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640A -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 Google Patents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640A
KR20170045640A KR1020150145560A KR20150145560A KR20170045640A KR 20170045640 A KR20170045640 A KR 20170045640A KR 1020150145560 A KR1020150145560 A KR 1020150145560A KR 20150145560 A KR20150145560 A KR 20150145560A KR 20170045640 A KR20170045640 A KR 20170045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paper
pulp
size press
draw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2781B1 (ko
Inventor
임영기
정태영
임건
Original Assignee
무림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림에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무림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7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4Polysaccharides
    • D21H17/28Starch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21H21/20Wet strength agent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은 (S1) 펄프를 펄퍼(pulper)에 투입하고 해리시키는 단계; (S2) 상기 해리된 펄프에 무형광 파지를 혼합하여 지료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지료를 종이층으로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종이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전분 및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사이즈프레스 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S5)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이 도포된 종이층을 건조하여 무형광 도화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METHOD FOR MANUFACTURING NON-FLUORESCENCE DRAWING PAPER AND NON-FLUORESCENCE DRAWING PAPER MANUFACTUR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도화지(스케치북)는 생산 과정 중 다량의 형광염료(Fluorescence dye)와 유색염료(Tinting dye)를 첨가하여 생산하고 있다. 이 중 형광염료는 최종 소비자의 밝은 색상 선호에 따른 종이의 색상(백색도)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하는 원료이다.
그러나, 형광염료는,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장기간 노출되면 두통이 발생하고, 아이들과 여성들의 경우 피부질환 유발 가능성이 있으며, 입을 통해 형광 증백제에 오염된 음식이나 과일 섭취 시 장염이나, 소화기 장애를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어 식품위생법에서도 형광 증백제를 식품에 직접 첨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현재 도화지의 주 사용 연령층은 유아 (1~5세), 아동, 초, 중, 고학생들로 특히 유아, 아동 연령층의 경우 종이를 입에 넣는 습관 및 피부 접촉에 대한 민감성이 높은 연령으로 형광염료의 접촉 위험률이 높다.
또한, 일반 도화지에 사용되는 유색염료(Tinting dye)는 형광염료와 같이 종이 색조를 높이는 원료로 사용되며 식품용에 사용해야 하는 미국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비승인 염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진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06-0133679호는 형광 증백제의 함량이 감소된 제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 펄프에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형광증백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제2004-0011550호는 종이 및 판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TAPPI 백색도가 70 이상인 팽윤 점토를 사용함으로써 종이의 전체 백색도를 향상시키고, 형광증백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은 효소 또는 팽윤 점토를 첨가하여 형광 증백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점은 개시되어 있으나, 종이의 백색도 확보를 위해 여전히 일정량의 형광 증백제의 사용을 수반하거나, 별도의 효소나 팽윤 점토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형광염료를 사용하지 않고, 도화지를 생산하여 피부접촉 및 섭취 시에 안전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6-0133679호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2006.12.27.)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11550호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워터 트리트먼츠 리미티드, 2004.02.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광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안전성이 높은 무형광 도화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S1) 펄프를 펄퍼(pulper)에 투입하고 해리시키는 단계; (S2) 상기 해리된 펄프에 무형광 파지를 혼합하여 지료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지료를 종이층으로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종이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전분 및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사이즈프레스 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S5)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이 도포된 종이층을 건조하여 무형광 도화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또한, 전술한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광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도화지의 생산이 가능하며, 이에 의하여 피부접촉 또는 섭취 시에도 안전한 무형광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른 무형광 도화지와 종래 형광 도화지의 형광 유무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이즈프레스 염료투입 공정 모식도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S1) 펄프를 펄퍼(pulper)에 투입하고 해리시키는 단계; (S2) 상기 해리된 펄프에 무형광 파지를 혼합하여 지료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지료를 종이층으로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종이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전분 및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사이즈프레스 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S5)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이 도포된 종이층을 건조하여 무형광 도화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이전에 공정 설비의 형광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공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 설비란, 상기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중 사용되는 기계 장치, 설비 또는 배관 라인을 일컫는다. 