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741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741A
KR20170042741A KR1020177007263A KR20177007263A KR20170042741A KR 20170042741 A KR20170042741 A KR 20170042741A KR 1020177007263 A KR1020177007263 A KR 1020177007263A KR 20177007263 A KR20177007263 A KR 20177007263A KR 20170042741 A KR20170042741 A KR 20170042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us bar
circuit board
main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304B1 (ko
Inventor
히데히로 하가
류스케 사토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본체부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우징보다 축 방향의 리어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부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에는 중심축의 둘레 방향의 일주에 걸쳐서 커버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시일부가 설치된다. 커넥터부는 버스바 홀더의 본체부와 커넥터 본체부를 연결하는 커넥터 연결부를 갖는다. 커넥터 연결부의 축 방향의 프론트측의 면의 적어도 일부는 시일부의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 시일부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을 갖는 모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모터에 있어서는 케이싱의 내측에 시일부재로서의 O링이 배치된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5386072호
그런데, 상기와 같은 모터에 있어서, 플러그부는 케이싱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플러그부에 외력이 가하여졌을 경우, 플러그부를 갖는 몰드재, 몰드재와 시일부재를 통해서 접촉하는 홀더 베이스 및 케이싱 중의 적어도 한쪽이 변형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의 밀폐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는, 로터와, 스테이터와,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과, 하우징과, 버스바 어셈블리와, 커버를 구비한다. 로터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다. 스테이터는 로터를 둘러싸고, 로터를 샤프트 둘레로 회전시킨다. 제 1 베어링은 스테이터의 일방향의 제 1 측에 배치되어 샤프트를 지지한다. 제 2 베어링은 스테이터의 제 1 측과 반대인 제 2 측에 배치되어 샤프트를 지지한다. 하우징은 통 형상이며, 제 2 베어링과 스테이터와 제 1 베어링을 유지한다. 버스바 어셈블리는 제 2 베어링을 유지한다. 버스바 어셈블리의 제 1 측의 단부는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한다. 커버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버스바 어셈블리의 제 2 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버스바 어셈블리는 버스바와 버스바 홀더를 갖는다. 버스바는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버스바 홀더는 버스바를 유지한다.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커넥터부를 갖는다. 본체부는 통 형상이며, 제 2 측에 개구부를 갖는다. 커넥터부는 본체부에서 샤프트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하우징보다 제 2 측에 위치한다. 버스바 홀더에는 시일부가 형성된다. 시일부는 중심축의 둘레 방향의 일주에 걸쳐서 커버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커넥터부는 커넥터 연결부와 커넥터 본체부를 갖는다. 커넥터 연결부는 본체부와 연결된다. 커넥터 본체부는 커넥터 연결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커넥터 연결부의 제 2 측의 면의 적어도 일부는 시일부의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 시일부보다 제 1 측에 위치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에 의하면,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모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모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모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모터나 부재 등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할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적당하게 3차원 직교 좌표계로서 XYZ 좌표계를 나타낸다. XYZ 좌표계에 있어서 Z축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중심축(J)의 축 방향(일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한다. X축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한다. Y축 방향은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X축 방향과 Z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Z축 방향의 정의 측(+Z측, 제 2 측)을 「리어측」이라고 부르고, Z축 방향의 부의 측(-Z측, 제 1 측)을 「프론트측」이라고 부른다. 또한, 리어측 및 프론트측이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사용되는 명칭이며, 실제의 위치관계나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중심축(J)에 평행한 방향(Z축 방향)을 단지 「축 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을 단지 「지름 방향」이라고 부르며,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 즉 중심축(J)의 축 둘레(θZ 방향)를 단지 「둘레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라고 하는 것은, 엄밀하게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축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라고 하는 것은, 엄밀하게 지름 방향, 즉 축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지름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모터(10)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10)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모터(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과, 커버(22)와, 샤프트(31)를 갖는 로터(30)와, 스테이터(40)와,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과, 제어장치(70)와, 버스바 어셈블리(60)와, 복수의 O링을 구비한다. 복수의 O링은 프론트측 O링(81)과 리어측 O링(82)을 포함한다.
로터(30)와 스테이터(40)와 제 1 베어링(51)과 오일시일(80)은 하우징(21)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21)은 리어측(+Z측)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하우징(21)의 개구부에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가 삽입된다. 버스바 어셈블리(60)는 제 2 베어링(52)을 유지한다.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은 샤프트(31)의 축 방향(Z축 방향)의 양측을 지지한다.
커버(22)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리어측(+Z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커버(22)는 하우징(21)에 고정된다. 커버(22)는 통형상부(22a)와, 뚜껑부(22b)와, 커버 프론트면(22c)과, 리어측 플랜지부(24)를 갖는다. 제어장치(70)는 제 2 베어링(52)과 커버(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프론트측 O링(81)은 버스바 어셈블리(60)와 하우징(21)의 사이에 배치된다. 리어측 O링(82)은 버스바 어셈블리(60)와 커버(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 각 부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
하우징(21)은 통 형상의 부재이며, 스테이터(40)와 제 1 베어링(51)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21)은 양단이 개구된 다단의 원통 형상이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21)의 재료는 예를 들면 금속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2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SUS를 포함하는 철 합금 등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1)은 하우징 플랜지부(23)와,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와, 스테이터 유지부(21b)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와, 오일시일 유지부(21d)를 갖는다. 하우징 플랜지부(23)와,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와, 스테이터 유지부(21b)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와, 오일시일 유지부(21d)는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리어측(+Z측)으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이 순서로 배치된다. 즉, 하우징(21)에 있어서 프론트측 플랜지부(23)가 가장 리어측에 배치되고, 오일시일 유지부(21d)가 가장 프론트측에 배치된다.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와, 스테이터 유지부(21b)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와, 오일시일 유지부(21d)는 각각 동심의 원통 형상이다. 이들 부재의 직경은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 스테이터 유지부(21b),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순서로 작아진다.
하우징 플랜지부(23)는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의 리어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다. 즉, 하우징(21)은 리어측의 단부에 하우징 플랜지부(23)를 갖는다.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를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바꿔 말하면,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 내에 배치된다. 즉,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의 단부는 하우징(21)의 내측에 위치한다.
