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009A - 슬라이서 - Google Patents

슬라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009A
KR20170030009A KR1020160022773A KR20160022773A KR20170030009A KR 20170030009 A KR20170030009 A KR 20170030009A KR 1020160022773 A KR1020160022773 A KR 1020160022773A KR 20160022773 A KR20160022773 A KR 20160022773A KR 20170030009 A KR20170030009 A KR 20170030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licer
movable support
frame
sl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928B1 (ko
Inventor
하지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벤리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벤리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벤리나
Publication of KR2017003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5Household devices therefor cutting one single slice at each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6Household devices therefor having a detachable blade that is removable attached to th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8Household devices therefor making several incisions and cutting cubes or the like, e.g. so-called "julienne-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1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the work being simultaneously deformed by the application of pressure to obtain profiled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29Particular nature of work or product
    • Y10S83/932Ed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슬라이스재를 균일한 두께로 슬라이스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서를 제공한다.
슬라이서(1)는 슬라이스 칼날(20)의 양단을 지지하며, 수지제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게 부착된 수지제의 가동 지지판(40)과, 프레임(10)에 매설된 제1 보강재(80)와, 가동 지지체(40)의 폭 방향(W)의 한쪽 단에 매설된 제2 보강재(82), 및 다른 한쪽 단에 매설된 제3 보강재(83)을 구비한다. 제1 보강재(81), 제2 보강재(82) 및 제3 보강재(83)는 슬라이서(1)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한다.

Description

슬라이서{SLICER}
[0001]
본 발명은 야채나 과일 등의 피(被)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슬라이스재의 슬라이스 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서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부터, 여러가지 야채나 과일 등의 피슬라이스재를 임의의 두께의 슬라이스 조각으로 간단하게 슬라이스하는 것으로서,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방향의 전후로 요동시켜 슬라이스 칼날로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서가 이용되고 있다.
[0003]
종래의 슬라이서로서는, 좌우 한쌍의 지지암을 갖는 프레임과, 지지암에 양단을 고정한 슬라이스 칼날과, 슬라이스 칼날의 전방에 배치되어 좌우 한쌍의 프레임부 사이에 가설된 고정 지지판과, 슬라이스 칼날의 후방에 배치된 가동 지지판을 구비하고, 가동 지지판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슬라이스 폭의 슬라이스 폭(두께)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0004]
이와 같은 슬라이서의 가동 지지판은 가동 지지판의 하방에 배치된 슬라이딩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이딩 지지체를 전후로 이동시켜 지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가동 지지판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0005] 일본국 특표 2010-524574호 공보
[0006]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은 슬라이서에서는, 피슬라이스재를 가동 지지판에 누르면서 피슬라이스재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할 때에 슬라이서가 쉽게 휘어져서, 슬라이스 칼날과 가동 지지판과의 간격(실 슬라이스 폭)이 미리 설정된 슬라이스 칼날과 가동 지지판과의 간격(초기 설정 슬라이스 폭)보다 넓어지기 때문에, 피슬라이스 조각이 의도한 두께보다 두껍게 슬라이스될 우려가 있었다.
[0007]
또한, 슬라이딩 지지체의 양단을 수용시키는 통로는 작고, 통로 내에 피슬라이스재의 작은 부스러기가 끼이거나, 피슬라이스재의 표면에 부착된 흙 등을 포함하는 오수가 잔류하는 경우가 있고, 슬라이서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함에 따라 위생을 해칠 우려가 있었다.
[0008]
따라서, 피슬라이스재를 균일한 두께로 슬라이스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서를 제공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칼날로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서에서, 상기 슬라이스 칼날의 양단을 지지하며, 수지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피슬라이스재를 지지하는 수지제의 가동 지지판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가동 지지판에 매설되고, 상기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할 때에 상기 슬라이서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하는 금속제의 보강재를 구비하는 슬라이서를 제공한다.
[0010]
이 구성에 따르면, 금속제의 보강재가 슬라이스 시의 압압력에 기인한 프레임 또는 가동 지지판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함으로써, 프레임 또는 가동 지지판의 휨이 억제되고, 미리 설정한 슬라이스 칼날과 가동 지지판과의 간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11]
또한, 보강재가 슬라이서 내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부스러기나 오수 등이 부착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서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001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슬라이서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가동 지지판 내에 상기 슬라이스 방향으로 제공된 슬라이서를 제공한다.
