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054A -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054A
KR20170036054A KR1020177005236A KR20177005236A KR20170036054A KR 20170036054 A KR20170036054 A KR 20170036054A KR 1020177005236 A KR1020177005236 A KR 1020177005236A KR 20177005236 A KR20177005236 A KR 20177005236A KR 20170036054 A KR20170036054 A KR 20170036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nterval
cushion
joining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613B1 (ko
Inventor
이즈미 타시로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omeric sheet
    • A61F2013/49023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omeric sheet being textured, e.g. corrug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2013/49038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ll around the absorbent article's peri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 할 때 형성되는 통기로 간격을 넓게 확보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 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쿠션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쿠션부(40)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와, 하나 또는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와 쿠션 형성 시트(44)를 포함한다. 허리 신축 부재(43)는 폭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에서,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쿠션 형성 시트(44)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겹쳐 폭 방향으로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가 교대로 연속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5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접합선(53)이 2열 이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부 내의 접합선 열 사이의 간격(제2간격D2)는 접합부끼리의 사이의 간격(제1간격 D1)보다 좁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DISPOSABLE DIAPER AND CUSHION SHEE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기저귀의 허리 가장자리부에 쿠션성이 높은 허리 주름(waist gather)을 형성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영유아용이나 고령자용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형태에는 복수의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어,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나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 특허 문헌2 및 특허 문헌3).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양측부가 미리 접합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는, 흡수성 본체가 설치되는 외장체가 몸통 전면부에서 몸통 후면부에 걸쳐 일체가 된 일체형 (특허 문헌1) 이나, 외장체가 몸통 전면부및 몸통 후면부에서 분리되어, 몸통 전면부 외장체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 사이에 흡수성 본체가 건너 지르도록 연결된 분리형 (특허 문헌2)이 알려져 있다. 또한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 또는 몸통 후면부의 양측부에 접착 테이프가 설치되어 착용시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를 접착시키는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특허 문헌3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를 접착하여 형성된 허리 개구부 주변에 복수의 신축 부재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신축 부재가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조임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배설물의 무게에 의해 기저귀가 아래로 흘러 내리지 않고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허리 개구부의 주변에 신축 부재를 설치하여 기저귀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은, 중요한 기능이 된다.
한편, 기저귀의 허리 둘레의 조임이 너무 강해 지면, 착용자가 체결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조임이 강해 지면 밀착성은 높아지는 반면, 통기성이 나빠진다.
여기서, 종래부터,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둘레에 적당한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해 허리 주름을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즉,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둘레를 구성하는 커버 시트 사이에 복수의 신축 부재를 신장 상태로 고정해 둠으로써, 그들 신축 부재가 수축할 때, 허리 개구부 부근의 커버 시트에 주름이 생긴다. 이 주름에 의해, 허리 개구부 근처에 허리 주름이 형성된다. 이 허리 주름은 착용자의 피부에 맞 닿아, 일회용 기저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허리 주위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허리 주름은 신축 부재에 의한 착용자의 조임을 완화하기 위한 쿠션 역할을 한다.
또한, 특허 문헌4에는 허리 주름 전체에 유연성과 쿠션성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허리 주름에 관한 기술은 「플루트(flute)구조」라고도 불린다. 플루트 구조는 허리 신축 부재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시트와 그 위에 간헐적인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주름 형성용 시트 (쿠션 형성 시트)를 가진다. 플루트 구조는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하면, 쿠션 형성 시트가 접합되지 않은 부분 (비 접합부)에서 뜬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쿠션 형성 시트와 허리 신축 부재를 끼운 한 쌍의 시트 사이에 통기로(공간)를 형성함으로써, 허리 신축 부재를 낀 한 쌍의 시트의 경도가 직접 피부에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플루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허리 주름 전체에 통기성, 유연성 및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허 문헌1:일본특개 2009-254662호 공보
특허 문헌2:일본특개 2010-233733호 공보
특허 문헌3:일본특개 2005-323685호 공보
특허 문헌4:일본특개 2013-070711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4에 개시된 「플루트 구조」에서는 기본적으로 시트끼리의 접합부가 1줄로 나란한 접합선 또는 접합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할 때 1열 접합선 등끼리 사이에 통기로(공간)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1줄로 나란한 접합선 등에 의해 시트끼리 접합하면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할 때 형성되는 통기로가 서로 너무 가깝게 된다. 그 결과, 통기로끼리가 서로를 압박하여, 시트들끼리 사이의 통기로가 좁아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루트 구조」에서 통기로 사이의 간격을 벌리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접합선 자체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복수의 접합점을 밀집시키거나 하여 시트끼리의 접합부의 폭을 넓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접합선을 두껍게 하거나 접합점을 밀집시키면 그 접합부의 통기성이 나빠지거나 접합부의 촉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플루트 구조」에서,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할 때 형성되는 통기로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면서, 접합부의 통기성과 촉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의「플루트 구조」에서, 시트끼리의 접합을 2열 이상의 선형 접합선에 의해 형성하고, 이 접합선 열 사이에 간격을 설치하는 것으로 했다. 이와 같이, 시트끼리의 접합부를 2열 이상의 선형 접합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접합부의 폭이 넓어진다. 따라서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할 때 형성되는 통기로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를 2열 이상의 선형 접합선으로 형성하고, 이 접합선 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설치함으로써, 접합부의 통기성과 촉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견에 근거하면,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에 에 이르러 본 발명을 완성 시켰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길이 방향으로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와, 이들 몸통 전면부과 몸통 후면부(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부(3)로 구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 모두 또는 어느 한쪽에 쿠션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쿠션부(40)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와, 하나 또는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와 쿠션 형성 시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측 시트(42)는 내측 시트(41)의 피부 비 대향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쿠션 형성 시트(44)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겹쳐져, 이들 시트(41),(42) 대하여 폭 방향으로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가 교대로 연속하도록 하여 간헐적으로 접합 되어 있다.
