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00A -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 - Google Patents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00A
KR20170039300A KR1020177006348A KR20177006348A KR20170039300A KR 20170039300 A KR20170039300 A KR 20170039300A KR 1020177006348 A KR1020177006348 A KR 1020177006348A KR 20177006348 A KR20177006348 A KR 20177006348A KR 20170039300 A KR20170039300 A KR 2017003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ccommodating
opening
reg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도리 데시마
도모카즈 스다
아카네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유지구에 장착 가능한 청소 시트(B100)로서, 수용부(C100)는, 개구(C110)와, 수용 공간(C200)을 갖고, 수용 공간(C200)은, 제1 유지구에 적응한 제1 수용 영역(C310)과, 제2 유지구에 적응한 제2 수용 영역(C320)을 갖는 청소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CLEANING SHEET AND CLEANING INSTRUMENT PACKAGE}
본 발명은, 청소 대상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8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16313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일본 특허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8-253286호 공보에는, 청소체와 청소체 홀더에 의해 구성되는 청소 용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문헌에 기재된 청소 용구는, 단일의 청소체와 단일의 청소체 홀더에 관련된 기술이 중심이고, 예컨대, 복수 종류의 상이한 청소체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의 기술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개량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8-25328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소 시트는, 복수의 유지구를 장착 가능한 청소 시트로서, 시트형 부재와, 시트형 부재를 중첩함으로써 구성되는 유지구의 수용부와, 중첩된 시트형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수용부의 외연을 구성하는 접합부를 갖는다. 수용부에 있어서의 유지구의 삽입 방향은 삽입축을 규정한다. 수용부는, 개구와, 개구에 연속하고 삽입축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다. 수용 공간은, 복수의 유지구에 있어서의 제1 유지구에 적응한 제1 수용 영역과, 제1 유지구와는 상이한 제2 유지구에 적응한 제2 수용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단일의 청소 시트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구성을 갖는 제1 유지구와 제2 유지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제1 유지구는,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장척부와, 제1 장척부에 형성된 제1 볼록부를 갖는다. 제2 유지구는,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장척부와, 제2 장척부에 형성된 제2 볼록부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수용 영역은, 제1 볼록부를 수용하고, 제2 수용 영역은, 제2 볼록부를 수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제1 수용 영역과 제2 수용 영역은, 삽입축에 있어서 인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접합부는, 제1 수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수용 영역 형성부와, 제2 수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수용 영역 형성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제1 수용 영역은 한쌍의 단부 영역을 갖고, 제1 수용 영역 형성부는, 제1 수용 영역의 한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선단 접합부와, 제1 수용 영역의 다른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후단 접합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제2 수용 영역은 한쌍의 단부 영역을 갖고, 제2 수용 영역 형성부는, 제2 수용 영역의 한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선단 접합부와, 제2 수용 영역의 다른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후단 접합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제1 후단 접합부는, 제2 선단 접합부를 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개구는, 제1 개구와, 삽입축에 있어서 제1 개구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개구와,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개구측 영역과,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2 개구측 영역을 갖는다. 제1 수용 영역 및 제2 수용 영역은, 제1 개구측 영역과 제2 개구측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 관련된 청소 시트에 의하면, 제1 유지구 혹은 제2 유지구를, 제1 개구로부터 삽입한 경우든, 제2 개구로부터 삽입한 경우든, 청소 시트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수용부는, 수용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접합부를 갖는다.
본 양태에 관련된 청소 시트에 의하면, 예컨대 청소 시트에 삽입되는 개소가 두 갈래로 되어 있는 유지구를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소 용구 패키지는, 제1 유지구와, 제1 유지구와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 제2 유지구와, 제1 유지구 및 제2 유지구의 양쪽에 장착 가능한 청소 시트를 갖고, 제1 유지구 혹은 제2 유지구 중 어느 한쪽과, 청소 시트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청소 용구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청소 시트는, 시트형 부재와, 시트형 부재를 중첩함으로써 구성되는 유지구의 수용부와, 중첩된 시트형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수용부의 외연을 구성하는 접합부를 갖는다. 수용부에 있어서의 유지구의 삽입 방향은 삽입축을 규정한다. 수용부는, 개구와, 개구에 연속하고 삽입축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다. 수용 공간은, 제1 유지구에 적응한 제1 수용 영역과, 제2 유지구에 적응한 제2 수용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소 용구 패키지에 의하면, 단일의 청소 시트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구성을 갖는 제1 유지구와 제2 유지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유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제1 유지구에 있어서의 장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제2 유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제2 유지구에 있어서의 장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접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삽입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삽입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삽입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발거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발거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발거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삽입측 영역과 발거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청소 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청소 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청소 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의 실시형태를 도 1∼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청소 용구는, 도 6에 도시된 청소 시트(B100)에, 도 1에 도시된 유지구(G100)를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청소 시트(B100)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일례이고, 유지구(G100)가 본 발명에 따른 「유지구」의 일례이다. 청소 시트(B100)는, 청소 시트(B100)만으로 판매되는 경우와, 청소 시트(B100)와 유지구(G100)가 동시에 곤포되어 판매되는 경우가 있다. 청소 시트(B100)와 유지구(G100)가 곤포되어 판매되는 경우는, 청소 용구 패키지를 구성한다. 또, 유지구(G100)는 용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형태나, 도 3에 도시된 형태가 있다.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유지구를 제1 유지구(G100)라고 칭하고, 도 3에 도시된 유지구를 제2 유지구(G200)라고 칭한다. 청소 용구 패키지에 있어서는, 제1 유지구(G100) 혹은 제2 유지구(G200) 중 어느 한쪽과, 청소 시트(B100)가 조합된다. 또, 제1 유지구(G100)와 제2 유지구(G200)의 양쪽과, 청소 시트(B100)를 조합하여 청소 용구 패키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1 유지구(G100)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지구」의 일례이고, 제2 유지구(G200)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지구」의 일례이다.
