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979A - 주쇄 폴리아민 - Google Patents

주쇄 폴리아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979A
KR20170028979A KR1020177003470A KR20177003470A KR20170028979A KR 20170028979 A KR20170028979 A KR 20170028979A KR 1020177003470 A KR1020177003470 A KR 1020177003470A KR 20177003470 A KR20177003470 A KR 20177003470A KR 20170028979 A KR20170028979 A KR 20170028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ompound
cycloalkyl
cooh
inte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라딥 달
매그너스 베세브
Original Assignee
젠자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자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젠자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2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61K31/787Polymer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95Polymer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4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non-specific disorders of the connecti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8G12/06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and 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06Polyalkylene(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73Polyamines containing heterocyclic moietie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8Polyamido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622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8G73/0627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ly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622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8G73/0638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at least three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G73/0644Poly(1,3,5)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amide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Abstract

주쇄 폴리아민은 폴리머 골격을 따라 아민 기 및 암모늄 기를 포함한다. 주쇄 폴리아민은 약제학적 제제로서 그리고 약제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주쇄 폴리아민은 점막염 및 감염증, 상세하게, 구강 점막염 및 수술 부위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주쇄 폴리아민{MAIN CHAIN POLYAMIN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7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023,330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하고, 이의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연방정부 후원에 의한 연구에 대한 진술
해당사항 없음
공동 연구 계약에 대한 당사자의 명칭
해당사항 없음
컴팩트 디스크로 제출된 자료의 상호 참조
해당사항 없음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주쇄 폴리아민에 관한 것이다. 주쇄 폴리아민은 폴리머 사슬을 따라 아민 기 및 암모늄 기를 포함한다. 주쇄 폴리아민은 다양한 감염증의 치료를 위한 항미생물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제제로서의 및 약제 조성물에서의 주쇄 폴리아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점막염(mucositis)은 소화관에서의 점막의 염증 및/또는 궤양으로서 규정된다. 점막염은 위, 창자 및 구강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질병은 점막의 파괴에 의해 특징되는 것으로서, 발적(redness), 부기(swelling), 및/또는 궤양성 병소의 형성을 초래한다.
구강 점막염(oral mucositis)은 암에 대한 약물 및 방사선 요법의 일반적인 용량-제한 독성이다. 이는 어느 정도 항-종양 약물 요법을 수용하는 모든 환자의 1/3 이상에서 발생한다. 과립 백혈구 감소 환자(granulocytopenic patient)에서, 점막염을 동반하는 궤양은 패혈증(sepsis) 또는 균혈증(bacteremia)에 이르게 하는 자생 경구 박테리아에 대한 흔한 침입구이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1 백만회의 구강 점막염이 발생한다. 점막염은 또한, 구내염(canker sore) 또는 구강 궤양(mouth ulcer)의 경우에서와 같이, 항암 요법을 수용하지 않은 건강한 환자에서 자발적으로 발달하는 점막염을 포함한다. 점막염을 치료하기 위한 개선된 치료법이 요구된다.
수술 부위 감염증(surgical site infeaction; SSI)은 수술 절차와 관련된 감염증이다. 수술후 SSI는 수술 환자에서 병의 주요 원인으로서, 이는 보다 덜 일반적으로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Nichols RL, 2001]. 문헌[Th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Surgical Site Infection (1999)]에는 SSI를 예방하기 위한 제안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 환자의 적절한 준비, 수술팀에 대한 소독, 전염되는 감염성 병의 징후를 나타내는 수술 인원의 관리, 및 항균성 예방을 포함하는 수술전 조치.
● 수술방에서의 적절한 환기, 수술 환경에서의 표면의 세정 및 소독, 미생물학적 샘플링, 수술 기구의 멸균, 적절한 수술 복장 및 드레이프(drape), 및 적절한 무균관리 및 수술 기술을 포함하는 수술간 조치.
● 멸균 붕대 및 붕대 교체 전 및 후에 손 세척을 포함하는 적절한 수술후 절개부 관리.
● 치유 과정 동안 수술 상처의 지속적인 감시.
