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007A -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007A
KR20170034007A KR1020150132059A KR20150132059A KR20170034007A KR 20170034007 A KR20170034007 A KR 20170034007A KR 1020150132059 A KR1020150132059 A KR 1020150132059A KR 20150132059 A KR20150132059 A KR 20150132059A KR 20170034007 A KR20170034007 A KR 20170034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dust
dust mite
composition
protein
all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051B1 (ko
Inventor
안용준
고영률
전광주
김현경
페루말사미 하리발란
산가라판디연 가루파사미
Original Assignee
안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준 filed Critical 안용준
Priority to KR102015013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051B1/ko
Priority to PCT/KR2015/009781 priority patent/WO2017047843A1/ko
Priority to JP2018515120A priority patent/JP2018533549A/ja
Priority to US15/760,038 priority patent/US20180249717A1/en
Priority to CN201580083094.6A priority patent/CN108135184A/zh
Publication of KR2017003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4Oxygen or sulfur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with two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cetophenone;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keto or thioketo groups as part of a ring, e.g. cyclohexanone, quinone; Derivatives thereof, e.g. k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 A01N43/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 A01N43/2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two hetero atoms in positions 1,3
    • A01N43/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two hetero atoms in positions 1,3 with two oxygen atoms in positions 1,3,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01N47/4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containing —N=C=S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wherein m+n>=1, both X together may also mean —Y— or a direct carbon-to-carbon bond, and the carbon atoms marked with an asterisk are not part of any ring system other than that which may be formed by the atoms X, the carbon atoms in square brackets being part of any acyclic or cyclic structure, or the group, wherein A means a carbon atom or Y, n>=0, and not more than one of these carbon atoms being a member of the same ring system, e.g. juvenile insect hormones or mimic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이며, 천연 식물 유래 정유 또는 그 수증기 증류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집먼지진드기 유래 알레르기원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들 알레르기원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들의 예방, 경감 내지 완화, 또는 치료에 별다른 부작용 없이 환경친화적 및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집먼지진드기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질병들의 유병률 및 일반인 노출 빈도를 현저히 낮출 수가 있다.

Description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DUST MITE ALLERGEN ELIMINATOR AND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집먼지진드기 유래의 각종 알레르기 단백질들을 변성 내지 중화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함과 아울러, 집먼지진드기에 대해 살비력을 보유하는, 천연의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 유래의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집먼지진드기에 의해 야기되는 천식, 아토피성피부염, 비염 등의 각 종 알레르기 질환의 유행과 엄중함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공공보건문제이다 [Arlian, L.G. 2002. Arthropod allergens and human health. Annu. Rev. Entomol. 47, 395433; Bessor, J.C. & G. Pauli. 2011. Mite allergens: an overview.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43: 141156.]. 집먼지진드기는 가장 중요한 중요한 알레르기 증상의 원인으로서 전세계적으로 6천5백만영 내지 1억2천만명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Colloff, M.J. 2009. Dust Mites. Springer, Dordrecht.]. 집먼지진드기는 각질이나 비듬 등이 흔히 사람들이 많이 활동하거나 생활하는 곳에 쌓이게 되는 매트리스, 가구, 카펫 등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집먼지진드기들 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우점을 보이는 종은 큰다리먼지진드기[American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farinae)]와 세로무늬먼지진드기[European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로서, 직업적 및 실내 환경에서 알레르기원(allergen)의 주요 출처로 생각되고 있다[Bessor, J.C. & G. Pauli. 2011. Mite allergens: an overview.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43: 141156.]. 이들 알레르기원은 집먼지진드기 위장관에서 생산되어 분뇨와 함께 배설된다.
집먼지진드기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 중에서, 천식은 높은 사망률로 인하여[Mart, H.Q. & N. Ferguson. 2009. Life-threatening asthma: focus on lung protection. Intensive Care Medicine, Springer. pp. 372382.] 가장 중요한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성인의 5-10%, 소아의 10-20% 정도가 천식에 시달리고 있다[UK BIVDA. 2002. Diagnostics in Healthcare. The British In Vitro Diagnostics Association.]. 전 세계 인구 백만명당 2내지 87명 정도가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평균 22명 사망). 대부분의 알레르기원은 분자량이 14-60 kDa의 단백질으로서, 가장 중요시 되고 있는 것들은 21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원 중에서 그룹 I과 그룹 II에 속하는 것이다[Arlian, L.G. & T.A.E. Platts-Mills. 2001. The biology of dust mites and the remediation of mite allergens in allergic disease. J. Allergy Clin. Immunol. 107: S406S413; Thomas, W.R., W.A. Smith, B.J. Hales, K.L. Mills & R.M. O 2002. Characterization and immunobiology of house dust mite allergens. Int. Arch. Allergy Immunol. 129: 118.].
