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658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658A
KR20200034658A KR1020197021602A KR20197021602A KR20200034658A KR 20200034658 A KR20200034658 A KR 20200034658A KR 1020197021602 A KR1020197021602 A KR 1020197021602A KR 20197021602 A KR20197021602 A KR 20197021602A KR 20200034658 A KR20200034658 A KR 20200034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length
rear end
bulging portion
bul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898B1 (ko
Inventor
사야 노자와
히로유키 코바야시
마사시 키타하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부(30)는, 장축방향의 제1 위치(P1)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제1 팽출부(41)와, 제1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2 위치(P2)에서 길이가 최소가 되는 제1 잘록부(43)와, 제1 잘록부보다도 후단측의 제3 위치(P3)에서 길이가 최대가 되는 제2 팽출부(42)와, 제2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4 위치(P4)에서 길이가 최소가 되는 제2 잘록부(44)를 갖는다. 제1 잘록부의 최소 길이를 PW2, 제2 팽출부의 최대 길이를 PW3으로 하면, PW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W3/PW2는, 1.3 이상, 1.5 이하이다. 제1 위치의 두께를 PT1, 제3 위치의 두께를 PT3으로 하면, PT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T3/PT1은, 1.7 이상, 2.5 이하이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7월 31일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7-147972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구강내 청소를 구석구석까지 달성할 수 있도록,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에 주시하여 식모부의 컴팩트화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구강 청소를 컴팩트한 식모부로 행하는 경우, 청소 방법의 숙련이나 청소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래서, 식모부가 대형화된 타입의 헤드(와이드 헤드)를 갖는 칫솔이 개발되어 있는데, 식모부가 폭광(幅廣) 설계이기 때문에, 쇄모부(刷毛部)가 적절하게 청소부위에 도달하기 어려운 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쇄모 타입이나 배열을 궁리함에 의해, 복수의 청소부위를 동시에 쇄소(刷掃)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청소성을 갖는 와이드 헤드 사양의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6-209616호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와이드 헤드 사양의 칫솔에서는, 청소성은 어느 정도 개선되는 것이지만, 청소부위에 당접한 때의 모속의 간섭이 크기 때문에, 파지한 핸들부가 흔들거려 안정된 청소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핸들부의 잡기 쉬움, 미끄러지기 어려움을 개선하여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핸들부의 표면에 러버 등의 연성부를 마련하는 것도 고려되어진다.
그런데, 이 경우, 복수 종류의 수지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에 더하여 2색 성형 등으로 핸들부를 제작할 필요가 있어서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와이드 헤드 사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컴팩트 사양의 헤드에서도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양상에 따르면,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식모면에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그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네크부와, 그 네크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네크부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정면방향에서 본 정면시로 상기 장축방향 및 상기 정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1 팽출부와, 상기 제1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1 잘록부와, 상기 제1 잘록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2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2 잘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네크부와 상기 제1 잘록부 사이의 제1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1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 사이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제2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와 상기 제2 잘록부 사이의 제3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2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4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2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3으로 하면, 상기 PW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W3/PW2는, 1.3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1으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3으로 하면, 상기 PT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T3/PT1은, 1.7 이상,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 상기 제1 잘록부, 상기 제2 팽출부 및 상기 제2 잘록부는, 각각 상기 정면시의 윤곽선이 상기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팽출부 또는 잘록부와 서로 외접하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보다도 큰 편평 형상이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개략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정면측과 배면측의 적어도 일방은,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갖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칫솔(1)의 정면도.
도 2는 동 칫솔(1)의 측면도.
도 3은 동 칫솔(1)의 배면도.
도 4는 제1 위치(P1)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의 제1 위치(P1)을 확대한 측면도.
도 6은 제3 위치(P3)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
도 7은 제4 위치(P4)를 포함하는 핸들부(30)의 후단을 확대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의 폭이 대형화된 와이드 헤드 사양의 칫솔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고 있다.
