도 4, 도 5의 (a) 참조].
또한, 축선 X3을 기준으로 한 연통 구멍(63)의 외경측에 구획벽부(122)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 구획벽부(122)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바뀐 윤활유 OL2도 또한, 연통 구멍(63)을 통과하여 밸브 수용부(30) 내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 구멍(63)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윤활유 OL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3)의 하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여기서, 연통 구멍(63)의 하류측에는, 상기한 덧댐부(65)의 측연부(651)이 윤활유 OL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을 따르는 윤활유 OL의 흐름이, 이 측연부(651)에 의해 저해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축선 X3을 기준으로 한 측연부(651)의 외경 근처의 위치에, 연통 구멍(62)이 설치되어 있으며, 측연부(651)에 의해 이동이 저해된 윤활유 OL은, 측연부(651)를 따라 연통 구멍(62)측으로, 거의 강제적으로 유도되어, 연통 구멍(62)으로부터 밸브 수용부(30)측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덧댐부(65)의 측연부(651)에는, 연통 구멍(62)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부(651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통 구멍(62)으로 유도된 윤활유 OL은, 연통 구멍(62)의 주위의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균등하게 연통 구멍(62)으로 유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5의 (b), (c) 참조].
이에 의해,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윤활유 OL의 대부분이, 연통 구멍(62)측으로 유도된 다음, 연통 구멍(62)을 통과하여, 밸브 수용부(30)측으로 거의 강제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커버(80)의 덧댐부(85)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덧댐부(65) 사이의 수용실 S 내에 유입되는 윤활유 OL의 양을 적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에 기인하여 파이널 기어 F에 작용하는 저항(프릭션)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연통 구멍(62)은,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하지 않을 때의 변속기 케이스(10) 내에서의 윤활유 OL의 높이보다도 하측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이널 기어 F가 고속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변속기 케이스(10) 내의 윤활유의 높이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덧댐부(65)의 측연부(651)에 의해, 윤활유 OL이 연통 구멍(62)으로부터 밸브 수용부(30)측으로 거의 강제적으로 배출되므로, 이 윤활유 OL의 흐름에 의해, 밸브 수용부(30)측으로부터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측으로 윤활유 OL의 유입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수용실 S 내에 저류되는 윤활유의 양을 저감시키고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62)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부(651a)를 덧댐부(65)에 설치함으로써,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벽부(61)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의 깊이가 얕아지게 되어 있다[도 5의 (b) 참조].
그로 인해, 연통 구멍(62)에 도달한 윤활유 OL은, 연통 구멍(62)을 통과하여 신속하게 밸브 수용부(30)측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62A)이 덧댐부(65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늘고 긴 연통 구멍(62A)이 덧댐부(65A)의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
그렇게 하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수용실 S[도 7의 (b), (c) 참조] 내가 부압으로 되기 때문에, 소위 스트로우 효과가 발휘되어, 밸브 수용부(30) 내의 윤활유 OL이, 수용실 S 내에 인입되어버린다.
그리고, 스트로우 효과가 발휘되면, 밸브 수용부(30) 내의 윤활유 OL이 수용실 S 내에 연속적으로 흡입되어버리므로, 수용실 S 내의 윤활유 OL의 총량이 과대하게 되어버린다.
그렇게 하면, 수용실 S 내의 윤활유 OL의 총량이 과대하게 된 상태에서,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하면, 과대하게 존재하는 윤활유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대한 작용하는 저항(프릭션)으로 되어버린다.
