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656A - 열가소성 복합물 및 그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복합물 및 그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656A
KR20170041656A KR1020167031548A KR20167031548A KR20170041656A KR 20170041656 A KR20170041656 A KR 20170041656A KR 1020167031548 A KR1020167031548 A KR 1020167031548A KR 20167031548 A KR20167031548 A KR 20167031548A KR 20170041656 A KR20170041656 A KR 20170041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ber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슈텐베크
Original Assignee
이퓨렉스 필름스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퓨렉스 필름스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filed Critical 이퓨렉스 필름스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04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32B37/185Laminating sheets, panels or inserts between two discrete plast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3M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5Ceram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32B2309/025Temperature vs time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 B32B2309/125Pressure vs time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2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8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물품으로 압출시키고, 섬유 재료를 특별한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하고, 열가소성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층 및 표면 처리된 섬유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층을 열가소성 필름의 융점 또는 연화점 초과의 온도에서 및 니핑 롤 또는 니핑 벨트에 의해 적용된 압력 하에 복합 시트로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롤-투-롤 연속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복합물 및 그의 제조법 {THERMOPLASTIC COMPOSITE AND ITS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복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드워즈(Edwards)는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02/0094427에서 a) 제1 열가소성 층; 및 b)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수지로 함침된 복수의 연속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강화된 열가소성 복합물을 포함하는 강화된 열가소성 물품이며, 여기서 제1 열가소성 층은 열가소성 복합물로 열성형 또는 취입-성형된 것인 강화 열가소성 물품을 기재하고 있다.
비커리(Vickery) 등의 명의의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08/0160281은 적어도 1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 및 1종 이상의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강화 섬유를 위한 조성물이며,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사이즈 조성물에 목적하는 특성 또는 특징을 부여하기 위해 통상적인 사이징제 적용에 전형적으로 포함되는 어떠한 첨가제도 없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라슨(Larson) 등은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08/0233364에서 중량 기준으로 섬유 강화재 약 20% 내지 약 80% 및 폴리에스테르, 페놀, 에폭시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열경화성 중합체 약 80% 내지 약 20%를 포함하는 강화 층; 기재 층 및 장식용 층을 포함하는 표면 층으로서, 여기서 기재 층은 중량 기준으로 섬유 강화재 약 20% 내지 80%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페놀, 에폭시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약 80% 내지 약 20%를 포함하며, 장식용 층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인 표면 층; 강화 층과 표면 층의 기재 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 층; 강화 층과 접착 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 프라이머 층으로서, 접착 층과 상이한 재료 조성을 갖는 접착 프라이머 층을 포함하는, 치수 안정한 연속 적층체 구조체를 상술하고 있다.
쿠보타(Kubota) 등의 명의의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12/0061013은 복합 물품 및 복합 물품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복합 물품은 패브릭 및 코어 열가소성 수지에 혼입된 높은 인성의 섬유를 포함하는 다중 층을 포함한다. 패브릭은 표면 처리제 및 중합체 매트릭스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단일 또는 다중 층의 복합 물품은 3차원 몰드에서 높은 강도, 경도, 고속 성형 사이클 시간 및 매우 우수한 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언급된 복합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보타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복합 부품은 모든 방향에서 높은 부품 강도를 갖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 등은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12/0148803에서 3차원 융기 구조, 특별히 리브, 스트럿 및/또는 돔을 갖는 장섬유 강화된 폴리우레탄 몰딩 부품이며, 상기 장섬유 이외에도 단섬유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리브, 스트럿 및/또는 돔의 부피에서의 섬유-무함유 폴리우레탄 매트릭스에 대한 단섬유 및/또는 플레이트형 충전제의 중량비는 융기 구조 외부의 2차원 영역에서의 섬유-무함유 폴리우레탄 매트릭스에 대한 단섬유 및/또는 플레이트형 충전제의 중량비보다 높은 것인 장섬유 강화 폴리우레탄 몰딩 부품을 교시하고 있다.
김(Kim) 등의 명의의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12/0156376은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보다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유리 또는 탄소 섬유를 함유하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성형체를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또는 고무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복합 성형체는 휠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휠 허브 캐스팅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재료 면에서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복합 성형체는 코팅 조성물에 대해 현저하게 우월한 접착을 갖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으며, 그의 강도 및 내구성은 캐스트 금속, 예컨대 주철,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것에 상응한다.
