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433A - 제거가능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및 용도 - Google Patents

제거가능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433A
KR20170029433A KR1020167036309A KR20167036309A KR20170029433A KR 20170029433 A KR20170029433 A KR 20170029433A KR 1020167036309 A KR1020167036309 A KR 1020167036309A KR 20167036309 A KR20167036309 A KR 20167036309A KR 20170029433 A KR20170029433 A KR 20170029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melt adhesive
meth
acrylate
reactiv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051B1 (ko
Inventor
우베 프란켄
클라우디아 메켈-요나스
홍시아 자오
양 차오
샤오 한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7002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20Compositions for hot melt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90Compositions for adhesives used in footw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재료를 결합시키는 방법.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의 용도.

Description

제거가능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및 용도 {REMOVABLE POLYURETHANE HOT MELT ADHESIVE AND USE}
본 발명은 승온에서 제거가능할뿐만 아니라 실온에서 높은 결합 강도를 갖는 폴리우레탄(PU)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와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약 90 내지 약 140 ℃의 녹는점 및 약 20000 내지 약 8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우레탄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와 관련된다.
다양한 구조적 조립체 적용에서, 조립체 부품 간의 승온에서의 상당히 낮은 결합 강도뿐만 아니라 실온에서의 높은 결합 강도는 조립 공정 효율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약하기 위한 당업계의 오랜 요구이다.
예를 들어, 구조적 결합에 사용되는 일부 기판 재료는 매우 고가이다. 실수로 인해 부적합하게 결합된 기판으로부터 값비싼 재료를 재사용하려면, 값비싼 기판의 어떠한 손상 없이 조립체 부품을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후, 접착제 잔류물은 기판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기판으로부터 완전히 세척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PU 핫 멜트 접착제는 유리한 성질, 예컨대 높은 최종 결합 강도, 좋은 노화 성능뿐만 아니라 적절한 개방 시간을 장기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최종 경화 후 일정 시간에 걸친 고온에서의 결합 강도는 보통 탈착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너무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점 더 본 분야의 PU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예를 들어, US 2006/0084755 A1은 이소시아네이트 및 광범위한 블록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가 중합체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말단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WO 01/81495 A2는 실온에서 고체이고, 우레탄 예비중합체, 반응성 히드록실 함유하거나 비반응성인 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무용매(solvent-free) 수분 경화성 1액형(one-part) 핫 멜트 폴리우레탄 접착제 또는 실란트 조성물을 개시한다.
동시에, 테이프는 쉽게 탈결합되고 벗겨지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테이프의 결합 강도는 상당히 낮은 수준이며, 따라서 PU 핫 멜트 접착제와 비교할 수 없다. 또한, 테이프는 특히, 좁은 기판에 대한 가공이 어렵다.
따라서, 승온에서 제거가능하고 저온에서 높은 결합 강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에 대한 당업계의 추가적인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한 측면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약 90 내지 약 140 ℃의 녹는점 및 약 20000 내지 약 8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와 관련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로부터 얻어진 경화된 접착제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액체 형태의 상기와 같은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제1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제1 기판에 도포한 조성물과 제2 기판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조성물을 냉각시키고 고체 형태로 경화되도록 하는 수분으로 접착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료를 함께 결합시키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나무, 금속, 중합체성 플라스틱, 유리 및 직물로 만들어진 기판을 갖는 물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급수탑에서의, 외부 표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신발의 제조에서의, 창문의 제조에서는 광택 화합물로서, 문 및 건축 패널의 제조에서의, 및 휴대용 기기 및 디스플레이(HHDD)의 제조에서의 상기와 같은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또는 상기와 같은 경화된 접착제의 용도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측면이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약 90 내지 약 140 ℃의 녹는점 및 약 20000 내지 약 8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와 관련된다.
용어 "수 평균 분자량"은 중합체의 분자량의 특정 척도를 지칭한다. 수 평균 분자량은 개별 중합체 분자의 분자량의 통상적인 평균이다. 이것은 n 개의 중합체 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분자량을 합산하고 n으로 나누어 결정된다.
