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514A - 브러쉬 충진 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쉬 충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514A
KR20170030514A KR1020177000342A KR20177000342A KR20170030514A KR 20170030514 A KR20170030514 A KR 20170030514A KR 1020177000342 A KR1020177000342 A KR 1020177000342A KR 20177000342 A KR20177000342 A KR 20177000342A KR 20170030514 A KR20170030514 A KR 20170030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bristle
take
clamping
bu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트 제라드 부쉐리
Original Assignee
지비 부쉐리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비 부쉐리 엔브이 filed Critical 지비 부쉐리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3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4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4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 A46D3/042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for fixing bristles using an anchor or stap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6Machines for both drilling bodies and inserting bristles
    • A46D3/067Machines for both drilling bodies and inserting bristles featuring simultaneous pivoting of bodies for drilling and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8Parts of brush-ma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브러쉬 몸체 또는 중간 리셉터클 내에 브리슬 다발들(20)을 채우고 고정하기 위한 브러쉬 충진 장치는 다발 세퍼레이터(10)가 그것의 바깥 둘레(16) 상에 브리슬 다발들(20)을 위한 테이크업 오목부들(18)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개별 브리슬 다발들(20)을 충진 수단(12)으로 이송하는 인계 수단(44)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브러쉬 충진 장치 {BRUSH FILLING DEVICE}
본 발명은 브러쉬 몸체 내에 브리슬 다발들(bristle tufts)을 충진하고 및 고정하기 위한 브러쉬 충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브러쉬 몸체 내에 브리스 다발들을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전통적인 방법은 분리된 브리슬 다발을 2개의 절반으로 폴딩으로 구성하고 브러쉬 몸체 내의 개구 내에 앵커 또는 루프(일반적으로는 와이어 루프)라고 불리는 금속 플레이트릿을 통하여 중앙에서 그것을 고정한다. 상기 앵커는 이후 개구의 벽 내로 프레스하고 컷팅하고, 루프는 전형적으로 개구의 바닥부로 들어간다.
브러쉬 충진 장치는 브리슬 매거진으로부터 브리슬들을 받는 다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많은 양의 브리슬들이 나란히 놓이고, 그들을 다발들로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는 다발 세퍼레이터가 그것의 바깥 둘레 상에 하나 이상의 테이크업 오목부를 갖는 것에 영향을 받고, 브리슬 매거진의 에지를 따라 스윕하여, 다발을 형성하기 위해 브리슬들이 테이크업 오목부 내로 프레스된다. 이러한 다발은 그러면 매거진의 영역 밖으로 빠져나오고, 여기서 충진 수단에 의해 인계된다. 충진 수단은 다발을 선형 경로를 따라 브러쉬 몸체로 직접 움직이게 하고, 그것을 미리 접고, 앵커 또는 루프와 함께 그것을 먼저 다발의 구부려진 끝단으로 푸쉬한다.
브러쉬를 제조하는 다른 선택은 앵커-없는 브러쉬 몸체 내의 다발의 고정이다. 브리슬 다발들은 또는 브러쉬 몸체 내에 직접 충진되고 중간 리셉터클 내에 충진되며 후속하여 브러쉬 몸체 내에 푸쉬되거나 브러쉬 몸체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들의 끝단에서 오버몰딩된다. 브리슬 다발들을 앞서 제조된 브러쉬 몸체에 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접착, 가열, 용접 및/또는 오버몰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금까지, 원형의 아치형 세그먼트들 또는 디스크들의 부분들은 바달 세퍼레이터들로서 사용되며, 이는 각각 그것의 바깥 둘레 상에 테이크업 오목부를 갖는다. 원형의 아치 세그먼트들은 일종의 회전축에 대하여 피봇가능한 스위블 레버이고, 그것의 바깥 둘레 상에서 원형의 아치형 세그먼트들의 형상을 갖는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며, 그것의 중앙은 회전축이다. 이 원형의 아치형 세그먼트들은 가역적으로, 즉 전후로, 즉 테이크업 오목부가 매거진의 영역에 있는 분리 위치와 바람직하게는 선형의 이동가능 충진 수단이 분리된 다발을 인계하는 인도 위치 간에 피봇된다. 원형의 아치형 세그먼트들의 형태의 이러한 다발 세퍼레이들은 일반적으로 스트로크당 단지 하나의 다발을 받아들인다.
사이클 레이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바깥 둘레에 복수의 테이크업 오목부들을 가지며 단지 일 방향으로 회전, 즉 반대로 작동을 수행하지 않는 원통형 또는 디스크형의 다발 세퍼레이터가 있다. 이러한 다발 세퍼레이터는 증가적으로 및 직접적으로 충진 수단에 인접하여 항상 이동하고, 교대로 분리되는 다발들을 인계한다.
사이클 레이트가 증가되고 충진 품질이 향상되는, 앵커 기술과 함께 충진 수단을 생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브러쉬 몸체 내에 브리슬 다발들을 충진하고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는 브러쉬 몸체 또는 중간 홀더 내에 브리스 다발들을 채우기 위한 브러쉬 충진 장치로서, 브리슬 매거진으로부터 브리슬 다발들을 배출하고 그것의 바깥 둘레 상에 브리슬 다발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테이크업 오목부를 갖는 다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슬 다발들은 다발 세퍼레이터의 원형 세그먼트 또는 원형 경로를 따르는 회전에 의해 이송되며, 충진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경로를 따라 브리스 다발들을 움직이고 그것을 브러쉬 몸체 또는 중간 홀더에 있는 개구 내로 푸쉬하고 이동가능 인계 수단은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브리슬 다발들을 배출하고 그것을 충진 수단 내로 이송하고, 상기 인계 수단 각각은 축방향으로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의 반대쪽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홀딩 유닛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홀딩 유닛들이 배출될 상기 브리슬 다발을 공동으로 홀딩하고 그것을 상기 충진 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가능한 충진 수단은, 종래에 관례적인, 그 자체로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을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배출하지 않고, 인계 수단이 매개된다. 이 인계 수단에 의해, 충진 수단이 실제로 다발을 단단히 인계할 때까지 브리슬 다발들을 잡고 그것을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퍼레이터로부터 충진 장치로 브리슬 다발들을 인도할 때, 앞선 충진 장치는 충진 수단에 의해 인계되는 동안 브리슬들이 가끔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취종 브러쉬에 있어서, 정확히 정렬된 브리슬들로부터 돌출되었다. 이는 재적업으나 스크랩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따라서 브리스 다발들이 세퍼레이터로부터 빠져나오고 충진 수단에 의해 인계될 때 증가한다. 인계 수단이 브리슬 다발들을 단단히 홀딩하거나 클램핑하고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그들을 배출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사이클 레이트는 증가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작동하는 홀딩 유닛들은 브리슬 다발들을 그들의 2개의 절반에서 잡고 홀딩하며, 그것을 단단히 이동하고 정확히 위치시킨다.
