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643B1 -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643B1
KR100472643B1 KR10-2002-0028529A KR20020028529A KR100472643B1 KR 100472643 B1 KR100472643 B1 KR 100472643B1 KR 20020028529 A KR20020028529 A KR 20020028529A KR 100472643 B1 KR100472643 B1 KR 10047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largonium
cis
mirtanol
acaric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822A (ko
Inventor
이회선
Original Assignee
이회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회선 filed Critical 이회선
Priority to PCT/KR2002/0011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15522A1/en
Publication of KR2003001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드기에 살비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살비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물로는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 페루라 갈바니프루아,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 펠라고니움 라덴스, 펠라고니움 케피타툼, 헬리크리섬 어우구스티폴리엄,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 오리가넘 마조라나, 밀리사 오피시날리스,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 라벤사라 아로마티카, 사사프라스 알부덤, 타제테스 이레타, 타제테스 파투라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로 이루진 군으로 1종 이상 선택된 식물로부터 추출된 정유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 제라니올, 리난올, (-)-시스-미르탄올, 트랜스-미르탄올, (-)-미르테날, (-)-미르텐올, 튜존, 시스-버르벤올, (-)-버베논, 멘톤 및 인돌라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lant oil and chemical compound having acaricidal activity}
본 발명은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드기에 우수한 살충력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살비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드기는 인간주거지에서 가장 핵심적인 알레르기원으로, 특히 천식과 비염을 유발하는 인자이다.(Maunsell, K. et al: Lancet 1, p1267-1270, 1968) 필로그리피대(Pylogryphidae)과에 속하는 진드기들은 먼지내에 서식하고(Voorhorst, R. et al; Asthma. 10(6) p329-334, 1964), 세로무늬 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큰다리 먼지진드기(D. farinae), 마이크로세라스진드기(D. microceras), 유로글리퍼스 마이네(Euroglyphus maynei) 등이 아토피성(atopy) 체질의 사람들에게서 비염, 천식 또는 습진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International Workshop Report. The Journal of Allery and Clinical Immunology 83 p416-427, 1989; International Workshop Report. The Journal of Allery and Clinical Immunology 89 p1046-1060, 1992)
최근에는 중앙난방식 관리 방식의 아파트세대 증가, 보조 난방장치의 사용증가, 카펫이용량의 증가 등의 주거환경이 변화되면서 진드기 생육에 최적조건을 부여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집먼지진드기는 빠른 증식과 4계절 실내조건 하에서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
국내에서 주로 발견되는 진드기는 4종 정도로, 우점종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세로무늬 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와 큰다리 먼지진드기(D. farinae)이다.
집먼지진드기는 카펫, 의류, 가구, 메트리스, 침구류 등에서 발견되고, 온대성 기후지역 뿐만 아니라 이러한 거주지역들 전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보인다.(de Boer, R.; The acari: reproduction, development, and life history strategies. New York. Chapman and Hall. p. 517-518, 1991)
집먼지진드기 종들은 빛을 싫어하고, 개체군 증식을 위해서 적절한 온도와 습도, 먹이원으로서 인간의 피부 각질물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집먼지진드기를 살충하기 위하여 항상 집안내 먼지를 제거하고,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할 수 있는 가구류, 의류 및 카펫 등을 70 oC 이상에서 멸균하거나 온습도를 조절하는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적용상 많은 제약이 있고 완전한 구제력을 기대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진드기 방제능을 가지는 물질은 린단(lindane), 피리미포스 메틸(pirimiphos-methyl),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디부틸 프텔레이트(dibutyl phthalate) 및 디에틸 m-톨루아미드(diethyl m-toluamide)가 있다.(Hellet-Haupt A. and Busvine, J. R.; J. Med. Entomol. 