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048A -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048A
KR20170044048A KR1020160133134A KR20160133134A KR20170044048A KR 20170044048 A KR20170044048 A KR 20170044048A KR 1020160133134 A KR1020160133134 A KR 1020160133134A KR 20160133134 A KR20160133134 A KR 20160133134A KR 20170044048 A KR20170044048 A KR 20170044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
methionine
gly
acetyl homoserine
mu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719B1 (ko
Inventor
이임상
손성광
유혜련
이재희
이주희
장진숙
최진근
김소영
신용욱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17004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2Methionine; Cysteine; Cyst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85Transferases (2.)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5/00Transferases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 C12Y205/01Transferases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1)
    • C12Y205/01049O-acetylhomoserine aminocarboxypropyltransferase (2.5.1.49)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85Escherichia
    • C12R2001/19Escherichia coli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신규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변이체,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변이체를 발현할 수 있는 균주, 및 상기 변이체를 이용하여 L-메치오닌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제조 방법 {A modified 0-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and method of producing L-methionin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신규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변이체,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변이체를 발현할 수 있는 균주, 및 상기 변이체를 이용하여 L-메치오닌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메치오닌 (methionine)은 생체내의 필수 아미노산의 한 종류로서, 사료, 수액제, 의약품의 합성 원료 등 의약 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 사용된다. 메치오닌은 생체 내에서 메틸기 전이 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아미노산이며, 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메치오닌의 화학합성은 주로 5-(β-메틸머캅토에틸)하이단토인 (5-(β-methylmercaptoethyl)-hydantoin)을 가수분해시키는 반응을 통하여, L-형과 D-형이 혼합된 형태로 메치오닌을 생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학합성은 L-형과 D-형이 혼합된 형태로 생산된다. 한편,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L-메치오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데, 미생물을 이용하여 직접 발효로 생산하거나, 2단계 공법(국제공개 특허 제WO2008/013432호)으로 생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단계 공법은 발효에 의한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공정 및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를 효소에 의하여 L-메치오닌으로 전환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단계 공법은 L-메치오닌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동일한 반응을 통하여 부산물로서 유기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숙신산, 아세트산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는 O-아세틸호모세린과 O-숙시닐호모세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환공정에 사용하는 효소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단계 공법을 통해 L-메치오닌의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L-메치오닌의 전구체인 O-아실호모세린의 발효양을 최대로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동시에, L-메치오닌을 생산하기 위한 효소 전환 반응에 사용하는 효소가 높은 전환 활성을 보유하고, 미생물에서 과발현이 가능하며, 고농도의 O-아실호모세린에서 높은 반응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당해 효소가 최종 산물인 L-메치오닌과 유기산이 고농도로 축적되는 시점에서 활성 저해가 낮아야 하며, 당해 효소가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활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 열 안정성을 지녀야 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250651호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가 다른 속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보다 열안정성이 높아, 상기 2단계 공법에 신규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상기 2단계 공법 등에 이용하기 위한 높은 전환 활성 및 최종 산물이 축적되는 시점에서 활성 저해가 낮은 효과적인 전환효소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개량된 전환효소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로도박터 스페로이드(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196번째 아미노산이 발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뀐 변이형 폴리펩티드가 야생형에 비해 높은 전환율 및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변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변이체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변이체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하나의 양태는, 신규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신규한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로도박터 스페로이드(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아미노산 서열,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폴리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196번째 아미노산이 발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N-말단으로부터 196번째 아미노산인 발린이 쓰레오닌으로 치환된 변이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인 변이형 폴리펩티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에 비해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이 강화된 특징을 갖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변이" 또는 "변이체"는 유전적 또는 비유전적으로 하나의 안정적인 표현형적 변화를 나타내는 배양물이나 개체를 뜻하며,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는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유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의 아미노산이 변이되어 그 활성이 야생형과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변이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변이체의 서열은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에 적어도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상동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상기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3 및 상기 서열번호 3과 적어도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상동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동성을 가지며 상기 효소에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정 변이 위치인 196번째 아미노산이 발린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변이된 것은 고정된 채,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효소 변이체도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또한, 공지의 유전자 서열로부터 조제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상기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브리드화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는 폴리펩티드로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도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엄격한 조건"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간의 특이적 혼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은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길이 및 상보성 정도에 의존하고 변수는 해당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문헌 (예컨대, J. Sambrook et al., 상동)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동성이 높은 유전자끼리,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97% 이상, 특히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이 낮은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의 세척 조건인 60℃, 1×SSC, 0.1% SDS, 구체적으로는 60℃, 0.1×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는 68℃, 0.1×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화에 사용된 프로브는, 염기서열의 상보 서열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는, 공지 서열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여, 이러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단편을 주형으로 하는 PCR에 의해 작제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온도 및 세척 용액 염 농도를 프로브의 길이와 같은 요소에 따라 필요할 경우 조절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동성"은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모이티 사이의 동일성의 퍼센트를 말한다. 하나의 모이티로부터 다른 하나의 모이티까지의 서열 간 상동성은 알려진 당해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동성은 서열정보를 정렬하고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 또는 두 개의 폴리펩티드 분자 간의 서열 정보, 예로는 점수(score), 동일성(identity) 및 유사도(similarity) 등의 매개 변수(parameter)를 직접 정렬하여 결정될 수 있다(예: BLAST 2.0). 또한, 폴리뉴클레오티드 간 상동성은 상동 영역 간의 안정된 이중가닥을 이루는 조건하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혼성화한 후, 단일-가닥-특이적 뉴클레아제로 분해시켜 분해된 단편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폴리펩티드는, 로도박터 스페로이드(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가지는 야생형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열번호 1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는 다른 미생물 유래인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 유래의 폴리펩티드 등에 비교하여 열안정성이 높은 바, 상기 서열번호 1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에 아미노산 치환이 도입된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펩티드 역시 열안정성이 높은 이점이 있음은 자명하다.