청소 시트(B100)는, 1회 사용을 기준으로 한 일회용 타입의 것이나, 청소 대상의 피청소면으로부터 제거한 쓰레기나 먼지를 유지하면서 복수회의 사용을 기준으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일회용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유지구의 설명)
도 1∼도 5에 기초하여, 유지구의 설명을 행한다. 도 1∼도 2는, 제1 유지구(G100)에 관련된 설명도이고, 도 3∼도 5는, 제2 유지구(G200)에 관련된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유지구(G100)는, 청소 시트(B100)의 수용부(C100)에 유지되는 장척부(G110)와, 사용자에 파지되는 핸들부(G160)를 갖는다. 장척부(G110)는, 선단부(G120)와, 기부(G130)와, 상기 선단부(G120)와 기부(G130) 사이에 연장되는 연장부(G140)를 갖는다. 연장부(G140)는, 기부(G130)로부터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부(G130)는 단일이지만, 연장부(G140)와 선단부(G120)는 각각 2개씩 구성된다. 연장부(G140)는 볼록부(G150)를 갖는다. 볼록부(G150)는, 선단부(G120)측의 선단측 볼록부(G151)와, 기부(G130)측의 기부측 볼록부(G152)를 갖는다. 핸들부(G160)는, 선단부(G161)와, 후단부(G162)와, 상기 선단부(G161)와 후단부(G162)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G163)를 갖는다. 장척부(G110)의 기부(G130)와, 핸들부(G160)의 선단부(G161)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제1 유지구(G100)의 장척부(G110)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부(G110)는, 기부(G130)로부터 선단부(G120)에 걸쳐 잠시 두께가 감소하는 테이퍼 구조가 되는 한편, 거시적으로는 대체로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유지구(G200)는, 청소 시트(B100)의 수용부(C100)에 유지되는 장척부(G210)와, 사용자에 파지되는 핸들부(G260)를 갖는다. 장척부(G210)는, 선단부(G220)와, 기부(G230)와, 상기 선단부(G220)와 기부(G230) 사이에 연장되는 연장부(G240)를 갖는다. 연장부(G240)는, 기부(G230)로부터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부(G230)는 단일이지만, 연장부(G240)와 선단부(G220)는 각각 2개씩 구성된다.
연장부(G240)는, 제1 연장부(G241)와 제2 연장부(G242)를 갖는다. 두 갈래 형상의 연장부(G240)에 있어서, 제1 연장부(G241)는 서로 근접하는 위치 관계에 있고, 제2 연장부(G242)는 서로 이격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연장부(G241)는, 제2 축(A100x)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과 같은 만곡 형상이 된다. 2개의 제2 연장부(G242)는, 제2 축(A100x)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과 같은 만곡 형상이 된다.
연장부(G240) 중, 제2 연장부(G242)는 볼록부(G250)를 갖는다. 볼록부(G250)는, 선단부(G220)측의 선단측 볼록부(G251)와, 기부(G230)측의 기부측 볼록부(G252)를 갖는다. 핸들부(G260)는, 선단부(G261)와, 후단부(G262)와, 상기 선단부(G261)와 후단부(G262)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G263)를 갖는다. 장척부(G210)의 기부(G230)와, 핸들부(G260)의 선단부(G261)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제2 유지구(G200)의 장척부(G21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G241)와 제2 연장부(G242)는, 각각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G241)는, 상기 제1 연장부(G241)의 중앙 영역이 도 4에 있어서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고, 제2 연장부(G242)는, 상기 제2 연장부(G242)의 중앙 영역이 도 4에 있어서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다. 따라서, 장척부(G210)는, 거시적으로는 대체로 입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1 유지구(G100)에 있어서의 기부(G130)와 연장부(G140)의 접합 부분과, 제2 유지구(G200)에 있어서의 기부(G230)와 연장부(G240)의 접합 부분을, 제2 축(A100x)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나란히 놓는 것으로 하자. 이 경우, 제2 축(A100x) 상에 있어서, 제1 유지구(G100)의 기부측 볼록부(G152)와, 제2 유지구(G200)의 기부측 볼록부(G252)는, 대략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다. 한편, 제1 유지구(G100)의 선단측 볼록부(G151)는, 제2 유지구(G200)의 선단측 볼록부(G251)와 비교하여, 기부(G130)측 방향에 위치한다.
이 결과, 제1 유지구(G100)를 청소 시트(B100)에 장착한 경우, 선단측 볼록부(G151)와, 기부측 볼록부(G152)는, 모두 도 8에 도시된 제1 수용 영역(C310)에 수용된다. 한편, 제2 유지구(G200)를 청소 시트(B100)에 장착한 경우, 선단측 볼록부(G251)는 제2 수용 영역(C320)에 수용되고, 기부측 볼록부(G252)는 제1 수용 영역(C310)에 수용된다. 또, 제1 수용 영역(C310)과 제2 수용 영역(C32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제1 유지구(G100), 제2 유지구(G200)는,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PP)이 사용되고 있다.