폴리우레탄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는 구조적 조립체의 적용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접착제는 골격을 확장하기 위해 표면 또는 주변 수분과 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로 주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형성한다.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통상적으로 디올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얻어진다. 대기 또는 기판으로부터 접착제로의 수분의 확산 및 후속적 반응을 통해,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대기 조건하에서 경화된다. 얻어진 접착제 생성물은 주로 우레아 기 및 우레탄 기를 통해 결합된, 가교결합된 재료이다.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기반한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는, 예를 들어 문헌 [H. F. Hueber and H. Mueller in "Shaping Reactive Hotmelts Using LMW Copolyesters", Adhesives Age, November 1987, pages 32 to 35]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정의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사용으로, 본 발명의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에 기반한 경화된 접착제는 다양한 보통의 기판에 대해 승온에서의 상당히 낮은 결합 강도뿐만 아니라 실온에서의 높은 결합 강도를 보유한다는 것이 현재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화된 접착제는 재사용될 기판에 어떠한 접착제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기본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에 따른 경화된 접착제는 상이한 유형의 기판에 대해 좋은 항-노화 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는 중간의 점도를 보유하며, 따라서 도포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반응성 핫 멜트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약 60 ℃ 내지 약 150 ℃의 온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수분은 전형적으로 건조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반응을 진공 또는 무수 기체 블랭킷(blanket)의 존재하에서 수행함으로써 반응으로부터 배제된다.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골격을 확장하기 위해 표면 또는 주변 수분과 반응하고, 이로써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형성한다. 대기 또는 기판으로부터 접착제로의 수분의 확산 및 후속적 반응을 통해,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대기 조건하에서 경화된다. 얻어진 접착제 생성물은 주로 우레아 기 및 우레탄 기를 통해 결합된, 가교결합된 재료이다. HHDD 제조 분야에서 다양한 재료를 결합시키는 데에 적합한 폴리우레탄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핫 멜트 접착제의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양은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의 총 중량에 기반하여, 약 60 내지 약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85 중량%이다.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임의의 적합한 화합물을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중량에 기반한, 약 0.1 내지 약 90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NCO- 함량이 본 발명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함유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펜틸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2-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프로판-4,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아조벤젠-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설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클로로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푸르푸릴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벤젠-2,4-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이소시아나토트리페닐메탄, 1,3,5-트리이소시아나토-벤젠, 2,4,6-트리이소시아나토-톨루엔, 4,4'-디메틸디페닐-메탄-2,2',5,5-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이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함유 화합물은 메틸렌비스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및 문헌 ["The Polyurethanes Book", D. Randall and S. Lee, eds., John Wiley & Sons, 2002, page 84]에 기재된 그의 중합체성 유사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수소첨가 메틸렌비스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HMDI)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PU 예비중합체를 생성하도록 NCO:OH 몰비의 측면에서 폴리올과 과량으로 반응할 수 있다. NCO:OH 몰비의 선택에 의해, 예비중합체 중의 반응성 NCO 기의 양 및 분자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NCO 기 대 폴리올의 OH 기의 몰 비는 1:1 초과,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2.1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은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생성한다. 폴리올은 전형적으로 20 % 내지 약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 내지 약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 % 내지 약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과량의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등가물과 반응한다. 비관능성 아크릴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한다. 이러한 경우, 예비중합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하나 이상의 폴리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며,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혼합 용기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러나 임의로 예비중합체 형성 전 또는 후에 블렌딩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갖는 접착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반응 전, 중, 또는 후에 도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 성분을 임의로 함유한다. 사용한 폴리올은 폴리히드록시 에테르(치환 또는 비치환 폴리알킬렌 에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히드록시 폴리알킬렌 에테르), 폴리히드록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 및 글리세롤의 1치환 에스테르, 및 "중합체 폴리올"(예를 들어, 계 내에서 중합된 비닐 단량체의 부분을 함유하는 그라프트 폴리올, 즉, 니악스(Niax) 폴리올 34-28)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이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복수의 에테르 결합 및 2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선형 및/또는 분지형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히드록실 기 이외의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예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의 공중합체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2-에틸헥산디올-1,3,글리세린, 1,2,6-헥산 트리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스(히드록시페닐)프로판,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및 부틸렌 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부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이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폴리올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에테르, 예컨대 N240(상하이 가오 챠오 페트로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Shanghai Gao Qiao Petrochemical Co., Ltd.)), 아르콜(ARCOL) PPG 2025 (바이엘(Bayer)), 폴리G 20-56 (아크(Arch)) 및 플러라콜(Pluracol) P-2010 (바스프(BASF))을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약 2 내지 약 15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과 약 2 내지 약 14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카르복실산의 축합으로 형성된다. 