쳉(Cheng)은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12/0177927에서 (a) 탄소 섬유 기재 및 상기 탄소 섬유 기재 내로 함침된 매트릭스 수지를 포함하는 본래의 탄소 섬유 프리프레그, 및 열가소성 재료를 승온에서 열압축시켜서, 열가소성 재료 및 본래의 탄소 섬유 프리프레그의 매트릭스 수지가 가교 반응에 적용되도록 하여, 본래의 탄소 섬유 프리프레그 상에 가교 열가소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가교 열가소성 층 상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된 탄소 섬유 프리프레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최(Choi) 등의 명의의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13/0252059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위한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는 케이스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는 배터리 팩을 수용하고, 덮개는 케이스 본체와 연결된다. 케이스 본체는 장섬유 또는 장섬유와 연속 섬유의 블렌드가 플라스틱 매트릭스에서의 강화 섬유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복합물로 형성된다. 별도의 강화된 부재는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양측 브라켓 부품에 결합되며, 장섬유, 연속 섬유 또는 장섬유와 연속 섬유의 블렌드가 플라스틱 매트릭스에서의 강화 섬유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복합물로 형성된다.
키바야시(Kibayashi) 등의 명의의 미국 공개 특허 출원 2013/143025는 사이징제를 갖는 탄소 섬유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함침 테이프를 기재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 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케톤케톤 수지 및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물품으로 압출하는 것에 대한 개시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 DE 3822297은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으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이러한 필름의 적어도 1개의 표면은 열가소성 수지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플리스와 함께 첨가되는 반면에, 이러한 유닛은 압력 하에 압연되고 본질적 강화를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인,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DE 3822297은 특별한 열가소성 재료, 및 섬유 재료를 중합체 사이징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게다가 DE 3822297은 열가소성 섬유만을 개시하고 있으며, 탄소-, 유리- 또는 다른 섬유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유럽 공개 특허 출원 EP 1623822는 기재 층, 접착 층, 및 상기 접착 층을 통해 기재 층 상에 적층되고 그와 결합된 수소화 공중합체 조성물 층을 포함하는 수소화 공중합체-함유 적층체를 개시하고 있다.
데모트(Demott) 등의 명의의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05/008813은 접착 층을 사용하여 중합체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 층과 결합된 부직 니들 층을 포함하는 층상 텍스타일 복합 생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접착 층은 부직 니들 층을 중합체 필름 층과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웨버스(Wevers) 등의 명의의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2005/106965는 (A) 직물 및 (B) i) 1종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 및 ii) 1종 이상의 비닐 또는 비닐리덴 단량체 및 임의로 iii) 다른 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실질적 랜덤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반면에, 여기서 층 (B)는 실질적 양의 점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다층 구조체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은 연질-탄성 적용을 위해 텍스타일-직물에 중합체 재료를 코팅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서는 비용 효과적이고 빠른 연속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구조 유닛,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을 강화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를 생성시키는,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의 신규 제조 방법이 계속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롤-투-롤 연속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골격 구조 중에 연질 분절을 임의로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또한 취입 필름 또는 플랫-다이 방법에 의해 필름 물품으로 압출시킨다. 임의로 실란 커플링제를 열가소성 필름에 첨가한다. 직조포, 섬유 플리스 또는 단방향성 섬유일 수 있는 섬유 재료를 중합체 기재의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하고, 임의로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한다.
사이징제는 매트릭스 재료에 대한 섬유의 더 우수한 접착을 달성하기 위해 섬유에 적용된다. 사이징제는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에서 접착 촉진제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사이징제는 상응하는 매트릭스 시스템에 대해 매칭되어야 한다. 에폭시 사이징제 (실란)를 갖는 섬유는 열가소성 재료에서 제한적 용도를 갖는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매트릭스 재료에 대해, 폴리우레탄 수지의 코팅을 갖는 섬유 (예를 들어, 도호 테낙스(Toho Tenax) 24k HTS-섬유 F1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징제를 위한 다른 필름-형성 재료는 전분 유도체, 비닐 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에멀젼,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접착 촉진제로서 실란을 함유할 수 있다.
열가소성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층 및 표면 처리된 섬유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층은 열가소성 필름의 융점 또는 연화점 초과의 온도 하에 및 니핑 롤 또는 니핑 벨트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 하에 복합 시트로 적층된다.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실현되는 연속 롤-투-롤 적층 방법은 섬유 재료 및 열가소성 필름 재료의 롤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복합 시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생성된 열가소성/섬유 복합 시트는 짧은 성형 사이클에서 열성형에 의해 부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재활용가능하다. 이들 부품은 우수한 내화학성, 기계적 특성을 보유하며, 프라이밍 또는 다른 표면 제제 없이 도장가능 또는 인쇄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이점 및 이익은 하기 본원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제한이 아니라 예시의 목적을 위해 기재될 것이다. 작업 실시예 또는 달리 나타낸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명세서에서 양, 백분율, OH가, 관능가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수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달톤 (Da) 단위로 주어진 당량 및 분자량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각각 수 평균 당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이다.
열가소성 복합 시트를 위한 기재로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가소성 필름은 비제한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개질 (PETG), 트리탄(TRITAN)™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우레탄 (TPU),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아크릴로니트릴-코-부타디엔-코-스티렌 (ABS),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PC/ABS) 블렌드 및 폴리스티렌 (PS)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필름의 난연성 및 비-난연성 등급 둘 다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PC)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복합 시트 재료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폴리우레탄 (TPU)이 열가소성 복합 시트 재료로서 사용된다.
