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12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128A
KR20170045128A KR1020160133406A KR20160133406A KR20170045128A KR 20170045128 A KR20170045128 A KR 20170045128A KR 1020160133406 A KR1020160133406 A KR 1020160133406A KR 20160133406 A KR20160133406 A KR 20160133406A KR 20170045128 A KR20170045128 A KR 20170045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locking
board
lock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641B1 (ko
Inventor
데루키 나가세
다쿠지 한유
아키히로 시모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4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잠금 완료를 오인하는 일이 없고, 분리되는 일이 없이, 끼움 결합 작업을 단시간에 확실히 완료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게 한다.
제2 하우징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과, 측판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커넥터 잠금부이며, 제2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제2 커넥터 잠금부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과, 측판에 형성된 잠금용 암부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제2 하우징의 측판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잠금용 암부와, 제1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잠금용 암부에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제1 커넥터 잠금부이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제2 커넥터 잠금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3개의 제1 커넥터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블 등의 전선을 프린트 회로 기판 등의 기판에 연결하기 위하여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 불리는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일측의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고,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된 타측의 커넥터와 끼움 결합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2는 종래 커넥터의 끼움 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951은, 기판 커넥터의 단자이며,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911)의 바닥판에 압입됨으로써, 장전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자(951)의 하단은, 기판(991)을 관통하고, 당해 기판(991)의 이면에 형성된 도전 트레이스 등의 부재에 납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판 커넥터는, 기판(99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911)은,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오목부(913)를 구비하고, 당해 오목부(913) 내에 상기 단자(951)의 상단 부근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811은, 전선 커넥터의 하우징이며, 각 전선(891)의 종단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전선측 단자가 장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811)이,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져, 기판 커넥터의 하우징(911)의 오목부(913) 내에 삽입됨으로써,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다. 이에 의해, 각 전선(891)의 종단에 접속된 전선측 단자가 대응하는 단자(951)와 접촉하고, 각 전선(891)이 기판(991)의 대응하는 도전 트레이스와 도통한다.
또한, 기판 커넥터의 하우징(911)의 전방면에는, 한 쌍의 돌기(9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선 커넥터의 하우징(811)의 전방면에는, 판 형상의 암(831)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암(831)은, 도시되지 않은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부를 통하여, 하우징(811)의 전방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831)의 하단에는, 하우징(811)의 전방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8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 커넥터의 하우징(811)이 기판 커넥터의 하우징(911)의 오목부(913) 내에 삽입되고,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할 때에는, 암(831)이 요동함으로써, 후크부(835)가 돌기(935)를 타고 넘은 후에, 당해 돌기(935)의 하단과 끼움 결합한다. 이에 의해,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는, 서로 잠금되고, 전선 커넥터가 기판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한 쌍의 돌기(935)기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선 커넥터를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도록 하는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좌우의 돌기(935)와 그것들에 대응하는 후크부(835)와의 결합이 유지되므로, 잠금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전선 커넥터를 기판 커넥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의하여, 암(831)의 상부(837)를 하우징(811)의 전방면에 압박하도록 조작하여, 암(831)을 요동시켜 후크부(835)와 돌기(935)의 결합을 해제함에 의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0-12391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전선 커넥터의 하우징(811)이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기판 커넥터의 하우징(911)의 오목부(913) 내에 삽입된 때, 암(831)의 하단이 비틀려서, 어느 일측의 돌기(935)와 그것에 대응하는 후크부(835)가 결합하여도, 타측의 돌기(935)와 그것에 대응하는 후크부(835)가 결합되지 않은 채인 상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가 일어나도, 작업자는, 일측의 돌기(935)와 그것에 대응하는 후크부(835)가 결합한 것에 의하여 일어나는 클릭 소리나, 손가락 등에 전해지는 클릭감에 근거하여, 잠금이 완료되었다고 오인해 버린다. 게다가, 돌기(935)가 암(831)에 의하여 덮여버리므로, 모든 돌기(935)와 후크부(835)가 결합하고 있는지 아닌지, 즉, 잠금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잠금이 완료되어 있지 않고, 일부의 전선측 단자가 대응하는 단자(951)와 접촉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의 끼움 결합 작업이 완료된 것이라 간주되어 방치되어 버린다. 