그로 인해,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62)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부(651a)를 덧댐부(65)에 설치함으로써,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벽부(61)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의 깊이를 얕게 함으로써, 스트로우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1) 변속기 케이스(10)와, 변속기 케이스(10)의 토크 컨버터(도시생략)측의 개구를 밀봉하는 커버(80)를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축(축선 X3) 방향으로 조립하여, 축선 X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변속기 케이스(10)의 벽부(61)와 커버(80)의 벽부(81)의 사이에, 파이널 기어 F를 수용하는 수용실 S를 형성한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벽부(61)와 벽부(81)의 파이널 기어 F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연직선 VL에 직교함과 함께 파이널 기어 F의 중심(축선 X3)을 통과하는 수평선 HL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실 S 내의 연직선 VL 방향에 있어서의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의 영역의 용적이,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의 영역의 용적보다도 작아지도록, 수용실 S 내로 팽출하는 덧댐부(65, 85)를 벽부(61)와 커버(80)에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덧댐부(65, 85)가 설치된 영역은 윤활유가 모이는 영역이므로, 이 영역 내의 윤활유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 OL에 기인하여 파이널 기어 F에 작용하는 저항(프릭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 덧댐부(65, 85)는, 수용실 S의 축선 X3 방향의 간격이며 연직선 VL 방향에 있어서의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의 영역에서의 간격을,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의 영역에서의 간격보다도 좁게 하여, 수평선 HL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벽부(61, 81)와, 파이널 기어 F와의 클리어런스 CL, CL이, 수평선 HL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벽부(61, 81)와, 파이널 기어 F와의 클리어런스 CL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이널 기어 F를 축선 X3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설치된 한 쌍의 벽부(61, 81)에서는, 파이널 기어 F와 덧댐부(65, 85)의 축선 X3 방향에서의 클리어런스 CL은, 연직선 VL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에서의 클리어런스 CL의 쪽이, 상측에서의 클리어런스 CL보다도 좁아지게 된다.
디퍼렌셜 기어의 교반 프릭션은 회전체와 기름의 접촉 면적에 상관이 있다. 디퍼렌셜 기어 수용실(60)의 기름이 없는 기층 영역이 많을수록 교반 프릭션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용적 채움을 함으로써, 수용실 S의 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 레벨(유면 높이)을 내릴 수 있어, 디퍼렌셜 기어의 교반 프릭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디퍼런셜 기어의 외주에 고정된 파이널 기어 F가 축선 X3 주위로 회전할 때 수용실 S 내의 윤활유(오일)의 양이 많아질수록,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대한 저항(프릭션)이 커진다. 그리고, 수용실 S 내의 윤활유는, 연직선 VL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에 모이므로, 벽부(61)와 벽부(81)의 파이널 기어 F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연직선 VL 방향을 기준으로 한 하측의 영역에, 수용실 S 내로 팽출하는 덧댐부(65, 85)를 설치하여, 수용실 S의 연직선 VL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의 영역에서의 용적을, 상측의 영역에서의 용적보다도 작게 하는 용적 채움을 함으로써, 수용실 S 내에 저류되는 윤활유의 총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이널 기어 F가 축선 X3 주위로 회전할 때 수용실 S 내의 윤활유로부터 받는 저항이 작아지게 되므로,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서의 연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3)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축(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덧댐부(65, 85)는,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을 따르는 호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파이널 기어 F의 중심(축선 X3)을 통과하는 중력 방향의 연직선 VL을 기준으로 하여,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길이 L1의 쪽이, 하류측의 길이 L2보다도 짧아지게 되도록, 덧댐부(65, 85)의 축선 X3 주위의 연직선 VL을 기준으로 한 각도 θ1, θ2를 설정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덧댐부(65, 85)를 파이널 기어 F의 중심(축선 X3)을 통과하는 중력 방향의 연직선 VL로 분할했을 때,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면적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면적보다도 커지게 되므로, 파이널 기어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덧댐부(65, 85)를 비대칭으로 설치함으로써, 교반 저항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하면, 수용실 S 내의 윤활유 OL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도 2의 (a)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쓸어 올려져서,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선 VL보다도 하류측의 쪽에 많은 윤활유 OL이 치우치게 된다.
그로 인해,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덧댐부(65, 85)의 길이를,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선 VL보다도 하류측의 쪽의 길이 L2가, 상류측의 쪽의 길이 L1보다도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 OL에 기인하여 파이널 기어 F에 작용하는 저항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4) 변속기 케이스(10)에서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벽부(61)에,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와 밸브 수용부(30)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62)이 설치되어 있으며,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연통 구멍(62)은, 축선 X3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경선 Lm을 따라 설치된 덧댐부(65)의 측연부(651)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덧댐부(65)에서는, 측연부(651)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의 근방 영역에는, 연통 구멍(62)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벽부로 되는 오목부(651a)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벽부(61)는,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연통 구멍(62)을 갖고 있으며, 덧댐부(65)는,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연통 구멍(62)과 겹치는 위치에 오목부(651a)를 갖고 있게 된다.