본 출원에서 용어, "O-아세틸호모세린"은 미생물에서 볼 수 있는 메치오닌 생합성에서 최초의 특이적 중간체로, 쓰레오닌 생합성과의 분기점에서 L-호모세린과 아세틸CoA에서 호모세린 아세틸전달효소에 의해 촉매되어 생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전구체"는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메치오닌 특화 대사 경로의 일부분인 대사물질 또는 이 대사물질에서 파생된 물질을 말한다. 그 예로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본 출원에서 L-메치오닌 전구체는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란 L-메치오닌 전구체를 생물체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원핵 또는 진핵 미생물 균주로서, L-메치오닌 전구체를 축적할 수 있는 균주를 말한다. 예를 들어, 균주는 에스케리키아 속 (Escherichia sp .), 어위니아 속 (Erwinia sp .), 세라티아 속 (Serratia sp .), 프로비덴시아 속 (Providencia sp .), 코리네박테리움 속 (Corynebacteria sp .), 슈도모나스 속 (Pseudomonas sp .), 렙토스피라 속 (Leptospira sp .), 살모넬라 속 (Salmonellar sp .), 브레비박테리아 속 (Brevibacteria sp .), 하이포모나스 속 (Hyphomononas sp .), 크로모박테리움 속 (Chromobacterium sp .) 및 노카디아 속 (Nocardia sp .) 또는 곰팡이류 (fungi) 또는 효모류 (yeast)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스케리키아 속, 코리네박테리움 속, 렙토스피라 속의 미생물 균주와 효모일 수 있으며, 그 중의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 균주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의 예로 대장균 (Escherichia coli)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는,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폴리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196번째 아미노산인 발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그 예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열번호 4의 염기 서열과 적어도 80 %, 90 %, 95 %, 97 % 또는 99 % 상동성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또한 코돈 축퇴성 (codon degeneracy)에 의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로 번역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의 염기 서열에 대하여 상보적인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핵산과 엄격한 조건 하에서 혼성화하고, 상기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 역시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이다. 벡터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이란 일반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염기 발현 조절 서열과 목적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코딩하는 염기 서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벡터와의 작동가능한 연결은 당업계의 공지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업계의 절단 및 연결 효소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벡터"는 숙주 세포로 염기의 클로닝 및/또는 전이를 위한 임의의 매개물을 말한다. 벡터는 다른 DNA 단편이 결합하여 결합된 단편의 복제를 가져올 수 있는 복제단위(replicon)일 수 있다. "복제단위"란 생체 내에서 DNA 복제의 자가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즉, 스스로의 조절에 의해 복제가능한, 임의의 유전적 단위 (예를 들면, 플라스미드, 파지, 코스미드, 염색체, 바이러스)를 말한다. 용어 "벡터"는 시험관 내, 생체 외 또는 생체 내에서 숙주 세포로 염기를 도입하기 위한 바이러스 및 비 바이러스 매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벡터"는 또한 미니구형 DN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벡터는 박테리아 DNA 서열을 갖지 않는 플라스미드일 수 있다. 용어 "벡터"는 또한 슬리핑 뷰티(Sleeping Beauty)같은 트랜스포존(Izsvak et al. J. MoI. Biol. 302:93-102 (2000)), 또는 인공 염색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벡터의 예로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pWE15, M13, MBL3, MBL4, IXII, ASHII, APII, t10, t11, Charon4A, 및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 가능한 벡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된 발현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는 다양한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란 항생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로서, 이것을 가지고 있는 세포는 해당 항생제를 처리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므로, 대장균에서 대량으로 플라스미드를 얻는 과정에 선별 마커로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는 본 출원의 핵심적 기술인 벡터의 최적의 조합에 따른 발현 효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므로, 선별 마커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암피실린(ampicil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 카나마이신(kanamycin), 클로람페니콜(chloroamphenicol),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또는 네오마이신(neomycin)에 대한 저항 유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0-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거나 상기 벡터를 포함할 수 있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폴리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196번째 아미노산인 발린이 쓰레오닌으로 치환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거나,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가 포함될 수 있는, 0-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생산하는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이다.