또한, 타측의 돌기(935)와 그것에 대응하는 후크부(835)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며, 게다가, 전선 커넥터의 하우징(811)의 기판 커넥터의 하우징(911)의 오목부(913) 내로의 삽입이 불완전한 채이므로, 나중에, 전선 커넥터가 기판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어도 3개의 잠금부를 폭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함으로써, 일측의 커넥터가 타측의 커넥터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잠금부도 잠금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 잠금 완료를 오인하는 일이 없이, 또한 양측의 커넥터가 정규의 자세로 끼움 결합되어 잠금이 완료된 경우에는, 일측의 커넥터를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도록 외력이 가해진 때이더라도, 일측의 커넥터가 타측의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이, 끼움 결합 작업을 단시간에 확실히 완료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를 위해,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 및 당해 제1 하우징에 장전된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끼움 결합하는 제2 하우징 및 당해 제2 하우징에 장전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제2 하우징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과, 당해 측판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커넥터 잠금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제2 커넥터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과, 당해 측판에 형성된 잠금용 암부이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당해 제2 하우징의 측판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잠금용 암부와, 상기 제1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상기 잠금용 암부에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제1 커넥터 잠금부이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 각각과 결합하는 적어도 3개의 제1 커넥터 잠금부를 포함한다.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는, 어느 것도, 같은 모양의 측면 형상을 가지며, 끼움 결합 방향에 관하여 같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잠금부는, 어느 것도, 같은 모양의 측면 형상을 가지며, 끼움 결합 방향에 관하여 같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중앙 잠금부와,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단부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잠금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중앙 잠금부와,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단부 잠금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잠금용 암부는, 개구가 없는 평판 형상의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잠금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단 부분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중앙 잠금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의 면이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당해 제2 하우징의 측판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상기 제1 단부 잠금부와 제2 단부 잠금부는, 상기 잠금용 암부의 외측에서 보아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결합하며, 상기 제1 중앙 잠금부와 제2 중앙 잠금부는, 상기 잠금용 암부의 외측에서 보아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로 결합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측판과 대향하는 타측의 측판과, 당해 타측의 측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이며,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 또는 오목조의 키 홈인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와 끼움 결합하는 오목조의 키 홈 또는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단자가 전선에 접속되는 전선 커넥터이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단자가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이다.
커넥터는, 적어도 3개의 잠금부가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측의 커넥터가 타측의 커넥터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떤 잠금부도 잠금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 잠금 완료를 오인하는 일이 없고, 또한 양측의 커넥터가 정규의 자세로 끼움 결합하여 잠금이 완료된 경우에는, 일측의 커넥터를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외력이 가해진 때이더라도, 일측의 커넥터가 타측의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다. 또한, 끼움 결합 작업을 단시간에 확실히 완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삼면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후면도이며 기판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삼면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후면도이며 기판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요부 상면도이며, (a)는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a)는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가동 암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a)는 전방 경사 아래 방향에서 본 도면, (b)는 후방 경사 아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 변화를 나타낸 제1 도면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측단면도이며 (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 변화를 나타낸 제2 도면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측단면도이며 (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 변화를 나타낸 제3 도면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측단면도이며 (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가 기판 커넥터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끼움 결합되는 경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상면도, (b)는 요부 확대 상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커넥터의 끼움 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삼면도,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삼면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후면도이며 기판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측의 커넥터인 제1 커넥터로서의 전선 커넥터이며, 복수의 전선(91)을 구비한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10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타측의 커넥터인 제2 커넥터로서의 기판 커넥터이며 도시되지 않은 기판으로서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넥터(101)는, 이른바 라이트 앵글 타입의 커넥터이며, 회로 기판에 대하여 횡 방향의 상태에서, 하측의 면(도 3의 (b) 및 도 4의 (b)에 있어서 우측의 면)이 회로 기판의 표면에 대향하도록 하여 실장된다. 따라서, 삽입 오목부(113)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 커넥터(101)는, 라이트 앵글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른바 스트레이트 타입의 커넥터여도 된다. 