집먼지진드기 수와 알레르기원의 양은 비례하는데, 이에 따른 질병 유발 위험성도 증가한다. 그룹 I의 경우 1 g의 알레르기원의 양은 50개체 정도의 집먼지진드기에 해당된다. 알레르기원의 양이 2 g이면 감작증세를 일으키고 10 g 이상이면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2~10 g의 알레르기원 양을 천식의 위험수준으로 간주하는데 이는 집먼지 그람당 100-500개체 정도의 집먼지진드기의 수를 의미한다(Platts-Mills, T.A.E & M.D. Chapman. 1987. Dust mites; Immunology, allergic diseases, and environmental control. J. Allergy Clin. Immunol. 80: 755757; Korsgaard, J. 1983. Mite asthma and residency; a case-control study on the impact of exposure to house dust mites in dwellings. Am. Rev. Respir. Dis. 128, 231235; Platts-Mills, T.A.E. et al. 1989. Dust mite allergen and asthma-A worldwide problem. J. Allergy Clin. Immunol. 83: 416427.). 국내의 경우, 이부자리의 먼지와 천 소파에서 채집한 먼지 그리고 카펫 먼지 속의 진드기 개체수와 알레르기원 함량은 비슷하며, 2 g 이상 검출된 경우가 31.2%였고 10 g 이상이 검출된 가정도 10% 이상으로 보고되어(홍천수, 이미경. 1990. 집먼지내에 있는 집먼지진드기의 Group I allergen 함량 조사. 알레르기 10: 347348), 집먼지진드기에 의한 질병 위험성에 많은 사람들이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집먼지진드기를 방제하기 위해 주로 감마비에이치씨(gamma-BHC),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디에틸톨루아미드(diethyl-m-toluamide), 디부틸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등의 합성제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Pollart, S.M., G.W. Ward, Jr. & T.A.E. Platts-Mills. 1987. House dust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control.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7: 447461).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원으로서 배설물, 탈피각, 분비물, 세포 등이 알려져 있다[Tovey, E.R., M.D. Chapman, & T.A.E. Platts-Mills. 1981. Mite faeces are a major source of house dust allergens. Nature 289: 592593; Arlian, L.G. & T.A.E. Platts-Mills. 2001. The biology of dust mites and the remediation of mite allergens in allergic disease. J. Allergy Clin. Immunol. 107: S406S413.]. 알레르기 단백질을 함유하는 죽은 진드기는 살아 있는 진드기를 방제해도 몇 개월간 그 상채로 존재한다[Green, W.F. 1984. Abolition of allergens by tannic acid. Lancet 324: 160.]. 따라서 살진드기제로 방제하여도 그 사체가 존재하는한 알레르기 질환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
현재까지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원을 변성시키거나 중화시킬 수 있는 약제는 탄닌산(tannic acid)으로서 1-3% 스프레이 제품들이 미국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Woodfolk, J.A., M.L. Hayden, J.D. Miller, G. Rose, M.D. Chapman & T.A.E. Platts-Mills. 1994. Chemical treatment of carpets to reduce allergen: a detailed study of the effects of tannic acid on indoor allergens. J. Allergy Clin. Immunol. 94: 1926.]. 이들 제품이 비록 Der p I과 Der f I 같은 알레르기원들을 제거하는데 있어 효과를 보일지라도(Ehnert, B., S. Lau-Schadendorf, A. Weber, P. Buettner, C. Schou & U. Wahn. 1992. Reducing domestic exposure to dust mite allergen reduces bronchial hypersensitivity in sensitive children with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90: 135138), 집먼지진드기는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으므로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Visitsunthorn, N., V. Chirdjirapong, V. Pootong, O. Jirapongsananuruk, P. Pacharn, S. Weeravejsukit, V. Mahakittikun & P. Vichyanond. 2010. The accumulation of dust mite allergens on mattresses made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Asian Pac. J. Allergy Immunol. 28: 155161.]. 또한, 천에 사용했을 때 탄닌산으로 인한 얼룩과 카펫이나 기타 재질에 탄닌산의 존재 등으로 인해 변색을 유발[Woodfolk, J.A., M.L. Hayden, N. Couture & T.A.E. Platts-Mills. 1995. Chemical treatment of carpets to reduce allergen: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annic acid and other treatments on proteins derived from dust mites and cats. J. Allergy Clin. Immunol. 96: 325333.]한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있으나 아직까지 탄닌산을 대체할 만한 다른 효과적인 단일 또는 복합 화합물이나 조성물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에 있다.
종래 식물 추출물 또는 식물 정유를 이용한 집먼지진드기의 살비 또는 알러젠 비활성화제에 관한 전형적인 종래 기술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5822호(2003.02.25. 공개)는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Melaleuca leucadendron),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Pseudotsuga menziesii), 페루라 갈바니프루아(Ferula galbaniflua),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 (Pelargonium ordoratissimum), 펠라고니움 라덴스(Pelargonium radens), 펠라고니움 케피타툼(Pelargonium capitatum,), 헬리크리섬 어우구스티폴리엄(Helichrysum augustifolium),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Andropogon muricatus),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밀리사 오피시날리스(Milissa officinalis),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Melaleuca viridiflora), 라벤사라 아로마티카(Ravensara aromatica), 사사프라스 알부덤(Sassafras albudum), 타제테스 이레타(Tagetes erecta ), 타제테스 파투라(Tagetes patula)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Verbena officinalis)로 이루진 군으로 1종 이상 선택되어진 식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진드기 살비성 조성물과, 제라니올(geraniol), 리난올(linalool), (-)-시스-미르탄올((-)-cis-myrtanol), 트랜스-미르탄올(myrtanol), (-)-미르테날(myrtenal), (-)-미르텐올(myrtenol), 튜존(thujone), 시스-버르벤올(verbenol), (-)-버베논(verbenone), 멘톤(menthone) 및 인돌라인(ind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모노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드기 살비성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진드기 살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뿐, 집먼지진드기의 알레르기성 단백질 제거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84666호(2005.08.26. 공개)는 사과 녹차, 아킨(Arkin) 스페셜, 아르니카(Arnica) 스페셜, 아보카도, 아보카도 GW, 검정 까치밥(Black Currant) 녹차, 장미(Cabbage Rose), 고양이 발톱(Cat's Claw), 세밀라 올레이페라(Cemila Oleifera), 센텔라(Centella), 덩굴월귤 녹차, 민들레, 가르시니아(Garcinia), 포도 씨, 그레이프프루트 녹차, 녹차, 녹차 농축물, 녹차 HS, 헥사플랜트 리히터(Hexaplant Richter), 히비스커스 스페셜, 히드로코틸(Hydrocotyle) GR, 라벤더, 마로니에, 우유 엉겅퀴, 오렌지 녹차, 피텍셀(Phytexcell) 아르니카, 자주 삼잎국화(Purple Coneflower), 세이지 GW, 세이지