상기 인계 수단은 테이크업 및 전달 위치 사이에서 원형 세그먼트 경로 또는 선형 경로를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인계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특히 왕복가능한 다발 픽-업부 및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 수단 방향으로 상기 대응부를 따라 상기 다발 픽-업부로부터 이송되며, 특히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배출된 브리슬 다발이 상기 다발 픽-업부와 상기 대응부 사이에서 홀딩, 특히 클램핑되며, 상기 다발 픽-업부는 상기 홀딩 유닛의 일부분이고, 상기 다발 픽-업부는 이송될 분리된 브리슬 다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의 열린 테이크업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다발 픽-업은 원형 경로 상에서 앞뒤로 피봇가능하고 상기 대응부는 상기 브리슬 다발이 움직이는 동안 상기 테이크업 개구 밖으로 상기 브리슬 다발의 슬립을 차단하는, 상기 원형 경로에 상보적인 오목한 아치형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각각의 홀딩 유닛은 부품, 특히 테이크업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대응부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롯을 가지며, 원형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은 테이크업 위치에서 상기 슬롯 내에 상기 브리슬 다발을 횡방향으로 테이크업하기 위해, 상기 대응부 쪽으로 횡방향으로 조정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계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다발 픽업을 포함하고 각각의 홀딩 유닛에 대하여 추가로 원형 경로를 따라 각각 이동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 부분은 상기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다발 픽업 뒤에 위치하고 상기 다발 픽업로부터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을 인계하고 그들을 충진 수단으로 가져갈 수 있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이동가능 부분(150)은 횡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다발 픽업으로부터 브리슬 다발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상기 브리슬 다발을 상기 충진 수단으로 클램핑적으로 이송하는 클램핑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은 배출된 브리슬 다발을 클램프하는 이동가능 클램핑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다발 픽업은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다. 이 플레이트는 상보적인 대응부를 따라 이동하는 원형 아크 부분을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은 브리슬 다발을 또한 테이크업 오목부 내에 클램프하고 그것을 충진 수단으로 클램핑적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집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집게부는 스위블 아암 상에 장착되거나 스위블 아암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집게부는 2개의 축방향으로 크랭크되는 핑거들을 갖고, 그 사이에 브리슬 다발이 클램프될 수 있다.
상기 테이크업 위치에서 상기 인계 수단은 상기 브리슬 다발이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에 의해 직접 이송되는 슬롯을 가지며, 특히 상기 인계 수단은 상기 슬롯 내로 브리슬 다발의 이동 방향에 횡방향으로 상기 슬롯 내에 상기 다발을 클램프할 수 있다.
하나의 핑거는 상기 슬롯을 포함하고, 이와 횡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핑거는 상기 브리슬 다발을 클램프하기 위해, 상기 슬롯이 구비되는 상기 핑거의 리세스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브리슬 다발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센터링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터링 유닛은 상기 인계 수단 상의 또는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 내에 상기 브리슬 다발의 이동 경로를 따르는 축방향 작동 서포트 표면이거나 축방향 작동 서포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링 유닛은 적어도 브리슬 다발들을 홀딩하는 인계 수단의 부분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의 길이에 따라 홀딩된 브리슬 다발을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해, 축방향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방향 구동부는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각각의 브리슬 터프르의 인계 이전 또는 인계 이후에 적어도 브리슬 다발들을 홀딩하는 인계 수단의 부분을 브리슬 다발이 충진 수단에 의해 인계되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위치 내로 이동시키도록 가동될 수 있다.
상기 충진 수단은 선형 가이드웨이를 포함하여 상기 브리슬 다발들이 이를 따라 충진되고 이동가능 텅(tongue)을 포함하여 앵커 또는 루프와 함께 브리슬 다발을 폴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 내로 충진되도록 브리슬 다발을 푸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 또는 몇몇 클램핑 유닛들이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축방향으로 옵셋되도록 배출되는 브리슬 다발을 잡도록하는 것을 제공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발 세퍼레이터는 단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여기서 예를 들어 디스크와 같이 설계되어, 테이크업 오목부들은 원형 경로를 순환한다. 대안적으로, 다발 세퍼레이터는 그것의 바깥 둘레에 원형의 아치형 세크먼트를 가지며 앞뒤로 피봇한다. 이러한 연결에서, 단지 일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디스크 또는 실린더와 함께 다발 세퍼레이터는 사이클 레이트에 대하여 유리하고, 일 방향에서 복귀 스트로크가 생략되는 것에 기인하며, 이는 원형의 아치형 세그먼트 형태로 다발 세퍼레이터 내에 발생한다. 이는 또한 다발 상에서 정확하게 잡고 통과하도록 추가의 시간을 제공한다.
추가의 장점에서, 본 발명에는 센터링 유닛이 구비되는데, 이는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배출된 다발을 축방향으로 정렬한다. 개별 브리슬들이 다발의 나머지로부터 돌출하는 것은 피해져야만 한다. 또한 서로 다른 길이의 브리슬들을 갖는 프러쉬들이 존재한다. 이 브러쉬들은 상이한 길이들의 브리슬들을 함유하는 몇몇 브리슬 매거진들이 제공됨으로써 만들어진다. 다발 세퍼레이터는 그러면 그것의 길이에 기인하여 다음 충진되는 브리슬 매거진으로부터 다발을 배출한다. 도 9는 서로 다른 길이의 브리슬들을 가지고 나란히 배치되는 브리슬 매거진들(26, 26', 26")과 함께 대응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조부호 100, 102 및 104는 브리슬 매거진들(26, 26', 26")의 축방향으로 다르게 정렬된 바닥부를 지시한다.
대시-도트 라인과 함께 표시된 중앙면(106)은 다발 세퍼레이터의, 즉 원형 아치 세그먼트 또는 디스크의 축방향 중앙면이고, 동시에 충진 평면이다. 가징긴 브리슬들과 함께 오른손 브리슬 매거진(26")으로부터 브리슬 다발들이 사용될 때, 그들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서포트 표면(108) 상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됨에도 불구하고, 브리슬들은 부분적으로 다발 빡으로 슬립하는 한편 그들은 인계 수단(44)에 의해 이동한다. 한가지 문제점은 그러나 다른 매거진들(26, 26")로부터 다발들이 배출되는 동안 존재한다. 이 경우, 서포트 표면이 너무 낮고 배출된 다발들은 서포트 표면 상에 "호버(hover)"하여, 이러한 브리슬 다발들에 대하여 개별 브리슬들이 다발 밖으로 슬립하는 리스크가 계속 남아 있다.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서포트 표면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서포트 표면은 처리되는 브리슬들의 길이를 갖는 수직 위치에 매치되고 충진 수단과 함께 그들의 종방향으로 다발들을 얼라인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가능한 서포트 표면은 더욱이 다발의 모들 브리슬을 균일하게 쉬프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서포트 표면은 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다발을 여러 회 두드릴 수 있다.