2(5) p551-558, 1974) 린단은 가장 강력한 살비력과 지속력을 갖고 있지만 높은 독성으로 인하여 가정용 살비제로는 사용에 제한되고, 상기 물질 중 두 번째로 활성이 강한 피리미포스 메틸은 포유독성이 낮아 저장곡물내 서식하는 진드기들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실용화되었다. 그리고 미첼 등(Mitchell, E.B. et al.: Clin. Allergy 15 p234-240, 1985)은 피리미포스 메틸이 카페트에 서식하는 진드기 60 %를, 의자에 서식하는 진드기 50 %를 방제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현재 진드기 방제용으로 상품화되어 있는 것은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파라제름(paragerm) 등이다.(Penaud, A. et al; Clin. Allergy 7 p49-53, 1977; Schober, G. et al; Exp. Appl. Acarol. 3 p179-189, 1987)
진드기를 방제하기 위하여, 살충제에 의한 화학적 방제를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화학합성 살충제의 사용으로 진드기의 약제 저항성을 초래하여 DDT와 린단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먼지 진드기과 (Pyroglyphid)의 진드기류가 발견되고 있다.(Bronsijk, J.E.M.H. et al; Res. Popul. Ecol. 8 p67-79, 1971)
따라서 기존에 사용해 온 살비제들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민간요법으로 약물치료제로 사용되는 식물체들과 향기가 좋은 방향성 물질들을 이용하여 천연 살비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Miyazaki, Y. et al; Jpn. J. Biometeor. 26 p105-108, 1989; Watanabe, F. et al; Shoyakugaku Zasshi 43 p163-168, 1989; Yatagai, M. and Morita, S.; J. Japan Wood Res. Soc. 37 p345-351, 1991; Morita, S. et al; Journal of the Japan Wood Research Soc. 37(4) p352-357, 1991)
본 발명은 진드기에 대하여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드기에 대하여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로부터 분리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Melaleuca leucadendron),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Pseudotsuga menziesii), 페루라 갈바니프루아(Ferula galbaniflua),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Pelargonium ordoratissimum), 펠라고니움 라덴스(Pelargonium radens), 펠라고니움 케피타툼(Pelargonium capitatum,), 헬리크리섬 어우구스티폴리엄(Helichrysum augustifolium),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Andropogon muricatus),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밀리사 오피시날리스(Milissa officinalis),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Melaleuca viridiflora), 라벤사라 아로마티카(Ravensara aromatica), 사사프라스 알부덤(Sassafras albudum), 타제테스 이레타(Tagetes erecta), 타제테스 파투라(Tagetes patula)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Verbena officinalis)로 이루진 군으로 1종 이상 선택되어진 식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상태의 식물 중량의 1배 내지 20배 부피의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콜 용매와 함께 상기 식물 중량의 0.5 내지 2배 부피의 비극성 용매로 1시간 내지 2일 동안 0 내지 150℃의 반응 온도에서 연속수증기 증류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비극성 용매 추출물을 건조제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시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식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라니올(geraniol), 리난올(linalool), (-)-시스-미르탄올((-)-cis-myrtanol), 트랜스-미르탄올(trans-myrtanol), (-)-미르테날(myrtenal), (-)-미르텐올(myrtenol), 튜존(thujone), 시스-버르벤올(verbenol), (-)-버베논(verbenone), 멘톤(menthone) 및 인돌라인(ind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모노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살비성 식물, 즉,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 페루라 갈바니프루아,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 펠라고니움 라덴스, 펠라고니움 케피타툼, 헬리크리섬 어우구스티폴리엄,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 오리가넘 마조라나, 밀리사 오피시날리스,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 라벤사라 아로마티카, 사사프라스 알부덤, 타제테스 이레타, 타제테스 파투라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 식물들로부터 정유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정유의 추출 또는 제조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조상태의 상기 식물 중량의 1 내지 20배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배 