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624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624A
KR20210078624A KR1020190169878A KR20190169878A KR20210078624A KR 20210078624 A KR20210078624 A KR 20210078624A KR 1020190169878 A KR1020190169878 A KR 1020190169878A KR 20190169878 A KR20190169878 A KR 20190169878A KR 20210078624 A KR20210078624 A KR 20210078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k
connector assembly
lock lever
lock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490B1 (ko
Inventor
윤호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9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4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장치의 잠금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용이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잠금 레버와, 다른 하나에 마련된 잠금 고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 레버의 전단에는 상기 잠금 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비크가 형성된다. 상기 비크는 상기 잠금 레버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비크는, 상기 잠금 레버의 중앙에 형성된 제1비크와, 상기 제1비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비크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잠금 장치의 잠금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용이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에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로서, 결빙온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냉동실과, 결빙온도를 약간 상회하는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실을 구비 한다.
근래에는 생활의 편리성 및 저장공간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 대형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대형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부에 마련되는 일반형과, 냉동실이 좌우 일측에 마련되는 양문형과, 냉동실이 하부에 마련되는 혼합형 등이 있다.
한편, 최근 생산되는 냉장고에는 다양한 전자장치가 추가되어 냉장고의 본래의 기능 외에 냉장고의 기능을 보완, 개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냉장고에 다양한 장치가 추가됨에 따라 각 장치들을 냉장고에 효율적으 로 배치하는 것과, 이들 장치와 제어부 또는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도어에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조건 설정 등을 위한 컨트롤 패널이 마련된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은 냉장고 본체의 내상에서 인출된 전선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41072호(2019.01.16)에는 잠금 장치가 마련된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에 마련된 잠금 장치는 싱글 타입으로서, 잠금 장치의 잠금 강도가 낮아 외력 인가 시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냉장고 등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 좌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다극 커넥터로서 폭 방향 흔들림에 의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41072호(2019.01.1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금 장치의 잠금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용이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잠금 레버와, 다른 하나에 마련된 잠금 고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 레버의 전단에는 상기 잠금 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비크가 형성된다.
상기 비크는 상기 잠금 레버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비크는, 상기 잠금 레버의 중앙에 형성된 제1비크와, 상기 제1비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비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비크와 제2비크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비크의 전단은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비크의 전단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비크는 상기 제2비크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시 상기 잠금 고리에 먼저 접촉하여 상기 잠금 레버를 탄성 변형시킨다.
한편,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방향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잠금 레버의 하부에는 상기 잠금 레버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보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잠금 레버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비크를 통해 잠금 장치의 잠금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좌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다극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폭 방향 흔들림에 의한 잠금 해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 레버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져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강부재를 통해 잠금 레버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20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 및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메일 하우징(210)에 삽입 및 결합되는 피메일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피메일 하우징(110)은 높이에 비하여 폭이 넓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피메일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단자공(112)이 형성되고, 단자공(112)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다수의 단자(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단자공(112)은 피메일 하우징(1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1열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피메일 하우징(110)이 삽입 및 결합되는 메일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메일 하우징(210)은 피메일 하우징(110)과 대응되는 형상, 즉 높이에 비하여 폭이 넓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메일 하우징(210)의 전면은 개방되고 그 내부는 피메일 하우징(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메일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단자공(212)이 형성되며, 단자공(212)은 메일 하우징(2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1열로 이루어진다.
피메일 하우징(110)과 메일 하우징(210)에는 잠금 장치(120,220)가 마련된다.
잠금 장치(100,200)는 커넥터 조립체(100,200)의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100,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잠금 장치(100,200)는, 피메일 하우징(110)에 마련된 잠금 레버(120)와, 메일 하우징(210)에 마련된 잠금 고리(2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 레버(120)가 피메일 하우징(110)에 마련되고, 잠금 고리(220)가 메일 하우징(210)에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잠금 레버(120)는 피메일 하우징(110)과 메일 하우징(210)을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즉, 잠금 레버(120)는 피메일 하우징(110)의 상면 후단에서 전단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잠금 레버(120)의 전단에는 잠금 고리(220)에 걸려 고정되는 비크(122)가 형성된다. 이때, 비크(122)는 잠금 레버(12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로 구성된다. 즉, 비크(122)는, 잠금 레버(120)의 중앙에 형성된 제1비크(122a)와, 제1비크(122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비크(122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비크(122)가 잠금 레버(12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로 구성될 경우 잠금 장치(120,220)의 잠금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100,200)로 인가되는 폭 방향 흔들림에 의해 잠금 장치(120,220)가 쉽게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비크(122a)와 제2비크(122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비크(122a)의 전단은 둥글게 형성되고, 제2비크(122b)의 전단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전단이 둥근 제1비크(122a)는 제2비크(122b)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피메일 하우징(110)과 메일 하우징(210)의 체결 시 제1비크(122a)가 잠금 고리(220)에 먼저 접촉하여 잠금 레버(120)를 탄성 변형시키게 되므로 잠금 장치(1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용이하다.
잠금 레버(120)의 중단에는 잠금 고리(220)를 지지하는 스토퍼(124)가 형성된다. 스토퍼(124)는 제1 및 제2비크(122a,122b)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커넥터 조립체(100,200)의 체결 시 제1 및 제2비크(122a,122b)와의 사이에 잠금 고리(22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비크(122a,122b)와 스토퍼(124)를 통해 잠금 고리(220)를 지지할 경우 폭 방향 흔들림에 의해 잠금 장치(120,220)가 쉽게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24)는 커넥터 조립체(100,200)의 분리 시 잠금 레버(120)를 탄성 변형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토퍼(124)는 사용자가 잠금 레버(120)를 쉽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 형태를 갖는다.
다른 한면, 잠금 레버(120)의 하부에는 잠금 레버(12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보강부재(126)가 마련된다. 보강부재(126)는 잠금 레버(12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잠금 레버(12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장시간 사용에 따른 잠금 레버(12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 고리(220)는 비크(122)가 형성된 잠금 레버(120)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 고리(220)의 하면에는 잠금 레버(120)의 중앙부 홈(125)에 체결되는 고정돌기(222)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기(222)는 잠금 고리(220)에 제2비크(122b)와의 초기 접촉 후 체결 중에는 간섭이 없으며, 해제 시에는 잠금 강도를 추가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플러그 커넥터 110: 피메일 하우징
120: 잠금 레버 210: 메일 하우징
220: 잠금 고리