접합부(51)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접합선(53)이 2열 이상으로 나란히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접합부(51)끼리 사이의 간격을 제1간격 (D1)으로 정의하고 접합부(51)의 접합선(53) 열 사이의 간격을 제2간격(D2)으로 정의한 경우에, 제2간격(D2)은 제1간격(D1)보다 좁아지고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본 발명은 접합부(51)를, 직선상의 접합선(53)을 2열 이상으로 나열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직선상의 접합선(53) 열 사이에 소정의 간격 (제2간격D2)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접합부(51)의 통기성과 촉감을 좋게 할 수 있다. 특히 직선상의 접합선(53) 열 사이의 간격을 일정 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 열 사이에 작은 통기로(공간)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접합선(53) 열 사이에 간격을 둠으로써, 접합부(51) 전체 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한 때, 비 접합부(52)에 형성되는 통기로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통기로 간격이 넓게 유지됨으로써, 쿠션 형성 시트(44)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 면적이 작아지는 동시에, 쿠션 형성 시트(44)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넓은 공간이 생긴다. 이에 따라, 쿠션 형성 시트(44)가 배치된 복부 주위의 통기성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제2간격(D2)은 제1간격(D1)에 대해,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간격(D2)을 비교적 넓게 확보함으로써,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할 때, 접합부(51)끼리 사이에 큰(大) 통기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각 접합부 내의 접합선(53) 열끼리의 사이에도 작은 통기로가 형성되는 것이 기대된다. 따라서, 큰 통기로 사이에 작은(小) 통기로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큰 통기로끼리가 서로가 서로를 압박하여 공간이 넓히기 어렵다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51)내에, 작은 통기로가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이 접합부(51)의 통기성과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제2간격(D2)은 제1간격(D1)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간격(D2)이 넓어지면, 접합부(51)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큰 통기로가 작아져 버려, 결과적으로 쿠션부(40) 전체적으로, 통기성과 촉감을 양호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2간격(D2)은 제1간격(D1)에 대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접합선(53)의 폭(W)은 제2간격(D2)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선(53)의 폭(W)이 제2간격(D2)보다도 넓게 되면 접합부(51)의 통기성이나 촉감이 손상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 상기 구성과 같이 접합선(53)의 폭(W)을 제2간격(D2)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접합부(51)의 통기성과 촉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접합선(53)의 폭(W)은 제2간격(D2)에 대해,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과 같이, 접합선(53)의 폭(W)을 제2간격(D2)의 5% 이상 50%로 함으로써, 접합선(53)에 의해 시트끼리 접합하는 접합 강도를 유지하면서 접합부(51)의 통기성과 촉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은, 쿠션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쿠션 시트는, 시트 부재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신축 부재가 고정된 시트 형상 부재이다.
쿠션 시트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와,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신축 부재(43)와, 쿠션 형성 시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탄성신축 부재(43)는 일정한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끼워 고정되어 있다.
쿠션 형성 시트(44)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겹쳐져 이들 시트(41),(42) 대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가 교대로 연속하도록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51)는, 각각, 상기 일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접합선(53)이 2열 이상으로 나란히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접합부(51)끼리 사이의 간격을 제1간격 (D1)으로 정의하고, 접합부(51)내의 접합선(53) 열 사이의 간격을 제2간격(D2)으로 정의한 경우, 제2간격(D2)은 제1간격(D1)보다 좁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른바「플루트 구조」에서,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할 때 형성되는 통기로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면서, 접합부의 통기성과 피부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 나타낸 Y-Y 선에서 단면도이다.
