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605A -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605A
KR20170045605A KR1020150145395A KR20150145395A KR20170045605A KR 20170045605 A KR20170045605 A KR 20170045605A KR 1020150145395 A KR1020150145395 A KR 1020150145395A KR 20150145395 A KR20150145395 A KR 20150145395A KR 20170045605 A KR20170045605 A KR 2017004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e
projection
moving plat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674B1 (ko
Inventor
이길영
김승복
Original Assignee
(주)메타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메타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14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6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풀 동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푸쉬풀 동작(2)을 위해 파지되고, 일측 단부에 구동돌기(10c)가 형성된 손잡이(10); 구동돌기(10c)가 관통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구동핀(40)을 회동 중심으로 하는 구동몸체(30); 구동돌기(10c)에 연결되어 구동돌기(10c)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이동판(70); 이동판(70)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기어군; 및 기어군의 회전운동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Door Lock Device with push-pull motion}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푸쉬풀 동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보편화 되면서, 소정의 암호를 입력한 후 손잡이를 돌려서 문을 개방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우수)를 중심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문을 개방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좌수와 우수 공용의 도어락 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도어락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어서(푸쉬) 열거나 당겨서(풀) 여는 구조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푸쉬풀 방식은 푸쉬풀 운동을 도어 개방을 위한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의 제품으로 되어있으며 손잡이 형태가 기존 손잡이 회전형 타입이 아닌 별도의 디자인으로 되어 있어 소비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푸쉬 또는 풀 동작하여 개방할 수 있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좌수 또는 우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단순한 내부구조를 통해 푸쉬풀 동작을 도어의 개방을 위한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푸쉬풀 동작(2)을 위해 파지되고, 일측 단부에 구동돌기(10c)가 형성된 손잡이(10); 구동돌기(10c)가 관통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구동핀(40)을 회동 중심으로 하는 구동몸체(30); 구동돌기(10c)에 연결되어 구동돌기(10c)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이동판(70); 이동판(70)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기어군; 및 기어군의 회전운동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구동돌기(10c)에는 수직방향의 제 1 구동핀홀(10a)이 관통 형성되고, 구동몸체(30)에는 수직방향의 제 2 구동핀홀(30c)이 관통 형성되어, 구동핀(40)이 제 1, 2 구동핀홀(10a, 30c)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단이 구동몸체(30)에 고정되고,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 돌기(100a)가 구동돌기(10c)에 형성된 구동스프링홀(10b)에 삽입됨으로서, 손잡이(10)에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구동스프링(1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구동몸체(30)에는 구동스프링(100)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구동스프링(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30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몸체(3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핀홈(30a)이 형성됨으로서 우측 손잡이와 좌측 손잡이를 위한 2가지 방향으로 몸체(50)에 고정 가능하다.
그리고, 일측이 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핀홈(30a)에 끼워짐으로서 구동몸체(30)를 몸체(50)에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핀(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판(7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이동판(70)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70c); 및 이동판(7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돌기(70c)가 삽입되어 직선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판(1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이동판(70)은 일측 가장자리에 제 1 구동돌기(70b)가 돌출 형성되고, 기어군은, 제 1 구동돌기(70b)가 끼워지도록 제 2 구동홈(80a)이 형성된 제 1 기어(80); 및 제 1 기어(80)와 치차 연결되고, 개방수단에 개방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기어(9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2 기어(80, 90)는 상호 접해서 회전하는 영역에만 치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동판(70)에는 제 1 구동홈(70a)이 관통 형성되어, 구동돌기(10c)가 끼워질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10)는 바아 형태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푸쉬 또는 풀 동작하는 것만으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좌수 또는 우수 방향중 하나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된다.
또한, 내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구조와 모델을 가지고 다양한 소비자의 설치 요구와 사용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이동판(70)과 제 1, 2 기어(80, 9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내부에는 번호키, 전원장치, 전자회로 등이 포함되나, 이는 당업자에게 용이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도 1에서는 오른손잡이(우수) 기준의 설치상태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손잡이(1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조립된다. 푸쉬풀 동작(또는 푸쉬풀 방향, 2)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0)를 밀거나 댕기는 동작으로 정의된다.