부피의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유기 용매와 함께 상기 식물 중량의 0.5 내지 2배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0.6 내지 1배 부피의 비극성 용매인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용매는 헥산 용매로서 1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0 내지 150℃,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00℃ 반응온도에서 연속수증기증류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또는 냉침법, 바람직하게는 연속수증기증류법 등의 연속 추출법을 수행한 후, 얻어진 추출물은 건조제, 바람직하기로는 무수황산마그네슘, 무수황산칼슘, 무수 황산 칼륨, 무수 실리카겔, 바람직하기로는 무수 황산 마그네슘과 같은 건조제로 건조시킨 후, 0 내지 40℃, 바람직하기로는 4 내지 20 ℃의 온도하에서 감압 농축을 통하여 농축된 농축물을 밀봉하여 냉동 보관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노테르펜 화합물, 즉 제라니올, 리난올, (-)-시스-미르탄올, 트랜스-미르탄올, (-)-미르테날, (-)-미르텐올, 튜존, 시스-버르벤올, (-)-버베논, 멘톤 및 인돌라인들은 기존의 시중에서 시판되는 시판품을 구입하거나 또는 상기한 식물로부터 직접 분리 및 정제를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의 식물추출 정유 또는 모노테르펜 화합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로 전체 조성물 중량의 0.01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식물 정유의 함량은 살충제의 제형, 살포방법, 살포면적, 살충대상 종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은 진드기가 서식하는 곳에 사용하며, 사용방법은 도포처리, 침지 처리, 훈증처리 등의 방법이 바람직하고, 적용용량은 통상적인 살충제를 적용시키는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비 조성물의 제형은 액제, 유제, 훈연제, 훈증제, 도포제, 입제, 고형제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사용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조성물의 용도 및 적용방법에 따라 적절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비성 조성물은 진드기에 특이적인 살충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살비성 조성물은 세로무늬 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또는 큰다리 먼지진드기 (Dermatophagoides farinae)에 대하여 살비 효과를 가지는 살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휘발성독 또는 훈증독으로 진드기에 적용하여 살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살비활성을 갖는 식물로부터 정유성분의 분리
살비성 식물, 즉,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 페루라 갈바니프루아,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 펠라고니움 라덴스, 펠라고니움 케피타툼, 헬리크리섬 어우구스티폴리엄,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 오리가넘 마조라나, 밀리사 오피시날리스,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 라벤사라 아로마티카, 사사프라스 알부덤, 타제테스 이레타, 타제테스 파투라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 식물을 미국, 호주 및 한국에서 채집하였으며, 이들 식물들을 음지에서 건조시켜 미세하게 세절한 각각 23종 식물체 300 g에 증류수 2,000 ml와 헥산 200 ml을 각각 넣고, 연속수증기증류장치(SDE, Nickerson & Likens 장치)에서 100 ℃, 5-6시간 동안 연속 추출하였다. 헥산 추출물은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2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밀봉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살비활성을 갖는 모노테르펜 화합물의 조제
살비성 화합물 제라니올(제품번호: 48798 혹은 48799), (-)-시스-미르탄올(제품번호: 70154), 트랜스-미르탄올(제품번호: 70117 혹은 70155), (-)-미르테날(제품번호: 70119 혹은 70125), (-)-미르텐올(제품번호: 70158), 튜존(제품번호: 89230), 시스-버르벤올(제품번호: 94879), (-)-버베논(제품번호: 94882), 멘톤(제품번호: 63680) 및 인돌라인(제품번호: 57240)은 플루카(Fluka)에서 구입하였으며, 리난올(플루카 : 62140, 와코: 126-00993)은 와코(Wak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 1
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문헌(Watanabe, F. et al; Shoyakugaku Zasshi 43 p163-168, 1989; Yatagai, M. and Morita, S.; J. Japan Wood Res. Soc. 37 p345-351, 1991)에 기재된 시험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살비활성 검정에 사용된 진드기
살비활성은 2 종의 먼지진드기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큰다리 먼지진드기(American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farinae)와 세로무늬 먼지진드기(European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 pteronyssinus)는 상대습도 75 ±5 %, 온도 25 ±1 ℃를 유지한 사육실에 사육하였으며, 12.5×10.5×5 ㎝ 용기에 치어사료와 복합비타민제(에비오제??)를 1:1로 혼합한 사료 및 17.5 × 17.5 × 17.5 ㎝ 부피의 용기 바닥에 식염수를 적당량 부어 사육실에 넣어 주었다. 상기 진드기는 살비제에 노출없이 사육하였다.