스트레이트 타입인 경우, 상기 기판 커넥터(101)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기립 설치된 상태에서, 즉, 위를 향하여 개구된 상태로 실장되고, 상기 삽입 오목부(113)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사정상, 기판 커넥터(101)가 라이트 앵글 타입의 커넥터인 경우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선 커넥터(1) 및 기판 커넥터(101) 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전선 커넥터(1) 및 기판 커넥터(101)가 도면에 나타내어진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전선 커넥터(1) 및 기판 커넥터(101)의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 기판 커넥터(10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선 커넥터(1)와 끼움 결합하는 제2 하우징으로서의 하우징(111)과, 당해 하우징(111)에 장전된 금속제의 제2 단자로서의 기판측 단자(151)와, 상기 하우징(111)을 회로 기판에 고정하는 보조 금구로서의 금속제인 네일(181)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1)은, 전체적으로, 전선 커넥터(1)와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기판측 단자(151)의 배열 방향, 즉, 기판 커넥터(101)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인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1)은 대략 직사각형의 뒷판부(115)와, 당해 뒷판부(115)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으로서의 제1 판부(112)와, 상기 뒷판부(115)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타측의 측판으로서의 제2 판부(116)와, 상기 뒷판부(115)의 양측 단부로부터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11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삽입 오목부(113)는, 주위 5면을 상기 뒷판부(115), 제1 판부(112), 제2 판부(116) 및 측벽부(117)에 의하여 획정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공간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판부(112)와 제2 판부(116)는 서로 대향하며, 한 쌍의 측벽부(117)끼리는 상호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각 기판측 단자(151)는, 상기 뒷판부(115)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 넣어짐에 의하여, 상기 뒷판부(115)에 설치되어 있다. 각 기판측 단자(151)의 전단 부근은, 뒷판부(115)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삽입 오목부(113) 내에 노출되며, 상기 전선 커넥터(1)의 제1 단자로서의 전선측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각 기판측 단자(151)의 후단 부근은, 뒷판부(115)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단자 연결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솔더 테일부(152)가 되어 있다. 상기 단자 접속 패드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이 가지는 도전 트레이스에 도통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기판측 단자(151)는, 합계 10개가 피치 약 2.0[mm]이며, 기판 커넥터(101)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1열로 배열되어 있으나, 기판측 단자(151)의 개수, 피치, 열수 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측벽부(117)에는 네일(181)이 설치되어 있다. 당해 네일(181)의 하단은,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용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 판부(112)에는, 제2 커넥터 잠금부로서의 기판측 잠금부(135)가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기판측 잠금부(135)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부(112)의 상면인 거의 평탄한 외면(112a)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기판측 잠금부(135)는, 제2 중앙 잠금부로서의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와, 당해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단부 잠금부로서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를 포함하고 있다. 좌우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끼리는, 가능한 한 넓은 간격을 두고, 이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한 쌍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 사이에 형성된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는 단수이지만, 당해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즉, 기판측 잠금부(135)는, 3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사정상, 기판측 잠금부(135)의 수가 3개인 경우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판부(116)에 있어서의 기판측 잠금부(135)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슬라이드 끼움 결합되는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제2 판부(116)의 내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기판 커넥터(10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와 같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경우,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도시되지 않은 제2 판부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과 끼움 결합하는 오목조의 키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는, 제2 판부(116)의 내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기판 커넥터(10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오목조의 키 홈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제2 판부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와 끼움 결합하는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는, 기판측 잠금부(135)와 대응하는 부위이면 제2 판부(116)에 있어서의 어느 부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도면에 나타낸 예와 같이,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와 대응하는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판부(112)의 내면에는, 임의의 개소에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극성용 볼록부(22)와 슬라이드 끼움 결합하는 극성용 오목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극성용 오목부(122)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제1 판부(112)의 내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기판 커넥터(10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오목조의 키 홈과 같은 오목부가 좌우에 2개씩, 합계 4개 형성되어 있지만, 극성용 오목부(122)의 수, 형성되는 부위 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선 커넥터(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커넥터(101)와 끼움 결합하는 제1 하우징으로서의 하우징(11)과, 당해 하우징(11)에 장전된 금속제의 제1 단자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전선측 단자를 갖춘다.
