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968A - 오토테이핑 머신 - Google Patents

오토테이핑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968A
KR20170031968A KR1020150129602A KR20150129602A KR20170031968A KR 20170031968 A KR20170031968 A KR 20170031968A KR 1020150129602 A KR1020150129602 A KR 1020150129602A KR 20150129602 A KR20150129602 A KR 20150129602A KR 20170031968 A KR20170031968 A KR 2017003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kin complex
unit
complex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134B1 (ko
Inventor
이재효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재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재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2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1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피부착물에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부착 및 이송시키는 오토테이핑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착물이 작업판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작업판의 일측에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테이프롤이 포함된 테이프 공급부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판으로 테이프가 공급되며, 상기 테이프가 상기 작업판으로 가이드된 피부착물과 부착 및 이송되도록 롤러부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됨으로써, 피부착물의 부착면 정위치에 테이프가 자동으로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테이핑 머신{Automatic taping machine}
이 발명은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화된 오토테이핑 장치 혹은 머신에 관한 것이다.
테이핑이란, 피부착물의 부착면에 테이프가 부착되는 공정을 의미하고, 오토테이핑이란, 테이핑 공정이 자동화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테이핑의 대상 즉, 피부착물은 포장용 박스에서부터 절연캡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테이핑 공정이 전적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테이핑 공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인건비가 상승하고, 생산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마다 숙련도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균일한 품질로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작업자가 집중력을 발휘하여 피부착물의 부착면에 정위치되도록 테이프를 부착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상당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집중력이 저하되어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포장용 박스와 같은 특정 형상의 피부착물에 대하여 특화된 장치들이 종래에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이는 포장용 박스에 특화된 장치로서, 정해진 규격에 벗어나는 피부착물에는 적용할 수 없는 호환성의 한계가 있다. 또한, 정해진 규격에서 다소 벗어난 피부착물에 강제적으로 적용하더라도, 테이프를 피부착물의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전반적인 장치 변경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테이핑이 일률적인 공정 하에 진행되므로, 테이프 공급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오차 발생이 지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정한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피부착물에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결과물은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도가 높으나, 이에 대응하여 테이핑 자동화가 실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오토테이핑 머신을 제안함으로써, 테이프가 피부착물의 부착면 정위치에 자동으로 부착되도록 공급되도록 하여, 테이핑 공정에 있어서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건비가 절약되고, 테이핑된 피부착물의 제작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부착물의 부착면에 테이프를 공급받아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의 오차 발생을 저지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균일한 품질의 결과물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지닌 피부착물에 대응하여 테이핑 자동화가 실현되면서, 호환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오토테이핑 머신은 피부착물(S)에 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부착 및 이송시키는 오토테이핑 머신에 있어서, 피부착물(S)이 작업판(100)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작업판(100)의 일측에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테이프롤(TR)이 포함된 테이프 공급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판(100)으로 테이프(T)가 공급되며,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작업판(100)으로 가이드된 피부착물(S)과 부착 및 이송되도록 롤러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3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4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부(500)가 구비되어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테이프(T)가 자동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는, 상기 테이프롤(TR)은 테이프 홀딩부(210)에 의해 지지되고, 가압부(220)는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에 축결합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 및 가압부(220)는 암부(230)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부(230)는,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의 위치를 조절하는 힌지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231)가 고정 지지되도록 고정대(232)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231)는, 힌지축(231a)에 각도조절수단(231b)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핑 홀딩부(2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부(230)의 고정대(232)는 클램프(C)로 구성되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되, 제1 테이프 공급부(200a)은 상기 작업판(100)에 직립되도록 구비되어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수평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되고, 제2 테이핑 공급부(200b)은 상기 작업판(100)과 평행되게 눕혀지도록 구비되어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수직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300)는, 상기 작업판(100) 상부에 구비되되, 피부착물(S)에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테이프(T)를 가압 부착시키는 가압롤러(310)와, 테이프(T)가 부착된 피부착물(S)을 상기 모터부(4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310) 전방에 테이프 유도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320)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부(321)가 형성되어 테이프(T)가 부착된 피부착물(S)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하는 센서부(600)와, 상기 작업판(100)에 설치되어 테이프가 부착된 피부착물(S)을 절단하는 