[0013]
이 구성에 따르면, 보강재가 가동 지지판 내에 슬라이스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보강재가 가동 지지판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가동 지지판 전체에 걸쳐 부담하여, 가동 지지판의 휨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14]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슬라이스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가동 지지판은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가동 지지판의 긴 변을 따라 배치된 슬라이서를 제공한다.
[0015]
이 구성에 따르면, 보강재가 가동 지지판의 긴 변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보강재가 굽힘 응력을 집중하기 쉬운 가동 지지판의 긴 변을 보강하여, 가동 지지판의 휨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16]
청구항 4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슬라이서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가동 지지판은 평면에서 볼 때 선수 형상(bow shape)으로 형성된 선단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선단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슬라이서를 제공한다.
[0017]
이 구성에 따르면, 보강재가 선단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보강재가 굽힘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가동 선단 지지부를 보강하여, 가동 지지판의 휨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18]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라이서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슬라이스 방향으로 제공된 슬라이서를 제공한다.
[0019]
이 구성에 따르면, 보강재가 프레임 내에 슬라이스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보강재가 프레임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프레임 전체에 걸쳐 부담하여, 프레임의 휨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20]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서는 금속제의 보강재가 프레임 또는 가동 지지판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함으로써, 프레임 또는 가동 지지판의 휨이 억제되고, 미리 설정된 슬라이스 칼날과 가동 지지판과의 간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21]
또한, 보강재가 슬라이서 내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부스러기나 오수 등이 부착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서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002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서의 표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서의 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슬라이서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슬라이서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슬라이서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슬라이서의 배면도.
도 7은 슬라이서 내에 매설된 보강재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제1 보강재, 제2 보강재 및 제3 보강재의 매설 위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종단면도.
도 9는 보강재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서에 이용되는 가동 지지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서에 이용되는 가동 지지판을 나타내는 모식도.
[0023]
본 발명은 피슬라이스재를 균일한 두께로 슬라이스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서를 제공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칼날로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서에서, 슬라이스 칼날의 양단을 지지하며, 수지제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게 부착되고, 피슬라이스재를 지지하는 수지제의 가동 지지판과, 프레임 또는 가동 지지판에 매설되고,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할 때에 슬라이서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하는 금속제의 보강재를 구비함으로써 실현했다.
[0024]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서(1)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슬라이서(1)의 표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슬라이서(1)의 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라이서(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슬라이서(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슬라이서(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슬라이서(1)의 배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전', '후'라는 단어는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할 때에 피슬라이스재를 보내는 방향에 일치하는 슬라이스 방향(S)의 전방, 후방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상', '하'라는 단어는 슬라이서의 수직 방향(H)에서의 상방, 하방에 대응하는 것이다.
[0025]
슬라이서(1)는 프레임(10)과,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스 칼날(20)과, 슬라이스 칼날(20)의 전방에 배치된 고정 지지판(30)과, 슬라이스 칼날(20)의 후방에 배치된 가동 지지판(40)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 칼날(50)과, 가동 지지판(40)을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60)을 구비한다. 프레임(10)과 고정 지지판(30)과 가동 지지판(40)과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60)은 각각 ABS 수지제이고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다. 슬라이스 칼날(20)과 교환 칼날(50)은 스테인리스 스틸제이다.
[0026]
슬라이서(1)는 사용자가 피슬라이스재를 가동 지지판(40)에 누르면서 슬라이스 방향(S)으로 요동함으로써,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칼날(20)과 가동 지지판(40)의 간격에 따른 두께의 슬라이스 조각을 슬라이스한다. 슬라이스 조각은 슬라이서(1)의 이측에서 배출된다.
[0027]
슬라이스 칼날(20)은 프레임(10)의 폭 방향(W)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스 칼날(20)의 좌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각각 천설(穿設)되어 있다. 슬라이스 칼날(20)은 프레임(10)의 표면에 제공된 부착 구멍(10a)과 슬라이스 칼날(20)의 구멍에 삽입 관통된 볼트(B1)에 의해 프레임(10)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스 칼날(20)을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으면, 볼트로 체결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0028]
교환 칼날(50)은 슬라이스 칼날(20)과 가동 지지판(40)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교환 칼날(50)의 양단은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교환 칼날(50)은 교환 칼날(50)의 길이 방향에 걸쳐 복수의 톱니가 제공되고, 각 톱니의 간격에 따라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방향(S)을 따라 칼집을 넣을 수 있다. 교환 칼날(50)은 프레임(10)의 외측면(10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볼트 삽입 구멍에서 삽입 관통된 볼트(B2)로 프레임(10)에 누름으로써 고정된다. 슬라이스 칼날(20)과 교환 칼날(50)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피슬라이스재를 크고 작은 다양한 막대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29]
가동 지지판(40),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60)은 프레임에 대하여 자유롭게 착탈하여 부착되고, 각 부재를 각각 따로 세정할 수 있다.