열가소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복합물 적층 방법을 위해, 200℃ 초과의 높은 충분한 용융 유동성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ASTM D-1238에 따라 210℃ / 300℃에서 및 3.8 kg / 8.7 kg 하에 시험된 압출 필름의 용융 유동 지수는 2g/10분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5 g/10분 내지 60 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내지 40 g/10분이다.
필름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무정형이거나 또는 매우 낮은 결정화도를 가지며, DIN 51005에 따른 Tg 중간점 온도 (탄젠트 방법)의 정의 및 보호 가스로서 결정되는 질소를 사용하여 10 K / 분 / 20 K / 분의 가열 속도에서 DIN EN ISO 11357-2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측정 (DSC)에 의해 결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가 17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60℃이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된 연속 섬유 강화된 시트 복합물을 열성형하는 경우에, 중합체 기재의 무정형 특색은 성형 사이클 시간 및 최종 부품의 뒤틀림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열가소성 필름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 선형 또는 분지형 수지 및 그의 혼합물 둘 다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2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8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서 25℃에서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표준물로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 / 폴리스티렌에 의해 측정됨)을 가지며, 210℃ / 300℃에서 ASTM D-1238에 따른 그의 용융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5 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 g/10분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중축합에 의해 탄산 유도체, 예컨대 포스겐 및 디히드록시 화합물로부터, 공지된 2상 계면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독일 공개 공보 2,063,050; 2,063,052; 1,570,703; 2,211,956; 2,211,957 및 2,248,817; 프랑스 특허 1,561,518; 및 에이치. 슈넬(H. Schnell)에 의한 논문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New York, 1964] 참조).
본 발명의 문맥에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하기 구조 화학식 1 또는 2에 상응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여기서
A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리덴 기,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렌 기,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리덴 기, 카르보닐 기, 산소 원자, 황 원자, -SO- 또는 -SO2 또는 하기에 상응하는 라디칼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3
e 및 g는 둘 다 0 내지 1의 수를 나타내고;
Z는 F, Cl, Br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여러 개의 Z 라디칼이 1개의 아릴 라디칼 내의 치환기인 경우에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d는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디히드록시 화합물 중에는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폭시드, 비스-(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뿐만 아니라 그의 핵-알킬화 화합물이 있다. 이들 및 추가의 적합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예를 들어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5,401,826, 5,105,004; 5,126,428; 5,109,076; 5,104,723; 5,086,157; 3,028,356; 2,999,835; 3,148,172; 2,991,273; 3,271,367; 및 2,999,846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비스페놀의 추가의 예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폭시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디히드록시-벤조페논,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α,α'-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및 4,4'-술포닐 디페놀이다.
특히 바람직한 방향족 비스페놀의 예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다. 가장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그의 구조 내에 적합한 비스페놀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수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수지 중에는 둘 다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3,036,036 및 4,210,74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페놀프탈레인-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터폴리카르보네이트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또한 소량의, 예를 들어 0.05 내지 2.0 mol% (비스페놀에 대해)의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을 이에 축합시킴으로써 분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독일 공개 공보 1,570,533; 2,116,974 및 2,113,374; 영국 특허 885,442 및 1,079,821 및 미국 특허 번호 3,544,514에 기재되어 있다. 하기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몇몇 예이다: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4,4'-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1-이소프로필리딘)-페놀; 2,6-비스-(2'-디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디히드록시벤조산;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몇몇 다른 다관능성 화합물에는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르산 염화물 및 3,3-비스-(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 있다.
상기 언급된 중축합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다른 방법에는 균질 상에서의 중축합 및 에스테르교환이 있다. 적합한 방법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3,028,365; 2,999,846; 3,153,008; 및 2,991,273에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계면 중축합 방법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형성에서의 합성의 다른 방법, 예컨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3,912,688에 개시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예를 들어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Science AG)로부터 마크롤론(MAKROLON)®의 상표명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블렌드 중에,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합한 중량의 50 내지 70 중량%로 존재한다.
지방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예컨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6,518,389에 따라 제조된 것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높은 등급의 기계적 특성과 비용-효과적 열가소성 가공성의 공지된 이점의 그의 조합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상이한 화학적 합성 성분의 사용을 통해 그의 기계적 특성에서의 광범위한 변형을 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그의 특성 및 적용의 고찰은 문헌 [Kunststoffe [Plastics] 68 (1978), pages 819 to 825; 및 Kautschuk, Gummi, Kunststoffe [Natural and Vulcanized Rubber and Plastics] 35 (1982), pages 568 to 584]에 주어져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선형 폴리올, 주로 폴리에스테르 디올 또는 폴리에테르 디올,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단쇄 디올 (사슬 연장제)로부터 합성된다. 촉매를 반응에 첨가하여 성분의 반응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성분들의 상대량은 광범위한 몰비에 걸쳐 달라질 수 있다. 1:1 내지 1:12의 폴리올 대 사슬 연장제의 몰비가 보고된 바 있다. 이들은 80 쇼어 A 내지 85 쇼어 D 범위의 경도 값 (DIN EN ISO 868 및 DIN ISO 7619-1에 의해 결정됨)을 갖는 생성물을 생성시킨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스테이지들 (예비중합체 방법)에서 또는 모든 성분의 동시 반응에 의해 1개의 단계 (원 샷)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전자에서,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형성된 예비중합체가 먼저 형성되고, 이어서 사슬 연장제와 반응한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널리 공지된 산업적 제조 방법은 소위 벨트 방법 및 압출기 방법이다.