본 출원에서 상기 도입은 형질 전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질전환"은 유전자를 숙주세포 내에 도입 후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숙주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벡터를 형질전환시키는 방법은 염기를 세포 내로 도입하는 어떤 방법도 포함되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표준 기술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칼슘 포스페이트 공동-침전(calcium phosphate co-precipitation), 레트로바이러스 감염(retroviral infection),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DEAE-덱스트란(DEAE-dextran), 양이온 리포좀(cationic liposome) 법, 열 충격법 등이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형질전환된 유전자는 숙주세포 내에 발현될 수 있기만 한다면, 숙주세포의 염색체내에 삽입된 형태 및 염색체 외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전자는 폴리펩티드를 코딩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DNA 및 RNA를 포함하며, 숙주세포내로 도입되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자는,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인 발현 카세트(expression cassette)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유전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로모터(promoter), 전사 종결 신호, 리보좀 결합부위 및 번역 종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 벡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는 그 자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숙주세포에서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벡터를 포함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는 하나 이상의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갖는 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를 말하며,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의 벡터를 포함하여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변이체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이라면, 원핵 미생물 및 진핵 미생물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 어위니아(Erwinia)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프로비덴시아(Providencia)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및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속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에스케리키아속의 예로 대장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상기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생산하는 에스케리키아 속 미생물은 상기 벡터 도입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는 미생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 또는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이용하여 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 또는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을, O-아세틸호모세린 및 메틸머캅탄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메치오닌은 L-메치오닌일 수 있다.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배양물은, 상기 0-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거나 상기 벡터를 포함할 수 있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배양"은 상기 미생물을 적당히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배양과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 과정은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공지된 회분식 배양방법, 연속식 배양방법, 유가식 배양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배양조건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염기성 화합물 (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암모니아) 또는 산성 화합물 (예: 인산 또는 황산)을 사용하여 적정 pH (예컨대, pH 5 내지 9, 구체적으로는 pH 6 내지 8, 가장 구체적으로는 pH 6.8)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배양물의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기체를 주입하거나 혐기 및 미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체의 주입 없이 혹은 질소, 수소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배양온도는 20 내지 45 ℃,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40 ℃를 유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양기간은 원하는 유용 물질의 생산량이 수득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10 내지 160 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사용되는 배양용 배지는 탄소 공급원으로는 당 및 탄수화물 (예: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락토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몰라세, 전분 및 셀룰로오스), 유지 및 지방 (예: 대두유, 해바라기씨유, 땅콩유 및 코코넛유), 지방산 (예: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리놀레산), 알코올 (예: 글리세롤 및 에탄올) 및 유기산 (예: 아세트산)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질소 공급원으로는 질소-함유 유기 화합물 (예: 펩톤, 효모 추출액, 육즙, 맥아 추출액, 옥수수 침지액, 대두 박분 및 우레아), 또는 무기 화합물 (예: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 공급원으로 인산 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이에 상응하는 나트륨 함유 염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배지에는 기타 금속염 (예: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성장-촉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O-아세틸호모세린은 정제된 형태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함유한 미생물 발효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메틸머캅탄은 액상의 소디움메틸머캅탄(sodium methyl mercaptan, CH3S-Na) 형태, 가스 또는 액화 상태의 메틸머캅탄(CH3SH) 뿐만 아니라 국제 공개특허 제WO2010/098629호에 언급된 형태로 디메칠설파이드(DMS, Dimethylsulfide)를 포함한 메틸머캅탄 등 황 원자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 메틸머캅탄 유도체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최적화된 배양 조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 및/또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생산하는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이용하여 메치오닌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최적화된 효소 활성 조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반응으로 생성된 메치오닌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수 단계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심분리, 여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및 HPL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회수 단계는 정제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가지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산업적인 전환효소로 사용하기 위한 높은 활성, 높은 전환율, 대장균에서의 과발현 가능성, 최종산물이 축적되는 시점에서 낮은 활성저해 및 열안정성 유지 등의 요건을 모두 갖춘 변이형 폴리펩타이드로서, 이를 이용하여 빠르고 높은 효율로 L-메치오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산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정제한 후 각 단계에서 얻은 샘플을 SDS-PAGE 젤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O- 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V196T 변이체의 제조 및 활성 평가
실시예 1-1: 로도박터속 유래의 O- 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발현
공지된 대표적인 로도박터속 미생물인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가 클로닝된 벡터 pCL-PCJ1:metZ-rsp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50651호)를 대장균 (Escherichia coli) K12 W3110 (ATCC 27325) 세포에 열 충격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시켰다. 그 후, 25㎍/㎖의 클로람페니콜 (chloramphenicol)을 함유하고 있는 LB 배지에서 배양한 후 형질전환된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콜로니를 25㎍/㎖ 클로람페니콜이 포함된 LB 배지 3㎖에 접종하여 33 ℃, 200rpm 조건으로 6시간 배양하였다. 이를 다시 250 ㎕를 취하여, 새로운 25㎍/㎖ 클로람페니콜이 포함된 25㎖ LB 배지 (250㎖ 용량의 플라스크)에 재접종한 후, 33 ℃, 200rpm 조건으로 15시간 배양하여, 야생형인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발현시켰다.