도 1은, 칫솔(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칫솔(1)의 배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장축방향의 선단측(이하, 단지 선단측이라고 칭한다)에 배치되어 용모(用毛)의 모속(도시 생략)이 식모된 헤드부(10)와, 헤드부(10)의 장축방향 후단측(이하, 단지 후단측이라고 칭한다)에 연설된 네크부(20)와, 네크부(20)의 후단측에 연설된 핸들부(30)(이하, 헤드부(10)와 네크부(20)와 핸들부(30)를 합쳐서 핸들체(2)라고 칭한다)을 구비한다.
헤드부(10)는, 두께방향의 일방에 식모면(11)을 갖고 있다. 또한, 이후, 상기 두께방향에서 식모면(11)측을, 정면방향의 정면측으로 하고, 식모면(11)과 반대측을 배면측으로 하고, 상기 정면방향 및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단지 두께라고 칭한다. 식모면(11)에는, 식모구멍(1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식모구멍(12)에는, 용모의 모속(도시 생략)이 식설되어 있다.
헤드부(10)는, 폭이 넓은 와이드 헤드 사양이다. 헤드부(10)의 최대폭(W1)은, 13㎜ 이상, 16㎜ 이하이다. 헤드부(10)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 이상, 33㎜ 이하가 바람직하다. 헤드부(10)의 길이가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모속을 식설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복수의 식모구멍(12) 중, 헤드부(10)의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과 헤드부(10)의 선단까지의 거리와, 헤드부(10)의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과 헤드부(10)의 후단까지의 거리는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헤드부(10)의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과 헤드부(10)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하면, 헤드부(10)와 네크부(20)와의 경계 위치는, 헤드부(10)의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부터 거리(d)와 동등한 거리만큼 후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이다.
헤드부(10)의 두께는, 핸들체(2)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2.0㎜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상,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헤드부(1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어금니의 속으로의 도달성을 높게 함과 함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네크부(20)의 길이는, 헤드부(10)를 구강내에 삽입한 때에 네크부(20)가 입술에 접하기 때문에, 4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네크부(20)의 최소폭 및 최소 두께는, 예를 들면, 3.0㎜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네크부(2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입술을 다물기 쉽고, 또한 어금니에의 도달성을 높게 함과 함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크부(20)와 핸들부(30)와의 경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에서의 경계(31)와 배면측에서의 경계(32)가 존재하는데(도 5 참조), 상기 네크부(20)의 길이를 산출할 때의 후단측의 위치는, 정면측에서의 경계(31)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네크부(20)는, 정면측 및 배면측의 쌍방이 식모면(11)과 거의 평행하게 늘어나 있다. 네크부(20)의 정면측은, 측면시로 정면측에 극률(極率) 중심을 가지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정면측)을 향하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21)을 갖고 있다. 네크부(20)의 배면측은, 측면시로 배면측에 극률 중심을 가지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방(배면측)을 향하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22)를 갖고 있다.
핸들부(30)는, 도 1의 정면시 및 도 3의 배면시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방향의 길이가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1 팽출부(41) 및 제2 팽출부(42)와, 폭방향의 길이가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1 잘록부(43) 및 제2 잘록부(44)와, 후단 근방에 배치된 관통구멍(46)을 갖고 있다. 제1 팽출부(41), 제1 잘록부(43), 제2 팽출부(42) 및 제2 잘록부(44)는, 선단측부터 장축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부(30)의 정면측에는 홈부(45A)가 형성되고, 핸들부(30)의 배면측에는 홈부(4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팽출부(41)는, 장축방향에서 선단측의 제1 위치(P1)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제1 위치(P1)는, 장축방향에서의 네크부(20)와 제1 잘록부(43) 사이에서 제1 팽출부(41)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위치이다. 제1 잘록부(43)는, 장축방향에서 제1 위치(P1)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제2 위치(P2)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된다. 제2 위치(P2)는, 장축방향에서의 제1 팽출부(41)와 제2 팽출부(42) 사이에서 제1 잘록부(43)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위치이다. 제2 팽출부(42)는, 장축방향에서 제2 위치(P2)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제3 위치(P3)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제3 위치(P3)는, 장축방향에서의 제1 잘록부(43)와 제2 잘록부(44) 사이에서 제2 팽출부(42)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위치이다. 제2 잘록부(44)는, 장축방향에서 제3 위치(P3)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제4 위치(P4)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된다. 제4 위치(P4)는, 장축방향에서의 제3 위치(P3)보다도 후단측에서 제2 잘록부(44)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위치이다. 즉, 제3 위치(P3)에서의 폭이 좁아지는 양연(兩緣)을 형성하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부터, 폭이 넓어지는 곡선 또는 직선, 또는 폭이 같은 직선으로 변화하는 위치이다.