적합한 폴리올의 예는 이관능성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을 포함한다. 소량의 삼관능성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열가소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유지됨을 확인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개시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에탄올아민 등을 사용하여 ε-카프로락톤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을 포함한다. 추가의 적합한 예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제조된 것들이다. 폴리카르복실산은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방향족 및/또는 헤테로시클릭일 수 있고, 이들은 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고/거나 불포화일 수 있다. 하기가 예로서 언급된다: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무수물, 엔도메틸렌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단량체 지방산과 혼합될 수 있는 이량체 및 삼량체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비스-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적합한 다가 알콜은,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1,2) 및 -(1,3); 부틸렌 글리콜-(1,4) 및 -(1,3); 헥산디올-(1,6); 옥탄디올-(1,8); 네오펜틸 글리콜; (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2-메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부틸렌 글리콜 및 폴리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어 유기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예를 들어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2-이소시아네이토메틸 시클로펜탄, 1-이소시아네이토-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IPDI),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2,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이소시아네이토-3-메틸시클로헥실)-메탄, α,α,α',α'-테트라메틸-1,3- 및/또는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1-메틸-4(3)-이소시아네이토메틸 시클로헥산, 2,4- 및/또는 2,6-헥사히드로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62 내지 500의 분자량을 갖는 바람직한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어 특히 에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4-부탄디올과 같은 2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디올을 포함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비스-에틸렌 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과 같은 테레프탈산과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글리콜의 디에스테르, 또는 예를 들어 1,4-디-(β-히드록시에틸)-히드로퀴논과 같은 히드로퀴논의 히드록시알킬 에테르, 또는 예를 들어 이소포론 디아민, 1,2- 및 1,3-프로필렌디아민, N-메틸-프로필렌디아민-1,3 또는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과 같은 (시클로)지방족 디아민, 및 예를 들어 톨루엔 2,4- 및 2,6-디아민, 3,5-디에틸톨루엔 2,4- 및/또는 2,6-디아민, 및 1급 오르토-, 디-, 트리- 및/또는 테트라알킬-치환된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과 같은 방향족 디아민이 또한 적합하다. 상기 언급된 사슬 연장제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 62 내지 500의 분자량을 갖는 트리올 사슬 연장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의 일관능성 화합물이 또한 예를 들어 사슬 종결제 또는 이형제로서 소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알콜, 예컨대 옥탄올 및 스테아릴 알콜, 또는 아민, 예컨대 부틸아민 및 스테아릴아민이 예로서 인용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해, 임의로 촉매,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의 존재 하에, NCO 기 대 NCO와 반응하는 기, 특히 저분자량 디올/트리올 및 폴리올의 OH 기의 합계의 당량비가 0.9:1.0 내지 1.2:1.0, 바람직하게는 0.95:1.0 내지 1.10:1.0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합성 성분을 반응시킬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메틸모르폴린, N,N'-디메틸-피페라진, 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탄올, 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과 같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3급 아민, 뿐만 아니라 특히 유기 금속 화합물, 예컨대 티탄산 에스테르, 철 화합물, 주석 화합물, 예를 들어 주석 디아세테이트, 주석 디옥토에이트, 주석 디라우레이트,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디알킬주석 염, 예컨대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촉매는 유기 금속 화합물, 특히 티탄산 에스테르 및 철 및/또는 주석 화합물이다.