예컨대, 상기 공정 설비는 펄퍼, 혼합부(mixing), 저장부(storage), 와이어 파트, 사이즈 프레스 투입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형광 도화지 제조 공정 전에 상기 클리닝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공정 상 유입될 수 있는 형광 물질을 미연에 제거하여 형광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무형광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클리닝 공정은 상기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중 사용되는 모든 설비 또는 배관 라인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펄프(pulp)란, 기계적, 화학적 또는 그 중간 방법을 통해 목재나 그 밖의 섬유식물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 섬유의 집합체를 총칭하며, 화학펄프화법을 통해 제조된 펄프는 약액이 목재 내의 헤미셀루로스나 리그닌과 반응하게 됨으로써 착색이 되는데, 이러한 착색 물질을 염소, 이산화염소, 과산화수소, 오존 등의 약품을 통해 제거한 펄프를 표백 펄프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펄프는 LBKP(Ladelholze Bleached Kraft Pulp, 활엽수 표백 펄프), NBKP(Nadelholze Bleached Kraft Pulp, 침엽수 표백 펄프) 및 CTMP(Chemical-Thermo Mechanical Pulp, 화학열기계 펄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BKP는 활엽수 표백 펄프로서 상대적으로 섬유길이가 짧기 때문에, 상기 펄프가 상기 LBKP를 포함하는 경우 평활도가 좋고 벌크(bulk)성이 우수한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침엽수 펄프의 경우 섬유길이가 길고 강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NBKP를 포함할 경우 도화지의 강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CTMP는 나무칩을 화학약품으로 전처리 한 후 (100℃ 이하) 기계적으로 해섬한 펄프를 일컫는 것으로서, 제조된 펄프의 강도가 커짐으로써 화학펄프의 혼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제조된 도화지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우수한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펄프는 LBKP, NBKP 및 CTM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프는 생산지역, 조림 등의 출처가 분명한 FSC(Forest Stewardship Council, 세계산림관리협회) 인증 펄프를 사용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펄프는 FSC 인증 LBKP, NBKP 및 CT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프가 상기 LBKP, NBKP 및 CTMP를 포함할 경우 사용감이 우수하고, 불투명도가 높으며, 인장 강도가 우수하여 잘 찢기지 않는 도화지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펄프가 LBKP, NBKP 및 CTMP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LBKP 5 내지 20 중량부, NBKP 60 내지 80 중량부 및 CTMP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LBKP, NBKP 및 CTMP가 상기 범위내로 포함되는 경우, 강도, 지합(formation)이 우수하며, 두께의 조절이 용이하며 거친 표면을 구현하는데 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펄프는 물이 담긴 펄퍼에 투입 및 교반하여 섬유를 완전히 분리시키는 해리 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펄프의 농도는 상기 물 또는 증류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 2 중량부 내지 4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4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펄프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펄프의 해리가 보다 용이하며 이후 농도를 낮춰 종이층을 제조하는 초지공정에서 보다 우수한 품질의 종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물 또는 증류수는 청수 또는 공정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해리된 펄프에 무형광 파지를 혼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지료를 제조하는 과정에 첨가되는 파지 중 약 30% 정도가 형광파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제조된 도화지에서 형광 물질이 검출되어 두통을 발생케 하고, 피부가 민감하고 약한 아이들과 여성들의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무형광 도화지는 무형광 파지만을 혼합하기 때문에 피부 접촉은 물론 섭취시에도 안전한 무형광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무형광 파지는 무형광 도화지의 제조 공정 중 생산되는 자체 순환 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형광 도화지는 형광 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기 자체 순환 파지 역시 형광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무형광 도화지의 제조 또는 생산 종료 후 잉여 파지는 다음 생산 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무형광 파지가 상기 자체 순환 파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조 공정에 의한 부산물을 재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료는 유색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염료는 FDA 승인을 받은 천연염료 또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인공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염료는 FDA 승인을 받은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염료는 FDA 승인을 받은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형광 도화지는 FDA 승인을 받은 유색염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가 약한 유아 또는 아동이 사용하기에 더욱 안전한 도화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염료가 FDA 승인을 받은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존의 형광 염료가 포함된 도화지와 육안으로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색상을 갖는 도화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색상의 