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510B1 -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510B1
KR102420510B1 KR1020170108457A KR20170108457A KR102420510B1 KR 102420510 B1 KR102420510 B1 KR 102420510B1 KR 1020170108457 A KR1020170108457 A KR 1020170108457A KR 20170108457 A KR20170108457 A KR 20170108457A KR 102420510 B1 KR102420510 B1 KR 10242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tub
speed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810A (ko
Inventor
조성진
김도연
김석배
전지은
최웅
지수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36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90488A1/en
Priority to CN201780089543.7A priority patent/CN110520566B/zh
Priority to EP17905635.3A priority patent/EP3585931B1/en
Priority to CA3059536A priority patent/CA3059536A1/en
Priority to AU2017409625A priority patent/AU2017409625B2/en
Priority to US15/850,540 priority patent/US11001956B2/en
Publication of KR2018011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810A/ko
Priority to US17/314,623 priority patent/US117611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Un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Abstract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는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제2 회전조,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까지 증가된 후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피복, 침구 또는 수건, 또는 기타 섬유 제품 등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세탁기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가 수용 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세탁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세탁조의 회전에 따라서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게 된다.
세탁기의 세탁조에는 바닥면에 회전 가능한 펄 세이터가 설치되거나, 세탁조 중심에 설치되고 날개가 마련된 회전 봉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세탁기는 펄 세이터 또는 회전 봉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펄 세이터가 마련된 경우, 세탁기는 세탁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펄 세이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생성된 와류를 이용하여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도 있고, 펄 세이터가 일정한 각 범위 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교반시켜 세탁물을 세탁할 수도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기의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지면의 수직선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회전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물은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발생되는 낙차를 이용하여 세탁될 수 있다.
세탁기는,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세탁 행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탁 행정이 종료된 이후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순차적으로 더 진행하여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수행한다.
복수의 세탁조가 마련된 세탁기에 있어서 복수의 세탁조가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과도한 진동을 저감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단일 또는 복수의 세탁조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세탁조 내에 투입된 세탁물에 의해 불균형(unbalance)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세탁기는,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제2 회전조,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까지 증가된 후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이상이고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는 탈수 행정에서의 회전 속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어느 하나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횡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제2 회전조,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다른 하나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조가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보다 작으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증가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회전조가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3 기준 속도보다 크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회전조의 증가된 회전 속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와 제1 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까지 증가된 후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이상이고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까지 증가된 후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는 탈수 행정에서의 회전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어느 하나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횡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세탁기는,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조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회전조,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2 회전조 및 상기 제2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회전조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세탁 행정 또는 탈수 행정 시 상기 제2 회전조에 불균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회전조의 세탁수가 증가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의 동작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제2 회전조의 진동을 감지하는 회전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 속도,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구동부 동작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목표 회전 속도를 낮추거나, 상기 구동부의 운전율을 낮추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 가속도 및 회전 감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기간 및 정기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단축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부의 동작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조의 세탁수가 증가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의 동작이 변경되도록 제어한 후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면 상기 회전조의 세탁수가 감소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가 기존의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 회수로 상기 제2 회전조에 불균형이 발생된 이후, 상기 제2 회전조의 세탁수가 증가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의 동작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기에 복수의 세탁조가 마련되고 복수의 세탁조가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세탁기에 발생되는 과도한 진동을 저감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세탁기에 복수의 세탁조가 마련된 경우, 각각의 세탁조가 다른 세탁조의 동작에 따라 제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세탁조의 동작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세탁조 중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높은 모터의 회전 주파수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진동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를 반드시 중지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상술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동작하는 경우에도 다른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를 중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 및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세탁물이 밀집하여 세탁조 내에 불균형이 발생된 경우, 세탁물을 해산시켜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조 내의 불균형의 해소에 따라 세탁조에 인가되는 불필요한 진동을 차단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세탁조의 마모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기 때문에,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에서의 세탁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세탁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세탁기의 세탁 내지 탈수 행정에서의 제1 세탁부 또는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 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 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세탁기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세탁조에 설치된 감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세탁조 내에 불균형이 발생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세탁조 내에 불균형이 발생된 경우 구동부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세탁조 내의 수위를 변경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16은 세탁조 내의 수위를 변경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17은 구동부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제1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구동부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제2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구동부의 운전율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구동부의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1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2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3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4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브래킷과 전방 하우징의 일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프레임과 전방 하우징의 결합 위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2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3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4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5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6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5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7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6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8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7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9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8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0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9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가 부가된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부'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부품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이나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이상 이들이 순차적인 표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세탁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세탁부(10)와,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세탁부(10)와 동시에 또는 이시에 동작 가능한 제2 세탁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부(10)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되고, 또한 제2 세탁부(20)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 경우, 제1 세탁부(10)에 의해 수행 가능한 행정은, 제2 세탁부(20)에 의해 수행 가능한 행정과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일부는 동일하고 다른 일부는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세탁부(10)에 의해 수행 가능한 행정은, 제2 세탁부(20)에 의해 수행 가능한 행정과 서로 상이한 것도 가능하다.
특정 시점에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에 의해 수행되는 행정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가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2 세탁부(20)는 상이한 행정, 일례로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한 행정, 즉 탈수 행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소정의 행정을 동시에 개시할 수도 있고, 또는 이시에 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탈수 행정을 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탈수 행정을 개시하고, 일정 시간 이후에 다른 하나가 탈수 행정을 개시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어느 하나의 행정, 일례로 세탁 행정이 종료된 경우, 이에 응하여 순차적으로 다른 행정, 일례로 탈수 행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다른 행정을 수행하도록 마련 가능하다.
또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가 각각 동일한 행정, 일례로 세탁 행정을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개시하는 경우,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동일한 시간에 기 개시된 동일한 행정을 종료할 수도 있고, 또는 상호 상이한 시간에 기 개시된 행정을 종료할 수도 있다. 상호 상이한 시간에 기 개시된 행정이 종료된 경우,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어느 하나는 순차적으로 예정된 다른 행정, 일례로 탈수 행정을 다른 하나보다 선행하여 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서로 이종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는 드럼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제2 세탁부(20)는 와류식 또는 교반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는 와류식 또는 교반식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제2 세탁부(20)는 드럼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서로 동종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모두 드럼 방식, 와류식 및 교반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모두 드럼을 이용하여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의 구현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에 채용 가능하다.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어느 하나의 세탁부가 다른 세탁부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2 세탁부(20)가 제1 세탁부(10)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설계 가능하다. 물론 이와 반대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세탁부(10)와 제2 세탁부(20)는 상호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사이에는 다른 장치, 일례로 건조기 등의 장치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서로 병렬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1 세탁부(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제2 세탁부(2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각각 별도의 세탁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된 후 결합 및 조립된 것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각각은 소정의 구동 속도(R1, R2)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 세탁부(10)는 변경 가능한 소정의 구동 속도(이하 제1 구동 속도(R1))를 유지하거나 변화시키며,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세탁부(20)는 변경 가능한 소정의 구동 속도(이하 제2 구동 속도(R2))를 유지하거나 변화시키며,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구동 속도(R1) 및 제2 구동 속도(R2) 중 적어도 하나는, 필요에 따라, 특정한 기간 내에서 고정적일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한 기간 내에서 가변적일 수도 있다. 제1 구동 속도(R1) 및 제2 구동 속도(R2)는, 시점에 따라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가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 구동 속도(R1) 및 제2 구동 속도(R2)는, 실시예에 따라서, 서로 대체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하게 변화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1 구동 속도(R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세탁조(11)의 회전 속도, 제1 세탁조(11)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펄 세이터(미도시)의 회전 속도, 제1 세탁조(11) 내에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세탁봉(미도시)의 회전 속도 및 제1 구동부(1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축의 회전 속도(이하 제1 구동부(13)의 회전 속도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 속도(R2)는, 제2 세탁조(21)의 회전 속도, 제2 세탁조(11)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펄 세이터(미도시)의 회전 속도, 제2 세탁조(21) 내에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세탁봉(미도시)의 회전 속도 및 또는 제2 구동부(2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축의 회전 속도(이하 제2 구동부(23)의 회전 속도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세탁기(1)가 두 개의 세탁부(10, 2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세탁부(10, 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 세탁기(1)는 셋 또는 그 이상의 세탁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셋 또는 그 이상의 세탁부 중 적어도 둘은 상하 방향으로 및/또는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세탁부(10, 2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부(10)는, 세탁물이 투입되고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수행되는 제1 세탁조(11)와, 제1 세탁조(11) 또는 제1 세탁조(11)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들에 요구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조(11)는, 대략 통의 형상을 구비하며 세탁물이 투입되어 세탁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세탁조(11)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고정된 또는 가변 가능한 회전 속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세탁조(11)는, 측 방향(예를 들어 횡측 방향), 상 방향(예를 들어 종축 방향) 또는 상측 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드럼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세탁조(11)는 고정조(미도시) 및 회전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조는 고정되어 마련되고, 회전조는 고정된 또는 가변 가능한 회전 속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회전조의 회전에 따라서 제1 세탁조(11)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탁조(11) 내에는 고정된 또는 가변 가능한 회전 속도로 회전 가능한 펄 세이터 및/또는 세탁봉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펄 세이터 및/또는 세탁봉의 회동에 의해 제1 세탁조(11) 내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될 수도 있다.
제1 구동부(13)는, 제1 세탁조(11)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제1 구동부(13)는, 상술한 회전조, 펄 세이터, 세탁봉 또는 드럼 등에 회전력을, 직접 또는 여러 다양한 장치, 일례로 기어 등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구동부(13)는 제1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모터는 회전조, 펄 세이터, 세탁봉 또는 드럼 등의 회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모터는, 예를 들어, 교류 모터(AC motor, Alternating Current Motor) 또는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 등과 같이 세탁기를 제작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소정의 모터를 채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1 구동부(13)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서 회전 속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가변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세탁조(11) 또는 제1 세탁조(11) 내의 각 부품(일례로, 회전조, 펄세이터 또는 세탁봉 등)의 회동은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되게 된다.
구조에 따라서, 제1 구동부(13) 회전 속도는 회전조, 펄 세이터, 세탁봉 또는 드럼 등의 회전 속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13)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11) 내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를 감지 및 측정하고, 제어부(3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는 제1 구동부(13)의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는, 제어 신호와 동일하게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또는 제어 신호를 증폭하거나 제어 신호에 대한 소정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가 생성한 피드백 신호는 제어부(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제1 구동부(13)에 지시된 회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는, 제1 구동부(13)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는, 회전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회전 속도 센서는, 타코미터나, 엔코더나, 톱니 바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코미터는, 예를 들어, 전기적 타코미터 및/또는 광전식 타코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엔코더는, 예를 들어, 광학식 인크리멘탈 엔코더(incremental encoder), 광학식 앱솔루트 엔코더(absolute encoder), 자기 엔코더 및/또는 레졸버(resol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는 제1 구동부(13)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는, 제1 세탁조(11)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는,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와 동일하게 소정의 회전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회전 속도 센서는, 예를 들어, 타코미터나, 엔코더나, 톱니 바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부(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어부(30)는 제1 세탁부(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즉 제1 구동 속도(R1)를 적절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세탁부(20)는, 세탁물이 투입되고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수행되는 제2 세탁조(21)와, 제2 세탁조(21) 또는 제2 세탁조(21)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23)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제2 세탁조(21)는, 제1 세탁조(11)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대략 통의 형상을 구비하며 세탁물이 투입 및 세탁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 세탁조(21)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가변되는 회전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세탁조(21)는, 측 방향, 상 방향 또는 상측 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드럼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세탁조(21)는, 회전하지 않는 고정조(미도시) 및 회동 가능한 회전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세탁조(21) 내의 세탁물은 회전조의 회전에 의해 세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세탁조(21) 내에는 펄 세이터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세탁봉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펄 세이터 또는 세탁봉의 회전에 기인하여 제2 세탁조(21) 내의 세탁물은 세탁될 수 있게 된다.
제2 구동부(23)는, 제2 세탁조(21)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구체적으로는, 회전조, 펄 세이터, 세탁봉 또는 드럼 등에 회전력을 직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 구동부(23)는 제1 구동부(13)와 동일하게 제2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구동부(23)의 제2 모터는 세탁기를 제작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모터를 채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2 구동부(23)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서 회전 속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가변하면서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구동부(23)에 의해 제2 세탁조(12)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 구동부(23) 회전 속도는, 상술한 회전조, 펄 세이터, 세탁봉 또는 드럼 등의 회전 속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세탁부(10)는, 제어부(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23)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11) 내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세탁부(2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일례로 제2 구동 속도(R2)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각각은, 상술한 제1 세탁부(10)의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세탁부(2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각각의 구동 속도(즉, 제1 구동 속도(R1) 및 제2 구동 속도(R2))를 감지 또는 측정하기 위하여 동종의 신호 생성 장치 또는 센서를 채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이종의 신호 생성 장치 또는 센서를 채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는 제1 구동부(13)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를 포함하고, 제2 세탁부(20)는, 제1 세탁부(10)와 동일하게, 제2 구동부(23)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는 제1 구동부(13)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를 포함하고, 제2 세탁부(20)는, 제1 세탁부(10)와 상이하게, 제어부(3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를 포함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는, 세탁기(1)와 관련된 각종 연산 처리를 수행하고, 세탁기(1) 또는 세탁기(1)에 설치된 각종 부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어부(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om, Micro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ling Unit) 및/또는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다른 전자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30)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또는 앱으로 지칭 가능함)을 구동시켜, 소정의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소정의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4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작성되어 저장부(4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세탁기(1)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을 통하여 획득 또는 갱신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0)는 제1 구동부(13)에 대한 제어 신호 및 제2 구동부(23)에 대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이를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여,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30)는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와 전원(49)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미도시)에 전달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와 전원(49)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전기적 연결을 절단하도록 함으로써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제1 구동부(13)에 대응하는 제1 세탁부(10) 및 제2 구동부(23)에 대응하는 제2 세탁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세탁, 헹굼 및 탈수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30)는, 상술한 제어 신호를, 기 마련된 회로, 도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또한,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세탁부(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즉,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를 수신하고,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세탁부(2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즉,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회로, 도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0)는 제1 세탁부(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세탁부(2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반대로 제2 세탁부(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세탁부(1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를 기반으로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의 유지 또는 조절을 제어하거나, 또는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기반으로 제1 세탁부(20)의 제1 구동 속도(R1)의 유지 또는 조절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선 후술한다.