도4는 쿠션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4(a)는 쿠션부를 구성하는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4(b)는 허리 신축 부재가 신장하고 있는 상태 쿠션부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4(c)는,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 한 상태 쿠션부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5는 쿠션부분의 접합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6은 쿠션부에 접합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형태에서 당업자가 자명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수정한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몸통 전면부」란 착용자에게 기저귀를 장착했을 때 착용자의 복부 (신체 전방)를 덮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가랑이 부」란 착용자에게 기저귀를 장착했을 때. 착용자의 허벅지를 덮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몸통 후면부」는 착용자에게 기저귀를 장착했을 때 착용자의 등쪽 (신체 후방)을 덮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길이 방향」이란, 기본적으로,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를 잇는 방향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폭 방향」이란, 기본적으로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X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A ~ B」란 「A 이상 B 이하」임을 의미한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지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및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양측부가 미리 접합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 또한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란, 몸통 전면부 또는 몸통 후면부의 양측부에 접착 테이프가 설치되어, 착용시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를 접착시키는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3). 또한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에서 몸통 후면부에 걸쳐 외장체가 일체가 된 일체형 타입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이나, 몸통 전면부의 외장체와 몸통 후면부의 외장체가 분리된 분리 타입의 것 (예를 들면 특허 문헌2)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 중,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분리 타입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일회용 기저귀(100)를 몸통 전면부측에서 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2는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2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0)는 그 길이 방향으로 장착 된 때,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몸통 전면부(1)와,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몸통 후면부(2)와, 착용자의 가랑이에 앞이 갈라지는 가랑이 부(3)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회용 기저귀(100)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에 의해 몸통 전면부(1)가 구성되고,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에 의해 몸통 후면부(2)가 구성된다. 그리고,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 사이의 가랑이 부(3)에는, 흡수성 본체(30)가 가교(架橋)되어 있다. 즉, 흡수성 본체(30)의 일단은,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에 고정되고, 흡수성 본체(30)의 타단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에 고정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난 전개 상태에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접합함으로써 도1에 표시된 상태로 짜진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의 상단 가장자리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의 상단 가장자리에 의해 허리 개구부(4)가 형성된다. 또한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의 양단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장착시 착용자의 다리부 주위에 위치하는 다리 개구부(5)가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허리 개구부(4)에서 양다리 부분을 넣고 각각의 다리부를 다리 개구부(5)에서 내는 것으로, 일회용 기저귀(10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에는, 각각 쿠션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쿠션부(40)는 허리 개구부(4)를 형성하는 단연을 따라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쿠션부(40)는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를 포함한다.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는 허리 개구부(4)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의 가장자리부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의 가장자리부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있다.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는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함으로써 허리 개구부(4)근방에 허리 주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부(40)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에 모두 설치되어있다. 단, 본 발명에서 쿠션부(40)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2. 일회용 기저귀의 각부 구성)
다음, 도면을 이용하여 일회용 기저귀(100)의 각부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2-1 쿠션부)
도3은 도2에 나타낸 Y-Y선에 있어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의 단면도에서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각종 시트 부재에 개념적 두께를 갖게 하여 그려 있지만,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는 매우 얇은 것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 (이하 통칭하여 「외장체(10),(20)」이라한다)는 쿠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쿠션부(40)는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개구부(4)의 둘레에 허리 주름을 형성하는 수단이며, 복수의 시트 부재와 신축 부재로 구성된다.
도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40)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내측 시트(41)와, 피부 비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외측 시트(42)와, 이들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 사이에 고정된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를 포함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는 모두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테두리(단연)을 형성하고 있다. 즉,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는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개구부(4)에 따른 가장자리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2의 평면도에도 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뻗어있다. 또한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는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있다. 또한, 도3의 예에 있어서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는 각각 분리되어 있지만, 이들 시트 (41),(42)는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한 장의 시트 부재를 허리 가장자리 테두리에서 접어, 피부 대향면 측 부분을 내측 시트(41)로 하고, 피부 비 대향면 측의 부분을 외측 시트(42)로 해도 좋다.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는 폭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가 고정될 때의 신장율은 예를 들면 150% ~ 400%, 200% ~ 380% 또는 250% ~ 3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률」이란, 비 신장 상태 (자유 상태)의 신축 부재의 길이 (원치수)를 100%로 했을 때, 신장 상태로 된 신축 부재의 길이를 나타낸 값이다. 이와 같이,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신장 상태에 있는 허리 신축 부재(43)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할 때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에 주름이 형성된다.