스페셜, 세다플랜트(Sedaplant) 리히터, 성 요한의 풀(St. John's Wort), 하마멜리스(Witchhazel) GW, 서양가새풀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수용성 식물성 추출물로 된 식물성 추출물 수용액과 진드기 배설물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먼지진드기 배설물의 중화방법 및 조성물을 개시(開示)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알레르기 유발원으로서 먼지진드기의 배설물의 중화를 언급하고 있을 뿐, 집먼지진드기의 살비나, 집먼지진드기 자체 또는 그 사체 혹은 그 사체의 일부 등의 알레르기 유발원에 대한 언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5822호(2003.02.25.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84666호(2005.08.2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강한 살비력을 구비하면서도 이들이 생산하는 알레르기 단백질에 대해 효과적인 비활성화 또는 변성화에 의한 강한 제거력을 보이는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로 구성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효과적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효과적인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아릴이소싸이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 아네솔(Anethole), 베타아사론(-Asarone), 캠퍼(camphor), 델타-3-카렌(-3-carene), 시트로네롤(citronellol), 쿠민(Cumene), 쿠민알데히드(cuminaldehyde), 제라니알(Geranial), 이소풀레골(Isopulegol), 라반두롤(lavandulol), 리나롤옥시드(linalool oxide), 미리스티신(Myristicin), 네랄(Neral), 네롤(nerol), 네롤리돌(Nerolidol), 페릴알데히드((Perillaldehyde), 페릴라알콜(Perilla alcohol), 테르피노렌(terpinolene) 및, 티몰(Thymol)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로 구성되며,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을 비활성화 또는 변형시키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바실(basil, Ocimum basilicum), 갈색열매실삼나무(cade, Juniperus oxycedrus), 캐라웨이(caraway, Carum carvi), 당근씨드(carrot seed, Daucus carota), 개박하(catnip, Nepeta cataria), 황금측백(cedar, Thuja occidentalis), 셀러리(celery, Apium graveolens), 코리앤더(coriander herb, (Coriandrum sativum), 이태리편백(cypress, Cupressus sempervirens), 레몬유카리(lemon eucalyptus, Eucalyptus citriodora), 양파(garlic, Allium sativum), 주니퍼베리(juniperberry, Juniperus communis), 라임(lime, Citrus aurantifolia), 만다린오렌지(mandarin, Citrus reticulata), 오레가노(oregano, Origanum vulgare), 생강풀(palmarosa, Cymbopogon martinii), 페니로얄(pennyroyal, Mentha pulegium), 구주소나무(pine, Pinus sylvestris), 달마티안세이지(Dalmatian sage, Salvia officinalis), 박하(spearmint, Mentha spicata) 및, 썸머세이보리(summer savory, Satureja hortensis)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의 정유 또는 그 수증기 증류물로 구성되며,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을 비활성화 또는 변형시키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는 식물 정유 및 수증기 증류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두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유효량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유효량은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 특정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조성물은 탄닌산, 살충제, 살진드기제, 방향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조성물이 용매로서 에탄올, 계면활성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 + 폴리옥시프로필렌 (9:1) 스티렌화 페닐 에테르 및, 증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조성물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 80, 용매로서의 에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조성물의 제형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액제, 현탁제, 분제, 또는 캡슐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포함하는 담지체(carrier)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에 의하면, 집먼지진드기 유래 알레르기원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들 알레르기원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들의 예방, 경감 내지 완화, 또는 치료에 별다른 부작용 없이 환경친화적 및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집먼지진드기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질병들의 유병률 및 일반인 노출 빈도의 현저한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식물 정유들과 반응시킨 단백질의 반응액을 전기영동(SDS-PAGE)시켜 기존 단백질들의 패턴과 반응액의 단백질 변화 양상을 상호 비교한 도면이다.
도 2는 식물 정유들을 인간 특이 면역글로불린 E (Immunoglobulin E, IgE) 항체 결합 반응을 dot-blot법으로 수행하여 상호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식물체 조직(잎, 뿌리, 열매, 줄기 등) 유래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오일로서, 집먼지진드기에 대해 살비력을 구비하면서 진드기가 생산하는 알레르기 단백질을 비활성화 또는 변형에 의해 제거한다.
상기 진드기는 집먼지진드기(house dust mite)로서 집먼지에서 발견되는 모든 진드기를 총칭하며 집먼지에서 발견된 진드기의 종류는 일본에서는 17과 36종이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67년에 주 등이 처음 보고한 아래 현재까지 보고된 국내의 집먼지진드기는 총12과 26종에 이르고 있다.
비활성화 또는 변형에 의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능을 보유함과 아울러,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능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는 아릴이소싸이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 아네솔(Anethole), 베타아사론(-Asarone), 캠퍼(camphor), 델타-3-카렌(-3-carene), 시트로네롤(citronellol), 쿠민(Cumene), 쿠민알데히드(cuminaldehyde), 제라니알(Geranial), 이소풀레골(Isopulegol), 라반두롤(lavandulol), 리나롤옥시드(linalool oxide), 미리스티신(Myristicin), 네랄(Neral), 네롤(nerol), 네롤리돌(Nerolidol), 페릴알데히드(Perillaldehyde), 페릴라알콜(Perilla alcohol), 테르피노렌(terpinolene), 티몰(Thymol),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 정유, 또는 그 수증기 증류물로 구성된다.