스테이터 유지부(21b)의 내측면에는 스테이터(40)의 외측면(즉, 후술하는 코어백부(41)의 외측면)이 끼워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21)에는 스테이터(40)가 유지된다.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는 제 1 베어링(51)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의 내측면이 제 1 베어링(51)의 외측면과 끼워맞추어진다.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내부에는 오일시일(80)이 유지된다.
[로터]
로터(30)는 샤프트(31)와, 로터 코어(32)와, 로터 마그넷(33)을 갖는다.
샤프트(31)는 일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샤프트(31)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샤프트(31)는 중실이어도 좋고, 중공의 원통 형상의 부재라도 좋다. 샤프트(31)는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에 의하여 축 둘레(±θZ 방향)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31)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는 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한다. 오일시일 유지부(21d)에 있어서 샤프트(31)의 축 둘레에는 오일시일(80)이 배치된다.
로터 코어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로터 코어(32)는 샤프트(31)를 축 둘레(θZ 방향)로 둘러싸서 샤프트(31)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 코어(32)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샤프트(31)의 적어도 일부는 로터 코어(32)의 관통구멍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31)는 로터 코어(32)와, 예를 들면 압입이나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터 마그넷(33)은 대략 원환 형상이다. 로터 코어(32)의 외측면은 로터 마그넷(33)의 내측면과 대향한다. 로터 마그넷(33)은 로터 코어(32)와, 예를 들면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로터 마그넷(33)의 형상은 반드시 원환 형상일 필요는 없다. 로터 마그넷(33)은 로터 코어(32)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자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로터 마그넷(33)은 로터 코어(32)의 축 둘레를 따른 외측면에 고정된다.
로터 코어(32) 및 로터 마그넷(33)은 샤프트(31)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한다.
[스테이터]
스테이터(40)의 외형은 대략 통 형상이다. 로터(30)는 스테이터(4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스테이터(40)는 로터(30)를 축 둘레(θZ 방향)로 둘러싼다. 스테이터는 로터(30)를 중심축(J) 둘레로 회전시킨다. 스테이터(40)는 코어백부(41)와, 복수의 티스부(42)와, 복수의 코일(43)과, 복수의 보빈(44)을 갖는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어백부(41)와 티스부(42)는 복수의 전자강판이 적층되어서 구성되는 적층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코어백부(41)의 형상은 원통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백부(41)의 형상은 샤프트(31)와 동심이다.
코어백부(41)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티스부(42)가 배치된다. 각 티스부(42)는 코어백부(41)의 내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즉, 샤프트(31)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각 티스부(42)는 코어백부(41)의 내측면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보빈(44)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통 형상의 부재이다. 보빈(44)은 각 티스부(42)에 각각 장착된다. 보빈(44)은,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는 2 이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각 코일(43)은 각 보빈(44)에 각각 배치된다. 각 코일(43)은 도전선(43a)이 권회되어서 구성된다. 또한, 도전선(43a)은 둥근선 또는 평각선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베어링 및 제 2 베어링]
제 1 베어링(51)은 스테이터(40)의 프론트측(-Z측)에 배치된다. 제 1 베어링(51)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에 유지된다.
제 2 베어링(52)은 스테이터(40)의 프론트측과 반대인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제 2 베어링(52)은, 후술하는 버스바 홀더(61)의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유지된다.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은 로터(30)의 샤프트(31)를 지지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은 볼베어링이다. 그러나,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의 종류는 상기 종류의 베어링에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리브 베어링이나 유체 동압 베어링 등의 다른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 1 베어링(51)의 베어링의 종류가 제 2 베어링(52)의 베어링의 종류와 달라도 좋다.
[오일시일]
오일시일(80)은 대략 원환 형상의 부재이다.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내부에 샤프트(31)의 축 둘레(θZ 방향)로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내부에 배치된다. 샤프트(31)의 축 방향 하측의 단부는 오일시일(80)의 관통구멍을 지난다.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와 샤프트(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와 샤프트(31)의 사이로부터 하우징부(20) 내에 물이나 기름 등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오일시일(80)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오일시일(80)의 구성 및 재료는 상술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구성 및 재료의 오일시일이 사용되어도 좋다.
[제어장치]
제어장치(70)는 모터(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장치(70)는 회로기판(71)과,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와, 센서 마그넷(73b)을 구비한다. 즉, 모터(10)는 회로기판(71)과,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와, 센서 마그넷(73b)을 구비한다.
회로기판(71)은 샤프트(31)의 리어측(+Z측)의 연장 상에 배치된다. 회로기판(71)은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베어링(52)과 커버(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로기판(71)은 리어측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프론트측(-Z측)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을 갖는다.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은 회로기판(71)의 주면이다. 즉, 회로기판 프론트면(71b) 및 회로기판 리어면(71a)은 중심축(J)(Z축)과 교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로기판(71)의 주면은 축 방향과 직교한다. 회로기판 리어면(71a)은 커버 프론트면(22c)과 대향한다.
회로기판(71)은 후술하는 복수의 회로기판 지지부(67)의 리어측(+Z측)의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회로기판(71)의 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프린트 배선(도시생략)이 설치된다. 회로기판(71)은, 예를 들면 모터 구동신호 등을 출력한다.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원환 형상의 부재이다.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의 중앙의 구멍에는 샤프트(31)의 리어측(+Z측)의 단부의 소경 부분이 끼워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샤프트(3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바람직하게는 압입이나 접착 등에 의해 샤프트(31)에 부착된다.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샤프트(31)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센서 마그넷(73b)은 원환 형상이다. 센서 마그넷(73b)의 N극과 S극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센서 마그넷(73b)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의 외주면에 끼워맞추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마그넷(73b)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의 외주면에 접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 마그넷(73b)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에 유지된다. 그 결과, 센서 마그넷(73b)은 제 2 베어링(52)의 리어측(+Z측)에 있어서 샤프트(31)의 둘레(±θZ 방향)로 샤프트(31)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적어도 1개의 회전 센서(72)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에 부착된다. 회전 센서(72)는 센서 마그넷(73b)과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회전 센서(72)는 센서 마그넷(73b)의 자속의 변화에 의해 로터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회전 센서(72)가,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에 배치된다. 또한, 회전 센서(72)로서는, 예를 들면 홀소자 등이 사용된다.