비교는 ISO 색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청색 또는 자색 염료란, 클로로포름 용액 중에 있어서, 500nm 이상 700nm 이하의 범위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색(blue)이란 580~700nm의 범위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색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자색(violet)이란 500~580nm의 범위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색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색은 보라(purple)를 내포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청색 또는 자색 염료는 크산텐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크산텐계 염료는, 분자 내에 크산텐 골격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일컬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크산텐계 염료는 시판되고 있는 크산텐계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고 있는 크산텐계 염료를 출발 원료로서,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트리아릴메탄 염료는, 분자 내에 트리아릴메탄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일컬을 수 있다. 트리아릴메탄계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C.I. 애시드 바이올렛(이하, C.I. 애시드 바이올렛의 기재를 생략하고, 번호만의 기재로 한다.) 15, 16, 17, 19, 21, 23, 24, 25, 38, 49, 72, C.I. 애시드 블루 1, 3, 5, 7, 9, 11, 13, 15, 17, 22, 24, 26, 34, 38, 48, 75, 83, 84, 86, 88, 90, 90:1, 91, 93, 93:1, 99, 100, 103, 104, 108, 109, 110, 119, 123, 147, 213, 269, C.I. 베이직 블루 7, 81, 83, 88, 89, C.I. 베이직 바이올렛 2, C.I. 다이렉트 블루 1, 3, 28, 29, 41, 42, 47, 52, 55, C.I. 푸드 바이올렛 3, C.I. 모던트 바이올렛 1, 1:1, 3, 6, 8, 10, 11, 15, 16, 17, 18, 19, 21, 23, 27, 28, 33, 36, 39, 49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염료는 분자 내에 테트라아자포르피린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일컫는다. 상기 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염료가 산성 염료 또는 염기성 염료인 경우, 임의의 카티온 또는 아니온과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안트라퀴논계 염료는, 분자 내에 안트라퀴논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트라퀴논계 염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C.I. 솔벤트 바이올렛 11, 13, 14, 26, 31, 36, 37, 38, 45, 47, 48, 51, 59, 60, C.I. 솔벤트 블루 14, 18, 35, 36, 45, 58, 59, 59:1, 63, 68, 69, 78, 79, 83, 94, 97, 98, 100, 101, 102, 104, 105, 111, 112, 122, 128, 132, 136, 139, C.I. 애시드 바이올렛 34, C.I. 애시드 블루 25, 27, 40, 45, 78, 80, 112, C.I. 디스퍼스 바이올렛 26, 27, C.I. 디스퍼스 블루 1, 14, 56, 60, C.I. 다이렉트 블루 40, C.I. 모던트 블루 8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C.I."는 컬러 인덱스(C.I.)를 의미한다.
이외에도 상기 청색 염료는 메틴계 염료; 아조계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료는 상기 펄프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자색 염료 0.5 내지 10ppm 및 상기 청색 염료 0.5 내지 10ppm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형광 염료를 포함하는 기존의 도화지와 육안상 백색도가 유사한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색 염료는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0 ppm, 구체적으로 2 내지 80 ppm, 더욱 구체적으로 2.5 내지 50 ppm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의 형광 염료가 포함된 도화지와 육안상 유사한 백색도를 갖는 도화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청색 염료는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0 ppm, 구체적으로 2 내지 80 ppm, 더욱 구체적으로 2.5 내지 50 ppm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형광 염료를 포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육안상 백색도가 뛰어난 도화지의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S2) 단계의 지료는 상기 (S3) 단계 이전, 즉, (S2) 단계와 (S3) 단계 사이에 고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와 (S3) 사이에 기계적인 전단력을 가하는 고해 단계를 거침으로 인하여, 섬유 표면에 잔털이 일어나게 하고, 동심원상의 느슨함을 부여하여 섬유를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건조 과정 중 섬유간 결합을 강하게 만들어 내구도가 우수한 무형광 도화지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료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충전제(filler), 사이즈제, 정착제 및 보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도화지를 제조할 때 첨가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첨가제는 형광물질 및 FDA 미승인 염료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지료가 유색염료와 첨가제로서, 충전제, 사이즈제, 정착제 및 보류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색염료 및 첨가제의 투입 순서는 유색염료, 충전제, 사이즈제, 정착제 및 보류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제(filler)는 종이의 품질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성 첨가제의 일종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활석(talc), 탄산칼슘(CaCO3),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클레이(cla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가 지료에 포함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무형광 도화지의 내부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불투명도 및 평활성이나 광택 등의 인쇄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백색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충전제는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부, 구체적으로 15 내지 3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충전제가 상기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인쇄적성이 우수하고, 백색도가 우수한 도화지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사이즈제(Sizing agents)는 종이에 내수성을 부여하고,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된 종이는 기본적으로 친수성을 띄기 때문에 내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즈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사이징(Sizing)이라 일컬으며, 지료에 첨가하는 경우를 내첨 사이즈, 종이의 표면에서 수행하는 경우를 외첨 또는 표면 사이즈라 일컬을 수 있다. 