허리 신축 부재(43)를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끼워 고정 할 때에는, 예를 들면, 허리 신축 부재(43) 자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허리 신축 부재(43)를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 사이에 끼워 넣으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들 시트(41)의 사이에 허리 신축 부재(43)를 끼워넣어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쿠션부(40)는 내측 시트(41)의 피부 대향면 측에 배치된 쿠션 형성 시트(44)를 포함한다. 쿠션 형성 시트(44)는 일회용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시트 부재이며, 내측 시트(41)의 피부 대향면 측에 주름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쿠션 형성 시트(44)는 더욱이 외측 시트(42)의 피부 비 대향면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내측 시트(41)에 겹쳐져 있는 쿠션 형성 시트(44)와, 외측 시트(42)에 겹쳐져 있는 쿠션 형성 시트(44) (도시 생략)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도4를 참조하여 쿠션부(40)에 포함된 쿠션 형성 시트(44)가 주름을 형성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쿠션부(40)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를 개념적으로 추출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부(40)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와, 이들 시트(41),(42) 사이에 고정된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와 내측 시트(41)에 겹쳐진 쿠션 형성 시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쿠션 형성 시트(44)는 외측 시트(42)에 겹쳐져 있어도 좋으며,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양쪽에 겹쳐져 있어도 좋다.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형성 시트(44) 내측 시트(41)의 접합부(51)는 기저귀의 폭 방향 (X축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쿠션 형성 시트(44)와 내측 시트(41)는 기저귀의 폭 방향을 따라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가 교대로 연속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51)에서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쿠션 형성 시트(44)와 내측 시트(41)를 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열 씰이나 초음파 씰에 의하여 쿠션 형성 시트(44)와 내측 시트(41)를 융착하여도 좋다. 접합부(51)를 형성하는 접합선(53)의 패턴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4(b)는, 도면의 아래쪽 (피부 비 맞닿는 면 측)부터 차례로, 외측 시트(42), 허리 신축 부재(43), 내측 시트(41) 및 쿠션 형성 시트(44)의 순서로 포갠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4(b)는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신축 부재(43)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신장 상태에서 끼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쿠션 형성 시트(44)는 폭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51)에서 내측 시트(41)의 피부 대향면 측에 접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4(c)는,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신축 부재(43)의 수축에 따라 쿠션 형성 시트(44)에 주름이 형성된다. 즉,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하면, 비 접합부(52)에서 쿠션 형성 시트(44)가 내측 시트(41)에서 크게 떨어져 쿠션 형성 시트(44)가 그리고 내측 시트(41) 사이에 큰 통기로(공간)(6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본원 명세서에서는「플루트 구조」라고 칭하고있다. 이렇게 하여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51) 사이에서, 큰 통기로(61)를 형성함으로써, 허리 신축 부재(43)를 끼고 있는 내측 시트(41)의 경도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플루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허리 주름 전체에 통기성, 유연성 및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도5는 접합부(51) 패턴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 (X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도5에서, 접합부(51)끼리의 폭 방향 (X방향)의 간격은 부호 D1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간격 D1은 비 접합부(52)의 폭 방향 (X방향)의 폭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부호 D1으로 표시된 간격은 「제1간격」으로 정의된다.
또한, 각 접합부(51)는 복수의 접합선(5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접합선(53)은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이다. 도5에서 접합선(53)의 폭은 부호W로 표시되어 있으며, 접합선(53)의 길이는 부호 L로 표시되어있다. 접합선(53)은 그 길이 L이 폭W에 대해, 2배 이상 5배 이상, 10배 이상 길게 되어 있다. 접합선(53)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접합부(51) 내에서는 직선상의 접합선(53)이 2열 이상으로 줄지어 있다. 도5에 나타낸 예에서는, 하나의 접합부(51) 내에는 접합선(53)의 열이 2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열」이란, 하나 또는 복수의 접합선(53)이 길이 방향 (Y방향)을 따라 직선상(가상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하나의 접합부(51) 내에서 접합선(53) 열은 폭 방향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5에서는 하나의 접합부(51) 내에 포함되는 접합선(53) 열끼리의 폭 방향 (X방향)의 간격이 부호 D2로 나타나고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부호 D2로 나타낸 간격은「제 2 간격」으로 정의된다.
또한, 도5에 나타낸 예에서, 하나의 열에는 복수의 접합선(53)이 속해있다. 하나의 열에 속하는 복수의 접합선(53)은 길이 방향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5에서는 하나의 열에 속하는 접합선(53) 열 끼리의 길이 방향 (Y방향)의 간격이 부호 D3로 나타나고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부호 D3로 표시된 간격은 「제3간격」으로 정의된다.
또한, 도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원 명세서에서 제1간격 D1 제2간격D2 및 제3간격D3는 각각 인접한 접합선(53)끼리의 테두리와 테두리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어있다.
여기서, 접합부(51)끼리의 간격인 「제1간격D1」과 하나의 접합부(51) 내에서의 접합선(53) 열 끼리의 간격 인 「제2간격D2」와를 비교하면 제2간격D2쪽이, 제1간격D1보다 좁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간격D2는 제1간격D1을 100%로 했을 때 15% ~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간격 D2는 20%~45% 인 것이 바람직하고, 22% ~ 40% 또는 25% ~ 35%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접합부(51) 내에서, 접합선(53)의 열이 3열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열의 간격이 각각 다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간격D2는 하나의 접합부(51) 내의 접합선(53) 열의 간격을 모두 의미한다. 또한 제2간격D2는, 하나의 접합부(51) 내의 접합선(53) 열의 간격 중 가장 넓은 간격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접합부(51)에서, 접합선(53)의 열이 3 열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열의 간격이 각각 다른 경우, 그 각 열 간격은 모두 제1간격D1보다 좁아진다.