저장부(40)는 제어부(3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0)는 제어부(30)의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상술한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 또는 제어부(30)의 연산 처리 또는 제어 결과 획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0)는, 제1 목표 속도, 제2 목표 속도, 제1 기준 속도 내지 제7 기준 속도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 또는 기타 고려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나, 자기 테이프나,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magneto-optical media)나, 롬(ROM), 램(RAM), SD카드,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와 관련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 받고, 또한 세탁기(1)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5)는 제1 세탁부(10)의 동작 개시에 대한 명령, 제2 세탁부(20)의 동작 개시에 대한 명령, 제1 세탁부(10)가 수행 가능한 소정의 행정, 일례로 탈수 행정 개시에 대한 명령 또는 제2 세탁부(20)가 수행 가능한 소정의 행정, 일례로 탈수 행정 개시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독립적으로 제1 세탁부(10)의 현재 동작 상태나 제2 세탁부(20)의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거나 음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원(49)은 세탁기(1)의 각 부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49)은 상용 전원일 수도 있고, 또는 세탁기(1)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 세탁부(10) 또는 제2 세탁부(20)가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세탁기의 세탁 내지 탈수 행정에서의 제1 세탁부 또는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이다. 도 2에서 x축은 시간을 y축은 회전 속도, 일례로 분당 회전수(RPM, Revolution Per Minute)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세탁부(10) 또는 제2 세탁부(2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서 세탁 행정(P1), 헹굼 행정(P2) 및 탈수 공정(P3)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5)를 조작하여 제1 세탁부(10) 또는 제2 세탁부(20)의 동작 개시 명령을 인가하면, 제1 세탁부(10) 또는 제2 세탁부(20)는 구동을 개시하여 세탁 행정(P1)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1 세탁부(10) 또는 제2 세탁부(20)는, 제1 구동 속도 또는 제2 구동 속도가 미리 정의된 패턴에 따라 가변하거나 또는 일정한 속도(Rd1)와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세탁 행정(P1)이 종료되면, 제1 세탁부(10) 또는 제2 세탁부(20)는 순차적으로 헹굼 행정(P2)을 수행할 수 있다. 헹굼 행정(P2)은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헹굼 행정(P2)이 종료되면, 제1 세탁부(10) 또는 제2 세탁부(20)는 순차적으로 탈수 행정(P3)을 수행한다. 탈수 행정(P3) 시에는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 또는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P31), 탈수에 필요한 구동 속도(Rd2)까지 증가한 후 유지된다(P32). 탈수 행정(P3)이 종료되는 경우 제1 구동 속도 또는 제2 구동 속도는 감소하여 0에 도달하게 된다(P32).
이와 같은 행정(P1 내지 P3)가 수행되는 경우, 탈수 행정(P3)에서의 평균적인 회전 속도(RM2)는 통상적으로 세탁 행정(P1)에서의 평균적인 회전 속도(RM1)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탈수 행정(P3) 시에는 제1 세탁부(10)의 제1 세탁조(11)나, 펄 세이터나, 회전봉 등 또는 제2 세탁부(20)의 제2 세탁조(21)나, 펄 세이터나, 회전봉 등은, 세탁 행정(P1) 시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황에 따라 세탁기(1) 전체의 진동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가 동시에 탈수 행정(P3)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양자 모두 높은 구동 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세탁기(1)의 진동은 더욱 커지며 이는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이와 같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속도를 다른 세탁부(10, 20)의 구동 속도를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어부(20)가 세탁기(1)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가 동시에 탈수 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상황을 기반으로 세탁기(1)가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후술하는 제어 과정은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의 동작에 따라서 진동을 발생될 수 있는 다른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0)가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을 수행하고 제2 세탁부(20)가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나, 또는 이의 반대의 경우에서도 후술하는 제어 과정은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x축은 시간을 y축은 회전 속도, 일례로 분당 회전수(RPM)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탁부(20)가 미리 정의된 패턴의 가변적인 또는 고정적인 제2 구동 속도(R2)를 기반으로 세탁 행정을 수행한 이후(G10),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서 제2 세탁부(20)는 필요에 따라 헹굼 행정을 수행하고, 제1 탈수 개시 시점(t10)에서 탈수 행정을 개시할 수 있다.
탈수 행정이 개시되면,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부(10)는 제2 세탁부(20)의 동작 개시에 선행하거나, 후행하거나, 또는 제2 세탁부(20)의 동작 개시와 동시에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제1 세탁부(10)는 미리 정의된 패턴의 가변적인 또는 고정적인 제1 구동 속도(R1)를 기반으로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G20), 이후 제2 탈수 개시 시점(t20)에서 탈수 행정(G21, G22)을 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제2 탈수 개시 시점(t20)은 제1 탈수 개시 시점(t10)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탈수 개시 시점(t2)은 제1 탈수 개시 시점(t10)보다 선행할 수도 있고 후행할 수도 있다.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가 증가하는 기간 내의 일 시점(도 3의 t11 및 도 4의 t21)에서,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가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속도(F10)와 동일하거나(G21) 또는 제1 기준 속도(F10)를 초과할 수도 있다(G22). 제1 기준 속도(F10)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다. 제1 기준 속도(F10)는, 예를 들어, 제2 기준 속도(F20)의 절반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기준 속도(F10)는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는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가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속도(F10)와 동일하거나(G21) 또는 제1 기준 속도(F10)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G22).
판단 결과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가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속도(F10)와 동일하거나(G21) 또는 제1 기준 속도(F10)를 초과하였다면(G22), 제어부(30)는,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제2 기준 속도(F20)와 비교할 수 있다. 제2 기준 속도(F20)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2 세탁부(20)가 수행 가능한 최대 구동 속도 또는 이에 근사한 속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2 기준 속도(F20)는, 예를 들어,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속도(F20)는,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이 이외에도,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선택 가능한 임의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특정 시점(t11, t21)에서의 제1 구동 속도(R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준 속도(F20)보다 낮다면, 제어부(30)는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제1 목표 속도(E10)까지 상승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2 세탁부(20)의 제2 세탁조(21), 회전조, 펄 세이터 또는 세탁봉이 제1 목표 속도(E10)로 회전할 때까지 제2 세탁조(21), 회전조, 펄 세이터 또는 세탁봉의 회전 속도가 증가된다.
제어부(30)는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제2 구동 속도(R2)가 제1 목표 속도(E1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는 제1 목표 속도(E10)가 제2 기준 속도(F20)보다 더 높게 설정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목표 속도(E1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목표 속도(E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기준 속도(F20)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기준 속도(F20)보다 더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목표 속도(E10)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2 세탁부(20)가 수행 가능한 최대 구동 속도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최대 구동 속도보다 작으나 최대 구동 속도에 근사한 속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목표 속도(E10)는,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제2 구동 속도(R2)가 제1 목표 속도(E10)에 도달한 경우라면,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가 완만하게 또는 급격히 감소되도록 제2 구동부(2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동 속도(R2)는,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에 도달할 때(t13)까지 감소될 수 있다(G11).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가 제1 목표 속도(E10)에 도달하면, 예를 들어, 제2 구동부(23)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제2 구동부(23)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동 장치(미도시)를 제어함으로써 제2 구동 속도(R2)가 감소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구동 속도(R2)를 제1 목표 속도(E10)까지 증가시킨 후, 즉시 또는 일정 시간 이내에 다시 0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은, 터치 스핀(Touch spin) 방식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세탁부(20)가 터치 스핀 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동안, 제1 세탁부(10)는 제1 기준 속도(F10)와 동일속도를 유지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제1 기준 속도(F10)를 초과한 속도(P21)로 계속해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가 터치 스핀 방식에 의해 0에 도달하기 때문에(t13), 일정 기간 동안에는 제1 세탁부(10)만이 소정의 속도로 동작하게 되고 따라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가 동시에 고속의 구동 속도로 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제거 또는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부(10)의 탈수 행정이 종료되고(t22) 이에 따라 특정 시점(t22-1, t22-2)에서 제1 구동 속도(R1)의 감소가 개시되거나, 제1 구동 속도(R1)의 감소가 진행 중이거나, 또는 특정 시점(t22-3)에서 제1 구동 속도(R1)가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에 도달하게 되면(G21, G22), 제2 세탁부(2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고 이에 따라 제2 구동 속도(R2)는 다시 증가하게 될 수 있다(G13). 제2 구동 속도(R2)의 증가 개시 시점(t13-1)은, 제1 구동 속도(R1)의 감속 개시 시점(t22-1, t22-2), 제1 구동 속도(R1)가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에 도달한 시점(t22-3) 또는 이들(t22; t22-1, t22-2, t22-3) 사이의 임의의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세탁부(20)는 필요한 탈수 행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도 5 및 도 6에서 x축은 시간을 y축은 회전 속도, 일례로 분당 회전수(RPM)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탁부(20)는 미리 정의된 패턴의 가변적인 또는 고정적인 제2 구동 속도(R2)를 기반으로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G10), 제1 탈수 개시 시점(t10)에서 탈수 행정을 개시할 수 있다. 탈수 행정이 개시되면, 제2 구동 속도(R2)는 미리 정의된 소정의 속도, 일례로 제1 목표 속도(E10)까지 상승하고, 제2 세탁부(20)는 제1 목표 속도(E10)를 유지하거나 또는 이에 근사하여 동작하게 된다. 제1 목표 속도(E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부(10)도 제2 세탁부(20)와 더불어 세탁 행정(G20)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세탁부(10)의 세탁 행정(G20)은 제2 세탁부(20)의 세탁 행정(G10) 개시에 선행하거나, 후행하거나, 또는 제2 세탁부(20)의 세탁 행정(G10) 개시와 동시에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탁부(10)는 제2 탈수 개시 시점(t20)에 탈수 행정(G23, G24)을 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탈수 개시 시점(t20)은 제1 탈수 개시 시점(t10)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제어부(30)는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제1 구동 속도(R1)를 결정하고, 아울러,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가 미리 정의된 제3 기준 속도(F21)와 동일하거나(G23) 또는 제3 기준 속도(F21)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G24). 여기서, 제3 기준 속도(F21)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정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기준 속도(F21)는,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가능하다. 제3 기준 속도(F21)는 상술한 제1 기준 속도(F10)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특정 시점(t23)에서 제1 구동 속도(R1)가 제3 기준 속도(F21)와 동일하거나(G23) 또는 제3 기준 속도(F21)를 초과하면(G24)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를 제2 기준 속도(F20)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만약 제2 구동 속도(R2)가 제2 기준 속도(F20)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기준 속도(F20)보다 더 높은 경우, 제2 세탁부(20)가 탈수 행정을 일시적으로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G15). 제2 세탁부(20)의 탈수 행정의 종료는 제2 세탁부(20)의 제1 구동부(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행 가능하다. 탈수 행정의 종료에 따라서 제2 구동 속도(R2)는 감소하게 된다(G15). 여기서, 제2 기준 속도(F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속도(F20)는 제1 목표 속도(E10)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구동 속도(R2)는,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가 미리 정의된 제3 기준 속도(F21)와 동일하거나(G23) 또는 제3 기준 속도(F21)를 초과하였다고 판단된 시점(t23)과 동일한 시점(t14)에서부터 감소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또는 판단된 시점(t14)으로부터 일정한 시간(Δt14)이 경과된 시점(t14-1)에서부터 감소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는 감소하게 된다(G15).
제2 세탁부(20)의 동작이 종료된 동안, 제1 세탁부(10)는 탈수 행정(G23, G24)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양자가 모두 탈수 행정을 수행함에 따른 진동이 제거 또는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제2 세탁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시점(t24-3)에서 탈수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세탁부(2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세탁부(20)는 제1 구동 속도(R1)의 감속 개시 시점(t24-1, t24-2), 제1 구동 속도(R1)가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에 도달한 시점(t24-3) 또는 이들(t24; t42-1, t24-2, t24-3) 사이의 임의의 시점에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속도(R2)는 증가하고(G16), 제2 세탁부(20)에 의해 잔여 탈수 행정이 수행되게 된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 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도 7 및 도 8에서 x축은 시간을 y축은 회전 속도, 일례로 분당 회전수를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탈수 개시 시점(t10) 및 제2 탈수 개시 시점(t20)에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각각 별도로 탈수 행정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탈수 개시 시점(t10) 및 제2 탈수 개시 시점(t20)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탈수 행정이 개시되면,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는 제4 기준 속도(F12)까지 상승한 후, 제4 기준 속도(F12)를 유지한다. 제4 기준 속도(F12)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기준 속도(F12)는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4 기준 속도(F12)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가능하다.
아울러,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 역시 탈수 행정의 개시에 따라서 상승하도록 제어된다.
제2 구동 속도(R2)가 제4 기준 속도(F12)로 유지된 이후, 제어부(30)는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를 결정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제어부(30)는 제1 구동 속도(R1)와 미리 정의된 제5 기준 속도(F22)와의 비교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5 기준 속도(F22)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기준 속도(F22)는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5 기준 속도(F22)는 제4 기준 속도(F12)와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비교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속도(R1)가 판단 시점(t25)에서 제5 기준 속도(F22)와 같거나 또는 작은 경우라면(G26), 제2 구동 속도(R2)는 제2 목표 속도(E11) 또는 이에 근사한 속도까지 상승 조절된다(G17). 여기서, 제2 목표 속도(E11)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2 세탁부(20)가 수행 가능한 최대 구동 속도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최대 구동 속도보다 작으나 최대 구동 속도에 근사한 속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목표 속도(E10)는,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목표 속도(E11)는, 상술한 제1 목표 속도(E10)와 동일하게 정의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가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 동안 제2 목표 속도(E11)를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예를 들어 1분, 2분 또는 기타 임의적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별도로 내장된 클락 등을 이용하여 기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이 경과되면,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가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가 제4 기준 속도(F12) 또는 이에 근사한 값이 되도록 제2 구동부(2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속도(R1)가 판단 시점(t25)에서 제5 기준 속도(F22)를 초과하는 경우라면(G25), 제2 세탁부(20)는 제2 구동 속도(R2)가 유지되도록 제어된다(G18).