실시예 1-2: 신규한 O- 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변이체인 V196T 변이체 제작
상기 야생형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변이 위치로 196번 아미노산인 발린을 선정하였다.
Quikchange site-directed mutagenesis kit (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하여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의 야생형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아미노산 서열 중 196번째 아미노산인 발린 (Val, V)을 쓰레오닌 (Thr, T)으로 치환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열 번호 5 및 6의 프라이머 (primer)를 이용하여 (표 1), pCL-PCJ1:metZ-rsp 벡터를 주형 (template)으로 하여 PCR 반응으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된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Primer for V196T mutant (forward) CTC GTC ATC GTG GAC AAT ACC TTC GCG ACG CCC GTC TTC 5
Primer for V196T mutant (reverse) GAA GAC GGG CGT CGC GAA GGT ATT GTC CAC GAT GAC GAG 6
그 후, 상기 변이가 도입되었는지 여부를 시퀀싱으로 확인한 다음, 이를 열 충격법을 이용하여 E. coli K12 W3110에 형질전환으로 도입하였다. 상기 형질 전환된 균주를 CA05-4012로 명명하고, 2014년 11월 27일자로 부다페스트조약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CM11611P를 부여받았다.
상기 형질 전환된 E. coli K12 W3110를 25㎍/㎖의 클로람페니콜을 함유하고 있는 LB 배지에 접종하고, 33 ℃에서 6시간 배양한 다음, 이를 일부 취하여 25㎍/㎖의 클로람페니콜을 포함하고, 있는 LB 배지로 옮겨 33 ℃에서 15시간 배양하여 효소 변이체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실시예 1-3: V196T 변이체 효소 배양액 활성 평가
상기 효소 변이체 및 야생형 효소의 배양액에 2% (v/v) 자일렌 (p-Xylene)을 첨가하여 33 ℃, 1,150rpm에서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일부를 취하여 50mM 인산 칼륨 (potassium phosphate) (pH 7.4, pH 6.4), 15g/l O-아세틸호모세린, 0.05mM PLP (pyridoxal 5'-phosphate), 30mM 소디움 메틸머캅탄 (sodium methyl mercaptan)이 포함된 완충액에 넣고, 33 ℃, 1,150rpm에서 5분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을 HPLC 분석으로, 생성된 L-메치오닌을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생성된 L-메치오닌의 양을 효소의 메치오닌 전환 활성으로 보고, 상기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야생형 및 이의 V196T 변이체의 활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효소 배양액)
L-메치오닌, pH 7.4
(g/l)
L-메치오닌, pH 6.4
(g/l)
야생형 1.10 0.30
V196T 변이체 2.05 0.78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이체 효소 배양액은 pH 7.4 조건에서, 야생형 자체의 활성에 비해 1.86배, pH 6.4 조건에서는 야생형 자체의 활성에 비해 2.60배 정도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O- 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정제 및 활성 평가
실시예 2-1: O- 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야생형 및 V196T 변이체의 배양액 25㎖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거하였다.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함유하는 무세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세포를, 150mM NaCl, 5% 글리세롤 (glycerol)을 함유하는 15㎖의 50mM 인산 칼륨 (potassium phosphate) (pH 7.8)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의 온도를 10 ℃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소니케이터 (sonicator)를 사용하여 파쇄하였다. 그 후, 세포 현탁액을 15,000xg으로 2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하였다. 무세포 추출물 15㎖의 분취량을, 앞서 50mM 인산 칼륨 (potassium phosphate) (pH 7.8)으로 평형화된 10㎖의 GE 헬스케어 모노 큐 (MonoQ) 칼럼에 샘플을 로딩한 후, 800mM NaCl을 함유하는 50mM 인산 칼륨 (pH 7.8)에 10 칼럼 부피로 gradient를 걸어 칼럼을 세척/용리시켰다.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는 전기전도도 (conductivity) 15~20 (mS/cm)에서 용리되었다. 용리액을 밀리포어/아미콘 센트리콘 (Millipore/Amicon Centricon) 원심분리기식 여과기 장치 (MWCO 3kDa)을 사용하여 2~3㎖로 농축시켰다. 농축액을 150mM NaCl, 5%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50mM 인산 칼륨 (pH 7.8)으로 앞서 평형화된 수퍼덱스 칼럼(HiLoad 16/600 Superdex 75pg, GE헬스케어)에 로딩하여 분자량 사이즈 별로 분리하였다.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는 테트라머 (tetramer) 형태로 50㎖ elution volume 이내에서 용리되었다. 이를 밀리포어/아미콘 센트리콘 (Millipore/Amicon Centricon) 원심분리기식 여과기 장치 (MWCO 3kDa)을 사용하여 200㎕ 이하로 농축하였다.
10% SDS-PAGE 젤 분석을 통하여 정제된 효소의 순도를 검사한 후 (도 1), -80 ℃에 보관하였다.