(청소 시트의 기본 구성)
도 6∼도 7에 기초하여, 청소 시트(B100)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청소 시트(B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 시트(B100)는, 시트형 부재(B110)와, 섬유다발(B200)을 갖는다. 시트형 부재(B110)는, 제1 시트(B111)와, 제2 시트(B112)와, 제3 시트(B113)를 갖는다. 제1 시트(B111)와 제2 시트(B112)는 중첩된다. 섬유다발(B200)은, 제2 시트(B112)와 제3 시트(B113) 사이에 배치된다. 시트형 부재(B110)와 섬유다발(B200)은, 소정의 접합부(D100)에 의해 접합된다. 제1 시트(B111)와 제2 시트(B112)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유지구(G100)의 장척부(G110)가 수용되는 수용부(C100)가 형성된다. 또, 수용부(C100)는, 도 3에 도시된 유지구(G200)의 장척부(G210)를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부(C100)는, 제1 시트(B111)와 제2 시트(B112)를 접합부(D100)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수용부(C100)의 외연은, 접합부(D100)에 의해 구성된다. 접합부(D100)와 수용부(C10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이 시트형 부재(B110)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일례이고, 접합부(D100)가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의 일례이고, 수용부(C100)가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의 일례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 시트(B100)는, 수용부(C100)에 대한 장척부(G110, G210)의 삽입 방향(A110y)과 평행한 직선인 제1 축(A100y)을 규정한다. 제1 축(A100y)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A110y)과는 반대측의 방향은 발거 방향(A120y)을 규정한다. 제1 축(A100y)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2 축(A100x)을 규정한다. 이 삽입 방향(A110y)이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방향」의 일례이고, 발거 방향(A120y)이 본 발명에 따른 「발거 방향」의 일례이고, 제1 축(A100y)이 본 발명에 따른 「삽입축」의 일례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C100)는, 개구(C110)와, 개구(C110)에 연속하면서 제1 축(A100y)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C200)을 갖는다. 이 개구(C110)가 본 발명에 따른 「개구」의 일례이고, 수용 공간(C200)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 공간」의 일례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축(A100y)에 있어서, 제1 시트(B111)는 제2 시트(B112)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개구(C110)는, 제1 개구(C111)와, 제1 축(A100y)에 있어서 제1 개구(C111)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개구(C112)를 갖는다. 이 제1 개구(C111)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개구」의 일례이고, 제2 개구(C112)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개구」의 일례이다.
제1 시트(B111), 제2 시트(B112) 및 제3 시트(B113)는, 제2 축(A100x)으로 연장되는 절입(B310)을 복수개 갖는다. 인접하는 절입(B310) 사이에는, 단책편(短冊片)(B300)이 형성된다.
시트형 부재(B110)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섬유다발(B200)은, 청소 대상을 청소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섬유 구성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구성체란,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물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란, 전형적인 단일의 섬유에 의한 것이나, 전형적인 섬유가 길이 방향 및/또는 직경 방향으로 모여 형성되는 것(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사재(絲材)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형적인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 단위이고, 굵기에 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갖는, 가늘고 휘기 쉬운 형태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긴 연속형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 시트(B100)에 있어서, 섬유다발(B200)은,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복수의 섬유에 의한 섬유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집합체는 제2 축(A100x)으로 배향성을 갖는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섬유 집합체는, 제2 축(A100x)으로 배향성을 가지면서 적층된 복수의 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섬유는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굴곡, 변형된다. 따라서, 섬유의 섬유 배향 방향이란, 제품의 설계상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섬유 집합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재질로 하고, 실용상은 토우(tow)를 개섬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의 설명)
다음으로, 도 8에 기초하여 청소 시트(B100)의 수용부(C100)의 설명을 행한다. 수용부(C100)의 외연은, 복수의 접합부(D10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청소 시트(B100)는, 제2 축(A100x)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통과하여 제1 축(A100y)으로 연장되는 분리 접합부(제6 접합부)(D106)를 갖는다. 분리 접합부(D106)에 의해, 수용 공간(C200)은, 도 8에 있어서의 좌우측으로 각각 분리된다. 이 분리 접합부(D106)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접합부」의 일례이다.
개구(C110)는, 제1 개구(C111)와, 제1 축(A100y)에 있어서 제1 개구(C111)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개구(C112)와, 제1 개구(C111)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개구측 영역(C111a)과, 제2 개구(C112)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2 개구측 영역(C112a)을 갖는다. 이 제1 개구(C111)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개구」의 일례이고, 제2 개구(C112)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개구」의 일례이고, 제1 개구측 영역(C111a)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개구측 영역」의 일례이고, 제2 개구측 영역(C112a)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개구측 영역」의 일례이다.
수용 공간(C200)은, 제1 수용 영역(C310)과, 제2 수용 영역(C320)을 갖는다. 제1 수용 영역(C310)은, 제1 유지구(G100)에 적응하고 있다. 제2 수용 영역(C320)은, 제2 유지구(G200)에 적응하고 있다. 이 제1 수용 영역(C310)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용 영역」의 일례이고, 이 제2 수용 영역(C320)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용 영역」의 일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제1 유지구(G100)는, 수용 공간(C200)에 배치되는 제1 장척부(G110)와, 제1 장척부(G110)에 형성된 제1 볼록부(G150)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제2 유지구(G200)는, 수용 공간(C200)에 배치되는 제2 장척부(G210)와, 제2 장척부(G210)에 형성된 제2 볼록부(G250)를 갖는다. 제1 유지구(G100)가 청소 시트(B100)에 장착된 경우, 제1 수용 영역(C310)은, 제1 볼록부(G150)를 수용한다. 제2 유지구(G200)가 청소 시트(B100)에 장착된 경우, 제2 수용 영역(C320)은, 제2 볼록부(G250)를 수용한다. 또, 「수용 영역에 볼록부가 수용된다」란, 유지구가 갖는 모든 볼록부가, 특정한 수용 영역에 전부 수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유지구(G200)의 제2 볼록부(G250)는 2개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이라도 제2 수용 영역(C320)에 수용되면 족한 것이다.