제2 구동 속도(R2)가 제4 기준 속도(F12)를 유지한 이후 미리 정의된 판단 유예 기간(Δt16)이 경과되면, 제어부(30)는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 유예 기간(Δt16)은 설계자, 사용자 또는 제어부(30)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판단 유예 기간(Δt16)은, 예를 들어 3초, 10초, 1분 또는 기타 정의 가능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 유예 기간(Δt16)은 가변적일 수도 있고, 또는 고정적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가 제4 기준 속도(F12)를 유지한 이후 임의적인 시점에 제1 피드백 신호 생성부(19-1), 제1 구동부 동작 감지부(19-2) 및 제1 세탁조 동작 감지부(1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를 다시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새로 결정된 제1 구동 속도(R1)를 다시 제5 기준 속도(F22)와 비교한다. 만약 판단 유예 기간(Δt16)이 경과된 시점(t16-1, t25-1)에서도 여전히 제1 구동 속도(R1)가 제5 기준 속도(F22)를 초과하는 경우라면(G25), 제2 세탁부(20)는 제2 구동 속도(R2)가 유지되도록 제어된다(G18-1).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공정 종료 등의 이유로 판단 유예 기간(Δt16)이 경과된 시점(t16-1, t25-1)에서 제1 구동 속도(R1)가 제5 기준 속도(F22)와 같거나 또는 제5 기준 속도(F22)보다 작아졌다고 판단된다면(G25-1), 제2 구동 속도(R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목표 속도(E11)까지 상승 조절된다(G17-1).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제2 구동 속도(R2)가 제2 목표 속도(E11)가 유지되도록 제어부(30)는 제2 세탁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기간이 경과되면, 제2 구동 속도(R2)는 감소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구동 속도(R2)는 제4 기준 속도(F12)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속도(R1)의 판단 및 이에 따른 제2 구동 속도(R2)의 조절 제어 과정을,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적인 시점에 수행할 수 있으며, 탈수 행정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세탁부(10)의 속도(R1)에 따라서, 제2 세탁부(20)의 속도(R2)는 제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 구동 속도(R1)가 일정한 기준(제5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구동 속도(R2)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제1 구동 속도(R1)가 일정한 기준에 미달한 경우에는 제2 구동 속도(R2)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의 동시 동작에 따른 진동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 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조의 회전 속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도 9 및 도 10의 x축은 시간을 y축은 회전 속도, 일례로 분당 회전수를 의미한다.
상술한 과정은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기반으로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를 조절하는 과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는 각각 별도로 탈수 개시 시점(t10, t20)에서 탈수 행정을 개시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수 행정이 개시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는 탈수 행정의 개시에 따라서 소정의 패턴으로 상승하고,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기준 속도(F23)까지 상승한 후, 제6 기준 속도(F23)를 유지하게 된다. 제6 기준 속도(F23)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 가능하다. 제6 기준 속도(F23)는 제4 기준 속도(F12)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제1 구동 속도(R1)가 제6 기준 속도(F23)을 유지하는 동안, 제어부(30)는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결정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를 제7 기준 속도(F13)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 속도(R2)가 판단 시점(t17, t26)에서 제7 기준 속도(F13)와 같거나 또는 제7 기준 속보(F13)보다 작다면(G19-2), 제어부(30)는 제1 세탁부(10)를 제어하여, 제1 구동 속도(R1)가 제3 목표 속도(E21) 또는 이에 근사한 속도까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G27). 여기서, 제3 목표 속도(E21)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목표 속도(E21)는, 제1 세탁부(10)가 수행 가능한 최대 구동 속도로 정의될 수도 있고, 또는 최대 구동 속도보다 작으나 최대 구동 속도에 근사한 속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3 목표 속도(E21)는, 예를 들어,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목표 속도(E21)는, 상술한 제1 목표 속도(E10) 및 제2 목표 속도(E11)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 속도(R1)는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 동안 제3 목표 속도(E21)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예를 들어 1분, 2분 또는 기타 임의적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이 경과되면, 제1 구동 속도(R1)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감소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6 기준 속도(F23)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하강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 속도(R2)가 판단 시점(t17, t26)에서 제7 기준 속도(F22)를 초과하는 경우라면(G19),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는 제6 기준 속도(F23)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G28).
제1 구동 속도(R1)가 제6 기준 속도(F23)로 유지된 후, 판단 유예 기간(Δt26)이 경과되면, 제어부(30)는 다시 제2 피드백 신호 생성부(29-1), 제2 구동부 동작 감지부(29-2) 및 제2 세탁조 동작 감지부(29-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제2 세탁부(20)의 제2 구동 속도(R2)를 다시 결정하고, 이를 제7 기준 속도(F13)과 다시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 유예 기간(Δt26)은, 상술한 판단 유예 기간(Δt16)과 동일하게,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비교 결과, 판단 유예 기간(Δt26)이 경과된 시점(t17-1, t26-1)에서 제2 구동 속도(R2)가 제7 기준 속도(F13)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G19), 제1 세탁부(10)의 제1 구동 속도(R1)는 계속해서 제6 기준 속도(F23)로 유지된다(G28-1).
반대로 판단 유예 기간(Δt26)이 경과된 시점(t17-1, t26-1)에서 제2 구동 속도(R2)가 제7 기준 속도(F13)와 동일하나 또는 제7 기준 속도(F13)보다 작다고 판단되었다면(G19-1), 제1 구동 속도(R1)는 제3 목표 속도(E21)까지 상승된다(G27-1). 이 경우, 제1 구동 속도(R1)는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 동안 제3 목표 속도(E21)로 유지되고, 유지 기간이 경과되면, 미리 정의된 속도, 일례로 제6 기준 속도(F23)까지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적 시점에 수행될 수 있으며, 탈수 행정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반복 수행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0)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제2 구동 속도(R2)의 제어 과정 및 도 9 및 도 10에 따른 제1 구동 속도(R1)의 제어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제1 구동 속도(R1) 및 제2 구동 속도(R2)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제1 구동 속도(R1) 및 제2 구동 속도(R2) 중 어느 하나가 먼저 기준 속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도 7 및 도 8에 따른 제2 구동 속도(R2)의 제어 과정 및 도 9 및 도 10에 따른 제1 구동 속도(R1)의 제어 과정 중 어느 제어 과정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제2 구동 속도(R2)가 제1 구동 속도(R1)보다 먼저 제4 기준 속도(F12)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1 구동 속도(R1)를 기반으로 제2 구동 속도(R2)를 조절할 것을 결정하고, 반대로 제1 구동 속도(R1)가 제2 구동 속도(R2)보다 먼저 제6 기준 속도(F23)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2 구동 속도(R2)를 기반으로 제1 구동 속도(R1)를 조절하도록 결정하고, 결정된 바에 따라서 제1 세탁부(10) 및 제2 세탁부(2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세탁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세탁기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6)는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제3 세탁부(50)와,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제4 세탁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또는 상호 의존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시에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는 각각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두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각각의 행정은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세탁부(50)에 의해 수행 가능한 행정과 제4 세탁부(60)에 의해 수행 가능한 행정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부는 동일하고 일부는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시점에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에 의해 수행되는 행정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각각 동일한 행정을 대략 동시에 개시한 경우, 개시된 행정을 동일한 시점에 종료할 수도 있고 또는 상호 상이한 시간에 종료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종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서로 동종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드럼 방식, 와류식 및 교반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항 방식이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에 채용 가능하다.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측면에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배치 가능하다.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 및 조립된 것일 수도 있다.
제3 세탁부(50)는 제3 구동 속도(R1)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하고, 또한 제4 세탁부(60)는 제4 구동 속도(R2)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각각의 구동 속도(R1, R2)는, 세탁조(51, 61)의 회전 속도, 세탁조(51, 61)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펄 세이터(미도시)의 회전 속도, 세탁조(51, 61) 내에 설치되고 봉 형상으로 형성된 세탁봉(미도시)의 회전 속도 및 구동부(53, 6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는 세탁기(2)가 오직 두 대의 세탁부(50, 60)를 포함하는 실시예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세탁부(50, 60)의 개수는 오직 하나일 수도 있고, 또는 셋 이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세탁부(50)는, 세탁물이 투입되고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수행되는 제3 세탁조(51)와, 제3 세탁조(51) 또는 제3 세탁조(51)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들에 요구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53)를 포함하고, 제4 세탁부(60)는, 세탁물이 투입되고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수행되는 제4 세탁조(61)와, 제4 세탁조(61) 또는 제4 세탁조(61)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들에 요구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4 구동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동부(53) 및 제4 구동부(63)는, 제1 구동부(13) 및 제2 구동부(23)와 동일하게 소정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3 세탁조(51), 제4 세탁조(61), 제3 구동부(53) 및 제4 구동부(63)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세탁조(11), 제4 세탁조(21), 제3 구동부(13) 및 제4 구동부(23)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3 세탁부(50)는 제3 구동부(53)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및 제3 세탁조(11) 내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세탁부(50)는 제3 세탁조(51)에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를 공급하는 제1 세탁수 공급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4 세탁부(60)는 제4 구동부(63)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 및 제4 세탁조(61) 내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4 세탁부(60)는 제4 세탁조(61)에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를 공급하는 제2 세탁수 공급부(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는, 제3 구동부(53)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는 제3 구동부(53)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 속도 센서,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 장치 및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측정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속도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코미터나, 엔코더나, 또는 톱니 바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구동부(59)의 구동축(예를 들어 도 27의 241)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전압 측정 장치는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압 측정 회로나 또는 전압계 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압 측정 장치는 전원(89)과 제3 구동부(5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나 도선에 설치되어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압 측정 장치는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측정 장치는 직류 링크 회로(DC link circuit)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전류 측정 장치는 직류 전류 또는 교류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정의 전류 측정 회로나 또는 전류계 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전류 측정 장치는 전원(89)과 제3 구동부(5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나 도선에 설치되어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측정 결과는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제어부(7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류 측정 장치는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는 피드백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제3 구동부(53)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는, 제4 구동부(63)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와 동일하게,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4 구동부(63)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 속도 센서, 제4 구동부(6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 장치 및 제4 구동부(63)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측정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및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 적어도 하나는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세탁기(20)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는, 제3 세탁조(51)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는, 회동 또는 교반 동작을 하는 동안 제3 세탁조(51)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면,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출력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일렉트로 기계적 시스템 센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일렉트로 기계적 시스템 센서는, 압저항(piezo-resisitive)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는, 압전 가속도 방식의 진동 센서나 외팔보 진동 방식의 진동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진동 센서가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를 위해 이용 가능하다.
도 12는 세탁조에 설치된 감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1)는 제3 세탁조(51)에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1)는, 예를 들어, 제3 세탁조(51)의 측면이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1)는 세탁 공간이 마련된 제3 세탁조(51)의 내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세탁조(51)의 외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1)는, 제3 구동부(53)의 동작에 의해 제3 구동부(53)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지 않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덜 감지하면서 동시에 제3 세탁조(51)의 상하 진동을 보다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제3 세탁조(51)의 경계 또는 그 주변에 제3 구동부(53)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는 제4 세탁조(52)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는, 제4 세탁조(52)가 회동 또는 교반 동작을 하는 동안 제4 세탁조(52)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출력하여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는, 상술한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와 동일하게 마이크로 일렉트로 기계적 시스템 센서, 압전 가속도 방식의 진동 센서 또는 외팔보 진동 방식의 진동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세탁조(61)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3 세탁조(51)의 측면이나 저면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및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는 서로 동종의 진동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이종의 진동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및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 중 어느 하나는 생략 가능하다.
제1 세탁수 공급부(58)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세탁조(51)의 내측에 마련된 세탁 공간으로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를 필요한 수준으로 공급하고, 제2 세탁수 공급부(68)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서, 제2 세탁조(61) 내측의 세탁 공간으로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를 필요한 수준으로 공급 가능하게 마련된다.
세탁수 공급부(58, 68)는, 예를 들어, 외부의 수원과 연결되는 배관과, 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 공간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을 세탁조(51, 61)로 펌핑하는 펌프와, 세탁수가 유동 가능하도록 저장 공간과 세탁조(51, 61)를 연결하는 배관과, 배관에 형성되어 세탁조(51, 61)에 세탁수가 공급되거나 또는 세탁조(51, 61)에 대한 세탁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 중 일부는 설계자에 의해 생략 가능하다. 또한, 세탁수 공급부(58, 68)는 이들 구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더 다양한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2)는 각각의 세탁조(51, 61)마다 별도의 세탁수 공급부(58, 6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세탁수 공급부(58, 68)는 상호 독립적으로 각각의 세탁조(51, 61)에 세탁수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2)는 세탁조(51, 61)에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하나의 세탁수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탁수 공급부와 각각의 세탁조(51, 61) 사이에 설치되고 세탁수가 유동하는 배관에는 밸브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특정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기(2)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처리를 수행하고, 세탁기(2) 또는 세탁기(2)에 설치된 각종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어부(7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마이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전자 제어 유닛 및/또는 기타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다른 전자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저장부(8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미리 정의된 연산, 판단, 처리 및/또는 제어 동작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8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작성되어 저장부(8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세탁기(2)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을 통하여 획득 또는 갱신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및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3 세탁부(50)에서 진동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및/또는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 및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4 세탁부(60)에서 진동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제3 구동부(53)에 대한 제어 신호 및 제4 구동부(63)에 대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부품, 즉 제3 구동부(53) 및 제4 구동부(63)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구동부(13) 및 제4 구동부(23)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세탁부(10) 및 제4 세탁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세탁, 헹굼 및 탈수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70)는, 회로, 도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술한 각종 부품들과 데이터나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69-1) 및/또는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69-2)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진동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51, 61) 내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제3 구동부(13) 및/또는 제4 구동부(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후술한다.