제1 팽출부(41), 제1 잘록부(43), 제2 팽출부(42) 및 제2 잘록부(44)는, 각각 정면시의 윤곽선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팽출부 또는 잘록부와 서로 외접하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팽출부(41)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중앙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을 갖고 있다. 제1 잘록부(43)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을 갖고 있다. 제2 팽출부(42)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중앙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3)을 갖고 있다. 제2 잘록부(44)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4)를 갖고 있다. 각 곡선 윤곽(C1∼C4)은,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있다.
핸들부(30)는, 제1 팽출부(41)의 폭방향의 길이(제1 위치(P1)에서의 폭)를 PW1로 하고, 제1 잘록부(43)의 폭방향의 길이(제2 위치(P2)에서의 폭)를 PW2로 하고, 제2 팽출부(42)의 폭방향의 길이(제3 위치(P3)에서의 폭)를 PW3으로 하고, 제2 잘록부(44)의 폭방향의 길이(제4 위치(P4)에서의 폭)를 PW4로 하면, 이하의 관계(1), (2)를 각각 만족하고 있다.
PW3>PW1>PW2 …(1)
PW3>PW4>PW2 …(2)
제1 위치(P1)에서의 폭(PW1)으로서는, 14㎜ 이상, 17㎜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 위치(P2)에서의 폭(PW2)으로서는, 11㎜ 이상, 14㎜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3 위치(P3)에서의 폭(PW3)으로서는, 1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4 위치(P4)에서의 폭(PW4)으로서는, 12.5㎜ 이상, 15.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의 폭의 차(PW1-PW2)는 2.5㎜ 이상, 3.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3 위치(P3)와 제2 위치(P2)의 폭의 차(PW3-PW2)는 4㎜ 이상, 5.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4 위치(P4)와 제2 위치(P2)의 폭의 차이(PW4-PW2)는 0.5㎜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PW3/PW2로서는, 1.3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30)의 정면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1)과, 제2 위치(P2)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2)과, 제3 위치(P3)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3)과, 제4 위치(P4)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4)과, 곡선 윤곽(C12, C13)에 각각 외접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5)를 갖고 있다. 곡선 윤곽(C12∼C15)은,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있다.
핸들부(30)의 배면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1)과, 제2 위치(P2)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2)과, 제3 위치(P3)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3)과, 제4 위치(P4)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4)과, 곡선 윤곽(C22, C23)에 각각 외접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5)을 갖고 있다. 곡선 윤곽(C22∼C025은,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있다.
핸들부(30)는, 제1 위치(P1)에서의 두께를 PT1로 하고, 제2 위치(P2)에서의 두께를 PT2로 하고, 제3 위치(P3)에서의 두께를 PT3으로 하고, 제4 위치(P4)에서의 두께를 PT4로 하면, 이하의 관계(3), (4)를 각각 만족하고 있다.