제1 수용 영역(C310)과 제2 수용 영역(C320)은, 제1 축(A100y)에 있어서 인접한다. 제1 수용 영역(C310)은, 선단부(C311)와 후단부(C312)를 갖고, 제2 수용 영역(C320)은, 선단부(C321)와 후단부(C322)를 갖는다. 이 제1 장척부(G110)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척부」의 일례이다. 이 제1 볼록부(G150)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볼록부」의 일례이다. 이 제2 장척부(G220)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척부」의 일례이다. 이 제2 볼록부(G250)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볼록부」의 일례이다.
(접합부의 설명)
다음으로, 도 9에 기초하여 청소 시트(B100)의 접합부(D100)의 설명을 행한다. 접합부(D100)는, 시트형 부재(B110)와 섬유다발(B200)을 열용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접합부(D100)는, 제1 접합부(D101)와, 제2 접합부(D102)와, 제3 접합부(D103)와, 제4 접합부(D104)와, 제5 접합부(D105)와, 제6 접합부(D106)를 갖는다. 제1 접합부(D101)∼제4 접합부(D104)는, 제2 축(A100x) 상에 있어서 각각 한쌍씩 형성된다. 제1 접합부(D101)∼제5 접합부(D105)는, 제1 개구측 영역(C111a)과, 제2 개구측 영역(C112a)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제1 접합부(D101), 제2 접합부(D102), 제3 접합부(D103), 제4 접합부(D104)는, 개구(C110)로부터 보아 이 순서로 배치된다. 제5 접합부(D105)는, 제2 접합부(D102)를 통과하는 제2 축(A100x) 상에 있어서의, 제6 접합부(D106)의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9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접합부(D105)와 제6 접합부(D106)는,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접합부(D106)는, 제1 시트(B111), 제2 시트(B112), 섬유다발(D200) 및 제3 시트(B113)를 접합한다. 한편, 제1 접합부(D101)∼제5 접합부(D105)는, 제1 시트(B111)와 제2 시트(B112)를 접합하면서, 섬유다발(B200)의 일부를 접합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C200)은, 제2 축(A100x)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공간 영역(C201)과, 제1 공간 영역(C201)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공간 영역(C202)을 갖는다. 제1 공간 영역(C201)은, 제1 축(A100y)에 있어서, 제2 공간 영역(C202)보다 개구(C110)측에 형성된다. 제1 공간 영역(C201)은, 한쌍의 제1 접합부(D101) 사이에 형성된다. 제2 공간 영역(C202)은, 한쌍의 제2 접합부(D102) 사이에 형성된다. 즉, 제2 축(A100x)에 있어서, 한쌍의 제1 접합부(D101)끼리의 간격은, 한쌍의 제2 접합부(D102)끼리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1 공간 영역(C201) 및 제2 공간 영역(C202)은, 제1 개구측 영역(C111a)과 제2 개구측 영역(C112a)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공간 영역(C202)에는, 제5 접합부(D105)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C100)에 있어서, 제5 접합부(D105)는, 수용부(C100)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강성이 높은 고강성부(C400)를 형성한다. 이 때, 수용부(C100)의 외연을 형성하는 제1 접합부(D101)∼제4 접합부(D104)는 「수용부(C100)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에는 상당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축(A100x)에 있어서, 제5 접합부(D105)의 길이는, 제6 접합부(D106)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5 접합부(D105)(고강성부(C400))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는, 수용부(C100)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전술한 제1 수용 영역(C310)은 유지구(G100)의 볼록부(G150)를 수용한다. 또한, 제2 수용 영역(C320)은, 유지구(G200)의 볼록부(G250)를 수용한다. 따라서, 제1 수용 영역(C310)과 제2 수용 영역(C320)은, 볼록부 수용 영역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제1 수용 영역(C310)은, 제1 수용 영역 형성부(D110)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수용 영역(C320)은, 제2 수용 영역 형성부(D210)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제1 수용 영역 형성부(D110)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용 영역 형성부」의 일례이고, 제2 수용 영역 형성부(D210)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용 영역 형성부」의 일례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용 영역(C310)은, 선단부(C311)와 후단부(C312)를 갖고, 제2 수용 영역(C320)은, 선단부(C321)와 후단부(C322)를 갖는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용 영역 형성부(D110)는, 제1 수용 영역(C310)의 선단부(C311)를 형성하는 제1 선단 접합부(D111)와, 제1 수용 영역(C310)의 후단부(C322)를 형성하는 제1 후단 접합부(D112)를 갖는다. 이 때, 제1 선단 접합부(D111)는, 제3 접합부(D103)에 의해 구성되고, 제1 후단 접합부(D112)는, 제2 접합부(D102)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2 수용 영역 형성부(D210)는, 제2 수용 영역(C320)의 선단부(C321)를 형성하는 제2 선단 접합부(D211)와, 제2 수용 영역(C320)의 후단부(C322)를 형성하는 제2 후단 접합부(D212)를 갖는다. 이 때, 제2 선단 접합부(D211)는, 제2 접합부(D102)에 의해 구성되고, 제2 후단 접합부(D212)는, 제1 접합부(D101)에 의해 구성된다. 즉, 제2 접합부(D102)는, 제1 후단 접합부(D112)와, 제2 선단 접합부(D211)를 겸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수용 영역(C310)과 제2 수용 영역(C320)은 인접된다.
