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680A - 살비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비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680A
KR20030000680A KR1020010036745A KR20010036745A KR20030000680A KR 20030000680 A KR20030000680 A KR 20030000680A KR 1020010036745 A KR1020010036745 A KR 1020010036745A KR 20010036745 A KR20010036745 A KR 20010036745A KR 20030000680 A KR20030000680 A KR 20030000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ites
acid methyl
methyl ester
cinnam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경
김순일
안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1003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0680A/ko
Publication of KR2003000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cetophenone;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0Aromatic or araliphatic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살비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를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및 신나믹엑시드 메틸에스터 (cinnamic acid methyl ester)는 강한 살비능을 갖고 있어, 가정내 먼지나 카펫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들을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비성 조성물{COMPOSITION OF ACARICIDAL COMPONENTS}
본 발명은 살비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비능을 가지는 큐민 알데하이드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에 관한 것이다.
집먼지진드기과(pyroglyphid)에 속하는 종중 가장 중요한 종은 세로무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Hughus)와 큰다리먼지진드기 (Dermatophagoides farinae Trouessart)이다. 상기 두종은 전세계적인 서식 분포를 보이고, 가정내 먼지에서 빈번히 관찰되는 주요한 알레르기원이다.(Anonymous, 1989, Dust mite allergens and asthma-a world problem. Journal of Allergy Clinincal Immunology 83,416-427; Anonymous, 1992, Dust mite allergens and asthma. Report of a second International Workshop. Journal of Allergy Clinincal Immunology 89,1046-1060) 특히 천식환자나 노약자가 거주하는 가정내에서 이들 개체군이 번성하게 되면 천식 병징의 더욱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앙난방식 관리 방식의 아파트세대 증가, 보조 난방장치의 사용증가, 항상 주거내에 상존하는 카펫 이용량의 증가 등의 주거환경 변화가 진드기 생육에 필요한 최적조건을 부여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진드기는 빠른 증식과 4계절 실내조건하에서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Susan M.P. and Ward G.W. Jr, 1987, House dust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control. Immunol. Allergy North Amer 7, 447-461; Pollart S.M., Ward G.W. Jr and Platts-Mills A.E., 1989, House Dust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control. Immunol. Allergy Clinics of North America 7, 447-461) 이러한 집먼지진드기들의 개체군을 감소시키기 위해 현재까지 주로 철저한 청결유지, 건조, 공기 중 상대습도 조절과 같은 물리적 방제와 γ-BHC,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벤질 벤조에이트 (benzyl benzoate), 디에틸-메타-톨류아마이드(diethyl-m-toluamide (DEET)) 및 디뷰틸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와 같은 화합물에 의존한 화학적 방제에 크게 의존해 왔다.(Heller-Haupt A. and Busvine J.R., 1974, Tests of acaricides against house dust mites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matopha-goides farinae), Journal of Medical Entomology 11, 551-558)
상기한 집먼지진드기를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제법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방제법의 어려움과 유기합성 방제제들의 고독성 문제로 인해 보다 신규하고 안전한 천연 화합물들을 이용하고자 하는 각국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Pollart S.M., Ward G.W. Jr and Platts-Mills A.E., 1987, House Dust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control. Immunol Allergy Clinics of North America 7, 447-461)
이러한 측면에서 식물체 또는 그 유래물질이 집먼지진드기 방제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차선책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식물체들은 다양한 생물활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고, 이들 화합물 대다수는 쉽게 생분해되어 무독성 물질로 분해될 수 있으며, 특정한 목적 충만을 선택적으로 치사시킬 수 있을 뿐 만아니라 집먼지진드기의 종합적방제(IPM, integrated mite management program)원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Namba T., 1993,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 (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s) with Color Pictures, Hoikusha, Osaka, Japan) 따라서 많은 노력이 상업적인 집먼지진드기 방제원이나 그 선도화합물(lead compound)로서 식물체 추출물이나 식물체 유래물질들을 이용하는데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드기를 박멸할 수 있는 살비성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을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모핵화합물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 모핵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육계 및 계피유에서 