적합한 다가 알콜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예컨대 1,2-프로필렌 글리콜 및 1,3-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1,4,6-옥탄트리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도데칸디올, 옥탄디올, 클로로펜탄디올, 글리세롤 모노알릴 에테르, 글리세롤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2-에틸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2,6-헥산트리올, 1,3,5-헥산트리올, 1,3-비스-(2-히드록시에톡시)프로판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이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반결정질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예를 들어, 디나콜(Dynacoll) 7130, 7240, 및 7360 (크레아노바(Creanova)), 폼레즈(Fomrez) 66-32 (크롬프톤(Crompton)) 및 루코플렉스(Rucoflex) S-105-30 (바이엘)을 포함한다.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말레산, 도데실말레산, 옥타데세닐말레산, 푸마르산, 아코니트산, 트리멜리트산, 3,3'-티오디프로피온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세바스산,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사디엔-1,2-디카르복실산, 3-메틸-3,5-시클로헥사디엔-1,2-디카르복실산 및 상응하는 산 무수물, 산 클로라이드 및 산 에스테르, 예컨대 프탈산 무수물, 프탈로일 클로라이드 및 프탈산의 디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카르복실산은 약 14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및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및 약 14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될 폴리올 및 폴리카르복실산의 선택은, 이들이 다른 임의의 성분과 상용성이고, 접착제의 바람직한 성질, 즉 승온에서의 낮은 결합 강도뿐만 아니라 실온에서의 높은 결합 강도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갖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반응물로부터 생성된 PU 예비중합체는 본 발명에 사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상용성일 것이 요구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상용성"은 핫 멜트 접착제에 포함된 성분이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의 노화에 따라 상당히 유착하고(거나) 크기가 커지지 않는 안정한 다상 형태(multiphase morphology)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핫 멜트 접착제의 조성물에 함유된 또 다른 성분은 약 90 내지 약 140 ℃의 녹는점 및 약 20000 내지 약 8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한다.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둘 다 지칭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공중합체이다. 이는 공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러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중합할 수 있는 사실상 임의의 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 및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약 -20 ℃ 내지 105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85 ℃의 광범위한 Tg 값(ISO 11357-2에 따라 측정함)을 생성하도록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임의로 공단량체와 함께 중합할 수 있다.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 공단량체는, 각각,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응하는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의 C1 내지 C12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글리콜 에테르와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의 에스테르에 기반한 메타크릴 및 아크릴 공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추가적인 비닐 공단량체는 비닐 에스테르(즉,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에테르;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의 에스테르; 스티렌; 알킬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선택된 특정 단량체는 접착제의 의도된 최종 용도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NCO-기를 통해 이소시아네이트에 본질적으로 비반응성이다. 용어 "본질적으로 비반응성"은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의 총 중량에 기반하여, 1 %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 제조 공정 동안 NCO-기와 반응할 수 있음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완전히 비반응성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고 우레탄 예비중합체 형성에 참여하는 OH-, SH-, COOH-, NH-로부터 선택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약 90 내지 약 140 ℃의 녹는점 및 약 20000 내지 약 8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보정을 위해 폴리스티렌 표준을 사용하여 GPC에 의해 EN ISO 13885에 따라 측정 시, 약 25000 내지 약 60000 g/mol, 바람직하게는 약 30000 내지 약 5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DIN EN ISO 11357에 따른 약 95 내지 약 130 ℃의 녹는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약 100 ℃의 녹는점 및 약 3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공단량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약 120 ℃의 녹는점 및 약 5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공단량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약 110 ℃의 녹는점 및 약 6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공단량체로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양은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의 총 중량에 기반하여, 약 5 % 내지 약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 내지 약 3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에 포함된 다른 성분에 불활성이고 다른 성질을 만족시키고 특정 적용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핫 멜트 접착제의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는 본 발명의 핫 멜트 접착제에 임의로 0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가소제, 충전제, 색소, 경화 촉매, 해리 촉매, 항산화제, 유동 변성제, 염료, 난연제, 억제제, UV 흡수제, 접착 촉진제, 안정화제, 열가소성 중합체, 점착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며, 목적에 따라 접착제 배합물에 소량 또는 대량으로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는 다른 접착제 성분과 협력하여 본 핫 멜트 접착제의 바람직한 성질을 제공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임의로 0 내지 약 50 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중합체는 본 발명에 따른 90 내지 140 ℃의 녹는점 및 20000 내지 8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상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은 우레탄 성분,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점착화제 또는 희석제와 같은 다른 임의의 성분과 유사한 극성 및 상용성이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임의의 열가소성 공중합체 성분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에스테르(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에테르, 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들의 유도체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들의 유도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핫 멜트 접착제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 예컨대 미쓰비시 페트로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td.)에 의해 제조된 모딕(MODIC) 시리즈, 예컨대 미쓰비시 페트로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제조된 상표명 모딕 L100F하의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및 상표명 모딕 P-10B하의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핫 멜트 접착제는 임의로 점착화제를 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더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점착화 수지는 보통 ASTM 방법 E28-58T에 의해 결정된 약 70 ℃ 내지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 내지 120 ℃,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 ℃ 내지 110 ℃의 환구식 연화점을 갖는다. 아래에 기재된 2 이상의 점착화 수지의 혼합물이 일부 배합물에 필요할 수 있다.