상기 하우징(11)은, 기판 커넥터(101)와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전선(91)의 배열 방향, 즉, 전선 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인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은, 대략 직사각형의 뒷판부(15)와, 당해 뒷판부(15)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으로서의 제1 판부(12)와, 상기 뒷판부(15)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타측의 측판으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제2 판부와, 상기 뒷판부(15)의 양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17)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판부(12)와 제2 판부는 서로 대향하며, 한 쌍의 측벽부(17)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은, 뒷판부(15)에 일단이 개구되어 전선 커넥터(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 오목부(13)를 포함하고 있다. 각 단자 수용 오목부(13) 내에는, 전선(91)의 전단에 접속되어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전선측 단자가, 수용되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각 전선(91)은, 단자 수용 오목부(13)의 개구로부터, 하우징(11)의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전선측 단자 및 전선(91)은, 합계 10개가 피치 약 2.0[mm]이며, 전선 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1열로 배열되어 있지만, 전선측 단자 및 전선(91)의 개수, 피치, 열수 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부(12)에는, 잠금용 암부로서의 가동 암(3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가동 암(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인 본체부(31a)를 갖추고, 연결부(32)를 통하여, 제1 판부(12)의 상면인 거의 평탄한 외면(12a)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이 끼움 결합하면, 당해 하우징(111)의 제1 판부(112)의 외면(112a)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가동 암(31)이 덮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2)는, 가동 암(31)의 본체부(31a) 전단과 후단 사이에 접속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이며, 따라서, 상기 가동 암(31)은, 연결부(32)에 접속된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판부(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암(31)의 전단 부분에는, 제1 커넥터 잠금부로서의 전선측 잠금부(35)가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측 잠금부(35)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중앙 잠금부로서의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와, 당해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단부 잠금부로서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는, 기판측 잠금부(135)의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결합하는 부재이며,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대응하는 위치에,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대응하는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즉,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는 단수이지만, 당해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즉, 전선측 잠금부(35)는, 3개 이상이라면, 몇 개라도 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사정상, 전선측 잠금부(35)의 수가 3개인 경우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한 쌍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는, 가동 암(31)의 본체부(31a)의 전단 부분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암(31)의 본체부(31a)의 후단 근방 부분은, 작업자가 그의 손가락 등에 의하여 조작하는 조작부(37)로 되어 있다. 기판 커넥터(101)의 기판측 잠금부(135)와 전선 커넥터(1)의 전선측 잠금부(35)로 이루어지는 잠금 기구는, 이른바 포지티브 잠금이며, 잠금할 때에는, 작업자는 기판측 잠금부(135)도 전선측 잠금부(35)도 조작할 필요가 없지만, 잠금을 해제할 때에는, 작업자는, 그의 손가락 등에 의하여 가동 암(31)의 조작부(37)를 조작하여 전선측 잠금부(35)를 변위시킬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조작부(37)를 눌러 내리면, 가동 암(31)이 요동하여 그 전단 부분에 형성된 전선측 잠금부(35)가 상승하고, 이것에 의하여, 기판측 잠금부(135)와 전선측 잠금부(35)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잠금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판부(12)의 외면(12a)에는, 임의의 개소에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의 극성용 오목부(122)와 슬라이드 끼움 결합하는 극성용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극성용 볼록부(22)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제1 판부(12)의 외면(12a)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전선 커넥터(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와 같은 볼록부가 좌우에 2개씩, 합계 4개 형성되어 있지만, 극성용 볼록부(22)의 수, 형성되는 부위 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선측 잠금부(35) 및 기판측 잠금부(135)의 구성에 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요부 상면도,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커넥터의 가동 암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a)는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에 있어서, (a)는 전방 경사 아래 방향에서 본 도면, (b)는 후방 경사 아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암(31)의 본체부(31a)의 내측, 즉, 제1 판부(12)의 외면(12a)과 대향하는 쪽에는, 폭 방향의 중심부에 있어서 외측(상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오목부(33)는 본체부(31a)의 전단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당해 전단 부분의 내측은, 오목부(33)보다도 내측(하측)을 향하여, 즉, 제1 판부(12)의 외면(12a)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로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33)의 깊이는, 상기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와 기판 커넥터(101)의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라면 되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상기 가동 암(31)을 관통하지 않는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동 암(31)의 본체부(31a)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판 형상의 부재가 되며, 개구가 형성된 부재와 비교하여,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한 쌍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 내측의 면은, 거의 동일 평면인 평탄면(35d)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한 쌍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의 전단에는, 상기 평탄면(35d)의 전단에 접속된 경사면(3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한 쌍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의 후단에는, 상기 평탄면(35d)에 대하여 직교하고, 외측(상측)을 향하여,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면인 걸림 지지면(35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한 쌍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의 경사면(35c)끼리, 및, 걸림 지지면(35e)끼리는, 서로 동일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측 잠금부(135)에 있어서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한 쌍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 