살비활성 검정
실시예 1의 식물정유를 이용한 생물활성물질 탐색의 가장 중요한 점이 초기 출발농도의 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진드기의 형태적인 특징이 현미경학적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차의 예비실험을 통해 2 ㎖ 마이크로튜브 당 시료 1 mg을 설정하였다. 식물정유를 농도(1.0, 0.5, 0.25, 0.125 0.062 mg)별로 40 ㎕의 메탄올에 녹이고, 무색의 마이크로튜브(2 ㎖)에 처리하여 튜브의 벽면과 뚜껑에 물질이 골고루 분산하여 묻을 수 있도록 수회 상하로 흔들어 준 후, 동결건조기에서 1시간 동안 용매를 휘발시켰다. 각각의 튜브에 25개체의 진드기를 넣어 준 후, 25 ±1 ℃의 조건하에서 검정을 하였다. 진드기들은 현미경에서 관찰하여 활동력이 우수한 개체들만을 미세한 붓을 이용해 선별하였다. 검정결과는 처리 24시간 후에 광학현미경(20배)하에서 조사하였는데, 미세한 붓을 이용해 부속지 및 몸통을 자극하여 전혀 움직임이 없는 개체는 사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검정은 5회 이상 반복하였으며, 살비율에 대한 평균간의 비교는 쉐페(Scheffe's test, SAS Institute, 1996)를 이용하였다. 대조군으로 식물정유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식물정유의 살비능은 하기 표 1(세로무늬 먼지진드기)과 표 2(큰다리 먼지진드기)에 나타내었다. 표 1과 2의 동일한 문자(a, b)는 평균이 통계상(P=0.05, Sheffe 검정)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살충율은 아크사인 제곱근으로 변형시켜 나타내었다.
학 명 살 비 율(평균±표준편차, %)
처 리 농 도(mg/튜브)
1.00 0.50 0.250 0.125 0.062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Melaleuca leucadendron) 100a 100a 100a 31.6 ±2.1b 0b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Pseudotsuga menziesii) 100a 100a 100a 15.2 ±1.5b 0b
페루라 갈바니프루아(Ferula galbaniflua) 100a 100a 100a 85.9 ±1.2b 25.2 ±2.4b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Pelargonium ordoratissimum) 100a 100a 100a 100a 53.1 ±1.8b
펠라고니움 라덴스(Pelargonium radens) 100a 100a 100a 100a 26.7 ±2.1b
펠라고니움 케피타툼(Pelargonium capitatum) 100a 100a 100a 100a 36.4 ±2.3b
헬리크리섬 아우구스티폴리엄(Helichrysum augustifolium) 100a 100a 100a 100a 0b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Andropogon muricatus) 100a 100a 100a 100a 53.4 ±1.8b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100a 100a 100a 92.4 ±2.1b 0b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100a 100a 100a 26.3 ±2.6b 0b
밀리사 오피시날리스(Milissa officinalis) 100a 100a 91.8 ±1.9b 14.3 ±1.4b 0b
시투루스 아우란티엄(Citrus aurantium) 100a 100a 100a 100a 26.2 ±1.4b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Melaleuca viridiflora) 100a 100a 100a 91.7 ±2.6b 32.3 ±1.8b
라벤사라 아로마티카(Ravensara aromatica) 100a 100a 34.5 ±2.0b 0b 0b
사사프라스 알부덤(Sassafras albudum) 100a 100a 95.2 ±1.0b 13.5 ±1.1b 0b
타제테스 이레타(Tagetes erecta) 100a 100a 100a 100a 100a
타제테스 파투라(Tagetes patula) 100a 100a 100a 100a 100a
베르베나 오피시날스(Verbena officinals) 100a 100a 100a 100b 58.9 ±2.1b
학 명 살 비 율(평균±표준편차, %)
처 리 농 도(mg/tube)
1.00 0.50 0.250 0.125 0.062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Melaleuca leucadendron) 100a 100a 100a 25.2 ±1.5b 0b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Pseudotsuga menziesii) 100a 100a 100a 11.2 ±1.2b 0b
페루라 갈바니프루아(Ferula galbaniflua) 100a 100a 100a 81.2 ±1.1b 22.3 ±1.8b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Pelargonium ordoratissimum) 100a 100a 100a 100a 50.6 ±1.5b
펠라고니움 라덴스(Pelargonium radens) 100a 100a 100a 100a 20.4 ±1.8b