이 제1 선단 접합부(D111)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선단 접합부」의 일례이고, 제1 후단 접합부(D112)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단 접합부」의 일례이고, 제2 선단 접합부(D211)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선단 접합부」의 일례이고, 제2 후단 접합부(D212)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후단 접합부」의 일례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수용 영역 형성부(D110)와 제2 수용 영역 형성부(D210)는, 각각 한쌍의 접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수용 영역 형성부(D110)와 제2 수용 영역 형성부(D210)를 각각 단일의 접합부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합부에 있어서의 삽입측 영역과 발거측 영역의 설명)
다음으로, 도 10∼도 17에 기초하여, 접합부(D100)에 있어서의 삽입측 영역(D300)과 발거측 영역(D400)의 설명을 행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삽입측 영역(D300)과, 발거측 영역(D400)에 관련된 설명은, 제1 접합부(D101)∼제3 접합부(D103)에 형성된다. 도 10∼도 17에 있어서는, 삽입측 영역(D300)과 발거측 영역(D400)을 갖는 접합부로서, 제2 접합부(D102)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유지구로서 제1 유지구(G100)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접합부(D102)는, 수용부(C100)에 유지구(G100)의 장척부(G110)를 수용시키기 위해 유지구(G100)를 삽입 방향(A110y)으로 이동한 경우에, 볼록부(G150)와 접촉하는 삽입측 영역(D300)을 갖는다. 또한, 제2 접합부(D102)는, 수용부(C100)에 수용된 장척부(G110)를 발거 방향(A120y)으로 이동한 경우에, 볼록부(G150)와 접촉하는 발거측 영역(D400)을 갖는다.
삽입측 영역(D30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방향(A110y)으로 이동하는 볼록부(G150)가 최초로 접촉하는 삽입 개시점(D301)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방향(A110y)으로 이동하는 볼록부(G150)가 마지막으로 접촉하는 삽입 종료점(D302)을 규정한다. 삽입측 영역(D300)은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개시점(D301)과 삽입 종료점(D302)을 연결한 직선인 삽입 제1 직선(D303)과, 삽입 개시점(D301)을 통과하는 제2 축(A100x) 상의 직선인 삽입 제2 직선(D304)과, 삽입 제1 직선(D303)과 삽입 제2 직선(D304)이 형성하는 각도인 삽입 각도(D305)를 규정한다.
발거측 영역(D400)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거 방향(A120y)으로 이동하는 볼록부(G150)가 최초로 접촉하는 발거 개시점(D401)과,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거 방향(A120y)으로 이동하는 볼록부(G150)가 마지막으로 접촉하는 발거 종료점(D402)을 규정한다. 발거측 영역(D400)은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거 개시점(D401)과 발거 종료점(D402)을 연결한 직선인 발거 제1 직선(D403)과, 발거 종료점(D402)을 통과하는 제2 축(A100x) 상의 직선인 발거 제2 직선(D404)과, 발거 제1 직선(D403)과 발거 제2 직선(D404)이 형성하는 각도인 발거 각도(D405)를 규정한다.
도 13에 도시된 삽입 각도(D305)는, 도 16에 도시된 발거 각도(D405)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도 10∼도 16에서 설명한 삽입측 영역(D300)과 발거측 영역(D400)의 구성은, 제1 접합부(D101)∼제3 접합부(D103)에 형성된다. 여기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합부(D101)에 있어서의 삽입측 영역(D300)을 제1 삽입측 영역(D310), 제2 접합부(D102)에 있어서의 삽입측 영역(D300)을 제2 삽입측 영역(D320), 제3 접합부(D103)에 있어서의 삽입측 영역(D300)을 제3 삽입측 영역(D330)이라고 칭한다. 또한, 제1 접합부(D101)에 있어서의 발거측 영역(D400)을 제1 발거측 영역(D410), 제2 접합부(D102)에 있어서의 발거측 영역(D400)을 제2 발거측 영역(D420), 제3 접합부(D103)에 있어서의 발거측 영역(D400)을 제3 발거측 영역(D430)이라고 칭한다.
(동작의 설명)
다음으로, 도 18∼도 20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8∼도 19는, 제1 유지구(G100)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 설명도, 도 20은, 제2 유지구(G200)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 설명도이다. 또, 편의상, 장척부(G140, G240)의 일방측의 동작만을 설명한다.
우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유지구(G100)의 선단부(G120)를, 청소 시트(B100)의 제1 개구(C111)로부터 수용부(C100)에 삽입한다. 이 때, 제1 접합부(D101)가 제1 공간 영역(C201)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2 축(A100x)에 있어서의 제1 개구(C111)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단부(G120)를 용이하게 제1 개구(C111)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제1 유지구(G100)를 삽입 방향(A100y)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선단측 볼록부(G151)가 제1 접합부(D101)의 제1 삽입측 영역(D310)에 접촉한다. 이 때, 제1 삽입측 영역(D310)은 전술한 삽입 각도(D305)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큰 저항을 가하지 않고, 원활히 제1 유지구(G100)의 장척부(G110)를 수용부(C100)에 삽입할 수 있다.