PT3>PT2>PT1 …(3)
PT3>PT4>PT1 …(4)
제1 위치(P1)에서의 두께(PT1)로서는, 6.5㎜ 이상, 9㎜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 위치(P2)에서의 두께(PT2)로서는, 9㎜ 이상, 11㎜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3 위치(P3)에서의 두께(PT3)로서는, 1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4 위치(P4)에서의 두께(PT4)로서는, 10㎜ 이상,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의 두께의 차(PT2-PT1)는 1.5㎜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두께의 차(PT3-PT1)는 5.5㎜ 이상, 9㎜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위치(P1)와 제4 위치(P4)의 두께의 차(PT4-PT1)는 2.5㎜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PT3/PT1로서는, 1.7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와의 거리로서는, 3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거리가 상기한 하한치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와의 거리가 짧아져서, 제2 위치(P2)의 정면측에 당접한 엄지손가락의 말절(末節)과 제2 위치(P2)의 주위 방향에 당접한 집게손가락이 가까워져서, 청소시에 헤드부(10)에 부하가 가하여진 때의 보조 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를 촉각적으로 구별하기 어렵게 된다.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거리가 상기한 상한치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거리가 길어져서, 제1 위치(P1)의 정면측을 엄지손가락의 말절의 지당부(指當部)로 하고, 제3 위치(P3)로 둘레 방향으로 중지와 약지가 당접하여 유지가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도 4는, 제1 위치(P1)에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서의 핸들부(30)(제1 팽출부(41))의 단면 형상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보다도 큰 편평 형상이다. 핸들부(30)의 정면측에는, 제1 위치에서의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환형상으로 형성된 정면시 원형의 홈부(45A)가 마련되어 있다. 핸들부(30)의 배면측에는, 제1 위치에서의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환형상으로 형성된 정면시 원형의 홈부(4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부(30)의 정면측은, 폭방향에 관해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31)을 갖고 있다. 곡선 윤곽(C31)의 양측에는 홈부(45A)를 가지며, 높이(T1)가 0.5∼1.5㎜ 낮은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핸들부(30)의 배면측은, 폭방향에 관해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32)을 갖고 있다. 곡선 윤곽(C32)의 양측에는 홈부(45B)를 가지며, 높이(T2)가 0.5∼1.5㎜ 낮은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2에서의 제1 위치(P1)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정면측에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30)와의 경계(31)는, 측면시에서, 경계(31)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21)과, 경계(31)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C11)이 교차한 개소의 능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경계(31)의 정면방향의 위치, 즉 곡선 윤곽(C11)이 곡선 윤곽(21)과 교차하는 위치는, 곡선 윤곽(C11)이 곡선 윤곽(C12)과 교차하는 위치보다도 정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면측에서의 제1 위치(P1)보다도 선단측에는, 제1 위치(P1)보다 후단측과 비교하고 가파르게 돌출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관해 홈(45A)의 높이(T3)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장축방향의 후단측에 관해 홈(45A)의 높이(T4)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면측에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30)의 경계(32)는, 측면시에서, 경계(32)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22)과, 경계(32)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C21)이 교차하는 개소의 능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경계(32)의 정면방향의 위치, 즉 곡선 윤곽(C21)이 곡선 윤곽(22)과 교차하는 위치는, 곡선 윤곽(C21)이 곡선 윤곽(C22)과 교차하는 위치보다도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면측에서의 제1 위치(P1)보다도 선단측에는, 제1 위치(P1)보다 후단측과 비교하여 가파르게 돌출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관해 홈 45B의 높이(T5)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장축방향의 후단측에 관해 홈 45B의 높이(T6)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제3 위치(P3)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위치(P3)에서의 핸들부(30)의 단면 형상은, 개략 원형이다. 제3 위치(P3)에서의 핸들부(30)의 최대경으로서는, 15㎜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30)의 최대경이 상기한 하한치를 하회한 경우에는, 제3 위치(P3) 주변을 팜 그립으로 파지한 때에, 파지 면적이 작아 중지 및 약지가 충분히 당접하지 않아 미끄러지기 쉽게 되고 파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핸들부(30)의 최대경이 상기한 상한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제3 위치(P3) 주변을 팜 그립으로 파지한 때에, 둘레 길이가 커져서 파지하기 어렵게 된다.