[0030]
슬라이서(1)는 슬라이스 방향(S)의 선단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 부재(70)를 구비한다. 미끄럼 방지 부재(70)는 표면에 수지제의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한다. 미끄럼 방지 부재(70)는 슬라이스 방향(S)의 능선 단면 형상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사용자가 슬라이서(1)를 사용할 때에, 미끄럼 방지 부재(70)가 도마 등에 비스듬하게 누름으로써, 슬라이서(1)가 미끄러지지 않고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31]
프레임(10)은 고정 지지판(30)의 폭 방향의 양단에 부착된 좌우 한쌍의 지지암(11, 11)과, 좌우 한쌍의 지지 암(11, 11) 간에 가설된 스테이(12)를 구비한다.
[0032]
지지암(11)은 내측면에 제공되어 슬라이스 칼날(20)의 양단을 수용하는 슬릿(11a)을 구비한다. 슬라이스 칼날(20)은 슬릿(11a)으로부터 삽입 관통되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0033]
지지암(11)은 내측면에 요설(凹設)된 가이드 홈(11b)을 구비한다. 가이드 홈(11b)은 수직 방향(H)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홈(11b)은 가동 지지판(40)의 후술하는 피가이드 핀(41)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11b)의 형상은 임의로 설정해도 상관없다. 가이드 홈(11b)의 수직 방향(H)의 하부는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지지판(40)은 프레임(10)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34]
프레임(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3)을 구비한다. 손잡이(13)는 프레임(10)에 대하여 볼트(B3)로 착탈할 수 있게 체결되는 것이면 상관없다.
[0035]
고정 지지판(30)은 한쌍의 지지암(11, 11)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암(11)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고정 지지판(30)의 표면(30a)에는 슬라이스 방향(S)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으로 병설된 8열의 홈부(31)가 각설(刻設)되어 있다. 고정 지지판(30)의 표면(30a)에 홈부(31)를 제공함으로써, 고정 지지판(30)과 피슬라이스재가 감소된 면적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매끄럽게 요동할 수 있다. 홈부(31)의 깊이 치수는 임의로 설정해도 상관없다.
[0036]
가동 지지판(40)은 측면의 후방에 입설(立設)된 피가이드핀(41)을 구비한다. 피가이드핀(41)은 지지암(11)의 가이드 홈(11b)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고, 가동 지지판(40)은 가이드 홈(11b)의 형상을 따라 승강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홈(11b)이 수직 방향(H)의 하방에서 상방, 또한 슬라이스 방향(S)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가동 지지판(40)도 가이드 홈(11b)의 형상을 따라 비스듬하게 승강한다. 가동 지지판(40)이 상승할 때에, 피가이드핀(41)이 가이드 홈(11b)에 계합함으로써, 가동 지지판(40)의 흔들림이나 비틀림이 규제된다.
[0037]
가동 지지판(40)은 표면(40a)에 각설되고, 슬라이스 방향(S)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으로 병설된 8열의 홈부(42)를 구비한다. 가동 지지판(40)과 피슬라이스재와의 접지 면적이 홈부(42)를 제공한 정도만큼 감소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이 저감된다.
[0038]
가동 지지판(40)은 평면에서 볼 때 슬라이스 방향(S)의 전방에 볼록 형상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지지판(40)의 선단부(43)는 가동 지지판(40)의 중앙 부근에서 슬라이스 방향(S)의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0039]
또한, 가동 지지판(40)의 이면(40b)에는 제1 리브(45)가 배치된다. 제1 리브(45)는 수직 방향(H)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을 확대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동 지지판(40)을 몰드(mold)로부터 제거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리브(45)를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가동 지지판(4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중실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타원 기둥 형상 등이어도 상관없다.