이관능성 사슬 연장제 이외에도, 사용된 이관능성 사슬 연장제의 mol을 기준으로 하여 최대 약 5 mol%의 소량의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의 사슬 연장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해당 유형의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의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산트리올, 펜타에리트리톨 및 트리에탄올아민이다.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어 독일 소재의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로부터 텍신(TEXIN)® 상표 하에, 독일 소재의 바스프 에스이(BASF SE)로부터 엘라스톨란(ELASTOLLAN)® 상표 하에, 및 루브리졸 코포레이션(Lubrizol Corporation)으로부터 에스탄(ESTANE)®, 이소플라스트(ISOPLAST)® 및 펠레탄(PELLETHANE)®의 상표명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많은 상이한 섬유 또는 가닥 및 조합물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될 수 있으며, 벨기에 호에일라르트 소재의 3비 더 파이버 글래스 캄파니(3B the fiber glass company), 미국 소재의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크.(PPG Industries Ohio, Inc.), 및 존슨 엠 파이버글래스, 인크.(Johnson M Fiberglass, Inc.)와 같은 회사로부터의 유리, 독일 비스바덴 소재의 에스지엘 그룹 더 카본 캄파니(SGL Group The Carbon Company), 미국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졸테크 코포레이션(Zoltech Corporation), 독일 부페르탈 소재의 도호 테낙스 유럽 게엠베하(Toho Tenax Europe GmbH)와 같은 회사로부터의 암석, 세라믹, 카본, 또는 독일 비슈하펜 소재의 카르보엔엑스티 게엠베하(carboNXT GmbH)와 같은 회사로부터 카본 플리스, 흑연,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노멕스(NOMEX)®, 케블라(KEVLAR)®), 다른 유기 및 무기 재료의 울 및 면 섬유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금속성 섬유, 예컨대 구리 및 알루미늄이 또한 비-금속성 섬유와 다양한 비율로 이용될 수 있다. 섬유는 복합물 부피 기준으로 20%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의 양이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단방향성 섬유는, 예를 들어 12k, 24k, 50k (k=1000)의 크기에서 예를 들어 150 내지 250 mm 폭,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20 mm 폭,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mm 폭으로 스프레딩되는 것이 허용되고, 졸테크로부터 파넥스(PANEX)® 35, 에스지엘 그룹으로부터 시그라필(SIGRAFIL)® C 또는 도호 테낙스로부터 테낙스®의 상표명 하에 입수가능한 것들이다.
열가소성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층 및 표면 처리된 섬유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층은 복합 시트로 적층된 다음, 임의로 물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섬유 재료는 직조포, 단방향성 섬유 또는 섬유 테이프 또는 섬유 플리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섬유 재료는 단방향성 섬유 또는 섬유 테이프 또는 섬유 플리스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여러 섬유 재료는, 예를 들어 서로 위아래로 상이한 층에서 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단방향성 섬유는 각각의 형성된 물품의 내부에 혼입될 수 있으며, 직조포은 외부 층에서 보일 수 있다. 독일 켐니츠 소재의 카를 마이어 말리모 텍스틸마쉬넨파브릭(Karl Mayer Malimo Textilmaschinenfabrik)에 의한 공개 특허 출원 DE102009056189 A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UD-Lage", DE102009056197 A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UD-Lage" 및 DE102009043280 A1 "Halbzeug and Halbzeugverbun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방향성 층을 생성시키고 단일 섬유를 경미하게 스프레딩하는 방법, 및 사이징제의 선택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섬유는 유리하게는 중합체 매트릭스 중에 단일 섬유가 체류하는 것을 증진시키기 위해 중합체 기재의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중합체 사이징제는 섬유와 매트릭스 재료 사이에서 접착 인핸서로서 작용한다. 이를 위해, 중합체 사이징제의 성질은 각각의 섬유 및/또는 매트릭스 재료에 적합화되어야 한다. 에폭시 포함 중합체 사이징제 (실란 사이징제)를 갖는 섬유는 열가소성 매트릭스 재료에서 제한적으로만 적용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접착 증진 중합체 사이징제는 더 우수한 섬유/매트릭스 접착 및 상호작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매트릭스 원료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제조된 중합체 사이징제, 예컨대 예를 들어 도호 테낙스 24k HTS-섬유 F13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다른 필름 형성 중합체 사이징제는 전분 유도체, 비닐 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의 에멀젼, 포화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PVA, 페놀계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이들의 각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는 접착 인핸서로서 실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롤-투-롤 가공 온도는 180℃ 내지 230℃,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2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00℃이다. 롤의 속도는 8 내지 12 m/분,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 m/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분일 수 있다.
닙은 200 내지 400 μm,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5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μm의 값을 갖는다. 필름은 10 내지 100 μ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방향성 섬유 스트링은 200 내지 400 μm,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5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생성된 테이프 폭은 150 내지 300 mm,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mm의 값을 갖는다. 기계는 200 내지 1000 mm,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7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mm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1개의 필름 및 1개의 단방향성 섬유 테이프가 함께 적층되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2개의 필름이 중간의 단방향성 섬유 테이프와 함께 적층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우레탄이다. 적어도 1개의 필름,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필름은 50 μm의 두께를 가지면서, 단방향성 섬유 스트링은 300 μm의 두께는 가지며, 이는 220 mm의 폭으로 스프레딩된다. 필름은 190 내지 200℃의 롤-투-롤 온도에서 가공되고, 롤 속도는 10 m/분이다. 닙은 300 μm의 값을 갖는다.
이어서, 생성된 강화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워터-젯에 의해 절단된 다음,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유기 시트는 195 내지 23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의 온도 및 15 내지 30 bar,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bar의 압력에서 가압함으로써 형성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210℃의 온도에서 20 bar의 압력은 단방향성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우레탄에 적용된다.