상기 사이즈제란, 지료에 혼합되는 것으로서, 내첨 사이즈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로진 사이즈, AKD(alkyl ketene dimer) 또는 ASA(alkenyl succinic anhydr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즈제는 후술할 사이즈프레스 액에 포함되는 사이즈제와 동일한 물질일수도 있고, 상이한 물질일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적절한 사이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이즈제는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3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종이의 기계적인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종이 내부로의 액체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지료에 정착제가 포함되는 경우 염료의 착색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정착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착제라면 한정되지 않으나, 잔류 염료 입자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전하밀도가 높고 분자량이 낮은 정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착제는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2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도화지의 인장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염료의 착색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류제는 상기 지료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을 응집시켜 보류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류제가 상기 범위로 포함될 경우 제조 공정 중의 미세섬유 및 충전제와 같은 첨가제의 보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류 향상으로 인한 부원료의 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탈수 향상으로 인하여 생산성 또한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보류제는 양이온성 PAM(cationic polyacrylamide), 벤토나이트(bentonite) 또는 실리카가 조합된 마이크로파티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의 종이층으로 제조하는 단계는, 지층형성 단계 및 압착탈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료(perfect stuff)는 초지기(paper machine)로 이동되어 실제 종이를 뜨는 초지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일정한 농도의 지료를 와이어 파트로 이동하여, 와이어(wire) 상에 지필(web)을 형성시켜 지층을 형성한 후, 압착 및 탈수하여 상기 종이층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와 상기 (S4) 단계에 종이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지료를 지층으로 형성한 후, 압착,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120℃ 내지 130℃의 스팀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수분을 날리는 것으로서, 상기 건조를 수행할 경우 수분 제거 및 제품 표면의 평활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건조는 상기 (S5) 단계의 건조와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S3) 단계와 상기 (S4) 단계의 건조를 전건조(pre drying), 상기 (S5) 단계의 건조를 후건조(after drying)라 일컬을 수 있다.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종이, 요컨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무형광 도화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표면 특성 및 인쇄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종이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전분 및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사이즈프레스 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상기 종이층의 양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면의 성능이 모두 우수한 무형광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상기 펄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3 내지 1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쇄적성, 표면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상기 종이층의 일면에 4g/m2 내지 20g/m2, 구체적으로 4g/m2 내지 15g/m2, 더욱 구체적으로 4g/m2 내지 10g/m2의 양으로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이 상기 양으로 도포되는 경우 강도가 우수하고, 표면 특성 및 인쇄적성이 우수한 도화지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전분은 표면 사이즈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로서, 가격이 저렴하며 물에 쉽게 분산되어 공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분은 도화지의 표면강도를 향상시키며, 지분방지 등의 역할을 하여 수채물감, 유화물감 등의 미술도구 터치에 의한 섬유의 뜯김을 방지하고, 인쇄용으로 사용되는 도화지의 인쇄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전분은 통상의 식물 유래의 천연 전분, 물리적 혹은 화학적 변성 전분 등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전분을 일컬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천연 전분으로는 옥수수, 찰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쌀, 타피오카, 사고(sago), 왁시 마즈(waxy maize), 수수(sorghum) 등과 같은 다양한 식물에서 유래된 전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분은 상기 식물의 지상부 또는 지하부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천연 전분은 미변성 전분이라 일컬을 수 있다. 상기 변성 전분으로는 상기 미변성 전분을 에테르화, 에스테르화, 에톡시화, 산화, 산처리, 산화 에스테르화, 산화 에테르화, 효소처리 등의 방법으로 개질화시킨 전분을 일컬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분은 효소변성전분 또는 산화전분일 수 있다.
