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414A -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414A
KR20170041414A KR1020150140814A KR20150140814A KR20170041414A KR 20170041414 A KR20170041414 A KR 20170041414A KR 1020150140814 A KR1020150140814 A KR 1020150140814A KR 20150140814 A KR20150140814 A KR 20150140814A KR 20170041414 A KR20170041414 A KR 2017004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sensor
laundry
loa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702B1 (ko
Inventor
김영준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7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002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는, 상하 방향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하 방향으로 투입된 상기 세탁물이 저장되고,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되는 드럼; 상기 케이싱 또는 터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처짐을 감지하여, 세탁수를 포함한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센서는, 상기 터브 또는 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영구자석; 상기 터브 또는 케이싱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기력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흡습된 세탁물의 하중 및 터브의 처짐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탈수에 진입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TOP LOADING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THEREFOR}
본 발명은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 함.)에 묻어 있는 오염을 제거하도록 세탁, 헹굼 또는 탈수 과정을 진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는 탈수를 진행할 때, 터브에 저장된 최대수위를 기준으로 물빠짐 시간 동안 대기한 후 탈수를 진행하였다.
그래서 종래 기술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는 물빠짐 시간 동안 대기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탈수 시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17476에는 수위센서를 통해 탈수 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한 후 탈수를 진입하는 기술이 기재되었다.
그러나 탈수 시에는 드럼을 소정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매우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17476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세탁수가 저장된 터브의 높낮이를 통해 흡습된 세탁물의 부하를 감지할 수 있는 탑로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드럼이 회전 여부와 무관하게 세탁수량을 감지할 수 있는 탑로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탈수 시 흡습된 세탁물의 부하에 따라 본탈수의 진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탑로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는, 상하 방향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하 방향으로 투입된 상기 세탁물이 저장되고,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되는 드럼; 상기 케이싱 또는 터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처짐을 감지하여, 세탁수를 포함한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센서는, 상기 터브 또는 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영구자석; 상기 터브 또는 케이싱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후에, 드럼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일부 짜내는 물빠짐단계; 상기 물빠짐단계의 구동 중 또는 구동 후에, 케이싱에 배치된 자기센서가 상기 터브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자기력을 통해 본탈수를 진행할 수 있는 세탁물 부하인지를 판단하는 센싱단계; 상기 센싱단계에서 판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세탁물이 적재된 드럼의 편심을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 상기 편심감지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세탁물를 탈수하는 본탈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중 또는 상기 배수단계 후에, 케이싱에 배치된 자기센서가 상기 터브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자기력을 통해 본탈수를 진행할 수 있는 세탁물 부하인지를 판단하는 프리센싱단계; 상기 프리센싱단계에서 판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세탁물이 적재된 드럼의 편심을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 상기 편심감지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세탁물을 탈수하는 본탈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후에, 드럼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일부 짜내는 물빠짐단계; 상기 물빠짐단계의 구동 중 또는 구동 후에, 케이싱에 배치된 제 1 자기센서가 상기 터브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부하센싱단계; 상기 부하센싱단계 이후에 상기 드럼을 제 2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탈수진입단계; 상기 탈수진입단계의 작동 중에,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기센서와 이격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자기센서가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브의 상하 진폭이 큰 고진동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고진동센싱단계; 상기 고진동센싱단계에서 고진동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터브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단계; 상기 고진동센싱단계에서 고진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본탈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탑로딩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자기력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자기력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터브의 처짐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자기력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세탁물의 하중 및 터브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자기력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탈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복수개의 스마트센서를 통해 탈수시간 단축 및 고진동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스마트센서를 통해 세탁물의 하중을 판단하고, 고하중 및 저하중에 따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각기 다른 탈수제어를 실시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스마트센서를 통해 본탈수의 진입 전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스마트센서를 통해 흡습된 세탁물의 하중을 판단한 후, 본탈수를 진행할 수 있는 하중까지 세탁수를 능동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본탈수의 진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흡습된 세탁물이 고하중인 경우, 세탁물에 흡수된 수부하를 감소시킨 후 부하센싱 및 고진동센싱을 수행하기 때문에 고하중 세탁물의 본탈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다른 탈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센서가 도시된 계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에 설치되는 컨트롤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모듈(2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와, 상기 터브(30)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저장되어 세탁되는 드럼(40)과, 상기 터브(30)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상기 드럼(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50)과, 상기 드럼(4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모듈(60)과, 상기 드럼(40)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모듈(70)과, 상기 