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726A -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726A
KR20060073726A KR1020040112111A KR20040112111A KR20060073726A KR 20060073726 A KR20060073726 A KR 20060073726A KR 1020040112111 A KR1020040112111 A KR 1020040112111A KR 20040112111 A KR20040112111 A KR 20040112111A KR 20060073726 A KR20060073726 A KR 20060073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ethyl alcohol
phenyl ethyl
extract
mosquito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구
김병현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11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726A/ko
Publication of KR2006007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혈을 하는 암모기를 쫓기 위한 천연 모기 기피 조성물에 향료 원료 중 하나인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하여 모기 기피 효과를 향상시키는 조성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모기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라벤더, 로즈제라늄, 스피아민트, 로즈마리 등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성분인 제라니올(gerani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멘톨(menthol),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리날로올(linalool), 1,8-시네올(1,8-cineol), 캠퍼(camphor) 등으로 이루어진 모기 기피 조성물에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5~30% 이상 첨가 할 경우 모기 기피 효과가 10~20%까지 향상된다.
모기, 기피제, 추출물, 제라늄, 로즈마리

Description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Insect repellant with phenyl ethyl alcoho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기 기피제의 방향에 의한 모기 기피율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천연 모기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라벤더, 스피아민트, 로즈제라늄, 로즈마리와 같이 종래에 알려진 모기 기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에 장미 향을 갖는 향료인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하여 모기 기피효과를 높이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지구상에 약 1500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서는 9속 47종이 기록되어 있다. 인체나 동물의 피를 빨아 마실 뿐만 아니라, 뇌염, 말라리아 등 각종 질병을 매개한다. 또한 모기에게 물리면 가려움이 심하여 수면 방해나 여름철 야외 활동에 제약을 주는 해충이다.
국내에 알려진 모기들 중에서,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는 말라리아와 내륙성 브르기아 사상충증(Inland burgian filariasis)을, 토고숲모기 (Aedes togoi)는 남해도서 지역의 사상충증, 빨간 집모기(Culex pipens)와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 등은 최근 아파트 단지에서 창궐하여 흡혈성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방제가 불가피한 문제종이다(이한일. 1988. 위생곤충학(4판). 고문사, 서울, 340 pp).
이러한 모기를 방제하기 위하여, 살충제에 의한 화학적 방제를 주로 이용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오히려 화학 약제 저항성, 유용생물의 살해, 인체에 대한 독성, 잔류 및 각종 환경오염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였다(Georghiou, G. P. and Saito, T. 1983. Pest Resistance to Pesticides. Plenum Press New York and London ;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6. Pesticide Resistance : Strategies and Tactics for Management.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Brown,, A.W.A. 1978. Ecology of Pesticides. Academic Press, New York.). 그리하여 인간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인간을 모기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제방법 또는 대체약제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기피제는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해충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기피제는 질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을 보유한 해충과의 접촉을 줄여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Cutris, C.F., 1992. Personal protection methods against vector disease. Rev. Med. Veter. Entomol. 80(10):543-553). 하지만 기피제는 직접적인 사용대상이 인체이고, 모기의 감각기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방제 기능을 포함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DEET(N,N-diethyl-m-toluamide)는 현재까지 개발된 기피제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 기피제로, 여러 모기 종에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모기붙이, 파리, 이, 벼룩, 진드기 등의 해충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DEET의 단점은 불쾌한 냄새를 가지며, 피부에 자극을 주고, 일부 플라스틱이나 합성고무와 반응하여 안경이나 시계줄에 손상을 입히는 등 문제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강한 피부 침투력으로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는 것이다. 1982년도에 실시한 DEET 피부 침투력 실험에서, DEET 300 ㎍/㎠을 피부에 처리하고 1시간 지난 후 30% 침투율을, 12시간 후 36%의 침투율을 가짐을 확인하여 어린이, 저혈압 환자, 피부가 민감한 사람 등은 DEET 사용이 제한되었으며, 성인도 체표면의 20% 이상 바르는 것이 제한 되었다. 따라서 과도한 DEET의 사용량을 줄이고 모기기피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피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라벤더, 제라늄, 로즈마리 등의 추출물은 이미 기피제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DEET의 성능에는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 사용되고 있는 천연 기피제 조성물에 향료 원료 중 하나인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하여 기피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은 장미에서 추출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이 가능한 물질로 장미 특유의 좋은 향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기존 천연추출물과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의 혼합물은 좋은 향과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방향제 조성물로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 기피 방향제는 라벤더, 제라늄, 로즈마리, 스피어민트의 추출물 또는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제라니올(gerani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멘톨(menthol),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리날로올(linalool), 1,8-시네올(1,8-cineol) 및 캠퍼(camphor) 중 일부 또는 전체로 이루어진 조성에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한 새로운 조성물이다.
상기 추출물들은 일반적으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되며, 모두 독특한 향을 가진 용액 상태의 오일이다.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은 장미 추출물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되며 화학 구조식은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4061293201-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은 DEET 등이 사용된 기존 기피제보다 좋은 향으로 에어로졸, 겔 등의 제형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기능을 갖는 모기 기피제는 휘산 장치를 포함하여 제품화하므로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한 조성물과 첨가하지 않은 조성물의 모기 기피효과를 실험하였다. 추출물과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혼합물의 피부 노출에 의한 모기 기피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기는 기피제 검정 공시충인 이집트숲모기를 이용하였다.
추출물을 알코올에 희석하여 10% 용액으로 제작하고 실험자들의 피부에 바른 뒤 약 200마리의 모기를 넣은 35 X 35 X 35 cm3의 검정용 상자에 실험자의 팔을 넣게 하였다. 30분 후 실험자의 팔에 모기가 문 회수를 비교하여 하기의 수식을 통해 기피율을 측정하였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약 3회의 반복 실험 후 그 값을 평균하였다.
[수식 1]
Figure 112004061293201-PAT00002
추출물과 phenyl ethyl alcohol 혼합물의 모기 기피 활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페닐에틸알코올 혼합량 추출물 0 % 5 % 10 % 15 % 20 % 25 % 30 % 35 %
라벤더 추출물 65 67 72 75 80 83 88 91
제라늄 추출물 77 78 82 85 88 91 94 92
로즈마리 추출물 70 70 75 80 84 89 91 91
스피아민트 추출물 72 74 78 82 85 88 86 89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20% 이상의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함유할 경우 80% 이상의 높은 기피율을 보였다.
방향제의 조성으로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20% 첨가한 상기 혼합물을 사용한 겔 방향제를 제작하여 모기 기피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과 분리성분 혼합물은 25%이고, 겔을 제작하는데 사용한 조성물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추출물과 분리성분의 혼합물 라벤더 추출물 8 %
제라늄 추출물 5 %
스피아민트 추출물 2 %
캠퍼(camphor) 0.5 %
1,8-cineol 0.5 %
citronellol 2 %
linalyl acetate 2 %
페닐 에틸 알코올 (phenyl ethyl alcohol) 5 %
Isopar G(Exxon사) 64.5 %
Limonene 10 %
Oleic acid 1.5 %
Aluminum hexanoate(겔화제) 4 %