커팅부(70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작업판(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한 센서부(6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한 다음, 작업판(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피부착물(S)의 말단으로부터 작업판(100) 이르는 길이에 해당되는 피부착물(S)로 절단되도록 커팅하는 명령 정보를 커팅부(7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테이프가 피부착물의 부착면 정위치에 자동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피부착물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에 있어서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부착물의 부착면에 정위치되도록 테이프를 공급받아 부착하는 수고가 덜어지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테이핑된 피부착물의 제작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 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부착물의 부착면에 테이프를 공급받아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의 오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집중력을 발휘하여 피부착물의 부착면에 정위치되도록 테이프를 부착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상당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집중력이 저하되어 불량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균일한 품질의 결과물이 얻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테이프 공급부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됨으로써, 피부착물의 수평 부착면에 테이핑이 진행되면서, 동시에 피부착물의 수직 부착면에도 테이핑이 가능하므로, 생산 소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부착물에 대한 수직 및 수평 테이핑 공정에 있어서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지닌 피부착물에 대응하여 테이핑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호환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센서부 및 커팅부가 구비됨으로써, 피부착물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 뿐 아니라, 테이핑된 피부착물을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 공정도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착물을 목적하는 길이로 일정하게 커팅하는 수고가 덜어지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으며, 오차 발생이 최소화되고, 커팅면 등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테이핑 머신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자동화에 의한 작동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부분인 테이프 공급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이 발명의 일부분인 테이프 공급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부 및 커팅부가 설치된 오토테이핑 머신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오토테이핑 머신을 구성하는 컨트롤부 등의 연결 관계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오토테이핑 머신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테이핑 머신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이 발명은 피부착물(S)에 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부착 및 이송시키는 오토테이핑 머신에 있어서, 피부착물(S)이 작업판(100)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작업판(100)의 일측에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테이프롤(TR)이 포함된 테이프 공급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판(100)으로 테이프(T)가 공급되며,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작업판(100)으로 가이드된 피부착물(S)과 부착 및 이송되도록 롤러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3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4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부(50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자동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즉, 피부착물(S)에 테이프(T)를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에 있어서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부착물(S)의 부착면에 정위치되도록 테이프(T)를 공급받아 부착하는 수고가 덜어지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테이핑된 피부착물(S)의 제작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 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부착물(S)의 부착면에 테이프(T)를 공급받아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의 오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집중력을 발휘하여 피부착물(S)의 부착면에 정위치되도록 테이프(T)를 부착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상당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집중력이 저하되어 불량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불량률이라 함은, 생산된 결과물의 전체 개수 중 부착면 정위치로부터 이탈하여 테이프(T)가 부착되거나, 목적된 강도로 테이프(T)가 부착되지 않은 피부착물(S)의 개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작업판(100)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작업판(100) 하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터부(400)는 상기 작업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피부착물(S)의 진행방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00)는 롤러부(300)의 하부에 위치하되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모터부(400)의 모터회전축과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피동기어는 롤러부(300)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컨트롤부(500)는 상기 작업판(10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모터부(400)와 근접하고 피부착물(S)의 진행방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모터부(400) 바로 밑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400)의 회전 동력을 제어하는 패달(4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달(410)을 발로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모터부(4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혹은 숙련자)가 피부착물(S)의 성질, 장치의 작동 상태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테이핑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전문적인 판단을 반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오토테이핑 머신의 테이핑 자동화에 대한 공정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먼저, 피부착물(S)이 전방부 보조판으로부터 작업판(100)으로 공급되면, 가이드부(110)에 의해 상기 작업판(100)의 특정된 진행경로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된다. 