더욱이, 배출되는 브리슬 다발들은 그것들 축방향 중앙이 정확히 충진 평면에 위치하도록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 아니다. 종종 충진동안 중앙적으로 브리슬 다발들이 접히지 않는 것이 요구되지만, 상이한 길이들의 2개의 브리슬 다발들의 절반을 생산학 위해, 편심적이다. 센터링 유닛의 축방향 구동부는 다발 세퍼레이터로부터 각각의 브리슬 다발의 인계 이전에 또는 인계 ㅇ이후가 되도록 가동될 수 있고 그것은 충진 도구로부터 브리슬 다발들이 인계되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위치 내로, 브리슬 다발들을 캄램프하는 인계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킨다. 서포트 표면이 제공되는 경우, 축방향 정렬은 또한 예를 들어 충진 수단으로의 인도 이전에 단지 직접, 가능한 느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추가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전체 인계 수단은, 예를 들어 그것으 구동부를 따라, 센터링 유닛의 축방향 구동부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계 수단이 복수의 지점에서 예를 들어 2쌍의 집게부들과 함께 브리슬 다발들을 잡을 때, 모든 쌍의 집게부들은 함께 동일한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한 쌍의 집게부, 브리슬 매거진의 바닥부가 동일 평면에 놓여있을 때 예를 들어 상부 쌍의 집게부만 단지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쌍의 집게부는 이 경우 개방되어 있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충진 수단은 다발들이 이동하고 충진될 수 있는 선형 가이드웨이를 포함하여 상기 브리슬 다발들이 이를 따라 충진되고 이동가능 텅(tongue)을 포함하여 앵커 또는 루프와 함께 브리슬 다발을 폴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 내로 충진되도록 브리슬 다발을 푸쉬할 수 있다. 충진될 다발은 접히는 조건에 서 텅에 의해 이동한다. 인도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텅이 브리슬 다발을 클램프하고 단지 후속적으로 인계 수단이 개방되고 다발을 릴리스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인도동안 개별 브리슬들이 다발 밖으로 부분적으로 슬립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발 세퍼레이터 내의 브리슬 다발은 우선 클램프되고 이후 배출되며, 클램핑은 또는 다발이 축방향으로 가이될 때 배출 동안 또는 이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개별 문장들 및 단락들에 설명되고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를 구체화하고 향상시키는 추가로 구체화하는 위의 변형예의 모든 특징들은청구항 1과 조합될 수 있고, 즉 개별적으로 또는 추상적으로 다른 변형예 세트와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청구항 1과의 조합은 청구항 1과 그것의 고유한 특징들을 배타적으로 조합하기 위하여, 하나의 개별 문장 또는 단락 각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설명 및 참조가 만들어지는 후술하는 도면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 도 1은 브리슬 다발의 클램핑 직전의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브리슬 다발의 클램핑 동안의, 도 1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 도 3은 분리된 브리슬 다발이 충진 수단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도 1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 4는 도 3에 따른 위치에 있는 브러쉬 충진 장치를 나타내지만, 부분적으로 절개된 한 쌍의 집게부가 있다,
- 도 5는 도 1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를, 브리슬 다발을 충진 수단으로 인도하는 동안의 충진 수단의 영역 내의 부분적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 도 6은 브러쉬 몸체의 방향으로 이미 이동된 충진 수단이 있는 도 1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 도 7은 브러쉬 몸체의 개구 또는 중간 리셉터클 내로 충진 직전의 도 1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 9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브리슬들에 대한 다양한 브리슬 매거진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 10은 인계 수단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축방향 센터링 유닛과 결합되어 있다,
- 도 11은 축방향 센터링 유닛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 12는 다른 홀딩 유닛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사시적 평면도이다,
- 도 13은 도 12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다른 도면으로서, 다른 부분들이 더 잘 보이도록 예를 들어 대응부들과 같은 몇몇 부분들이 생략되었다,
- 도 14는 도 12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다발 픽업들 및 대응하는 대응부들을 통한 단면도이다,
- 도 15는 도 12에 따른 다발 픽업들 및 대응부들의 영역에서의 브러쉬 충진 장치를 통한 다른 단면도이다,
- 도 16은 인계 수단의 다른 변형예가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사시적 평면도이다,
- 도 17은 충진 수단의 방향으로 좀더 이송된 브리스 다발이 있는 도 16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발 세퍼레이터(10) 및 바로 인접한 충진 수단(12)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다발 세퍼레이터(10)는 전후로 피봇가능한 낫(sickle) 형상의 요소(14)로서, 그것의 바깥 둘레(16)는 다발 세퍼레이터(10)의 피봇축 상의 그것의 중심과 함께 원형 아크 세그먼트의 형상을 갖는다. 바깥 둘레(16) 상에서, 테이크업 오목부(18)가 요소(14) 내에 형성되고, 이는 단일 브리슬 다발(20)을 받아들이도록 치수화된다. 가이드웨이(22)는 상기 요소(14)에 인접하고 바깥 둘레(16)에 맞게 조정된 오목한 표면(24)을 가지며, 이를 따라 요소(14)는 이동 동안에 충진 수단(12)을 향하여 이동하고 브리슬 다발들이 테이크업 오목부(18)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브리슬 매거진(26)은 마찬가지로 바깥 둘레(16)에 인접하고 서로 나란히 정렬된 브리슬들을 갖는다. 상기 매거진은 바깥 둘레(16)에 대하여 브리슬들을 재촉하도록, 프리텐션되어 있다.
상기 충진 수단(12)은 선형 가이드웨이(28)를 가지며, 이를 따라 브리슬 다발들이, 브리슬 다발들이 충진될 수 있는 미리 제조된 개구들을 갖는 브러쉬 몸체(30) 또는 중간 리셉터클(31)로 이송된다.
상기 브러쉬 몸체 각각은 완전한, 예를 들어 핸들, 넥 및 헤드와 같은 브러쉬의 브리슬이 없는 부분이 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개구가 있는 플레이트릿과 같은 브러쉬의 단지 일부분이 될 수 있고, 그러면 이는 오버몰드되거나 미리 제조된 캐리어 내에 삽입되거나, 거기에 접착되거나 용접된다. 개구들이 있는 브러쉬 몸체들의 이러한 변형예들 모두 상술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다.
중간 리셉터클(31)은 일반적으로 추후 브러쉬의 다발 패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들이 있는 금속 캐리어이다.
상기 선형 가이드웨이(28) 옆에서 상기 충진 수단(12)은 또한 그 안에 구성되는 채널(34)이 있는 팁(32)을 가지며, 이는 채널(34) 내로 들어갈 수 있는 예를 들어 길고 평평한 바 형상을 갖는 텅(tongue)(36)이라고도 불린다.
이 브러쉬 충진 장치의 작동 모드는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될 것인데, 이는 기본적인 원칙이 이 종래 기술을 넘는 개선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도 적용되기 때문이다.
요소(14)와 함께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오른쪽으로 피봇되자마자, 이 시점에서 비어 있는 상기 테이크업 오목부(18)는 매거진(26)의 영역으로 들어가, 결과적인 갭에 기인하여 개별 브리슬들이 테이크업 오목부(18) 내로 가득찰 때까지 프레스되도록 한다. 따라서 분리된 브리슬 다발(20)은 그것이 가이드웨이(22)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었을 때, 이후 충진 수단(12)으로, 여기서는 인도점(38)까지 전달된다. 이 위치에서, 다발 세퍼레이터(10)은 현재 정지해 있다. 후속으로 텅(36)이 좌측으로 움직인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앞서 와이어 커터로 생성된 앵커(40) 또는 와이어 루프가 얻어진다. 이에 앞서 가이드되는 앵커(40) 또는 와이어 루프가 있는 텅(36)은 인도점(38)에서 존재하는 브리슬 다발(20)에 대하여 인가하고 그것을 동시에 2개의 동일한 절반으로 접고 채널(34) 내로 프레스한다.
