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174A - 덮개 - Google Patents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174A
KR20170039174A KR1020177002963A KR20177002963A KR20170039174A KR 20170039174 A KR20170039174 A KR 20170039174A KR 1020177002963 A KR1020177002963 A KR 1020177002963A KR 20177002963 A KR20177002963 A KR 20177002963A KR 20170039174 A KR20170039174 A KR 2017003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lid
area
cut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고토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99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0229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99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022982A/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185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the outer closure being a foil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Abstract

용이하게 배탕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덮개(101)를 제공한다. 덮개(101)는 시트형의 동일 형상의 기재(102) 및 표면재(103)를 적층하여 형성되고, 주연부의 일부에 개봉용 탭(104)이 형성되고, 주연부의 다른 일부에 박리용 탭(107)이 형성되고, 박리용 탭(107)에 인접하는 일부의 영역이며 개봉용 탭(104)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박리 영역에는, 기재(102)측으로부터 기재(102)를 관통하는 1개 이상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이 형성되고, 박리 영역의 박리용 탭(107)의 근방에는, 기재(102)측으로부터 기재(102)를 관통하는 박리 개시용 하프컷(109)이 형성되고, 기재(102)와 표면재(103)는, 적어도, 박리 영역 중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에 둘러싸인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Description

덮개{LID BODY}
본 발명은 식품 등의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컵에 담긴 즉석면 등의 식품은, 취식 시에 열탕을 붓고 소정 시간 경과 대기하는 것에 의해, 취식 전에 탕 불리기 등의 열탕 처리(가열 조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식품용의 포장 용기의 일례의 사시도를 도 19의 (a)에 도시하였다. 열탕 처리는, 용기(920)로부터 덮개(901)를 도 19의 (b), (c)에 도시하는 상면도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탈시키고, 그 후, 현출된 개구부로부터 열탕을 주입하고, 다시 덮개(901)로 개구부를 막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 대기함으로써 행한다.
즉석 볶음 우동, 즉석 스파게티 등의 식품의 경우, 주입한 열탕을 취식 전에 배탕(俳湯)하는 탕 제거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배수 시에 식품이 열탕과 함께 용기(920)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저는 덮개(901)의 개구부의 면적을 작게 하는 등의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용기의 경우 등에는, 도 19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901)의 이탈이 약간만 진행되어도, 개구부의 면적은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개구부의 면적을 바람직하게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58-15157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이하게 배탕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일 국면은, 시트형의 동일 형상의 기재 및 표면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덮개이며, 주연부의 일부에 개봉용 탭이 형성되고, 주연부의 다른 일부에 박리용 탭이 형성되고, 박리용 탭에 인접하는 일부의 영역이며 개봉용 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박리 영역에는, 기재측으로부터 기재를 관통하는 1개 이상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이 형성되고, 박리 영역의 박리용 탭의 근방에는, 기재측으로부터 기재를 관통하는 박리 개시용 하프컷이 형성되고, 기재와 표면재는, 적어도, 박리 영역 중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에 둘러싸인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덮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의 표면재가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기재에 탕 제거 구멍이 현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배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 및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의 베리에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및 덮개의 확대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확대 모식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커트선의 베리에이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확대 모식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커트선의 베리에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및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덮개 및 용기의 사시도 및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101)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덮개(101)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덮개(101)와, 덮개(101)가 시일된 용기(12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A´선을 따른 덮개(101) 및 용기(120)의 단면도이다. 덮개(101)는 용기(120)의 개구부 주연에 시일되어 있어, 용기(120)를 밀봉하고 있다. 또한, 덮개(101)는 용기(120)에 시일되는 기재(102)와, 기재(102)와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표면재(103)를 포함하는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덮개(101)의 형상을 설명한다. 덮개(101)는 시트형의 동일 형상의 기재(102) 및 표면재(103)를 적층하여 형성된다. 덮개(101)의 주연부의 일부에는 개봉용 탭(104)이 형성되어 있다. 개봉용 탭(104)에 가한 힘이 기재(102)에도 전해지기 때문에, 개봉용 탭(104)을 집고 젖힘으로써, 덮개(101)를 기재(102)와 함께, 용기(120)로부터 떼서 개봉(개구)할 수 있다. 또한, 주연부 중, 일례로서 덮개의 중심에 대하여 개봉용 탭(104)과 대칭의 위치에 박리용 탭(107)이 형성되어 있다. 박리용 탭(107)에 인접하는 일부의 영역이며 개봉용 탭(104)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박리 영역에는, 기재(102)측으로부터 기재(102)를 관통하는 1개 이상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이 형성된다.