[버스바 어셈블리]
도 3은 버스바 어셈블리(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버스바 어셈블리(6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버스바 어셈블리(60)는 외부전원 등으로부터 스테이터(40)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유닛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어셈블리(60)는 버스바 홀더(61)와, 버스바(91)와, 배선부재(92)를 갖는다. 또한,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스바 어셈블리(60)는 복수의 버스바(9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
버스바 홀더(61)는 수지제의 홀더이다. 바람직하게는, 버스바 홀더를 구성하는 재료는 절연성을 갖는 수지이다. 버스바 홀더(61)는 버스바(91) 및 배선부재(92)를 유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61)의 리어측(+Z측)은 통형상부(22a)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스바 홀더(61)는 통형상부(22a)에 압입된다. 버스바 홀더(61)의 프론트측(-Z측)의 적어도 일부는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에 수용된다.
버스바 홀더(61)를 구성하는 재료는 절연성을 갖는 수지이면 특별히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버스바 홀더(61)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해 단일의 부재로서 제조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61)는 본체부(62)와, 커넥터부(63)와, 접속단자 유지부(64)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연결부(66a, 66b, 66c, 66d)와, 복수의 회로기판 지지부(67)를 갖는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62)는 중심축(J)을 둘레 방향(θZ 방향)으로 둘러싸는 통형상이다. 본체부(62)는 리어측(+Z측)에 개구부(62a)를 갖는다. 본체부(62)는 본체부 내측면(62b)과, 리어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리어면(62c)과, 본체부 외측면(62d)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62)는 원통 형상이다. 본체부(62)는 로터(30)의 리어측의 단부 및 스테이터(40)의 리어측의 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싼다. 즉, 본체부(62)의 프론트측(-Z측)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로터(30)의 적어도 일부 및 스테이터(40)의 리어측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한다.
본체부(62)의 프론트측 (-Z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리어측(+Z측)으로부터 프론트측으로 본체부(62)의 내경이 커지는 단차부(62g)가 형성된다. 단차부(62g)의 축 방향(Z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차면은 코어백부(41)의 리어측(+Z측)의 단부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 홀더(61)는 스테이터(40)의 리어측의 단부와 접촉한다. 버스바 홀더(61)는 스테이터(40)와 접촉함으로써 축 방향에 위치결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62)에는 시일부(83)가 배치된다. 즉, 버스바 홀더(61)에는 시일부(83)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일부(83)는 본체부 리어면(62c)에 배치된다.
시일부(83)는 커버(22)와 버스바 홀더(61)의 사이를 시일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일부(83)에는 홈부(62f)가 배치된다. 홈부(62f)는 개구부(62a)를 둘러싸는 본체부(62)의 외형을 따라서 일주에 걸쳐서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홈부(62f)는 평면으로 보아(XY면으로 보아)서 원환 형상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62f)에는 리어측 O링(82)이 끼워넣어진다. 즉, 시일부(83)에는 리어측 O링(82)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시일부(83)는 리어측 O링(82)을 통해서 중심축(J)의 둘레 방향의 일주에 걸쳐서 커버(22)와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62)의 본체부 외측면(62d)의 프론트측 (-Z측)에는 O링 유지부(62e)가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링 유지부(62e)에는 프론트측 O링(81)이 끼워넣어진다.
리어 베어링 유지부(65)는 본체부(62)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리어 베어링 유지부(65)는 제 2 베어링(52)을 유지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66a, 66b, 66c, 66d)는 본체부(62)와 본체부(62)의 내측에 설치된 리어 베어링 유지부(65)를 연결한다.
각 연결부(66a∼66d)는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의 둘레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연결부(66a∼66d)끼리의 사이에는 간극(66e, 66f, 66g, 66h)이 배치된다. 즉,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본체부(62)의 사이에는 간극(66e, 66f, 66g, 66h)이 배치된다. 간극(66e)은 연결부(66a)와, 연결부(66b)와, 본체부(62)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의해서 구성된다. 간극(66f)은 연결부(66b)와, 연결부(66c)와, 본체부(62)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의해서 구성된다. 간극(66g)은 연결부(66c)와, 연결부(66d)와, 본체부(62)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의해서 구성된다. 간극(66h)은 연결부(66d)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연결부(66a)와, 접속단자 유지부(64)와, 본체부(62)에 의해서 구성된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e)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코일 접속부(91a, 91b)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f)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코일 접속부(91c, 91d)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g)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코일 접속부(91e, 91f)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h)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h)의 외형은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회로기판 지지부(67)는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의 리어측(+Z측)의 면으로부터 리어측으로 돌출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회로기판 지지부(67)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의 리어측의 면 상에 배치된다. 회로기판 지지부(67)는 리어측의 단부에 있어서 회로기판(71)을 지지한다.
커넥터부(63)는 외부전원(도시생략)과 접속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63)는 본체부(62)의 본체부 외측면(62d)의 일부로부터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X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즉, 커넥터부(63)는 본체부(62)로부터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커넥터부(63)는 하우징(21)보다 리어측(+Z측)에 위치한다. 커넥터부(63)는 통 형상이다. 커넥터부(63)의 외형은 개략 직육면체이다. 커넥터부(63)는 지름 방향 외측(+X측)에 개구를 갖는다. 커넥터부(63)의 전체는 커버(22)의 외부에 노출된다.
커넥터부(63)는 커넥터 연결부(63a)와 커넥터 본체부(63b)를 갖는다.
커넥터 연결부(63a)는,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상이다. 커넥터 연결부(63a)는 본체부(62)와 연결된다. 커넥터 연결부(63a)는 커넥터 본체부(63b)와 연결된다. 즉, 커넥터 연결부(63a)는 본체부(62)와 커넥터 본체부(63b)를 연결한다.
커넥터 연결부(63a)는 리어측(+Z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부 리어면(63c)을 갖는다. 커넥터부 리어면(63c)은 시일부(83)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즉, 커넥터부 리어면(63c)은 본체부 리어면(62c)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63a)의 리어측의 면은 커넥터부 리어면(63c)만으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63a)의 리어측의 면의 전체는,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63a)의 리어측의 면의 전체는 시일부(83)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의 리어측(+Z측)의 면이란 커넥터 연결부를 리어측에서 프론트측(-Z측)으로 보았을 때에 보이는, 커넥터 연결부가 갖는 면의 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 연결부가 갖는 면은 평탄면이여도 좋고, 곡면이어도 좋다.