외측의 면은, 거의 동일 평면인 평탄면(135d)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한 쌍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전단에는, 상기 평탄면(135d)의 전단에 접속된 경사면(13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한 쌍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후단에는, 상기 평탄면(135d)에 대하여 직교하고, 내측(하측)을 향하여,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평면인 걸림 지지면(135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한 쌍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경사면(135c)끼리, 및, 걸림 지지면(135e)끼리는, 서로 동일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선 커넥터(1)와 기판 커넥터(101)가 끼움 결합하여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가 잠금 상태가 되면, 즉, 잠금이 완료되면,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와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가 결합함과 동시에, 좌우 양측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와 좌우 양측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의 걸림 지지면(35e)과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의 걸림 지지면(135e)이 서로 대향하며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와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가 서로 정지되고, 좌우 양측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의 걸림 지지면(35e)과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걸림 지지면(135e)이 서로 대향하며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와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가 서로 정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선 커넥터(1)를 기판 커넥터(101)에 끼움 결합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 변화를 나타낸 제1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 변화를 나타낸 제2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선 커넥터의 전선측 잠금부와 기판 커넥터의 기판측 잠금부의 위치 관계 변화를 나타낸 제3 도면, 도 1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선 커넥터가 기판 커넥터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끼움 결합되는 경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도 10에 있어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측단면도이며 (a)에 있어서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11에 있어서, (a)는 상면도, (b)는 요부 확대 상면도이다.
전선 커넥터(1)를 회로 기판에 실장된 기판 커넥터(101)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 결합 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전선 커넥터(1)의 자세를 작업자가 손가락 등에 의하여 제어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전방면이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의 전방면을 서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극성용 볼록부(22)가 제1 판부(12)가 기판 커넥터(101)에 있어서 극성용 오목부(122)가 형성된 제1 판부(112)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전선 커넥터(1)의 자세가 제어된다.
즉, 전선 커넥터(1)가 기판 커넥터(101)에 끼움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와의 위치 관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전선 커넥터(1)를 회로 기판과 평행하게 이동시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을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의 삽입 오목부(113)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전단이 상기 삽입 오목부(113) 내에 진입하기 시작하면, 도 9와 같이, 전선 커넥터(1)의 전선측 잠금부(35)가 기판 커넥터(101)의 기판측 잠금부(135)와 맞닿아 접하고 당해 기판측 잠금부(135) 위로 타고 오르게 된다. 따라서, 가동 암(31)의 전단 부근이 상승되어져, 연결부(32)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가동 암(31)이 요동한다.
그리고, 전선측 잠금부(35)의 전단에는 경사면(35c)이 형성되며, 기판측 잠금부(135)의 전단에는 경사면(135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 커넥터(1)의 진행에 수반하여, 전선측 잠금부(35)는 부드럽게 기판측 잠금부(135) 위로 타고 오를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전선 커넥터(1)를 더욱 이동시켜, 당해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을 상기 삽입 오목부(113) 내의 깊숙한 곳까지 삽입하면, 전선 커넥터(1)와 기판 커넥터(101)와의 끼움 결합이 완료되고, 각 전선측 단자가 대응하는 기판측 단자(151)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한, 전선 커넥터(1)와 기판 커넥터(101)와의 끼움 결합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측 잠금부(135) 위로 타고 올랐던 전선측 잠금부(35)는, 기판측 잠금부(135)를 통과한다. 그러면, 연결부(32)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므로, 가동 암(31)의 전단 부근이 하강되어져, 전선측 잠금부(35)는 낙하하여 기판측 잠금부(135)와 결합한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의 걸림 지지면(35e)과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의 걸림 지지면(135e)이 서로 대향하여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와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가 서로 걸림 지지되고, 좌우 양측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의 걸림 지지면(35e)과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걸림 지지면(135e)이 서로 대향해서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와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가 서로 걸림 지지된다. 따라서,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는, 확실하게 잠겨진 상태가 되며, 전선 커넥터(1)와 기판 커넥터(101)의 끼움 결합이 불필요하게 해제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끼움 결합을 해제하여 전선 커넥터(1)를 기판 커넥터(101)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작업자가 손가락 등에 의하여 조작부(37)를 눌러 내리면, 가동 암(31)이 요동하여 그 전단 부분에 형성된 전선측 잠금부(35)가 상승한다. 따라서, 기판측 잠금부(135)와 전선측 잠금부(35)의 끼움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잠금이 해제되므로, 작업자는, 전선 커넥터(1)를 끼움 결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선 커넥터(1)를 기판 커넥터(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전선 커넥터(1)를 기판 커넥터(101)에 끼움 결합시키는 끼움 결합 작업에 있어서는, 잘못하여,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이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의 삽입 오목부(113) 내에 삽입되어버리는 일이 생길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은, 그 폭 방향의 중심선이,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상기 하우징(111)의 삽입 오목부(11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좌측단 부근이 삽입 오목부(113) 내의 깊숙이까지 삽입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우측단 부근은 삽입 오목부(113) 내에 얕게 밖에 삽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의 좌측단 부근에 위치하는 전선측 단자가 대응하는 기판측 단자(151)와 접촉하고 있어도, 상기 하우징(11)의 우측단 부근에 위치하는 전선측 단자는 대응하는 기판측 단자(151)와 접촉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도 