장척부(G110)는, 삽입 각도(D305)를 갖는 제1 삽입측 영역(D310)에 의해, 내측 방향(제6 접합부(D106)가 존재하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제1 접합부(D101)는 제1 공간 영역(C201)을 규정하고, 제2 접합부(D102)는, 제2 공간 영역(C202)을 규정한다. 제2 공간 영역(C202)은, 제2 축(A100x)에 있어서, 제1 공간 영역(C201)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장척부(G11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공간 영역(C201)으로부터 제2 공간 영역(C202)으로 진행되는데, 이 때, 장척부(G110)는, 휜 상태인 채로 진행된다. 따라서, 장척부(G110)의 선단측 볼록부(G151)가 제2 공간 영역(C202)에 도달하고, 제2 공간 영역(C202)을 넘음에 있어, 사용자는 큰 저항을 가하지 않고, 원활히 장척부(G110)를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1 접합부(D101)의 제1 삽입측 영역(D310)은, 제1 공간 영역(C201)으로부터 제2 공간 영역(C202)에 걸쳐 유지구(G100)를 유도하는 유도부(E100)라고 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의해, 장척부(G110)는, 휜 상태인 채로 제2 공간 영역(C202)을 진행되는데, 제2 공간 영역(C202)에는 제5 접합부(D10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5 접합부(D1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강성부(C400)를 형성하기 때문에, 선단측 볼록부(G151)가 제2 접합부(D102)를 통과함에 있어, 수용부(C100)가 크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장척부(G110)가 진행되고, 선단측 볼록부(G151)가 제1 개구측 영역(C111a)을 경유하여 제2 개구측 영역(C112a)에 도달한다. 이 때, 후단측 볼록부(G152)는 제1 개구측 영역(C111a)에 있어서의 제1 접합부(D101)와 제2 접합부(D102)를 통과한다. 이 후단측 볼록부(G152)가 제1 접합부(D101)와 제2 접합부(D102)를 통과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유도부(E100)와 고강성부(C400)의 동작은, 전술한 선단측 볼록부(G151)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9는, 수용부(C100)에 대한 장척부(G110)의 수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 선단측 볼록부(G151)는, 제2 개구측 영역(C112a)의 제1 수용 영역(C310)에 수용된다. 후단측 볼록부(G152)는, 제1 개구측 영역(C111a)의 제1 수용 영역(C310)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청소 용구에 의해 청소 작업을 행한다. 청소 작업 중에 있어서, 청소 시트(B100)와 청소 대상의 마찰에 의해, 청소 시트(B100)와 장척부(G110)의 위치 관계가 장착 시점과는 상이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즉, 유지구(G100)가 더욱 삽입 방향(A110y)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사태가 생긴다. 이 경우, 선단측 볼록부(G151)는, 제2 개구측 영역(C112a)의 제2 접합부(D102)에 있어서의 제2 발거측 영역(D420)에 접촉된다. 이 때, 제2 접합부(D102)는 제2 공간 영역(C202)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선단측 볼록부(G151)를, 제2 접합부(D102)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거측 영역(D420)은, 발거 각도(D405)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선단측 볼록부(G151)는, 제2 개구측 영역(C112a)의 제2 접합부(D102)를 넘기 어려운 구성이다. 따라서, 유지구(G100)의 추가적인 삽입 방향(A110y)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이것을 바꿔 말하면, 제1 개구(C111)로부터 삽입된 유지구(G100)에 대하여, 제2 개구 영역(C112a)에 배치된 발거측 영역(D400)은, 유지구(G100)의 삽입을 억제하는 억제부(F100)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유지구(G100)가 발거 방향(A120y)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사태가 생긴다. 이 경우, 후단측 볼록부(G152)는, 제1 개구측 영역(C111a)의 제2 접합부(D102)에 있어서의 제2 발거측 영역(D420)에 접촉된다. 이 때, 제2 접합부(D102)는 제2 공간 영역(C202)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후단측 볼록부(G152)를, 제2 접합부(D102)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거측 영역(D420)은, 발거 각도(D405)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후단측 볼록부(G152)는, 제1 개구측 영역(C111a)의 제2 접합부(D102)를 넘기 어려운 구성이다. 따라서, 유지구(G100)의 발거 방향(A120y)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도 20은, 수용부(C100)에 대한 제2 유지구(G20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 선단측 볼록부(G251)는, 제2 개구측 영역(C112a)의 제2 수용 영역(C320)에 수용된다. 후단측 볼록부(G252)는, 제1 개구측 영역(C111a)의 제1 수용 영역(C310)에 수용된다.