그 다음, 테이프 공급부(200)로부터 테이프(T)가 상기 피부착물(S)의 부착면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테이프(T)가 롤러부(300)에 의해 피부착물(S)의 부착면에 부착되며, 특정된 진행경로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롤러부(300)에서 이송되어진 테이핑된 피부착물(S)은 작업판(100)을 지나쳐 후방부 보조판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300)가 회전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자동화될 수 있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부분인 테이프 공급부(2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는 상기 테이프롤(TR)은 테이프 홀딩부(210)에 의해 지지되고, 가압부(220)는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에 축결합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 및 가압부(220)는 암부(230)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암부(230)는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의 위치를 조절하는 힌지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231)가 고정 지지되도록 고정대(232)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힌지부(231)가 구비됨으로써, 공급되는 테이프(T)에 장력을 제공하여 텐션을 잃지 않도록 조절이 가능하여 불량률이 더 감소되면서 생산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부착물(S)의 형상에 대응하여 부착물 정위치에 테이프(T)가 공급되어 호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은 이 발명의 일부분인 테이프 공급부(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231)는 힌지축(231a)에 각도조절수단(231b)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핑 홀딩부(2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홀딩부(100)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피부착물(S)의 형상에 대응하여 부착면 정위치에 테이프(T)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프롤(TR)로부터 피부착물(S)과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어 공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이 텐션을 잃지 않도록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결과물의 오차 발생이 감소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결과적으로 생산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암부(230)의 고정대(232)는 클램프(C)로 구성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오토테이핑 공정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비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작업자가 목적하는 위치에 오토테이핑 암을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편의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되, 제1 테이프 공급부(200a)은 상기 작업판(100)에 직립되도록 구비되어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수평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되고, 제2 테이핑 공급부(200b)은 상기 작업판(100)과 평행되게 눕혀지도록 구비되어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수직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착물(S)의 수평 부착면에 테이핑이 진행되면서, 동시에 피부착물(S)의 수직 부착면에도 테이핑이 가능하므로, 생산 소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지닌 피부착물(S)에 대응하여 테이핑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호환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테이프 공급부(200a)과 제2 테이프 공급부(200b)는 동일한 두께의 테이프롤(TR)이 구비되어 ‘ㄱ자’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형상을 지닌 피부착물(S)의 직교하는 두 내측면에 오토테이핑이 가능하다. 이렇게 생산한 테이핑된 피부착물(S)은 가구 모서리나 문틀 등 직교하는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ㄱ자’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형상을 지닌 피부착물(S)은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며, 수직 부착면 또는 수평 부착면이 존재하는 단면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형상을 지닌 피부착물(S)이면 족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부(300)는 상기 작업판(100) 상부에 구비되되, 피부착물(S)에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테이프(T)를 가압 부착시키는 가압롤러(310)와, 테이프(T)가 부착된 피부착물(S)을 상기 모터부(4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동력을 제공받는 롤러부(300)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테이핑하는 수고가 덜어질 수 있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고, 생산 효율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이송롤러(320)가 테이핑된 피부착물(S)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테이핑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310)와 이송롤러(320)의 배치는, 피부착물(S)의 테이핑 공정 상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가압롤러(310)가 먼저 설치되고, 그 다음 이송롤러(3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310)는 피부착물(S)의 부착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닌 또 다른 가압롤러(310)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착물(S)에 철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요홈이 원주를 따라 마련된 가압롤러(3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압롤러(310)는 테이프(T)를 피부착물(S)의 수평 부착면에 가압 부착시키는 수평형 가압롤러(310a)와 별개의 테이프(T)를 피부착물(S)의 수직 부착면에 가압 부착시키는 수직형 가압롤러(3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320)는 수동핸들이 결합되어 수동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모터부(400) 혹은 컨트롤부(500)의 오작동이나 미작동 등으로 인하여 수동으로 테이핑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T)가 오부착된 피부착물(S)을 역방향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롤러(310) 전방에 테이프 유도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물 정위치에 공급될 때, 장력을 제공하여 텐션을 잃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량률이 더 감소되면서 생산효율이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테이프 유도부(330)에 원주면을 따라 유도홈(340a)이 마련된 유도구(340)가 구비되어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더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오차 없이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테이프 유도부(330)는 롤러부의 중심축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공급부(200)의 테이프 홀딩부(210) 위치에 대응하여 테이프 유도부(33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형 가압롤러(310a) 및 수직형 가압롤러(310b)에 각각 테이프 유도부(330)가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롤러(320)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부(321)가 형성되어 테이프(T)가 부착된 피부착물(S)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모터부(40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효율적으로 피부착물(S)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부(321)의 형상은 원주면을 따라 피부착물(S)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돌기선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돌기부(321)의 형상은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며, 상기 이송롤러(320)와 테이프(T)가 부착된 피부착물(S)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형상이면 족한다.