도 7은, 제4 위치(P4)를 포함하는 핸들부(30)의 후단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부(30)의 후단부 근방에는, 정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부(30)의 정면측에는, 관통구멍(46)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늘어나는 홈부(47)가 배치되어 있다. 홈부(47)는, 한 예로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깊이가 1㎜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핸들부(30)의 배면측에는, 관통구멍(46)으로부터 제4 위치(P4)까지 선단측으로 늘어나는 홈부(49)가 배치되어 있다. 홈부(49)는, 한 예로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깊이가 1㎜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체(2)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200㎜가 된다. 핸들체(2)는, 전체로서 장척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고,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핸들체(2)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한 예로서, 휨 탄성율(JIS7171)이 1000㎫ 이상 220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비 면을 고려한다면 범용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모속은, 복수의 용모를 묶은 것이다. 식모면(11)으로부터 모속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모속에 요구되는 모 탄력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14㎜가 된다. 모든 모속은 같은 모장이라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모속의 두께(모속경)는, 모속에 요구되는 모 탄력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3㎜가 된다. 모든 모속은 같은 모속경이라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예를 들면,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고, 모선이 선예화된 용모(테이퍼모), 식모면(11)부터 모선을 향하여 그 지름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모로서는, 모선이 식모면(11)에 개략 평행한 평면이 되는 것이나, 모선이 반구형상으로 둥글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모털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 나일론(6-12NY), 6-10 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등의 일래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모로서는, 심부와 그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심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들 수 있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성형, 3엽 클로버형, 4엽 클로버형 등으로 하여도 좋다. 모든 용모의 단면 형상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용모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예를 들면, 6∼9mil(1mil=1/1000inch=0.025㎜)이 된다. 또한, 사용감,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의 칫솔(1)에서의 핸들체(2)는, 예를 들면, 핸들체(2)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공간(캐비티)을 갖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금형에 용융한 수지를 사출하는 게이트는, 예를 들면, 핸들체(2)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게이트로부터 사출된 용융 수지는, 금형의 캐비티에 충전되고, 냉각 후에 금형으로부터 취출함에 의해 제조된다.
핸들체(2)에서는, 질감, 의장성의 향상이나 고급감의 창출 등을 목적으로 하여 펄 안료 등의 광휘재를 수지에 혼련하여 배합한 것을 사출 성형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종류의 광휘재를 포함하는 수지는, 금형 내를 유동할 때에 광휘재가 배향하기 때문에, 특히 유동 말단의 헤드부(10)에서, 광휘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외관상, 제팅, 플로우 마크, 웰드 라인이 눈에 띄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의 핸들체(2)에서는, 게이트(50)와 직근의 위치에 관통구멍(46)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46)을 형성하는 축형상의 금형에 의해, 게이트(50)으로부터 사출된 용융 수지의 흐름을 제어하고, 속도 및 유로의 크기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팅, 플로우 마크가 외관상,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또한, 관통구멍(46)으로부터 제4 위치(P4)까지 선단측으로 늘어나는 홈부(47, 49)가 배치됨으로써, 관통구멍(46)에 의해 용융 수지가 분류(分流)한 후에 합류함으로써 발생하는 웰드 라인과 홈부(47, 49)가 겹쳐지기 때문에, 외관상,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다음에, 상기 칫솔(1)의 핸들부(30)를 팜 그립으로 쥐었을 때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제1 위치(P1))
핸들부(30)에서의 제1 위치(P1)의 정면측은, 네크부(20)측의 지당부가 되여 엄지손가락의 말절이 당접한다. 제1 위치(P1)의 배면측은, 집게손가락의 중절(中節)이 당접한다. 이에 의해, 핸들부(30)는, 제1 위치(P1)에서 정면측 및 배면측부터 끼우도록 유지된다. 이때, 제1 위치(P1)의 정면측에는, 홈부(45A)가 배치되고, 제1 위치(P1)의 배면측에는, 홈부(45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당부를 촉각적에 명확화할 수 있다. 또한, 홈부(45A, 45B)가 원형으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방향 및 장축방향을 포함하여 식모면(11)과 개략 평행한 면내의 이동에 손가락의 이동시에도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핸들부(30)의 제1 위치(P1)에서 단면이 편평 형상이기 때문에, 핸들부(30)는 제1 위치(P1)에서 정면측의 엄지손가락 및 배면측의 집게손가락과 넓은 면적으로 당접하게 되어 힘을 기울이기 쉽고 안정된 지지가 가능해진다. 그때문에, 헤드부(10)부터 가까운 제1 위치(P1)에서 핸들부(30)에 가한 힘이 헤드부(10)에 전해지기 쉬워짐으로써 조작성이 향상하고, 식모면을 깔끔하게 치아에 닿게 할 수 있다.