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은 후술하는 배탕이 가능하기만 하면, 원, 타원, 다각형, 트랙형, 곡선으로 모따기된 다각형, 눈물형 등의 폐곡선 형상이어도 되고, 십자형의 베인 자국 등의 폐곡선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도 5의 (a)에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의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나타낸다. 또한, 박리 영역의 박리용 탭(107)측의 단부 테두리에는, 기재(102)측으로부터 기재(102)를 관통하는 박리 개시용 하프컷(109)이 형성되어 있다. 박리 개시용 하프컷(109)은 박리용 탭(107)과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 사이에 형성되면 되고, 예를 들어 박리 영역의 형상에 따라, 박리용 탭(107)에 형성되어도 되고, 덮개(101) 본체의 외측 테두리를 따른 일정 범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기재(102)와 표면재(103)는, 박리 영역에서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도 5의 (b)는 덮개(101)의 도 4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개소를 모식적으로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덮개(101)의 층 구성을 도 5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덮개(101)의 표면재(103)는 종이, 금속박, 플라스틱 필름의 단체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층체이며, 표면, 이면 또는 적층체의 경우에는 그 층 사이에, 잉크에 의한 인쇄층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용기(120)의 외측으로 되는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잉크/종이의 층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박리 영역에는,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에 둘러싸인 영역을 제외하고, 종이층의 내측에, 눈 메우기 니스/박리 니스의 층 구성을 더 갖고, 이 영역은 기재(102)와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101)의 기재(102)는 종이, 금속박, 플라스틱 필름의 단체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층체이며, 표면, 이면 또는 적층체의 경우에는 그 층 사이에, 잉크에 의한 인쇄층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면재(103)에 접하는 측으로부터, 용기(120)의 내측을 향하여, 압출 PE/알루미늄박/접착제(EMAA)/실란트의 층 구성을 갖고 있다.
눈 메우기 니스는, 박리 니스의 종이에의 함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 시공된다. 눈 메우기 니스는, 예를 들어, 질화면 및 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눈 메우기 니스는 도포 시공되지 않아도 된다. 박리 니스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실리콘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고무계 등의 수지계를 주성분으로 하여, 왁스 성분을 5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왁스 성분을 5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왁스 성분이 대량으로 휘발하여 취식의 지장이 될 우려가 있는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키파이어 등을 첨가해도 된다. 눈 메우기 니스, 박리 니스는,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에 둘러싸인 영역에는 도포 시공되지 않는 것에 의해, 기재(102)의 당해 영역이, 용기(120) 내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탕 처리(가열 조리)의 수순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개봉용 탭(104)을 젖혀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1)를 기재(102)와 함께 용기(120)로부터 벗겨서, 부분적으로 개봉한다. 그 때, 경우에 따라서는 속재료나 양념 등의 개별 포장을 취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주탕 후, 덮개(101)의 개방된 부분을 다시 눌러서, 개봉구로부터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고, 소정 시간 기다린다. 이어서, 박리용 탭(107)을 젖히면, 박리 개시용 하프컷(109)을 거쳐서 기재(102)와 표면재(103)의 박리가 개시되고, 박리 영역 전체에 있어서 표면재(103)가 기재(102)로부터 박리되어 박리가 종료된다. 이때, 기재(102)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에 둘러싸인 부분에 대해서는, 표면재(103)에 수반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용기(120)에 남은 기재(102)에는 탕 제거 구멍(110)이 형성된다. 즉, 박리 영역(도 7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표면재(103)를 박리함으로써, 당해 영역에 기재(102)만으로 이루어지는 탕 제거부(108)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탕 제거 구멍(110)으로부터 배탕한 뒤, 탕 제거부(108)를 포함하는 덮개(101) 전체를 용기(120)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열탕 처리된 식품이 취식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101)의 표면재(103)가 부분적으로 박리됨으로써 기재(102)에 탕 제거 구멍(110)이 현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배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201)의 평면도이다. 이후,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적절히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덮개(201)는 박리 영역에, 표면재(103)측으로부터표면재(103)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하는 커트선(205)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101)와 상이하다. 커트선(205)에 의해, 표면재(103)의 절곡에 대한 저항이 약해져서, 박리할 때에, 표면재(103)를 젖혀 올리기 쉽게 하여 박리의 진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표면재(103)를 젖혀 올린 상태로 유지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커트선(205)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커트 길이 5mm, 커트 연결 길이 1mm의 직선 점선을 표면재(103)의 전체층에, 덮개(101)의 일 외측 단부로부터 다른 외측 단부까지, 1mm 간격으로 5열 설치하여 형성된다. 도 10에, 이 예에 있어서의 덮개재(201)의 모식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커트선(205)의 커트 길이, 커트 연결 길이, 개수, 형상 등은, 표면재(103)의 박리, 탕 제거 구멍(110)의 현출의 장해가 되지 않는다면, 상술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커트는 표면재(10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도 되고, 표면재(103)의 일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커트는, 점선이 아니라, 예를 들어 표면재(103)의 일부 층을 커트하는 연속선이어도 된다. 도 11에 커트선(205)의 베리에이션을 도시한다.
