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962B1 -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962B1
KR101732962B1 KR1020150146999A KR20150146999A KR101732962B1 KR 101732962 B1 KR101732962 B1 KR 101732962B1 KR 1020150146999 A KR1020150146999 A KR 1020150146999A KR 20150146999 A KR20150146999 A KR 20150146999A KR 101732962 B1 KR101732962 B1 KR 101732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nob
driving
door lock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539A (ko
Inventor
이길영
김승복
Original Assignee
(주)메타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메타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14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9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하고 푸시풀 동작과 회전 동작을 겸용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파지되는 손잡이(10); 손잡이(10)의 푸쉬풀동작(2)을 회전동작으로 전환하는 전환수단; 손잡이(10)의 회전 동작(5)을 전달하는 회전수단; 전환수단 또는 회전수단에 의해 도어락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전환수단 및 회전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개폐수단으로 전달하도록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Door Lock Device with Changeable Handle and push-pull motion/swing motion}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하고, 푸시풀 동작과 회전 동작을 겸용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보편화 되면서, 소정의 암호를 입력한 후 손잡이를 돌려서 문을 개방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우수)를 중심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문을 개방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오른손잡이(우수)와 왼손잡이(좌수) 공용의 모델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도어락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어서(푸쉬) 열거나 당겨서(풀) 여는 구조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 설계 부품의 복잡성으로 인해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도 있고 푸쉬-풀할 수도 있는 겸용 구조의 도어락 장치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회전형 손잡이 타입이 아니라 별도의 디자인으로 되어 있어 소비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도어락 장치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소비자의 다양한 설치 요구를 반영한 제품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고, 소비자의 임의의 동작(푸쉬풀 동작 또는 회전동작)으로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도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도어락 장치의 빈번한 사용으로 손잡이가 마모, 파손 또는 변색되어 교체가 필요하더라도 현재 상용중인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는 도어락 장치 몸체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손잡이만의 교체가 어렵고, 도어와 도어락 장치가 일체화된 구조의 경우 도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회전하여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손잡이를 푸시 또는 풀 동작하여도 개방할 수 있는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좌수, 우수 또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푸쉬풀 동작만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푸쉬풀과 회전동작 겸용으로 설정할 수 있는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하여 손잡이의 기능이나 미관을 쉽게 개선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손잡이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는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지되는 손잡이(10);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10)에 결합되는 중간손잡이(20); 상기 중간손잡이(2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구동 손잡이 돌기(30a), 구동 손잡이 돌기(30a)와 직각인 방향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구동 손잡이축(30b) 및 구동 손잡이 돌기(30a)와 구동 손잡이축(30b)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비대칭으로 편심된 반구형상의 구동돌기(30c)로 이루어진 구동 손잡이(30); 상기 구동돌기(30c)가 안착되는 구동돌기 걸림턱(60a) 및 구동스프링(70)의 일측이 연결되는 스프링 걸림턱(60b)으로 이루어진 구동축(60); 상기 구동축(60)이 통과하는 관통공(140)이 구비된 몸체(120); 상기 몸체(120) 내측의 관통공(140) 상부에 위치하며 손잡이 걸림턱(90b)이 걸리고 손잡이 스토퍼 걸림턱(90b)이 걸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된 몸체돌기(120a); 스토퍼 관통공(100d)이 중심에 형성되며, 둘레에는 90도 간격으로 4방향 걸림턱(100a)이 4개 형성되되, 상기 4개 중 마주하는 2개의 4방향 걸림턱(100a)에는 2방향 손잡이 고정홈(100c)이 연장 형성되고, 2방향 손잡이 고정홈(100c)의 깊이는 4방향 걸림턱(100a)의 깊이보다 얕은 몸체(120) 내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스토퍼(100); 및 일단이 절곡된 지팡이 형상으로, 절곡된 일단은 4방향 고정핀 고정턱(120c)과 2방향 고정핀 고정턱(120d)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4방향 걸림턱(100a)에 끼워져 손잡이 스토퍼(100)를 고정하거나, 2방향 손잡이 고정홈(100c)에 닿도록 하여 손잡이 스토퍼(100)의 회동을 허용하는 손잡이 고정핀(110)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10)와 중간손잡이(20)는 나사 결합되어 손잡이(10)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10)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손잡이(10)와 결합되는 손잡이 심재(10a) 및 상기 손잡이 심재(10a)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중간손잡이(20)와 결합되는 손잡이 연결부(10b)가 더 구비되어, 손잡이(10)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게다가 손잡이(10)에는 소정의 결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에 손잡이 데코(10e)가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10)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를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손잡이(10)는 바아 형태 또는 원형일 수 있으나, 상기 형상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회전하여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손잡이를 푸시 또는 풀 동작하여도 개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좌수, 우수 또는 상하 방향중 하나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된다.