상기 도 1의 결과는 본 출원의 변이체는 대장균에서 과량으로 발현할 뿐 아니라, 고 순도로 정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2-2: 정제된 O- 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야생형 및 V196T의 활성 평가
정제된 상기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야생형 및 V196T 변이체를 1.3mg/㎖ 농도로 동량 50mM 인산 칼륨 (potassium phosphate) (pH 7.4 및 pH 6.4), 15g/l O-아세틸호모세린, 0.05mM PLP (pyridoxal 5'-phosphate), 30mM 소디움 메틸머캅탄 (sodium methyl mercaptan)이 포함된 완충액에 넣고, 33 ℃, 1,150rpm에서 5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HPLC 분석하여 생성된 L-메치오닌을 양을 측정하였다. 변이체 및 야생형의 활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정제된 형태의 효소)
L-메치오닌, pH 7.4
(g/l)
L-메치오닌, pH 6.4
(g/l)
야생형 1.86 0.50
V196T 변이체 3.53 1.34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된 효소 변이체는 pH 7.4 조건에서, 야생형 자체의 활성에 비해 1.90배, pH 6.4 조건에서는 야생형 자체의 활성에 비해 2.68배 정도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O- 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196번째 아미노산이 쓰레오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변이체의 활성 평가
실시예 3-1: V196S , V196L , V196D , V196K 변이체 제작
실시예 1에서 위치 선택적 돌연변이 (site-directed mutagenesis) 방법을 이용하여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의 야생형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의 아미노산 서열 196번째 아미노산인 발린 (Val, V)을 세린 (Ser, S), 류신 (Leu, L), 아스파르트산 (Asp, D), 라이신 (Lys, K)로 각각 치환한, 효소 변이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 전환된 E. coli K12 W3110 균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V196S , V196L , V196D , V196K 변이체 효소 배양액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3-1에서 얻은 변이체들의 배양액을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효소 배양액)
L-메치오닌, pH 7.4
(g/l)
L-메치오닌, pH 6.4
(g/l)
야생형 1.10 0.30
V196T 2.05 0.78
V196S 0.94 0.35
V196L 0.51 0.12
V196D n.d. n.d.
V196K n.d. n.d.
n.d. none detected
측정 결과, 196번째 아미노산이 쓰레오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변이체들은 야생형 자체의 활성에 비해 활성이 감소하거나 없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본 출원의 신규한 변이체인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변이체인 V196T 변이체의 효소 활성이 야생형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어, L-메치오닌을 과량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낮은 pH 일수록 증대된 L-메치오닌 전환 활성을 나타내어, 과량의 L-메치오닌을 생산하므로 최종 산물인 아세트산이 고농도로 축적되는 시점에서도 활성 저해가 낮아, 과량의 L-메치오닌을 생산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세포 내 배양액 형태뿐 아니라 무세포 추출물 형태로 정제하였을 경우에도 L-메치오닌을 과량으로 전환하여 제조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611P 20141127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A modified 0-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and method of producing L-methionine using the same <130> KPA141303-KR-P1 <150> KR 10-2015-0143035 <151> 2015-10-13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404 <212> PRT <213> Rhodobacter sphaeroides <400> 1 Met Gly Ile Ala Phe Arg Glu Gly Arg Thr Gly Met Thr Lys Asp Trp 1 5 10 15 Lys Thr Arg Thr Gln Leu Val His Gly Gly Ser Arg Arg Ser Gln Tyr 20 25 30 Gly Glu Met Ala Glu Ala Ile Phe Leu Thr Gln Gly Phe Val Tyr Asp 35 40 45 Ser Ala Glu Gln Ala Glu Ala Arg Phe Ile Glu Thr Gly Ala Asp Glu 50 55 60 Phe Ile Tyr Ala Arg Tyr Gly Asn Pro Thr Thr Arg Met Phe Glu Glu 65 70 75 80 Arg Ile Ala Ala Val Glu Gly Thr Glu Asp Ala Phe Ala Thr Ala Ser 85 90 95 Gly Met Ala Ala Ile His Gly Val Leu Thr Ser Ile Val Arg Ala Gly 100 105 110 Asp His Leu Val Ala Ala Arg Ala Leu Phe Gly Ser Cys Ile Tyr Ile 115 120 125 Leu Glu Glu Val Leu Gly Arg Phe Gly Val Glu Val Thr Phe Val Asp 130 135 140 Gly Thr Asp Leu Asp Gln Trp Arg Ala Ala Val Arg Pro Gly Thr Lys 145 150 155 160 Ala Val Phe Phe Glu Ser Val Ser Asn Pro Thr Leu Glu Val Ala Asp 165 170 175 Ile Gly Ala Ile Ala Glu Ile Ala His Ala Val Gly Ala Leu Val Ile 180 185 190 Val Asp Asn Val Phe Ala Thr Pro Val Phe Ser Thr Ala Val Arg Gln 195 200 205 Gly Ala Asp Val Val Ile Tyr Ser Ala Thr Lys His Ile Asp Gly Gln 210 