비활성화 또는 변형에 의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능을 보유함과 아울러,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능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는 바실(basil, Ocimum basilicum), 갈색열매실삼나무(cade, Juniperus oxycedrus), 캐라웨이(caraway, Carum carvi), 당근(carrot, Daucus carota), 개박하(catnip, Nepeta cataria), 황금측백(cedar, Thuja occidentalis), 셀러리(celery, Apium graveolens), 코리앤더(coriander herb, (Coriandrum sativum), 이태리편백(cypress, Cupressus sempervirens), 레몬유카리(lemon eucalyptus, Eucalyptus citriodora), 양파(garlic, Allium sativum), 주니퍼베리(juniperberry, Juniperus communis), 라임(lime, Citrus aurantifolia), 만다린오렌지(mandarin, Citrus reticulata), 오레가노(oregano, Origanum vulgare), 생강풀(palmarosa, Cymbopogon martinii), 페니로얄(pennyroyal, Mentha pulegium),구주소나무(pine, Pinus sylvestris), 달마티안세이지(Dalmatian sage, Salvia officinalis), 박하(spearmint, Mentha spicata), 썸머세이보리(summer savory, Satureja hortensis), 또는 이들의 임의의 식물 혼합물의 정유 또는 그 수증기 증류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먼지진드기에 대해 살비력을 구비한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유효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효량이란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수준으로 진드기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양 및 알레르기단백질의 제거 또는 변성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량은 전체 중량부 0.1내지 50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레르기 중화물질 외에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탄닌산, 살충제, 살진드기제, 방향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식물 조직의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로서, 집먼지진드기 종들 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우점종들인 큰다리먼지진드기와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단백질의 제거와 살비력을 구비한다.
상기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 살진드기제, 방향제 등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공산품, 의약외품, 의약품을 첨가한 혼합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은 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 정유, 수증기 증류물 또는 상기 혼합제의 적용량은 집먼지진드기의 밀도, 제형, 적용장소 및 방법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조직의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로서, 집먼지진드기 유래 주요 알레르기 단백질들을 제거시키는 강한 제거력을 갖는 식물체 이다.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 또는 상기 화합물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집먼지진드기 중화제인 탄닌산을 첨가한 혼합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식물 정유, 수증기 증류물 또는 상기 화합물은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식물 정유, 수증기 증류물 또는 상기 화합물에 살충제, 살진드기제, 방향제 등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공산품, 의약외품, 의약품을 첨가한 혼합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은 0.1 내지 1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 정유, 수증기 증류물,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혼합제의 적용량은 집먼지진드기가 생성하는 알레르기원의 양, 중화제 제형, 적용장소 및 방법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단독으로 또는 2종이나 그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제용 조성물은 집먼지진드기를 죽이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제형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액제, 현탁제, 분제, 캡슐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에 대한 단백질 제거제 또는 변성제용 조성물은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들을 제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제형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액제, 현탁제, 분제, 캡슐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정유, 수증기 증류물, 화합물 또는 혼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용 조성물은 큰다리먼지진드기와 세로무늬먼지진드기가 생산하는 알레르기단백질들을 제거하는 효과를 보인다. 알레르기 질환 유발원으로 가장 강력한 알레르기원 그룹들은 주로 분자량이 25 kDa인 그룹 1과 14 kDa인 그룹 2로서 모두 90% 이상의 질병 유발성을 보이는 것들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가 포함된 담지체(carrier)를 제공하며, 이러한 담지체의 예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벽지, 직조 또는 부직의 패브릭(fabric), 페인트, 내장 마감재의 코팅층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부연하면 각각의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에 대한 실시예 넘버링은 생략한다.
실험예 1 :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력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의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효과는 증기상 생물검정법으로 조사하였다. 간략하면, 각 4050 마리 성충(710일령)을 폴리스티렌 용기(지름 5 cm, 높이 2 cm) 바닥에 있는 원형의 면 조각위에 접종하였다. 용기 뚜껑 중앙에 지름 3 cm 구멍을 뚫고 그 위에 가는 철사망을 놓은 다음 각 용기에 뚜껑을 덮어 주었다. 100㎕ 에탄올에 녹인 시료를 지름 5 cm 여지에 처리한 후, 여지를 철사망 위에 놓고 나서 새로운 뚜껑으로 덮어 주었다. 대조구는 100㎕ 에탄올만을 처리하였다. 사충율은 처리 24시간 후에 20배 해부현미경 하에서 조사하였으며, 끝이 뾰쪽한 나무로 신체나 부속지를 건드렸을 때 움직임이 없는 진드기는 죽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상의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이 확인된 식물 정유 및 수증기 증류물에 관한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제시하였다.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한 식물 정유의 살비활성
정 유 처리농도
(mg/cm2)
사충율, % (표준오차)
바실(basil, Ocimum basilicum) 0.35 100
갈색열매실삼나무(cade, Juniperus oxycedrus) 0.35 90±1.3
캐라웨이(caraway, Carum carvi) 0.35 98±1.7
당근씨드(carrot seed, Daucus carota) 0.35 100
개박하(catnip, Nepeta cataria) 0.35 84±2.9
황금측백(cedar, Thuja occidentalis) 0.35 100
셀러리(celery, Apium graveolens) 0.35 100
코리앤더(coriander herb, Coriandrum sativum) 0.35 95±4.6
이태리편백(cypress, Cupressus sempervirens) 0.35 100
레몬유카리(lemon eucalyptus, Eucalyptus citriodora) 0.35 100
양파(garlic, Allium sativum) 0.35 100
주니퍼베리(juniperberry, Juniperus communis) 0.35 95±5.8
라임(lime, Citrus aurantifolia) 0.35 92±1.2
만다린오렌지(mandarin, Citrus reticulata) 0.35 100
오레가노(oregano, Origanum vulgare) 0.35 100
생강풀(palmarosa, Cymbopogon martinii) 0.35 100
페니로얄(pennyroyal, Mentha pulegium) 0.35 100
구주소나무(pine, Pinus sylvestris) 0.35 100
달마티안세이지(Dalmatian sage, Salvia officinalis) 0.35 94±2.3
박하(spearmint, Mentha spicata) 0.35 100
썸머세이보리(summer savory, Satureja hortensis) 0.35 100
실험예 2 :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2종 정유 혼합물의 살비력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의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한 훈증살비효과는 증기상 생물검정법으로 조사하였다 (0.17 mg/cm2).