덧댐부(65)는, 넓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연통 구멍(62)과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시키면, 연통 구멍(62)과 파이널 기어 F의 거리가 가까워짐과 함께, 연통 구멍(62)이 길어지게 된다. 연통 구멍(62)과 파이널 기어 F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부압이 발생해서 윤활유를 인입하게 된다. 또한, 연통 구멍(62)이 길면(터널 형상), 터널 형상에 의한 스트로우 효과에 의해 윤활유를 계속해서 인입하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651a)(스폿 페이싱)를 붙임으로써,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축(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의 광범위에 걸쳐 덧댐부(65)를 설치함으로써, 수용실 S 내에 저류되는 윤활유의 총량을 줄여서, 파이널 기어 F가 회전할 때의 저항(프릭션)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연통 구멍(62)이 덧댐부(65)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가늘고 긴 연통 구멍(62A)이 덧댐부(65A)의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 연통 구멍(62A)은, 파이널 기어 F의 근방에 개구하고 있으며, 파이널 기어 F와의 클리어런스가 좁으므로,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수용실 S[도 7의 (b), (c) 참조] 내가 부압이 되기 때문에, 소위 스트로우 효과가 발휘되어, 밸브 수용부(30) 내의 윤활유 OL이, 수용실 S 내에 인입되어버린다.
그리고, 스트로우 효과가 발휘되면, 밸브 수용부(30) 내의 윤활유 OL이 수용실 S 내에 연속적으로 흡입되어버리므로, 수용실 S 내의 윤활유 OL의 총량이 과대하게 되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대한 작용하는 저항(프릭션)도 또한 과대하게 되어버린다.
그로 인해,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연통 구멍(62)을 덧댐부(65)의 측연부(651)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위치에 설치함과 함께, 덧댐부(65)에, 연통 구멍(62)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부(651a)를 설치하고, 연통 구멍(62)을 향해서 이동한 윤활유 OL이, 연통 구멍(62)의 주위의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균등하게 연통 구멍(62)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로우 효과가 발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용실 S 내의 윤활유 OL의 총량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대한 작용하는 저항(프릭션)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고 있다.
(5) 벽부(61)로부터 수용실 S 내로 팽출하여 형성된 덧댐부(65)의 측연부(651)는, 회전하는 파이널 기어 F에 의해, 연통 구멍(62)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되는 윤활유 OL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연통 구멍(62)은, 축선 X3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경선 Lm을 따라 설치된 덧댐부(65)의 측연부(651)의 외경측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벽부(61)는,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연통 구멍(62)을 갖고 있으며, 덧댐부(65)는 축선 X3 방향에서 볼 때 연통 구멍(62)과 겹치는 위치에 오목부(651a)를 갖고 있으며, 오목부(651a)는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윤활유 OL의 흐름(유류)이, 연통 구멍(62)으로 유도되는 형상으로 된다.
오목부(651a)의 목적은, 연통 구멍(62)과 파이널 기어 F와의 클리어런스를 넓히게 되므로, 그 형상은 이 목적의 범위 내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윤활유 OL의 흐름이 부딪쳐 연통 구멍(62)으로 유도되는 벽이 덧댐부(65)에 형성되도록 가공함으로써, 파이널 기어 F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윤활유의 흐름이 연통 구멍(62)으로 유도되어, 윤활유의 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댐부(65)의 측연부(651)는, 회전하는 파이널 기어 F에 의해, 연통 구멍(62)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되는 윤활유 OL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축선 X3 주위의 주위 방향을 따르는 윤활유 OL의 흐름이, 이 측연부(651)에 의해 저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측연부(651)가 위치하는 직경선 Lm 위에 연통 구멍(62)이 위치하고 있으며, 측연부(651)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의 근방 영역에는, 연통 구멍(62)의 하류측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벽부로 되는 오목부(65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측연부(651)에 의해 이동이 저해된 윤활유 OL은, 측연부(651)를 따라 연통 구멍(62)측으로 거의 강제적으로 이동하므로, 커버(80)의 덧댐부(85)와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의 덧댐부(65) 사이의 수용실 S 내에 유입되는 윤활유 OL의 양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시에, 윤활유에 기인하여 파이널 기어 F에 작용하는 저항(프릭션)이 저감되게 된다.