저장부(80)는 제어부(7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80)는 제어부(70)의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상술한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 또는 제어부(70)의 연산 처리 또는 제어 결과 획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80)는 후술하는 진동 감지 회수에 대한 기준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80)는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나, 자기 테이프나, 광 기록 매체나, 자기-광 기록 매체나, 반도체 저장 메체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5)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2)와 관련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 받고, 또한 세탁기(2)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5)는 제3 세탁부(50) 및/또는 제4 세탁부(6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제3 세탁부(50) 및/또는 제4 세탁부(20)에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89)은 세탁기(2)의 각 부품, 일례로 제3 구동부(53) 또는 제4 구동부(63)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89)은 상용 전원 및/또는 세탁기(2)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세탁조 내에 불균형이 발생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세탁조(51) 및 제4 세탁조(61)는 각각 제3 구동부(53) 및 제4 구동부(63)의 구동에 따라서 회동하여 제3 세탁조(51) 및 제4 세탁조(61)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할 수 있다. 제3 세탁조(51) 또는 제4 세탁조(61)가 세탁 또는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3 세탁조(51) 또는 제4 세탁조(61)에 투입된 세탁물(C10; C11, C12, C13)은 제3 세탁조(51) 또는 제4 세탁조(61) 내에서 유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3 세탁조(51) 또는 제4 세탁조(61)는 회전 또는 교반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3 세탁조(51) 또는 제4 세탁조(61) 내의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수류를 발생시키고, 세탁물(C10; C11, C12, C13)은 수류에 의해 유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C10; C11, C12, C13)은 세탁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유동하는 세탁물(C10; C11, C12, C13)은 다양한 이유로 엉키거나 뭉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많은 양의 세탁물(C10; C11, C12, C13)이 특정한 구역이나 위치에 집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물(C10; C11, C12, C13)이 특정한 구역이나 위치에 집중되면, 불균형이 형성된다. 불균형은 세탁물(C10; C11, C12, C13)이 투입된 제3 세탁조(51) 또는 제4 세탁조(61)의 과진동을 야기하고 이에 따른 소음 및 부품의 훼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행정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균형은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69-1) 및/또는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69-2)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70)는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불균형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부(70)는 이와 같은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도록 세탁기(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70)는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69-1)에 의해 감지되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 구동부(53, 63)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기반으로 불균형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세탁조 내에 불균형이 발생된 경우 구동부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목표 회전 속도(R11)까지 증가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목표 회전 속도(R11)로 유지되고(t10 내지 t11, t12 내지 t13, t14 내지 t15), 다시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감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유지되는 것(t11 내지 t12, t13 내지 t14)을 반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L11, L11-1, L11-3).
만약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51, 61) 내에 불균형이 발생하면, 집중된 세탁물(C10; C11, C12, C13)에 의해 구동부(53, 63)에 인가되는 부하가 증가하게 되어, 구동부(53, 63)에 동일한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된다고 하더라도,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목표 회전 속도(R1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 속도(R12)까지만 증가하게 된다(L12, L12-1, L12-3). 다시 말해서,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가 예상하는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저하된다.
제어부(70)는, 이와 같이 불균형 발생 시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됨을 이용하여 불균형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만약 제3 구동부(53)에 대응하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가 회전 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70)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로부터 전달되는 제3 구동부(53)의 회전 속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회전 속도(예를 들어, 목표 회전 속도(R11), 이에 근사한 회전 속도 또는 불균형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 설계자에 의해 이론적 또는 실험적/경험적으로 정의 가능한 회전 속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3 구동부(53)의 회전 속도가 기준 회전 속도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기준 회전 속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3 구동부(53)에 대응하는 제3 세탁조(51)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3 구동부(53)의 회전 속도가 기준 회전 속도와 큰 경우에는 제3 구동부(53)에 대응하는 제3 세탁조(51)에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4 구동부(63)에 대응하는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가 회전 속도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70)는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로부터 전달되는 제4 구동부(63)의 회전 속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회전 속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4 구동부(63)에 대응하는 제4 세탁조(61)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가 전압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면, 제어부(70)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불균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제3 세탁조(51) 내에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면 이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부하가 증가하게 되므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측정된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한다면 제3 세탁조(51)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반대로 측정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미달한다면 제3 세탁조(51)에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70)는,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가 전압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된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4 세탁조(61)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가 전류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면, 제어부(70)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불균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압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3 세탁조(51) 내에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면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제어부(70)를 이를 기반으로 불균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기준 전류와 비교하고, 측정 전류가 기준 전류를 초과하면 제3 세탁조(51)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반대로 측정된 전류가 기준 전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3 세탁조(51)에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70)는,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가 전류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로부터 전달되는 측정 전류를 기준 전류와 비교하여 제4 세탁조(61)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70)는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69-2)에 의해 감지되는 세탁조(51, 61)의 진동을 이용하여 세탁조(51, 61) 내에 불균형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불균형이 발생되면 세탁조(51, 61)의 진동이 통상적인 경우보다 증가한다. 제어부(70)는 이와 같이 세탁조(51, 61)의 진동의 증가를 기반으로 불균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69-2)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크기가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진동은 이론적 또는 경험적/실험적으로 정의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기준 진동과 비교하여, 제3 세탁조(51)의 불균형 발생 여부를 판단하거나, 및/또는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각각 기준 진동과 비교하여, 제4 세탁조(61)의 불균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3 세탁조(51)의 불균형 발생 여부 및 제4 세탁조(61)의 불균형 발생 여부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감지된 진동의 크기가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과 동일하거나 및/또는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70)는 이에 응하여 불균형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감지된 진동의 크기가 미리 정의된 기준 값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70)는 세탁조(51, 61) 내에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은 설계자의 경험이나 실험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가능하다. 또한,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은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69-2)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70)는,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69-2)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크기와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의 비교 결과와, 감지되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와 미리 정의된 기준 회전 속도와의 비교 결과를 함께 이용하여 불균형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 대신에 구동부(53, 6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및/또는 구동부(53, 63)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더 이용하여 불균형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불균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는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부(50, 60)에 의해 수행되던 동작 방식(이하 제1 동작 프로파일)을 미리 정의된 다른 동작 방식(이하 제2 동작 프로파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세탁수 공급부(58, 68)을 제어하여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51, 61)에 추가적인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51, 53) 또는 대응하는 구동부(53, 63)의 동작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부(50, 60)가 제2 동작 프로파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제2 동작 프로파일의 구체적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세탁조 내의 수위를 변경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제3 도이고, 도 16은 세탁조 내의 수위를 변경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제4 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세탁조(51, 61) 내의 수위(WL1, WL2)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2)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50, 60)가 제1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수 공급부(58, 68)를 제어하여 소정 수위(WL1, 이하 제1 수위)까지의 세탁수가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에 공급되도록 한다. 만약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들(c21)이 세탁조(51, 61)의 일 구역에 밀집되어 세탁조(51, 61) 내에 불균형이 발생된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WL2, 이하 제2 수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면, 세탁물(c21)들은 세탁수의 증가에 따라 유동하고 세탁물들(c21a, c21b, c21c)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들(c21a, c21b, c21c) 사이의 응집력은 약화되고 불균형이 해소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어부(70)는 세탁조(51, 61) 내에 불균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술한 실시예의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부(50, 6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세탁조 내의 제1 수위(WL1)를 상대적으로 상승시켜 제2 수위(WL2)로 변경시킴으로써 세탁조(51, 61) 내에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수위(WL2)는 설계자에 의해 세탁조(51, 61) 내의 불균형의 해소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정도의 수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위(WL2)는 만수위를 포함 가능하다.
도 17은 구동부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제3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동작 프로파일은,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51, 61) 또는 이에 대응하는 구동부(53, 63)의 목표 회전 속도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프로 파일이 설정된 목표 회전 속도(R21, 이하 제1 목표 회전 속도)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L21, L21-1, L21-2)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동작 프로파일은 목표 회전 속도(R22, 이하 제2 목표 회전 속도)를 기 설정된 제1 목표 회전 속도(R21)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변경 설정하여, 제2 목표 회전 속도(R22)에 따라서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L22, L22-1, L2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제2 목표 회전 속도(R22)까지 증가한다(t20 내지 t21, t26 내지 t27, t29 이후). 만약 동일한 가속도로 회전 속도가 증가한다면, 제1 목표 회전 속도(R21)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제2 목표 회전 속도(R22)에 도달하게 된다(t21, t22).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일정 시점(t23, t28)까지 등속 동작한 후,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감속한다(t23 내지 t24). 만약 제1 목표 회전 속도(R21)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L21)와 동일한 시점(t23)에 감속이 개시된다면, 제2 목표 회전 속도(R22)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L22)에는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에 도달하게 된다(t24, t25). 제2 목표 회전 속도(R22)까지의 증가 및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의 감소는 미리 정의된 시점(t26 내지 t26)마다 반복될 수 있다(L22, L22-1, L22-2). 원심력은 각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이와 같이 제2 목표 회전 속도(R22)가 제1 목표 회전 속도(R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면 원심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c10; c11, c12, c13)의 응집이 해소되고 이에 따라 불균형 역시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구동부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제4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동작 프로파일은,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51, 61) 또는 이에 대응하는 구동부(53, 63)의 회전 가속도 및/또는 회전 감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프로 파일은 설정된 회전 가속도(a11, 이하 제1 회전 가속도)에 따라서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 속도(R31)까지 증가하거나, 및/또는 설정된 회전 감속도(d11, 이하 제1 회전 감속도)에 따라서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가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감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제1 회전 가속도(a1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 가속도(a12, 이하 제2 회전 가속도)에 따라서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 속도(R31)까지 증가하는 것 및/또는 제1 회전 감속도(d1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 감속도(d12, 이하 제2 회전 감속도, 높은 회전 감속도는 회전 감속도의 절대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의미한다)에 따라서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가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감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L31, L31-1, L31-2).
구체적으로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제1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t30 내지 t31)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목표 회전 속도(R31)까지 증가한다(t30 내지 t32).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일정 시점(t32 내지 t33)까지 등속 동작한다. 이후, 세탁조(51, 61) 또는 구동부(53, 63)의 회전 속도는, 제1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t34)보다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감속하게 된다(t33). 제2 동작 프로파일의 경우에도, 목표 회전 속도(R31)까지의 증가 및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의 감소는 반복될 수 있다(L32, L32-1, L32-2). 원심력은 각가속도에 비례하므로, 가속도가 낮아지거나 감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원심력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물(c10; c11, c12, c13)의 응집에 기인한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8에는 회전 가속도 및 회전 감속도를 모두 변경시키는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2 동작 프로파일은 회전 가속도를 변경하는 것만(즉, 제1 회전 감속도와 제2 회전 감속도는 동일함)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회전 감속도를 변경하는 것만(즉, 제1 회전 가속도와 제2 회전 가속도는 동일함)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구동부의 운전율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동작 프로파일은,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51, 61) 또는 이에 대응하는 구동부(53, 63)의 운전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율은 전체 동작 시간에 대한 구동부(53, 63)가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운전율은 구동부(53, 63)의 능동 동작 기간(Pon1 또는 Pon2)을 전체 기간(Pon1+Poff1 또는 Pon2+Poff2)으로 나눈 값(Pon1/(Pon1+Poff1) 또는 Pon2/(Pon2+Poff2))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2 동작 프로파일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프로파일에서의 운전율(Pon1/(Pon1+Poff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운전율(Pon2/(Pon2+Poff2))로 구동부(53, 63)가 동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t40 내지 t44, t46 내지 t48) 동안 회전 속도의 증가 및 유지가 수행되나(L41, L41-1), 제2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t40 내지 t42, t46 내지 t47) 동안 회전 속도의 증가 및 유지가 수행된다(L42, L42-1). 이 경우, 제1 동작 프로파일에 따른 목표 회전 속도와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른 목표 회전 속도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R41),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t44 내지 t46, t48 내지 t49) 동안 회전 속도의 감소 및 유지(즉, 실질적으로 정지)가 수행되나(L41, L41-1), 제2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기간(t42 내지 t46, t47 내지 t49) 동안 회전 속도의 감소 및 유지가 수행되게 된다(L42, L42-1).
이와 같이 운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도, 세탁물(C10; C11, C12, C13)에 원심력이 상대적으로 덜 인가되므로, 세탁물(C10; C11, C12, C13)의 응집은 해소되고 이에 따라 세탁조(51, 61)의 불균형 역시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구동부의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제2 동작 프로파일은,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51, 61) 또는 이에 대응하는 구동부(53, 63)의 동작 기간(ON period) 및/또는 정지 기간(OFF period)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동작 프로 파일은 미리 정의된 동작 기간(Pon11, Pon12, 이하 제1 동작 기간) 및/또는 미리 정의된 정지 기간(Poff11, Poff12, 이제 제1 정지 기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L51), 제1 동작 기간(Pon11, Pon12) 동안에는 구동부(53, 63)가 능동적으로 동작하고(가속 및 높은 회전 속도(R51)의 유지), 제1 정지 기간(Poff11, Poff12) 동안에는 구동부(53, 63)가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감속 및 낮은 회전 속도, 일례로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의 유지).