분리한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시나밀 알코올(Cinnamyl alcohol), 또는 살리시 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를 1-3 : 1-1.5 : 1-1.5 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3종 화합물은 살비성 화합물로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강력한 살비성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3종의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및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에 대한 살비성을 조사한 결과, 상기 2종의 화합물이 살비성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비성 화합물은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또는 신나믹 엑시드 메틸에스터 (cinnamic acid methyl est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들 군은 집먼지진드기, 세로무늬 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와 큰다리 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에 우수한 살비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큐민알데하이드 및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는 살비활성을 가지며 다양한 충에 효과를 가지는 신규화합물을 위한 모핵화합물의 기질로 이용할 수 있다. 모핵화합물은 기존에 활성이 알려진 물질의 구조를 기반으로 화학합성을 통해 수산화기, 알데하이드기, 알콜기, 아미드기, 아릴기를 비롯한 다양한 다른 화학구조를 덧붙이거나 제거함으로써 기존에 문제가 되던 성질을 제거하거나 효과를 증진시킨 새로운 물질을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살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큐민알데하이드,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큐민알데하이드 모핵화합물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 모핵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비성 조성물은 살충제에 혼합되는 통상의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혼합물 형태의 경우 큐민알데하이드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를 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 시나밀 알코올 및 살리시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0.1 내지 5 %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살비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 시나밀 알코올, 살리시알데하이드, 큐민알데하이드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의 함량은 살비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제시되는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비성 조성물은 유제, 수화제, 수용제, 액제, 분제, 입제상, 미분제, 미립제, 저비산분제, 액상수화제, 훈연제, 훈증제, 정제, 에어로졸, 도포제, 스프레이상 또는 젤상의 제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살비성 조성물은 휘발성독 또는 접촉독으로 적용하여 진드기를 사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휘발성독 또는 훈증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살비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진드기 이외의 해충에 대한 방제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살비활성 검정법
살비활성 검정에 사용된 진드기
살비활성은 2 종의 먼지진드기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큰다리먼지진드기(American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farinae)와 세로무늬먼지진드기(European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 pteronyssinus)는 상대습도 75 ±5 %, 온도 25 ±1 ℃를 유지한 사육실에 사육하였으며, 12.5 x 10.5 x 5 ㎝ 용기에 치어사료와 복합비타민제(에비오제)를 1:1로 혼합한 사료 및 17.5 x 17.5 x 17.5 ㎝ 부피의 용기 바닥에 식염수를 적당량 부어 사육실에 넣어 주었다. 상기 진드기는 살비제에 노출없이 사육하였다.
살비활성 검정
(1) 튜브테스트(잔류박막법; Dry film method)
식물체의 생물활성물질 탐색하기 위해서는 초기 생물검정의 농도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너무 낮은 농도를 설정시 그 생물활성물질을 놓칠 수 있고, 너무 높게 산정시 정확한 결과치의 해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시나밀 알코올(Cinnamyl alcohol), 살리시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는 육계에서 추출하거나 구입하였고,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는 일본 wakochemicals(032-08542)에서 구입하였고,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는 동경화성주식회사(C0360)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각 화합물 1 mg을 40 ㎕ 에탄올에 녹이고, 무색의 마이크로튜브(2 ㎖) 내의 벽면에 골고루 분산하여 묻을 수 있도록 수회 상하로 흔들어 준 후, 동결건조기에서 1시간 동안 용매를 휘발시켰다. 각각의 튜브에 25개체의 진드기를 넣어 준 후, 25 ±1 ℃의 조건하에서 검정을 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진드기들은 해부현미경(배율 20배)에서 관찰하여 활동력이 우수한 개체들만을 선별한 것들이었다. 검정결과는 처리 24시간 후에 광학현미경(20배)하에서 조사하였는데, 미세한 붓을 이용해 부속지 및 몸통을 자극하여 전혀 움직임이 없는 개체는 사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검정은 5회 이상 반복하였으며, 살비율에 대한 평균간의 비교는 쉐페(Scheffe's test, SAS Institute, 1996)를 이용하였다. 대조구 역시 동일하게 처리하고 조사하였다.
(2) 섬유확산법(Fabric diffusion method)
휘발성 화합물들의 활성을 보다 자세히 조사하고 잔류박막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섬유확산법을 고안하였다. 잔류박막법과의 차이는 튜브를 직경 5.5 cm, 높이 0.9 cm (부피 21.4 cm3)의 페트리디쉬로 대체하였고, 물질 처리를 위해 여지를 검은색의 혼방천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잔류박막법에 사용된 튜브보다는 섬유확산법에 이용한 페트리디쉬의 공간이 더 넓기 때문에 제형화 연구를 위한 전단계 실험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화합물들을 여지와 검은색 천에 각각 1 mg씩 처리하고 잔류박막법과 섬유확산법을 이용해 24시간 후 진드기에 대한 살비율을 비교, 측정한 것이다.