팁(32)은 그러면 브러쉬 몸체(30)로 왼쪽으로 이동하고, 텅(36)은 적어도 동일한 속도를 가지고 이 움직임을 따른다. 팁(32)은 또한 브러쉬 몸체(30) 앞에서 바로 정지하거나 그것을 터치한다. 이후, 텅(36)은 프러쉬 몸체(30) 내의 개구 내로 앵커(40) 또는 와이어 루프와 함께 앞선 접힌 끝단 브리슬 다발을 프레스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아래에 설명되는 브러쉬 충진 장치가 이제 설명될 것이고, 도 8에 따른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브러쉬 충진 장치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등가인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부호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이 종래 기술에 대한 차이점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브리슬 매거진(26)은 보이지 않지만, 이는 도 8에 대응하여 설계되고, 다발 세퍼레이터(10)과 바로 인접해 있고, 여기에서는 그 위에 그것의 원형-원통형 바깥 둘레(16)가 많은 테이크업 오목부들(18)을 갖는 디스크(114)로서 설계된다. 테이크업 오목부들(18)에서 브리슬들은 브리슬 다발들(20)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되고 가이드웨이(22)를 따라, 즉 원형 아치 경로를 따라, 하류의 인계 수단(44)에 대한 소위 테이크업 위치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1에서 인계 수단(44)은 또한 테이크업 위치에 있으며, 공급되는 브리슬 다발(20)을 받아들인다.
인계 수단(44)는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브리슬 다발들(20)을 받아들이도록, 그것을 다발 세퍼레이터(10)에 클램프하도록 작용하고 이후 그것을 충진 수단(12)으로 이송한다.
인계 수단(44)은 피봇 축(46)에 대하여 앞뒤로, 즉 테이크업 위치(도 1 참조)로부터 전달 위치(도 5 참조)로 앞뒤로 피봇가능하다. 테이크업 위치에서, 브리슬 다발(20)은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받아들여져서, 전달 위치에서 이 받아들여진 브리슬 다발은 충진 수단(12)으로 이송된다.
인계 수단(44)은 적어도 하나의, 본 경우 2개의 축방향으로 겹치는 홀딩 유닛들을 포함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클램핑 유닛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피봇 축(46)에 대하여 피봇가능한 한 쌍의 집게부(48) 형태(특히 도 3 참조). 2개의 홀딩 유닛들은 동일한 분리된 브리슬 다발(20)을 2개의 절반들 상에 홀딩하고 따라서 완전한 보유 및 가이드를 보장한다.
집게부(48)의 각각의 쌍은 말하자면 서포트 아암으로서 설계되는 아암(50)을 가지고 축(46)과 바로 결합된다. 추가로, 클램핑 아암(52)은 집게부(48)의 각각의 쌍에 대하여 제공되고, 클램핑 아암은 트러니언(54)을 통하여 서포트 아암(50)과 피봇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램핑 아암(52)은 서포트 아암(50)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아암들(50, 52) 간에 브리슬 다발들(20)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서보 모터와 같은 분리된 스위블 구동부를 통하여 트러니언(54)에 대하여 피봇된다. 서로에 대한 일정한 상대적인 위치에서 아암들(50, 52)은 그러면 인도점까지 축(46)에 대하여 전달 위치로 결합적으로 피봇된다. 대안적으로, 축(46) 상에 아암(50)으로부터 분리된 회전가능한 캠 디스크(53)가 아암(52) 상에 실장된 센싱 롤러(55)를 통하여 아암(52)의 분할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크업 및 전달 위치 간에 공통 축(46)에 대하여 그것을 동시에 피봇하는, 양 쌍의 집게부들(48)에 대한 공통 구동부가 있다. 게다가, 개구 및 클램핑 위치 간에 그것을 피봇하기 위하여, 2개의 클램핑 아암(52)에 대한 공통 구동부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쌍의 집게부들(48)에 대하여, 축(46)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아암들(50, 52)이 각각 디스크(114)로 향하는, 그들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크랭크된 핑거들을 갖는 것을 적용한다.
홀딩 유닛들, 여기서 한 쌍의 집게부(48)는 다발 세퍼레이터(10)의, 보다 정확하게는 디스크(114)의 마주보는 측면들(상측 및 하측) 상에 놓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서포트 아암(50)은 축(46)에 대하여 스위블 아암을 형상한다. 대안적으로, 한 쌍의 집게부(48)는 물론 분리된 스위블 아암 상에 장착될 수 있어, 서포트 아암(50)이 동시에 스위블 아암이 될 필요는 없다.
각 쌍의 집게부(48)의 2개의 핑거들은 도 3 및 도 4에서 가장 잘 보이고, 도 4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한 쌍의 집게부(48) 중 하나의 핑거를 나타낸다.
서포트 아암(50)과 연결되는 핑거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즉 종방향 브리슬 축을 따라 축(54)의 방향으로, 슬롯(62)을 포함하는 테이크업 핑거(60)로서 형성되며, 브리슬 다발의 삽입 방향(R)로 축 방향에 횡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져 있다. 축방향(A)(도 3 참조)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약 90°의 각도에서 핑거(60)는 횡방향 리세스(64)를 갖고 그 내부로 클램핑 핑거(68)의 횡방향으로 각진 끝단(66)이 진입할 수 있다(도 3 참조). 클램핑 핑거(68)는 클램핑 아암(52)과 결합된다.
테이크업 위치에서, 테이크업 핑거들(60)은 디스크(14)의 에지 약간 위 및 아래에 위치한다. 각각의 테이크업 핑거(60)의 슬롯(62)은 테이크업 오목부(18)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따라서 삽입 방향(R)으로 도달하는 브리슬 다발(20)로 오리엔트되어, 도달하는 브리슬 다발(20)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거 없이 그것의 마주보는 끝단 위치에서 테이크업 슬롯들(62) 내로 바로 움직인다. 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클램핑 아암(52)이 멀리 피봇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랭크된 끝단(66)이 클램핑 위치로부터 떨어지고 유입되는 다발(20)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엇,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핑 아암(52)이 피봇되어, 각각의 크랭크된 핑거(66)가 리세스(64)로 진입하고 핑거(6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브리슬 다발(20)을 인가하고 클램프한다. 이러한 클램핑은 이후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핑거(60)의 슬롯(62) 내에서 다발의 삽입 방향(R)에 직각으로 영향을 받는다.
브리슬 다발(20)은 그러므로 마주보는 끝단 영역들에서 클램프되고 이러한 조건에서 테이크업 오목부(18)의 바깥쪽으로 이미 이동한다(도 3 참조).
다발(20)에 대하여 인가하는 크랭크된 끝단(66)의 부분은 원하는 다발 단면을 얻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오목하게 라운드형이 될 수 있다. 삽입 방향으로 스탑을 제공하는 슬롯(62)의 끝단 또한, 예를 들어 원형의 다발 단면을 위하여 유사하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라운드형이 수 있다.
양쪽 끝단에서 클램프되면, 브리슬 다발(20)은 도 5에 도시된 전달 방향으로 피봇된다. 대안적으로, 인계 수단은 또는 선형 경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따라 분리된 브리슬 다발(20)이 충진 수단으로 이동한다.