도 5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부(600) 및 커팅부(700)가 설치된 오토테이핑 머신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하는 센서부(600)와, 상기 작업판(100)에 설치되어 테이프가 부착된 피부착물(S)을 절단하는 커팅부(70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작업판(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한 센서부(6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한 다음, 작업판(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피부착물(S)의 말단으로부터 작업판(100) 이르는 길이에 해당되는 피부착물(S)로 절단되도록 커팅하는 명령 정보를 커팅부(7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피부착물(S)에 테이프(T)를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 뿐 아니라, 테이핑된 피부착물(S)을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 공정도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착물(S)을 목적하는 길이로 일정하게 커팅하는 수고가 덜어지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으며, 오차 발생이 최소화되고, 커팅면 등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커팅부(700)는 전원 공급 불량 등의 원인으로 오작동 또는 미작동되더라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하는 센서부(600)로부터 수동으로 신호를 전달받은 후, 상기 커팅부(700)를 조작하여 목적하는 길이의 테이핑된 피부착물(S)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 발명인 오토테이핑 머신이 오작동 또는 미작동되더라도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센서부(600) 및 커팅부(700)가 설치된 오토테이핑 머신의 공정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부착물(S)이 전방부 보조판으로부터 작업판(100)으로 공급되면, 가이드부(110)에 의해 상기 작업판(100)의 특정된 진행경로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된다. 그 다음, 테이프 공급부(200)로부터 테이프(T)가 상기 피부착물(S)의 부착면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테이프(T)가 롤러부(300)에 의해 피부착물(S)의 부착면에 부착되며, 특정된 진행경로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 상기 롤러부(300)에서 이송되어진 테이핑된 피부착물(S)은 작업판(100)을 지나쳐 후방부 보조판으로 전달되게 된고, 상기 테이핑된 피부착물(S)이 상기 작업판(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도 5의 센서부(600)가 도시된 부분)까지 이송되어 센서부(600)에 의해 말단이 감지된다. 그 다음, 테이핑된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한 센서부(6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부(500)는 명령 정보를 커팅부(700)에 송신하여 상기 테이핑된 피부착물(S)이 커팅된다. 이에 따라, 일정한 길이(도 5에 도시된 센서부(600)로부터 커팅부(700)에 이르는 길이)의 테이핑된 피부착물(S)이 결과물이 제작된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오토테이핑 머신을 구성하는 컨트롤부(500), 센서부(600) 및 커팅부(700) 등의 연결 관계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터부(400), 센서부(600) 및 커팅부(700)는 상기 컨트롤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부(500)는 입력부에서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모터 속도 값을 컨트롤부(500)에 전달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컨트롤부(5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모터부(400)는 회전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모터부(400)는 롤러부(3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목적된 회전 속도가 발휘되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500)는 센서부(600)로부터 피부착물(S)의 말단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테이핑된 피부착물(S)이 커팅되도록 명령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오토테이핑 머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작업판 110 : 가이드부
200 : 테이프 공급부 210 : 테이프 홀딩부
220 : 가압부 230 : 암부
300 : 롤러부 310 : 가압롤러
320 : 이송롤러 330 : 테이프 유도부
400 : 모터부 500 : 컨트롤부
600 : 센서부 700 : 커팅부
T : 테이프 TR : 테이프롤
S : 피부착물

Claims (10)


  1. 피부착물(S)에 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부착 및 이송시키는 오토테이핑 머신에 있어서,
    피부착물(S)이 작업판(100)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작업판(100)의 일측에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테이프롤(TR)이 포함된 테이프 공급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판(100)으로 테이프(T)가 공급되며,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작업판(100)으로 가이드된 피부착물(S)과 부착 및 이송되도록 롤러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3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4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부(500)가 구비되어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테이프(T)가 자동으로 부착되는 오토테이핑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는,
    상기 테이프롤(TR)은 테이프 홀딩부(210)에 의해 지지되고, 가압부(220)는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에 축결합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 및 가압부(220)는 암부(230)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230)는,