터브(30)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 또는 완충시키는 서스펜션모듈(80)과, 상기 케이싱(10) 및 터브(30)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30)의 처짐을 통해 저장된 세탁수의 하중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9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터브(30) 및 드럼(40)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 상측에 배치되는 탑커버(14)와, 상기 탑커버(14)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10)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7)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모듈(2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버튼들 및 다이얼 등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모듈(20)은 사용자에게 세탁기의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14)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상기 급수모듈(60)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모듈(60)에서 세탁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상기 터브(30)는 상기 배수모듈(70)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모듈(70)은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드럼(40)은 상기 구동모듈(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드럼(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드럼바디(42)와, 상기 드럼바디(42)의 하측에 결합되는 드럼베이스(44)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베이스(44)에는 허브(46)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모듈(50)은 선택적으로 상기 허브(46)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에 대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대회전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모듈(60)은 상기 탑커버(12)에 배치된 급수밸브(61) 및 급수유로(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모듈(70)은 상기 터브(30)에 연결된 배수밸브(71)와, 상기 배수밸브(71)에 연결된 배수유로(72)를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모듈(80)은 상기 터브(30)에 연결되고, 탄성력 또는 감쇄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30)에 발생된 진동을 저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스펜션모듈(80)은 상기 케이싱(10) 및 터브(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서스펜션모듈(80)은 상기 터브(30)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탑커버(14)에 매달리게 설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상기 서스펜션모듈(80)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하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거리 진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브(30) 내부에 세탁수 또는 세탁물이 포함된 경우, 세탁수 또는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터브(30)의 처짐이 발생된다.
세탁수 또는 세탁물이 없는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터브(30)가 가장 높게 위치된다. 상기 세탁수 또는 세탁물의 하중에 비례하여 상기 터브(30)의 처짐이 점차 증가된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상기 터브(30)의 처짐을 감지한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상기 터브(30)의 처짐을 통해 터브(30)의 증가된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스마트센서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센서(90)는 터브(30)에 설치된 영구자석(91)과, 상기 케이싱(10)에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92)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자기센서(92)는 상기 영구자석의 상대거리에 따른 자기력을 감지한다. 상기 자기센서(92)는 홀센서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케이싱(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케이싱(10)의 내측 모서리에 1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센서(90)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 있다. 스마트센서(90)가 복수개 설치될 경우, 각 스마트센서(9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세탁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싱(10)의 각 모서리에는 서스펜션모듈(80)이 매달리는 서스펜션브래킷(81)이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상기 서스펜션브레킷(81)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2개의 구성이 분리되어 설치된다.
하나는 터브(30) 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터브(30)와의 상대 변위를 발생시키는 구조물에 설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91)이 터브(30)에 설치된다. 본 실시에와 달리 자기센서(92)가 터브(3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센서(92)는 케이싱(10)에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0)에 자기센서(92)가 설치되는 경우, 전기배선을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전기배선의 이동이 발생되지 않아서 단선과 같은 고장이 현저하게 낮게 발생된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케이싱(10)에 설치되고, 자기센서(92)가 배치되는 센서하우징(100)과, 상기 터브(30)에 배치되고 영구자석(91)이 배치되는 센서설치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설치부(32)는 상기 터브(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32) 내부에 상기 영구자석(91)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센서설치부(32) 외부에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91)은 1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영구자석(91)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영구자석(91)은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영구자석(91)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91)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영구자석(91)들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터브(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영구자석(91)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터브(30)의 수평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브(30)에는 세탁물 또는 세탁수의 무게에 따른 처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세탁, 헹굼 또는 탈수 시 진동도 발생된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세탁, 헹굼 또는 탈수 시의 진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100)은 케이싱(10)에 고정되는 센서브래킷(110)과, 상기 센서브래킷(110)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브래킷(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자기센서(92)가 설치되는 회전바디(120)와, 상기 자기센서(92)를 감싸고, 상기 회전바디(120)에 조립되는 바디커버(130)와, 상기 회전바디(120) 및 센서브래킷(1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바디(12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력을 통해 상기 회전바디(120)를 초기위치로의 복귀시키는 센서탄성부재(140)와, 상기 회전바디(120) 또는 센서브래킷(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바디(1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브래킷(110)은 케이싱(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터브(30)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브래킷(110)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면과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센서브래킷(110)은 본 실시예에서 제 1 센서브래킷(111) 및 제 2 센서브래킷(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 센서브래킷(111)(112) 사이에 상기 회전바디(120)가 배치된다.