화합물명 살비율 (평균 ±표준편차, %)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먼지진드기
잔류박막법 섬유확산법 잔류박막법 섬유확산법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99.0 ±1.0a 100a 100a 100a
살리시알데하이드 100a 100a 100a 100a
신나밀알콜 99.0 ±1.0a 15.0 ±2.5b 99.0 ±1.0a 14.0 ±1.2bc
큐민알데하이드 2.0 ±1.6b 100a 0b 100a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 0b 100a 0b 100a
상기 표 1의 동일한 문자(a, b)는 평균이 통계상(P = 0.05, Sheffe 검정)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살충율은 아크사인 제곱근으로 변형시켜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와 살리시알데하이드는 잔류박막법과 섬유확산법 모두에서 진드기 2종 모두에 대해 100 %의 강한 살비율을 보였고, 신나밀 알콜 역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이들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큐민알데하이드, 및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 역시 섬유확산법에서 2종 진드기에 대해 100 %의 강한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에 근간하여 본 발명자들은 섬유확산법으로 3종 화합물들의 농도별 활성을 검정하여 표 2에 제시하였다.
화합물 농도(mg/섬유) 살비율(평균 표준편차, %)
세로무늬먼지진드기 큰다리먼지진드기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0.5 85.0 ±3.4a 81.0 ±4.1
0.4 11.0 ±1.9b 9.0 ±1.0
0.3 6.0 ±2.6bc -
0.2 - -
신나밀 알콜 0.5 0c 87.0 ±3.4
0.4 0c 17.0 ±1.9
0.3 0c -
0.2 - -
살리시알데하이드 0.5 2.0 ±1.2c 2.3 ±1.2
0.4 0c 0
0.3 0c -
0.2 - -
상기 표 2와 같이,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가 세로무늬먼지진드기와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해 각 섬유당 0.5 mg 처리시 각각 85 %와 81 %의 우수한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3은 육계 또는 계피유 유래 3종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실제 집먼지진드기 방제용으로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화합물들과 그 살비율을 잔류박막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화합물명 처리량(mg/튜브) 살비율(평균 ±표준편차, %)
세로무늬먼지진드기 큰다리먼지진드기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신나밀 알콜, 살리시 알데하이드 혼합물(1:1:1) 0.25 99.0 ±1.0a 100a
0.125 37.0 ±5.9 cd 42.0 ±3.8de
벤질 벤조에이트 0.25 80.0 ±8.5ab 100a
0.125 29.0 ±4.1cde 32.0 ±4.3def
디뷰틸 프탈레이트 0.25 89.0 ±3.4ab 93.0 ±4.7ab
0.125 58.0 ±4.8bc 62.0 ±4.2cd
디에틸-메타-톨류아마이드(DEET) 0.25 28.0 ±3.3cde 85.0 ±2.5bc
0.125 7.0 ±2.5def 20.0 ±3.7ef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신나밀 알콜 및 살리시 알데하이드 혼합물을 튜브당 0.25 mg 수준으로 처리한 실험구에서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대해 99 %,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해 100 %의 강한 살비율을 보였고, 상업용 방제제인 벤질 벤조에이트는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해서만 100 %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활성이 다소 우수한 벤질 벤조에이트를 비롯한 나머지 상업용 방제제들 보다 본 발명의 3종 화합물들의 혼합물이 훨씬 더 강한 살비율을 보였다.