상기와 같이 제2간격 D2는 제1간격D1에 대하여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할 때, 접합부(51)에 포함된 접합선(53) 열 사이에, 작은 통기로(공간)(6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허리 신축 부재(43)가 수축하면 접합부(51)끼리의 사이 (비 접합부 52)에 큰 통기로(61)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접합부(51)에 포함되는 접합선(53) 열 사이에도 작은 통기로(62)가 형성된다. 작은 통기로(62)는 쿠션 형성 시트(44)의 융기 높이가 큰 통기로(61)보다 작다.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가 높고 폭이 넓은 큰 통기로(61)의 사이에는, 높이가 낮고 폭이 좁은 작은 통기로(62)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같이 큰 통기로(61)끼리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작은 통기로(62)가 존재함으로써, 큰 통기로(61)끼리의 간격이 넓게 유지된다. 즉, 인접한 큰 통기로(61)의 간격이 넓게 됨으로써, 쿠션 형성 시트(44)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 면적이 작아지는 동시에, 쿠션 형성 시트(44)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넓은 공간이 생긴다. 이에 따라 쿠션 형성 시트(44)가 배치된 복부 주위의 통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큰 통기로(61)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작은 통기로(62)가 존재함으로써, 큰 통기로(61)끼리가 서로 접촉하여 압박하고 있고, 그 내부의 공간이 무너져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은 통기로(62)는 큰 통기로(61)끼리의 충돌을 방지 완충 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큰 통기로(61)의 양주위에 작은 통기로(62)가 형성됨으로써, 이 2개의 작은 통기로(62)에 의해 큰 통기로(61)의 융기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부터, 큰 통기로(61)는 작은 통기로(62)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융기상태가 무너지기 어렵게 되어, 쿠션성이 향상된다.
즉, 작은 통기로(62)는 큰 통기로(61)를 지탱하는 지지 작용을 발휘한다. 이처럼 큰 통기로(61) 사이에 작은 통기로(62)를 설치(즉, 작은 통기로(62)의 사이에 큰 통기로(61)를 설치)함으로써 큰 통기로(61)의 기능 (통기성, 유연성, 및 쿠션성의 향상 효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접합선(53)이 직선상 인 것으로, 예를 들면 접합선(53) 대신 원형의 접합점 등을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접합선(53) 열 사이에 작은 통기로(62)가 형성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접합선(53)은 직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51) 내에 간격이 빈 접합선(53)의 열을 형성함으로써, 이 접합부(51)의 통기성과 유연성이 향상한다. 즉, 큰 통기로(61)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접합부(51)를 일렬로 두꺼운 접합선이나 밀집 된 접합점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접합부(51)는 접착제 나 열 융착 등에 의해 시트 부재를 접합한 부위이기 때문에 두꺼운 접합선과 밀집한 접합점에 의해 접합부(51)를 형성하면 이 접합부(51)의 통기성과 유연성이 저하된다. 이에 대해, 도5에 나타낸 패턴처럼 하나의 접합부(51)를 간격 뚫린 복수열 접합선(53)에서 형성함으로써 접합부(51)의 통기성과 유연성이 저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간격D2가 제1간격 D1의 50%를 넘는 것으로 되면 작은 통기로(62) 가 너무 커져 버린다. 즉, 제2간격D2가 제1간격D1의 50%를 초과하면 인접하는 큰 통기로(61)와 작은 통기로(62)가 간섭하여 만나고, 서로의 공간을 눌러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큰 통기로(61)의 기능 (통기성, 유연성 및 쿠션성의 향상 효과)가 작은 통기로(62)에 의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통기로(62)는 큰 통기로(61)끼리 간의 간격을 넓게 유지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는 작용, 큰 통기로(61)끼리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 작용, 및 큰 통기로(61)를 지탱하는 지지 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2간격D2가 제1간격D1의 50%를 넘는 것으로 되면 작은 통기로(62)에 의한 상기 3가지 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간격D2는 제1간격D1의 50% 이하 또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은 통기로(62)가 융기하는 높이는, 큰 통기로(61)가 융기하는 높이에 대해, 50% 이하, 40% 이하 또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작은 통기로(62)의 높이는 큰 통기로(61)의 높이를 100%로 했을 경우에, 10% ~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 ~ 45%, 14% ~ 40% 또는 15% ~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은 통기로(62)와 큰 통기로(61)의 높이는, 허리 신축 부재(43)가 비 신장 상태 (자유 상태)에 있을 때의 높이를 의미한다. 작은 통기로(62)는 2 개의 큰 통기로(61)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지만, 이 작은 통기로(62)의 높이가 큰 통기로(61) 높이의 50%를 넘는 것이라면, 큰 통기로(61) 끼리 간의 통기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이 작은 통기로(62)의 높이가 큰 통기로(61) 높이의 50%를 넘는 것이면, 작은 통기로(62)에 의한 상기 3가지 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큰 통기로(61) 사이에 작은 통기로(62)를 형성한 의미가 거의 없어진다. 따라서 작은 통기로(62)가 융기하는 높이는, 큰 통기로(61)가 융기하는 높이의 절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접합선(53)의 폭(W)은, 제2간격D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합선(53)의 폭(W)은 제2간격D2 대해 5% ~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7% ~ 30% 또는 10% ~ 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접합선(53)의 폭(W)이 제2간격D2에 대하여50%를 초과하면 큰 통기로(61)의 공간이 작아 지거나, 작은 통기로(62)가 형성되지 않게 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접합선(53)의 폭(W)이 제2간격D2에 대해 5% 미만이면 시트끼리의 접합력이 저하하여 시트끼리가 벗겨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쿠션부(40)의 통기성과 쿠션성을 유지하기 위해 접합선(53)의 폭(W)은 제2간격D2 대해 5%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제3간격D3는 접합부(51)의 접합 강도와 통기성을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접합선(53)의 길이 L에 대해 10% ~ 50%, 20% ~ 40% 또는 25% ~ 35%로 하면 좋다.