상기 센서탄성부재(140) 또는 스토퍼(150)도 상기 제 1, 2 센서브래킷(111)(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2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바디(120)는 외력이 없을 경우,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바디(12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바디(120)는 상기 센서탄성부재(1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회전바디(120)는 상기 센서브래킷(110)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자기센서(92)가 설치되는 회전바디부(122)와, 상기 회전바디부(122)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브래킷(110)에 결합되고,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바디축(124)과, 상기 회전바디부(122)에 형성되고, 상기 자기센서(92)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디부(122)는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축(124)은 상기 회전바디부(122)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바디축(124)은 회전바디(12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디축(124)은 센서브래킷(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축(124)은 핀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센서브래킷(110) 및 회전바디(1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126)는 회전바디부(1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설치부(1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기센서(92)가 설치된다. 자기센서(92)가 터브(30) 측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설치부(126)에 영구자석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센서(92)는 1개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바디부(122)에는 상기 스토퍼(150)와 간섭되어 회전각도를 제한시키는 간섭부(12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섭부(128)는 상기 회전바디부(122)에 형성된 경사면(128a)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회전바디부(122)에서 돌출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150)와 상호 간섭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128a)이 상기 스토퍼(150)에 지지되면,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120)가 지지된다. 상기 회전바디(120)는 항상 센서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센서브래킷(110)에는 센서탄성부재(140)가 설치되는 탄성부재설치부(11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탄성부재(140)는 코일형태로 형성되고, 토션스프링 형태로 작동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센서탄성부재(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센서탄성부재(140)는 탄성부재설치부(114)에 삽입된다. 상기 센서탄성부재(140)의 일단은 센서브래킷(1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바디(120)에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타단(142)은 상기 회전바디(1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바디(120)가 케이싱(10) 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센서탄성부재(140)가 압축된다.
상기 바디커버(130)는 회전바디(110)의 외측을 감싼다. 상기 바디커버(130)는 회전바디(110)에 설치된 자기센서(92)를 보호하고, 상기 자기센서(92)에 연결된 배선(미도시)을 보호한다.
상기 바디커버(13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바디커버(130)는 회전바디(110)에 외력을 전달한다.
상기 스마트센서(90)는 상기 터브(30)에 근접되어 위치된다. 상기 터브(30)의 진동의 심할 경우, 터브(30)는 상기 스마트센서(90)와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130)는 상기 자기센서(92)에 외력이 가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바디커버(13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회전바디(110)는 바디축(12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해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센서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바디(12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센서하우징(100)의 회전을 통해 터브(30)와 부딪히는 상황에서도 스마트센서(9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브(30)와 부딪히는 상황에서도 상기 자기센서(92)는 지속적으로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는 4개의 스마트센서(90)가 설치된다.
상기 4개의 스마트센서(90)는 케이싱(10)의 4 모서리 주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4개의 스마트센서(90)에서 감지된 신호를 조합할 경우, 터브(30)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마트센서(90)는 터브(30)의 상하 방향 움직임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움직임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스마트센서(90)는 터브(30)의 수평방향 회전도 감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는 2개의 스마트센서(90)가 설치된다.
2개의 스마트센서(90)는 4개 보다는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터브(30)의 상하, 수평, 수평방향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행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터브(30)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S10)와, 상기 배수단계(S10) 후에, 상기 터브(30)의 세탁수가 배출됐는지를 판단하는 공수위감지단계(S20)와, 상기 터브(30)의 공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드럼(40)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빼는 물빠짐단계(S30)와, 상기 물빠짐단계(S30)의 구동 중에 스마트센서(9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터브(30)의 처짐량을 감지하는 센싱단계(S40)와, 상기 터브(30)의 처짐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드럼(40)의 편심 또는 언밸런스를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S50)와, 상기 편심감지단계(S50)의 편심값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본탈수(S100)를 진행한다.
상기 배수단계(S10)는 터브(30)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배수모듈(70)이 작동되어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배수단계(S10)가 시작되기 전에는 터브(30)에 세탁수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영구자석(91)은 상기 자기센서(92)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배수단계(S10)를 진행하면서 세탁수가 배출되면, 터브(30)의 처짐량이 감소되고, 터브(30)의 높이가 점차 상승된다.
제어부는 배수단계(S10) 때부터 또는 그 이전부터 자기센서(92)를 통해 영구자석(91)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수위감지단계(S20)는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가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터브(30)의 공수위는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30)에 배치된 수위센서(미도시)를 통해 공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수모듈(70)의 배수펌프(미도시)의 부하를 감지하여 공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세탁수가 배출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배수펌프의 부하가 크지만, 세탁수가 배출되었거나 배출이 거의 완료된 경우에는 부하가 일정치 이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수펌프의 부하를 감지하여 공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수위감지단계(S20)는 상기 배수단계(S10)가 충분히 실시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수단계(S10)를 실시하는 시간이 충분한 경우, 상기 공수위감지단계(S20)를 생략할 수 있다.