도달하는 브리슬 다발(20) 상에서 도구 팁(32)은, 도달하는 브리슬 다발(20)에 대한 경로를 만들어주기 위해, 간단하게 좌측으로 움직인다. 이엇, 도구 팁(32)은 다시 뒤로 움직이고, 전달 위치, 즉 인도점에 존재하는 브리슬 다발(20)에 근접한다.
좋은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앵커(40) 또는 와이어(만약 존재한다면)가 있는 텅(36)은 브리슬 다발(20)에 대하여 움직이고, 다발은 끝단에서 V자 형상의 입구 부분을 갖는 다발에 인접한 채널(34) 내로 접힌다.
도 6은 채널(34)의 이 입구 부분에 있는 접힌 다발(20)을 나타낸다.
텅(36)이 앵커와 함께 브리슬 다발(20)과 접촉하자마자 그것에 앞서 푸쉬되고, 클램핑 아암(52)은 다시 개구 위치 내로 이동하여, 클램핑이 해제된다. 브리슬 다발(20)이 앞선 텅(36)에 의해 슬롯(62)으로부터 철수되었을 대, 다발은 따라서 더 이상 인계 수단(44) 내에 클램핑되지 않는다.
브리슬 다발(20)과 함께 그리고 텅(36)과 함께 도구 팁(32)이 브러쉬 몸체(3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인계 수단(44)은 도 6을 참조하면, 다발 세퍼레이터(10)으로 다시 스위블된다.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브리슬 다발(20)을 브러쉬 몸체 내의 또는 중간 리셉터클(31) 내의 개구 내로 푸쉬하기 위해, 도구 팁(32)은 브러쉬 몸체에 도달하고, 텅(36)은 더 앞선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도구 팁(32)에 대한 선형 가이드웨이(70) 및 텅(36)에 대한 선형 가이드웨이(72)가 명확히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된 브러쉬 충진 장치는 대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 세퍼레이터와 협력할 수 있다.
추가로,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지만, 원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충진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브러쉬가 앵커없이 및 와이어 루프없이 만들어질 때, 접히지 않은 브리슬 다발의 한쪽 끝단은 일반적으로 개구들을 갖는 브러쉬 몸체 또는 중간 리셉터클(31) 내로 푸쉬된다. 중간 리셉터클(31) 내의 홀 패턴은 브러쉬 몸체의 그것과 대응하여, 모든 브리슬 다발들은 중간 리셉터클(31)로부터 인접한 브러쉬 몸체 내로 푸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간 리셉터클(31)은 주입 몰딩 다이의 절반의 몰드로서 작용하여, 중간 리셉터클로부터 돌출하는 브리슬 다발들이 브러쉬 몸체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오버몰딩되고 브러쉬 몸체와 연결된다.
브리슬 다발들(20)이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어떠한 브리슬도 다발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센터링 유닛(80)이 구비된다. 이 센터링 유닛(80)은 텅(36)이 그것의 축방향 길이의 중간에서 브리슬 다발(20)과 실제 맞물리도록, 브리슬 다발(20)의 브리슬들 그러므로 전체 브리슬 다발을 말하자면 축방향으로 정렬한다.
센터링 유닛(80)은 예를 들어 바닥부에서 및/또는 정상부에서 축방향으로 브리슬 다발 상에 인가하는 능동 횡행 유닛이 될 수 있거나, 수동 유닛이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쌍의 집게부(48)의 테이크업 핑거(60)의 슬롯(62)은
바닥부에서 슬롯(62)을 폐쇄하는 끝단 벽을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형태로 끝단면 하부 끝단을 갖는다(도 7의 참조부호 80 참조). 이 끝단 벽은 슬롯(62)의 전면 인입 끝단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는 램프(ramp) 표면으로 설계된다. 슬롯(62) 내로 이동하는 브리슬 다발(20)은 그것의 브리슬들과 함께 이 램프 표면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롯의 끝단에 도달하는 지점으로부터 모든 브리슬들이 동일한 높이에 놓인다. 가능하게는, 일부 압력이 위로부터 또한 인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대 표면(100)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에서, 가이드웨이(22)의 아래에 구비되고, 이를 따라 다발들은 그들의 하부 끝단을 가지고 슬라이딩하며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지지대 표면(100)은 또한 가이드웨이(22) 상부에 존재할 수 있는데, 그러면 다발들은 모든 브리슬들이 동일하게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정상부에서 및 바닥부에서 가이드될 것이다.
더욱이, 서로에 대하여 다발 내의 브리슬들을 보다 쉽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표면이 다발을 두드리도록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표면(100)을 만들어주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다발들의 축방향의 종방향 위치는 또한 조정가능한 지지대 표면(100)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 10은 위에 도시된 브러쉬 충진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센터링 유닛(80)이 구비되어 있다. 센터링 유닛(80)의 목적은 브리슬 다발들이 그들의 길이와 무관하계 평면(106)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인계 수단(44)의 적어도 일부분, 즉 브리슬 다발(20)을 클램프하는 부분을 축방향으로 쉬프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개의 브리슬 매거진들(26, 26', 26")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들의 바닥부들(도 9에 대응하여)은 동일한 축방향 높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는 명확히 거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매거진(26, 26', 26")은 상이한 길이의 브리슬 다발들을 함유한다. 가장 긴 브리슬들은 매거진(26")에 함유되고 가장 짧은 브리슬들은 매거진(26)에 함유된다. 하나 이상의 구동부(110)는 대응하는 축방향으로 인계 수단(44) 또는 그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작용하여, 각각의 분리된 브리슬 다발(20)들은 예를 들어 그것의 축방향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잡혀진다.
하나 이상의 축방향 구동부(110)는 하나 이상의 클램핑 핑거들(68) 또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 아암들(50) 및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클램핑 아암들(52)을 따라 또는 따르지 않고도 테이크업 핑거들(60)(바람직하게는 상부 테이크업 핑거)의 적어도 하나를 축방향으로 쉬프트할 수 있다.
2개의 마주보는 핑거들 또는 아암들이 쉬프트되어야 할 때, 이러한 쉬프트는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이 경우 하나의 구동부(110)로도 충분하다.
배출된 브리슬 다발들의 축방향 변위 및 정렬은 충진 수단으로 인도까지 인계 및 보유, 가능하게는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브리슬 다발들의 클램핑로부터 전체 시간동안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브리슬 다발들이 홀딩되고 그들의 2개의 절반에서 잡혀지는 경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홀딩 및 클램핑 지점들은 축방향 중심에서 동일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의 충진 수단으로 인도 상의 마지막에서 배출되고 이송된 브리슬 다발이 영향을 받을 때면 충분하다.
단순화를 이유로, 도 10은 앞선 도면들에서 유사하게 선택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충진 수단(12)의 존재없이 브러쉬 충진 장치를 도시하며, 제한으로 이해되어야만 하는 것 없이, 다발 세퍼레이터(10) 및 인계 수단(44)의 세부 사항을 또한 추가로 적용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축방향 센터링 유닛(80)의 보다 상세한 변형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기 서보 모터와 같은 전기 구동부(110)는 편심기구(eccentric)(112)를 통하여 로드(115)를 축방향으로 구동하고, 이 로드는 홀더(11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홀더(116) 상에서 예를 들어 스텝 모터들 또는 서보 모터들과 같은 모터들(118, 121)이 장착된다.