11(b)에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가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위를 통과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우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는, 대응하는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 암(31)의 전단 부근은 하강하는 일이 없이, 그 결과,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우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가 대응하는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 및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결합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좌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도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결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가 결합함으로써 생기는 클릭 소리나,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전달되는 클릭감은, 아직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이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의 삽입 오목부(113) 내에 삽입된 경우에, 작업자는, 잠금이 완료되었다고 오인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우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가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위를 통과하고 있지 않는 것은 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잠금이 완료되지 않은 것을, 눈으로 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가령, 도 1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 및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여 보면, 우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가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위에 위치하고 있어도, 좌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가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의 위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가동 암(31)이 비틀리도록 되어, 그 전단 부근의 좌측단만 하강하며, 좌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만이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결합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상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암(31)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가 존재하고,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에 있어서 제1 판부(112)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가 존재하므로, 가동 암(31)의 폭 방향의 중심부가 아래로부터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가 되며, 좌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만이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 위를 통과하여도, 가동 암(31)이 비틀려 그 전단 부근의 좌측단만이 하강해 버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좌측단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만이 대응하는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결합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는, 하우징(11), 및, 하우징(11)에 장전된 도시되지 않은 전선측 단자를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1)와,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끼움 결합하는 하우징(111), 및, 하우징(111)에 장전되며, 전선측 단자와 접촉하는 기판측 단자(151)를 포함하는 기판 커넥터(101)를 갖춘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판부(112)와, 제1 판부(112)의 외면(112a)으로부터 돌출되는 기판측 잠금부(135)이며,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3개의 기판측 잠금부(13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판부(12)와, 제1 판부(12)에 형성된 가동 암(31)이며,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이 끼움 결합하면 하우징(111)의 제1 판부(112)의 외면(112a)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가동 암(31)과,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가동 암(31)에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전선측 잠금부(35)에 있어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이 끼움 결합하는 기판측 잠금부(135) 각각과 결합하는 적어도 3개의 전선측 잠금부(35)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1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이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을 때에는, 어느 전선측 잠금부(35)라도 대응하는 기판측 잠금부(135)와 결합하는 일이 없고,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는 서로 잠금 상태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잠금 완료를 오인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전선측 잠금부(35)와,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3개의 기판측 잠금부(135)가 결합하므로, 도 1, 도 3,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이 정규의 자세로 끼움 결합하여 잠금이 완료된 경우에는,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의 외력이며,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을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라도,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으며, 전선 커넥터(1)가 기판 커넥터(101)로부터 분리되어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측 잠금부(135)는, 어느것도, 평탄면(135d)과, 평탄면(135d)의 전단에 접속된 경사면(135c)과, 평탄면(135d)의 후단에 접속된 걸림 지지면(135e)을 포함하며, 같은 모양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끼움 결합 방향에 관하여 같은 위치에 형성되며, 전선측 잠금부(35)는, 어느것도, 평탄면(35d)과, 평탄면(35d)의 전단에 접속된 경사면(35c)과, 평탄면(35d)의 후단에 접속된 걸림 지지면(35e)을 포함하며, 같은 모양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끼움 결합 방향에 관하여 같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을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에 대하여 끼움 결합 방향으로 진행시킬 때에, 전선측 잠금부(35)가 기판측 잠금부(135)로부터 큰 저항을 받는 일이 없으며, 모든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가 부드럽게 결합한다. 