세탁 또는 헹굼 시, 공급된 세탁수의 수량이 작고, 공급된 세탁수 수량에 비해 배수단계(S10)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한 경우, 상기 공수위감지단계(S2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물빠짐단계(S30)는 드럼(40)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일부 짜낸다. 세탁물에서 소정량의 물을 짜냄으로서 본 탈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상태로 세탁물의 하중을 저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전속도는 170rpm이다. 상기 제 1 회전속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물빠짐단계(S30)에서는 배수모듈(70)이 작동된다. 그래서 세탁물에서 짜내진 세탁수는 배수모듈(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를 통해 터브(30)의 하중이 감소된다.
종래에는 세탁물의 무게와 상관없이 소정시간 동안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물빠짐을 구현했다. 무게와 상관없이 물빠짐을 수행하는 경우, 세탁물의 최대부하를 기준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물빠짐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길게 형성해야만 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센서(90)를 이용하여 흡습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물빠짐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즉, 흡습된 세탁물을 포함한 터브(30) 전체의 하중을 고려하여 터브(30)의 처짐이 크면 세탁수의 하중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물빠짐 시간을 길게 한다.
반면에, 흡습된 세탁물을 포함한 터브(30) 전체의 하중을 고려하여 터브(30)의 처짐이 작으면 세탁수의 하중이 작은 것으로 판단하여 물빠짐 시간을 짧게 하거나 또는 물빠짐단계(S30)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센싱단계(S40)는 상기 터브(30)의 처짐량을 감지한다.
상기 센싱단계(S40)는 스마트센서(90)를 이용하여 터브(30)의 처짐량을 감지한다. 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92)에서 감지된 영구자석(91)의 자기력 세기가 기준값(A) 이상인 경우, 물빠짐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물빠짐단계(S30)에 의해 세탁물에서 세탁수가 짜내진 경우, 터브(30)의 하중이 감소되고, 감소된 하중만큼 터브(30)의 높이가 상승된다. 상기 터브(30)는 서스펜션모듈(80)에 매달린 상태이기 때문에, 하중 감소로 인해 높이가 상승된다.
즉, 상기 터브(30)의 하중 감소로 인해 터브(30)의 처짐량이 감소되고, 감소된 처짐량 만큼 상기 영구자석(91)의 높이가 상승된다.
상기 자기센서(92)가 기준값(A) 이상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터브(30)에 배치된 세탁물에서 물빠짐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세탁물이 소량이 경우, 물빠짐단계(S30)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기센서(92)를 지나쳐 높이가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기센서(92)에서 감지된 자기력의 세기는 기준값(A) 및 피크를 통과한 후 다시 감소된다.
상기 자기력의 기준값(A)은 터브(30)의 진동을 고려하여 피크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빠짐단계(S30)를 위해 드럼(40)이 회전될 때, 터브(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자기센서(92) 및 영구자석(91)이 수평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자기력 세기를 통해 상기 영구자석(9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편심감지단계(S50)에서는 상기 드럼(40)을 제 2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드럼(40)의 편심을 감지한다.
상기 드럼(40)에 적재된 세탁물이 치우쳐 배치된 경우, 소정 크기 이상의 편심(UB, unbalance)이 발생된다. 상기 제어부는 편심감지를 위해 상기 드럼(40)을 제 2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상기 편심감지단계(S50)에서 편심이 감지된 경우, 세탁물의 포풀림 또는 포분산을 수행한다.
상기 편심감지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시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포풀림 또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시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편심감지단계(S50)에서 감지된 편심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본탈수(S100)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빠짐단계(S30)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센싱단계(S40)를 실시하여 물빠짐단계(S30)의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특히,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 물빠짐 시간이 극히 짧거나 없을 수 있고, 이 경우, 바로 편심감지단계(S50) 및 본탈수(S100)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빠짐 시간이 극히 짧거나 없는 경우, 흡습된 세탁물의 하중이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편심감지단계(S50)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본탈수(S100)로 진입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탈수로 진입하기 전에 세탁수를 머금은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탈수로 진입하기 전에 흡습된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하고, 감지된 하중에 따라 물빠짐 시간, 편심감지단계(S50)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다른 탈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할 탈수 제어방법과 다르게 배수단계(S10) 및 물빠진단계(S30) 사이에 프리센싱단계(S15)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단계(S10)의 진행 과정에서 프리센싱단계(S15)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단계(S10)를 실시할 때 또는 배수단계(S10) 전에는 세탁수가 터브(30)에 저장되기 때문에, 상기 영구자석(91)이 자기센서(92) 밑에 위치된다.