215 220 Gly Arg Ala Leu Gly Gly Val Val Cys Ala Ser Gln Ala Phe Ile Arg 225 230 235 240 Lys Val Leu Glu Pro Phe Met Lys His Thr Gly Gly Ser Met Ser Pro 245 250 255 Phe Asn Ala Trp Leu Met Leu Asn Gly Met Ala Thr Leu Asp Leu Arg 260 265 270 Cys Arg Ala Met Ala Asp Thr Ala Glu Lys Ile Ala Arg Ala Leu Glu 275 280 285 Gly His Pro Gln Leu Gly Arg Val Ile His Pro Ala Leu Glu Ser His 290 295 300 Pro Gln His Glu Met Ala Lys Ala Gln Met Glu Arg Pro Gly Thr Met 305 310 315 320 Ile Ala Leu Asp Leu Ala Gly Gly Lys Glu Ala Ala Phe Arg Phe Leu 325 330 335 Asp Ala Leu Arg Ile Val Lys Ile Ser Asn Asn Leu Gly Asp Ala Arg 340 345 350 Ser Ile Ala Thr His Pro Ala Thr Thr Thr His Gln Arg Leu Ser Asp 355 360 365 Ala Gln Lys Ala His Leu Gly Ile Thr Pro Gly Leu Val Arg Leu Ser 370 375 380 Val Gly Leu Glu Asp Ala Asp Asp Leu Ile Ala Asp Leu Lys Gln Ala 385 390 395 400 Leu Ala Val Ile <210> 2 <211> 1215 <212> DNA <213> Rhodobacter sphaeroides <400> 2 atgggtatcg cgtttcgtga aggacggacg ggcatgacga aggactggaa gacaaggacg 60 caactcgtcc acgggggcag ccgccggagc cagtatggcg aaatggccga ggcgatcttc 120 ctgacccagg gcttcgtcta cgactcggcc gaacaggccg aagcgcgctt catcgagacc 180 ggcgccgacg aattcatcta tgcccgctac ggcaacccca cgacgcgcat gttcgaagag 240 cgcatcgcgg ccgtcgaggg caccgaggat gcgttcgcca ccgcctcggg catggccgcg 300 atccacggcg tgctcacctc gatcgtgcgg gcgggcgatc atctggtggc ggcgcgcgct 360 ctgttcggct cctgcatcta catcctcgag gaggtgctgg gccgattcgg cgtcgaggtg 420 accttcgtcg acggcaccga tctcgatcag tggcgcgcgg cggtgcggcc cggcacgaag 480 gccgtgttct tcgagtcggt ctcgaatccg acgctcgagg tggccgatat cggcgccatc 540 gccgagatcg cccatgccgt gggcgcgctc gtcatcgtgg acaatgtctt cgcgacgccc 600 gtcttctcga cggcggtgcg gcagggcgcg gatgtggtga tctattcggc caccaagcac 660 atcgacgggc aagggcgcgc gctcggcggc gtggtctgcg cctcgcaggc cttcatccgc 720 aaggtgctcg aacccttcat gaagcacacc ggcggctcga tgagcccctt caacgcctgg 780 ctcatgctga acgggatggc gacgctcgac ctgcgctgcc gcgcgatggc cgacacggcc 840 gagaagatcg cccgcgcgct cgagggccat ccgcagctcg gccgcgtgat ccatcccgcg 900 ctggaaagcc acccgcagca cgagatggcc aaggcgcaga tggagcgtcc cggcacgatg 960 atcgcgctcg acctcgccgg gggcaaggag gcggccttcc gcttcctcga cgccctgagg 1020 atcgtgaaga tctccaacaa tctgggcgat gcccgctcga tcgcgaccca cccggcaacg 1080 accacccacc agcgtctttc cgacgcgcag aaggcccatc tcggcatcac gcccgggctc 1140 gtgcggctgt cggtggggct cgaggatgcg gacgacctga tcgccgatct gaaacaggcg 1200 ctcgcggtga tctga 1215 <210> 3 <211> 40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 sphaeroides MetZ V196T amino acid sequence <400> 3 Met Gly Ile Ala Phe Arg Glu Gly Arg Thr Gly Met Thr Lys Asp Trp 1 5 10 15 Lys Thr Arg Thr Gln Leu Val His Gly Gly Ser Arg Arg Ser Gln Tyr 20 25 30 Gly Glu Met Ala Glu Ala Ile Phe Leu Thr Gln Gly Phe Val Tyr Asp 35 40 45 Ser Ala Glu Gln Ala Glu Ala Arg Phe Ile Glu Thr Gly Ala Asp Glu 50 55 60 Phe Ile Tyr Ala Arg Tyr Gly Asn Pro Thr Thr Arg Met Phe Glu Glu 65 70 75 80 Arg Ile Ala Ala Val Glu Gly Thr Glu Asp Ala Phe Ala Thr Ala Ser 85 90 95 Gly Met Ala Ala Ile His Gly Val Leu Thr Ser Ile Val Arg Ala Gly 100 105 110 Asp His Leu Val Ala Ala Arg Ala Leu Phe Gly Ser Cys Ile Tyr Ile 115 120 125 Leu Glu Glu Val Leu Gly Arg Phe Gly Val Glu Val Thr Phe Val Asp 130 135 140 Gly Thr Asp Leu Asp Gln Trp Arg Ala Ala Val Arg Pro Gly Thr Lys 145 150 155 160 Ala Val Phe Phe Glu Ser Val Ser Asn Pro Thr Leu Glu Val Ala Asp 165 170 175 Ile Gly Ala Ile Ala Glu Ile Ala His Ala Val Gly Ala Leu Val Ile 180 185 190 Val Asp Asn Thr Phe Ala Thr Pro Val Phe Ser Thr Ala Val Arg Gln 195 200 205 Gly Ala Asp Val Val Ile Tyr Ser Ala Thr Lys His Ile Asp Gly Gln 210 215 220 Gly Arg Ala Leu Gly Gly Val Val Cys Ala Ser Gln Ala Phe Ile Arg 225 230 235 240 Lys Val Leu Glu Pro Phe Met Lys His Thr Gly Gly Ser Met Ser Pro 245 250 255 Phe Asn Ala Trp Leu Met Leu Asn Gly Met Ala Thr Leu Asp Leu Arg 260 265 270 Cys Arg Ala Met Ala Asp Thr Ala Glu Lys Ile Ala Arg Ala Leu Glu 