유용한 점착화제는, 임의의 상용성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1) 천연 또는 변성 로진 등, 예를 들어, 검 로진, 나무 로진, 톨유 로진, 증류 로진, 수소첨가 로진, 이량체화 로진, 및 중합 로진; (2) 천연 또는 변성 로진의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등, 예를 들어, 연한 나무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중합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및 로진의 페놀-변성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3) 천연 테르펜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즉, 스티렌/테르펜 및 알파 메틸 스티렌/테르펜; (4) ASTM 방법 E28-58T에 의해 결정된, 약 8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폴리테르펜 수지; 적절히 저온에서 프리델-크래프츠(Friedel-Crafts) 촉매의 존재하에, 일반적으로 테르펜 탄화수소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후자의 폴리테르펜 수지, 예컨대 피넨으로 알려진 바이시클릭 모노테르펜; 또한 수소첨가 폴리테르펜 수지도 포함됨; (5) 예를 들어, 산성 매질에서, 바이시클릭 테르펜 및 페놀의 축합으로부터 생성된 수지 생성물로서, 페놀 변성 테르펜 수지 및 이들의 수소첨가 유도체; (6) ISO 4625-1-2004에 따라 약 70 ℃ 내지 135 ℃의 환구식 연화점을 갖는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주로 올레핀 및 디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단량체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후자의 수지; 또한 수소첨가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도 포함됨; (7) 지환식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수소첨가 유도체; (8) 지방족/방향족 또는 지환족/방향족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첨가 유도체; 및 (9) 방향족 수지를 포함한다. 특정 점착화제의 바람직성 및 선택은 사용한 특정 블록 공중합체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바람직한 점착화제는 합성 탄화수소 수지이다. 비제한적인 예는 지방족 올레핀 유도된 수지, 예컨대 굿이어(Goodyear)로부터 상표명 윙택(Wingtack)®으로, 및 엑손(Exxon)으로부터 에스코레즈(Escorez)® 1300 시리즈로 입수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류에서 일반적인 C5 점착화 수지는 약 95 ℃의 연화점을 갖는, 피페릴렌 및 2-메틸-2-부텐의 디엔-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수지는 상표명 윙택 95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C9 방향족/지방족 올레핀-유도되고, 스타토머(Startomer) 및 크레이 밸리로부터 상표명 노르솔렌으로, 및 루트거스(Rutgers) 시리즈의 TK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로 입수할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노르솔렌 M1090은 지방족 부분이 95 내지 105 ℃의 환구식 연화점을 갖는 알파-피넨으로부터 대체로 유도되는 저분자량 열가소성 탄화수소 중합체이며, 크레이 밸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C9 기반 탄화수소 수지는 알파-피넨, 스티렌, 테르펜, 알파-메틸스티렌, 및/또는 비닐 톨루엔, 및 이들의 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테르펜, 테르펜 페놀, 변성 테르펜, 및 이들의 조합과 합성되었을 때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수지의 증가된 방향족 구조는 수지에 본 발명의 접착제의 바람직한 상용성 및 성능에 기여하는 더 극성인 성질을 생성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방향족 점착화제의 한 예는, 이스트먼(Eastma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97 ℃ 내지 103 ℃의 환구식 연화점을 갖는 알파메틸스티렌으로부터 대체로 유도된 저분자량 열가소성 탄화수소 중합체인, 크리스탈렉스(KRISTALEX) 3100이다.