특히, 연통 구멍(62)은, 파이널 기어 F가 소정의 회전수 미만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변속기 케이스(10) 내에서의 윤활유 OL의 높이보다도 하측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윤활유 OL이, 연통 구멍(62)으로부터 밸브 수용부(30)측으로 거의 강제적으로 배출되므로, 이 윤활유 OL의 흐름에 의해, 밸브 수용부(30)측으로부터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측으로의 윤활유 OL의 유입이 저지되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수용실 S 내에 저류되는 윤활유의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6)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2)보다도 상류측에, 연통 구멍(62)의 내경 D1보다도 큰 내경 D2의 연통 구멍(63)을 설치하고, 연통 구멍(63)의 개구 면적을, 연통 구멍(62)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파이널 기어 F에 의해 쓸어 올려진 다음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 내를 향해서 낙하(이동)하는 윤활유 OL2의 대부분을, 연통 구멍(63)을 통해 밸브 수용부(30)측으로 되돌릴 수 있게 된다.
특히, 축선 X3을 기준으로 한 연통 구멍(63)의 외경측에 구획벽부(122)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 구획벽부(122)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바뀐 윤활유 OL2가, 연통 구멍(63)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보다 많은 윤활유를 밸브 수용부(30) 내로 배출하여, 수용실 S측에 저류되는 윤활유의 양을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연통 구멍(62)의 위치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덧댐부(65)에 연통 구멍(62)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부(651a)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를 토크 컨버터(도시생략)측에서 본 확대도이며,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덧댐부(65)에 연통 구멍(62)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부(651a)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댐부(65)에 오목부(651a)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통 구멍(62)의 중심 C가, 덧댐부(65)의 측연부(651)가 위치하는 직경선 Lm 위로 되는 위치와, 파이널 기어 F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이며 연통 구멍(62)의 외주가 직경선 Lm으로부터 이격되지 않은 위치(도면 중, 가상 원 참조)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연통 구멍(62)을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스트로우 효과를 발생하지 않고, 측연부(651)에서 진행 방향이 변경된 윤활유 OL을, 연통 구멍(62)으로부터 밸브 수용부(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8은, 융기부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벽부(61, 81)의 축선 X3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융기부를 형성한 예(덧댐부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벽부(61, 81)의 두께를 바꾸지 않고 융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 HL보다 하측의 벽부[벽부(61) 및 벽부(81)]가 수평선 HL보다 상측의 벽부[벽부(61) 및 벽부(81)]보다도, 파이널 기어 F를 향해 융기하고 있는(돌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융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즉, 융기부는 당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되며, 형성 방법을 융기시키는 것으로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융기부를 단차부라 칭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융기부를 형성하기 전의 벽부 위치(도 8: 가상선 참조)보다도 수용실 S 내에 오목해진 영역이,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60B)의 벽부(61)와, 커버(80B)의 벽부(81)에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벽부(61, 81)에 있어서의 융기부가 형성하고 있는 영역의 내주면[대향면(61b, 81b)]이 파이널 기어 F의 측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서로 병행하게 배치되고, 수용실 S의 하부측의 용적이 좁아지게 되므로, 상기한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가 파이널 기어 F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어는, 파이널 기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다른 기어이더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룰 수 있는 다양한 변경, 개량이 포함된다.
10: 변속기 케이스
11: 주위 벽부
12: 주위 벽부
13: 주위 벽부
20: 풀리 실
21: 프라이머리 풀리 수용부
21a: 저벽부
22: 세컨더리 풀리 수용부
22a: 저벽부
30: 밸브 수용부
40: 설치부
40b: 삽입 관통 구멍
50: 클러치 수용부
60, 60A, 60B: 디퍼렌셜 기어 수용부
61: 벽부
61a: 중앙 개구
62, 62A: 연통 구멍
63: 연통 구멍
65, 65A: 덧댐부
65a: 대향면
80, 80A, 80B: 커버
81: 벽부
85: 덧댐부
85a: 대향면
121: 주연부
122: 구획벽부
221: 측벽부
301: 측벽부
651: 측연부
651a: 오목부
652: 측연부
C: 중심
CL: 클리어런스
D: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
F: 파이널 기어
HL: 수평선
Lm: 직경선
OL, OL2: 윤활유
S, S1: 수용실
VL: 연직선
X1 내지 X3: 축선

Claims (8)

  1. 기어와,
    상기 기어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갖는 자동 변속기이며,
    상기 수용실은, 상기 기어의 축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기어를 사이에 두도록 설치된 한 쌍의 벽부를 갖고,