또한, 일례로서, 덮개(20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재(103)에 있어서, 커트선(205)을 포함하는 영역이, 잉크 등에 의한 인쇄층을 구비하지만,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커트선(205)을 포함하는 영역이, 잉크 등에 의한 인쇄층을 구비하는 경우, 만약 커트선(205)으로부터 내용물인 식품에 포함되는 기름 등이 묻어도, 잉크의 색에 따라서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어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301)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덮개(301)의 저면도이다. 덮개(301)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201)에 있어서, 커트선(205)을 따라서 표면재(103)가 파단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또한, 덮개(201)보다,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의 수를 증가시켰다.
또한, 일례로서, 덮개(301)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재(103)에 있어서, 커트선(205)을 포함하는 영역에 인쇄층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구비해도 된다.
커트선(205)이 형성된 개소로부터,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이 형성된 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에 둘러싸인 영역을 제외하고, 종이층의 내측에, 추가로 눈 메우기 니스/박리 니스의 층 구성을 갖고, 이 영역은 기재(102)와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트선(205)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커트 길이 5mm, 커트 연결 길이 1mm의 직선 점선을 표면재(103)의 전체층에, 덮개(301)의 일 외측 단부로부터 다른 외측 단부까지, 1mm 간격으로 5열 설치하여 형성된다. 또한, 5열의 점선의 중앙의 열이 박리 니스의 도포 시공 영역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도포 시공 영역의 내측으로 2mm 정도의 개소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트선(205)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 가능한 영역의 단부 테두리보다 내측으로 20mm 이내의 영역에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표면재(103)의 절단 작업이 박리 작업과 원활하게 접속된다. 커트선(205)은 덮개(301)의 외측 단부에 커트 개소가 형성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표면재(103)의 절단 시에, 커트 개소가 절단의 계기가 되어, 절단이 용이해진다. 또한, 커트선(205)의 커트 길이, 커트 연결 길이, 개수, 형상 등은, 상술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제2 실시 형태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커트는 표면재(10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도 되고, 표면재(103)의 일부의 층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커트는, 점선이 아니라, 연속선이어도 된다.
열탕 처리(가열 조리)의 수순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개봉용 탭(104)을 젖혀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1)를 기재(102)와 함께 용기(120)로부터 박리하여, 부분적으로 개봉한다. 그 때, 경우에 따라서는 속재료나 양념 등의 개 포장을 취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주탕 후, 덮개(101)가 개방된 부분을 다시 눌러서, 개봉구로부터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고, 소정 시간 기다린다. 이어서, 박리용 탭(107)을 젖히면, 박리 개시용 하프컷(109)을 거쳐서 기재(102)와 표면재(103)의 박리가 개시된다. 박리가 커트선(205)의 단부에 도달하면, 표면재(103)가 커트선(205)을 따라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재(103)의 박리된 부분이 완전히 이탈한다. 이때, 기재(102)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에 둘러싸인 부분에 대해서는, 표면재(103)에 수반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용기(120)에 남은 기재(102)에는 탕 제거 구멍(110)이 형성된다. 즉, 덮개(101)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이 형성된 영역(도 16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표면재(103)를 박리, 제거함으로써, 당해 영역에 기재(102)만으로 이루어지는 탕 제거부(108)가 형성되어, 탕 제거부(108)를 명확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탕 제거 구멍(110)으로부터 배탕한 뒤, 탕 제거부(108)를 포함하는 덮개(101) 전체를 용기(120)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열탕 처리된 식품을 취식 가능하게 된다. 배탕 시, 탕 제거부(108)를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배탕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배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401)의 평면도이다. 덮개(401)는 커트선(205)의 양단부에 오목부(410)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301)와 상이하다. 오목부(410)에 의해, 탕 제거 구멍 현출을 위하여 표면재(103)를 인장하여 박리한 후, 커트선(205)을 따라서 절단할 때, 인장력이 커트선(205)의 단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절단의 계기가 얻어지기 쉬워져, 보다 용이하게 표면재(103)를 절단할 수 있다.