커넥터부 리어면(63c)의 전체는 리어측(+Z측)으로부터 프론트측으로 보아서(즉, -Z 방향으로 보아서) 노출된다. 바꿔 말하면, 커넥터부 리어면(63c)의 리어측에는 커버(22)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커넥터 연결부(63a)의 리어측에는 공극(AR2)이 구성된다. 공극(AR2)은 본체부(62)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공극(AR2)은 지름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62)와 커넥터 본체부(63b)의 사이에 위치한다.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63a)와 하우징(21)의 하우징 플랜지부(23)의 사이에는 간극(AR1)이 구성된다. 즉, 축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부(63)와 하우징(21)의 사이에는 간극(AR1)이 위치한다.
커넥터 본체부(63b)는 커넥터 연결부(63a)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커넥터 본체부(63b)는 전원용 개구부(63d)를 갖는다. 전원용 개구부(63d)는 버스바 홀더(61)의 길이 방향의 일방측(+X측)에 개구된다. 전원용 개구부(63d)의 저면에는 버스바(91)와 후술하는 외부전원 접속단자(94)가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 유지부(64)는 본체부 내측면(62b)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접속단자 유지부(64)는 커넥터부(63)가 연결된 부분의 본체부 내측면(62b)에 배치된다. 접속단자 유지부(64)는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유지부 내측면(64a)과, 리어측(+Z측)에 위치하는 유지부 리어면(64b)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 리어면(64b)은 본체부 리어면(62c)보다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버스바)
버스바(91)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금속 등)로 이루어지는 박판 형상의 부재이다. 버스바(91)는 스테이터(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동전류는 외부전원 등으로부터 버스바(91)를 통해서 스테이터(40)에 공급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버스바(91)가 스테이터(40)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3상 모터이면 적어도 3매의 버스바(91)가 스테이터(4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의 결선방법의 차이에 의해, 버스바(91)의 매수는 4매 이상 등으로 적당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각 버스바(91)는 버스바 홀더(61)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91)의 일단은 전원용 개구부(63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커버(22)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 외부에 노출된 버스바(91)의 일단에는, 예를 들면 외부전원이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91)는 코일 접속부(91a, 91b, 91c, 91d, 91e, 91f)를 갖는다. 코일 접속부(91a∼91f)는 복수의 버스바(91)의 타단에 배치된다. 코일 접속부(91a∼91f)는 본체부 내측면(62b)으로부터 돌출한다. 둘레 방향에 있어서, 코일 접속부(91a∼91f)의 위치는 접속단자 유지부(64)가 배치되는 위치와 다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접속부(91c)의 리어측(+Z측)의 단부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보다 리어측에 위치한다. 코일 접속부(91c)의 적어도 일부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회로기판(71)과 겹친다. 코일 접속부(91c)는 접속부재(도시생략)를 통해서 코일(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91)가 스테이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점에 있어서 코일 접속부(91a, 91b, 91d∼91f)의 구성은 코일 접속부(91c)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배선부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부재(92)는 버스바 홀더(61)에 유지된다. 배선부재(92)의 일부가 버스바 홀더(61)에 매설된다. 배선부재(92)는 외부전원(도시생략)과 회로기판(7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배선부재(92)은 외부전원 접속단자(94)와 회로기판 접속단자(95)를 갖는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 및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버스바 홀더(61)로부터 노출된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는 커넥터부(63) 내에 배치된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는 전원용 개구부(63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는 외부전원(도시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유지부 내측면(64a)으로부터 돌출한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제 1 단자부(95a)와, 제 2 단자부(95b)와, 제 3 단자부(95c)와, 제 4 단자부(95d)와, 판형상부(95e)를 갖는다.
제 1 단자부(95a)는 유지부 내측면(64a)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제 1 단자부(95a)는 회로기판(71)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 2 단자부(95b)는 제 1 단자부(95a)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제 2 단자부(95b)는 회로기판 리어면(71a)보다 리어측까지 연장된다.
제 3 단자부(95c)는 제 2 단자부(95b)의 리어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 4 단자부(95d)는 제 3 단자부(95c)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연장된다.
판형상부(95e)는 제 4 단자부(95d)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판형상부(95e)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판형상부(95e)는 접속면(95f)을 갖는다. 접속면(95f)은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평행이다. 접속면(95f)은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접촉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판형상부(95e)는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회로기판(71)과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회로기판(7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배선부재(92)는 회로기판(7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심축(J)의 둘레 방향(θZ 방향)에 있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위치는 버스바(91)의 코일 접속부(91a∼91f)의 위치와 다르다.
[프론트측 O링 및 리어측 O링]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측 O링(81)은 하우징(21)의 내측에 배치된다. 프론트측 O링(81)은 O링 유지부(62e)에 유지된다. 프론트측 O링(81)은 하우징(21)의 내측면과 본체부(62)의 외측면에 일주에 걸쳐 접촉한다. 즉, 프론트측 O링(81)은 일주에 걸쳐 본체부(62)와 하우징(21)에 접촉한다. 프론트측 O링(81)에는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의 내측면으로부터 응력이 걸린다.
리어측 O링(82)은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측 O링(82)은 본체부(62)에 배치되는 시일부(83)에 배치된다. 리어측 O링(82)은 홈부(62f)에 끼워넣어진다. 리어측 O링(82)의 전체 둘레는 후술하는 커버 프론트면(22c)과 접촉한다. 리어측 O링(82)에는 커버 프론트면(22c)으로부터 응력이 걸린다.
프론트측 O링(81) 및 리어측 O링(82)의 구성은 상술의 구성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의 O링이 사용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론트측 O링(81) 및 리어측 O링(8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수지 재료가 사용되어도 좋다. O링(81, 82)의 재료로서 실리콘 고무가 사용될 경우, 예를 들면 환단면을 갖는 가늘고 긴 실리콘 고무를 링 형상으로 가공해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커버(22)는 하우징(21)의 리어측(+Z측)에 부착된다. 커버(22)의 재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SUS를 포함하는 철 합금 등의 금속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2)는 통형상부(22a)와, 뚜껑부(22b)와, 커버 플랜지부(24)를 갖는다.