놀랍게도, 강화된 폴리우레탄 필름은 강화된 폴리아미드 필름에 비해 탁월한 표면 특성 및 상당히 더 짧은 가공 시간을 가지며, 유사하거나 심지어 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열가소성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층, 및 직조포, 단방향성 섬유 또는 섬유 플리스일 수 있는 표면 처리된 섬유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층으로 제조된 복합 재료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자동차, 자전거, 보트 또는 항공기 또는 우주선 부문, 예컨대 루프, 범퍼, 필라에서의 구조적 강화 재료로서, 또는 각각의 내장 적용, 예컨대 하우징, 시트에서의 하우징 부품으로서, 또는 휴대용 또는 비-휴대용 기계, 예컨대 사슬톱, 천공기 또는 드릴러, 스크류 드라이버 등을 위한 하우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제한이 아니라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면 및 실시예와 함께 기재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프레스 상에서의 TPU 및 단방향성 섬유의 전형적 순환 공정 흐름을 제시한다.
도 2는 TPU-매트릭스를 갖는 탄소 섬유 - 대략 41 vol.-%의 섬유를 가짐 -의 현미경 단면 화상을 제시한다.
필름을 사용한 열가소성 복합물 가공.
열가소성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층, 및 직조포 또는 단방향성 섬유 또는 플리스일 수 있는 섬유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층은 이들의 개별 롤로부터 권출되고, 가열된 닙 롤 및 니핑 벨트로 구성된 적층기에서 만나도록 안내된다. 니핑 롤 및 벨트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 및 열 하에, 열가소성 필름 층은 용융물로 변하고, 적층기 내부에서 계속 전방으로 이동하여 층이 적층됨에 따라 섬유 재료 내부의 모든 공극을 충전하도록 압착된다. 적층기로부터 배출 시에, 적층체는 냉각 롤에 통과시킴으로써 열가소성 필름의 용융 또는 유리 전이 온도 미만으로 냉각되고, 강성 복합 시트 또는 테이프로 압밀된다. 생성된 복합 시트 또는 테이프는 추가의 형성 및 성형 용도를 위해 롤로 권취된다.
본 발명은 하기 재료를 사용한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83의 쇼어 D 값을 갖는 TPU-필름인 듀어플렉스(Dureflex)® X2311 방향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UD-섬유를 세텍스 인스티튜트(Cetex Institute)에 의한 자체 구축 열접합 기계에서 적층하였으며, 여기서 섬유는 150 mm 내지 250 mm의 균일한 두께 및 폭을 갖는 테이프로 배열되었다. 적층은 섬유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섬유를 TPU 필름 매트릭스에 의해 완전 함침시키도록 의도되지는 않았다. 적층 후, 테이프를 추가의 가공을 위해 롤 상에 권취하였다. 함침된 복합 시트 (유기 시트)의 제조를 위해, 정의된 높이로 모든 측면에서 둘러싸인 스틸로 제조된 직사각형 도구를 사용하여 UD-테이프와 피팅하였다. 도구를 스틸 플레이트로 밀폐하였다. 닥터 콜린(Dr. Collin) 회사에 의해 제조된 프레스 유형 P300 P/M에서, UD 테이프의 가열 뿐만 아니라 단일 층의 가압을 수행하였다. 냉각 후, 완전 함침된 복합 시트를 제거하였다. 기하학적 부품으로의 열성형을 추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스의 전형적 순환 공정 흐름은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표 1> 289 cm2의 시트에 대한 도 1에 제시된 순환 프레스 흐름에 대한 파라미터
Figure pct00004
이어서, 시트를 워터-젯 절단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절단 스트랩은 인장 응력, 압축 응력, 내충격성 또는 굽힘 시험을 위한 샘플을 형성할 수 있다. 샘플을 UD 섬유에 대해 0˚, 45˚ 및 90˚의 각도에서 검사하였다. 게다가, 시트를 열성형 또는 고압 성형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UD 섬유 강화된 TPU에 대해 하기 특성을 결정하고, 표 2에 열거하였다.
<표 2>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섬유의 특성
Figure pct00005
거대 변위 트랜스듀서를 갖춘 츠빅(Zwick) Z100 재료 시험 기계를 사용하여 DIN EN ISO 14125에 따른 굴곡 탄성률, 굽힘 강도 및 신율을 결정하고, 츠빅 진자 Z 25J를 사용하여 DIN EN ISO 179에 따른 내충격성을 결정하였다.
더 높은 양의 탄소 섬유를 갖는 TPU 필름은 더 낮은 양의 탄소 섬유 부피를 갖는 TPU 필름보다 현저하게 더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TPU-탄소 섬유 시트의 강도가 동일한 TPU-매트릭스를 갖는 유리 섬유 시트에 비해 명백하게 우월하다는 것이 또한 주목할만하다.