펠라고니움 케피타툼(Pelargonium capitatum) 100a 100a 100a 100a 29.8 ±1.7b
헬리크리섬 아우구스티폴리엄(Helichrysum augustifolium) 100a 100a 100a 100a 0b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Andropogon muricatus) 100a 100a 100a 100a 51.4 ±1.5b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100a 100a 100a 90.8 ±1.5b 0b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100a 100a 100a 22.5 ±1.7b 0b
밀리사 오피시날리스(Milissa officinalis) 100a 100a 90.5 ±1.5b 12.1 ±1.9b 0b
시투루스 아우란티엄(Citrus aurantium) 100a 100a 100a 100a 23.5 ±1.5b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Melaleuca viridiflora) 100a 100a 100a 89.8 ±2.1b 28.9 ±1.5b
라벤사라 아로마티카(Ravensara aromatica) 100a 100a 31.6 ±1.5b 0b 0b
사사프라스 알부덤(Sassafras albudum) 100a 100a 93.8 ±1.8b 12.1 ±1.7b 0b
타제테스 이레타(Tagetes erecta) 100a 100a 100a 100a 100a
타제테스 파투라(Tagetes patula) 100a 100a 100a 100a 100a
베르베나 오피시날스(Verbena officinals) 100a 100a 100a 100b 53.3 ±1.5b
상기 표 1의 세로무늬 먼지진드기에서, 1 mg, 0.5 mg 처리시 실시예 1의 23 종의 식물정유 모두 100 % 살비율을 나타내었고, 0.125 mg을 처리한 경우에 페루라 갈바니프루아,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 펠라고니움 라덴스, 펠라고니움 케피타툼, 헬리크리섬 어우구스티폴리엄,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 사사프라스 알부덤, 타제테스 이레타, 타제테스 파투라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의 식물정유에서 70 %이상의 살비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0.062 mg을 처리한 경우에는 페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의 정유에만 50 %이상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2의 큰다리 먼지진드기에서, 1 mg, 0.5 mg 처리시 실시예 1의 23 종의 식물정유 모두 100 % 살비율을 나타내었고, 0.062 mg을 처리한 경우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의 식물정유에서 50 % 이상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진드기에 대한 살비 활성 2
상기 실시예 2의 활성물질에 대한 살비활성을 측정하였다.
실비활성 검정
상기 실험예 1에서 실시한 실비활성검정법으로 제라니올, 리난올, (-)-시스-미르탄올, 트랜스-미르탄올, (-)-미르테날, (-)-미르텐올, 튜존, 시스-버르벤올, (-)-버베논, 멘톤 및 인돌라인의 살비효과를 측정하여 하기 표 3과 표 4에 나타냈다.
화합물 살 비 율(평균±표준편차, %)
처 리 농 도(mg/tube)
0.50 0.33 0.25 0.10 0.050 0.025 0.010
제라니올 100a 100a 100a 100a 100a 100a 76.7 ±1.0b
리난올 100a 100a 100a 100a 100a 76.9 ±1.2b 36.2 ±0.5c
(-)-시스-미르탄올 100a 100a 100a 82.9 ±2.3b 51.3 ±2.5c 0d 0d
트랜스-미르탄올 100a 100a 100a 87.5 ±2.5b 58.4 ±2.1c 0d 0d
(-)-미르테날 100a 100a 100a 100a 100a 60.0 ±1.9b 0c
(-)-미르텐올 100a 100a 100a 86.7 ±1.8b 49.3 ±1.2c 0d 0d
튜존 100a 100a 100a 100a 82.4 ±1.7b 66.4 ±1.1c 35.3 ±1.5d
시스-버르벤올 100a 100a 100a 100a 89.6 ±1.4b 33.3 ±1.3c 0d
(-)-버베논 100a 100a 100a 100a 100a 35.1 ±2.3b 0c
멘톤 100a 100a 100a 71.7 ±1.8b 32.9 ±2.2c 0d 0d
인돌라인 100a 100a 100a 100a 25.2 ±1.8b 0c 0c
벤질 벤조에이트 100a 100a 88.8 ±3.6b 29.5 ±1.5c 0d 0d 0d
디부틸 프탈레이트 100a 100a 95.2 ±1.4a 54.4 ±3.3b 27.4 ±1.9c 0d 0d
상기 표 3은 세로무늬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살비검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15가지 화합물 모두 0.5 mg, 0.33 mg, 0.25 mg 처리수준에서 100 %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0.010 mg 처리수준에서는 제라니올 76.7 %, 리난올 36.2 %, 튜존 35.3 %의 살비율을 나타내어 대조군인 벤질 벤조에이트 및 디부틸 프탈레이트에 비해 살비율이 우수하였다.