오목부(410)는 일례로서,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상에 따라, 덮개(40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의 오목부의 최대가 2mm 이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커트선(205)은 커트 개소가 오목부(410)의 오목부의 내부에 접속되거나, 오목부(410)에 접속되지 않고 당해 개소로부터 3mm 이하의 거리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트 개소를 3mm를 초과하는 거리에 설치한 경우, 커트선(205)에 접속 하지 않고 표면재(103)가 절단되어, 원활하게 절단을 진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 덮개재의 형상은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도 1, 2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101)에 있어서, 덮개(101)의 직경을 180mm로 하였다. 또한,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은 8mm×6mm의 트랙형의 것을 5개 설치하고, 그의 외주로부터 1mm 이상 내측의 영역에는 눈 메우기 니스 및 박리 니스를 미도포 시공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도 9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201)에 있어서, 덮개(201)의 직경을 180mm로 하였다. 또한,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은 8mm×6mm의 트랙형의 것을 5개 설치하고, 그의 외주로부터 1mm 이상 내측의 영역에는 눈 메우기 니스 및 박리 니스를 미도포 시공으로 하였다. 커트선(205)은 커트 길이 5mm, 커트 연결 길이 1mm의 직선 점선을, 표면재(103)의 전체층에, 덮개(201)의 일 외측 단부로부터 다른 외측 단부까지, 1mm 간격으로 5열 설치하여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도 12, 13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301)에 있어서, 덮개(301)의 직경을 180mm로 하였다. 또한,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은 8mm×6mm의 트랙형의 것을 11개 설치하고, 그의 외주로부터 1mm 이상 내측의 영역에는 눈 메우기 니스 및 박리 니스를 미도포 시공으로 하였다. 또한, 커트선(205)은 5열의 점선의 중앙의 열이 박리 니스의 도포 시공 영역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도포 시공 영역의 내측에 2mm의 개소에 위치하도록 하고, 덮개(301)의 외측 단부에 커트 개소가 형성되도록 설치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도 18에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401)에 있어서, 덮개(401)의 직경을 180mm로 하였다. 또한,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106)은 8mm×6mm의 트랙형의 것을 11개 설치하고, 그의 외주로부터 1mm 이상 내측의 영역에는 눈 메우기 니스 및 박리 니스를 미도포 시공으로 하였다. 또한, 커트선(205)은 5열의 점선의 중앙의 열이 박리 니스의 도포 시공 영역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도포 시공 영역의 내측으로 2mm의 개소에 위치하도록 하고, 덮개(40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10)에 커트 개소가 형성되도록 설치하였다.
(비교예)
비교예는, 층간 박리할 수 없는, 종래 기술에 관한 덮개이다.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해서, 탕 제거 작업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표면재(103)를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어, 문제없이 탕 제거 구멍(110)을 현출시킬 수 있었다. 또한, 탕 제거 구멍(110)으로부터 배탕을 행함으로써, 바람직한 속도로 안정적으로 탕 제거를 행할 수 있고, 내용물의 배출은 없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표면재(103)를 박리할 때, 표면재(103)를 젖혀 올리기 쉬워, 실시예 1보다도 원활하게 박리를 행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에서는, 덮개를 용기로부터 부분적으로 이탈시켜 배탕용의 개구부를 형성했지만, 탕 제거 작업 시, 바람직한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없고, 개구부가 너무 작아서 배탕 속도가 느리거나, 또는, 개구부가 너무 커서 열탕과 함께 내용물까지 배출되어, 바람직하게 탕 제거를 행할 수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 4에서는, 탕 제거 구멍 현출 시, 표면재(103)를 확실하게 박리 및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그로 인해, 배탕 시에 그 모습을 육안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 1, 2보다도 안심감을 갖고 용이하게 배탕을 행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표면재(103)를 커트선(205)의 단부로부터 이것을 따라서 절단할 때, 오목부(410)에 의해, 단부에 인장력이 집중되어, 실시예 3보다도 원활하게 절단을 개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식품 등의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에 유용하다.