275 280 285 Gly His Pro Gln Leu Gly Arg Val Ile His Pro Ala Leu Glu Ser His 290 295 300 Pro Gln His Glu Met Ala Lys Ala Gln Met Glu Arg Pro Gly Thr Met 305 310 315 320 Ile Ala Leu Asp Leu Ala Gly Gly Lys Glu Ala Ala Phe Arg Phe Leu 325 330 335 Asp Ala Leu Arg Ile Val Lys Ile Ser Asn Asn Leu Gly Asp Ala Arg 340 345 350 Ser Ile Ala Thr His Pro Ala Thr Thr Thr His Gln Arg Leu Ser Asp 355 360 365 Ala Gln Lys Ala His Leu Gly Ile Thr Pro Gly Leu Val Arg Leu Ser 370 375 380 Val Gly Leu Glu Asp Ala Asp Asp Leu Ile Ala Asp Leu Lys Gln Ala 385 390 395 400 Leu Ala Val Ile <210> 4 <211> 12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 sphaeroides metZ V196T DNA sequence <400> 4 atgggtatcg cgtttcgtga aggacggacg ggcatgacga aggactggaa gacaaggacg 60 caactcgtcc acgggggcag ccgccggagc cagtatggcg aaatggccga ggcgatcttc 120 ctgacccagg gcttcgtcta cgactcggcc gaacaggccg aagcgcgctt catcgagacc 180 ggcgccgacg aattcatcta tgcccgctac ggcaacccca cgacgcgcat gttcgaagag 240 cgcatcgcgg ccgtcgaggg caccgaggat gcgttcgcca ccgcctcggg catggccgcg 300 atccacggcg tgctcacctc gatcgtgcgg gcgggcgatc atctggtggc ggcgcgcgct 360 ctgttcggct cctgcatcta catcctcgag gaggtgctgg gccgattcgg cgtcgaggtg 420 accttcgtcg acggcaccga tctcgatcag tggcgcgcgg cggtgcggcc cggcacgaag 480 gccgtgttct tcgagtcggt ctcgaatccg acgctcgagg tggccgatat cggcgccatc 540 gccgagatcg cccatgccgt gggcgcgctc gtcatcgtgg acaatacctt cgcgacgccc 600 gtcttctcga cggcggtgcg gcagggcgcg gatgtggtga tctattcggc caccaagcac 660 atcgacgggc aagggcgcgc gctcggcggc gtggtctgcg cctcgcaggc cttcatccgc 720 aaggtgctcg aacccttcat gaagcacacc ggcggctcga tgagcccctt caacgcctgg 780 ctcatgctga acgggatggc gacgctcgac ctgcgctgcc gcgcgatggc cgacacggcc 840 gagaagatcg cccgcgcgct cgagggccat ccgcagctcg gccgcgtgat ccatcccgcg 900 ctggaaagcc acccgcagca cgagatggcc aaggcgcaga tggagcgtcc cggcacgatg 960 atcgcgctcg acctcgccgg gggcaaggag gcggccttcc gcttcctcga cgccctgagg 1020 atcgtgaaga tctccaacaa tctgggcgat gcccgctcga tcgcgaccca cccggcaacg 1080 accacccacc agcgtctttc cgacgcgcag aaggcccatc tcggcatcac gcccgggctc 1140 gtgcggctgt cggtggggct cgaggatgcg gacgacctga tcgccgatct gaaacaggcg 1200 ctcgcggtga tctga 1215 <210> 5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V196T mutant (forward) <400> 5 ctcgtcatcg tggacaatac cttcgcgacg cccgtcttc 39 <210> 6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V196T mutant (reverse) <400> 6 gaagacgggc gtcgcgaagg tattgtccac gatgacgag 39

Claims (7)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폴리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196번째 아미노산인 발린이 쓰레오닌으로 치환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
  2. 제1항의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3. 제2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폴리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196번째 아미노산인 발린이 쓰레오닌으로 치환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거나, 제3항의 벡터를 포함할 수 있는, 0-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생산하는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인 것인,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
  6. 제1항의 변이형 폴리펩티드, 또는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을, O-아세틸호모세린 및 메틸머캅탄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으로 생성된 메치오닌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133134A 2015-10-13 2016-10-13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제조 방법 KR101836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035 2015-10-13
KR20150143035 2015-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048A true KR20170044048A (ko) 2017-04-24
KR101836719B1 KR101836719B1 (ko) 2018-04-20

Family

ID=5851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134A KR101836719B1 (ko) 2015-10-13 2016-10-13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378031B2 (ko)
EP (1) EP3363908B1 (ko)
JP (1) JP6510733B2 (ko)
KR (1) KR101836719B1 (ko)
CN (1) CN108138205B (ko)