<표 3> 강화된 폴리아미드 (PA6) 필름에 비한 강화된 TPU 필름의 특성
Figure pct00006
놀랍게도, 강화된 TPU 필름 (본 발명의 필름)은 비슷한 강도를 갖는 경우의 강화된 폴리아미드 (PA 6) 필름보다 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표 3). 본 발명의 필름은 가공 및 취급하기에 더 용이하고 더 빠르다.
복합 플레이트 대신에, 개별 UD 테이프는 기하학적 3차원 구조에서 구조적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복합물 영역에서 TPU 필름을 사용한 제1 시행 후, 하기 효과가 관찰되었다:
Figure pct00007
TPU 매트릭스에 대한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의 매우 우수한 함침 거동
Figure pct00008
거의 모든 단일 필라멘트가 TPU 매트릭스로 둘러싸임 (또한 복합 적층체의 현미경 단면 화상인 도 2 참조)
Figure pct00009
우수한 가공 거동
Figure pct00010
복합물의 제조에 매우 적합함.
놀랍게도, 매우 우수한 광학 표면이 TPU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도구의 표면이 매우 잘 매핑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구 상에 축적된 매트릭스 수지는 값비싼 기계 세정 없이 제거하기에 매우 용이하였다. 이형제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섬유 복합 시트는 짧은 성형 사이클에서의 열성형에 의해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재활용가능하다. 이들 부품은 우수한 내화학성, 기계적 특성을 보유하며, 프라이밍 또는 다른 표면 제제 없이 도장가능 또는 인쇄가능하다.
본원에 기재된 대상의 다양한 측면은 하기 번호 매긴 조항에서 그의 임의의 조합으로 제시되어 있다:
1.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물품으로 압출시키고; 섬유 재료를 중합체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하고; 열가소성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층 및 표면 처리된 섬유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층을 열가소성 필름의 융점 또는 연화점 초과의 온도에서 및 니핑 롤 또는 니핑 벨트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 하에 복합 시트로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섬유 재료는 단방향성 섬유, 직조포, 섬유 플리스 또는 그의 조합인,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롤-투-롤 연속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를 열가소성 필름에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를 중합체 사이징제에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이 취입 필름 방법 및 플랫-다이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에 의한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개질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블렌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우레탄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이 그의 골격 구조 중에 연질 분절을 갖고, 50-80 쇼어 D의 경도를 갖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이 그의 골격 구조 중에 연질 분절을 갖지 않고, 80 쇼어 D 초과의 경도를 갖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사이징제가 물 또는 유기 용매 중 폴리우레탄, 에폭시, 페놀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기재의 분산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사이징제가 물 중 폴리우레탄의 분산액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가 유리, 암석, 세라믹, 탄소, 흑연,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울 코튼, 구리 및 알루미늄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
13. 제12항에 따른 열가소성 적층체로 제조된 물품.
14. 기계용 하우징 부품으로서의, 자동차, 자전거, 보트 또는 항공기 또는 우주선 부문에서의 구조적 강화 부품으로서의 제13항에 따른 물품의 용도이며, 여기서 섬유 재료는 단방향성 섬유, 직조포, 섬유 플리스 또는 그의 조합인 용도.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제공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양태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는 것은 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물품으로 압출시키고;
    섬유 재료를 중합체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하고;
    열가소성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층 및 표면 처리된 섬유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층을 열가소성 필름의 융점 또는 연화점 초과의 온도에서 및 니핑 롤 또는 니핑 벨트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 하에 복합 시트로 적층하는 것
    을 포함하며, 여기서 섬유 재료는 단방향성 섬유, 직조포, 섬유 플리스 또는 그의 조합인,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롤-투-롤 연속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를 열가소성 필름에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를 중합체 사이징제에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이 취입 필름 방법 및 플랫-다이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에 의한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개질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블렌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우레탄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이 그의 골격 구조 중에 연질 분절을 갖고, 50-80 쇼어 D의 경도를 갖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이 그의 골격 구조 중에 연질 분절을 갖지 않고, 80 쇼어 D 초과의 경도를 갖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사이징제가 물 또는 유기 용매 중 폴리우레탄, 에폭시, 페놀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기재의 분산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사이징제가 물 중 폴리우레탄의 분산액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가 유리, 암석, 세라믹, 탄소, 흑연,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울 코튼, 구리 및 알루미늄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열가소성 복합 적층체.
  13. 제12항에 따른 열가소성 적층체로 제조된 물품.
  14. 기계용 하우징 부품으로서의, 자동차, 자전거, 보트 또는 항공기 또는 우주선 부문에서의 구조적 강화 부품으로서의 제13항에 따른 물품의 용도이며, 여기서 섬유 재료는 단방향성 섬유, 직조포, 섬유 플리스 또는 그의 조합인 용도.