데코(20)는 구동몸체(30)를 감싸서 외관 디자인의 일부를 구성하고, 후면에 돌출된 한쌍의 데코후크(20a)는 구동핀(4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의 일측에는 구동돌기(10c)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돌기(10c)의 좌우측으로는 구동스프링홀(10b)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는 구동핀홀(10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돌기(10c)는 대략 모서리가 둥근 원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구동몸체(30)는 중심축선방향으로 구동돌기(10c)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홈(30a)은 구동몸체(3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홈(30a)은 우수용 손잡이 설치 또는 좌수용 손잡이 설치를 위해 구동몸체(30)를 고정하는 것이다. 고정핀홈(30a)은 구동몸체(30)의 외면 일부를 평면으로 가공하여 회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안착홈(30b)은 구동몸체(30)의 둘레방향에 함몰 형성되며, 안착홈(30b)으로 구동스프링(100)이 끼워진다. 이를 위해 안착홈(30b)은 구동스프링(100)의 적어도 일부 형상과 형상 맞춤된다.
구동핀(40)은 푸쉬풀 동작의 회동 중심이 되는 핀이다. 이러한 구동핀(40)은 제 1, 2 구동핀홀(10a, 30c)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우수 손잡이를 좌수로 변경하거나 좌수 손잡이를 우수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다시 뺐다가 끼울 수 있다.
관통공(52)은 몸체(50)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부로 구동몸체(30), 구동핀(40), 및 구동돌기(10c)가 위치한다.
손잡이 고정핀(60)은 "ㄱ"자 형상으로 2번 절곡된 금속편이다. 손잡이 고정핀(60)중 상부 절곡된 영역이 구동몸체(30)중 하부의 고정핀홈(30a)에 끼워져 고정된다. 손잡이 고정핀(60)은 고정핀 나사(64)에 의해 몸체(50)에 고정되고, 더 확실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고정핀 스프링(62)에 의해 탄성 지지력을 받는다.
이동판(70)은 구동돌기(10c)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5)으로 변환하는 판형 부재이다. 제 1 구동홈(70a)은 이동판(70)의 중심영역에 관통형성되고, 구동돌기(10c)가 끼워진다. 가이드돌기(70c)는 이동판(70)의 일면에 직선운동을 따라 상하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구동돌기(70b)는 이동판(70)의 상면 모서리 영역에 실린더 단면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스프링(100)은 원형으로 구부러진 스프링으로서 푸쉬 또는 풀 동작한 손잡이(1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를 위해, 구동스프링(100)의 일단은 절곡된채로 구동몸체(30)의 안착홈(30b)중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구동스프링(100)의 타단은 스프링돌기(100a)를 형성하여 구동스프링홀(10b)에 끼워진다.
가이드판(110)은 이동판(7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동판(70)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 1 기어(80)의 회전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제 1 가이드홀(110a)은 가이드판(110)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 2 기어(90)를 회전지지한다. 제 2 가이드홀(110b)은 한쌍의 장공 형태이고, 그 내부로 한쌍의 가이드돌기(70c)가 각각 삽입되어 안정적인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한다.
도 4는 이동판(70)과 제 1, 2 기어(80, 9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어(80)는 제 1 구동돌기(70b)와 접하는 영역에 제 1 구동돌기(70b)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 2 구동홈(80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제 1 기어(80)의 둘레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데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 보다는 제 2 기어(90)와 접하는 영역에만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이러한 제 1 기어(80)는 제 1 기어돌기(50a)에 끼워져 회전한다.
제 2 기어(90)는 제 1 기어(80)와 치형결합되어 회전 방향(9)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 2 기어돌기(50b)에 끼워져 회전한다. 제 2 기어(90)의 중심축으로는 도어의 개방장치(개방수단, 미도시)에 개방용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각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제 2 기어(90)의 둘레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데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 보다는 제 1 기어(80)와 접하는 영역에만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실시예의 푸쉬풀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푸쉬풀동작(2)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손잡이(10)를 미는 경우(푸쉬) 구동핀(40)을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과 같은 회동이 일어난다. 이 때, 구동돌기(10c)는 회동각도만큼 이동판(70)을 옆으로 밀어서 직선운동(5)을 일으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판(70)의 직선운동(5)은 제 1 구동돌기(70b)가 제 1 기어(80)를 회전(7)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 1 기어(80)의 회전(7)은 제 2 기어(90)의 회전(9)으로 전달되고, 제 2 기어(90)의 회전(9)은 미도시된 도어의 개방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한다.