제2 동작 프로파일의 동작 기간(Pon21, Pon22, Pon23, 이하 제2 동작 기간)은, 제1 동작 프로파일의 제1 동작 기간(Pon11, Pon12)보다 상대적으로 단축되어 정의되거나, 및/또는 제2 동작 프로 파일의 정지 기간(Poff21, Poff22, Poff23, 이하 제2 정지 기간)은 제1 동작 프로파일의 제1 정지 기간(Poff11, Poff12)보다 상대적으로 상대적으로 단축되어 정의될 수 있다(L52). 다시 말해서,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구동부(53, 63)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Pon21, Pon22, Pon23)동안 능동적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Poff21, Poff22, Poff23) 동안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동작 기간 및/또는 제2 정지 기간을 기반으로 구동부(53, 63)가 동작하는 경우, 제1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보다 동시간 동안 구동부(53, 63)는 더 자주 동작 개시 및 중단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물(C10; C11, C12, C13)은 상대적으로 덜 모이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C10; C11, C12, C13)의 응집은 해소되고 세탁조(51, 61)의 불균형도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20에서는 제2 동작 프로파일이 포함 가능한 동작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이들 실시예 중 어느 하나만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실시예 중에서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이들 실시예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세탁수의 수위를 높이는 것과, 목표 회전 속도를 낮추는 것과, 운전율을 낮추는 것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상술한 실시예의 다양한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제1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도중 불균형이 발생된 경우에 동작 프로파일을 변경하여 제2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세탁기(2)가 제어되는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1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세탁기(2)의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동작 프로파일(s10)에 따라서 동작하게 된다. 제1 동작 프로파일(s10)은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11, s12, s13)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11, s12, s13)은,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예를 들어, 회전 속도의 적어도 일 회의 증가, 유지 및/또는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세탁조(51, 61)의 진동의 감지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3 세탁부(50)의 제3 세탁조(51) 및 제4 세탁부(60)의 제4 세탁조(61) 중 적어도 하나에 불균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v1), 제어부(7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동작 프로파일(s10)을 제2 동작 프로파일(s20)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동작 프로파일(s20)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21 내지 s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동작 패턴(s21 내지 s24)은, 상술한 수위 변경, 제2 목표 회전 속도의 변경, 운전율의 변경, 회전 가속도의 변경, 회전 감속도의 변경 및 동작 기간 및/또는 정지 기간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제1 동작 프로파일(s10)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11, s12, s13)을 변경하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프로파일이 제2 동작 프로파일로 변경된 경우,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변경된 제2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2는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2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어부(70)는, 세탁기(2)의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동작 프로파일(s30)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도중, 상술한 세탁조(51, 61)의 진동의 감지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3 세탁부(50)의 제3 세탁조(51) 및 제4 세탁부(60)의 제4 세탁조(61) 중 적어도 하나에 불균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v2). 이 경우, 제어부(70)는, 판단된 시점 또는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시점이 경과된 시점(ts)에 제1 동작 프로파일(s30)을 제2 동작 프로파일(s40)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1 동작 프로파일(s30)은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31, s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작 프로파일(s40)은 수위 변경, 제2 목표 회전 속도의 변경, 운전율의 변경, 회전 가속도의 변경, 회전 감속도의 변경 및 동작 기간 및/또는 정지 기간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41 내지 s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프로파일(s30)이 제2 동작 프로파일(s40)로 변경되고, 제2 동작 프로파일(40)에 따라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 이후 미리 정의된 기준 기간(ts 내지 tr)이 경과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70)는 제2 동작 프로파일(s40)을 기반으로 한 제어를 중단하고, 새로운 동작 프로파일(s50)을 기반으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의된 기준 기간(ts 내지 tr)은 제2 동작 프로파일(s40)을 기반으로 한 동작에 의해 불균형이 어느 정도 또는 충분히 해소될 수 있는 기간을 포함한다. 불균형이 어느 정도 또는 충분히 해소될 수 있는 기간은, 이론 또는 경험/실험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동작 프로파일(s40)의 정의 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새로운 동작 프로파일(s50)은 제1 동작 프로파일(s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2)가 제어되는 경우, 불균형이 해소된 이후에도 제2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지 않게 되므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3은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3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70)는, 세탁기(2)의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동작 프로파일(s60)을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세탁조(51, 61)의 진동의 감지 등에 따라서 제3 세탁부(50)의 제3 세탁조(51) 및 제4 세탁부(60)의 제4 세탁조(61) 중 적어도 하나에 불균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v3), 제어부(70)는 제1 동작 프로파일(s60)을 제2 동작 프로파일(s70)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동작 프로파일(s60)은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61, s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동작 프로파일(s70)은 수위 변경, 제2 목표 회전 속도의 변경, 운전율의 변경, 회전 가속도의 변경, 회전 감속도의 변경 및 동작 기간 및/또는 정지 기간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71 내지 s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프로파일(s30)이 제2 동작 프로파일(s40)로 변경된 이후에도, 제어부(70)는 지속적으로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 및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9-1) 및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69-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판단한 결과, 제3 세탁조(51) 및 제4 세탁조(61)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불균형이 해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제2 동작 프로파일(s70)을 기반으로 한 제어를 중단하고, 새로운 동작 프로파일(s80)을 기반으로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새로운 동작 프로파일(80)은 기존에 이용되던 제1 동작 프로파일(s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불균형의 해소된 이후에 제2 동작 프로파일 대신에 상대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동작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3 세탁부(50) 및 제4 세탁부(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더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세탁조 내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의 제4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어부(70)는 복수 회수로 세탁조(51, 61)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감지한 경우(V11, V12, V13)에 제1 동작 프로파일(s100, s110, s120)을 제2 동작 프로파일(s130)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제1 동작 프로파일(s110)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가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1 동작 프로파일(s110)은 적어도 하나의 패턴(s101 내지 s103)을 포함 가능하다.
만약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의 진동이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및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59-3)에 의해 감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53, 63)의 목표 회전 속도가 요구하는 목표 회전 속도보다 낮게 측정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53, 63)에 인가되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53, 63) 또는 직류 링크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될 수 있다(V11). 이 경우, 제어부(70)는 상술한 바와 상이하게 바로 제2 동작 프로파일을 호출하지 않고, 불균형 발생 여부를 카운트하고, 계속해서 세탁조(51, 61)를 감지 또는 측정 전과 동일하게 제1 동작 프로파일(s110, s120)를 기반으로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불균형 발생 여부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제어부(70)는 불균형 발생을 계수하기 위한 카운트 변수를 별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동작 프로파일(s110, s120)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111 내지 s113, s121 내지 s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프로파일(s110, s120)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불균형의 발생에 대응되는 결과가 제3 구동부 동작 감지부(59-1), 제4 구동부 동작 감지부(60-1), 제3 세탁조 동작 감지부(59-2) 및 제4 세탁조 동작 감지부(59-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달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이에 응하여 불균형 발생 여부를 계속해서 계수한 후, 계수 결과가 미리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카운트 변수에 1을 더하고, 1을 더한 카운트 변수를 기 정의된 카운트 기준 값과 비교할 수 있다. 카운트 기준 값은, 예를 들어, 3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다.
만약 카운트 변수가 카운트 기준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카운트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제어부(70)는 불균형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동작 프로파일(s120)을 제2 동작 프로파일(s130)으로 변경하고, 제2 동작 프로파일(130)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한다. 제2 동작 프로파일(s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패턴(s131 내지 s134)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카운트 변수가 카운트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라면, 제어부(70)는 불균형이 아직 발생되지 않았거나 또는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른 동작은 아직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기존의 제1 동작 프로파일(s120)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한다.
제2 동작 프로파일(s130)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70)는 실시예에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이 모두 종료될 때까지 제2 동작 프로 파일(s130)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할 수도 있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만 제2 동작 프로 파일(s130)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았다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동작 프로파일(s130)을 기반으로 한 제어를 중단하고 새로운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준 회수 이상 불균형의 발생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제어부(70)는 계속해서 제1 동작 프로파일(s100 내지 s120)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51, 6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감지부(59-1, 59-2, 69-1, 69-2)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불균형이 아닌 다른 이유로 진동이 발생되거나 목표 회전 속도에 미달하게 되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제2 동작 프로파일(s130)에 의해 세탁기(2)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5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가 적용된 복수의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세탁부(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0)는, 제1 세탁 공간(215)이 마련되는 제1 세탁부(110)와, 제2 세탁 공간(315)이 마련되는 제2 세탁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에는 세탁기(100)가 오직 두 개의 세탁부(110, 12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하나의 세탁기(100)가 셋 이상의 세탁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세탁부(110)와 제2 세탁부(120)를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세탁부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세탁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110)는 제1 세탁 공간(315)의 상부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탑 로딩 방식으로 구현되고, 제2 세탁부(120)는 제2 세탁 공간(215)의 전방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프런트 로딩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서, 제1 세탁부(110)는 프런트 로딩 방식으로 구현되고, 제2 세탁부(120)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제1 세탁부(110) 및 제2 세탁부(120)가 모두 프런트 로딩 방식 또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세탁부(110)와 제2 세탁부(120)는,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또한 이와 상이하게 상호 수평 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세탁부(110)와 제2 세탁부(120)는,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세탁부(110)와 제2 세탁부(120)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1 세탁부(110)와 제2 세탁부(12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설계자, 제조자, 공급업자, 소비자 또는 기타 세탁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결합 및 조립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10)는, 내부에 제1 세탁 공간(215)이 형성되는 제1 세탁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조(21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조(210)는 세탁기(100) 내에 개방된 일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 투입을 위한 개구(214)는, 제1 세탁조(210)에는 전방에 마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제1 세탁조(21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는, 예를 들어, 드럼 또는 드럼 세탁기로 지칭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세탁조(210)의 외주면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제1 통공(21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세탁조(210)의 내주면에는 제1 세탁조(21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13)가 설치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세탁조(210)의 전방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제1 세탁조(2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밸런서(212)가 장착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10)는 내부에 제1 세탁조(210)를 수용하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1 터브(2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터브(22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개방된 일면은 제1 세탁조(210)의 개구(214)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 일례로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터브(220)에는 전방에 세탁물 투입을 위한 개구(223)가 형성된다.
제1 세탁부(110)는 내부에 제1 세탁조(210) 및 제1 터브(220)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하우징(230)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제1 하우징(23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측판(231)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1 후판(234)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판(231)과 제1 후판(234)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세탁부(110)는 제1 터브(220)를 제1 하우징(230)에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251) 및 댐퍼(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250)는 제1 터브(220)의 외면과 하판(232)을 연결하여 제1 터브(22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고, 스프링(251)은 제1 터브(220)의 외면과 제1 측판(231)의 상부에 마련된 스프링 결합부(233)를 연결하여 제1 터브(220)를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251)과 댐퍼(250)는 제1 터브(2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프링(251)과 댐퍼(250)의 설치 위치는 제1 측판(231)의 상부와 하판(232)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1 터브(220)의 일면과 제1 하우징(230)의 다른 일 부분을 연결하여 제1 터브(22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110)는, 제1 터브(2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세탁조(210)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40)는, 예를 들어,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모터는 직류 모터, 교류 모터, 직교류 겸용 모터 또는 BLDC 모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구동부(240)는 제1 구동축(24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 세탁조(2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40)는, 회로, 도선 및 무선 통신 회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도 31의 40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구동을 개시하거나, 구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또는 구동을 종료할 수도 있다.
제1 세탁조(210)과 제1 구동부(240) 사이에는 제1 구동축(241)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축(241)의 일단은 제1 세탁조(21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제1 구동축(241)의 타단은 제1 터브(2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동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부(24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은 제1 세탁조(210)에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제1 구동부(240)의 동작 개시에 응하여, 제1 세탁조(210) 역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제1 구동부(240)가 인가된 전류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면, 이에 응하여 제1 구동축(241)도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고, 이에 응하여 제1 구동축(241)에 연결된 제1 세탁조(210)는 제1 구동축(241)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구동축(241)는, 회전 축이 대략 전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세탁조(210)는 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240)에 연결되는 도선 또는 회로에는, 제1 구동부(2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부(도 31의 223) 및 제1 구동부(240)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측정부(도 31의 224)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3) 및 전류 측정부(224) 중 적어도 하나는 피드백 전류를 이용하여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조(210)에는 제1 세탁조(210)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도 31의 3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진동 감지부(421)는, 예를 들어, 제1 세탁조(310)의 측면에 설치 가능하며,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감지부(321)는 마이크로 일렉트로 기계적 시스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마이크로 일렉트로 기계적 시스템 센서는 압저항 방식 센서 또는 정전 용량 방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세탁조(210)의 회전 속도 및 제1 구동부(240)의 제1 구동축(24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는 회전 속도 감지부(도 31의 31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회전 속도 감지부(413)는, 예를 들어, 제1 구동부(240)나 제1 세탁조(210)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속도 감지부(413)는, 예를 들어, 타코미터나, 엔코더나, 톱니 바퀴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며, 타코미터는, 예를 들어, 전기적 타코미터 및/또는 광전식 타코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엔코더는, 예를 들어, 광학식 인크리멘탈 엔코더, 광학식 앱솔루트 엔코더, 자기 엔코더 및/또는 레졸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터브(220)의 후벽에는 제1 구동축(2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242)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24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터브(220)를 사출 성형할 때 제1 터브(2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242)과 제1 구동축(241) 사이에는 제1 구동축(2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243)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세탁부(110)는 제1 터브(220)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2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히터(280)는 예를 들어 제1 터브(220)의 저면이나 측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280)에 의해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가열됨으로써, 제1 세탁부(110)는 고온의 물로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세탁부(110)는, 제1 터브(220)에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세탁수 공급부(도 31의 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수 공급부(510)는 제1 하우징(2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수 공급부(510)는 제1 터브(220)의 후방 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는 고려 가능한 소정의 위치에 제1 세탁수 공급부(510)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세탁수 공급부(510)는 외부의 급수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의 급수 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1 터브(220) 내부에 공급하거나 및/또는 필요할 때까지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세탁부 공급부(510)가 공급하는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는 제1 터브(220) 주변에 형성된 토출부, 일례로 복수의 토출공(미도시)를 통해 제1 터브(2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세탁부(110)는, 제1 터브(220) 내부의 세탁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터브(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터브(220) 내부의 물을 세탁기(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수 펌프(270)와, 제1 터브(220)의 제1 배수구(273)와 제1 배수 펌프(270)를 연결하여 제1 터브(220) 내부의 물이 제1 배수 펌프(270)로 유입시키는 제1 연결 호스(271)와, 제1 배수 펌프(270)와 제1 터브(220)를 연결하여 제1 배수 펌프(270)로 유입된 물을 제1 터브(220)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순환 호스(274)와, 제1 배수 펌프(27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00)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 배수 호스(2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세탁기(100)는 제1 세탁 공간(215)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1 투입구(141)가 형성된 전방 하우징(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40)은 제1 하우징(23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측판(231)에 체결 및 고정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전방 하우징(140)에는 제1 투입구(141)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26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260)는 제1 투입구(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260)는 제1 도어 프레임(261), 제1 도어 커버(262) 및 도어 글래스(2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프레임(261)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프레임(26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대략 삼각형이나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도어 커버(262) 및 도어 글래스(263)는 제1 도어(260)가 제1 투입구(141)를 닫은 상태에도 세탁기(100)의 외부에서 제1 세탁조(2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글래스(263)는 제1 도어 프레임(261)으로부터 제1 세탁조(21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260)가 닫힌 경우, 도어 글래스(263)는 제1 투입구(141)의 안 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도어(260)가 전방 하우징(14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1 투입구(141)의 주변에는 제1 힌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제1 도어 프레임(261)의 일측에는 제1 힌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260)가 제1 투입구(141)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도어 프레임(261)의 타측에는 제1 후크(26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전방 하우징(140)에는 제1 후크 수용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260)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1 후크166)는 제1 후크 수용부(142)에 삽입 장착되어 제1 도어(260)의 임의적 개방을 방지한다.