본 발명의 핫 멜트 접착제는 핫 멜트 접착제의 총 중량에 기반하여, 임의로 촉매를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0.8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임의의 촉매는 핫 멜트 접착제 도포 후 그의 생성 및/또는 수분 경화/가교결합 공정 동안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형성을 가속화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통상의 폴리우레탄 촉매 예컨대, 예를 들어, 2가 및 4가 주석의 화합물, 보다 특히 2가 주석의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디알킬 주석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디알콕실레이트이다. 이러한 촉매의 예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 주석 디아세테이트, 디옥틸 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 주석 말레에이트, 주석(ll) 옥토에이트, 주석(ll) 페놀레이트뿐만 아니라 2가 및 4가 주석의 아세틸 아세토네이트이다. 또한, 매우 효과적인 3급 아민 또는 아미딘을 촉매로서, 임의로 상기에 언급된 주석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아민은 아시클릭 및, 특히, 시클릭 화합물 둘 다이다.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 부탄 디아민, 비스-(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1,4-디아자비시클로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칸, 2,2'-디모르폴리노디에틸 에테르(DMDEE) 또는 디메틸 피페라진 또는 상기에 언급된 아민의 균일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접착 촉진제가 빈번하게 필요하진 않지만, 아비에트산,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또는 탄화수소 수지와 같은 상기에 언급된 점착화 수지가 또한 접착 촉진제로서 작용한다. 또한, 에폭시- 관능성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이소시아나토에틸 트리스알콕시실란과 같은 유기관능성 실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를 접착 촉진제로서 첨가할 수 있다.
성분의 선택, 첨가 순서, 및 첨가 속도는 숙련된 접착제 화학자에게 맡길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반응성 핫 멜트 우레탄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약 60 ℃ 내지 약 150 ℃, 바람직하게는 약 80 ℃ 내지 약 120 ℃ 범위의 승온에서, 적합한 반응 용기에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폴리올을 제조하고, 필요한 경우, 어떠한 임의의 성분 예컨대 열가소성 중합체, 접착 촉진제 또는 점착화제를 블렌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이소시아네이트를 전형적으로 약 80 ℃ 내지 약 130 ℃ 범위의 상승된 반응 온도에서 반응 용기로 도입한다. 수분은 전형적으로 건조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반응을 진공 또는 무수 기체 블랭킷의 존재하에서 수행함으로써 반응으로부터 배제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핫 멜트 접착제의 점도는 10 rpm의 스핀들 27을 사용하는 브룩필드 디지털 점도계 RVT에 의해 EN ISO 2555에 따라 측정 시, 100 ℃에서 2000 내지 20000 mPas,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1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5000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용융 형태의 본 발명의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제1 물품에 도포하는 단계, 제1 물품에 도포한 조성물과 제2 물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조성물을 냉각시키고 고체 형태로 경화되도록 하는 수분으로 도포된 접착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을 함께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그의 고체 형태로 분포되고 저장되며, 수분의 부재하에서 저장된다. 조성물을 사용할 준비가 되면, 상기 고체를 도포 전에 가열하고 용융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응성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를, 이것이 전형적으로 저장되고 분배되는 때의 그의 고체 형태, 및 이것을 도포하기 직전에 용융시킨 후의 그의 액체 형태 둘 다로 포함한다.
도포 후, 물품이 함께 접착하도록,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이것이 고형화되고 비가역적인 고체 형태를 갖는 조성물로 경화되도록 하는 조건으로 처리한다. 비가역적인 고체 형태는 상기에 언급된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로부터 확장된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체 형태를 의미한다. 비가역적인 고체 형태를 갖는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150 ℃ 이하의 온도를 견딜 수 있다. 고형화(응고)는 용융된 핫 멜트 접착제를 실온으로 처리하여 냉각시킬 때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결합 라인에서 다양한 기작을 사용하여 비가역적인 고체 형태로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 반응은 사용가능한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 및 폴리우레탄 전구체의 NCO 기 사이에서 발생한다. 물, 황화수소, 폴리올, 암모니아, 및 다른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리 활성 수소를 갖는 다양한 반응성 화합물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경화 반응은 주변 수분의 존재에 의존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로부터 얻어진 경화된 접착제가 본원에 제공된다.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및 경화된 접착제는 나무, 금속, 중합체성 플라스틱, 유리 및 직물로 만들어진 기판을 갖는 물품을 결합시키기 위해; 급수탑에서, 외부 표면에 결합시키기 위해, 신발의 제조에서, 창문의 제조에서는 광택 화합물로서, 문 및 건축 패널의 제조에서, 및 휴대용 기기 및 디스플레이(HHDD)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및 경화된 접착제는 휴대용 기기 및 디스플레이에 사용된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에서, 다음의 시험을 점도, 결합 강도 및 제거가능성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
점도:
EN ISO 2555에 따라, 100 ℃에서 10 rpm의 스핀들 27을 사용하는 써모셀(Thermosel) 가열 유닛을 구비한 브룩필드 디지털 점도계 RVT.