KR1020167031548A 2014-05-14 2015-05-11 열가소성 복합물 및 그의 제조법 KR201700416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68215 2014-05-14
EP14168215.3 2014-05-14
PCT/EP2015/060342 WO2015173180A1 (en) 2014-05-14 2015-05-11 Thermoplastic composite and its manufactu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656A true KR20170041656A (ko) 2017-04-17

Family

ID=5073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548A KR20170041656A (ko) 2014-05-14 2015-05-11 열가소성 복합물 및 그의 제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82760A1 (ko)
EP (1) EP3142854A1 (ko)
JP (1) JP2017515955A (ko)
KR (1) KR20170041656A (ko)
CN (1) CN106660302A (ko)
WO (1) WO2015173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1346A1 (en) 2015-12-14 2017-06-21 Habasit AG Sheet material and punching tape containing same
EP3251827B1 (en) 2016-05-30 2021-07-28 Covestro Deutschland AG Combined carbon- and glass-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olyamide composites and its manufacturing
US11001294B2 (en) * 2017-08-23 2021-05-11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power assist assembly housing
BR122022021098B1 (pt) * 2017-08-29 2023-05-16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Artigo laminado compósito, e, artigo laminado
CN110229488A (zh) * 2018-03-05 2019-09-13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热塑性复合材料制件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210261770A1 (en) * 2018-05-31 2021-08-26 Avient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tape
WO2022242839A1 (en) * 2021-05-19 2022-11-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composit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45150A (en) * 1970-10-23 1974-01-30 Monsanto Chemicals Footwear
US4302269A (en) * 1979-10-10 1981-11-24 Allied Corporation Process of forming a fiber reinforced, stampable thermoplastic laminate
DE3822297A1 (de) * 1988-07-01 1990-01-04 Signode Syste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ttenfoermigen oder folienfoermigen halbzeug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JP2970997B2 (ja) * 1994-07-01 1999-11-02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ウレタン層を有する積層体
US20050106965A1 (en) * 1999-04-01 2005-05-19 Ronald Wevers Multilayer structures
ES2222382T3 (es) * 2000-01-28 2005-0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stratificado de material no tejido/elastico unido por extrusion.
WO2004101269A1 (ja) * 2003-05-15 2004-11-25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水添共重合体含有積層体
US7491438B2 (en) * 2003-07-11 2009-02-17 Milliken & Company Needled nonwoven textile composite
WO2009076499A1 (en) * 2007-12-12 2009-06-18 Kubota Research, Inc. Composit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551386B2 (ja) * 2009-06-25 2014-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繊維・樹脂複合化シート及びfrp成形体
US20130143025A1 (en) * 2011-12-06 2013-06-06 Makoto Kibayashi Thermoplastic resin impregnated tape
JP2016501747A (ja) * 2012-11-16 2016-01-21 バイエル・マテリアルサイエン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Bayer MaterialScience LLC 熱可塑性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5955A (ja) 2017-06-15
US20170182760A1 (en) 2017-06-29
WO2015173180A1 (en) 2015-11-19
EP3142854A1 (en) 2017-03-22
CN106660302A (zh)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1656A (ko) 열가소성 복합물 및 그의 제조법
US20160279896A1 (en) Thermoplastic composite and its manufacturing
RU2615137C2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полиуретан и его композиции
EP3251827A1 (en) Combined carbon- and glass-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olyamide composites and its manufacturing
JP5583223B2 (ja) 多層構造体、これを用いたインナーライナー及び空気入りタイヤ
US10399514B2 (en) Low-melting adhesive film
TWI798251B (zh) 含熱塑性聚胺基甲酸酯薄膜層之複合積層體及製造複合積層體結構的方法
WO1996002592A1 (fr) Composition de resine epoxyde, preimpregne et materiau composite renforce par des fibres
JP6487203B2 (ja) 意匠転写シート、並びに加飾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5167B2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
US8076000B2 (en) Tie-layer materials for use with ionomer-based films and sheets as skins on other materials
JP6045057B2 (ja) 樹脂組成物及び多層構造体
JP6627266B2 (ja) 強化繊維複合積層体
US20120077038A1 (en) A process for incorporating an interpenetrating network or blend into the surface layer of a polymeric article
WO2020067535A1 (ja) 表面被覆フィルム並びに表面被覆繊維強化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097184A5 (ko)
WO1992011139A1 (en) Multilayered sheets having excellent adhesion
TW200916313A (en) Co-extruded water-proof and moisture-permeable film structure and textile
KR20210019426A (ko) 열가소성 복합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6727104B2 (ja) 再生セルロース/樹脂積層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94505A (ja) 強化繊維複合積層体
KR101917162B1 (ko) 방수 시트용 고성능 방수 필름과 이를 이용한 방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7221724B2 (ja) 加飾成形体
JP6627407B2 (ja) 強化繊維複合積層体
JPH0445118A (ja) 繊維補強樹脂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