제1 도어(260)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제1 세탁 공간(215)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1 도어(260)에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도어(260)에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를 여닫기 위한 보조 도어(264)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도어(264)는 제1 도어 커버(262)에 힌지 결합이나 슬라이딩 결합 등을 이용하여 제1 도어(260)에에 대해 회동 또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글래스(263)에는 글래스 관통 홀(268)이 마련될 수도 있다. 글래스 관통 홀(268)은,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이 제1 세탁 공간(215)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1 도어(260)의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와 도어 글래스(263)의 글래스 관통 홀(268)을 연결하기 위해, 제1 도어(260)는 연결가이드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부(265)는 양단이 개방되며, 중공부를 갖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연결가이드부(265)의 일단은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와 연결되고, 타단은 글래스 관통 홀(268)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가이드부(265)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와 연결된 연결가이드부(265)의 일단이 타단 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를 통해 제1 세탁조(210)의 내부로 세탁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가이드부는 생략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글래스(263)의 상부에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에 대응하여 함몰 구역(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함몰 구역의 형성에 따라,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의 후방으로는 도어 글래스가 배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조 세탁물 투입구(267)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이 방해 없이 제1 세탁 공간(215)으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제1 도어(260)에 보조도어(264)가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조도어(264)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도어(260) 이외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기(100)는, 전방 하우징(140)의 제1 투입구(141)와 제1 터브(220)의 개구(223)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22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이어프램(221)은 제1 투입구(141)로부터 제1 세탁조(210)의 개구(214)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제1 세탁조(210)의 회전 시에 전방 하우징(140)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221)의 일부분은 제1 도어(260)와 전방 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터브(220)의 세탁수가 세탁기(10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세탁부(120)는, 내부에 제2 세탁 공간(315)이 형성되는 제2 세탁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탁조(31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방된 일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세탁조(310)은 제2 터브(32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세탁조(310)의 측면 및 저면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제2 통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세탁조(310)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제2 세탁조(3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밸런서(312)가 장착될 수도 있다. 제2 세탁조(310)의 내측면에는 세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마련된 필터(316)가 부착될 수 있다. 제2 세탁조(310)의 저면에는 수류 발생을 위한 굴곡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세탁조(310)의 내부에는, 회동하여 제2 세탁조(310)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나 세탁봉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세탁부(120)는 내부에 제2 세탁조(310)을 수용하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2 터브(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브(32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세탁조(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터브(320)의 개방된 일면은, 제2 세탁조(310)의 개방된 일면과 동일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브(320)는 현가장치(350)에 의해 하부 프레임(331)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브(320)는 4개의 현가장치(350)에 의해 하부 프레임(331)에 매달려있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터브(320)의 상면에는 제2 투입구(334)에 대응하도록 제3 투입구(3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세탁부(120)는 제3 투입구(314)를 개폐하기 위한 제3 도어(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도어(380)는 제3 도어 프레임(38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도어 커버(382)를 더 포함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제3 도어 커버(382)는 제3 도어(380)가 제3 투입구(314)를 닫은 상태에도 제2 터브(320)의 외부에서 제2 세탁조(3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제3 도어(380)가 제2 터브(32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3 투입구(314)의 주변에는 제3 힌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도어 프레임(381)의 일측에는 제3 힌지에 대응하는 제3 힌지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힌지 결합부는 제3 힌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도어 프레임(381)의 타측에는 제3 도어(380)를 개방할 수 있는 손잡이(383)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83)는 제2 후크(3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브(320)에는 제2 후크(384)에 대응하여 제2 후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도어(380)가 제3 투입구(314)를 폐쇄한 경우, 제2 후크(384)는 제2 후크 수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후크(384)가 제2 후크 수용부에 결합되면, 제3 도어(380)가 제3 투입구(314)를 폐쇄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383)가 조작되면, 제2 후크(384)가 제2 후크 수용부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도어(38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제2 세탁부(120)는, 내측에 제2 세탁조(310) 및 제2 터브(320)가 배치되고 하부가 개방 또는 폐쇄된 제2 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3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제2 터브(320)가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331)과, 제2 세탁 공간(315)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2 투입구(334)가 마련되고 하부 프레임(331)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3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330)은 좌측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탁부(120)는 제2 하우징(330)에 배치되고, 제2 투입구(334)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360)는, 제2 투입구(334)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부 프레임(3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제2 도어(360)는 제2 도어 프레임(361)과 제2 도어 커버(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 커버(362)는 제2 도어(360)가 제2 투입구(334)를 닫은 상태에도 세탁기(100)의 외부에서 제2 터브(320) 및 제2 세탁조(310)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어(360)가 상부 프레임(332)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2 도어 프레임(361)의 좌우 양측에는 제2 힌지가 마련되어, 제2 투입구 주변에 형성되는 제2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다. 제2 도어 프레임(361)의 전방 측에는 래치 수용부(363)가 마련되고, 상부 프레임(332)에는 제2 도어 프레임(361)의 래치 수용부(363)에 대응하여 래치 장치가 마련되어, 제2 도어(360)가 제2 투입구(334)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세탁부(12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터브(320)의 하측 외부에 배치되고 제2 세탁조(310)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탁조(310)의 저면에는 제2 구동부(3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구동축(341)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축(341)의 일단은 제2 세탁조(310)의 저면판에 연결되고, 제2 구동축(341)의 타단은 제2 터브(320)의 하측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동부(340)가 제2 구동축(341)을 구동하면, 제2 구동축(341)에 연결된 제2 세탁조(310)가 제2 구동축(34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 구동축(341)은, 회전축이 대략 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세탁조(310)는 대략 상 방향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구동부(340)에 연결되는 도선 또는 회로에는, 제2 구동부(3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부(도 31의 323) 및 제2 구동부(340)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측정부(도 31의 324)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압 측정부(323) 및 전류 측정부(324) 중 적어도 하나는 설계에 따라 제2 구동부(34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2 구동부(340)에 연결되는 도선 또는 회로 주변에는 제2 구동부(340)에 연결되는 도선 또는 회로에 인가되는 전류가 피드백 되는 도선 또는 회로가 더 설치되고, 전압 측정부(323) 및 전류 측정부(324) 중 적어도 하나는 전류가 피드백 되는 도선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압 측정부(323) 및 전류 측정부(324) 중 적어도 하나는 피드백 전류를 통하여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세탁조(310)의 바닥면에 펄세이터가 배치되는 경우, 세탁기는 제2 구동부(34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2 세탁조(310)와 펄세이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 절환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세탁조(310)에는 제2 세탁조(310)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도 31의 4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진동 감지부(421)는, 예를 들어, 제2 세탁조(3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2 세탁조의 외측 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진동 감지부(421)는 예를 들어, 압전 가속도 방식의 진동 센서나 외팔보 진동 방식의 진동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진동 감지부(421)는 마이크로 전자 기계적 시스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세탁조(310)의 회전 속도 및 제2 구동부(340)의 제2 구동축(24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는 회전 속도 감지부(도 31의 42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회전 속도 감지부(423)는, 예를 들어, 제2 구동부(340) 또는 제2 세탁조(310)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속도 감지부(423)는, 예를 들어, 타코미터, 엔코더 및/또는 톱니 바퀴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2 세탁부(120)는, 제2 터브(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터브(320) 내부의 물을 세탁기(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펌프(370)와, 제2 배수펌프(37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00)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 배수호스(3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배수펌프(370)는 제1 하우징(23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터브(320)의 저면에는 제2 터브(320)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제2 배수구(373)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터브(320)의 물이 제2 배수펌프(3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배수구(373)와 제2 배수펌프(370)는 제2 연결호스(37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세탁부(120)는, 제2 터브(320)에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제2 세탁수 공급부(도 31의 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탁수 공급부(520)는 제2 하우징(3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33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세탁수 공급부(520)는 제2 투입구(334)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세탁수 공급부(520)는 외부의 급수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의 급수 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2 터브(320)에 제어에 따라 공급하거나 및/또는 필요할 때까지 저장할 수도 있도록 마련된다. 제2 세탁부 공급부(520)가 공급하는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는 제2 터브(320) 주변에 형성된 토출부, 일례로 복수의 토출공(509)을 통해 제2 터브(320) 내부로 유입된다.
제1 세탁수 공급부(510)와 제2 세탁수 공급부(52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체형으로 구현된 세탁수 공급부는, 급수 장치에서 물을 공급받고, 필요에 따라서 제1 터브(220) 및 제2 터브(320)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터브(220) 및 제2 터브(320) 중 적어도 하나에 세탁수 및/또는 헹굼수의 공급을 위해서, 일체형으로 구현된 세탁수 공급부는, 세탁수 공급부와 제1 터브(220) 및 제2 터브(320) 각각을 연결하는 배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00)는 제1 터브(220)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600)는 제1 하우징(230) 및 제2 하우징(33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공급장치(600)는 제2 하우징(330)의 상부 프레임(332)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하우징(330)에 마련된 제2 투입구(334)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00)는 제1 하우징(230) 및 제2 하우징(33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고정 브래킷(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30)의 전방 및 제2 하우징(3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설계자의 고려에 따라서 제1 하우징(230)의 측방 및 제2 하우징(330)의 측방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 하우징(230)의 후방 및 제2 하우징(330)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탁기(100)는, 제어 패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패널(15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및 정보 확인의 편의를 위하여 세탁기(100)의 전방 하우징(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패널(60)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 패널(60)은 제1 세탁부(110)의 상부 프레임(330)의 일 면, 세제 공급 장치(600)의 상단면 등과 같이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제어 패널(150)에는 세탁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 받거나, 및/또는 세탁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1, 도 11 또는 도 24의 1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1)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물리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노브, 스틱, 트랙볼 및 트랙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며,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는, 시각적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와 청각적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가능하며,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이나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퀀텀닷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스피커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1)는 제어 패널(150)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널(150) 내측에는 회로가 형성된 기판 및 기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이 배치 및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기판은, 후술하는 제어부(40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제1 하우징(230) 및 제2 하우징(330)의 결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브래킷과 전방 하우징의 일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프레임과 전방 하우징의 결합 위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330)의 하부 프레임(331)은 현가장치(350)가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지지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브(320)는 외측면 하부에 현가장치(350)가 장착될 수 있는 제2 지지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장치(350)는 하부 프레임(331)의 제1 지지부(338)와 제2 터브(320)의 제2 지지부(32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1)은 제2 터브(320)의 전방, 후방및 측방을 감싸도록 전방 벽(398), 후방 벽(397) 및 한 쌍의 측벽(396)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코너의 상단에 제1 지지부(338)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4개의 현가장치(350)에 의해 제2 터브(320)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332)은 하부 프레임(331)과 결합할 수 있는 제1 결합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35)는 상부 프레임(332)의 좌우 양측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1)은 상부 프레임(332)과 결합할 수 있는 제2 결합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337)는 하부 프레임(331)의 상단의 상부 프레임(332)의 제1 결합부(3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커버(333)는 상부 프레임(332)의 측면과 하부 프레임(331)의 측면을 덮도록 상부 프레임(332) 및 하부 프레임(331)에 결합할 수 있다. 측면 커버(333)는 상부 프레임(332)과 결합할 수 있는 상단 플랜지(393)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프레임(332)은 측면 커버(333)의 상단 플랜지(393)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33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333)의 상단 플랜지(393)에는 상부 프레임(332)의 결합홈(336)의 내측에서 어퍼프레임(332)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339)가 마련될 수 있고, 체결부(339)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어퍼프레임(332)과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커버(333)의 하단에는 하부 프레임(331)의 저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하단 플랜지(395)가 마련될 수 있고, 측면 커버(333)의 후단에는 상부 프레임(332) 및 하부 프레임(331)의 후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후단 플랜지(394)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1)과 상부 프레임(332)을 결합시킨 후에, 측면 커버(333)의 상단 플랜지(393)를 상부 프레임(332)의 결합홈(336)에 삽입하고, 측면 커버(333)의 하단 플랜지(395)가 하부 프레임(331)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다. 