정유 또는 정유 혼합물 혼합비 사충율, % (표준오차)
박하 0.17 mg/cm2 100
오레가노 0.17 mg/cm2 100
생강풀 0.17 mg/cm2 99±4.6
페니로얄 0.17 mg/cm2 98±2.9
당근씨드 0.17 mg/cm2 100
썸머세이보리 0.17 mg/cm2 95±1.7
박하 + 오레가노 1:1 100
2:1 100
1:2 100
박하 + 생강풀 1:1 100
2:1 100
1:2 100
박하 + 페니로얄 1:1 100
2:1 100
1:2 100
박하 + 당근씨드 1:1 100
2:1 100
1:2 100
박하 + 썸머세이보리 1:1 100
2:1 100
1:2 100
당근씨드 + 오레가노 1:1 100
2:1 100
1:2 100
당근씨드 + 생강풀 1:1 100
2:1 100
1:2 100
당근씨드 + 페니로얄 1:1 100
2:1 100
1:2 100
당근씨드 + 썸머세이보리 1:1 100
2:1 100
1:2 100
썸머세이보리 + 오레가노 1:1 100
2:1 100
1:2 100
썸머세이보리 + 생강풀 1:1 100
2:1 100
1:2 100
썸머세이보리 + 페니로얄 1:1 100
2:1 100
1:2 100
오레가노 + 생강풀 1:1 100
2:1 100
1:2 100
오레가노 + 페니로얄 1:1 100
2:1 100
1:2 100
생강풀 + 페니로얄 1:1 100
2:1 100
1:2 100
실험예 3 :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제형의 살비력
Ethanolpolyoxyethylene + polyoxypropylene (9:1) styrenated phenyl ether 용액에 녹인 당근씨드 정유 제형 및 박하 정유 제형의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효과는 분무 생물검정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 3 및 4에 각각 나타낸다.
간략하면, 지름 5 cm 원형의 흑색 면 조각에 10 cm 높이에서 실험제형을 두 번 연속 분무한 후, 5분간 건조시켰다. 처리된 각각의 원형 흑색 면 조각을 1회용 샤레(지름 5 cm, 높이 1 cm) 바닥에 놓은 후, 각 4050 마리 성충(710일령)을 흑색 면 조각에 접종하고 나서 샤레 뚜껑을 덮어 주었다. 상용 살비제인 페노스린(d-phenothrin) 또는 퍼메스린 (permethrin cis:trans, 25:75) 2.5 g/l 분무제를 양성대조군으로 하였으며, ethanolpolyoxyethylene + polyoxypropylene (9:1) styrenated phenyl ether 용액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사충율은 처리 24시간 후에 20배 해부현미경 하에서 조사하였으며, 끝이 뾰쪽한 나무로 신체나 부속지를 건드렸을 때 움직임이 없는 진드기는 죽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상의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한 당근씨드 정유 제형 및 박하 정유 제형의 살비활성을 각각 표 5와 6에 제시하였다.

분무제형
% 함량
당근씨드 정유 계면활성제1) 에탄올 증류수
당근씨드 정유-52) 0.5 2 5 92.5
당근씨드 정유-102) 1 2 5 92
당근씨드 정유-202) 2 2 5 91
당근씨드 정유-302) 3 2 5 90
1)Polyoxyethylene + polyoxypropylene (9:1) styrenated phenyl ether.
2)당근씨드 정유 5, 10, 20 and 30 g/L.

분무제형
% 함량
박하 정유 계면활성제1) 에탄올 증류수
박하 정유-12) 1 3 5 91
박하 정유-22) 2 3 5 90
박하 정유-32) 3 3 5 89
박하 정유-42) 4 3 5 88
1)Polyoxyethylene + polyoxypropylene (9:1) styrenated phenyl ether.
2)박하 정유 1, 2, 3 and 4%.
분무처리 사충율,1) % (표준오차)
당근씨드 정유-5 78±5.8 c
당근씨드 정유-10 92±5.8 b
당근씨드 정유-20 100 a
당근씨드 정유-30 100 a
페노스린(d-Phenothrin) 8.3±1.7d
1) P = 0.05 (Bonferroni method).
분무처리 사충율,1) % (표준오차)
박하 정유-1 33±3.3 c
박하 정유-2 73±5.8 b
박하 정유-3 97±3.3 a
박하 정유-4 100 a
퍼메스린(Permethrin) (cis:trans, 25:75) 2.5 g/L 17±3.3 d
1) P = 0.05 (Bonferroni method).
실험예 4 : 식물추출물의 집먼지진드기 충체 단백질에 대한 중화력
집먼지진드기 성충(우화 후 6-8일째)을 마쇄장치를 이용하여 0.01 M 냉 인산용액(pH 7.2)에서 마쇄하였다(예를 들면 집먼지진드기 80 mg/4 mL 인산용액). 마쇄물은 30분 동안 14,000 g에서 원심분리하고 나서 단백질 함량이 1 mg/mL 되도록 농축한 다음, 영하 70℃에서 보관한다. 단백질 함량은 Bradford 단백질 분석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소 혈청 알부민을 단백질 표준품으로 사용하였다.