BR (1) BR112018007387A2 (ko)
ES (1) ES2856951T3 (ko)
HU (1) HUE053394T2 (ko)
MY (1) MY186559A (ko)
PL (1) PL3363908T3 (ko)
RU (1) RU2694041C1 (ko)
WO (1) WO2017065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500B1 (ko) 2019-10-28 2022-03-23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외래 metZ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이 도입된 L-메티오닌 생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메티오닌 생산방법
CN113215124A (zh) * 2021-04-27 2021-08-06 浙江工业大学 一种o-琥珀酰巯基转移酶在l-甲硫氨酸合成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641B2 (ja) * 1998-11-17 2008-07-02 味の素株式会社 発酵法によるl−メチオニンの製造法
FR2851255B1 (fr) * 2003-02-18 2007-05-25 Metabolic Explorer Sa Microorganisme a activite methionine synthase modifie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la methionine
KR100905381B1 (ko) * 2006-07-28 2009-06-30 씨제이제일제당 (주)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 및 상기 l-메치오닌전구체로부터의 l-메치오닌 및 유기산의 생산방법
KR101136248B1 (ko) * 2008-04-04 2012-04-20 씨제이제일제당 (주)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전구체의 생산 방법
KR101048593B1 (ko) 2009-02-27 2011-07-12 씨제이제일제당 (주) 메칠머캅탄과 디메칠설파이드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메치오닌 생산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250651B1 (ko) * 2010-12-21 2013-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또는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메치오닌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3908A1 (en) 2018-08-22
US20180355389A1 (en) 2018-12-13
BR112018007387A2 (pt) 2018-10-23
CN108138205A (zh) 2018-06-08
MY186559A (en) 2021-07-27
EP3363908A4 (en) 2019-04-10
WO2017065529A1 (ko) 2017-04-20
ES2856951T3 (es) 2021-09-28
US10378031B2 (en) 2019-08-13
CN108138205B (zh) 2021-06-22
EP3363908B1 (en) 2020-12-02
PL3363908T3 (pl) 2021-05-31
HUE053394T2 (hu) 2021-06-28
JP6510733B2 (ja) 2019-05-08
JP2018527944A (ja) 2018-09-27
RU2694041C1 (ru) 2019-07-08
KR101836719B1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8413A (ko) 신규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US11180785B2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and method of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JP2003521888A (ja) 細胞性nadphの増加によるl−アミノ酸の生成方法
US11408017B2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and method of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KR101865998B1 (ko) L-쓰레오닌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쓰레오닌 생산방법
CN106574237B (zh) 生产o-乙酰高丝氨酸的微生物和使用其生产o-乙酰高丝氨酸的方法
KR101836719B1 (ko)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제조 방법
EP1147198A1 (en) Pyruvate carboxylase from corynebacterium glutamicum
WO201206488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pionic acid production
CN109517811B (zh) 一种β-酮脂酰-ACP合成酶突变体
KR20220152728A (ko) 3-메틸-2-옥소뷰타노에이트 하이드록시 메틸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이 강화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1941745B1 (ko)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2031886B1 (ko) 신규한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KR101153400B1 (ko) 신규 리포산 합성효소와 리포산 단백질 리가제를 이용한 알파-리포산의 생산방법
KR102078272B1 (ko)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KR102016050B1 (ko) 신규한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KR20230149787A (ko) L-히스티딘 배출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l-히스티딘 생산 방법
KR20160029964A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방법
CN115851802A (zh) 谷氨酸高产菌株的构建方法及其在谷氨酸生产中的应用
KR20230108789A (ko) L-히스티딘 생산능이 향상된 에스케리치아 속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히스티딘의 생산 방법
KR20220003411A (ko) 3-메틸-2-옥소뷰타노에이트 하이드록시 메틸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이 강화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20110046425A (ko) 신규 리포산 합성효소와 리포산 단백질 리가제를 이용한 알파-리포산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