(제2 위치(P2))
제2 위치(P2)는,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의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를 구별하기 위한 네크부(20)측의 보조부로서 기능한다. 핸들부(30)를 팜 그립으로 유지한 때에는, 엄지손가락의 말절이 제2 위치(P2)의 정면측에 당접하고, 집게손가락이 제2 위치(P2)의 주위 방향에 당접함에 의해, 제1 위치(P1)에서 정면측 및 배면측부터 끼우도록 유지하고, 제3 위치(P3)에서 손바닥, 중지 및 약지로 쥐고 유지한 핸들부(30)의 중간부분을 보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위치(P2)에는, 정면시에서 제1 잘록부(4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손가락을 둘레 방향으로 용이하게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잘록부(4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부(30)를 잡은 때에,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형상의 차이를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쥐기 쉽도록 유도되어 피트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3 위치(P3))
제3 위치(P3)는, 폭방향의 최대의 제2 팽출부(42)가 배치되고, 파지 안정부로서 기능한다. 팜 그립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3 위치(P3)의 주위 방향에 손바닥, 중지 및 약지가 당접한다. 핸들부(30)는, 제3 위치(P3)에서의 단면 형상이 개략 원형이고, 또한, 폭방향의 최대 길이(PW3) 및 최대 두께(PT3)가 다른 위치(P1, P2, P4)와 비교하여 최대이기 때문에, 파지한 손안에 피트되어 안정된 유지가 가능해진다.
(제4 위치(P4))
제4 위치(P4)를 포함하는 후단부까지의 영역은, 핸들부(30)를 팜 그립으로 파지한 때, 특히 제3 위치(P3)를 손바닥, 중지 및 약지로 유지한 때의 보조부로서 기능한다. 팜 그립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4 위치(P4)의 주위 방향에 약지, 새끼손가락 및 손바닥의 월구(月丘)가 당접한다. 제4 위치(P4)에서의 최대폭(PW4) 및 두께(PT4)는, 제3 위치(P3)에서의 최대폭(PW3) 및 두께(PT3)보다도 모두 작기 때문에, 중지보다도 짧은 약지 및 새끼손가락에 대해서도 제4 위치(P4)의 주위 방향으로 안정되게 당접시킬 수 있다.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제1 위치(P1)∼제4 위치(P4)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상기한 관계(1), (2)를 각각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어려운 상태에서 제1 위치(P1)에서의 지당부에 넓은 면적으로 정면측의 엄지손가락 및 배면측의 집게손가락에 당접시키면서, 최대경으로 형성된 제3 위치(P3)의 제2 팽출부(42)에서 주위 방향으로 손바닥, 중지 및 약지를 당접시킴으로써, 파지한 손안에 피트되어 안정된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잘록부(43)의 최소폭(PW2)가 제1 팽출부(41)의 최대폭(PW1) 및 제2 팽출부(42)의 최대폭(PW3)보다도 작기 때문에, 제1 위치(P1) 및 제3 위치(P3)에서 유지된 핸들부(30)의 중간부분을 보조적으로 유지 가능해저서, 안정된 파지에 의해 청소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제2 잘록부(44)를 포함하는 후단부의 최소폭(PW4)이 제1 잘록부(43)의 최소폭(PW2)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2 팽출부(42)에서의 지지를 후단측부터 단단히 보조하는 것이 가능해저서 파지성의 더한층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PW3/PW2가 1.3 이상, 1.5 이하임으로써, 상기 효과가 더욱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제1 위치(P1)∼제4 위치(P4)에서의 두께가 상기한 관계(3), (4)를 각각 만족하고 있고, 지당부가 되는 제1 위치(P1)의 두께가, 가장 얇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제1 위치(P1)를 정면측 및 배면측부터 용이, 또한, 강하게 협지할 수 있다. 그때문에, 헤드부(10)에 가까운 위치에서 핸들부(30)에 가한 힘이 헤드부(10)에 전해지기 쉬워짐으로써 조작성이 향상하고, 식모면을 깔끔하게 치나에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P1)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네크부(20)와 핸들부(30)와의 경계(31, 32)와 제1 위치(P1)와의 사이에 가파르게 돌출한 곡면이 형성된다. 그때문에, 지당부에 당접하는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이 당해 곡면에 후단측에 계합함에 의해, 파지한 핸들부(30)가 장축방향에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PT3/PT1이 1.7 이상, 2.5 이하임으로써, 상기 효과가 더욱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제1 팽출부(41)의 곡선 윤곽(C1), 제1 잘록부(43)의 곡선 윤곽(C2), 제2 팽출부(42)의 곡선 윤곽(C3) 및 제2 잘록부(44)의 곡선 윤곽(C4)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정면측에서의 곡선 윤곽(C11), 곡선 윤곽(C12), 곡선 윤곽(C13), 곡선 윤곽(C14) 및 곡선 윤곽(C15)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배면측에서의 곡선 윤곽(C21), 곡선 윤곽(C22), 곡선 윤곽(C23), 곡선 윤곽(C24) 및 곡선 윤곽(C25)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함으로써, 각 윤곽이 완만하게 이어진다. 