집먼지진드기 단백질(20 mg)을 실험 화합물(100, 250, 500 mg)과 혼합하여 25에서 1시간 방치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화합물로는 현재 집먼지진드기 중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탄닌산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은 디메칠술폭시드 4.5 ㎕만을 처리하였다. 샘플은 동량의 SDS 완충액과 혼합하여 10분간 가열하였으며 12% 폴리아크릴아마이드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나서 120 V에서 80분간 전기영동한 후, 겔을 0.1% 염색액(Coomassie Blue R-250)을 이용하여 염색하고 밴드 패턴을 확인하였다. 25 kDa과 14 kDa의 분자량을 가진 집먼지진드기의 중요 알레르기원 그룹 1과 그룹 2 단백질의 변성을 이미지분석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1에서와 같이 겔 상에서 확인된 M으로 표시된 레인은 단백질 마커이고, Ext로 표시된 레인은 집먼지진드기 무처리 충체 단백질만을 로딩한 음성대조군이고, 5번과 6번 레인은 보통의 활성을 보이는 경우, 1번, 2번, 3번과 4번은 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 TA로 표시된 레인은 탄닌산 처리구로 양성대조군이다.
이상의 집먼지진드기 중화 활성이 확인된 식물 정유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결과를 정리하여, 각각 표 7 및 8에 제시하였다.
중화활성 중화활성
정유 활성1) 정유 활성1)
박하(Spearmint) +++ 양파(Garlic) ++
바실(Basil) +++ 주니퍼베리(Juniperberry) ++
갈색열매실삼나무(Cade) +++ 라임(Lime) ++
캐라웨이(Caraway) ++ 만다린오렌지(Mandarin) ++
당근(Carrot) +++ 오레가노(Oregano) +++
개박하(Catnip) ++ 생강풀(Palmarosa) ++
황금측백(Cedar) +++ 페니로얄(Pennyroyal) ++
셀러리(Celery) ++ 구주소나무(Pine) +++
코리앤더(Coriander) ++ 달마티안세이지(Sage, Dalmatian) ++
이태리편백(Cypress) +++ 썸머세이보리(Savory, summer) +++
레몬유카리(Eucalyptus, lemon) +++
1)양성대조구인 탄닌산에 필적하거나 그 이상인 것, +++;
양성대조구에 비해 다소 미흡한 밴드 제거력을 보인 경우, ++.
중화활성 중화활성
화합물 활성a 화합물 활성a
아릴이소싸이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 +++ 라반두롤(Lavandulol) ++
아네솔(Anethole) ++ 리나롤옥시드(Linalool oxide) ++
베타아사론(-Asarone) ++ 미리스티신(Myristicin) +++
캠퍼(Camphor) ++ 네랄(Neral) ++
델타-3-카렌(-3-Carene) +++ 네롤(Nerol) ++
시트로네롤(Citronellol) ++ 네롤리돌(Nerolidol) ++
쿠민알데히드(Cuminaldehyde) +++ 티몰(Thymol) +++
쿠민(Cumene) ++ 페릴알데히드(Perillaldehyde) +++
제라니알(Geranial) +++ 페릴라알콜(Perilla alcohol) ++
이소풀레골(Isopulegol) ++
a+++, 양성대조구인 탄닌산에 필적하거나 그 이상인 것;
++, 양성대조구에 비해 다소 미흡한 밴드 제거력을 보인 경우
또한,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 및 그 조성물의 중화활성을 더욱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특이 면역글로불린 E (Immunoglobulin E, IgE) 항체 결합 반응을 dot-blot법으로 수행하였다. 집먼지진드기 추출물(20㎍/200㎕)을 Whatman Hybri-dot manifold를 이용하여 PVDF 막에 각각 처리하였다. 0.1% PBS-T 와 5% skim milk로 blocking한 후, 막을 1:500으로 희석한 알레르기 소아환자의 항혈청과 결합시키고 4℃에서 철야 방치하였다. 0.1% PBS-T로 세척한 후에, 막을 1:20000으로 희석한 염소 anti-human IgG (H+L)-HRP와 함께 상온에서 1시간 배양시켰다. 시험 화합물(각 500㎍)을 1:250으로 희석된 환자의 혈청과 테스트하였고, 그 후 1:5000으로 희석한 IgG-HRP conjugate 항체와 배양시켰다. 0.1% PBS-T로 세척후, 블랏을 1분 동안 Western blotting 검출 시약과 함께 배양하고, 실온에서 1-10 분 동안 X선 필름에 노출시켰다.
효력 판정은 양성대조군으로 현재 집먼지진드기 중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탄닌산(tannic acid)을 사용하였다. IgE에 반응하는 dot의 정도를 이미지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타닌산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 판독에 사용한 대표적인 실례를 도 2에 제시하였다.
도 2에서, C는 무처리 대조구; T는 탄닌산(Tannic acid); 1은 박하(Spearmint) 정유; 2는 썸머사보리(Savory, summer) 정유; 3은 오레가노(Oregano) 정유; 4는 당근씨드(Carrot seed) 정유; 5는 개박하(Catnip) 정유; 6은 만다린(Mandarin) 정유; 7은 라임(Lime) 정유; 8은 셀러리(Celery) 정유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의 식물 정유 및 화합물의 두 종 집먼지진드기 단백질에 대한 알레르기항원성(allergenicity) 저해를 각각 표 9와 표 10에 제시하였다.