상기 전분은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10 내지 1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에 분산이 용이하여 공정 효율이 높아지며, 우수한 사이즈 효과를 나타내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60℃ 내지 100℃, 구체적으로 80℃ 내지 100℃,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00℃의 청수 또는 공정수에 상기 전분 고형분을 추가, 혼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상기 전분을 추가하는 경우 전분의 분산이 용이하여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의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유색염료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S2) 단계의 지료에 포함될 수 있는 유색염료에 관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S4) 단계의 유색염료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상기 (S2) 단계의 유색염료에 관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S4) 단계의 유색염료와 (S2) 단계의 유색염료는 동일한 염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이한 염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상기 (S2) 단계의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에 관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에 포함되는 상기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는 전술한 (S2) 단계의 유색염료와 동일한 염료일 수도 있고, 상이한 염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사기 자색 염료 0.5 내지 10ppm 및 상기 청색 염료 0.5 내지 10pp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색 염료 및 상기 청색 염료가 상기 범위내일 경우 기존의 형광 염료가 포함된 도화지와 육안상 유사한 백색도를 갖는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색염료는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ppm, 구체적으로 2 내지 8 ppm, 더욱 구체적으로 2.5 내지 5 ppm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형광 염료를 사용한 기존의 도화지와 육안상 유사한 백색도를 갖는 도화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청색 염료는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ppm, 구체적으로 2 내지 8 ppm, 더욱 구체적으로 2.5 내지 5 ppm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형광 염료를 포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육안상 백색도가 뛰어난 도화지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S2) 단계의 첨가제, 즉 상기 지료에 포함되는 첨가제와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표면 사이즈제 및 전분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사이즈제가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에 포함되는 경우, 전분과 혼합되어 사이즈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이즈효과나 표면 강도 등의 인쇄 적성이 향상되고, 종이의 표리차이가 축소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표면 사이즈제는 표면스티렌아크릴공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알카올레핀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알킬케텐다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면 사이즈제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 사이즈제는 사이즈프레스 액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에 별도로 추가되는 것으로서, 전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표면 사이즈제는 상기 전분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10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분과 혼합되어 사이즈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전분 경화제는 상기 전분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8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6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이 상기 전분 경화제를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할 경우 상기 종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된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의 경화 속도가 적절히 조절됨에 따라 표리차이가 최소화되는 무형광 도화지의 제조가 가능하며, 공정 속도가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전분 경화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옥살알데하이드, 에테인다이알(ethanedial) 성분을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분경화 촉진을 통해 전분이 종이층에 흡수 지연시켜 전분이 표면에 분포하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색 염료는 유색염료 전용 투입조(10)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색염료 전용 투입조(10)는 FDA 승인 유색염료 전용 투입조(10)일 수 있으며, 상기 유색염료 전용 투입조(10) 및 이를 포함하는 사이즈프레스 공정 모식도의 일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쿠킹(cooking)조(20)에서 원액 저장조(80)로 스팀을 공급하며, 상기 원액 저장조(80)의 원액은 희석조(30)로 이동하여 유색 염료와 혼합 및 희석된다. 이 때, 상기 유색 염료는 전용 투입조(10)로부터 공급되며, 희석된 사이즈프레스 액은 희석 저장조(40)로 이동된 뒤, 진동 스크린(50)에 의하여 사이즈 프레스 공급조(60)로 이동하고, 사이즈프레스(70)에 의하여 종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 때, 여분의 사이즈프레스 액은 다시 회수 되며, 회수된 사이즈프레스 액은 진동스크린(50) 및 사이즈 프레스 공급조(60)에 의하여 다시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또한, (S1) 펄프를 펄퍼(pulper)에 투입하고 해리시키는 단계; (S2) 상기 해리된 펄프에 무형광 파지를 혼합하여 지료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지료를 종이층으로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종이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전분 및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사이즈프레스 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S5)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이 도포된 종이층을 건조하여 무형광 도화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무형광 도화지는 형광물질의 함량이 0 내지 0.001mg일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의 함량은 공인기관에서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시험 방법으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무형광 도화지는 평량이 100g/m2 내지 250g/m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형광 도화지의 평량은 100g/m2 내지 200g/m2, 더욱 구체적으로 100g/m2 내지 180g/m2일 수 있다. 상기 무형광 도화지의 평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 유아부터 성인까지 모든 연령층에서 용도에 맞게 사용이 가능한 무형광 도화지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컨대, 유아 또는 아동용의 경우 평량이 105g/m2, 130g/m2 또는 170g/m2 정도의 무형광 도화지를 적용할 수 있으며, 고등부 이상일 경우 평량이 180g/m2 이상의 무형광 도화지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형광 도화지는 형광염료를 사용하지 않고, FDA 승인 유색염료 및 무형광 파지를 사용함으로써 형광물질을 포함하지 않거나, 형광물질의 함량이 거의 없다. 또한, 형광염료를 포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도화지와 비교하여 색상차가 거의 없는 안전한 도화지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지료 조성]
FSC 인증 LBKP, NBKP 및 CTMP을 각각 20kg, 70kg 및 10kg 혼합한 뒤 증류수를 이용하여 지료 농도를 1% 수준으로 희석하였다. 이 때, 증류 온도는 약 20~25 (상온) 정도를 유지하였으며, 2,500ml 해리기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한 지료에 하기 표 1의 비교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조건에 따른 염료를 첨가하였다. 이 때, 상기 유색염료 2종은 각각 Irgalite Blue R-L 및 Irgalite Violet B-L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 실시예 1은 무형광 도화지 전체에 대하여 25ppm의 유색염료를 첨가하였으며, 실시예 2는 무형광 도화지 전체에 대하여 50ppm의 유색염료를 첨가하였고, 비교예는 형광염료 25ppm 및 종래의 유색염료를 50ppm 첨가하였다.