아울러,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를 푸쉬풀 동작만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푸쉬풀과 회전동작 겸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0) 또는 손잡이 데코(10e)의 간편한 교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손잡이(10)의 기능 및 미관을 개선하므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손잡이(10)와 중간 손잡이(2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손잡이(10)에 손잡이 데코(10e)가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중 손잡이 주변 부분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손잡이가 푸쉬풀 동작(2)을 할 때 회전동작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구동축(60)의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의 내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손잡이(10)가 270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2는 손잡이(10)가 0 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3은 손잡이(10)가 90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4는 손잡이(10)가 180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에서 푸쉬풀방향(2)과 회전방향(5)을 정의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6은 손잡이(10)가 90도(도 16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 또는 푸쉬풀 동작(2)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로서, 손잡이(10)가 회전 동작(5)을 하기 전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손잡이(10)가 회전동작(5)을 마친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8은 손잡이(10)가 270도(도 16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 또는 푸쉬풀 동작(2)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로서, 점선의 손잡이(10)가 회전 동작(5)을 시작하여 실선의 손잡이(10)가 회전 동작(5)을 마친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0)의 내부에는 번호키, 전원장치, 전자회로 등이 포함되나, 이는 당업자에게 용이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몸체커버(80)는 원통형상이고, 일단이 몸체(120) 내부로 수용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며, 몸체(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도 1에서는 오른손잡이(우수) 기준의 설치상태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손잡이(10)는 손잡이 심재(10a)와 손잡이 연결재(10b) 결합을 통해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예: 금속, 목재, 유리, 고무, 가죽,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결합)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서 푸쉬풀 동작(또는 푸쉬풀 방향, 2)은 손잡이(10)를 Z축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밀거나 댕기는 동작으로 정의된다.
도 2에는 손잡이(10)와 중간 손잡이(20)의 결합관계가 나타나 있다.
손잡이(10)의 일단에는 중간 손잡이(20)와 결합하기 위한 손잡이돌기(10c)가 연장 형성되고 손잡이돌기(10c)에는 손잡이(10)의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나사홀(10d)이 형성된다.
중간 손잡이(20)의 일단은 후술할 전환수단 및 회전수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0)와 결합되는데, 중간 손잡이(20)의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돌기(10c)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20b)이 형성되고, 결합홈(20b)에는 상기 손잡이 나사홀(10d)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중간손잡이 나사홀(20c)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돌기(10c)가 결합홈(20c)에 끼움 결합되고, 손잡이 나사홀(10d) 및 중간손잡이 나사홀(20c)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B)를 중간손잡이 나사홀(20c) 및 손잡이 나사홀(10d)에 나사결합 하여, 손잡이(10)와 중간 손잡이(20)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손잡이(10)를 교체할 때에는 고정나사(B)를 제거하고, 상기 결합홈(20b)으로부터 손잡이돌기(10c)를 빼낸 후 새로운 손잡이(10)로 교체하면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돌기(10c)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0b)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손잡이돌기(10c)와 결합홈(20b)을 나사결합 하므로써, 손잡이(10) 및 중간 손잡이(20)의 결합 및 분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손잡이 심재(10a)에 손잡이(1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손잡이 심재(10a)의 타단에는 손잡이 연결재(10b)가 형성되어 중간 손잡이(20)와 결합되는데, 전술한 손잡이돌기(10c)와 같이 여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10)에는 손잡이 심재 (10a)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손잡이 심재(10a)와 손잡이(10)의 삽입공이 끼움 결합한다. 