또, 장척부(G210)를 수용부(C100)에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유도부(E100)의 동작이나, 청소 중에 있어서의 억제부(F100)에 관련된 동작은, 도 18∼도 19에 관련된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2 유지구(G200)를 청소 시트(B100)에 장착한 경우, 억제부(F100)는 제1 접합부(D101)에 있어서의 제1 발거 영역(D410)과, 제2 접합부(D102)에 있어서의 제2 발거 영역(D420)의 양쪽에 형성된다. 즉, 청소 작업 중에, 제2 유지구(G200)가 더욱 삽입 방향(A110y)으로 이동하고자 한 경우에는, 선단측 볼록부(G251)가, 제1 발거 영역(D410)(억제부(F100))에 접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G242)는, 제2 축(A100x)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유지구(G200)가 더욱 삽입 방향(A100y)으로 이동하고자 한 경우에는, 제2 연장부(G242)의 만곡 부분이, 제2 발거 영역(D420)(억제부(F100))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유지구(G200)의 경우는, 억제부(F100)가, 제1 발거 영역(D410)과 제2 발거 영역(D420)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청소 작업 중에 제2 유지구(G200)가, 삽입 방향(A110y)으로 이동하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또, 제2 유지구(G200)에 있어서의 선단측 볼록부(G251)나, 제2 연장부(G242)의 구성에 따라서는, 제1 발거 영역(D410)과 제2 발거 영역(D420) 중 어느 한쪽이 억제부(F100)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의 대응에 관해서)
청소 시트(B100)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일례이다. 유지구(G100)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구」의 일례이다. 제1 유지구(G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지구」의 일례이다. 제2 유지구(G2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지구」의 일례이다. 시트형 부재(B11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일례이다. 접합부(D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의 일례이다. 수용부(C10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의 일례이다. 삽입 방향(A110y)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방향」의 일례이다. 발거 방향(A120y)은 본 발명에 따른 「발거 방향」의 일례이다. 제1 축(A100y)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축」의 일례이다. 개구(C110)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의 일례이다. 수용 공간(C20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 공간」의 일례이다. 분리 접합부(D106)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접합부」의 일례이다. 제1 개구(C1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개구」의 일례이다. 제2 개구(C1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개구」의 일례이다. 제1 개구측 영역(C111a)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개구측 영역」의 일례이다. 제2 개구측 영역(C112a)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개구측 영역」의 일례이다. 제1 수용 영역(C3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용 영역」의 일례이고, 제2 수용 영역(C3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용 영역」의 일례이다. 제1 장척부(G1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척부」의 일례이다. 제1 볼록부(G150)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볼록부」의 일례이다. 제2 장척부(G220)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척부」의 일례이다. 제2 볼록부(G250)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볼록부」의 일례이다. 제1 수용 영역 형성부(D1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용 영역 형성부」의 일례이다. 제2 수용 영역 형성부(D2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용 영역 형성부」의 일례이다. 제1 선단 접합부(D1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선단 접합부」의 일례이다. 제1 후단 접합부(D1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단 접합부」의 일례이다. 제2 선단 접합부(D2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선단 접합부」의 일례이다. 제2 후단 접합부(D2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후단 접합부」의 일례이다.
A100y: 제1 축, A110y: 삽입 방향, A120y: 발거 방향, A100x: 제2 축, B100: 청소 시트, B110: 시트형 부재, B111: 제1 시트, B112: 제2 시트, B113: 제3 시트, B200: 섬유다발, B300: 단책편, B310: 절입, C100: 수용부, C110: 개구, C111: 제1 개구, C111a: 제1 개구측 영역, C112: 제2 개구, C112a: 제2 개구측 영역, C200: 수용 공간, C201: 제1 공간 영역, C202: 제2 공간 영역, C300: 볼록부 수용 영역, C310: 제1 수용 영역, C311: 선단부, C312: 후단부, C320: 제2 수용 영역, C321: 선단부, C322: 후단부, C400: 고강성부, D100: 접합부, D101: 제1 접합부, D102: 제2 접합부, D103: 제3 접합부, D104: 제4 접합부, D105: 제5 접합부, D106: 제6 접합부(분리 접합부), D110: 제1 수용 영역 형성부, D111: 제1 선단 접합부, D112: 제1 후단 접합부, D210: 제2 수용 영역 형성부, D211: 제2 선단 접합부, D212: 제2 후단 접합부, D300: 삽입측 영역, D301: 삽입 개시점, D302: 삽입 종료점, D303: 삽입 제1 직선, D304: 삽입 제2 직선, D305: 삽입 각도, D310: 제1 삽입측 영역, D320: 제2 삽입측 영역, D330: 제3 삽입측 영역, D400: 발거측 영역, D401: 발거 개시점, D402: 발거 종료점, D403: 발거 제1 직선, D404: 발거 제2 직선, D405: 발거 각도, D410: 제1 발거측 영역, D420: 제2 발거측 영역, D430: 제3 발거측 영역, E100: 유도부, F100: 억제부, G100: 유지구(제1 유지구), G110: 장척부, G120: 선단부, G130: 기부, G140: 연장부, G150: 볼록부(제1 볼록부), G151: 선단측 볼록부, G152: 기부측 볼록부, G160: 핸들부, G161: 선단부, G162: 후단부, G163: 파지부, G200: 제2 유지구, G210: 장척부, G220: 선단부, G230: 기부, G240: 연장부, G241: 제1 연장부, G242: 제2 연장부, G250: 볼록부(제2 볼록부), G251: 선단측 볼록부, G252: 기부측 볼록부, G260: 핸들부, G261: 선단부, G262: 후단부, G263: 파지부

Claims (10)

  1. 복수의 유지구를 장착 가능한 청소 시트로서,
    시트형 부재와, 상기 시트형 부재를 중첩함으로써 구성되는 상기 유지구의 수용부와, 중첩된 상기 시트형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외연을 구성하는 접합부를 갖고,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구의 삽입 방향은 삽입축을 규정하고,
    상기 수용부는, 개구와, 상기 개구에 연속하고 상기 삽입축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 공간은, 복수의 상기 유지구에 있어서의 제1 유지구에 적응한 제1 수용 영역과, 상기 제1 유지구와는 상이한 제2 유지구에 적응한 제2 수용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구는,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장척부와, 상기 제1 장척부에 형성된 제1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2 유지구는,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장척부와, 상기 제2 장척부에 형성된 제2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수용 영역은, 상기 제1 볼록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볼록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영역과 상기 제2 수용 영역은, 상기 삽입축에 있어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수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수용 영역 형성부와, 상기 제2 수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수용 영역 형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영역은 한쌍의 단부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수용 영역 형성부는, 상기 제1 수용 영역의 한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선단 접합부와, 상기 제1 수용 영역의 다른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후단 접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영역은 한쌍의 단부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수용 영역 형성부는, 상기 제2 수용 영역의 한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선단 접합부와, 상기 제2 수용 영역의 다른쪽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후단 접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단 접합부는, 상기 제2 선단 접합부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제1 개구와, 상기 삽입축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개구와,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개구측 영역과,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2 개구측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수용 영역 및 상기 제2 수용 영역은, 상기 제1 개구측 영역과 상기 제2 개구측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접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0. 제1 유지구와, 상기 제1 유지구와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 제2 유지구와, 상기 제1 유지구 및 상기 제2 유지구의 양쪽에 장착 가능한 청소 시트를 갖고, 상기 제1 유지구 혹은 상기 제2 유지구 중 어느 한쪽과, 상기 청소 시트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청소 용구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청소 시트는,
    시트형 부재와, 상기 시트형 부재를 중첩함으로써 구성되는 상기 유지구의 수용부와, 중첩된 상기 시트형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외연을 구성하는 접합부를 갖고,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구의 삽입 방향은 삽입축을 규정하고,
    상기 수용부는, 개구와, 상기 개구에 연속하고 상기 삽입축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1 유지구에 적응한 제1 수용 영역과, 상기 제2 유지구에 적응한 제2 수용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패키지.