통형상부(22a)는 프론트측(-Z측)에 개구된다. 통형상부(22a)는 버스바 어셈블리(60)를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형상부(22a)는 본체부(62)의 리어측(+Z측)의 단부를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바꿔 말하면, 본체부(62)의 리어측(+Z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통형상부(22a) 내에 배치된다. 통형상부(22a)는 하우징 플랜지부(23) 및 커버 플랜지부(24)를 통해서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의 리어측(+Z측)의 단부와 연결된다.
뚜껑부(22b)는 통형상부(22a)의 리어측(+Z측)의 단부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부(22b)는 평판 형상이다. 뚜껑부(22b)의 평면으로 본(XY면으로 본)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상이다. 뚜껑부(22b)는 본체부(62)의 리어측(+Z측)의 전체를 덮는다. 뚜껑부(22b)는 개구부(62a)를 폐색한다.
뚜껑부(22b)는 커넥터 연결부(63a)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즉, 뚜껑부(22b)는 평면으로 보아서(XY면으로 보아서) 커넥터 연결부(63a)와 겹치지 않는다.
뚜껑부(22b)의 프론트측(-Z측)에는 커버 프론트면(22c)이 위치한다. 커버 프론트면(22c)은 리어측 O링(82)의 전체 둘레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22)는 개구부(62a)의 주위의 일주에 걸쳐서 본체부 리어면(62c)에 배치된 시일부(83)와, 리어측 O링(82)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커버 플랜지부(24)는 통형상부(22a)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다. 즉, 커버(22)는 프론트측의 단부에 커버 플랜지부(24)를 갖는다. 커버 플랜지부(24)는 하우징 플랜지부(23)와 서로 겹쳐진다. 커버 플랜지부(24)는 하우징 플랜지부(23)와, 예를 들면 용접, 코킹, 접착,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21)은 커버(22)와 접합된다.
모터(10)에는 커넥터부(63)를 통해서 외부전원이 접속된다. 접속된 외부전원은 버스바(91) 및 배선부재(9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버스바(91)는 전원용 개구부(63d)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91) 및 배선부재(92)를 통해서 외부전원으로부터 코일(43) 및 회전 센서(72)에 구동전류가 공급된다. 회전 센서(72)는 로터 마그넷의 자속을 검지한다. 코일(43)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는, 예를 들면 검지된 로터 마그넷의 자속을 기초로 산출된 로터(3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제어된다. 코일(43)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코일(43)에는 자장이 발생한다. 바꿔 말하면, 코일(43)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로터(30)와 스테이터(40)의 사이에 토크가 발생한다. 이 토크에 의해 샤프트(31)를 갖는 로터(3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터(10)는 회전 구동력을 얻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넥터부 리어면(63c)이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커넥터부(63)에 외력이 가하여졌을 경우에 커넥터 연결부(63a)로부터 시일부(83)에 외력이 전해지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시일부(83)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커버(22)와 버스바 홀더(61) 사이의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에 의하면,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일부(83)는 본체부(62)에 배치된다. 리어측으로부터 프론트측으로 보아서 커넥터부 리어면(63c)의 전체는 노출된다. 즉, 커넥터 연결부(63a)의 리어측에는 뚜껑부(22b)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커넥터부(63)에 외력이 가하여져 커넥터 연결부(63a)가 변형되었을 경우에, 커넥터 연결부(63a)의 변형과 함께 뚜껑부(22b)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22)와 버스바 홀더(61) 사이의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일부(83)는 본체부 리어면(62c)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커버(22)에 버스바 홀더(61)가 삽입될 경우에 있어서 시일부(83)에 배치된 리어측 O링(82)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일부(83)에 의한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넥터 연결부(63a)의 리어측의 면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부 리어면(63c)의 전체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부(63)에 가하여진 외력이 시일부(83)에 전해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일부(83)가 변형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버스바 홀더(61)는 스테이터(40)의 리어측의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축 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된다. 스테이터(40)에 의해 버스바 홀더(61)의 축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질 경우, 버스바 홀더(61)가 스테이터(40)와 접촉하기 전에 커넥터부(63)가 하우징(21)과 접촉하면, 버스바 홀더(61)를 스테이터(40)에 의해 위치결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부(63)와 하우징(21)의 사이에는 간극(AR1)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부(63)가 하우징(21)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부(63)와 하우징(21)의 사이에 간극(AR1)이 배치될 경우, 커넥터부(63)는 하우징(21)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커넥터부(63)는 하우징(21)에 의해 프론트측에서 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커넥터부(63)에 리어측에서 외력이 가하여졌을 경우, 커넥터부(63)가 프론트측으로 구부러져서 변형하기 쉽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연결부(63a)가 프론트측으로 구부러져서 변형하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63)가 변형했을 경우에도 시일부(83)에 의한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는, 커넥터부(63)가 변형하기 쉬운 구성(즉, 커넥터부(63)와 하우징(21)의 사이에 간극(AR1)이 배치되는 구성)을 채용할 경우에 특히 효과가 높다.
또한, 커버(22)는 커버 플랜지부(24)를 갖는다. 하우징(21)은 하우징 플랜지부(23)를 갖는다. 커버 플랜지부(24)는 하우징 플랜지부(23)와 고정된다. 그 때문에, 커버(22)가 하우징(21)과 강고하게 고정되어, 모터(10)의 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회로기판(71)이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 센서(72) 등의 전자부품을 정밀도 좋게 배치할 수 있다.
코일 접속부(91a∼91f)의 리어측의 단부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보다 리어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코일 접속부(91a∼91f)의 리어측의 단부는 회로기판(71)을 지지하는 회로기판 지지부(67)보다 리어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62a)측으로부터 코일 접속부(91a∼91f)가 스테이터(40)의 코일(43)과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다.