[0040]
가동 지지판(40)의 이면(40b)에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제2 리브(46)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가동 지지판(40)의 강성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
[0041]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60)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핸들(61)이 제공된다.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60)은 외주에 설치된 나사부를 구비하고, 나사부와 스테이(12)의 중앙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 받이 구멍이 나사 결합함으로써,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60)이 프레임(10)에 장착된다. 슬라이스 폭 방향 다이얼(60)은 제1 리브(45)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60)이 가동 지지판(40)을 지지한 상태에서, 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함으로써, 가동 지지판(40)은 수직 방향(H)으로 승강할 수 있다.
[0042]
또한, 가동 지지판(40)은 측면의 전방에 요설된 가이드 홈(46)을 구비한다. 가이드 홈(46)은 지지 암(11)의 내측면에 입설된 피가이드부(11c)와 계합함으로써, 가동 지지판(40)이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0043]
이어서, 슬라이서(1) 내에 매설된 보강재(80)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슬라이서(1) 내에 매설된 보강재(80)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A-A선에서 본 일부 생략 종단면도이다. 도 8의 (b)는 도 7의 B-B선에서 본 일부 생략 종단면도이다. 도 8의 (c)는 도 7의 C-C선에서 본 일부 생략 종단면도이다.
[0044]
프레임(10)에는, 금속제의 보강재(80)가 매설되어 있다. 보강재(8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제, 철제 등이다. 보강재(80)는 프레임(10) 내에 매설된 2개의 제1 보강재(81)와, 가동 지지판(40) 내에 매설된 제2 보강재(82), 제3 보강재(83)로 구성된다.
[0045]
제1 보강재(81)는 단면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암(11)을 통과하도록 프레임(10)의 선단에서 후단에 걸쳐 슬라이스 방향(S)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보강재(81)는 슬릿(11a)보다 상방에서 부착 구멍(10a)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 보강재(81)는 프레임(10)이 사출 성형될 때에, 몰드 내로 삽입되어 프레임(10) 내에 매설된다.
[0046]
제2 보강재(82)는 단면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동 지지판(40)의 긴 변을 따라 선단부(43)에서 후단부(44)에 걸쳐 배치된다. 제3 보강재(83)는 제2 보강재(82)보다 짧은 길이의 단면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동 지지판(40)의 짧은 변을 따라 선단부(43)에서 후단부(44)에 걸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보강재(82) 및 제3 보강재(83)는 가동 지지판(40)의 표면(40a)와 이면(40b) 사이에 수용된다. 제2 보강재(82) 및 제3 보강재(83)는 가동 지지판(40)이 사출 성형될 때에, 몰드 내에 삽입되어 가동 지지판(40) 내에 매설된다. 또한, 제1 보강재(81), 제2 보강재(82) 및 제3 보강재(83)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원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제1 보강재(81), 제2 보강재(82) 및 제3 보강재(83)를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모서리를 면취하는 경우에는, 네모난 몰드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1 보강재(81), 제2 보강재(82) 및 제3 보강재(83)를 단면 원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강도를 높일 수 있다.
[0047]
보강재(80)는 슬라이서(10)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하고 프레임(10)이나 가동 지지판(40)의 휨을 억제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보강재(80)는 프레임(10) 및 가동 지지판(40)에 각각 제공될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에만 제공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제2 보강재(82) 및 제3 보강재(83)는 어느 한쪽만이어도 상관없지만, 도 10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보강재(82)가 제공됨으로써, 휘기 쉬운 가동 지지판(40)의 긴 변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에서는, 제2 보강재(82)를 이해하기 쉽도록, 홈부(42) 등을 생략한다.
[0048]
또한, 보강재(80)의 설치 위치는 슬라이서(1)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 집중하는 장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가동 지지판(40)의 형상에 따라 설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가동 지지판(40)이 도 11의 (a)∼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선수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 지지부(48)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11의 (a)와 같이, 같은 길이의 보강재(80)를 폭 방향(W)의 양단에 각각 매설하거나, 도 11의 (b)와 같이, 선단 지지부(48)를 횡단하도록 1개의 보강재(80)를 폭 방향(W)의 중앙에 매설하거나,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지지부(48)의 가장자리를 따라 2개의 보강재(80)를 매설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0049]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서(1)는 금속제의 보강재(80)가 슬라이스 시에 작용하는 압압력에 기인한 프레임(10) 또는 가동 지지판(40)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함으로써, 프레임(10) 또는 가동 지지판(40)의 휨이 억제되고, 미리 설정된 슬라이스 칼날(20)과 가동 지지판(40)과의 간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피슬라이스재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할 수 있다.