그때문에,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다양한 쥐는 방식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작성 및 범용성에 우수한 칫솔(1)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서는, 핸들부(30)의 형상 및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함에 의해, 연성부 등을 이용하여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30)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가지며, 청소시의 조작성이 높은 칫솔(1)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이 넓은 와이드 헤드 사양의 헤드부(10)를 갖는 구성으로 쇄모부가, 청소부위에 당접한 때에 모속의 간섭이 큼으로써 파지한 핸들부가 흔들리고, 또한, 적절하게 청소부위에 도달하기 어려운 경우라도, 손안에 피트되고, 높은 파지성을 갖는 핸들부(30)를 갖고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고 쇄모부를 깔끔하게 치아에 닿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한 예이고,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의거하여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P1)의 정면측 및 배면측의 쌍방에 홈부(45A, 45B)를 마련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정면측 또는 배면측에만 마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드 헤드 사양의 헤드부(10)를 이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와이드 헤드 사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상 타입 또는 컴팩트 사양의 헤드부라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
1 : 칫솔 2 : 핸들체
10 : 헤드부 11 : 식모면
20 : 네크부 30 : 핸들부
41 : 제1 팽출부 42 : 제2 팽출부
43 : 제1 잘록부 44 : 제2 잘록부
45A, 45B : 홈부 P1 : 제1 위치
P2 : 제2 위치 P3 : 제3 위치
P4 : 제4 위치

Claims (6)

  1.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식모면에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그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네크부와,
    그 네크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네크부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정면방향에서 본 정면시에서 상기 장축방향 및 상기 정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1 팽출부와,
    상기 제1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1 잘록부와,
    상기 제1 잘록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2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2 잘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네크부와 상기 제1 잘록부 사이의 제1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1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 사이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제2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와 상기 제2 잘록부 사이의 제3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2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4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2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3으로 하면,
    상기 PW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W3/PW2는, 1.3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1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3으로 하면,