또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와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으며, 전선 커넥터(1)가 기판 커넥터(101)로부터 분리되어버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측 잠금부(135)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와,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를 포함하며, 전선측 잠금부(35)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와,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양단에 형성된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끼리의 간격, 및,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끼리의 간격이 넓으므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이 정규의 자세로 끼움 결합하여 잠금이 완료된 경우에는,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의 외력이며,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을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도록 하는 외력이 가해진 때라도,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와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으며, 전선 커넥터(1)가 기판 커넥터(101)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7 등과 같이, 가동 암(31)은, 개구가 없는 평판 형상의 본체부(31a)를 포함하며,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는, 본체부(31a)의 전단 부분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는, 본체부(31a) 내측의 면이며,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이 끼움 결합하면 하우징(111)의 제1 판부(112)의 외면(112a)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31a)가 개구 없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므로, 가동 암(31)의 강도가 높게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가동 암(31)이 비틀리도록 되어, 본체부(31a)의 전단 부분의 좌우 어느 일측의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만 하강하여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 결합해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전선측 잠금부(35)와 기판측 잠금부(135)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으며, 전선 커넥터(1)가 기판 커넥터(101)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1,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과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이 끼움 결합하면,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와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는, 가동 암(31)의 외측에서 보아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결합하고, 전선측 중앙 잠금부(35b)와 기판측 중앙 잠금부(135b)는, 가동 암(31)의 외측에서 보아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전선측 단부 잠금부(35a)와 기판측 단부 잠금부(135a)와의 결합 상태가, 가동 암(31)의 외측에서 보아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잠금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눈으로 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잠금 완료를 오인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은, 제1 판부(112)와 대향하는 제2 판부(116)와, 제2 판부(116)에 있어서 기판측 잠금부(135)와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이며,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 또는 오목조의 키 홈인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를 포함하며,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은,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118)와 끼움 결합하는 오목조의 키 홈 또는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이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과 끼움 결합할 때에, 전선 커넥터(1)의 하우징(11)이 기판 커넥터(101)의 하우징(111)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가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적절히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관한 특징을 서술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 안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 다양한 다른 실시 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개시를 전체적으로 봄에 의하여, 당연히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전선 커넥터
11, 111, 811, 911...하우징
12, 112...제1 판부
12a, 112a...외면
13...단자 수용 오목부
15, 115...뒷판부
17, 117...측벽부
22...극성용 볼록부
31...가동 암
31a...본체부
32...연결부
33, 913...오목부
35...전선측 잠금부
35a...전선측 단부 잠금부
35b...전선측 중앙 잠금부
35c, 135c...경사면
35d, 135d...평탄면
35e, 135e...걸림 지지면
37...조작부
91, 891...전선
101...기판측 커넥터
113...삽입 오목부
116...제2 판부
118...슬라이드 끼움 결합부
122...극성용 오목부
135...기판측 잠금부
135a...기판측 단부 잠금부
135b...기판측 중앙 잠금부
151...기판측 단자
152...솔더 테일부
181...네일
831...암
835...후크부
837...상부
935...돌기
951...단자
991...기판

Claims (7)

  1. (a) 제1 하우징, 및, 당해 제1 하우징에 장전된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b) 상기 제1 하우징과 끼움 결합하는 제2 하우징, 및, 당해 제2 하우징에 장전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c) 상기 제2 하우징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과, 당해 측판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커넥터 잠금부이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제2 커넥터 잠금부를 포함하고,
    (d) 상기 제1 하우징은,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과, 당해 측판에 형성된 잠금용 암부이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당해 제2 하우징의 측판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잠금용 암부와, 상기 제1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상기 잠금용 암부에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제1 커넥터 잠금부이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 각각과 결합하는 적어도 3개의 제1 커넥터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는, 어느 것도, 같은 모양의 측면 형상을 가지며, 끼움 결합 방향에 관하여 같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잠금부는, 어느 것도, 같은 모양의 측면 형상을 가지며, 끼움 결합 방향에 관하여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중앙 잠금부와,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단부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잠금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중앙 잠금부와,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단부 잠금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용 암부는, 개구가 없는 평판 형상의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잠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단 부분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중앙 잠금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의 면이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당해 제2 하우징의 측판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끼움 결합하면, 상기 제1 단부 잠금부와 제2 단부 잠금부는, 상기 잠금용 암부의 외측에서 보아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결합하며, 상기 제1 중앙 잠금부와 제2 중앙 잠금부는, 상기 잠금용 암부의 외측에서 보아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로 결합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측판과 대향하는 타측의 측판과, 당해 타측의 측판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잠금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이며,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 또는 오목조의 키 홈인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끼움 결합부와 끼움 결합하는 오목조의 키 홈 또는 볼록조의 끼움 결합 키를 포함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단자가 전선에 접속되는 전선 커넥터이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단자가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인 커넥터.