측면 커버(333)를 결합시킨 후, 측면 커버(333)의 후단 플랜지(394)를 상부 프레임(332) 및 하부 프레임(331)의 후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1)은 하부 프레임(331)에 지지되는 제2 터브(32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331)과 상부 프레임(332)의 결합에 의해, 하부 프레임(331)의 진동이 상부 프레임(332)에 전달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1)과 상부 프레임(332)이 진동 등에 의하여 분해되었을 때, 측면 커버(333)는 하부 프레임(331)과 상부 프레임(332)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여 소비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커버(333)는 하부 프레임(331)과 상부 프레임(332)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하나의 부재로 덮음으로써 제2 하우징(330)의 측면을 간결하게 해주며, 제2 하우징(330)이 제1 하우징(230)과 결합하였을 때, 제1 하우징(230)과 제2 하우징(330)이 통일적인 미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세탁기(100)의 제2 하우징(330)은 제2 하우징(33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측판(2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330)의 제2 측판(399)은 하부 프레임(331)의 측벽(396), 상부 프레임(332)의 측벽(399), 및 측면 커버(333)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제1 하우징(230)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2 하우징(330)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돌기(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돌기(390)는 한 쌍의 제1 측판(23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39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1 측판(231)과 결합될 수도 있고, 제1 측판(23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제1 가이드 돌기(390)가 삽입되도록 제2 하우징(330)의 한 쌍의 제2 측판(235)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측판(235)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333)의 하단 플랜지(395)에는 제1 가이드 돌기(39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392)이 마련될 수 있고, 제2 측판(235)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331)의 측벽(396)의 저면에는 제1 가이드 돌기(390)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 수용부(39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390)는 제1 하우징(230)의 제1 측판(231)의 좌측 및 우측 상단에 각 4개씩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돌기(390)에 의해 제1 하우징(230)과 제2 하우징(330)의 측면이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 하우징(330)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는 제2 하우징(330)의 한 쌍의 제2 측판(235)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 삽입부는 제1 하우징(230)의 한 쌍의 제1 측판(23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전방 하우징(140)은 제1 하우징(23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하우징(33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전방 하우징(140)이 제1 하우징(230)의 전면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었으나, 전방 하우징(140)은 제1 하우징(230)의 전면의 일부와 제2 하우징(330)의 전면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전방 하우징(1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230)과 제2 하우징(330)의 전방에서 제1 하우징(230)과 제2 하우징(3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브래킷(130)은 제1 하우징(230)의 한 쌍의 제1 측판(231)과 제2 하우징(330)의 한 쌍의 제2 측판(235)을 연결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제1 하우징(230)과 제2 하우징(330)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전면 커버(14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전면(134), 상면(131), 좌측면, 우측면을 가지되 후면과 저면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제1 하우징(230)의 전방과 제2 하우징(3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플랜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브래킷(130)의 결합 플랜지(135)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제1 하우징(230)의 한 쌍의 제1 측판(231)의 전단과 제2 하우징(330)의 한 쌍의 제2 측판(235)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고정 브래킷(130)의 상면(131)에 마련되고 전방 하우징(14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제2 가이드 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40)은 전방 하우징(140)의 상측 마련되고 고정 브래킷(130)의 제2 가이드 돌기(132)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130)은 고정 브래킷(130)의 전면(134)에 마련되고 전방 하우징(140)이 결합될 수 있는 제3 결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40)은 전방 하우징(140)의 상측 마련되고 고정 브래킷(130)의 제3 결합부(133)에 대응하는 제4 결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40)의 조립 과정에서, 고정 브래킷(130)의 제2 가이드 돌기(132)가 전방 하우징(140)의 가이드 홀(143)을 관통하도록 전방 하우징(140)을 고정 브래킷(130)에 임시로 결합한 후, 고정 브래킷(130)의 제3 결합부(133)와 전방 하우징(140)의 제4 결합부(144)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6 및 도 30을 참조하면, 제1 터브(220)는 스프링(251)에 의해 제1 하우징(230)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251)의 일단은 제1 하우징(230)의 제1 측판(231)의 상부에 마련된 제1 스프링 결합부(233)에 결합되고, 스프링(251)의 타단은 제1 터브(2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 결합부(222)에 결합된다. 스프링(251)은 제1 터브(220)의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으나, 스프링(251)에 의해 제1 터브(220)의 진동이 제1 하우징(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40)은 상단의 높이(A)가 스프링(251)이 결합되는 제1 하우징(230)의 상단의 높이(B)보다 높게 배치됨으로써, 세탁기(100)의 전면을 지지하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1 하우징(230) 및 제2 하우징(330)의 진동이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의 전면이 전방 하우징(140)와 전방 하우징(140)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60)로만 구성되어 심미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고정 브래킷(130)의 상단의 높이(C)가 제2 터브(320)의 하측 외부에 배치되는 제2 구동부(340)의 상단의 높이(D)와 같거나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브래킷(130)은 금속 등의 내화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동부(340)보다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제2 구동부(340)의 과열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전면 패널(140)측 또는 컨트롤 패널(60) 측으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은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1), 제1 세탁조(210), 제1 구동부(240), 제1 감지부(410), 제2 세탁조(310), 제2 구동부(340), 제2 감지부(420), 제어부(400) 및 저장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410)는, 제1 세탁조(210) 및 제1 구동부(2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여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동일하게 제2 감지부(420)는, 제2 세탁조(310) 및 제2 구동부(3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여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감지부(410) 및 제2 감지부(420)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한 정보는, 도선, 회로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어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감지부(410) 및 제2 감지부(4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부품에 전송하여 세탁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감지부(410)는,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서, 진동 감지부(411), 회전 속도 감지부(412), 전압 측정부(313) 및/또는 전류 측정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411)는 제1 세탁조(210)의 회전에 기인한 제1 세탁조(210) 또는 그 주변 부품(일례로 제1 터브(220)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회전 속도 감지부(412)는, 제1 세탁조(21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회전 속도 감지부(412)는 제1 구동부(240)의 제1 구동축(241)의 회전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제1 세탁조(210)의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전압 측정부(413)는 제1 구동부(2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고, 전류 측정부(414)는, 제1 구동부(24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각각에 의해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가 제1 구동부(24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는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제1 구동부(240)에 전달되고, 전달된 전기적 신호는 제1 구동부(240)에 인가된다. 전압 측정부(413)는 이와 같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의 전압을 측정하고, 전류 측정부(414)는 이와 같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의 전류를 측정한다.
제2 감지부(420)는,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서 진동 감지부(421), 회전 속도 감지부(422), 전압 측정부(323) 및/또는 전류 측정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421), 회전 속도 감지부(422), 전압 측정부(323) 및 전류 측정부(324)의 실질적인 구조, 동작 또는 기능은, 상술한 제1 감지부(410)의 진동 감지부(411), 회전 속도 감지부(412), 전압 측정부(313) 및 전류 측정부(314)의 구조, 동작 또는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에는 세탁기(100)의 제1 감지부(410)가 진동 감지부(411), 회전 속도 감지부(412), 전압 측정부(313) 및 전류 측정부(314)를 모두 포함하고 제2 감지부(420)가 진동 감지부(421), 회전 속도 감지부(422), 전압 측정부(323) 및 전류 측정부(324)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감지부(410) 및 제2 감지부(420)는 각각의 요소(313, 314, 323, 324, 411, 412, 421, 422) 모두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1 감지부(410) 및 제2 감지부(420) 중 적어도 하나는 이들 중 오직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세탁기(100)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각종 부품들,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60), 제1 구동부(240), 제2 구동부(340) 및 저장부(450)와 회로, 도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세탁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구동부(240) 및 제2 구동부(34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1 구동부(240) 및 제2 구동부(34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을 개시하거나,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40)의 동작에 따라서 제1 세탁조(210)는 회동하고, 또한 및 제2 구동부(340)의 동작에 따라서 제2 세탁조(310)는 회동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마이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전자 제어 유닛 및/또는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저장부(4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소정의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작성되어 저장부(450)에 저장되거나,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을 통하여 획득 또는 갱신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10을 기반으로 설명한 제어부(30)의 동작이나 및/또는 도 11 내지 도 24를 기반으로 설명한 제어부(7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400)는 제1 구동 속도 및 제2 구동 속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세탁부(10, 20)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및/또는 불균형의 발생 여부에 따라서 제1 동작 프로파일 대신에 제2 동작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세탁부(50, 6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의 동작에 대해선 기 상세히 기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450)는 세탁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50)는, 제어부(400)의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상술한 연산, 처리 및 제어 동작에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50)는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나, 자기 테이프나, 컴팩트 디스크(CD)나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magneto-optical media)나, 롬(ROM), 램(RAM), SD카드,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1), 제1 세탁조(210), 제1 구동부(240), 제2 세탁조(310) 및 제2 구동부(340)에 대해선 이미 상세히 기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2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을 개시한다(1000). 제1 세탁부의 동작은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하게 제2 세탁부의 동작도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는 동일한 행정을 수행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는 동일하게 탈수 행정을 수행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어서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즉, 제2 구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일례로 제2 기준 속도)와 비교 및 판단된다(1001). 여기서, 제2 기준 속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1 세탁부가 수행 가능한 최대 구동 속도 또는 이에 근사한 속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2 기준 속도는 8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와 비교되는 과정(1001)은 생략 가능하다.
제1 세탁부의 구동 속도(즉, 제1 구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와 비교될 수 있다(1002). 제1 세탁부의 구동 속도(즉, 제1 구동 속도)와 제1 기준 속도의 비교는,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와 같거나 또는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한다고 판단된 경우(1001의 예)에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기준 속도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예를 들어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속도로 정의 가능하다.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와 제1 기준 속도의 비교 결과, 만약 제1 구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한다면(1003의 예),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가 제1 목표 속도까지 상승된다(1003). 제1 목표 속도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기준 속도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제1 목표 속도는 제1 세탁부에 의해 수행 가능한 가장 높은 구동 속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가 상승한 결과, 제2 구동 속도가 제1 목표 속도에 도달하면(1004의 예),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는 제1 목표 속도 도달에 응하여 감소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1005). 제2 구동 속도의 감소는 제1 목표 속도의 도달 즉시 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목표 속도가 도달된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된 이후에 개시될 수도 있다. 제2 구동 속도의 감소는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및/또는 별도의 제동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제2 구동 속도는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이 될 때까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와 제1 기준 속도의 비교 결과, 만약 제1 구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라면(1002의 아니오),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계속해서 유지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패턴에 따라서 상승하거나 및/또는 하강하면서 변화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1007).
상술한 과정(1001 내지 1007)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 수행 가능하다(1008의 예).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과정(1001 내지 1007)은, 오직 1회만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3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만약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가 제2 기준 속도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준 속도와 동일하다면(1001의 아니오, 예를 들어,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가 제1 목표 속도와 동일한 경우라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부의 구동 속도는 제3 기준 속도와 비교된다. 여기서, 제3 기준 속도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3 기준 속도는 상술한 단계 1002의 제2 기준 속도와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제1 구동 속도가 제3 기준 속도와 같거나 또는 제3 기준 속도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2 구동 속도는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까지 감소하게 되고(1011), 제2 세탁부의 동작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종료된다(1012).
반대로 제1 구동 속도가 제3 기준 속도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는 제2 기준 속도이상의 속도로 유지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패턴에 따라서 상승하거나 및/또는 하강하면서 가변될 수 있다(1013).
도 34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가 동시에 또는 이시에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1100).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 각각은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어느 하나의 행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가 동일한 행정, 일례로 탈수 행정을 수행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는 제4 기준 속도와 비교되고, 만약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에 도달하면(1101, 즉,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와 동일하게 되면),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와 제5 기준 속도가 상호 비교된다(1102). 여기서, 제4 기준 속도 및 제5 기준 속도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4 기준 속도는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5 기준 속도 역시 제4 기준 속도와 동일하게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만약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가 제5 기준 속도와 같거나 또는 제5 기준 속도보다 작다면(1102의 예), 제2 세탁부는 제2 구동 속도가 제2 목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될 수 있다(1103). 제2 목표 속도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예를 들어 800 rpm 또는 이와 근사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속도의 상승 결과 제2 구동 속도와 제2 목표 속도가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해지면, 제2 구동 속도는 제2 목표 속도로 유지될 수 있다(1104).
순차적으로 미리 정의된 기간, 일례로 1분, 2분 또는 기타 임의적인 기간의 경과 여부가 판단된다(1105). 만약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이 경과되면(1105의 예), 제2 세탁부의 구동 속도를 제2 목표 속도로 유지하는 것이 종료될 수 있다. 만약 미리 정의된 기간이 경과되고(1105의 예), 상술한 과정(1102 내지 1105)의 반복이 필요한 경우라면(1106의 예),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는 미리 정의된 속도, 일례로 제4 기준 속도까지 감소되고(1107),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와 제5 기준 속도의 비교 판단이 다시 수행된다(1102).
만약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가 제5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라면(1102의 아니오),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는 제4 기준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1108). 미리 정의된 기간(즉, 상술한 판단 유예 기간)이 경과되면(1109의 예), 다시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와 제5 기준 속도의 비교 판단이 수행된다(1102). 따라서,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로 유지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1 구동 속도와 제5 기준 속도의 비교 판단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5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는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된 방법으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가 동시에 또는 이시에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1200).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는 제6 기준 속도와 비교된다(1201). 제1 구동 속도가 제6 기준 속도와 동일하면, 이에 응하여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와 제7 기준 속도가 상호 비교될 수 있다(1202). 여기서, 제6 기준 속도 및 제7 기준 속도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자 모두 500 rpm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6 기준 속도 및 제7 기준 속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제7 기준 속도와 같거나 또는 제7 기준 속도보다 작다면(1202의 예), 제1 세탁부의 구동 속도는 제3 목표 속도까지 상승하고(1203), 제3 목표 속도를 유지되게 된다(1204). 여기서, 제3 목표 속도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제2 목표 속도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제1 구동 속도가 제3 목표 속도에 도달한 이후,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의 경과 여부가 클락 등을 이용하여 판단된다(1205). 만약 미리 정의된 유지 기간이 경과되면(1205의 예), 제1 구동 속도의 유지는 중단된다.
만약 상술한 과정(1202 내지 1205)의 반복이 필요하다면(1206의 예), 제1 구동 속도는 미리 정의된 속도, 일례로 제6 기준 속도로 감소되도록 조절되고(1107),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와 제7 기준 속도는 다시 비교될 수 있다(1202).