손잡이(10)의 삽입공 직경이 손잡이 심재 (10a)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하여 억지끼움하거나, 손잡이(10) 및 손잡이 심재(10a)의 단부 등 소정의 위치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고정나사(B)로 고정하여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손잡이(10)는 단순히 도어를 여닫기 위하여 손에 파지되는 고유기능과 함께, 통상의 커버체 또는 장식재의 기능도 가질 수 있도록 금속, 목재, 유리, 고무, 가죽,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일반적인 레버식 손잡이 기능에 충실할 수 있는 바아 형태의 손잡이(10) 및 손잡이 심재(10a)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어 및 도어락 장치의 재질과 형상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손잡이(10)의 일면에 손잡이 데코(10e)가 부착 또는 결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 데코(10e)는 통상의 커버체 또는 장식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금속, 목재, 유리, 고무, 가죽,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손잡이(10)의 일면에는 손잡이 데코(10e)가 부착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결합면은 손잡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손잡이(10)의 일부 또는 단부 등 손잡이(10) 형태 및 미관을 감안하여 적절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데코(10e) 역시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손잡이(10)의 결합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손잡이 데코(10e)는 공지의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또는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손잡이(10)의 결합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0)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끼움 결합하거나, 손잡이(10) 및 손잡이 데코(10e)에 나사홀을 형성하여 고정나사(B)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의 손잡이(10) 교체 및 도 4의 손잡이 데코(10e)의 교체는 전술한 억지끼움의 해체, 고정나사(B)의 제거, 부착부의 탈거를 통해 기존의 손잡이(10) 및 손잡이 데코(10e)을 분해하고 새로운 손잡이(10) 및 손잡이 데코(10e)를 상술한 결합관계에 따라 고정하면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중 손잡이 주변 부분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몸체(120)에는 관통공(140)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40)으로 오른몸체(40)와 왼몸체(50)의 일부 및 구동축(60)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오른몸체(40)와 왼몸체(50)는 상호 합쳐질 수 있고, 내부에 구동손잡이(30)와 구동축(60)이 수용되며, 일단으로 몸체커버(80)가 연결된다. 오른몸체(40)와 왼몸체(50)의 각 내부에는 몸체홈(40a)이 서로 마주보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른몸체(40)와 왼몸체(50)가 합쳐진 상태에서 몸체(120) 내부의 단부는 대략 4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중간손잡이(20)의 일단에는 중간손잡이홈(20a)이 형성되어 구동손잡이(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10)와 연결된다.
구동손잡이(30)는 일측에 구동손잡이돌기(30a)가 형성되어 중간손잡이홈(20a)에 끼워진다. 구동손잡이축(30b)은 구동손잡이돌기(30a)와 직각인 방향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홈(40a)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구동돌기(30c)는 구동손잡이돌기(30a)와 구동손잡이축(30b)에 각각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비대칭으로 편심된 반구형상이다. 이러한 구동돌기(30c)는 구동축(60)의 구동돌기 걸림턱(60a)에 연결된다.
구동축(60)의 일단은 구동손잡이(30)와 연결되고, 구동축(60)의 타단은 관통공(140)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축(60)의 일단면에는 구동돌기 걸림턱(60a)이 함몰 형성되어 구동돌기(30c)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일단면에는 상측 스프링 걸림턱(60b)이 형성되어 구동스프링(70)의 상측스프링돌기(70a)가 끼워진다. 구동축(60)의 내부에는 도 10과 같이 사각의 구멍이 형성되어 도어 개폐 동작을 위한 비틀림 동작을 미끄럼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은 손잡이가 푸쉬풀 동작(2)을 할 때 회전동작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고,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구동축(60)의 평단면도이다. 도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스프링(70)은 인력으로 밀거나(푸쉬) 당긴(풀) 구동축(60)과 구동손잡이(30)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구동스프링(70)의 일단은 상측스프링돌기(70a)로서 상측스프링걸림턱(60b)에 끼워지고, 타단은 하측스프링돌기(70b)로서 하측스프링걸림턱(40b)에 끼워진다. 구동스프링(70)은 구동축(60)의 외면에 조립됨으로써, 구동축(60)과 오른,왼몸체(40, 50) 사이의 상대 회전을 복원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의 내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돌기(120a)는 관통공(140)의 상부에 위치하며, 손잡이걸림턱(90b)이 걸리고 손잡이스토퍼걸림턱(90a)이 걸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된다. 이러한 몸체돌기(102a)는 손잡이스토퍼(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10 기준)할 때 손잡이 스프링(90)이 벌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4방향고정핀고정턱(120c)은 몸체(120)의 내부로부터 돌출형성하되, 손잡이스토퍼(100)에 더 가깝도록 위치하고, 2방향고정핀고정턱(120d)은 4방향고정핀고정턱(120c)에 비해 손잡이스토퍼(100)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먼거리에 위치한다.