혼합순서는 먼저 유기용매와 리모넨(limonene)을 혼합하고 여기에 상기 혼함물을 넣는다. 여기에 겔화제(aluminium hexanoate)를 넣어 약 10분간 혼합하여 고루 분산시킨다. 내용물을 저으면서 올레익산(Oleic acid)를 첨가하고 완전히 겔화 될 때까지 저어준다.
모기 기피 활성 검정
방향에 의한 모기 기피율을 측정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600 X 300 X 300 cm3의 밀폐된 투명 아크릴 상자를 검정용 케이스로 이용하였다. 상자의 중앙에는 칸막이가 되어 있으며, 지름 30cm의 구멍이 있어 모기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작된 검정용 케이스의 한쪽에 방향제를 설치하고 200마리의 이집트숲모기를 넣어 모기의 이동을 관찰하였다. 대조구로 방향제를 넣지 않은 통에 동일 수의 모기를 넣고 모기의 이동을 율을 비교하였다. 각 실험은 2시간에 걸쳐 실시 되었으며,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3차례씩 반복하여 그 평균 값을 취하였다. 기피율의 계산은 상기의 수식 1과 같다. 측정된 기피율을 표 3에 나타내었다.
Phenyl ethyl alcohol 미혼합 Phenyl ethyl alcohol 20 % 혼합물
라벤더 추출물 65 % 75 %
제라늄 추출물 62 % 73 %
로즈마리 추출물 65 % 72 %
스피아민트 추출물 67 % 77 %

실험 결과 상기 혼합 조성으로 제작된 방향제는 최고 77%의 매우 높은 모기 기피율을 보였으며, 방향제로서 향도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벤더, 스피아민트, 장미, 로즈마리, 제라늄 등의 추출물 또는 분리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모기 기피 조성물에 5~30%의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 할 경우 기존 조성보다 향상된 기피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장미의 향을 제공하여 모기 기피 기능을 갖는 기능성 방향제를 제작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이 5 내지 30%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모기 기피제 조성물이 라벤더 추출물, 장미 추출물, 스피아민트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제라늄 추출물, 리날로올(linalool),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멘톨(menthol), 제라니올(gerani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1,8-시네올 (1,8-cineol) 및 캠퍼(camph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4. 제 4항의 방향기능을 갖는 모기 기피제가 휘산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모기 기피제품.
KR1020040112111A 2004-12-24 2004-12-24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KR20060073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11A KR20060073726A (ko) 2004-12-24 2004-12-24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11A KR20060073726A (ko) 2004-12-24 2004-12-24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726A true KR20060073726A (ko) 2006-06-29