반대로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제7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라면(1202의 아니오),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는 기존의 제6 기준 속도로 유지된다(1208). 판단 유예 기간이 경과되면(1209의 예),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와 제7 기준 속도의 비교 판단이 다시 수행되고(120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1 구동 속도는 상승하거나(1203 내지 1205) 또는 유지된다(1208 및 1209).
도 36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5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4 및 도 35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부 및 제2 세탁부가 동시에 또는 이시에 구동을 개시하고, 소정의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1301).
만약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에 도달한 경우라면(1301의 예, 즉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와 같거나 또는 제4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조절된다(1302). 다시 말해서,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에 도달한 경우라면(1301의 예), 상술한 단계 1102 내지 1109가 세탁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라면(1301의 아니오),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가 제6 기준 속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1302)
만약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가 제6 기준 속도에 도달한 경우라면(1302의 예, 즉 제1 구동 속도가 제6 기준 속도와 같거나 또는 제6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라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가 조절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1304). 다시 말해서,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가 제6 기준 속도에 도달한 경우라면(1302의 예), 상술한 단계 1202 내지 1209가 세탁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제2 세탁부의 제2 구동 속도가 제4 기준 속도에 도달하지도 않고, 제1 세탁부의 제1 구동 속도가 제6 기준 속도에 도달하지도 않은 경우라면(1303의 아니오), 어느 하나의 구동 속도가 미리 정의된 기준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술한 단계 1102 내지 1109 또는 1202 내지 1209는 수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느 세탁부의 구동 속도가 먼저 기준 속도에 도달하느냐에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제어 방법 및 도 14에 도시된 제어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단계 1300 내지 1305는, 실시예에 따라서, 반복 수행될 수도 있다(1305).
도 37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6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세탁조에 세탁물이 투입되고, 세탁기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구동을 개시한다(1400). 여기서, 세탁기는 하나의 세탁조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둘 이상의 세탁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세탁기의 구동 개시에 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세탁조가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미리 정의된 패턴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1042). 세탁기가 복수의 세탁조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세탁조 중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회동을 개시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세탁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회동을 개시할 수도 있다.
세탁조가 동작하는 도중에, 세탁조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집중되어 세탁조 내에서는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균형은 동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고, 및/또는 제어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1404).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감지부는 세탁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세탁조 동작 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및/또는 구동부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거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구동부 동작 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부 동작 감지부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전압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구동부 동작 감지부는 직류 링크 회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불균형의 발생이 감지 및/또는 판단되면 세탁기는 기 정의된 일련의 동작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1406). 예를 들어, 불균형에 기인한 세탁조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진동 저감 방법을 이용하여 세탁기는 동작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진동 저감 방법은 세탁조 내부의 수위 상승, 구동부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의 변경, 구동부의 운전율의 변경, 구동부의 동작 기간/정지 기간의 조절 및/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 등을 포함하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불균형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제어부 없이도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가 구동부로 전달되고 구동부는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7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8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7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세탁기가 구동을 개시하면(1410), 제1 동작 프로파일으로 세탁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1412). 제1 동작 프로파일은 일련의 세탁조의 동작 패턴(이하 제1 패턴)에 대한 정보 및 세탁조의 수위(이하 제1 수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세탁조가 동작하는 도중에, 세탁조의 진동이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을 초과하거나, 구동부의 목표 회전 속도가 기준 목표 회전 속도보다 낮거나, 구동부 또는 직류 링크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및/또는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준 전압보다 더 높을 수 있다(1414). 이들은 세탁조 내부의 불균형에 기인하여 발생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 등에 의해 세탁조 내부에 불균형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 또는 판단되면,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는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1416).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제1 패턴과는 상이한 일련의 세탁조의 동작 패턴(이하 제2 패턴)에 대한 정보 및 제1 수위와는 상이한 세탁조의 수위(이하 제2 수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1 수위보다 더 높은 제2 수위까지 세탁수의 공급, 목표 회전 속도의 하향, 구동부의 운전율의 하향, 회전 가속도의 증가, 회전 감속도의 감소 및 구동부의 동작 기간 및/또는 정지 기간의 감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조는 계속해서 제2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프로파일에 의해 세탁조가 제어된 이후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1418). 만약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1418의 아니오), 세탁조는 제2 동작 프로파일에 의해 계속해서 제어된다. 반대로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1418의 예), 세탁조는 다시 새로운 동작 프로파일, 일례로 제1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세탁조가 다시 제1 패턴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되거나, 및/또는 잔여 세탁수가 제1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조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불균형 발생 판단 및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 과정(1414 내지 1420)은, 세탁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될 수도 있다(1422).
도 39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8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세탁기가 구동을 개시하고(1430), 세탁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조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제어될 수 있다(1432).
세탁조가 동작하는 도중에, 세탁조 내부의 불균형에 기인하여, 세탁조의 진동이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을 초과하거나, 구동부의 목표 회전 속도가 기준 목표 회전 속도보다 낮거나, 구동부 또는 직류 링크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및/또는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준 전압보다 더 높은지 여부가 판단된다(1434).
제어부 등에 의해 세탁조 내부에 불균형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 또는 판단되면,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는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1436).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동작 프로파일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1 수위보다 더 높은 제2 수위까지 세탁수의 공급, 목표 회전 속도의 하향, 구동부의 운전율의 하향, 회전 가속도의 증가, 회전 감속도의 감소 및 구동부의 동작 기간 및/또는 정지 기간의 감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계속해서 세탁조 내부의 불균형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감지 또는 판단된다(1438).
만약 계속해서 세탁조의 진동이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구동부의 목표 회전 속도가 기준 목표 회전 속도보다 낮다고 측정되거나, 구동부 또는 직류 링크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다고 측정되거나, 및/또는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준 전압보다 더 높다고 측정되면(1438의 아니오), 계속해서 제2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불균형이 발생된 세탁조는 제어된다(1434).
반대로 세탁조의 진동이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보다 작은 것으로 감지/판단되거나, 구동부의 목표 회전 속도가 기준 목표 회전 속도보다 높다고 측정되거나, 구동부 또는 직류 링크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다고 측정되거나, 및/또는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준 전압보다 더 낮다고 측정되면(1438의 예), 세탁물의 불균형은 해소되었다고 판단되고, 불균형이 발생되었던 세탁조는 다시 새로운 동작 프로파일, 일례로 제1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제어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세탁조는 다시 제1 패턴에 따라 동작하거나, 및/또는 세탁기의 각 부품이 세탁조 내부의 세탁수가 제1 수위까지 낮아질 수 있도록 제어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불균형 발생 판단 및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 과정(1434 내지 1440)은,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될 수도 있다(1442).
도 40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제9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세탁기가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불균형 발생을 계수하기 위한 카운트 변수(i)는,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카운트 변수(i)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1이나 이외 다른 숫자로도 설정될 수 있다.
세탁기가 구동을 개시하면, 세탁기에 마련된 세탁조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동작 프로파일에 의해 제어되어 세탁 공정, 헹궁 공정 및/또는 탈수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개시한다(1452). 이 경우, 세탁조는 제1 패턴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및/또는 세탁조의 수위는 제1 수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세탁조가 동작하는 도중에, 세탁조 내부의 불균형에 기인하여, 세탁조의 진동이 미리 정의된 기준 진동을 초과하거나, 구동부의 목표 회전 속도가 기준 목표 회전 속도보다 낮거나, 구동부 또는 직류 링크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및/또는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준 전압보다 더 높은지 여부를 기반으로 세탁조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할 수 있다(1454).
만약 세탁조에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1454의 아니오), 세탁조는 제1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계속해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세탁이 종료될 때까지(1462의 예) 세탁조에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라면, 세탁조는 세탁 종료 시까지 제1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할 것이다. 반대로 세탁이 종료되기 전에(1462의 아니오), 세탁조에 불균형이 발생된 경우라면(1454의 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기는 동작한다(1454 내지 1460).
만약 세탁조에 불균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1454의 예), 세탁기는 카운트 변수(i)에 소정의 값, 일례로 1을 부가하고(1455), 소정의 값이 부가된 카운트 변수(i)를 미리 정의된 카운트 기준 값과 비교할 수 있다(1456). 카운트 기준 값은 예를 들어 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카운트 변수(i)가 카운트 기준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카운트 기준 값을 초과한다면(1456의 예),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세탁조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세탁기가 제어된다(1460).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술한 제2 동작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세탁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조는, 세탁이 종료될 때까지 제2 동작 프로파일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시간까지만 제2 동작 프로파일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형이 해소되었다는 판단 결과가 획득될 때까지 제2 동작 프로파일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만약 카운트 변수(i)가 카운트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라면, 세탁기는 현 동작을 유지한다(1458). 다시 말해서, 불균형 발생에 대응하는 정보가 획득된 세탁조는 기존의 동작 프로파일, 즉 제1 동작 프로파일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상술한 불균형 발생 판단 및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 과정(1454 내지 1460)은,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될 수도 있다(1462).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들)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나 디브이디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 및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역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또는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10: 제1 세탁부 11: 제1 세탁조
13: 제1 구동부 20: 제2 세탁부
21: 제2 세탁조 23: 제2 구동부
30: 제어부 40: 저장부
45: 사용자 인터페이스 49: 전원
50: 제3 세탁부 51: 제3 세탁조
53: 제3 구동부 60: 제4 세탁부
61: 제4 세탁조 63: 제4 구동부
70: 제어부 80: 저장부
85: 사용자 인터페이스 89: 전원

Claims (18)

  1.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제2 회전조;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로 증가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로 증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 이하로 감소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이상이고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가 탈수 행정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탈수 행정을 위한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어느 하나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횡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세탁기.
  6.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제2 회전조;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다른 하나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회전조가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보다 작으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증가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회전조가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3 기준 속도보다 크면,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회전조의 증가된 회전 속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9.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제2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회전조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로 증가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로 증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 이하로 감소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이상이고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로 증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 이하로 감소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가 탈수 행정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탈수 행정을 위한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제1 회전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회전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조 및 상기 제2 회전조 중 어느 하나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횡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14. 제1 회전조;
    상기 제1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조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회전조;
    상기 제2 회전조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2 회전조 및 상기 제2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에 불균형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세탁 행정 또는 탈수 행정 시 상기 제2 회전조에 불균형이 발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에 저장되는 세탁수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여 상기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세탁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제2 회전조의 진동을 감지하는 회전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 속도,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구동부 동작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의 목표 회전 속도를 낮추거나, 상기 제2 구동부의 운전율을 낮추거나,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 가속도 및 회전 감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의 동작 기간 및 정기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단축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부의 동작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세탁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조에 저장되는 세탁수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세탁기를 제어한 후 미리 설정된 기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조의 세탁수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가 기존의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세탁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회수로 상기 제2 회전조에 불균형이 발생된 이후, 상기 제2 회전조의 세탁수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는 세탁기.
KR1020170108457A 2017-04-11 2017-08-28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42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3686 WO2018190488A1 (en) 2017-04-11 2017-11-28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780089543.7A CN110520566B (zh) 2017-04-11 2017-11-28 洗衣机及控制其的方法
EP17905635.3A EP3585931B1 (en) 2017-04-11 2017-11-28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3059536A CA3059536A1 (en) 2017-04-11 2017-11-28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17409625A AU2017409625B2 (en) 2017-04-11 2017-11-28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850,540 US11001956B2 (en) 2017-04-11 2017-12-21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314,623 US11761137B2 (en) 2017-04-11 2021-05-07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880 2017-04-11
KR20170046880 2017-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10A KR20180114810A (ko) 2018-10-19
KR102420510B1 true KR102420510B1 (ko) 2022-07-14

Family

ID=6410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57A KR102420510B1 (ko) 2017-04-11 2017-08-28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85931B1 (ko)
KR (1) KR102420510B1 (ko)
CN (1) CN110520566B (ko)
AU (1) AU2017409625B2 (ko)
CA (1) CA3059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643B1 (ko) * 2019-02-01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3005715B (zh) * 2021-03-04 2023-05-02 海信冰箱有限公司 多筒洗衣机的脱水控制方法、装置、介质及多筒洗衣机
CN113005711B (zh) * 2021-03-04 2022-12-23 海信冰箱有限公司 多筒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介质及多筒洗衣机
CN113237497A (zh) * 2021-04-29 2021-08-10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绝对值编码器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0245A1 (de) * 1978-11-20 1980-05-29 Schwarzenberg Waschgeraete Einrichtung zur begrenzung von unwuchten in waschvollautomaten
KR0144209B1 (ko) * 1995-12-20 1998-07-15 배순훈 세탁기의 탈수속도조절방법
KR101075227B1 (ko) * 2006-07-25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100118637A (ko) * 2009-04-29 2010-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4572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방법
CN103911804B (zh) * 2013-01-07 2017-09-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脱水分布控制方法
CN104452186B (zh) * 2013-09-25 2019-07-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外筒的固定装置
KR20150072169A (ko) * 2013-12-19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3924417B (zh) * 2014-04-09 2016-01-20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减振控制方法
US20160215432A1 (en) * 2015-01-27 2016-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98167B1 (ko) * 2016-12-23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20566B (zh) 2022-04-01
CA3059536A1 (en) 2018-10-18
EP3585931A1 (en) 2020-01-01
AU2017409625B2 (en) 2023-03-09
KR20180114810A (ko) 2018-10-19
CN110520566A (zh) 2019-11-29
AU2017409625A1 (en) 2019-10-17
EP3585931B1 (en) 2021-03-03
EP3585931A4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510B1 (ko)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
EP1691477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detecting laundry weight thereof
US10138584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761137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03616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5165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9829B1 (ko) 드럼세탁기의 포량 감지 방법
EP220682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0697103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85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05730A (ko)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3392389B1 (en) Washing machine
US773517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WO2010018201A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inflow thereof
US20090300853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CN108796981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050105731A (ko)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468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144820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및 세탁기
JP200534884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0009321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0580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40068146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28854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4532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