세탁물이 소량인 경우, 상기 배수단계(S10)의 진행과정에서 영구자석(91)이 자기센서(92)를 지나쳐 위로 상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 제어방법은 소량이 세탁물을 감지하여 탈수단계 또는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축시킬 수 있다.
세탁물이 소량인 경우, 배수하는 과정에서 자기센서(92)의 위치를 통과할 수도 있고, 배수완료 후에 자기센서(92)의 위치를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리센싱단계(S15)에서 자기센서(92)가 상승되는 영구자석(91)을 감지하는 경우, 물빠짐단계(S30) 및 센싱단계(S40)를 생략하고 편심감지단계(S50)로 이행된다.
상기 프리센싱단계(S15)를 만족하는 경우, 공수위를 감지(S25)하고, 상기 편심감지단계(S50)를 실시한다.
이 경우, 물빠짐을 위해 드럼(40)을 회전시키는 시간 및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흡습된 세탁물의 하중이 작은 경우, 탈수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의 하중은 세탁의 위한 포량감지와는 다르다. 세탁을 실시할 때의 포량감지는 세탁수가 흡습되지 않는 상태의 세탁물 하중이지만, 탈수 시의 세탁물 하중을 세탁수를 머금은 하중이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 과정 또는 헹굼 과정에서 세탁물을 추가투입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탈수 시 스마트센서(90)를 통한 세탁물의 하중 판단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에 따른 탈수 제어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탈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스마트센서(190)는 2개의 자기센서(92)(9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자기센서(92)(93)를 통해 고부하 세탁물에 대한 탈수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센서들을 제 1 자기센서(92) 및 제 2 자기센서(93)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자기센서(92) 및 제 2 자기센서(93)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자기센서(92) 및 제 2 자기센서(93)의 이격거리를 통해 터브(30)의 수직방향 고진동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자기센서(92) 및 제 2 자기센서(93)는 수직방향으로 20mm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격거리는 세탁기의 용량 또는 설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부하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짜냄으로서 탈수에 필요한 완충변위를 확보한 후 탈수에 진입한다.
본 실시에에서는 탈수 시 복수개의 자기센서(92)(93)를 통해 고진동에 대응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고부하 세탁물에 대한 탈수 제어방법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터브(30)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S10)와, 상기 배수단계(S10) 후 또는 배수단계(S10) 중에 드럼(40)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흡수된 수부하를 감소시키는 수부하감소단계(S60)와, 상기 수부하감소단계(S60) 후에, 상기 드럼(40)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짜내는 물빠짐단계(S30)와, 상기 물빠짐단계(S30)의 구동 중에 제 1 자기센서(92)에서 영구자석(91)의 자기력 세기를 감지하는 부하센싱단계(S140)와, 상기 부하센싱단계(S140)에서 상기 제 1 자기센서(92)에서 감지된 자기력이 기준값(A) 이상인 경우, 드럼(40)을 제 2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탈수진입단계(S145)와, 상기 탈수진입단계(S145)의 작동 중에 제 2 자기센서(92)에서 영구자석(91)의 자기력 세기를 감지하는 고진동센싱단계(S150)와, 상기 고진동센싱단계(S150)에서 상기 제 2 자기센서(93)를 통해 감지된 자기력이 기준값(A) 이상인 경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단계(S155)로 진입하고, 상기 자기력이 기준값(A) 미만인 경우 본탈수(S100)로 진입한다.
물빠짐단계(S30)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수부하감소단계(S60)는 고하중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일부 짜낸다. 고하중 상태의 세탁물에 대해 수부하를 감소시키지 않고 물빠짐단계(S30)를 구동하면 터브(30)가 케이싱(10)의 베이스 또는 탑커버에 직접 부딪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고부하 상태에서는 물빠짐을 진행하기 어렵다.
다시 말해, 고부하 상태의 세탁물은 터브(30)에 가해진 고하중으로 인해 물빠짐을 진행하기 어렵고, 측정된 자기력의 세기를 신뢰하기도 어렵다.
상기 수부하감소단계(S60)는 탈수시간 단축을 위한 물빠짐단계(S30)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세탁물의 수부하를 감소시킨다.