KR1020160133406A 2015-10-16 2016-10-14 커넥터 KR101860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4825 2015-10-16
JP2015204825A JP6441777B2 (ja) 2015-10-16 2015-10-1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28A true KR20170045128A (ko) 2017-04-26
KR101860641B1 KR101860641B1 (ko) 2018-05-23

Family

ID=5852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406A KR101860641B1 (ko) 2015-10-16 2016-10-14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17401B2 (ko)
JP (1) JP6441777B2 (ko)
KR (1) KR101860641B1 (ko)
CN (1) CN106972322B (ko)
TW (1) TWI62888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103B1 (ko) * 2019-04-26 2019-12-10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KR20210078624A (ko) * 2019-12-18 2021-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192841S (zh) * 2018-01-29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Part of the line end connector
TWD192840S (zh) * 2018-01-29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Part of the wire end connector housing
JP7219018B2 (ja) * 2018-05-18 2023-02-0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及び回路装置
JP7164863B2 (ja) * 2018-08-27 2022-11-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87458B2 (ja) 2019-03-12 2021-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24038B2 (ja) * 2019-04-23 2023-08-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11555067B (zh) * 2020-04-15 2022-03-04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连接器
TWI836615B (zh) * 2022-09-19 2024-03-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線對板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276U (ja) 1992-07-23 1994-0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EP0757411A3 (en) 1995-08-03 1997-10-15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JP3009653B1 (ja) 1998-10-16 2000-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ロック構造
JP3648432B2 (ja) * 2000-05-25 2005-05-18 矢崎総業株式会社 慣性ロック式コネクタ
JP2004207040A (ja) * 2002-12-25 2004-07-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112105B2 (en) * 2003-07-22 2006-09-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having power contacts
JP4230322B2 (ja) * 2003-09-24 2009-02-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02586B2 (ja) * 2003-10-30 2007-04-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99164B2 (ja) 2004-07-16 2008-06-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07375B2 (ja) * 2004-11-26 2011-06-22 ケル株式会社 嵌合型コネクタ
JP2008097956A (ja) * 2006-10-11 2008-04-2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7431605B2 (en) * 2006-12-06 2008-10-07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pparatus
JP4592780B2 (ja) 2008-04-14 2010-12-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70854U (en) * 2009-03-31 2009-1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422808U (en) * 2011-09-23 2012-02-11 Kunshan Lian Tao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TWM441251U (en) 2012-06-19 2012-11-11 Luxshare Ict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103B1 (ko) * 2019-04-26 2019-12-10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KR20210078624A (ko) * 2019-12-18 2021-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72322A (zh) 2017-07-21
US9917401B2 (en) 2018-03-13
JP6441777B2 (ja) 2018-12-19
JP2017076588A (ja) 2017-04-20
TW201729474A (zh) 2017-08-16
KR101860641B1 (ko) 2018-05-23
TWI628883B (zh) 2018-07-01
CN106972322B (zh) 2020-06-23
US20170110828A1 (en)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641B1 (ko) 커넥터
JP5943774B2 (ja) コネクタ
US20080296133A1 (en) Connector
JP2023105047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97562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4044937B2 (ja) コネクタ
US1022467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ort-circuiting terminal
CN109038057B (zh) 连接器
KR20120020047A (ko) 전기 커넥터
JP4162142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接続構造
JP7042711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9293847B2 (en) Connector having a holding member with guide portions with projections
JP6352676B2 (ja) コネクタ
US9972947B2 (en) Connector
JP2019024023A (ja) コネクタ
JP4220400B2 (ja) コネクタ
JP6426497B2 (ja) コネクタ組立体
TWI575821B (zh) Usb插座
JP2018073747A (ja) コネクタ装置
US754722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240106149A1 (en) Connector
US9478880B2 (en) Connector having projections for positioning a circuit board to be inserted in the connector
JP618402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939270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1672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