편심기구(122) 및 그와 결합된 로드(124)를 통하여 모터(121)는 서로 결합된 2개의 서포트 아암들(50)을 피봇시킨다. 결과적으로 모터(118)는 유사하게 서로 결합된 2개의 결합된 스위블 아암들(52)를 피봇시킨다.
단순화를 위해, 핑거들(60) 및 클램핑 핑거들(68)은 도시되지 않았다. 그렇지 않다면, 도 1 내지 도 7의 동일한, 기능적으로 등가의 또는 동일하게 구축된 부품 및 부분들에 참조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도 11에 따르면, 축방향 구동부(110)은 모터들(118, 121)을 따라 전체 인계 수단(44)을 수직 방향, 즉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2개-부분의 인계 수단(44)이 구비될 때, 예를 들어(이는 제한되는 사항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집게부(48) 쌍들이 사용되고, 가능하게는 단지 하나, 예를 들어 상부 집게부 쌍(48)이 축방향으로 쉬프트되고, 하부 집게부 쌍(48)은 항상 각각의 바닥부(100, 102, 104) 위의 축방향 높이에서 분리된 브리슬 다발(20)과 항상 맞물려 있으며, 어떤 매거진들(26, 26' ,26")으로부터 브리슬 다발(20)이 배출되었지에 관계없다.
위에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한 쌍의 집게부(48) 또는 전체 인계 수단(44)이 센터링 유닛(80)에 의해 축방향으로 쉬프트될 필요는 없다. 선택적으로 단지 하나 또는 몇몇의 핑거들(60, 80)을 축방향으로 쉬프트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도 12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브러쉬 충진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변형예의 부분들과 단지 상이한 부분들에 대하여만 참조번호가 부여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변형예와 도 12 내지 도 15에 따른 변형예 간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2개의 홀딩 유닛들이 한 쌍의 집게부로서 각각 설계되지 않았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다발 세퍼레이터(10)은 유사하게 그것의 바깥 둘레 상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테이크업 오목부들을 갖는 일종의 디스크(114)을 포함하고, 이는 브리슬 다발들(20)을 받아들인다. 상보적으로 설계된 디스크의 바깥 둘레에 거의 기대는 경계 요소(120)는 테이크업 오목부들에 대한 카운터 베어링으로 작용하여, 브리슬 다발들(20)은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원형 경로를 따라 충진 수단(12)의 방향으로 안전하게 이송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인계 수단(44)이 상이한 디자인을 갖는다. 또한, 그렇지만, 각각의 분리된 브리슬 다발(20)은 인계 수단(44)에 의해 횡방향으로 홀딩되고, 선택적으로 클램프되고, 충진 수단(12)으로 전달된다.
인계 수단(44)은 여기에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홀딩 유닛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홀딩 유닛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위 다발 픽업(122)을 포함하고, 축에 대하여 앞뒤로 피봇 가능하다. 도 12에서 대응하는 2중 화살표는 다발 픽업(122)의 이동을 심볼화한 것이다.
다발 픽업(122)는 그것의 반지름 방향 바깥쪽 에지(124) 상에 원형 아치의 형상을 갖는다. 이 반지름 방향 바깥쪽 에지(124)에서 테이크업 개구(126)가 형성되고, 이는 바깥쪽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개방되고 브리슬 다발(20)을 받아들일 수 있다.
다발 픽업(122)은 바람직하게는 바깥쪽 에지(124)에 상보적인 지지대 에지(130)가 있는 유사한 플레이트 형상의 대응부(128)를 가지며 이동되어질 브리슬 다발(20)에 대하여 바깥쪽 에치로부터 단지 최소한 이격되어 있다. 다발 픽업(122)의 인접한 에지에 상보적인 대응부(128)의 이 오목한 아치형의 에지는 다발 픽업(122)와 바로 인접하며 다발(20)이 하나 이상의 테이크업 개구(126)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크업 개구(126)을 폐쇄한다.
경계 요소(120)는 디스크(114)에 상보적인 에지(131)을 가지고, 그것으로부터 최소한 이격되고 디스크(114)의 바깥 둘레와 마주볼 뿐만 아니라 바깥쪽 에지(124)와 바로 인접하는 에지(132)를 갖는다. 2개의 에지들(131 및 132)은 다발 디플렉터(134)의 영역 내에서 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서로로 이행된다. 다발 픽업(122) 및 디스크(114)의 원주방향 바깥쪽 에지들은 평면도에서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바로 인접해 있다.
다발 디플렉터(134)의 영역 내에서, 교대로 공급되는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20)은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다발 픽업(122)으로 직접 인도된다. 이는 다음 브리슬 다발(20)이 공급될 때 테이크업 개구(126)가 다발 디플렉터(134)의 영역 내에 바로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계된 브리슬 다발(20)은 이후 테이크업 개구(126)와 지지대 에지(130) 사이에 반지름 방향으로 받아들여지고 홀딩되고(또는 심지어는 클램프되고) 그리고 지지대 에지(130)를 따라 충진 수단(12) 상으로 이동한다. 브리슬 다발(20)의 어떠한 클램핑이 없다고 하더라도, 다발(20)은 횡방향으로 홀딩된다. 이 경우, 서포트 표면(108)이 선택적으로 미끌어져 나가는 것에 대항하여 다발(20)을 보호할 수 있다. 서포트 표면(108)은 또한 위에 설명된 센터링 유닛(80)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대응부(128)는 정지 상태로 설계되고 현상을 유지한다.
도 13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발 픽업(122) 및 대응부(128)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홀딩 유닛은 다발 세퍼레이터(10)에 대하여, 특히 디스크(11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옵셋된 위치에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상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지만, 제2의 예를 들어 대응하는 다발 픽업(122) 및 대응부(138)와 함께 동일하게 형성된 홀딩 유닛이 있으며, 이는 다발 세퍼레이터(10)의 다른 축방향 측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측면도에서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홀딩 유닛은 다발 세퍼레이터(10) 위에 놓이고 하나의 홀딩 유닛은 다발 세퍼레이터의 아래에 놓인다. 브리슬 다발들(20)은 그들의 2개의 절반들에서 잡혀지고 2개의 홀딩 유닛들에 의해 이송된다.
선택적으로, 사상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지만, 각각의 홀딩 유닛은, 클램핑 유닛으로서 설계될 때, 또한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계된 클램핑 핑거(6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발 픽업(122) 내에,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다발 픽업(122) 내에, 횡방향 테이크업 개구(14)이 구비되고(도 14 참조), 즉 바깥쪽 에지(124)를 향하여 개방되며, 여기서 클램핑 핑거(68')는 축(142)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상기 축(l42)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모터로 구동되는 스위블 아암(144)는 각각의 클램핑 핑거(68')의 2개의 레버 아암들 중 하나 내에 맞물리고 동시에 그들의 축들(142)에 대하여 양측 클램핑 핑거들(68')을 피봇시킨다. 각각의 클램핑 핑거(68')의 각각의 마주보는 레버 아암은 이에 의해 축방향으로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크업 개구의 단면을 저감하기 위하여 그리고, 보다 단단히 클램프되도록, 이에 의해 브리슬 다발(20)에 반지름 방향의 힘을 인가하기 위해, 테이크업 개구(126) 내로 돌출할 수 있다.