그후, 사용자가 손잡이(10)에서 손을 놓으면, 구동스프링(100)이 구동돌기(10c)에 탄성 복원력을 작용시킨다. 이러한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손잡이(1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푸쉬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풀동작에 대해서도 방향만 다를 뿐 같은 동작이 일어나므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푸쉬동작으로 갈음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푸쉬풀방향(회전),
10 : 손잡이,
10a : 제 1 구동핀홀,
10b : 구동스프링홀,
10c : 구동돌기,
20 : 데코,
20a : 데코후크,
30 : 구동몸체,
30a : 고정핀홈,
30b : 안착홈,
30c : 제 2 구동핀홀,
40 : 구동핀,
50 : 몸체,
50a : 제 1 기어돌기,
50b : 제 2 기어돌기,
52 : 관통공,
60 : 손잡이 고정핀,
62 : 고정핀 스프링,
64 : 고정핀 나사,
70 : 이동판,
70a : 제 1 구동홈,
70b : 제 1 구동돌기,
70c : 가이드돌기,
80 : 제 1 기어,
80a : 제 2 구동홈,
90 : 제 2 기어,
100 : 구동스프링,
100a : 스프링돌기,
110 : 가이드판,
110a : 제 1 가이드홀,
110b : 제 2 가이드홀,
120 : 고정링,

Claims (10)

  1.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푸쉬풀 동작(2)을 위해 파지되고, 일측 단부에 구동돌기(10c)가 형성된 손잡이(10);
    상기 구동돌기(10c)가 관통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구동핀(40)을 회동 중심으로 하는 구동몸체(30);
    상기 구동돌기(10c)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돌기(10c)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이동판(70);
    상기 이동판(70)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기어군; 및
    상기 기어군의 회전운동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돌기(10c)에는 수직방향의 제 1 구동핀홀(10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동몸체(30)에는 수직방향의 제 2 구동핀홀(30c)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구동핀(40)이 상기 제 1, 2 구동핀홀(10a, 30c)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구동몸체(30)에 고정되고,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 돌기(100a)가 상기 구동돌기(10c)에 형성된 구동스프링홀(10b)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손잡이(10)에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구동스프링(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몸체(30)에는 상기 구동스프링(100)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스프링(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30b)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몸체(3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핀홈(30a)이 형성됨으로서 우측 손잡이와 좌측 손잡이를 위한 2가지 방향으로 몸체(50)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핀홈(30a)에 끼워짐으로서 상기 구동몸체(30)를 상기 몸체(50)에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핀(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7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이동판(70)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70c); 및
    상기 이동판(7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70c)가 삽입되어 직선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판(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70)은 일측 가장자리에 제 1 구동돌기(70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어군은,
    상기 제 1 구동돌기(70b)가 끼워지도록 제 2 구동홈(80a)이 형성된 제 1 기어(80); 및
    상기 제 1 기어(80)와 치차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단에 개방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기어(9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기어(80, 90)는 상호 접해서 회전하는 영역에만 치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70)에는 제 1 구동홈(70a)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구동돌기(10c)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KR1020150145395A 2015-10-19 2015-10-19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KR10173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95A KR101732674B1 (ko) 2015-10-19 2015-10-19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95A KR101732674B1 (ko) 2015-10-19 2015-10-19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05A true KR20170045605A (ko) 2017-04-27
KR101732674B1 KR101732674B1 (ko) 2017-05-04

Family

ID=5870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95A KR101732674B1 (ko) 2015-10-19 2015-10-19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16Y1 (ko) * 2018-03-27 2019-04-05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푸시풀 도어 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469B1 (ko) 2017-08-02 2018-06-18 전병화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1982007B1 (ko)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53B1 (ko) *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KR200460414Y1 (ko) * 2011-09-19 2012-05-24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375776B1 (ko) * 2013-09-05 2014-03-18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16Y1 (ko) * 2018-03-27 2019-04-05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푸시풀 도어 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674B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740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6204192B2 (ja) スナップ固定式ドアハンドルとロックノブとの組立体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JP2012211606A (ja) ヒンジ装置並びに開閉装置並びに携帯機器
EP2682549A1 (en) Case latch assembly
CN109025521A (zh) 一种智能锁驱动装置
CN209949179U (zh) 一种简易可靠的通用型夹持支架
CN102783917A (zh) 电饭煲及其煲盖和盖板固定机构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JP2010256388A (ja) 光学機器のレンズシフト装置
KR101523691B1 (ko)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JP2014016027A (ja) 歯車伝動装置
CN109372329A (zh) 一种电动离合门把手
KR101850294B1 (ko)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KR101761599B1 (ko) 푸쉬풀 도어 손잡이
CN104715954B (zh) 家用电器的旋钮式操作装置及家用电器
CN201778570U (zh) 插芯门锁的自动解锁装置的改进结构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JP6897995B2 (ja) スイッチ装置
CN210842659U (zh) 锅盖组件与高压锅
CN210517202U (zh) 定时插座
CN210508707U (zh) 一种电子锁离合器
CN204475992U (zh) 一种锁
KR101732962B1 (ko)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CN217066038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