코일 접속부(91a∼91f)의 적어도 일부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회로기판(71)과 겹친다. 그 때문에, 모터(10)의 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중심축(J)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위치는 코일 접속부(91a∼91f)의 위치와 다르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회로기판(71)과 접속할 때 및 코일 접속부(91a∼91f)가 코일(43)과 접속할 때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코일 접속부(91a∼91f)와 서로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각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판형상부(95e)를 갖는다. 판형상부(95e)는 접속면(95f)을 갖는다. 접속면(95f)은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접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회로기판(71)과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회로기판 접속단자(95)와 회로기판(71)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시일부(83)에 리어측 O링(82)이 배치된다. 그 때문에, 커버(22)와 버스바 홀더(61)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시일부(83)에 설치되는 시일부재로서 리어측 O링(82)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일부재(83)는 상술의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일부(83)에 배치되는 시일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액상 개스킷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하우징(21)과 버스바 홀더(61) 사이를 시일하는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술의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액상 개스킷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시일부(83)에 설치되는 시일부재로서 액상 개스킷이 사용된 경우에는, 시일부(83)는 커버 프론트면(22c)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일부(83)가 중심축(J)의 둘레 방향의 일주에 걸쳐서 커버(22)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시일부(83)에 있어서 커버(22)와 버스바 홀더(61)의 사이가 시일되어 있으면, 시일부(83)에 시일부재가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시일부(83)가 커버 프론트면(22c)에 압박됨으로써 커버(22)와 버스바 홀더(61)의 사이가 시일되어 있어도 된다.
뚜껑부(22b)가 커넥터 연결부(63a)의 리어측에 위치해도 좋다. 간극(AR1)은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커버(22)는 커버 플랜지부(24)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하우징(21)은 하우징 플랜지부(23)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회로기판(71)은 샤프트(31)의 리어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회로기판의 위치는 상술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로기판(71)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구멍에 샤프트(31)가 삽입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그 경우, 샤프트(31)의 리어측의 단부가 회로기판(71)의 리어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드시 회로기판(71)이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의 리어측의 면의 적어도 일부가 시일부의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 시일부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모터(110)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그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10)는 버스바 어셈블리(160)를 갖는다. 버스바 어셈블리(160)는 버스바 홀더(16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161)는 본체부(62)와 커넥터부(163)를 갖는다. 커넥터부(163)는 커넥터 연결부(163a)와 커넥터 본체부(63b)를 갖는다.
커넥터 연결부(163a)는 리어측(+Z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부 리어면(163c)을 갖는다.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부 리어면(163c)의 위치는 본체부 리어면(62c)의 위치와 같다. 즉, 축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부 리어면(163c)의 위치는 시일부(83)의 위치와 거의 같다. 커넥터부 리어면(163c)에는 프론트측(-Z측)으로 패이는 오목부(163e)가 배치된다. 즉, 커넥터 연결부(163a)의 리어측의 면에는 프론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163e)가 배치된다.
오목부(163e)의 저면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63e)는 커넥터 연결부(163a)의 폭 방향(Y축 방향)의 일부에 형성된다. 오목부(163e)는 커넥터 연결부(163a)의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도 좋다.
오목부(163e)의 저면이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Z측)으로 되는 것이라면, 오목부(163e)의 깊이(즉, 축 방향(Z축 방향)의 치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오목부(163e)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부 리어면(163c)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오목부(163e)가 형성됨으로써 커넥터 연결부(163a)에는 공극(AR3)이 구성된다. 즉, 공극(AR3)은 오목부(163e)의 내측의 공간이다. 공극(AR3)은 지름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62)와 커넥터 본체부(63b)의 사이에 위치한다.
커넥터 연결부(163a)의 리어측(+Z측)의 면은 커넥터부 리어면(163c)과, 오목부(163e)의 저면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163e)의 저면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즉, 커넥터 연결부(163a)의 리어측의 면의 일부는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모터(110)의 상기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나타낸 모터(10)의 구성과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커넥터부 리어면(163c)에는 오목부(163e)가 배치된다. 오목부(163e)의 저면이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부(63)에 가하여진 외력이 시일부(83)에 전해지기 어렵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일부(83)가 변형하기 어렵고, 커버(22)와 버스바 홀더(161) 사이의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163a)의 리어측의 면의 일부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즉, 오목부(163e)의 저면이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오목부(163e)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커넥터 연결부(163a)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연결부(163a)의 굽힘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부(63)에 외력이 가하여졌을 때에 커넥터 연결부(163a)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63e)는 1개이어도 좋고, 복수(2개 이상)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커넥터부 리어면(163c)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해도 좋고, 리어측에 위치해도 좋다. 즉, 커넥터 연결부(163a)의 리어측의 면의 일부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커넥터 연결부(163a)의 리어측의 면의 그 밖의 부분은 축 방향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뚜껑부(22b)가 커넥터 연결부(163a)의 리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시일부(83)는 커넥터부 리어면(163c)에 배치되어도 좋다. 시일부(83)가 커넥터부 리어면(163c)에 배치될 경우에는, 오목부(163e)는 커넥터부 리어면(163c)에 있어서의 시일부(83)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모터(210)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그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210)는 버스바 어셈블리(260)를 갖는다. 버스바 어셈블리(260)는 버스바 홀더(26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261)는 본체부(62)와 커넥터부(263)를 갖는다. 커넥터부(263)는 커넥터 연결부(263a)와 커넥터 본체부(63b)를 갖는다.
커넥터 연결부(263a)는 리브(263f)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나타낸 커넥터 연결부(63a)의 구성과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리브(263f)는 커넥터부 리어면(63c)으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돌출한다. 리브(263f)는, 예를 들면 커넥터 연결부(263a)의 폭 방향(Y축 방향)의 전체에 연장된다.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리브(263f)의 리어측의 끝면의 위치는 본체부 리어면(62c)의 위치와 같다. 즉, 축 방향에 있어서 리브(263f)의 리어측의 끝면의 위치는 시일부(83)의 위치와 거의 같다.
리브(263f)가 배치됨으로써 커넥터부 리어면(63c)의 리어측(+Z측)에는 공극(AR4)과 공극(AR5)이 구성된다. 공극(AR4)과 공극(AR5)은 리브(263f)에 의해 차단된다. 공극(AR4)과 공극(AR5)은 지름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62)와 커넥터 본체부(63b)의 사이에 위치한다.
커넥터 연결부(263a)의 리어측(+Z측)의 면은 커넥터부 리어면(63c)과, 리브(263f)의 리어측의 끝면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 리어면(63c)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즉, 커넥터 연결부(263a)의 리어측의 면의 일부는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모터(210)의 상기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나타낸 모터(10)의 구성과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263f)로 의해서 커넥터 연결부(263a)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연결부(263a)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모터(310)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310)는 버스바 어셈블리(360)를 갖는다. 버스바 어셈블리(360)는 버스바 홀더(36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361)는 본체부(62)와 커넥터부(363)를 갖는다. 커넥터부(363)는 커넥터 연결부(363a)와 커넥터 본체부(63b)를 갖는다.