정 유
Allergenicity 저해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먼지진드기
바실(Basil) 72.6 75.7
갈색열매실삼나무(Cade) 71.5 75.1
캐라웨이(Caraway) 64.6 68.7
당근(Carrot) 72.4 62.2
개박하(Catnip) 61.1 53.3
황금측백(Cedar) 67.4 66.5
셀러리(Celery) 59.7 52.8
코리앤더(Coriander) 61.5 56.4
이태리편백(Cypress) 75.4 67.2
레몬유카리(Eucalyptus, lemon) 68.6 74.2
양파(Garlic) 66.5 56.4
주니퍼베리(Juniperberry) 67.7 58.4
라임(Lime) 48.3 69.2
만다린오렌지(Mandarin) 57.6 65.3
오레가노(Oregano) 76.5 62.4
생강풀(Palmarosa) 67.5 62.9
페니로얄(Pennyroyal) 71.3 57.0
구주소나무(Pine) 68.9 71.7
달마티안세이지(Sage, Dalmatian) 57.8 48.9
썸머세이보리(Savory, summer) 75.1 74.7
박하(Spearmint) 78.4 80.3
탄닌산(Tannic acid) 87.2 81.1

화합물
Allergenicity 저해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먼지진드기
아릴이소싸이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 82.1 73.0
아네솔(Anethole) 62.3 52.1
베타아사론(-Asarone) 64.9 68.5
캠퍼(Camphor) 78.2 77.9
델타-3-카렌(-3-Carene) 77.9 78.1
시트로네롤(Citronellol) 61.2 49.2
쿠민알데히드(Cuminaldehyde) 80.4 76.1
쿠민(Cumene) 60.9 47.8
제라니알(Geranial) 72.6 68.1
이소풀레골(Isopulegol) 76.5 57.4
라반두롤(Lavandulol) 74.4 62.7
리나롤옥시드(Linalool oxide) 61.5 66.2
미리스티신(Myristicin) 76.3 67.0
네랄(Neral) 77.2 56.5
네롤(Nerol) 67.9 42.3
네롤리돌(Nerolidol) 42.3 67.7
페릴알데히드(Perillaldehyde) 79.1 76.4
페릴라알콜(Perilla alcohol) 68.7 56.5
티몰(Thymol) 79.4 67.9
실험예 5 : 카시아 또는 신나몬 정유 및 타 정유 혼합물의 집먼지진드기 충체 단백질에 대한 중화력
실험예 4의 방법에 따라 카시아 또는 신나몬 정유 및 타 정유 혼합물을 2: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집먼지진드기 충체 단백질에 대한 중화력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정유 혼합물
Allergenicity 저해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먼지진드기
신나몬 + 오레가노 85.2 79.6
신나몬 + 생강풀 76.3 70.1
신나몬 + 당근씨드 82.5 74.7
신나몬 + 썸머세이보리 74.4 78.8
카시아 + 오레가노 86.9 78.7
카시아 + 생강풀 79.7 76.4
카시아 + 당근씨드 82.3 79.5
카시아 + 썸머세이보리 80.7 79.8
본 발명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은 집먼지진드기 유래 알레르기원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들의 예방, 경감 내지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집먼지진드기로 인해 유발되는 유병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1)

  1. 아릴이소싸이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 아네솔(Anethole), 베타아사론(-Asarone), 캠퍼(camphor), 델타-3-카렌(-3-carene), 시트로네롤(citronellol), 쿠민(Cumene), 쿠민알데히드(cuminaldehyde), 제라니알(Geranial), 이소풀레골(Isopulegol), 라반두롤(lavandulol), 리나롤옥시드(linalool oxide), 미리스티신(Myristicin), 네랄(Neral), 네롤(nerol), 네롤리돌(Nerolidol), 페릴알데히드((Perillaldehyde), 페릴라알콜(Perilla alcohol), 테르피노렌(terpinolene) 및, 티몰(Thymol)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정유 또는 수증기 증류물로 구성되며;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을 비활성화 또는 변형시키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2. 바실(basil, Ocimum basilicum), 갈색열매실삼나무(cade, Juniperus oxycedrus), 캐라웨이(caraway, Carum carvi), 당근씨드(carrot seed, Daucus carota), 개박하(catnip, Nepeta cataria), 황금측백(cedar, Thuja occidentalis), 셀러리(celery, Apium graveolens), 코리앤더(coriander herb, (Coriandrum sativum), 이태리편백(cypress, Cupressus sempervirens), 레몬유카리(lemon eucalyptus, Eucalyptus citriodora), 양파(garlic, Allium sativum), 주니퍼베리(juniperberry, Juniperus communis), 라임(lime, Citrus aurantifolia), 만다린오렌지(mandarin, Citrus reticulata), 오레가노(oregano, Origanum vulgare), 생강풀(palmarosa, Cymbopogon martinii), 페니로얄(pennyroyal, Mentha pulegium), 구주소나무(pine, Pinus sylvestris), 달마티안세이지(Dalmatian sage, Salvia officinalis), 박하(spearmint, Mentha spicata) 및, 썸머세이보리(summer savory, Satureja hortensis)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의 정유 또는 그 수증기 증류물로 구성되며: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을 비활성화 또는 변형시키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가 식물 정유 및 수증기 증류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유효량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탄닌산, 살충제, 살진드기제 및, 방향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용매로서 에탄올, 계면활성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 + 폴리옥시프로필렌 (9:1) 스티렌화 페닐 에테르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 80, 용매로서의 에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의 제형이 에어로졸, 스프레이, 액제, 현탁제, 분제, 또는 캡슐제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용 또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를 포함하는 담지체(carrier).