하기 표 4는 육계 또는 계피유 유래 3종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실제 집먼지진드기 방제용으로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화합물들과 그 살비율을 섬유확산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화합물명 처리량(mg/섬유) 살비율(평균 ±표준편차, %)
세로무늬먼지진드기 큰다리먼지진드기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신나밀 알콜, 살리시 알데하이드 혼합물(1:1:1) 0.25 100a 100a
0.125 13.0 ±1.9c 12.0 ±1.6b
벤질 벤조에이트 0.25 96.0 ±2.3a 96.0 ±2.3a
0.125 86.0 ±2.6b 92.0 ±1.9a
디뷰틸 프탈레이트 0.25 6.0 ±1.2c 7.0 ±1.9b
0.125 6.0 ±1.2c 4.0 ±2.8b
디에틸-메타-톨류아마이드(DEET) 0.25 16.0 ±2.8c 11.0 ±1.9b
0.125 5.0 ±1.0c 7.0 ±1.9b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신나밀 알콜 및 살리시 알데하이드 혼합물을 섬유당 0.25 mg 수준으로 처리하면 세로무늬먼지진드기와 큰다리먼지진드기 2종 모두에 대해 100 %의 강한 살비율을 보였고, 상업용 먼지진드기 방제제인 벤질 벤조에이트는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대해 0.25 mg 수준에서 96 %,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해 96 % 활성을 보여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나머지 디뷰틸 프탈레이트와 DEET는 전혀 살비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이용된 3종 화합물들의 활성이 나머지 상업용 집먼지진드기 방제제들 보다 훨씬 더 우수한살비율을 갖고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세로무늬먼지진드기와 큰다리먼지진드기에 대한 육계 유래 살비성 화합물들의 작용기작을 조사하였다. 각 먼지진드기 25개체를 직경 5.5 cm, 높이 0.9 cm의 페트리디쉬에 넣었다. 각 페트리디쉬는 그 뚜껑을 직경 4.5 cm로 구멍을 내고 100 메쉬의 철망으로 그 구멍을 막았다. 따라서 공기는 페트리디쉬내로 자유로이 출입이 가능케 하였다. 하지만, 먼지진드기는 그곳을 통해 밖으로 탈출할 수는 없다. 육계 유래물질 3종을 검은색 혼방천에 처리하고 뚜껑에 구멍이 없어서 완전히 밀폐한 발명구 A와 구멍을 막아둔 철망을 통해 공기가 자유로이 유출입하도록 허락한 발명구 B를 설정하여, 이들 화합물들의 활성이 직접적인 접촉독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훈증독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5에 육계 혹은 계피유 유래 3종 살비활성물질들을 섬유에 1 mg 처리하여 2종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작용기작을 측정하였다.
화합물명 방법 살비율 (평균 ±표준편차, %)
세로무늬먼지진드기 큰다리먼지진드기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완전밀폐 100a 100a
공기출입가능 31.0 ±3.0c 3.0 ±1.9c
신나밀 알콜 완전밀폐 55.5 ±2.1b 45.0 ±3.0b
공기출입가능 0d 0c
살리실알데하이드 완전밀폐 100a 100a
공기출입가능 34.0 ±2.6c 31.0 ±1.9b
상기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 신나밀알콜, 살리시알데하이드 모두 접촉독에 의해서 살비율을 나타내기보다는 훈증독작용을 통해 살비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즉 공기의 자유로운 출입을 가능케하여 휘발성 물질들이 페트리디쉬내에 머무는 시간을 감소시켜 오직 접촉독을 통해 활성을 나타내도록 고안한 실험구에서는 진드기 2종 모두 50 % 미만의 낮은 살충율을 보였지만, 완전히 밀폐하여 휘발한 화합물들의 훈증독 작용을 기대할 수 있도록 고안한 실험구에서는 진드기 2종 모두에 대해 1 mg 처리수준에서 신나밀 알콜을 제외하고 100 %의 강한 살비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3종 화합물들의 살충작용은 훈증독을 통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주요한 살비기작이 훈증독 작용에 기인된다는 것을 상기 표 5를 통해 나타낸 것이지, 살비활성이 접촉독 작용을 완전히 배제하고 오직 훈증독 작용에만 기인된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화합물들의 살비활성이 접촉독에도 낮으나마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육계(Cinnamomum cassia) 또는 계피유(cinnamon oil)에서 추출한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시나밀 알코올(cinamyl alcohol), 살리시알데하이드 (salicylaldehyde)는 3종 활성물질들을 혼합하여 처리하면 단독 처리시 보다 농도 대비, 살비능이 10배 이상 증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종 화합물들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및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가 강한 살비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상기 살비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가정내 먼지나 카펫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들을 방제할 수 있다.

Claims (5)

  1.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을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세로무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또는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에 대하여 살비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비성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휘발성독 또는 훈증독으로 진드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비성 조성물.
  4. 큐민알데하이드(cuminaldehyde) 모핵화합물 또는 신나믹엑시드메틸에스터(cinnamic acid methyl ester) 모핵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성 조성물.