도5에 도시된 접합 패턴에 대해, 각종 치수의 실제 수치를 설명하면, 예를 들어, D1은 7.0 ~ 9.0mm, D2는 1.5 ~ 3.5mm, W는 0.2 ~ 1. 0mm, L은 3~7mm, D3는 0.5 ~ 3mm이다. 단, 각종 치수의 구체적인 수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도6은 접합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접합부(51)에는 접합선(53)의 열이 3열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하나의 접합부(51)에는 접합선(53)의 열이, 4열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선(53)의 열은 하나의 접합선(53) 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선(53) 열의 간격, 즉 제2간격은 모두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6에 나타낸 예에서, 제2간격은 2종류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2 종류의 제2간격을 제2-1의 간격 D2- 1와 제2-2간격D2 -2로 정의하면 제2-1간격D2-1은, 제2-2간격D2 - 2 보다 좁아지고 있다. 이 경우 제2-1간격D2 - 1와 제2-2간격D2 -2 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간격D1에 대해 15% ~ 50%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제2-1간격D2 -1과 제2-2간격D2 - 2 중 어느 한쪽 (좁은 쪽)이, 제1간격D1에 대해15% ~ 50%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간격D1이 2종류 이상 존재하고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종류의 제1간격D1 중 가장 넓은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2간격을 15% ~ 50%라고 하는 값의 범위 내로 설정하면 좋다.
기타, 내측 시트(41), 외측 시트(42), 쿠션 형성 시트(44)는 각각 감촉이 좋고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등의 소재로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로는 예를 들면, 스펀 본드 법이나 에어 스루법, 에어 레이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허리 신축 부재(43)로서는, 실 모양(??) 탄성 고무 또는 띠 모양(????) 탄성 고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무 재료로는 스티렌 계 고무, 올레핀 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 계 고무, 폴리 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스티렌 부타디엔, 실리콘, 또는 폴리 에스테르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시트(41)가 기저귀의 가랑이 부(3)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내측 시트(41)의 일부는 흡수성 본체(30)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 위 (피부 대향면)에 중첩되어있다. 이와 같이, 내측 시트(41)의 일부를 흡수성 본체(30)에 중첩시킴으로써, 흡수성 본체(30)가, 외장체(10),(20)에 단단히 고정되어, 분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외장체(10),(20)는 내부 시트(45), 더미 신축 부재(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외측 시트(42)는 가랑이 부(3)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일부가 흡수성 본체(30)의 피부 비 대향면 측에 위치하여 있다. 여기에서, 외측 시트(42)의 연장 부분의 피부 대향면 측에는 내부 시트(4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시트(42)의 연장 부분과 내부 시트(45)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더미 신축 부재 (46)가, 끼워 고정되어 있다. 더미 신축 부재 (46)는, 허리 신축 부재(43)와 마찬가지로, 기저귀의 폭 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에서 외측 시트(42)의 연장 부분과 내부 시트(45)사이에 고정된다.