화합물 살 비 율(평균±표준편차, %)
처 리 농 도(mg/tube)
0.50 0.33 0.25 0.10 0.050 0.025 0.010
제라니올 100a 100a 100a 100a 100a 100a 83.3 ±2.7b
리난올 100a 100a 100a 100a 100a 83.3 ±1.1b 43.2 ±1.5c
(-)-시스-미르탄올 100a 100a 100a 79.2 ±1.7b 42.3±2.0c 0d 0d
트랜스-미르탄올 100a 100a 100a 78.4 ±2.1b 48.5±1.8c 0d 0d
(-)-미르테날 100a 100a 100a 100a 100a 46.7 ±1.6b 0c
(-)-미르텐올 100a 100a 100a 76.5 ±1.6b 40.6±1.4c 0d 0d
튜존 100a 100a 100a 100a 76.5±1.3b 36.4 ±2.9c 0d
시스-버르벤올 100a 100a 100a 100a 84.2±2.2b 26.5 ±1.4c 0d
(-)-버베논 100a 100a 100a 100a 100a 26.9 ±1.8b 0c
멘톤 100a 100a 100a 65.3 ±1.5b 28.7±2.5c 0d 0d
인돌라인 100a 100a 100a 100a 20.7±1.6b 0c 0c
벤질벤조에이트 100a 100a 100a 32.0 ±2.9b 0c 0c 0c
디부틸프탈레이트 100a 100a 92.0 ±3.8b 62.2 ±1.9c 29.9±1.7d 0e 0e
상기 표 4는 큰다리 먼지진드기에 대한 살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의 15종 화합물들 모두 0.5 mg, 0.33 mg, 0.25 mg 처리수준에서 100 %의 살비율을 나타내었고, 0.010 mg 처리수준에서는 제라니올 83.3 %, 리난올 43.2 %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합성 살비제 2종(benzyl benzoate, dibutyl phtalate)은 0.050 mg 수준부터는 유의할만한 살비활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에서 추출한 정유 및 모노테르펜 화합물들은 진드기에 뛰어난 살비능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살비능을 가지는 기존의 합성 살비제에 비하여 우수한 살비율을 나타내어 진드기에 대한 살비용 조성물로 유용하다.

Claims (12)

  1. 멜라데우카 레우카데드론(Melaleuca leucadendron), 프세우도수가 멘지에시(Pseudotsuga menziesii), 페루라 갈바니프루아(Ferula galbaniflua), 펠라고니움 오르도라티시엄(Pelargonium ordoratissimum), 펠라고니움 라덴스(Pelargonium radens), 펠라고니움 케피타툼(Pelargonium capitatum,), 헬리크리섬 어우구스티폴리엄(Helichrysum augustifolium), 안드로포곤 무리카두스(Andropogon muricatus), 라벤듀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밀리사 오피시날리스(Milissa officinalis), 멜라레우카 비리디프로라(Melaleuca viridiflora), 라벤사라 아로마티카(Ravensara aromatica), 사사프라스 알부덤(Sassafras albudum), 타제테스 이레타(Tagetes erecta), 타제테스 파투라(Tagetes patula) 및 베르베나 오피시날스(Verbena officinalis)로 이루진 군으로 1종 이상 선택되어진 식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진드기 살비성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라니올(geraniol), 리난올(linalool), (-)-시스-미르탄올((-)-cis-myrtanol), 트랜스-미르탄올(myrtanol), (-)-미르테날(myrtenal), (-)-미르텐올(myrtenol), 튜존(thujone), 시스-버르벤올(verbenol), (-)-버베논(verbenone), 멘톤(menthone) 및 인돌라인(ind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모노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드기 살비성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의 식물추출 정유 또는 모노테르펜 화합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로 전체 조성물 중량의 0.01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추출 정유 또는 모노테르펜 화합물의 양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진드기가 세로무늬 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또는 큰다리 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인 조성물.