Claims (6)

  1.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장치가 구비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잠금 레버와, 다른 하나에 마련된 잠금 고리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레버의 전단에는 상기 잠금 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비크가 형성되되, 상기 비크는 상기 잠금 레버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크는, 상기 잠금 레버의 중앙에 형성된 제1비크와, 상기 제1비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비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비크와 상기 제2비크는 서로 다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비크의 전단은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비크의 전단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비크가 상기 제2비크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시 상기 잠금 고리에 먼저 접촉하여 상기 잠금 레버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 고리에는 상기 제2비크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의 중단에는 상기 잠금 고리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시 상기 제1 및 제2비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상기 잠금 고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방향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이고, 상기 잠금 레버의 하부에는 상기 잠금 레버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90169878A 2019-12-18 2019-12-18 커넥터 조립체 KR102278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78A KR102278490B1 (ko) 2019-12-18 2019-12-18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78A KR102278490B1 (ko) 2019-12-18 2019-12-18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24A true KR20210078624A (ko) 2021-06-29
KR102278490B1 KR102278490B1 (ko) 2021-07-19

Family

ID=7662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78A KR102278490B1 (ko) 2019-12-18 2019-12-18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4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12B1 (ko) * 2009-11-09 2011-09-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KR20170045128A (ko) * 2015-10-16 2017-04-26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KR101941072B1 (ko) 2012-12-29 2019-0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190034097A (ko) * 2017-09-22 2019-04-01 몰렉스 엘엘씨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KR20190081563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12B1 (ko) * 2009-11-09 2011-09-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KR101941072B1 (ko) 2012-12-29 2019-0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170045128A (ko) * 2015-10-16 2017-04-26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KR20190034097A (ko) * 2017-09-22 2019-04-01 몰렉스 엘엘씨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KR20190081563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490B1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418B1 (en) Latch release
US6109948A (en) Locking device for coupling two mating electrical connectors together
TWM575202U (zh) 電連接器組合
US20120302085A1 (en) Locking cover for electrical connection appliance
US6174179B1 (en) Lever engagement connector having engaging and disengaging fulcrums
EP0632536B1 (en) Vibration proof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JP2008538851A (ja) ターミナル位置保証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CN101640353B (zh) 接插件
KR20140002391U (ko)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CN107453126A (zh) 充电电缆锁定装置
KR102278490B1 (ko) 커넥터 조립체
US20100304587A1 (en) Connector cover
US573314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retaining piece
US7473113B2 (en) Electrical connection for high humidity and low temperature environments
US1097185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793445B1 (ko) Ffc용 플러그 커넥터
JP2001137507A (ja) 遊技機用コネクタ及び遊技機
CN209045863U (zh) 端子保持器以及连接器
US5820403A (en) Terminator
CN113193412B (zh) 一种连接器外壳体
US7887367B2 (en) Contact housing and electrical contact device
KR20210062500A (ko) 하이브리드 커넥터
KR1014626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1211733B1 (en) Reinforced electrical terminal
KR20060117837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