종래의 방법에 따른 최종 경화 후 24 시간 후에 측정한 실온에서의 조립된 부품(스테인리스 스틸 대 유리; PC 및 ABS로 만들어진 플라스틱(PC/ABS) 대 유리; 및 PC/ABS 대 PC/ABS)의 결합 강도 값.
조립된 부품(스테인리스 스틸 대 유리; PC/ABS 대 유리; 및 PC/ABS 대 PC/ABS)의 노화 후의 결합 강도 값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제거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실시예 A 내지 C 및 E 내지 I) 및 종래의 핫 멜트 접착제(실시예 D)의 제거가능성을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평가하였다:
1.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기판(조립체 부품)을 실내 대기 조건하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
2. 결합된 기판을 80 ℃로 가열된 오븐에 20 분 동안 배치하는 단계;
3. 오븐으로부터 기판을 제거하는 즉시 기판을 탈착하고 손으로 기판(들)에 남아있는 접착제를 벗기도록 시도하는 단계; 및
4. 다음의 척도로 제거가능성을 평가하는 단계:
"좋음"은 접착제 잔류물이 완전히 기판으로부터 벗겨졌음을 의미하며,
"나쁨"은 대부분의 접착제 잔류물을 기판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벗겨낼 수 없었으며 기판의 표면에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재료
이소시아네이트:
4,4'-MDI: 바이엘로부터의 상표명 44C의 상업적 제품.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
공단량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녹는점: 약 100 ℃
수 평균 분자량: 약 30000 g/mol.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2:
공단량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녹는점: 약 120 ℃
수 평균 분자량: 약 50000 g/mol.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3:
공단량체로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녹는점: 약 110 ℃
수 평균 분자량: 약 60000 g/mol.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
디나콜 7130: 크레아노바로부터의 디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및 아디프산을 포함하는 상업적 제품.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
디나콜 7240: 크레아노바로부터의 네오펜틸 글리콜 및 프탈산 무수물, 2-메틸-1,3-프로판디올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상업적 제품.
폴리에테르 폴리올:
N240: 상하이 가오 챠오 페트로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로부터의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상업적 제품.
촉매:
2,2'-디모르폴리노디에틸 에테르(DMDEE): 바스프 에스이(BASF SE)로부터의 상표명 루프라젠(Lupragen)® N106의 상업적 제품.
접착 촉진제: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다우 코닝으로부터의 상표명 자이아미터(XIAMETER)® OFS-6011의 상업적 제품.
열가소성 중합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미쓰비시 페트로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의 상표명 모딕 L100F의 상업적 제품.
제제:
본 발명에 따른 표 1에 나타난 제형예(중량 기준)를 갖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실시예 A 내지 C, 및 E 내지 I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제에서, 모든 폴리올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용융물에 첨가하였으며 균질하고 수분이 없어질 때까지 진공하에서 혼합하였다. 이후 MDI를 첨가하였으며 반응이 1 시간 후 완료될 때까지 진공하에서 100 ℃에서 혼합하여 중합을 진행시켰다. 최종적으로, 첨가제를 첨가하였으며, 얻어진 혼합물을 100 ℃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얻어진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수분에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건조 질소 상부 공간하에서 용기에 배치하였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없는 종래의 반응성 핫 멜트 기술을 나타내는 비교예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D로 나타내었다.
결합 후 일정 시간 동안, 조립된 부품의 실온에서의 결합 강도, 조립된 부품의 승온에서의 결합 강도, 제거가능성, 및 항-노화 성능을 시험하였으며 결과를 표 2 및 3에 열거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1에서, 얻어진 PU 핫 멜트 접착제의 점도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접착제 실시예가 도포하기 용이하며, 따라서 부품 조립에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보여준다.
표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접착제 실시예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기판의 조합에 대해 좋은 결합 강도를 나타냄을 볼 수 있다. 조립체 부품은 실온에서 이러한 결합 강도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실시예 D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각 경우에서 더 나은 실온에서의 결합 강도를 보유한다.