인도 위치에서, 클램핑 핑거(68')는 그들의 테이크업 위치로 피봇되고 그들은 테이크업 개구들(126)의 자유 단면적을 저감하지 않거나 단지 최소 저감한다. 브리슬 다발들(20)이 다발 픽업들(122)의 테이크업 개구들(126) 내로 이동한 후, 그렇지만 클램핑 핑거들(68)은 브리슬 다발들(20)의 더 나은 클램핑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들의 폐쇄 위치로 피봇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축방향의 센터링 유닛이 물론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축방향으로 홀딩 유닛들을 이동시키거나 단지 하나의 홀딩 유닛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터링 유닛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나, 한정되는 사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 16 및 도 17에 따른 실시예에서, 위에서 이미 도입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기능적으로 등가의 부분들에 대하여 사용되며, 단지 차이점들만이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중앙의, 단일의 다발 픽업(122)이 구비되는데, 이는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20)을 인계한다. 도 12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이는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따른 변형예에서도 실현된다.
다발 픽업(122)도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개방된 테이크업 개구(126)을 가지며(도 17 참조), 이는 분리된 브리슬 다발(20)을 받아들인다.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하여, 외측 에지(124)에 상보적인 오목한 지지대 에지(130)를 갖는 대응부(128)가 있다. 이 지지대 에지(130)은 아치형의 에지로도 언급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상기 인계 수단(44)은 중앙 다발 픽업(122) 뿐만 아니라 다발 세퍼레이터(10)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면들 및 다발 픽업(122) 및 대응부(128)의 마주보는 축방향 측면들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아암들을 포함한다. 아암들(150) 각각은 그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겹쳐진 홀딩 유닛들의 중앙부이다. 도 17은 2개의 겹쳐진 아암들(150)을 나타낸다.
아암들은 동일한 중심, 즉 다발 픽업(122)과 같이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원형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게다가, 그렇지만, 아암들(150)은 횡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다(도 16에서 회살표 참조). 원형 경로를 따르는 이동과 유사한, 이 횡방향 이동은 또한 양측 아암들(150)에 대하여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
아암들(150)은 대응부(128)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개방된 슬롯(62)을 가지며, 이는 2개의 인접한 핑거들(152, 154)에 의해 구분된다. 충진 수단의 방향으로 더 가까운 상기 핑거(152)는 횡방향으로 더 길다.
이동가능 아암들(150)은 함께 도 16에서 보이는 인도점에서 다발 픽업(122)으로부터 공급된 브리슬 다발(20)을 인계한다. 이 인도점에서 지지대 에지(130)는 바깥쪽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횡방향 숄더(156)를 갖는다. 상기 대응부(128)는 반지름 방향 숄더(156)에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아치형의 부분들(160, 162)을 갖는 오목한 지지대 에지(130)를 갖는다. 반지름 방향 숄더(156)는 그러면 다발 픽업(122)으로부터 아암(150)으로 인도점을 형성한다.
상기 다발(20)이 다발 픽업(122)으로부터 숄더(156)로 공급되었을 때, 그것은 아암(150)에 의해 테이크업 개구(126)의 밖으로 바깥쪽으로 횡방향으로 푸쉬되고 이에 의해 숄더(156) 상의 바깥쪽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6 참조). 상기 아암들(150)은 결합적으로 다발(20)을 그들의 슬롯들(62) 내로 받아들인다. 상기 다발 픽업(122)은 그러면 다음 브리슬 다발(20)을 받아들이기 위해 뒤로 다시 스위블한다.
이 시점에서, 아치형의 부분(162)와 함께 아암들(15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슬 다발(20)의 보유를 수행한다. 다발(20)의 클램핑이 여기에 필수적으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축 방향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응부(128)는 여기서, 공통 대응부(128)가 아암들(150)의 평면에 놓이지 않음에도, 그러나 그 사이에서, 또한 아암들(150)의 슬롯들(62)을 폐쇄한다. 공통 대응부는 다발(20)이 아암(150)의 슬롯들(62) 밖으로 횡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다발(20)이 홀딩 유닛들, 즉 여기서는 아암들(150)의 밖으로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포트 표면(108)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표면(108)은 브리슬들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는 그들의 축방향 위치에서 다발들을 정렬하기 위하여, 가능하게는 제어된 방식으로 다발들의 종방향으로 또한 이동할 수 있다.

Claims (20)

  1. 브러쉬 몸체(30) 또는 중간 홀더(31) 내에 브리스 다발들(20)을 채우기 위한 브러쉬 충진 장치로서, 브리슬 매거진(26)으로부터 브리슬 다발들(20)을 배출하고 그것의 바깥 둘레(16) 상에 브리슬 다발들(20)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테이크업 오목부(18)를 갖는 다발 세퍼레이터(10)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슬 다발들(20)은 다발 세퍼레이터(10)의 원형 세그먼트 또는 원형 경로를 따르는 회전에 의해 이송되며, 충진 수단(12)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경로를 따라 브리스 다발들(20)을 움직이고 그것을 브러쉬 몸체(30) 또는 중간 홀더(31)에 있는 개구 내로 푸쉬하고 이동가능 인계 수단(44)은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브리슬 다발들(20)을 배출하고 그것을 충진 수단(12) 내로 이송하고, 상기 인계 수단(44) 각각은 축방향으로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10)의 반대쪽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홀딩 유닛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홀딩 유닛들이 배출될 상기 브리슬 다발(20)을 공동으로 홀딩하고 그것을 상기 충진 수단(12)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수단(44)은 테이크업 및 전달 위치 사이에서 원형 세그먼트 경로 또는 선형 경로를 따라 앞뒤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수단(44)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특히 왕복가능한 다발 픽-업부(122) 및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대응부(128)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 수단(12) 방향으로 상기 대응부(128)를 따라 상기 다발 픽-업부(122)로부터 이송되며, 특히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120)로부터 배출된 브리슬 다발(20)이 상기 다발 픽-업부(122)와 상기 대응부(128) 사이에서 홀딩, 특히 클램핑되며, 상기 다발 픽-업부는 상기 홀딩 유닛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 픽-업부(122)는 이송될 분리된 브리슬 다발(20)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의 열린 테이크업 개구(1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 픽-업(122)은 원형 경로 상에서 앞뒤로 피봇가능하고 상기 대응부(128)는 상기 브리슬 다발(20)이 움직이는 동안 상기 테이크업 개구(126) 밖으로 상기 브리슬 다발(20)의 슬립을 차단하는, 상기 원형 경로에 상보적인 오목한 아치형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홀딩 유닛은 부품, 특히 테이크업 개구(126)를 형성하는, 상기 대응부(128)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롯(62)을 가지며, 원형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은 테이크업 위치에서 상기 슬롯(62) 내에 상기 브리슬 다발(20)을 횡방향으로 테이크업하기 위해, 상기 대응부(128) 쪽으로 횡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수단(44)은 적어도 하나의 다발 픽업(122)을 포함하고 각각의 홀딩 유닛에 대하여 추가로 원형 경로를 따라 각각 이동가능한 부분(15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 부분(150)은 상기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20)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다발 픽업(122) 뒤에 위치하고 상기 다발 픽업(122)로부터 분리된 브리슬 다발들(20)을 인계하고 그들을 충진 수단으로 가져갈 수 있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이동가능 부분(150)은 횡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다발 픽업(122)으로부터 브리슬 다발(20)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상기 