커넥터부 리어면(363c)은 커넥터 연결부(363a)의 리어측(+Z측)의 면이다. 커넥터부 리어면(363c)은 축 방향(Z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XY면)에 대하여 기우는 사면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363a)의 리어측의 면은 커넥터부 리어면(363c)만으로 구성된다. 커넥터부 리어면(363c)의 축 방향의 위치는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프론트측(-Z측)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커넥터부 리어면(363c)과 중심축(J) 사이의 지름 방향의 거리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짧아진다.
축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부 리어면(363c)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의 위치는 시일부(83)의 위치와 같다. 커넥터부 리어면(363c)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은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즉, 커넥터 연결부(363a)의 리어측의 면의 일부는 시일부(83)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커넥터 연결부(363a)의 축 방향의 치수는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 리어면(363c)은 사면이다. 그 때문에, 커넥터 연결부(363a)의 리어측(+Z측)에는 공극(AR6)이 구성된다. 공극(AR6)은 지름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62)와 커넥터 본체부(63b)의 사이에 위치한다.
모터(310)의 상기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나타내어진 모터(10)의 구성과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시일부(8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시일부(483)가 본체부(462)의 본체부 내측면(462b)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그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4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410)는 하우징(21)과, 커버(422)와, 샤프트(31)를 갖는 로터(30)와, 스테이터(40)와,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과, 제어장치(70)와, 버스바 어셈블리(460)와, 복수의 O링을 갖는다. 복수의 O링은 프론트측 O링(81)과 리어측 O링(482)을 포함한다.
버스바 어셈블리(460)는 버스바 홀더(46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461)는 본체부(462)와, 커넥터부(63)와, 접속단자 유지부(464)를 갖는다. 본체부(462)는 개구부(462a)와 본체부 내측면(462b)을 갖는다.
본체부(462)의 내경은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어진 본체부(62)의 내경보다 크다. 본체부(462)의 본체부 내측면(462b)에는 시일부(483)가 배치된다. 시일부(483)에는 리어측 O링(482)이 배치된다.
커버(422)는 통형상부(22a)와, 뚜껑부(22b)와, 삽입부(422d)와, 커버 플랜지부(24)를 갖는다. 뚜껑부(22b)는 커버 프론트면(22c)을 갖는다.
삽입부(422d)는 커버 프론트면(22c)으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돌출한다. 삽입부(422d)는,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서(XY면으로 보아서) 원환 형상이다. 삽입부(422d)의 외측면에는 일주에 걸쳐서 홈부(422e)가 형성된다. 홈부(422e)에는 리어측 O링(482)이 끼워넣어진다. 삽입부(422d)는 개구부(462a)로부터 본체부(46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리어측 O링(482)은 일주에 걸쳐서 본체부 내측면(462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422d)는 리어측 O링(482)을 통해서 시일부(483)와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모터(410)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10)의 구성과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모터와 마찬가지로 밀폐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422d)가 본체부(462)의 내측에 삽입되어, 본체부(462)에 배치된 시일부(483)와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422)를 본체부(462)에 대하여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일부(483)에 배치되는 시일부재의 구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상 개스킷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시일부(483)에 배치되는 시일부재로서 액상 개스킷이 사용된 경우에는, 커버(422)의 삽입부(422d)는 시일부(483)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부(422d)가 시일부(483)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10, 110, 210, 310, 410…모터 21…하우징
22, 422…커버 23…하우징 플랜지부
24…커버 플랜지부 30…로터
31…샤프트 40…스테이터
43…코일 51…제 1 베어링
52…제 2 베어링
60, 160, 260, 360, 460…버스바 어셈블리
61, 161, 261, 361, 461…버스바 홀더 62, 462…본체부
62a, 462a…개구부 63, 163, 263, 363…커넥터부
63a, 163a, 263a, 363a…커넥터 연결부 63b…커넥터 본체부
71…회로기판 83, 483…시일부
91…버스바
91a, 9lb, 91c, 91d, 91e, 91f…코일 접속부
92…배선부재 95…회로기판 접속단자
95e…판형상부 95f…접속면
163e…오목부 422d…삽입부
AR1…간극 J…중심축

Claims (13)

  1.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를 상기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일방향의 제 1 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 1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제 1 측과 반대인 제 2 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 2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제 1 베어링을 유지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제 2 베어링을 유지하고, 상기 제 1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의 상기 제 2 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유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갖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제 2 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보다 상기 제 2 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부를 갖고,
    상기 버스바 홀더에는 상기 중심축의 둘레 방향의 일주에 걸쳐서 상기 커버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와,
    상기 커넥터 연결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커넥터 본체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2 측의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시일부보다 상기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보다 상기 제 1 측에 위치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2 측의 면의 전체는 상기 제 2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으로 보아서 노출되어 있는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 2 측의 면에 설치되는 모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시일부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삽입부를 갖는 모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2 측의 면의 전체는 상기 시일부보다 상기 제 1 측에 위치하는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2 측의 면에는 상기 제 1 측으로 패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제 2 측의 단부와 접촉하고,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모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측의 단부에 커버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2 측의 단부에 하우징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커버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 플랜지부와 고정되어 있는 모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의 면이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회로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외부전원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부재를 갖고,
    상기 배선부재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일 접속부를 갖는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접속부의 상기 제 2 측의 단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1 측의 면보다 상기 제 2 측에 위치하는 모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겹치는 모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와 상기 코일 접속부는 상기 중심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모터.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판형상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과 평행한 접속면을 가지며,
    상기 접속면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과 접촉하는 모터.