(2-3. 흡수성 본체)
도2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0)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0)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0) 사이에 가교(架橋)된 상태로 유지되며, 일회용 기저귀(100)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 부에 위치하여, 착용자가 배설 한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 유지한다. 흡수성 본체(30)는,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부(3)를 중심으로 몸통 전면부(1) 및 몸통 후면부(2)에 걸쳐 배치된다. 도2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0)는, 흡수체(31)와 톱 시트(32)와 백 시트(33)와, 커버 시트(34)와 한 쌍의 입체 주름(35)을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31)는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고, 흡수한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흡수체(31)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32)와 액체 불 투과성의 백 시트(33)의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체(31)는 톱 시트(32)를 투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흡수성 재료로 구성된다. 흡수체(31)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에는 공지의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흡수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플랩 펄프, 고 흡수성 폴리머 또는 친수성 시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흡수체(31)는 코어랩 시트(36)에 의하여 따라서 피포(被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랩 시트(36)로서는 휴지, 흡수지 친 수화 처리를 한 부직포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톱 시트(32)는 착용자의 가랑이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하고,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체(31)에 투과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 때문에 톱 시트(32)는 유연성이 높은 액체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톱 시트(32)는 흡수체(31)의 피부 맞닿는 면 측을 피복하도록 배치된다. 톱 시트(32)를 구성하는 액체 투과성 재료의 예는 직포, 부직포 또는 다공성 필름이다. 또한 톱 시트(32)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폴리 에스테르, 나일론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를 친 수화 처리하고, 또한 부직포로 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백 시트(33)는 톱 시트(32)를 투과 흡수체(31)에 흡수 된 액체가 기저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때문에 백 시트(33)는 액체 불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다. 백 시트(33)는 흡수체(31)의 저면으로부터의 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체(31)를 피부 비 맞닿는 면 측에서 피복한다. 백 시트(33)를 구성하는 불투과 재료의 예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액체 불 투과성 필름이다. 특히 0.1~4μm의 미세한 구멍이 복수의 형성된 미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시트(34)는 백 시트(33)를 보강하고, 또한 그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 시트(34)는 백 시트(33)의 피부 비 맞닿는 면 측에 접합된다. 커버 시트(34)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직물이나 부직포가 사용된다. 특히 커버 시트(3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습식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입체 주름(35)은 흡수체(31)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따라 기립(起立)하고, 착용자가 배설한 소변의 옆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입체 주름(35)의 각각에는 그 선단부(先端部)에 입체 주름 신축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신축재가 수축했을 때 착용자의 피부 맞닿는 방향으로 일어 선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입체 주름(35)은 소변의 방누벽(防漏壁)이 되고, 톱 시트(32)를 투과하지 않았던 소변과, 흡수체(31)에 의해 흡수된 소변이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 주위 개구부 등에서 누출되는 옆 누설을 방지한다. 입체 주름(35)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입체 주름(35)은 예를 들어, 발수성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주름 신축재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발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카드 엠보싱과 스펀 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방수성이 높은 SMS 또는 SMMS 등의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원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했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당업자가 자명한 변경 형태와 개량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쿠션 시트를 일회용 기저귀와는 별체로 제조하고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둘레에 접합시키도록 하여 쿠션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즉,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시트는, 복수의 시트 부재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신축 부재가 고정된 시트 형상 부재이다. 탄성 신축 부재가 복수인 경우, 각 탄성 신축성 부재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쿠션 시트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와,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신축 부재(43)와 쿠션 형성 시트(44)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탄성신축 부재 (43)는 일정한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에서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사이에 끼워 고정되어 있다. 쿠션 형성 시트(44)는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겹쳐, 이들 시트(41),(42) 대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가 교대로 연속 하도록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51)는 각각 상기 일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접합선(53)이 2열 이상으로 나란히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접합부(51)끼리 사이의 간격을 제1간격 (D1)으로 정의하고 접합부(51) 내의 접합선(53) 열 사이의 간격을 제2간격(D2)으로 정의된 경우 제1간격 (D1)은 제1간격(D1)보다 좁아지고 있다.. 제2간격(D2)은 제1간격(D1)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와는 별도로, 쿠션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기성의 일회용 기저귀에도 쉽게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쿠션 시트만을 제조하는 것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업 등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몸통 전면부 2…몸통 후면부 3 … 가랑이 부
4…허리 개구부 5 …다리 개구부 10… 몸통 전면부 외장체
20 … 몸통 후면부 외장체 30 … 흡수성 본체 31 … 흡수체
32 … 톱 시트 33 … 백 시트 34 …. 커버 시트
35 … 입체 주름 36 … 코어랩 시트 40 … 쿠션부
41 …내측 시트 42 ... 외측 시트 43 ... 허리 신축 부재
44 …쿠션 형성 시트 45 ... 내부 시트 46 ... 더미 신축 부재
51 … 접합부 52 … 비 접합부 53 … 접합선
61 … 대형 통기로 62 … 작은 통기로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와, 상기 몸통 전면부(1)와 상기 몸통 후면부(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부(3)으로 구분되며,
    상기 몸통 전면부(1)와 상기 몸통 후면부(2)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쿠션부(40)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40)는
    내측 시트(41)와,
    상기 내측 시트(41)의 피부 비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외측 시트(42)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시트(41)와 상기 외측 시트(42) 사이에 끼워 고정되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허리 신축 부재(43)와,
    상기 내측 시트(41)와 상기 외측 시트(4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겹쳐, 상기 폭 방향으로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가 교대로 연속하도록 간헐적으로 접합된 쿠션 형성 시트(44)와, 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51)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접합선(53)이 2열 이상으로 나란히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접합부(51)끼리간의 간격을 제1간격 (D1)으로 정의하고, 상기 접합부(51) 내의 상기 접합선(53)의 열 사이의 간격을 제2간격 (D2 )로 정의 된 경우,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제1간격(D1)보다 좁은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제1간격(D1)에 대해 15% 이상인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제1간격(D1)에 대해 50% 이하인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선(53)의 폭(W)은 상기 제2간격(D2)보다 좁은 일회용 기저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선(53)의 폭(W)은 상기 제2간격(D2)에 대해 5% 이상 50% 이하인 일회용 기저귀.