[사이즈 프레스 액]
사이즈 프레스 액 전체에 대하여 전분을 10 중량부 혼합하여 사이즈 프레스 액을 제조한 뒤, 하기 표 1에 따른 염료를 각각 투입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사이즈 프레스 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유색염료 2종은 각각 Irgalite Blue R-L 및 Irgalite Violet B-L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 실시예 1은 무형광 도화지 전체에 대하여 2.5ppm의 유색염료를 첨가하였으며, 실시예 2는 무형광 도화지 전체에 대하여 5ppm의 유색염료를 첨가하였고, 비교예는 형광염료 2.5ppm 및 종래의 유색염료를 5ppm 첨가하였다.
구분 염료투입 조건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지료조성 형광염료 투입 미투입 미투입
유색염료 2종 투입 미투입 미투입
FDA 승인 유색염료 2종 미투입 투입 투입
사이즈프레스액 형광염료 투입 미투입 미투입
유색염료 2종 투입 미투입 미투입
FDA 승인 유색염료 2종 미투입 투입 투입
[종이층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지료를 2배 희석한 후, 당사 표준 시험법에 의거하여 종이층(수초지)을 평량 80g/m2으로 10장 제조하였다.
제조된 종이층을 항습 조건에 의거하여 조습 처리 하였으며, 이 때 온도는 항습 조건은 23±3℃, 상대습도 50 ±2 %였다.
[사이즈프레스 액 도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종이층에 상기 표 1에 따른 사이즈프레스 액 각각을 약 4g/m2 도포한 후, 실린더 드라이어에 건조 후 10장 제조하였다.
사이즈프레스 액이 도포된 종이층을 온도 23±3℃, 상대습도 50 ±2 %에 의거하여 조습 처리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도화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 품질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도화지를 ISO 색상 측정기(L&W (Lorentzen & Wettre)사, Elrepho)를 활용하여 형광유무와 색상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형광유무는 UV (Ultra Violet) 부스(Booth)에서 형광 함유 여부를 육안으로 목시 평가하였으며, 색상 측정시에는 평량 400g/m2 이상이 되도록 동일조건의 도화지를 겹쳐서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예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형광 함량 분석결과를 각각 표 2에 나타냈고, 색상 측정 결과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L*(Lightness, 명도), Whiteness(백감도) 및 Brightness(백색도)는 ISO 색상 측정기(L&W사의 Elrepho)의 제품사양에 따라 측정한 것이고, 특히 Brightness(밝기)는 450nm의 특정 가시광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색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조건별 형광 함량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형광 함량 F.I 14.52 0 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형광염료 및 유색염료를 투입하여 제조한 비교예의 경우 형광 함량이 14.52로 매우 높게 측정되었으나, 본원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도화지는 형광 함량이 0으로 나타났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본원의 무형광 도화지이며, (b)는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도화지로서 육안으로도 확연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구분 염료 투입 조건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L* (Lightness, 명도) - 94.2 95.2 94.4
Whiteness
(백감도)
% 120.1 90.5 77.6
Brightness
(백색도)
% 89.9 86.2 84.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도화지 모두 L* 값이 비교예에 따른 도화지와 유사하였으며, 밝기 역시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형광 염료 미투입에 따른 차이로 whiteness(백감도)와 같은 색상수치 적으로 차이는 발생하나 L* 및 Brightness(백색도)와 같은 육안 색상이 유사함을 알 수 있다.