상기 수부하감소단계(S60)는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탈수포량감지단계(S62)와, 세탁물의 편심을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S64)(S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탈수할 때, 세탁시 감지된 포량을 인용하지 않고, 흡습된 세탁물의 포량을 다시 감지한다.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S62)는 탈수포량감지를 위해 드럼(40)을 포량감지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상기 포량감지 회전속도는 30rpm으로 설정된다. 상기 포량감지회전속도는 세탁기의 용량, 드럼의 용량, 모터의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S62)에서 감지된 포량이 고부하로 판단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S62)에서 세탁물의 하중이 고부하로 판단되는 경우, 고하중 편심감지단계(S64)로 진입한다.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S62)에서 세탁물의 하중이 고부하가 아닌 경우, 일반 편심감지단계(S66)로 진입하고, 드럼(40)의 편심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바로 본탈수(S100)로 진입한다.
상기 고부하 편심감지단계(S64) 및 일반 편심감지단계(S64)는 명칭의 차이일 뿐 동일하게 작동된다.
상기 편심감지단계(S64)(S50)에서는 드럼(40)을 120rpm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고부하 편심감지단계(S64)에서 드럼(40)의 편심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물빠짐단계(S30)로 진입한다.
상기 물빠짐단계(S30)는 상술한 내용과 같다. 상기 물빠짐단계(S30)에서 고부하 세탁물의 세탁수를 짜내 본탈수(S100)로 진입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상기 물빠짐단계(S30) 중 또는 물빠짐단계(S30) 후에 스마트센서(90)를 통한 부하센싱단계(S140)를 수행한다.
상기 물빠짐단계(S30)는 170rpm으로 드럼(40)을 회전시킨다. 상기 물빠짐단계(S30)는 탈수포량감지단계(S62) 및 고하중 편심감지단계(S64)보다 빠르게 드럼(40)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하센싱단계(S140)는 제 1 자기센서(92)를 통해 영구자석(91)을 자기력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자기센서(92)에서 감지된 자기력이 기준값(A) 이상인 경우, 상기 영구자석(91)이 제 1 자기센서(92)와 동일선상 또는 그에 준하는 높이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부하센싱단계(S140)에서 제 1 자기센서(92) 및 영구자석(91)이 동일선상에 준하는 위치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탈수진입단계(S145)를 시작한다.
상기 탈수진입단계(S145)는 본탈수(S100)와는 다르다.
본탈수(S100)는 드럼(40)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상승시키면서 최종적으로 800rpm 내지 1000rpm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탈수진입단계(S145)는 본탈수(S100)의 시작 전에 본탈수(S100)를 시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본탈수(S100)는 포분산, 포풀림, 공진구간 회피 등을 포함한다.
상기 탈수진입단계(S145)는 190rpm으로 드럼(40)을 회전시킨다.
상기 탈수진입단계(S145)의 작동과정에서 제어부는 고진동센싱단계(S150)를 수행한다. 상기 고진동센싱단계(S150)는 상기 제 2 자기센서(93)를 통해 영구자석(91)의 자기력을 감지한다.
상기 탈수진입단계(S145) 전에 영구자석(91)은 제 1 자기센서(92)와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자기센서(93)에서 기준값(A) 이상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터브(30)의 상하 진폭이 최소 20mm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진동센싱단계(S150)에서 기준값(A) 이상의 자기력을 감지한 경우, 터브(30)가 고진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고부하 세탁물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진동저감단계(S155)를 실시한다.
상기 진동저감단계(S155)는 고부하 세탁물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낮은 회전속도로 드럼(40)을 저속회전시켜 세탁물의 부하를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진동저감단계(S155)에서는 탈수진입단계(S145)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드럼(40)을 회전시키는 저속탈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저감단계(S155)는 고부하 세탁물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세탁물을 드럼(40)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포풀림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풀림행정 또는 저속탈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풀림행정 후에 저속탈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저감단계(S155)를 실시한 후에는 다시 탈수진입단계(S145)로 리턴된다.