표 3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실시예의 승온에서의 각 결합 강도 값이 놀랍게도 본 발명에서 사용한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D보다 상당히 낮음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각 접착제 실시예는 비교예 D보다 더 나은 제거가능성을 보유한다.
이에 더해, 표 2 및 3에서, 심지어 노화 후에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실온 및 승온에서의 결합 강도 값이 오직 약간만 감소됨을 발견할 수 있으며, 장기간 저장 후의 좋은 안정성을 입증한다.
따라서, 모든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으로 선택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갖는 핫 멜트 접착제의 측면에서, 다음의 성질의 장점을 달성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온에서의 높은 결합 강도, 승온에서의 상당히 낮은 결합 강도, 도포에 적당한 점도, 장기간 사용에 좋은 안정성, 특히 휴대용 기기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편리한 도포 방법 및 다용도 공정.

Claims (17)

  1.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90 내지 140 ℃의 녹는점, 및 20000 내지 8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며,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25000 내지 60000 g/mol,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95 내지 130 ℃의 녹는점을 갖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약 100 ℃의 녹는점 및 약 3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단량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약 120 ℃의 녹는점 및 약 5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단량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약 110 ℃의 녹는점 및 약 6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단량체로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양이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의 총 중량에 기반하여, 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반응물의 반응 생성물이며, 여기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NCO 기 대 폴리올의 OH 기의 몰 비가 1:1 초과,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2.1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관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양이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의 총 중량에 기반하여, 6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 중량%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희석제, 가소제, 충전제, 색소, 경화 촉매, 해리 촉매, 항산화제, 유동 변성제, 염료, 난연제, 억제제, UV 흡수제, 접착 촉진제, 안정화제, 열가소성 중합체, 점착화제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천연 또는 변성 로진; 천연 또는 변성 로진의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천연 또는 변성 테르펜과 방향족 단량체, 페놀, 및 이들의 수소첨가 유도체의 공중합체 및 단독중합체;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및 이들의 수소첨가 유도체; 지환식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수소첨가 유도체; 지방족/방향족 또는 지환족/방향족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첨가 유도체; 및 방향족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임의의 상용성 수지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점착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임의의 올레핀계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에스테르(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에테르, 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들의 유도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및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점도가, 10 rpm의 스핀들 27을 사용하는 브룩필드 디지털 점도계 RVT에 의해 EN ISO 2555에 따라 측정 시, 100 ℃에서 2000 내지 20000 mPas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로부터 얻어진 경화된 접착제.
  16. 액체 형태의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를 제1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제1 기판에 도포한 조성물과 제2 기판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조성물을 냉각시키고 고체 형태로 경화되도록 하는 수분으로 접착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료를 함께 결합시키는 방법.
  17. 나무, 금속, 중합체성 플라스틱, 유리 및 직물로 만들어진 기판을 갖는 물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급수탑에서의, 외부 표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신발의 제조에서의, 창문의 제조에서는 광택 화합물로서, 문 및 건축 패널의 제조에서의, 및 휴대용 기기 및 디스플레이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또는 제15항에 따른 경화된 접착제의 용도.
KR1020167036309A 2014-07-02 2014-07-02 제거가능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및 용도 KR102245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1482 WO2016000222A1 (en) 2014-07-02 2014-07-02 Removable polyurethane hot melt adhesive and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433A true KR20170029433A (ko) 2017-03-15
KR102245051B1 KR102245051B1 (ko) 2021-04-26

Family

ID=5501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309A KR102245051B1 (ko) 2014-07-02 2014-07-02 제거가능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및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90029B2 (ko)
JP (1) JP6408036B2 (ko)
KR (1) KR102245051B1 (ko)
CN (1) CN106536666A (ko)
TW (1) TWI691571B (ko)