  6. 복수의 시트 부재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신축 부재가 고정된 쿠션 시트에 있어서,
    내측 시트(41)와,
    외측 시트(42)와,
    일정한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시트(41)와 상기 외측 시트(42) 사이에 끼워 고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신축 부재(43)와,
    상기 내측 시트(41)와 상기 외측 시트(4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겹쳐 상기 일정 방향으로 접합부(51)와 비 접합부(52)가 교대로 연속하도록 간헐적으로 접합된 쿠션 형성 시트(44)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51)는 각각 상기 일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접합선(53)이 2열 이상으로 나란히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접합부(51)끼리의 간격을 제1간격 (D1)으로 정의하고, 상기 접합부(51) 내의 상기 접합선(53)의 열 사이의 간격을 제2간격 (D2 )로 정의 한 경우,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제1간격(D1)보다 좁은 쿠션 시트.
KR1020177005236A 2014-08-20 2015-08-05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KR101892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7491 2014-08-20
JP2014167491A JP5896187B1 (ja) 2014-08-20 2014-08-20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クッションシート
PCT/JP2015/072164 WO2016027665A1 (ja) 2014-08-20 2015-08-05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クッション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054A true KR20170036054A (ko) 2017-03-31
KR101892613B1 KR101892613B1 (ko) 2018-10-04

Family

ID=5535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236A KR101892613B1 (ko) 2014-08-20 2015-08-05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70231839A1 (ko)
JP (1) JP5896187B1 (ko)
KR (1) KR101892613B1 (ko)
CN (1) CN107106358A (ko)
AU (1) AU2015304525B2 (ko)
BR (1) BR112017003365A2 (ko)
EA (1) EA032925B1 (ko)
MY (1) MY179687A (ko)
NZ (1) NZ728598A (ko)
TW (1) TWI581774B (ko)
WO (1) WO2016027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7573B2 (en) * 2015-05-19 2020-04-14 Zuiko Corporation Stretchable laminate sheet and disposable worn article
US10292874B2 (en) * 2015-10-20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mode high-waist foldover disposable absorbent pant
JP6832443B2 (ja) 2017-02-28 2021-02-24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方向伸張特性を有する弾性材料
KR102519499B1 (ko) * 2017-09-27 2023-04-07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신축 부재 및 이 신축 부재를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
WO2019065572A1 (ja) * 2017-09-27 2019-04-04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部材及びこの伸縮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JP2020103562A (ja) * 2018-12-27 2020-07-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77211B2 (ja) * 2018-12-27 2020-10-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37368A1 (ja) * 2018-12-27 2020-07-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45756B2 (ja) * 2018-12-28 2022-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3761B2 (ja) * 1992-02-24 2004-10-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新規な弾性複合体を伸縮部に備えたパンツ状生理用品
EP0556749B1 (en) * 1992-02-13 1997-05-07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 sheet elastic complex used in sanitary products,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its usages
US5451219A (en) * 1993-07-28 1995-09-19 Paragon Trade Brands,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US7112193B2 (en) * 1996-09-30 2006-09-26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backsheet comprising composite having an elastic layer, inelastic layer and bonding pattern of obliquely intersecting lines
JP3883530B2 (ja) * 2003-09-08 2007-02-21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5771B2 (ja) * 2004-05-14 2010-09-01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2940B2 (ja) * 2004-03-12 2010-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261420B2 (ja) * 2004-05-12 2009-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2087871B1 (en) * 2006-11-27 2015-03-18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5280276B2 (ja) 2009-03-31 2013-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540379B2 (ja) * 2010-06-09 2014-07-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3619299B (zh) * 2011-03-31 2016-09-28 王子控股株式会社 一次性尿布
JP5862159B2 (ja) * 2011-09-26 2016-02-1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ベルト型使い捨ておむつ
JP5782960B2 (ja) * 2011-09-27 2015-09-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573806B2 (ja) * 2011-09-29 2014-08-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5104608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6187B1 (ja) 2016-03-30
JP2016042917A (ja) 2016-04-04
AU2015304525A1 (en) 2017-02-16
CN107106358A (zh) 2017-08-29
WO2016027665A1 (ja) 2016-02-25
TWI581774B (zh) 2017-05-11
TW201607516A (zh) 2016-03-01
EA201790215A1 (ru) 2017-06-30
NZ728598A (en) 2017-12-22
BR112017003365A2 (pt) 2018-07-03
KR101892613B1 (ko) 2018-10-04
MY179687A (en) 2020-11-11
EA032925B1 (ru) 2019-08-30
AU2015304525B2 (en) 2018-03-01
US20170231839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613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KR101865335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JP5430178B2 (ja) 使い捨ておむつ
TWI580410B (zh) Disposable wearing items
JP5225637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KR101730212B1 (ko) 일회용 기저귀
EP2659872B1 (en) Underwear-type absorbent article
KR20100106968A (ko) 1회용 기저귀
JP2003038556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6314822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クッションシート
JP673719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151844B2 (ja) 吸収性物品
JP5185670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578296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750545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H10314225A (ja) 使い捨てブリーフ
CN108778212B (zh) 抛弃式尿布
JP5405810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11571B2 (ja) 吸収性物品
JP6051789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674733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175563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834930B2 (ja)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WO2019230981A1 (ja) 吸収性物品
JP202019555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