손잡이스프링(90)은 인력으로 회전한 오른,왼몸체(40,50)와 손잡이스토퍼(100)를 초기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손잡이스프링(90)의 일단은 손잡이걸림턱(90b)을 형성하여 한쌍의 손잡이스프링걸림턱(100b)중 하나에 걸쳐지고, 타단은 손잡이스토퍼걸림턱(90a)을 형성하여 한쌍의 손잡이스프링걸림턱(100b)중 나머지 하나에 걸쳐진다.
손잡이스토퍼(100)은 디스크 형상이며, 중심영역에 대략 8각형인 스토퍼관통공(100d)이 형성되어 합체된 오른,왼몸체(40,50)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손잡이스토퍼(100)의 둘레에는 90도 간격으로 4방향걸림턱(100a)이 4개 형성되어 있다. 그중 마주하는 2개의 4방향걸림턱(100a)에는 2방향손잡이고정홈(100c)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2방향손잡이고정홈(100c)의 깊이는 4방향걸림턱(100a)의 깊이보다 얕도록 구성된다. 2방향손잡이고정홈(100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2개의 4방향걸림턱(100a)중 하나에는 한쌍의 손잡이스프링걸림턱(100b)이 연장되어 절곡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손잡이스프링걸림턱(100b)은 손잡이스토퍼걸림턱(90a)과 손잡이걸림턱(90b)이 각각 회전방향을 따라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링(200)은 손잡이스토퍼(100) 등이 벗겨지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역할을 한다.
손잡이고정핀(110)은 일단이 절곡된 지팡이 형상이다. 절곡된 일단은 4방향고정핀고정턱(120c)과 2방향고정핀고정턱(120d)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서 고정된다. 손잡이고정핀(110)의 타단은 4방향걸림턱(100a)에 끼워져 손잡이스토퍼(100)를 고정하거나 2방향손잡이고정홈(100c)에 닿도록 하여 손잡이스토퍼(100)의 회동을 허용한다.
도 11은 손잡이(10)가 270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고정핀(100)의 절곡된 일단은 4방향고정핀고정턱(120c)에 고정되고, 타단은 4방향걸림턱(100a)에 끼워져 손잡이스토퍼(100)를 회전고정한다. 도 11과 같은 손잡이(10) 위치는 오른손잡이(우수)를 위한 설치방법이다.
도 12는 손잡이(10)가 0 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고정핀(100)의 절곡된 일단은 4방향고정핀고정턱(120c)에 고정되고, 타단은 4방향걸림턱(100a)에 끼워져 손잡이스토퍼(100)를 회전고정한다. 도 12와 같은 손잡이(10) 위치는 상향 설치방법이다.
도 13은 손잡이(10)가 90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3과 같은 손잡이(10) 위치는 왼손잡이(좌수)를 위한 설치방법이다.
도 14는 손잡이(10)가 180도(도 11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없이 푸쉬풀 동작(2) 만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4와 같은 손잡이(10) 위치는 하향 설치방법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에서 푸쉬풀방향(2)과 회전방향(5)을 정의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에서 회전동작(또는 회전방향, 5)은 손잡이(10)를 X축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으로 정의된다.
도 16은 손잡이(10)가 90도(도 16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 또는 푸쉬풀 동작(2)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로서, 손잡이(10)가 회전 동작(5)을 하기 전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손잡이(10)가 회전동작(5)을 마친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6 및 도 17과 같은 손잡이(10) 위치는 왼손잡이(좌수)를 위한 설치방법이다.
도 18은 손잡이(10)가 270도(도 13 기준)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5) 또는 푸쉬풀 동작(2)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설치 상태로서, 점선의 손잡이(10)가 회전 동작(5)을 시작하여 실선의 손잡이(10)가 회전 동작(5)을 마친 상태의 부분 상태도이다. 도 18과 같은 손잡이(10) 위치는 오른손잡이(우수)를 위한 설치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어에 설치할 때, 설치기사는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손잡이의 위치를 좌수형과 우수형중 하나로 결정하고, 그 다음 손잡이(10)를 푸쉬풀동작(2)만으로 개방할지 아니면 회전동작(5)과 푸쉬풀동작(2)을 같이 사용하여 개방할지를 물어서 결정한다. 결정에 따라 도 11, 13, 16, 17, 18중 하나의 구성으로 설치한다. 만약 소비자가 도 12와 같은 상향 손잡이(10) 또는 도 14와 같은 하향 손잡이(10)를 선택하는 경우 회전동작(5)은 사용할 수 없고, 푸쉬풀동작(2) 만으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한다.