종래에는 고부하 세탁물의 경우, 물을 많이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를 실시하여도 본탈수로 진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부하 세탁물의 경우 본탈수의 진행과정에서 터브(30)가 케이싱(10)에 부딪히면서 큰 소음이 발생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탈수(S100)의 진입 전에, 본탈수(S100)를 진행할 수 있는 정도로 세탁물의 부하를 낮춘 후 본탈수를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탈수(S100)의 진행 전에 세탁물의 부하를 낮추기 때문에, 본탈수(S100) 과정에서 포풀림, 포분산 등의 과정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탈수시간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싱 20 : 컨트롤패널
30 : 터브 40 : 드럼
50 : 구동모듈 60 : 급수모듈
70 : 배수모듈 80 : 서스펜션모듈
90 : 스마트센서 91 : 영구자석
92 : 자기센서 100 : 센서하우징
110 : 센서브래킷 120 : 회전바디
130 : 바디커버 140 : 센서탄성부재
150 : 스토퍼

Claims (34)

  1. 상하 방향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하 방향으로 투입된 상기 세탁물이 저장되고,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되는 드럼;
    상기 케이싱 또는 터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처짐을 감지하여, 세탁수를 포함한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센서는,
    상기 터브 또는 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영구자석;
    상기 터브 또는 케이싱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
  2. 청구상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센서는,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되는 센서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센서설치부 또는 센서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센서설치부 또는 센서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탑로딩 세탁기.
  3. 청구상 2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 모서리 부근에 설치된 탑로딩 세탁기.
  4. 청구상 2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를 탄성지지하고, 회전된 상기 회전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센서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
  5. 청구상 2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바디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브래킷은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터브 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바디는 상기 센서브래킷에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탑로딩 세탁기.
  6. 청구상 5에 있어서,
    상기 센서탄성부재는 상기 센서브래킷에 설치되는 탑로딩 세탁기.
  7. 청구상 5에 있어서,
    상기 센서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인 탑로딩 세탁기.
  8. 청구상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브래킷에는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된 탑로딩 세탁기.
  9. 청구상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에 조립되고, 상기 회전바디를 감싸 보호하는 바디커버를 더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
  10. 청구상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센서는,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상기 영구자석;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터브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센서브래킷;
    상기 센서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자기센서가 설치되는 회전바디;
    상기 센서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바디를 탄성지지하고, 회전된 상기 회전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센서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
  11. 청구상 4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에 복수개의 자기센서가 설치되는 탑로딩 세탁기.
  12. 청구상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자기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탑로딩 세탁기.
  13. 청구상 4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에는 복수개의 센서설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자기센서는 복수개의 센서설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탑로딩 세탁기.
  14.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후에, 드럼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일부 짜내는 물빠짐단계;
    상기 물빠짐단계의 구동 중 또는 구동 후에, 케이싱에 배치된 자기센서가 상기 터브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자기력을 통해 본탈수를 진행할 수 있는 세탁물 부하인지를 판단하는 센싱단계;
    상기 센싱단계에서 판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세탁물이 적재된 드럼의 편심을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
    상기 편심감지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세탁물를 탈수하는 본탈수;를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청구상 14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 또는 상기 배수단계 전에,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이 상기 자기센서보다 낮게 위치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청구상 14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에서 판단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물빠짐단계로 리턴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17. 청구상 14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 후에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 수위를 감지하는 공수위감지단계;를 더 수행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18. 청구상 14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의 판단조건은,
    상기 영구자석에서 감지된 자기력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로 설정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19. 청구상 14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 세기를 통해 상기 터브의 처짐량을 감지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0. 청구상 19에 있어서,
    상기 처짐량을 통해 세탁수가 흡습된 세탁물의 하중을 판단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1. 청구상 14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 및 물빠짐단계 사이에 프리센싱단계가 더 배치되고,
    상기 프리센싱단계는 상기 자기센서를 통해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프리센싱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편심감지단계로 진입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2. 청구상 21에 있어서,
    상기 프리센싱단계 및 편심감지단계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 수위를 감지하는 공수위감지단계;를 더 수행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3.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중 또는 상기 배수단계 후에, 케이싱에 배치된 자기센서가 상기 터브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자기력을 통해 본탈수를 진행할 수 있는 세탁물 부하인지를 판단하는 프리센싱단계;
    상기 프리센싱단계에서 판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세탁물이 적재된 드럼의 편심을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
    상기 편심감지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세탁물을 탈수하는 본탈수;를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4. 청구상 23에 있어서,
    상기 프리센싱단계에서 판단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드럼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일부 짜내는 물빠짐단계;