  5.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시나밀 알코올(Cinnamyl alcohol), 살리시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를 1-3 : 1-1.5 : 1-1.5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
KR1020010036745A 2001-06-26 2001-06-26 살비성 조성물 KR20030000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745A KR20030000680A (ko) 2001-06-26 2001-06-26 살비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745A KR20030000680A (ko) 2001-06-26 2001-06-26 살비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680A true KR20030000680A (ko) 2003-01-06

Family

ID=2771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745A KR20030000680A (ko) 2001-06-26 2001-06-26 살비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06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91B1 (ko) * 2002-02-19 2008-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집먼지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0916894B1 (ko) * 2007-10-19 2009-09-09 이시혁 잔류접촉법에 의한 살충제 저항성 진단키트
WO2015041395A1 (ko) * 2013-09-23 2015-03-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리카 표면 개질에 의한 방충 입자의 제조방법
KR101657892B1 (ko) 2015-04-27 2016-09-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총채벌레용 살충제 저항성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WO2017047843A1 (ko) * 2015-09-18 2017-03-23 안용준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693A (en) * 1985-09-04 1988-10-04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s and acarina with the use of cinnamamide compounds
JPH0390004A (ja) * 1989-08-30 1991-04-16 Dainippon Jochugiku Co Ltd 屋内用殺ダニ剤
JPH03123714A (ja) * 1989-10-06 1991-05-27 Dainippon Jochugiku Co Ltd 屋内塵性ダニ類の防除方法
US5180586A (en) * 1989-10-19 1993-01-19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caricidal composition
WO1996020594A1 (en) * 1994-12-30 1996-07-11 Proguard, Inc. Use of flavonoid aldehydes as insecticides
KR20010044177A (ko) * 2000-12-23 2001-06-05 안용준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693A (en) * 1985-09-04 1988-10-04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s and acarina with the use of cinnamamide compounds
JPH0390004A (ja) * 1989-08-30 1991-04-16 Dainippon Jochugiku Co Ltd 屋内用殺ダニ剤
JPH03123714A (ja) * 1989-10-06 1991-05-27 Dainippon Jochugiku Co Ltd 屋内塵性ダニ類の防除方法
US5180586A (en) * 1989-10-19 1993-01-19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caricidal composition
WO1996020594A1 (en) * 1994-12-30 1996-07-11 Proguard, Inc. Use of flavonoid aldehydes as insecticides
KR20010044177A (ko) * 2000-12-23 2001-06-05 안용준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91B1 (ko) * 2002-02-19 2008-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집먼지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0916894B1 (ko) * 2007-10-19 2009-09-09 이시혁 잔류접촉법에 의한 살충제 저항성 진단키트
WO2015041395A1 (ko) * 2013-09-23 2015-03-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리카 표면 개질에 의한 방충 입자의 제조방법
KR101657892B1 (ko) 2015-04-27 2016-09-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총채벌레용 살충제 저항성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WO2017047843A1 (ko) * 2015-09-18 2017-03-23 안용준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제거제 및 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924B1 (ko) 무해한 살충제 및 그 투여방법
US10058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release of botanical fumigant pesticides
CN110521726B (zh) 用于吸引和/或捕捉臭虫的化合物、组合物和方法
TWI227112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the human scent tracking ability of mosquitoes in environmentally defined three dimensional spaces
Ndomo et al. Insecticidal effects of the powdery formulation based on clay and essential oil from the leaves of Clausena anisata (Willd.) JD Hook ex. Benth.(Rutaceae) against Acanthoscelides obtectus (Say)(Coleoptera: Bruchidae)
CN104334020B (zh) 对叮咬性蝇类、家蝇、蜱、蚂蚁、跳蚤、蠓、蟑螂、蜘蛛和椿象的控制和驱避
KR20020087568A (ko)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 및 살충성 화합물
KR20060073726A (ko)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KR20030000680A (ko) 살비성 조성물
Gross et al. Can green chemistry provide effective repellents
JP2019064961A (ja) ハナカメムシの忌避剤
KR20060110655A (ko) 살비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KR100472643B1 (ko)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KR100415622B1 (ko) 살비성 화합물 및 해충 표시자
KR101100246B1 (ko) 퀴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표시활성용 및 살비활성용 조성물
JPH01163104A (ja) 屋内性ダニ駆除剤
Den Ouden et al. Compounds repellent to Delia radicum (L.)(Dipt., Anthomyiidae)
JPH0491003A (ja) ダニ防除剤
US2023038953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ttracting insects
WO2023095882A1 (ja) アレルゲン低減方法及びアレルゲン低減剤
RU2214093C2 (ru) Средство борьбы с кератофагами
KR102032053B1 (ko) 시아나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살비 또는 살충용 조성물
KR100654902B1 (ko) 살비성 화합물
Pratt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insect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US976344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pelling blood-sucking and biting insects, ticks and m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