KR1020150132059A 2015-09-18 2015-09-18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KR101789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059A KR101789051B1 (ko) 2015-09-18 2015-09-18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PCT/KR2015/009781 WO2017047843A1 (ko) 2015-09-18 2015-09-21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
JP2018515120A JP2018533549A (ja) 2015-09-18 2015-09-21 イエダニアレルギータンパク質不活性化剤及びその組成物
US15/760,038 US20180249717A1 (en) 2015-09-18 2015-09-21 House dust mite allergy protein remover, and composition thereof
CN201580083094.6A CN108135184A (zh) 2015-09-18 2015-09-21 屋尘螨过敏性蛋白质去除剂及其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059A KR101789051B1 (ko) 2015-09-18 2015-09-18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007A true KR20170034007A (ko) 2017-03-28
KR101789051B1 KR101789051B1 (ko) 2017-10-23

Family

ID=5828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059A KR101789051B1 (ko) 2015-09-18 2015-09-18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49717A1 (ko)
JP (1) JP2018533549A (ko)
KR (1) KR101789051B1 (ko)
CN (1) CN108135184A (ko)
WO (1) WO2017047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0757A (zh) * 2018-12-28 2019-04-16 厦门昶瀚商贸有限公司 一种抗敏香氛喷雾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938054B (zh) * 2019-04-16 2021-02-05 宁波芮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室内尘螨过敏原Der p1、Der f1喷雾剂的制备方法
CN111838211A (zh) * 2020-08-13 2020-10-30 广州安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除螨祛味植物提取物组合液、方法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822A (ko) 2001-08-16 2003-02-25 이회선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KR20050084666A (ko) 2002-11-19 2005-08-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집 먼지 진드기 배설물을 중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591B2 (ja) * 1991-11-18 2000-07-12 樹木抽出成分利用技術研究組合 殺ダニ剤
US6207705B1 (en) * 1996-03-22 2001-03-2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Biopesticides related to natural sources
JPH11335218A (ja) * 1998-05-21 1999-12-07 Sekisui Chem Co Ltd 殺ダニ剤
KR20030000680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비성 조성물
JP3550138B2 (ja) * 2001-07-13 2004-08-04 花王株式会社 アレルゲン除去剤
KR100478135B1 (ko) * 2001-10-24 2005-03-2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JP4266093B2 (ja) * 2002-02-13 2009-05-20 花王株式会社 アレルゲン低減化剤
US7527783B2 (en) * 2004-03-23 2009-05-05 The Clorox Company Methods for deactivating allergens and preventing disease
JP2006151895A (ja) * 2004-11-30 2006-06-15 Lion Corp 植物精油含有ハウスダスト処理剤
KR100821926B1 (ko) * 2005-09-21 2008-04-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드기 알레르기원 중화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JP2007082680A (ja) * 2005-09-21 2007-04-05 Sansho Kk 空中浮遊微細物質の捕捉剤組成物
CN101632391A (zh) * 2008-07-25 2010-01-27 刘志刚 一种新型室内杀螨剂的研制
CN101406177B (zh) * 2008-11-24 2012-08-29 上海龙蟒生物科技有限公司 杀虫剂组合物浓缩液及其使用方法
CN102283254A (zh) * 2010-03-17 2011-12-21 钟韬 一种植物源环保农药制剂
KR101400713B1 (ko) * 2012-06-20 2014-05-29 (주)나리소 살충성 정유 및(또는) 식물첨가물을 함유한 살충성 조성물
JP6124340B2 (ja) * 2013-08-02 2017-05-10 エステー株式会社 アレルゲン活性低減化剤及びこれを利用したアレルゲン活性低減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822A (ko) 2001-08-16 2003-02-25 이회선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KR20050084666A (ko) 2002-11-19 2005-08-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집 먼지 진드기 배설물을 중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051B1 (ko) 2017-10-23
JP2018533549A (ja) 2018-11-15
WO2017047843A1 (ko) 2017-03-23
CN108135184A (zh) 2018-06-08
US20180249717A1 (en)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1292B2 (en) Disinfectant formulation
JP6338571B2 (ja) 蚊の防除及び忌避
US20050019269A1 (en) Mold eradication with Thyme solution and other essential oils
JP2015523319A6 (ja) 蚊の防除及び忌避
KR101789051B1 (ko)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WO2017219837A1 (zh) 皮肤表面用驱蚊喷剂
WO2017219838A1 (zh) 防蚊乳液
CN103977155A (zh) 免洗复方手消毒液及其制备方法
Adeeyo et al. Chemical profiling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hyto-active extracts from Terminalia glaucescens stem against water microbial contaminants
WO2021148684A1 (es) Composiciones biopesticidas que comprenden extractos vegetales y su uso fitosanitario
CN106172520A (zh) 驱蚊水
KR101626531B1 (ko)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US10226050B2 (en) Synergistic composition of geranium oil with other essential oils for bedbug control
CN109463401A (zh) 一种木质精油及其制备方法
CN115568478A (zh) 包含丁香花油的水基产品及其灭螨应用
KR101608413B1 (ko) 신규 수박과실썩음병 방제용 조성물
Heukelbach et al. The effect of natural products on head lice: In vitro tests and clinical evidence
Ahmed et al. A novel surface sterilization method using Artemisia dracunculus extract for tissue culturing of endangered species Sargassum fusiforme
DE202006012918U1 (de) Milben abschreckende und/oder abtötende Rezeptur auf Basis ätherischer Öle
Li et al. Acar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nine chinese medicinal herbs against Rhipicephalus microplus (Acari: Ixodidae)
WO2017219836A1 (zh) 防蚊虫叮咬的润肤油
KR102212891B1 (ko) 작은소피참진드기용 살비제
KR20220075053A (ko) 식물 정유 및 이의 관련 화합물을 포함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방제용 기피활성 조성물
KR20160104262A (ko) 시네몬 오일, 벤잘데하이드 또는 시네말데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박과실썩음병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Jain et al. Potential of Azadirachta indica A. Juss., Eucalyptus globulus Labill. and Ocimum sanctum L. Phytochemicals as Herbal Hand Sanitizer: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