101, 201, 301, 401, 901: 덮개
102: 기재
103: 표면재
104: 개봉용 탭
106: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
107: 박리용 탭
108: 탕 제거부
109: 박리 개시용 하프컷
110: 탕 제거 구멍
120, 920: 용기
205: 커트선
410: 오목부

Claims (8)

  1. 시트형의 동일 형상의 기재 및 표면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덮개이며,
    주연부의 일부에 개봉용 탭이 형성되고,
    주연부의 다른 일부에 박리용 탭이 형성되고,
    상기 박리용 탭에 인접하는 일부의 영역이며 상기 개봉용 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박리 영역에는,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상기 기재를 관통하는 1개 이상의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이 형성되고,
    상기 박리 영역의 상기 박리용 탭의 근방에는,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상기 기재를 관통하는 박리 개시용 하프컷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와 상기 표면재는, 적어도, 상기 박리 영역 중 상기 탕 제거 구멍용 하프컷에 둘러싸인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영역에는, 상기 표면재측으로부터 상기 표면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하는 커트선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선은, 상기 표면재에, 상기 덮개의 2개의 외측 단부의 일단부부터 타단부에 걸쳐, 상기 덮개를 상기 박리 영역과 다른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선은 점선이며, 상기 점선을 구성하는 커트 부분이 상기 표면재의 상기 2개의 외측 단부에 접속하여 형성되는, 덮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2개의 외측 단부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는, 덮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표면재가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영역의 단부 테두리보다 상기 박리 영역측에 상기 커트선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커트선을 포함하는 영역이, 잉크에 의한 인쇄층을 구비하는, 덮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표면재가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영역에서, 상기 표면재의 상기 기재측의 면에, 왁스 성분을 5중량% 이하 포함하는 박리 니스가 도포 시공되어 있는, 덮개.
KR1020177002963A 2014-07-23 2015-07-22 덮개 KR20170039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9957A JP2016022981A (ja) 2014-07-23 2014-07-23 蓋体
JP2014149958A JP2016022982A (ja) 2014-07-23 2014-07-23 蓋体
JPJP-P-2014-149957 2014-07-23
JPJP-P-2014-149958 2014-07-23
PCT/JP2015/003670 WO2016013215A1 (ja) 2014-07-23 2015-07-22 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174A true KR20170039174A (ko) 2017-04-10

Family

ID=5516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63A KR20170039174A (ko) 2014-07-23 2015-07-22 덮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70039174A (ko)
CN (1) CN106660686A (ko)
TW (1) TWI724992B (ko)
WO (1) WO2016013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9362B2 (ja) 2016-01-08 2020-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蓋材及び収納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1572U (ja) 1982-04-05 1983-10-11 株式会社桜井工業所 密封容器の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54005C (en) * 1998-12-09 2007-11-27 Nissin Shokuhin Kabushiki Kaisha Improved food container lid member
JP4231158B2 (ja) * 1999-07-05 2009-02-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TW579358B (en) * 2001-01-29 2004-03-11 Atina Ind Co Ltd Container for fast food
JP4611814B2 (ja) * 2005-06-16 2011-01-12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湯切付即席食品容器蓋材用ワニス
JP4815978B2 (ja) * 2005-09-30 2011-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WO2012008064A1 (ja) * 2010-07-12 2012-01-19 凸版印刷株式会社 液体排出孔を備えた蓋材
JP5679510B2 (ja) * 2010-09-03 2015-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蓋体
JP2012051636A (ja) * 2010-09-03 2012-03-15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を封止する蓋体
JP5736878B2 (ja) * 2011-03-22 2015-06-17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1572U (ja) 1982-04-05 1983-10-11 株式会社桜井工業所 密封容器の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0686A (zh) 2017-05-10
WO2016013215A1 (ja) 2016-01-28
TW201607856A (zh) 2016-03-01
TWI724992B (zh)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6358B2 (ja) 湯切り機能付き蓋材
JP5845915B2 (ja) 蓋材及び包装容器
EP2913041A1 (en) Child resistant packaging
JP5461921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KR20170039174A (ko) 덮개
JP2007168906A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2001122320A (ja) 湯切機能付き即席食品容器用蓋材
JP4912712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3971262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2012051636A (ja) 容器を封止する蓋体
KR101838195B1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JP4220334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2016022982A (ja) 蓋体
JP4549767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6034547B2 (ja) 容器を封止する蓋体
JP6089544B2 (ja) 湯切り機能付き蓋材および該蓋材を用いた容器
JP5679510B2 (ja) 蓋体
JP4449411B2 (ja) 湯切り機能を有する蓋材
JP5991394B2 (ja) 蓋体
JP6080334B2 (ja) 容器を封止する蓋体
JP4609021B2 (ja) 湯切り機能付蓋材
JP2016022981A (ja) 蓋体
JP2004299784A (ja) シート状蓋体
JP2012051643A (ja) 容器を封止する蓋体
JP4377176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