  12.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휘발성독 또는 훈증독으로 진드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비성 조성물.
KR10-2002-0028529A 2001-08-16 2002-05-22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KR100472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2/001183 WO2003015522A1 (en) 2001-08-16 2002-06-21 Plant oil and chemical compound having acaricidal a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383 2001-08-16
KR20010049383 2001-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822A KR20030015822A (ko) 2003-02-25
KR100472643B1 true KR100472643B1 (ko) 2005-03-08

Family

ID=2771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529A KR100472643B1 (ko) 2001-08-16 2002-05-22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14B1 (ko) * 2006-08-01 2008-11-1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비사볼란겔론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101789051B1 (ko) * 2015-09-18 2017-10-23 안용준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비활성화제 및 그 조성물
CN109620757A (zh) * 2018-12-28 2019-04-16 厦门昶瀚商贸有限公司 一种抗敏香氛喷雾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28357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104A (ja) * 1987-09-22 1989-06-27 Nippon Terupen Kagaku Kk 屋内性ダニ駆除剤
US5688509A (en) * 1996-02-20 1997-11-18 Tenneco Packaging Controlled-release insect repellent device
KR19990031760A (ko) * 1997-10-14 1999-05-06 안용준 Thujopsisdolabratavar.hondai 톱밥 유래의 terpenoid 천연물질 및 카바크롤의 용도
KR20010061271A (ko) * 1999-12-28 2001-07-07 최원식 식물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저곡해충 훈증제
KR20020005238A (ko) * 2000-07-05 2002-01-17 안용준, 김영수 회향열매에서 추출한 위생해충 기피제
KR20030033722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104A (ja) * 1987-09-22 1989-06-27 Nippon Terupen Kagaku Kk 屋内性ダニ駆除剤
US5688509A (en) * 1996-02-20 1997-11-18 Tenneco Packaging Controlled-release insect repellent device
KR19990031760A (ko) * 1997-10-14 1999-05-06 안용준 Thujopsisdolabratavar.hondai 톱밥 유래의 terpenoid 천연물질 및 카바크롤의 용도
KR20010061271A (ko) * 1999-12-28 2001-07-07 최원식 식물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저곡해충 훈증제
KR20020005238A (ko) * 2000-07-05 2002-01-17 안용준, 김영수 회향열매에서 추출한 위생해충 기피제
KR20030033722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822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tes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monoterpenes against Rhyzopertha dominica (F.) and Tribolium castaneum (Herbst)
US10058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release of botanical fumigant pesticides
Maurer et al. In vitro efficacies of oils, silicas and plant preparations against the poultry red mite Dermanyssus gallinae
BRPI0714350B1 (pt)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controle de insentos
HU218164B (hu) Kártevőirtó szer és eljárás az alkalmazására
AU2014238477A1 (en) Lice control composition and method
JPH02142709A (ja) 有害生物防除剤
KR100350391B1 (ko)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
JP2010126486A (ja) 新規な害虫忌避剤
WO2018039376A1 (en) Insect repell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WO2003015522A1 (en) Plant oil and chemical compound having acaricidal activity
KR100472643B1 (ko)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KR100868314B1 (ko) 비사볼란겔론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100624103B1 (ko) 살비성을 나타내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JP2019064961A (ja) ハナカメムシの忌避剤
KR20060110655A (ko) 살비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KR20010061271A (ko) 식물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저곡해충 훈증제
KR20030000680A (ko) 살비성 조성물
KR101100246B1 (ko) 퀴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표시활성용 및 살비활성용 조성물
KR20060038747A (ko) 차메시파리스 옵투사로부터 분리된 살비활성의 정유 화합물
KR100654902B1 (ko) 살비성 화합물
KR100611206B1 (ko) 그레이프 푸루이트 오일 및 그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기피제
WO2023095882A1 (ja) アレルゲン低減方法及びアレルゲン低減剤
KR100819691B1 (ko) 집먼지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0415622B1 (ko) 살비성 화합물 및 해충 표시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