[0050]
또한, 보강재(80)가 슬라이서(1) 내에 매설됨으로써, 부스러기나 오수 등이 부착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서(1)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0051]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개변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이 이 개변된 것에도 미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0052]
1 : 슬라이서
10 : 프레임
10a : 부착 구멍
10b : 외측면
11 : 지지암
11a : 슬릿
11b : 가이드 홈
11c : 피가이드부
12 : 스테이
13 : 손잡이
20 : 슬라이스 칼날
30a : (고정 지지판의) 표면
31 : (고정 지지판의) 홈부
40 : 가동 지지판
40a : (가동 지지판의) 표면
40b : 이면
41 : 피가이드핀
42 : (가동 지지판의) 홈부
43 : 선단부
44 : 후단부
45 : 제1 리브
46 : 제2 리브
47 : 가이드 홈
48 : 선단 지지부
50 : 교환 칼날
60 : 슬라이스 폭 조정 다이얼
61 : 핸들
70 : 미끄럼 방지 부재
80 : 보강재
S : 슬라이스 방향
W : 폭 방향
H : 수직 방향

Claims (5)

  1.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칼날로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칼날의 양단을 지지하며, 수지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피슬라이스재를 지지하는 수지제의 가동 지지판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가동 지지판에 매설되고, 상기 피슬라이스재를 슬라이스 할 때에 상기 슬라이서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부담하는 금속제의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가동 지지판 내에 상기 슬라이스 방향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판은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가동 지지판의 긴 변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판은 평면에서 볼 때 선수 형상(bow shape)으로 형성된 선단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선단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슬라이스 방향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서.
KR1020160022773A 2015-09-08 2016-02-25 슬라이서 KR101872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7097A JP6411303B2 (ja) 2015-09-08 2015-09-08 スライサー
JPJP-P-2015-177097 2015-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009A true KR20170030009A (ko) 2017-03-16
KR101872928B1 KR101872928B1 (ko) 2018-08-02

Family

ID=5513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773A KR101872928B1 (ko) 2015-09-08 2016-02-25 슬라이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9975263B2 (ko)
JP (1) JP6411303B2 (ko)
KR (1) KR101872928B1 (ko)
CN (1) CN106493762B (ko)
AU (1) AU2015234397B2 (ko)
BR (1) BR102015029415B1 (ko)
CA (1) CA2906757C (ko)
DE (1) DE102015016732B4 (ko)
ES (1) ES2604686A1 (ko)
FR (1) FR3040616B1 (ko)
GB (1) GB2542211B (ko)
MY (1) MY174067A (ko)
NL (1) NL2015777B1 (ko)
NZ (1) NZ712790A (ko)
RU (1) RU2676940C2 (ko)
SE (1) SE541502C2 (ko)
SG (1) SG10201508098VA (ko)
TW (1) TWI6016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8151A (zh) * 2018-04-27 2018-10-12 芜湖千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切片宽度且便于清洁的农产品用切片机
CN114161497A (zh) * 2018-08-10 2022-03-11 宁波金舜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食品切割器
TWD207426S (zh) 2019-11-29 2020-10-01 日商百林納股份有限公司 蔬菜調理器
USD1007972S1 (en) * 2021-06-23 2023-12-19 Guixing Ke Slic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4574A (ja) 2007-04-17 2010-07-22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カッティングの深さが調節可能なマンドリン
JP4620473B2 (ja) * 2003-05-01 2011-01-26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食品スライサー
JP6059965B2 (ja) * 2012-11-16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スライサー
JP6159303B2 (ja) * 2014-09-12 2017-07-05 株式会社ベンリナー スライサー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5056A (en) * 1941-12-31 1946-07-30 Renwal Mfg Co Inc Safety grater
US2413151A (en) * 1942-10-24 1946-12-24 Dell Arthur A Nu Plastic grater
CH502876A (de) * 1969-02-17 1971-02-15 Boerner Alfred Haushaltsgerät zum Schneiden von Gemüse, wie Kartoffeln, oder dergleichen in Streifen
GB1586848A (en) * 1978-05-30 1981-03-25 Boerner A Apparatus for cutting foodstuffs