KR1020177007263A 2014-09-30 2015-07-08 모터 KR101896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1413 2014-09-30
JP2014201413A JP6435754B2 (ja) 2014-09-30 2014-09-30 モータ
PCT/JP2015/069677 WO2016051904A1 (ja) 2014-09-30 2015-07-08 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741A true KR20170042741A (ko) 2017-04-19
KR101896304B1 KR101896304B1 (ko) 2018-09-07

Family

ID=5562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263A KR101896304B1 (ko) 2014-09-30 2015-07-08 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1553B2 (ko)
JP (1) JP6435754B2 (ko)
KR (1) KR101896304B1 (ko)
CN (1) CN106716789B (ko)
DE (1) DE112015004490T5 (ko)
WO (1) WO2016051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664B1 (ko) 2016-07-18 2023-1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JPWO2018051989A1 (ja) * 2016-09-16 2019-06-2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KR101875890B1 (ko) * 2016-12-23 2018-07-06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커버 밀봉 구조가 개선된 모터 장치
CN110178295B (zh) * 2017-01-11 2022-01-11 Lg伊诺特有限公司 电机
TWI670916B (zh) * 2018-03-28 2019-09-0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吊扇馬達
CN112075017B (zh) * 2018-04-25 2023-02-03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单元
US11258331B2 (en) * 2019-03-29 2022-02-22 Nidec Corporation Motor
JP2021145492A (ja) * 2020-03-12 2021-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装置
CN212784927U (zh) * 2020-08-17 2021-03-23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电机及手持云台
JP7503454B2 (ja) * 2020-08-31 2024-06-20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6072A (en) 1976-10-12 1978-07-29 Taikou Kk Boiled noodle mak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4024849A (ja) * 2003-04-17 2004-01-29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JP2004248492A (ja) * 2003-02-11 2004-09-02 Minebea Co Ltd モータ用シール構造、モータ、及び自動車の自動変速機用モータ
JP2007000659A (ja) * 2006-10-06 2007-01-11 Fujishoji Co Ltd 遊技機
JP2010016186A (ja) * 2008-07-03 2010-01-21 Pioneer Electronic Corp シールド取り外し構造
JP2010158094A (ja) * 2008-12-26 2010-07-15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161863A (ja) * 2009-01-07 2010-07-22 Koito Mfg Co Ltd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装置用モータポンプ
JP2010172086A (ja) * 2009-01-21 2010-08-05 Nippon Densan Corp バスバーユニット、バスバ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2012023929A (ja) * 2010-07-16 2012-02-02 Equos Research Co Ltd 共鳴コイル
JP2012239296A (ja) * 2011-05-11 2012-12-06 Denso Corp 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4803B2 (ja) * 1993-09-01 2003-06-09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電動機の製造方法
JP4552254B2 (ja) 2000-02-29 2010-09-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モータ
JP3799270B2 (ja) 2001-12-21 2006-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の駆動状態を切り換える為の制御装置
JP4956923B2 (ja) * 2005-06-23 2012-06-20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4894268B2 (ja) 2006-01-10 2012-03-14 日本電産株式会社 コネクタの封止構造およびこの封止構造を用いた密閉型ブラシレスモータ
US7588444B2 (en) 2006-02-01 2009-09-15 Nidec Corporation Busbar unit, electric motor and 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furnished with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sbar unit
JP2007221977A (ja) 2006-02-20 2007-08-30 Hitachi Car Eng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7221976A (ja) * 2006-02-20 2007-08-30 Hitachi Car Eng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CN101606304B (zh) 2007-02-19 2012-05-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动机的端子构造
JP4986657B2 (ja) * 2007-03-09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5386072B2 (ja) * 2007-07-26 2014-01-15 株式会社ケーヒン ブラシレスモータ
JP5239413B2 (ja) * 2008-03-13 2013-07-1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0284007A (ja) * 2009-06-05 2010-12-16 Hitachi Car Eng Co Ltd 駆動回路内蔵型センサ付きブラッシレスモータ
JP5371149B2 (ja) 2009-08-07 2013-12-18 愛三工業株式会社 回転検出器付きモータの構造
JP5039171B2 (ja) 2010-05-11 2012-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駆動装置およびその電動式駆動装置を搭載し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62027B2 (ja) 2012-01-26 2016-08-03 日本精工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3247761A (ja) 2012-05-25 2013-12-09 Jtekt Corp 電動オイルポンプ装置
US10128720B2 (en) 2012-12-28 2018-11-13 Mitsuba Corporatio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pump
CN103227537B (zh) * 2013-04-24 2016-04-20 捷和电机制品(深圳)有限公司 印刷电路板及直流电机
CN203691165U (zh) * 2013-12-12 2014-07-02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US9509196B2 (en) 2013-12-12 2016-11-29 Nidec Corporation Moto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6072A (en) 1976-10-12 1978-07-29 Taikou Kk Boiled noodle mak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4248492A (ja) * 2003-02-11 2004-09-02 Minebea Co Ltd モータ用シール構造、モータ、及び自動車の自動変速機用モータ
JP2004024849A (ja) * 2003-04-17 2004-01-29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JP2007000659A (ja) * 2006-10-06 2007-01-11 Fujishoji Co Ltd 遊技機
JP2010016186A (ja) * 2008-07-03 2010-01-21 Pioneer Electronic Corp シールド取り外し構造
JP2010158094A (ja) * 2008-12-26 2010-07-15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161863A (ja) * 2009-01-07 2010-07-22 Koito Mfg Co Ltd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装置用モータポンプ
JP2010172086A (ja) * 2009-01-21 2010-08-05 Nippon Densan Corp バスバーユニット、バスバ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2012023929A (ja) * 2010-07-16 2012-02-02 Equos Research Co Ltd 共鳴コイル
JP2012239296A (ja) * 2011-05-11 2012-12-06 Denso Corp 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16789B (zh) 2019-05-31
JP6435754B2 (ja) 2018-12-12
US10411553B2 (en) 2019-09-10
JP2016073117A (ja) 2016-05-09
US20170201152A1 (en) 2017-07-13
KR101896304B1 (ko) 2018-09-07
DE112015004490T5 (de) 2017-06-22
CN106716789A (zh) 2017-05-24
WO2016051904A1 (ja)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304B1 (ko) 모터
KR101854231B1 (ko) 모터
KR101856555B1 (ko) 모터
KR101906881B1 (ko) 모터
KR101859465B1 (ko) 모터
KR101796051B1 (ko) 모터
CN108462333B (zh) 马达
JP6277425B2 (ja) モータ
JP6561592B2 (ja) モータ
WO2018051989A1 (ja) モータ
JP6597870B2 (ja) モータ
WO2016052240A1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