    상기 PT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T3/PT1은, 1.7 이상,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 상기 제1 잘록부, 상기 제2 팽출부 및 상기 제2 잘록부는, 각각 상기 정면시의 윤곽선이 상기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팽출부 또는 잘록부와 서로 외접하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보다도 큰 편평 형상이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개략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정면측과 배면측의 적어도 일방은,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97021602A 2017-07-31 2018-07-24 칫솔 KR102625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7972A JP6983568B2 (ja) 2017-07-31 2017-07-31 歯ブラシ
JPJP-P-2017-147972 2017-07-31
PCT/JP2018/027674 WO2019026685A1 (ja) 2017-07-31 2018-07-24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58A true KR20200034658A (ko) 2020-03-31
KR102625898B1 KR102625898B1 (ko) 2024-01-18

Family

ID=6523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602A KR102625898B1 (ko) 2017-07-31 2018-07-24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83568B2 (ko)
KR (1) KR102625898B1 (ko)
CN (1) CN110267566B (ko)
TW (1) TWI763892B (ko)
WO (1) WO2019026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2715B2 (ja) * 2020-03-18 2022-05-06 株式会社バンダイ 歯ブラ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015A1 (en) * 2009-12-18 2011-06-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JP2015054209A (ja) * 2013-09-13 2015-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6209616A (ja) 2013-10-25 2016-12-15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電極焼灼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1154B3 (en) * 1996-10-18 1998-05-07 Dennis Warren Bartlett A self-application toothbrush
JP2000189250A (ja) * 1998-12-25 2000-07-11 Lion Corp 歯ブラシ
JP2003135148A (ja) * 2001-10-31 2003-05-13 Lion Corp 歯ブラシ
JP5468832B2 (ja) * 2009-07-07 2014-04-09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BR112012014482B8 (pt) * 2009-12-18 2021-06-22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higiene bucal
JP5806922B2 (ja) * 2011-12-07 2015-11-1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170802B2 (ja) * 2013-10-02 2017-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CN205612045U (zh) * 2016-03-24 2016-10-05 镇江洁友刷业有限公司 一种成人牙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015A1 (en) * 2009-12-18 2011-06-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JP2015054209A (ja) * 2013-09-13 2015-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6209616A (ja) 2013-10-25 2016-12-15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電極焼灼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67566B (zh) 2022-03-22
JP6983568B2 (ja) 2021-12-17
CN110267566A (zh) 2019-09-20
JP2019025028A (ja) 2019-02-21
TWI763892B (zh) 2022-05-11
KR102625898B1 (ko) 2024-01-18
WO2019026685A1 (ja) 2019-02-07
TW201909790A (zh) 201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51B2 (en) Toothbrush
KR102577531B1 (ko) 칫솔
KR102237310B1 (ko) 칫솔
JP6170802B2 (ja)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KR20170137701A (ko) 칫솔
JP2023026519A (ja) 歯ブラシ
EP3223653B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KR102556409B1 (ko) 칫솔
KR20200034658A (ko) 칫솔
KR20200037203A (ko) 칫솔
WO2018043249A1 (ja) 歯ブラシの製造方法
WO2015137487A1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の製造方法
JP6842904B2 (ja) 歯ブラシ
JP6858123B2 (ja) 歯ブラシ
JP5977942B2 (ja) 歯ブラシ
JP2023029268A (ja) 歯ブラシ
KR20200051640A (ko) 칫솔
JP4270890B2 (ja) 歯間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