10: 유색염료 전용 투입조
20: 쿠킹조
30: 희석조
40: 희석 저장조
50: 진동스크린
60: 공급조
70: 사이즈프레스
80: 원액 저장조

Claims (17)

  1. (S1) 펄프를 펄퍼(pulper)에 투입하고 해리시키는 단계;
    (S2) 상기 해리된 펄프에 무형광 파지를 혼합하여 지료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지료를 종이층으로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종이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전분 및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사이즈프레스 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S5)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이 도포된 종이층을 건조하여 무형광 도화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는 LBKP(Ladelholze Bleached Kraft Pulp, 활엽수 표백 펄프), NBKP(Nadelholze Bleached Kraft Pulp, 침엽수 표백 펄프) 및 CTMP(Chemical-Thermo Mechanical Pulp, 화학열기계 펄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염료는 FDA 승인을 받은 천연염료 또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인공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자색 염료 0.5 내지 10ppm 및 상기 청색 염료 0.5 내지 10pp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료는 유색염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색염료는 자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료는 상기 펄프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자색 염료 0.5 내지 10ppm 및 상기 청색 염료 0.5 내지 10pp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이전에 공정 설비의 형광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공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의 종이층으로 제조하는 단계는,
    지층형성 단계 및 압착탈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와 상기 (S4) 단계에 종이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염료는 유색염료 전용 투입조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료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충전제(filler), 사이즈제, 정착제 및 보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프레스 액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표면사이즈제 및 전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형광 도화지는 형광 물질의 함량이 0 내지 0.001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형광 도화지는 평량이 100g/m2 내지 25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형광 도화지.
KR1020150145560A 2015-10-19 2015-10-19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KR10179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560A KR101792781B1 (ko) 2015-10-19 2015-10-19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560A KR101792781B1 (ko) 2015-10-19 2015-10-19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40A true KR20170045640A (ko) 2017-04-27
KR101792781B1 KR101792781B1 (ko) 2017-11-02

Family

ID=5870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560A KR101792781B1 (ko) 2015-10-19 2015-10-19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53B1 (ko) * 2021-08-23 2022-08-24 무림에스피 주식회사 구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항균 캐스트 도공지의 표면 사이징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347B1 (ko) 2003-10-14 2006-01-24 (주) 수양 천연 염료를 이용한 기능성 종이재 및 그 제지방법
JP4889798B2 (ja) 2009-06-26 2012-03-07 日本製紙株式会社 印刷用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781B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bbe et al. Paper’s appearance: A review
JP4889798B2 (ja) 印刷用紙
HUE030686T2 (en) Suitable for paintable cardboard packaging for sterilized packaging
JP5308259B2 (ja) 板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183487B (zh) 一种食盐包装纸的制造方法
CN1236142C (zh) 轻量涂布印刷纸及其制造方法
CN104631202A (zh) 一种含染色木浆纤维的防伪涂布白卡纸及其生产工艺
CA2265450C (en) Colour tracing paper
CN107419577A (zh) 一种高强度纸纱原纸的制备方法
JP5191429B2 (ja) 色落ちの少ない着色層を有する多層抄き紙
JP7463935B2 (ja) 透明紙、包装材、ラベル、透明化剤
KR101792781B1 (ko) 무형광 도화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형광 도화지
US2208652A (en) Safety paper
CN109371732B (zh) 一种高档深色卡纸的生产工艺
AT524609B1 (de) Tray-Packungseinheits-Umverpackungspapi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CN111989435B (zh) 涂布白板纸
JP2007262599A (ja) 窓付き封筒用用紙及び窓付き封筒用用紙の製造方法
JP3990677B2 (ja) 製袋用片艶紙
JP6985841B2 (ja) 中質系非塗工紙
JP5249820B2 (ja) 表裏面色の異なる多層抄き紙
JP4141435B2 (ja) Bctmp配合シート包装体
CN115748306B (zh) 一种光泽水印防伪卡纸及其生产方法
JP2000226797A (ja) 高遮光性を有する板紙
JP7323298B2 (ja) 多層抄き黒色紙
JP2006118099A (ja) カラーライ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