브리슬 다발(20)을 상기 충진 수단(12)로 클램핑적으로 이송하는 클램핑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은 배출된 브리슬 다발(20)을 클램프하는 이동가능 클램핑 핑거(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핑거(68')는 상기 다발 픽업(122)에 일체화되고, 특히 상기 다발 픽업(122)은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핑거(68')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에지 상에 원형 아크 부분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발 픽업(122) 내의 리세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은 브리슬 다발(20)을 또한 테이크업 오목부(18) 내에 클램프하고 그것을 충진 수단(12)으로 클램핑적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집게부(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집게부(48)는 스위블 아암 상에 장착되거나 스위블 아암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집게부(48)는 2개의 축방향으로 크랭크되는 핑거들(60, 68)을 갖고, 그 사이에 브리슬 다발(20)이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업 위치에서 상기 인계 수단(44)은 상기 브리슬 다발(20)이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에 의해 직접 이송되는 슬롯(62)을 가지며, 특히 상기 인계 수단(44)은 상기 슬롯(62) 내로 브리슬 다발(20)의 이동 방향에 횡방향으로 상기 슬롯(62) 내에 상기 다발을 클램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하나의 핑거(60)는 상기 슬롯(62)을 포함하고, 이와 횡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핑거(68)는 상기 브리슬 다발(20)을 클램프하기 위해, 상기 슬롯(62)이 구비되는 상기 핑거(60)의 리세스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브리슬 다발(20)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센터링 유닛(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유닛(80)은 상기 인계 수단(44) 상의 또는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10) 내에 상기 브리슬 다발의 이동 경로를 따르는 축방향 작동 서포트 표면이거나 축방향 작동 서포트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유닛(80)은 적어도 브리슬 다발들(20)을 홀딩하는 인계 수단(44)의 부분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의 길이에 따라 홀딩된 브리슬 다발(20)을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해, 축방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구동부는 상기 다발 세퍼레이터(10)로부터 각각의 브리슬 터프르(20)의 인계 이전 또는 인계 이후에 적어도 브리슬 다발들(20)을 홀딩하는 인계 수단(44)의 부분을 브리슬 다발(20)이 충진 수단(12)에 의해 인계되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위치 내로 이동시키도록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수단(12)은 선형 가이드웨이(70)를 포함하여 상기 브리슬 다발들(20)이 이를 따라 충진되고 이동가능 텅(tongue)을 포함하여 앵커 또는 루프와 함께 브리슬 다발(20)을 폴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 내로 충진되도록 브리슬 다발(20)을 푸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충진 수단.
KR1020177000342A 2014-06-05 2015-06-05 브러쉬 충진 장치 KR20170030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14/0430 2014-06-05
BE2014/0430A BE1023541B1 (de) 2014-06-05 2014-06-05 Bürstenstopfvorrichtung
PCT/EP2015/062567 WO2015185721A1 (de) 2014-06-05 2015-06-05 Bürstenstopf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514A true KR20170030514A (ko) 2017-03-17

Family

ID=5130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342A KR20170030514A (ko) 2014-06-05 2015-06-05 브러쉬 충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51698A1 (ko)
JP (1) JP2017516633A (ko)
KR (1) KR20170030514A (ko)
CN (1) CN106535712B (ko)
BE (1) BE1023541B1 (ko)
TW (1) TWI659709B (ko)
WO (1) WO2015185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1337A1 (de) * 2016-09-21 2018-03-22 Zahoransky Ag Bündelabnahmevorrichtung,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ündelabnehmer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genstücks einer Bündelabnahmevorrichtung
DE102017109365B3 (de) * 2017-05-02 2018-08-16 Borghi S.P.A. Bürstenstopfvorrichtung
BE1026347B1 (de) * 2018-10-30 2020-01-08 Bart Gerard Boucherie Bürsten-Stopfmaschine und Verfahren zum Stopfen
DE102021117793B4 (de) 2021-07-09 2024-03-14 Zahoransky Ag Abteilvorrichtung und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mit einer Abteil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2597T2 (de) * 1989-12-18 1994-05-05 Boucherie Nv G B Bürstenstopf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Gebrauch.
DE4040297C2 (de) * 1990-12-17 2003-08-21 Zahoransky Anton Gmbh & Co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DE19745024A1 (de) * 1997-10-11 1999-04-15 Zahoransky Anton Gmbh & Co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DE202007014431U1 (de) * 2007-10-15 2008-01-10 Firma G.B. Boucherie N.V. Stopfmaschine für Besen oder Bürsten
JP5469968B2 (ja) * 2009-09-14 2014-04-16 ライオン株式会社 植毛装置
JP2012009509A (ja) * 2010-06-22 2012-01-1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DE102011010033A1 (de) * 2011-02-02 2012-08-02 Zahoransky Ag Vorrichtung zum Stopfen von Borstenbündeln in Bündelaufnahmelöcher eines Trägerkörp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6633A (ja) 2017-06-22
TW201607462A (zh) 2016-03-01
WO2015185721A1 (de) 2015-12-10
CN106535712B (zh) 2019-01-22
BE1023541B1 (de) 2017-04-28
TWI659709B (zh) 2019-05-21
EP3151698A1 (de) 2017-04-12
CN106535712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0514A (ko) 브러쉬 충진 장치
US5728408A (en) Molding apparatus with a tuft feeder for making a brush
US5533791A (en) Brush making machine
KR20200040162A (ko) 컨테이너용 이송 시스템
US4308659A (en) Single lead insertion connector block loading apparatus
BRPI0611743A2 (pt) dispositivo e processo para produzir pirulitos por vazamento
US10646031B2 (en) Feeding device for feeding batches of bristle filaments to a bristle filament cassette
CN105656256B (zh) 一种全自动电刷插入机
CN113460362B (zh) 一种数码雷管预包装装置
US202000761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CN104379227B (zh) 拉链组装装置
SE442188B (sv) Bottenvikande forpackningsmaskin
TW201408238A (zh) 刷子製造裝置
CN109399112B (zh) 输液管输送设备
TWI547247B (zh) Brush manufacturing device
CN208143039U (zh) 一种铁芯件与衬套组装机
CN209862688U (zh) 一种分体式牙刷装配装置
CN110085410B (zh) 固定磁芯线圈的自动点胶组装机
CN106064473B (zh) 滴斗、导管装配机构
US4509245A (en) Apparatus for securing parts on elongated writing instruments, in particular for securing an eraser for a sheath receiving it on a pencil
CN109700171A (zh) 一种分体式牙刷装配装置
CN209455052U (zh) 混合规格刀片上料装置
CN209939857U (zh) 一种发圈加工设备的自动上料机构
JP3880533B2 (ja) 弾性リング装着装置および弾性リング装着治具、弾性リング装着方法
TWI606965B (zh) Brush manufact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