    상기 물빠짐단계의 구동 중 또는 구동 후에, 케이싱에 배치된 자기센서가 상기 터브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자기력을 통해 본탈수를 진행할 수 있는 세탁물 부하인지를 판단하는 센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단계의 판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편심감지단계로 이행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5.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후에, 드럼을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일부 짜내는 물빠짐단계;
    상기 물빠짐단계의 구동 중 또는 구동 후에, 케이싱에 배치된 제 1 자기센서가 상기 터브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부하센싱단계;
    상기 부하센싱단계 이후에 상기 드럼을 제 2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탈수진입단계;
    상기 탈수진입단계의 작동 중에,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기센서와 이격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자기센서가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브의 상하 진폭이 큰 고진동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고진동센싱단계;
    상기 고진동센싱단계에서 고진동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터브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단계;
    상기 고진동센싱단계에서 고진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본탈수;를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6. 청구상 25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 후 또는 상기 배수단계 중에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에 흡수된 수부하를 감소시키는 수부하감소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7. 청구상 26에 있어서,
    상기 수부하감소단계는,
    상기 드럼을 포량감지속도로 회전시켜 세탁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탈수포량감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세탁물의 하중이 고부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물빠짐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세탁물의 하중이 고부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본탈수로 이행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8. 청구상 27에 있어서,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 및 물빠짐단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배치된 세탁물의 편심을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29. 청구상 27에 있어서,
    상기 탈수포량감지단계 및 본탈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배치된 세탁물의 편심을 감지하는 편심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30. 청구상 25에 있어서,
    상기 부하센싱단계의 판단조건은,
    상기 영구자석에서 감지된 자기력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로 설정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31. 청구상 25에 있어서,
    상기 고진동센싱단계의 판단조건은,
    상기 영구자석에서 감지된 자기력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로 설정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32. 청구상 25에 있어서,
    상기 수부하감소단계에서의 드럼 회전속도보다 상기 물빠짐단계에서의 제 1 회전속도가 더 빠르도록 제어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33. 청구상 25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속도보다 제 2 회전속도가 더 빠르도록 제어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34. 청구상 25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단계 후에 상기 탈수진입단계로 리턴되는 탑로딩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50140814A 2015-10-07 2015-10-07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0243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814A KR102436702B1 (ko) 2015-10-07 2015-10-07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814A KR102436702B1 (ko) 2015-10-07 2015-10-07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414A true KR20170041414A (ko) 2017-04-17
KR102436702B1 KR102436702B1 (ko) 2022-08-25

Family

ID=5870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814A KR102436702B1 (ko) 2015-10-07 2015-10-07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5270A (zh) * 2020-03-26 2021-09-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控制装置、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57A (ko) * 1994-06-22 1996-01-25 로버트 엠. 레온 전자석댐이 있는 스트립 주조장치
KR980009606A (ko) * 1996-07-31 1998-04-30 배순훈 세탁기의 편심보정장치 제어방법
KR0179255B1 (ko) * 1996-02-22 1999-05-1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장치 및 제어방법
KR20000008887A (ko) * 1998-07-16 2000-02-15 윤종용 복합센서를구비한세탁기
KR20140017476A (ko) 2010-06-11 2014-02-11 허페이 글루 테크. 워셔 컴퍼니 리미티드 직립형 세탁조에서 펄세이터 구동으로 세탁물을 롤링하는 방법 및 그 활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57A (ko) * 1994-06-22 1996-01-25 로버트 엠. 레온 전자석댐이 있는 스트립 주조장치
KR0179255B1 (ko) * 1996-02-22 1999-05-1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장치 및 제어방법
KR980009606A (ko) * 1996-07-31 1998-04-30 배순훈 세탁기의 편심보정장치 제어방법
KR20000008887A (ko) * 1998-07-16 2000-02-15 윤종용 복합센서를구비한세탁기
KR20140017476A (ko) 2010-06-11 2014-02-11 허페이 글루 테크. 워셔 컴퍼니 리미티드 직립형 세탁조에서 펄세이터 구동으로 세탁물을 롤링하는 방법 및 그 활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5270A (zh) * 2020-03-26 2021-09-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控制装置、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13445270B (zh) * 2020-03-26 2024-03-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控制装置、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702B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0478A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disentangling clothes in the washing machine
KR10158820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US11761137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86309B1 (ko) 드럼 세탁기
KR102420510B1 (ko)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20120017646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145618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y
CN103443348A (zh) 用于控制滚筒洗衣机中脱水的方法
KR101331951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4928884A (zh) 洗衣机
KR20100102311A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KR10204770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756052A (zh) 洗衣机
KR100815663B1 (ko) 세탁기
KR101054431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 제어 방법
KR20170041414A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JP201106233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326842B2 (ja) 洗濯機
JP5823070B2 (ja) 洗濯機
KR100672604B1 (ko)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5508948B2 (ja) 洗濯機
JP2009189537A (ja) 洗濯機
KR2020009321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17223B1 (ko) 드럼세탁기의 수위겸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따른 구동부제어방법
KR100504500B1 (ko) 드럼 세탁기의 포량/편심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