KR1020177006348A 2014-08-08 2015-07-14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 KR20170039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3138 2014-08-08
JP2014163138A JP2016036628A (ja) 2014-08-08 2014-08-08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パッケージ
PCT/JP2015/070182 WO2016021378A1 (ja) 2014-08-08 2015-07-14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パッケー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00A true KR20170039300A (ko) 2017-04-10

Family

ID=5526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348A KR20170039300A (ko) 2014-08-08 2015-07-14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224187A1 (ko)
EP (1) EP3187088A4 (ko)
JP (1) JP2016036628A (ko)
KR (1) KR20170039300A (ko)
CN (1) CN106572777B (ko)
AU (1) AU2015300317A1 (ko)
PH (1) PH12017500210A1 (ko)
TW (1) TWI687192B (ko)
WO (1) WO2016021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9135A1 (de) 2017-03-28 2018-10-04 Hyundai Motor Company Elektronische Steuereinheit (ECU), Autonomes Fahrzeug, das die ECU aufweist,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nahen Fahrzeugs dafü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4549B1 (en) * 2021-09-17 2023-01-31 Carl Freudenberg Kg Multidirectional dusting to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286A (ja) 2007-03-30 2008-10-23 Uni Charm Corp 清掃体及び清掃用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72500U (en) * 2004-12-22 2005-08-11 Rock Tone Entpr Co Ltd Dust removal whisk structure
US7827650B2 (en) * 2005-11-12 2010-11-09 First Quality Retail Services, Llc Disposable cleaning pad
CA2629243C (en) * 2005-11-12 2015-02-17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Disposable cleaning pad
JP4709105B2 (ja) * 2006-09-12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048376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235501B2 (ja) * 2007-05-28 2013-07-10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US8578564B2 (en) * 2009-11-05 2013-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for removable cleaning implement
JP5427628B2 (ja) * 2010-02-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JP2013046717A (ja) * 2011-08-29 2013-03-07 Hada Riki株式会社 清掃用積層体
JP5918494B2 (ja) * 2011-09-30 2016-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ホルダ、清掃用具
JP5912503B2 (ja) * 2011-11-15 2016-04-27 山田 菊夫 清掃部材、清掃具、及び清掃部材の折り畳み構造体
JP6141023B2 (ja) * 2013-01-10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ウを含むウエブ部材の製造方法
JP6239827B2 (ja) * 2013-02-07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5484622B1 (ja) * 2013-02-0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286A (ja) 2007-03-30 2008-10-23 Uni Charm Corp 清掃体及び清掃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9135A1 (de) 2017-03-28 2018-10-04 Hyundai Motor Company Elektronische Steuereinheit (ECU), Autonomes Fahrzeug, das die ECU aufweist,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nahen Fahrzeugs da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7088A4 (en) 2018-02-07
CN106572777B (zh) 2019-11-05
US20170224187A1 (en) 2017-08-10
CN106572777A (zh) 2017-04-19
PH12017500210A1 (en) 2017-07-10
EP3187088A1 (en) 2017-07-05
JP2016036628A (ja) 2016-03-22
WO2016021378A1 (ja) 2016-02-11
TW201620434A (zh) 2016-06-16
AU2015300317A1 (en) 2017-03-30
TWI687192B (zh)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1796B2 (ja) 歯間清掃具
JP6272394B2 (ja)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JP5790972B2 (ja) 留置針装置
KR20170039300A (ko)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패키지
CN105555167A (zh) 用于机动车洗涤系统的旋转刷子
JP2007136156A (ja) 清掃具
KR20170039304A (ko)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WO2018186245A1 (ja) 連結具、雄型クリップ、シートカバー、及びシート
JP7252708B2 (ja) 歯間清掃具及び基部の製造方法
TWI751183B (zh) 被覆層去除工具
JP6440029B2 (ja) 間接活線作業用クリップ及び間接活線作業用クリップ組立体
JP2017176488A (ja) 歯間清掃具及び歯間清掃具群
KR20200034658A (ko) 칫솔
JP6506964B2 (ja)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JP6820999B1 (ja) ハンガー及びその使用方法
WO2020217712A1 (ja) 清掃シート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具及び保持具を用いた清掃具
JP5590840B2 (ja) 清掃用シート
JP5237255B2 (ja) 掃除具
US20210145554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JP6155508B2 (ja) 光ファイバの一括融着接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