DE3022021C2 (de) * 1980-06-12 1984-09-27 Alfred 5561 Landscheid Börner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o.dgl. in Streifen
US4891884A (en) * 1987-07-21 1990-01-09 Philip Torbet Hand holdable automatic bladed appliance for slicing, peeling and the like
DE8909068U1 (ko) * 1989-07-26 1989-11-30 A. Boerner Gmbh, 5565 Niederkail, De
DE3926013C2 (de) * 1989-08-05 1993-11-11 Boerner Gmbh A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oder dergleichen in Scheiben
US5680803A (en) * 1996-01-11 1997-10-28 Allied Resinous Products, Inc. Collapsible slicing guide
DE19827077A1 (de) * 1998-06-18 1999-12-23 Leifheit Ag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Lebensmitteln
FR2825043B1 (fr) * 2001-05-28 2003-09-19 Buyer De Coupe-legumes manuel de securite
DE10208489A1 (de) *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llesschneider mit einem Einschubgehäuse
DE10208493A1 (de) *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llesschneider mit Anstellplatte
JP2004338069A (ja) 2003-05-19 2004-12-02 Benrinaa:Kk 野菜調理器
DE102004038815B3 (de) * 2004-08-02 2006-04-20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Einsatz für einen Küchenhobel
US9038517B2 (en) * 2005-12-06 2015-05-26 Kai U.S.A Ltd. Mandolin slicer
US7694615B2 (en) * 2006-10-31 2010-04-13 Helen Of Troy Limited Slicer
US7828876B2 (en) 2007-04-20 2010-11-09 Southern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c particulate filtration
CN201147937Y (zh) * 2007-10-12 2008-11-12 向军 切片器
ES1073478Y (es) * 2010-11-19 2011-03-17 Sammic Sl Rejilla para el troceado de alimentos vegetales.
US8893602B2 (en) * 2011-03-07 2014-11-25 Conair Corporation Mandoline slicer
JP2011156435A (ja) 2011-05-27 2011-08-18 Kawashima Kogyo Kk スライサー
US8919234B2 (en) * 2013-01-31 2014-12-30 Helen Of Troy Limited Mandoline slicer
US9604380B2 (en) * 2013-06-18 2017-03-28 King's Flair Development Ltd. Mandolin slicer kit assembly
US20160075043A1 (en) * 2014-09-11 2016-03-17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Chopper with slide-in tr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0473B2 (ja) * 2003-05-01 2011-01-26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食品スライサー
JP2010524574A (ja) 2007-04-17 2010-07-22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カッティングの深さが調節可能なマンドリン
JP6059965B2 (ja) * 2012-11-16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スライサー
JP6159303B2 (ja) * 2014-09-12 2017-07-05 株式会社ベンリナー スライサ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06757A1 (en) 2017-03-08
NL2015777B1 (en) 2017-03-22
SE541502C2 (en) 2019-10-22
GB2542211B (en) 2018-05-16
JP2017051383A (ja) 2017-03-16
DE102015016732B4 (de) 2021-02-25
CN106493762A (zh) 2017-03-15
RU2015150251A3 (ko) 2018-06-29
SG10201508098VA (en) 2017-04-27
BR102015029415A2 (pt) 2017-03-14
FR3040616B1 (fr) 2020-10-30
AU2015234397A1 (en) 2017-03-23
RU2676940C2 (ru) 2019-01-11
TWI601615B (zh) 2017-10-11
MY174067A (en) 2020-03-06
FR3040616A1 (fr) 2017-03-10
TW201710047A (zh) 2017-03-16
CN106493762B (zh) 2020-03-20
SE1551485A1 (en) 2017-03-09
US9975263B2 (en) 2018-05-22
CA2906757C (en) 2019-05-14
JP6411303B2 (ja) 2018-10-24
NZ712790A (en) 2017-09-29
US20170066151A1 (en) 2017-03-09
KR101872928B1 (ko) 2018-08-02
BR102015029415B1 (pt) 2021-04-06
GB201518346D0 (en) 2015-12-02
AU2015234397B2 (en) 2018-07-05
GB2542211A (en) 2017-03-15
DE102015016732A1 (de) 2017-03-09
RU2015150251A (ru) 2017-05-29
ES2604686A1 (es)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928B1 (ko) 슬라이서
KR20180034365A (ko) 슬라이서
KR101847067B1 (ko) 슬라이서
AU2014262174B2 (en) Slicer
JP2000343321A (ja) 長尺部材の切断機
NZ708941B (en) Slicer
CZ2010404A3 (cs) Zarízení na stríhání liš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