    중력 방향의 연직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기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수평선으로 했을 때, 상기 한 쌍의 벽부는, 상기 수평선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실의 영역의 용적이, 상기 수평선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실의 영역의 용적보다도 작아지게 되도록 설치된 융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수평선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벽부와 상기 기어와의 클리어런스가, 상기 수평선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벽부와 상기 기어와의 클리어런스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기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력 방향의 연직선으로 분할했을 때,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면적이, 상기 기어의 상기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면적보다도 커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덧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벽부의 한쪽은, 상기 기어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덧댐부는, 상기 연통 구멍과 겹치는 위치에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벽부의 한쪽은, 상기 기어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융기부는, 상기 연통 구멍과 겹치는 위치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유류가 상기 연통 구멍으로 유도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벽부의 한쪽은, 상기 연통 구멍보다도 상측에 설치된 제2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은 상기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파이널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KR1020160130449A 2015-10-20 2016-10-10 자동 변속기 KR102029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6543A JP6478893B2 (ja) 2015-10-20 2015-10-20 自動変速機
JPJP-P-2015-206543 2015-10-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67A Division KR101896875B1 (ko) 2015-10-20 2018-05-25 자동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075A true KR20170046075A (ko) 2017-04-28
KR102029528B1 KR102029528B1 (ko) 2019-10-07

Family

ID=586662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49A KR102029528B1 (ko) 2015-10-20 2016-10-10 자동 변속기
KR1020180059567A KR101896875B1 (ko) 2015-10-20 2018-05-25 자동 변속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67A KR101896875B1 (ko) 2015-10-20 2018-05-25 자동 변속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78893B2 (ko)
KR (2) KR102029528B1 (ko)
CN (1) CN1069793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3231B (zh) * 2017-11-02 2023-03-31 加特可株式会社 驱动力传递装置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737A (ja) * 2004-08-20 2006-03-02 Mazda Motor Corp 変速機の軸支持構造
KR20070076494A (ko) * 2006-01-17 2007-07-2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차동 하우징
WO2011121861A1 (ja) * 2010-03-31 2011-10-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2013113303A (ja) 2011-11-24 2013-06-1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2559U (ko) * 1987-12-26 1989-07-11
JP2005106178A (ja) * 2003-09-30 2005-04-21 Mazd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JP5158532B2 (ja) * 2010-10-12 2013-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ケース
JP5712156B2 (ja) * 2012-03-28 2015-05-07 ジヤトコ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用鋳型構造及び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
DE102013202594A1 (de) * 2013-02-19 2014-08-21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einrichtung für die Laufräder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737A (ja) * 2004-08-20 2006-03-02 Mazda Motor Corp 変速機の軸支持構造
KR20070076494A (ko) * 2006-01-17 2007-07-2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차동 하우징
WO2011121861A1 (ja) * 2010-03-31 2011-10-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2013113303A (ja) 2011-11-24 2013-06-1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79321A (zh) 2017-07-25
JP2017078459A (ja) 2017-04-27
JP6478893B2 (ja) 2019-03-06
CN106979321B (zh) 2019-11-01
KR20180062445A (ko) 2018-06-08
KR102029528B1 (ko) 2019-10-07
KR101896875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7740B (zh) 挡板和具有该挡板的变速器
US7047927B2 (en) Engine balancer system
US7461720B2 (en) Automatic transmission oil leak prevention device
KR101896875B1 (ko) 자동 변속기
KR20070076494A (ko) 차동 하우징
CN111094800B (zh) 动力传递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797850A (zh) 简单行星减速装置
JP7126801B2 (ja) 潤滑油排出構造
KR102203075B1 (ko) 밀봉 부재
JP6436757B2 (ja) ベアリングの潤滑構造
JP5130924B2 (ja) ギヤユニット及び潤滑油飛散防止方法
KR101547728B1 (ko)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윤활유 배출 구조
US20190085971A1 (en) Lubricant guiding structure i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752678B1 (ko) 트랜스 액슬의 윤활장치
JPH0114472B2 (ko)
CN211501593U (zh) 档板和具有该档板的变速器
US11940043B2 (en) Baffle plate and seal member of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WO2023182448A1 (ja) 動力伝達装置および油圧装置
JPH0638201Y2 (ja) デイフアレンシヤル装置の潤滑機構
JP6991666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6634933B2 (ja) ベーン型圧縮機
JP7077638B2 (ja) 可変オイルポンプ
JP2022011952A (ja) ブリーザ構造
CN117570182A (zh) 集成通气和润滑功能的减速器和新能源车
JP2023116865A (ja) ブリーザ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7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9

Effective date: 2019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