WO (1) WO2016000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937B1 (ko) 2015-03-05 2019-05-28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열 성형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EP3199344B1 (en) 2016-02-01 2022-04-13 Henkel AG & Co. KGaA Electrical debonding of pu hot melt adhesives by use of conductive inks
SG11201806831UA (en) 2016-02-18 2018-09-27 Ecolab Usa Inc Solvent application in bottle wash using amidine based formulas
CN109952355B (zh) 2016-11-10 2022-06-14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反应性热熔粘合剂组合物及其用途
EP3424707A1 (de) * 2017-07-07 2019-01-09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elementen mit gezieltem auftragen eines haftvermittlers
CN110799614B (zh) * 2017-08-10 2022-10-21 株式会社可乐丽 聚氨酯热熔粘接剂、使用其的层叠体及层叠体的制造方法
EP3841177A4 (en) 2018-08-23 2022-04-06 Henkel AG & Co. KGaA MOISTURE CURING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
EP3636687A1 (de) * 2018-10-12 2020-04-15 Evonik Operations GmbH Thermisch lösbare reaktivklebstoffe
EP3738991A1 (de) 2019-05-17 2020-11-18 Evonik Operations GmbH Verfahren zum lösen von klebstoffen
CN110184020A (zh) * 2019-06-26 2019-08-30 惠州市德佑威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性能防水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JP7487310B2 (ja) * 2019-12-17 2024-05-20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029453A (zh) * 2020-09-08 2020-12-04 江苏苏美材料股份有限公司 高性能复合互穿软瓷粘结剂
WO2023050032A1 (en) * 2021-09-28 2023-04-06 Henkel Ag & Co. Kgaa Moisture-curable polyurethan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3529A (ja) * 2010-10-01 2013-12-05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ポリアクリレートおよびポリエステルから製造した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9240A (ja) * 1985-11-19 1987-05-30 Toa Nenryo Kogyo Kk 変性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MX173416B (es) * 1986-05-05 1994-03-03 Nat Starch Chem Corp Composiciones adhesivas de fusion en caliente de uretano reactivo, modificadas con acrilico
US5021507A (en) 1986-05-05 1991-06-04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Arcylic modified reactive urethan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US6482878B1 (en) 2000-04-21 2002-11-19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Polyurethane hotmelt adhesives with acrylic copolymers and thermoplastic resins
WO2002081561A1 (fr) * 2001-04-04 2002-10-17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et composition a base d'elastomere
US7829615B2 (en) * 2003-06-09 2010-11-09 Henkel Ag & Co. Kgaa Reactive hot melt adhesives
US20060084755A1 (en) * 2004-10-19 2006-04-20 Good David J Reactive hot melt adhesive with block acrylic copolymer
WO2013016130A2 (en) * 2011-07-22 2013-01-31 H.B. Fuller Company A reactive hot-melt adhesive for use on electronics
TWI534165B (zh) * 2011-10-24 2016-05-21 迪愛生股份有限公司 濕氣硬化型聚胺基甲酸酯熱熔樹脂組成物、接著劑及物品
WO2014015497A1 (en) * 2012-07-26 2014-01-30 Henkel Ag & Co. Kgaa Uv-curing hot melt adhesive containing low content of oligomers
KR101370442B1 (ko) * 2012-11-02 2014-03-10 주식회사 오공 습기경화형 반응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CN103087666B (zh) * 2013-03-05 2014-11-12 河南省科学院化学研究所有限公司 一种反应型聚氨酯热熔密封胶
CN103102863A (zh) * 2013-03-05 2013-05-15 河南省科学院化学研究所有限公司 含有双吗啉聚烷氧基醚催化剂的湿固化聚氨酯热熔胶粘剂
CN103087669B (zh) * 2013-03-05 2014-11-12 河南省科学院化学研究所有限公司 一种用于复合板制造的湿固化聚氨酯热熔胶粘剂
JP6665161B2 (ja) * 2014-08-15 2020-03-13 エイチ.ビー.フラー カンパニー リワーク性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これ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3529A (ja) * 2010-10-01 2013-12-05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ポリアクリレートおよびポリエステルから製造した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36666A (zh) 2017-03-22
JP6408036B2 (ja) 2018-10-17
TWI691571B (zh) 2020-04-21
TW201604253A (zh) 2016-02-01
WO2016000222A1 (en) 2016-01-07
US10190029B2 (en) 2019-01-29
JP2017526764A (ja) 2017-09-14
KR102245051B1 (ko) 2021-04-26
US20170101565A1 (en)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0029B2 (en) Removable polyurethane hot melt adhesive and the use thereof
EP1650282B1 (en) Reactive hot melt adhesive with block acryclic copolymer
US8277601B2 (en) Reactive hot melt adhesive
US9315701B2 (en) Two part hybrid adhesive
JP5893000B2 (ja) シラン湿気硬化性ホットメルト
US7625963B2 (en) Reactive hot melt adhesive with bituminous additive
JP5773652B2 (ja) 湿気硬化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102625370B1 (ko)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03006569A1 (en) Reactive hot melt adhesive
CN114616304A (zh) 用于低温施加的聚氨酯热熔粘合剂
US20030010443A1 (en) Reactive hot melt adhes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