    상기 테이프 홀딩부(210)의 위치를 조절하는 힌지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231)가 고정 지지되도록 고정대(232)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롤(TR)의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31)는,
    힌지축(231a)에 각도조절수단(231b)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핑 홀딩부(2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230)의 고정대(232)는 클램프(C)로 구성되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되,
    제1 테이프 공급부(200a)은 상기 작업판(100)에 직립되도록 구비되어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수평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되고, 제2 테이핑 공급부(200b)은 상기 작업판(100)과 평행되게 눕혀지도록 구비되어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수직 부착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300)는,
    상기 작업판(100) 상부에 구비되되, 피부착물(S)에 상기 테이프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테이프(T)를 가압 부착시키는 가압롤러(310)와, 테이프(T)가 부착된 피부착물(S)을 상기 모터부(4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310) 전방에 테이프 유도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T)가 피부착물(S)의 부착면 정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320)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부(321)가 형성되어 테이프(T)가 부착된 피부착물(S)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10. 제1항에 있어서,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하는 센서부(600)와, 상기 작업판(100)에 설치되어 테이프가 부착된 피부착물(S)을 절단하는 커팅부(70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작업판(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피부착물(S)의 말단을 감지한 센서부(6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한 다음, 작업판(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피부착물(S)의 말단으로부터 작업판(100) 이르는 길이에 해당되는 피부착물(S)로 절단되도록 커팅하는 명령 정보를 커팅부(7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테이핑 머신.
KR1020150129602A 2015-09-14 2015-09-14 오토테이핑 머신 KR10183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02A KR101837134B1 (ko) 2015-09-14 2015-09-14 오토테이핑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02A KR101837134B1 (ko) 2015-09-14 2015-09-14 오토테이핑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68A true KR20170031968A (ko) 2017-03-22
KR101837134B1 KR101837134B1 (ko) 2018-04-19

Family

ID=5849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602A KR101837134B1 (ko) 2015-09-14 2015-09-14 오토테이핑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128B1 (ko) * 2017-11-17 2019-04-04 (주)호원 접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056B1 (ko) * 2019-05-27 2020-12-16 주식회사 대원비앤에프 침구용 격벽체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240044557A (ko) 2022-09-28 2024-04-05 정지용 오토 테이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919A (ja) * 1999-03-31 2000-10-17 Fuji Photo Film Co Ltd テープ貼り器
JP2001002312A (ja) * 1999-06-23 2001-01-09 Toyota Auto Body Co Ltd テープ貼付装置
KR200274377Y1 (ko) * 2002-01-22 2002-05-06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커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128B1 (ko) * 2017-11-17 2019-04-04 (주)호원 접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134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85439B (zh) 一种纸板条上双面胶的自动粘贴装置
CN202242224U (zh) 一种载带连续式贴合机
KR101837134B1 (ko) 오토테이핑 머신
CN102173102A (zh) 一种安装纸箱提手的设备
CN104986405A (zh) 标签自动供料器
CN105922308A (zh) 一种等距离切割装置
KR102267908B1 (ko) 비드 와이어 래퍼 장치 및 래퍼 방법
KR101372774B1 (ko) 스펀지 테이프 자동 공급 및 부착 장치
CN110104496B (zh) 一种胶带粘贴装置
CN210504427U (zh) 软体家具自动下料机
CN205998739U (zh) 一种纸板条上双面胶的自动粘贴装置
TWM559851U (zh) 封邊機
CN108820424B (zh) 一种角条工件加工系统
CN110853912A (zh) 全自动穿套管缠脚绕线机
CN107946532B (zh) 一种锂电池制片设备
KR101597544B1 (ko) 접착테이프 자동접착장치
CN109733918B (zh) 一种双纠偏输送装置
CN218199291U (zh) 一种自动化可调节贴标设备
KR101276645B1 (ko) 타발기의 속도에 따라 정밀 제어가 가능한 자동급지기
KR101848482B1 (ko) 오토테이핑 암 모듈
EP2078689A2 (en) Dispenser head for adhesive material and method for depositing adhesive material using said head
CN212556960U (zh) 一种贴膜机构
CN110509605B (zh) 一种瓦楞纸箱缝边生产线
CN213409879U (zh) 一种放卷机构
CN210477945U (zh) 一种全自动粘箱机纠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