실시예의 푸쉬풀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푸쉬풀동작(2)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푸쉬풀 동작(2)을 위해 손잡이스토퍼(100)와 손잡이고정핀(110)의 위치는 도 11 내지 도 18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한다.
먼저, 손잡이(10)를 미는 경우(푸쉬) 구동손잡이(30)는 구동손잡이축(30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편심된 구동돌기(30c)가 구동돌기걸림턱(60a)을 법선방향으로 밀면서 구동축(60) 자체는 구동스프링(70)의 힘을 이기면서 회전하게 된다(도 7과 도 8의 화살표 참조). 손잡이(10)를 당기는 경우(풀) 반대방향 동작으로 인해 구동축(60)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60)의 회전은 개폐수단(미도시)의 회전으로 전달되어 도어를 개방한다. 사용자가 손을 놓는 경우 구동스프링(70)의 복원력으로 인해 손잡이(1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풀 또는 푸쉬 동작으로 회전동작이 전달된다.
실시예의 회전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회전동작(5)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회전동작(5)을 위해 손잡이스토퍼(100)와 손잡이고정핀(110)의 위치는 도 16 또는 도 18중 어느 하나여야 한다.
먼저, 손잡이(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회전) 구동손잡이(30), 몸체커버(80), 오른,왼몸체(40, 50)가 모두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오른,왼몸체(40, 50)의 단부에 끼워진 손잡이스토퍼(100)가 회전하게 된다(도 16 및 도 17 참조). 즉, 손잡이스토퍼(100)는 인접한 4방향걸림턱(100a)와 2방향고정핀걸림턱(100c)의 전체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오른,왼몸체(40, 50)의 회전은 개폐수단(미도시)의 회전으로 전달되어 도어를 개방한다. 사용자가 손을 놓는 경우 손잡이스프링(90)의 복원력으로 인해 손잡이(1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손잡이(10)의 회전동작(5)이 개폐수단의 회전동작으로 전달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푸쉬풀 방향(동작),
5 : 회전 방향(동작),
10 : 손잡이,
10a : 손잡이 심재,
10b : 손잡이 연결재,
10c : 손잡이 돌기,
10d : 손잡이 나사홀,
10e : 손잡이 데코,
20 : 중간손잡이,
20a : 중간손잡이홈,
20b : 중간손잡이 결합홈,
20c : 중간손잡이 나사홀,
30 : 구동손잡이,
30a : 구동손잡이 돌기,
30b : 구동손잡이축,
30c : 구동돌기,
40 : 오른몸체,
40a : 몸체홈,
40b : 하측스프링 걸림턱,
50 : 왼몸체,
60 : 구동축,
60a : 구동돌기 걸림턱,
60b : 상측 스프링 걸림턱,
70 : 구동 스프링,
70a : 상측 스프링 돌기,
70b : 하측 스프링 돌기,
80 : 몸체커버,
90 : 손잡이 스프링,
90a : 손잡이스토퍼 걸림턱,
90b : 손잡이 걸림턱,
100 : 손잡이 스토퍼,
100a : 4방향 걸림턱,
100b : 손잡이스프링 걸림턱,
100c : 2방향 손잡이 고정홈,
100d : 스토퍼 관통공,
110 : 손잡이 고정핀,
120 : 몸체,
120a : 몸체돌기,
120b : 손잡이고정핀 고정홈,
120c : 4방향고정핀 고정턱,
120d : 2방향고정핀 고정턱,
130 : 고정핀 스프링,
140 : 관통공,
200 : 고정링.