Family

ID=3716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111A KR20060073726A (ko) 2004-12-24 2004-12-24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726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6892A2 (en) 2008-02-29 2009-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handoff
KR100955344B1 (ko) * 2009-05-22 2010-04-2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잔톡실럼속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CN104186573A (zh) * 2014-08-18 2014-12-10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具有舒缓压力、调节睡眠的芜荑植物蚊香及其制备方法
CN104206448A (zh) * 2014-08-18 2014-12-1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新型葫芦茶植物蚊香及其制备方法
CN104206450A (zh) * 2014-08-18 2014-12-1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中药与表面活性剂复配的电热蚊香液及制备方法
CN104206449A (zh) * 2014-08-18 2014-12-1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能平静身心、促进睡眠的逐蝇梅蚊香及其制备方法
CN104957787A (zh) * 2015-06-08 2015-10-0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含有白芍药有效成分的功能型胸罩及制造方法
CN104983086A (zh) * 2015-06-08 2015-10-2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与活性矿物质组合的功能型女士内衣及制造方法
CN104983082A (zh) * 2015-06-08 2015-10-2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驱蚊抗菌兼远红外线健体型女士乳罩及其制造方法
CN104983085A (zh) * 2015-06-08 2015-10-2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兼具驱蚊与抗菌功效的香子兰芳香型乳罩及制造方法
CN104997177A (zh) * 2015-06-08 2015-10-28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活性炭与负离子矿物质复配的透气型文胸及制造方法
CN105029729A (zh) * 2015-06-08 2015-11-1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带胸部按摩功能的驱蚊型多层文胸及其制造方法
CN105029728A (zh) * 2015-06-08 2015-11-1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远红外线及负离子保健功能的胸罩及其制造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6892A2 (en) 2008-02-29 2009-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handoff
KR100955344B1 (ko) * 2009-05-22 2010-04-2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잔톡실럼속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CN104186573A (zh) * 2014-08-18 2014-12-10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具有舒缓压力、调节睡眠的芜荑植物蚊香及其制备方法
CN104206448A (zh) * 2014-08-18 2014-12-1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新型葫芦茶植物蚊香及其制备方法
CN104206450A (zh) * 2014-08-18 2014-12-1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中药与表面活性剂复配的电热蚊香液及制备方法
CN104206449A (zh) * 2014-08-18 2014-12-1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能平静身心、促进睡眠的逐蝇梅蚊香及其制备方法
CN104957787A (zh) * 2015-06-08 2015-10-07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含有白芍药有效成分的功能型胸罩及制造方法
CN104983086A (zh) * 2015-06-08 2015-10-2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与活性矿物质组合的功能型女士内衣及制造方法
CN104983082A (zh) * 2015-06-08 2015-10-2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驱蚊抗菌兼远红外线健体型女士乳罩及其制造方法
CN104983085A (zh) * 2015-06-08 2015-10-2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兼具驱蚊与抗菌功效的香子兰芳香型乳罩及制造方法
CN104997177A (zh) * 2015-06-08 2015-10-28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活性炭与负离子矿物质复配的透气型文胸及制造方法
CN105029729A (zh) * 2015-06-08 2015-11-1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带胸部按摩功能的驱蚊型多层文胸及其制造方法
CN105029728A (zh) * 2015-06-08 2015-11-11 中山市品汇创新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远红外线及负离子保健功能的胸罩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161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attraction and repulsion of insects
US5106622A (en) Repellent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oils of citronella, cedar and wintergreen and use thereof
Mangan et al. Bait dilution, spinosad concentration, and efficacy of GF-120 based fruit fly sprays
US9314029B2 (en) Control and repellency of mosquitoes
US2017000684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apturing, killing or repelling bed bugs
US20130125451A1 (en) Method for repelling and/or controlling pests
KR20060073726A (ko) 페닐 에틸 알콜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CN104334020B (zh) 对叮咬性蝇类、家蝇、蜱、蚂蚁、跳蚤、蠓、蟑螂、蜘蛛和椿象的控制和驱避
CN1077402C (zh) 防霉驱避杀虫药及其制备方法
Singh et al. Evaluation of hexane extract of tuber of root of Cyperus rotundus Linn (Cyperaceae) for repellency against mosquito vectors
US7988985B2 (en) Pest repellent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805776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killing insect and non-insect pests
US20110263707A1 (en) Mosquito repellent
KR102323497B1 (ko)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692667B1 (ko)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도료
KR20010018588A (ko) 천연 모기 기피제
US9101142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pelling and/or killing insects
KR100484887B1 (ko) 천연 모기 기피제 조성물
CN114097791A (zh) 一种对松材线虫病及其媒介昆虫具有引诱和防控效果的耐冲刷粉剂
US8841343B2 (en) Composition for repelling mosquitoes
JPS6051441B2 (ja) 昆虫忌避剤組成物
US976344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pelling blood-sucking and biting insects, ticks and mites
Jadhav et al. Anticockroach Activity of Fruit Extract of Luffa acutangula var. amara Anticockroach Activity of Luffa amara
US2017012767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sect populations
SU547054A1 (ru) Репелентно-инсектицидный соста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