B : 고정나사

Claims (4)

  1. 파지되는 손잡이(10);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10)에 결합되는 중간손잡이(20);
    상기 중간손잡이(2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구동 손잡이 돌기(30a), 구동 손잡이 돌기(30a)와 직각인 방향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구동 손잡이축(30b) 및 구동 손잡이 돌기(30a)와 구동 손잡이축(30b)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비대칭으로 편심된 반구형상의 구동돌기(30c)로 이루어진 구동 손잡이(30);
    상기 구동돌기(30c)가 안착되는 구동돌기 걸림턱(60a) 및 구동스프링(70)의 일측이 연결되는 스프링 걸림턱(60b)으로 이루어진 구동축(60);
    상기 구동축(60)이 통과하는 관통공(140)이 구비된 몸체(120);
    상기 몸체(120) 내측의 관통공(140) 상부에 위치하며 손잡이 걸림턱(90b)이 걸리고 손잡이 스토퍼 걸림턱(90b)이 걸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된 몸체돌기(120a);
    스토퍼 관통공(100d)이 중심에 형성되며, 둘레에는 90도 간격으로 4방향 걸림턱(100a)이 4개 형성되되, 상기 4개 중 마주하는 2개의 4방향 걸림턱(100a)에는 2방향 손잡이 고정홈(100c)이 연장 형성되고, 2방향 손잡이 고정홈(100c)의 깊이는 4방향 걸림턱(100a)의 깊이보다 얕은 몸체(120) 내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스토퍼(100); 및
    일단이 절곡된 지팡이 형상으로, 절곡된 일단은 4방향 고정핀 고정턱(120c)과 2방향 고정핀 고정턱(120d)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4방향 걸림턱(100a)에 끼워져 손잡이 스토퍼(100)를 고정하거나, 2방향 손잡이 고정홈(100c)에 닿도록 하여 손잡이 스토퍼(100)의 회동을 허용하는 손잡이 고정핀(110)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10)와 중간손잡이(20)는 나사 결합되어 손잡이(10)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손잡이(10)와 결합되는 손잡이 심재(10a) 및 상기 손잡이 심재(10a)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중간손잡이(20)와 결합되는 손잡이 연결부(10b)가 더 구비되어, 손잡이(10)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에는 소정의 결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에 손잡이 데코(10e)가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10)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KR1020150146999A 2015-10-21 2015-10-21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KR101732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99A KR101732962B1 (ko) 2015-10-21 2015-10-21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99A KR101732962B1 (ko) 2015-10-21 2015-10-21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39A KR20170046539A (ko) 2017-05-02
KR101732962B1 true KR101732962B1 (ko) 2017-05-24

Family

ID=5874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999A KR101732962B1 (ko) 2015-10-21 2015-10-21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6494B2 (en) 2019-09-11 2024-05-07 Carrier Corporation Door handle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413A (ja) * 1998-10-27 2000-05-12 Nagasawa Seisakusho:Kk 取付部材の取付け構造
JP2002213133A (ja) * 2001-01-23 2002-07-31 Hitoshi Nishitani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
KR200288634Y1 (ko) * 2002-06-05 2002-09-11 권태우 도어록
JP2002317574A (ja) * 2001-04-20 2002-10-31 Hitoshi Nishitani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
KR101520735B1 (ko) * 2014-09-12 2015-05-18 김덕호 교체용 도어 손잡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413A (ja) * 1998-10-27 2000-05-12 Nagasawa Seisakusho:Kk 取付部材の取付け構造
JP2002213133A (ja) * 2001-01-23 2002-07-31 Hitoshi Nishitani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
JP2002317574A (ja) * 2001-04-20 2002-10-31 Hitoshi Nishitani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
KR200288634Y1 (ko) * 2002-06-05 2002-09-11 권태우 도어록
KR101520735B1 (ko) * 2014-09-12 2015-05-18 김덕호 교체용 도어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6494B2 (en) 2019-09-11 2024-05-07 Carrier Corporation Door hand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39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962B1 (ko) 손잡이 또는 손잡이 데코의 교체가 가능한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EP2682549B1 (en) Case latch assembly
TWI463078B (zh) Card lathe biaxial hub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TWI486530B (zh) Card lathe biaxial hub
KR101733416B1 (ko) 푸시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KR101732966B1 (ko) 푸쉬풀 동작 및 회전 동작 겸용의 도어락 장치
KR101767967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CN208251828U (zh) 机械自动门锁
CN104223955A (zh) 饮水机的童锁装置及具有其的饮水机
KR101850294B1 (ko)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CN205822935U (zh) 一种门把手结构
US20080209815A1 (en) Locking latch handle
CN207660381U (zh) 一种防猫眼开锁的可换向执手
CN107536467B (zh) 电热水壶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KR102328074B1 (ko) 분리형 문손잡이
CN217353882U (zh) 推拉门把手
JP7304832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CN213015853U (zh) 一种具有多重功能和显示的移门锁具装置
CN213742841U (zh) 铰链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21002306U (zh) 门把手组件
CN111449527B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上盖组件
KR200419554Y1 (ko) 미닫이 도어용 개폐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