이러한 제안에도 불구하고, SSI는 수술을 한 환자 100명 당 약 1 내지 3명에게서 발달하고 있다[CDC.gov, 2011]. 이러한 감염증은 수술후 병원 체류 비용 및 기간을 증가시키는 주요 합병증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SSI를 완화시키기 위한 신규한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 CF)은 비정상적으로 진해지고 끈적이는 점액을 야기시키는 낭포성 섬유증 막관통 전도체 조절제(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or regulator; CFTR) 단백질에서의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 질환이다[Yu Q, et al., 2012]. CF 환자의 진하고 끈적이는 점액은 저하된 점액 제거율 및 폐 감염증을 초래한다. 만성 기도 감염증은 CF의 가장 일반적이고 약화시키는 징후들 중 하나이다[Tuemmler B and C Kiewitz, 1999]. 침체된 점액은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와 같은 박테리아에 대한 번식지가 되는데, 이는 만성 기도 감염증을 야기시킨다[Moreau-Marquis S, GA O'Toole and BA Stanton, 2009]. CF 환자에서 전통적인 항박테리아 치료법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CF 환자는 십대 및 성인에서 만성 P. 에어루지노사 감염증에 걸리며, 이환율 및 사망률을 증가시킨다[Hoiby N, B Frederiksen B, T Pressler, 2005]. 만성 P. 에어루지노사 감염증에서, P. 에어루지노사는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항생제에 대한 내성의 증가 및 치료의 어려움의 증가를 초래한다[Yu Q, et al., 2012]. CF 환자에서 박테리아 감염증 및 바이오필름 형성의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이고 신규한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미노"는 질소 원자 및 1 내지 2개의 수소 원자를 갖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아미노"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1차, 2차 또는 3차 아민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맥락을 고려하여 이의 식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아민" 또는 "아민 기" 또는 "암모니아 기"는 암모니아(NH3)로부터 유래된 질소 원자를 함유한 작용기를 의미한다. 아민 기는 1차 아민일 수 있는데, 이는 질소가 두 개의 수소 원자,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 기 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를 함유한 하나의 치환기에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민 기는 2차 아민일 수 있는데, 이는 질소가 하나의 수소 원자, 및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 기 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를 포함하는 두 개의 치환기에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민 기는 3차 아민일 수 있는데, 이는 질소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 기 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를 포함하는 세 개의 치환기에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민 기는 또한 4차 아민일 수 있는데, 이는 명시된 아민 기가 제4의 기에 결합되어, 양으로 하전된 암모늄 기를 형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미드 기"는 질소에 연결된 카보닐 기를 포함하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카보닐 기"는 (C=O)로 표현되는, 산소 원자에 이중 결합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용어 "알칸"은 단일 결합에 의해 결합된 포화된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알칸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사이클로알칸"은 단일 결합에 의해 결합된 포화된 탄화수소 고리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1-C10)알킬"은 필수적으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대응하는 수의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 또는 환형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형 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또는 더욱 통상적으로 1 내지 5개의 탄소를 갖는다. 대표적인 (C1-C10)알킬 기는 메틸(-CH3로 표현됨), 에틸(-CH2-CH3로 표현됨),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등을 포함한다. 다른 (C1-C10)알킬 기는 본 명세서의 이점을 고려해 볼 때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2-C9)헤테로알킬"은 필수적으로 2 내지 10개의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 또는 환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원자들 중 2 내지 9개는 탄소이며, 나머지 원자(들)는 질소, 황, 인 및 산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대표적인 (C2-C9)헤테로알킬 기는 본 명세서의 이점을 고려해 볼 때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3-C10)사이클로알킬"은 필수적으로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상응하는 수의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는, 비방향족 포화된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C3-C10)사이클로알킬 기는 모노시클릭 또는 다중시클릭일 수 있다. 다중시클릭 사이클로알킬 기의 개개 고리는 공유 결합 치환 이외에, 상이한 연결성(connectivity), 예를 들어 융합된, 브릿징된, 스피로 연결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대표적인 (C3-C10)사이클로알킬 기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노르보르나닐, 바이사이클로-옥타닐, 옥타하이드로-펜탈레닐, 스피로-데카닐, 사이클로부틸로 치환된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펜틸로 치환된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프로필로 치환된 사이클로헥실, 등을 포함한다. 다른 (C3-C10)사이클로알킬 기는 본 명세서의 이점을 고려해 볼 때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는 3 내지 10개의 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고리 원자들 중 2 내지 9개는 탄소이며, 나머지 고리 원자(들)는 질소, 황, 및 산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기는 모노시클릭 또는 다중시클릭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시클릭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기의 개개 고리는 공유 결합 치환 이외에, 상이한 연결성, 예를 들어 융합된, 브릿징된, 스피로 연결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대표적인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기는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디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피라닐, 티오피라닐, 아지리디닐, 아제티디닐, 옥시라닐, 메틸렌디옥실, 크로메닐, 바르비투릴, 이속사졸리디닐, 1,3-옥사졸리딘-3-일, 이소티아졸리디닐, 1,3-티아졸리딘-3-일, 1,2-피라졸리딘-2-일, 1,3-피라졸리딘-1-일, 피페리디닐, 티오모르폴리닐, 1,2-테트라하이드로티아진-2-일, 1,3-테트라하이드로티아진-3-일, 테트라하이드로티아디아지닐, 모르폴리닐, 1,2-테트라하이드로디아진-2-일, 1,3-테트라하이드로디아진-1-일, 테트라하이드로아제피닐, 피페라지닐, 피페리진-2-오닐, 피페리진-3-오닐, 크로마닐, 2-피롤리닐, 3-피롤리닐, 이미다졸리디닐, 2-이미다졸리디닐, 1,4-디옥사닐, 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타닐, 3-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타닐, 3,8-디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타닐, 2,5-디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타닐, 2,5-디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타닐, 옥타하이드로-2H-피리도[1,2-a]피라지닐, 3-아자바이사이클로[4.1.0]헵타닐, 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 2-아자스피로[4.4]노나닐, 7-옥사-1-아자-스피로[4.4]노나닐, 7-아자바이사이클로[2.2.2]헵타닐, 옥타하이드로-1H-인돌릴, 등을 포함한다.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기는 통상적으로,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통해 주요 구조에 부착된다. 다른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기는 본 명세서의 이점을 고려해 볼 때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용어 "지방족 기" 또는 "지방족"은 탄소 및 수소로 이루어진 비-방향족 기를 의미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중 및/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기는 직쇄, 분지형 또는 환형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약 2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아릴 기"는 "아릴," "아릴 고리," "방향족," "방향족 기," 및 "방향족 고리"와 교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릴 기는 통상적으로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카보시클릭 방향족 기를 포함한다. 아릴 기는 또한 헤테로아릴 기를 포함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 내지 14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6-C14)아릴"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는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작용기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2-C9)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는 5 내지 10개의 원자를 갖는 방향족 작용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고리 원자들 중 2 내지 9개는 탄소이며, 나머지 고리 원자(들)는 질소, 황, 및 산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C2-C9)헤테로아릴 기는 모노시클릭 또는 다중시클릭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시클릭 헤테로아릴 기의 개개 고리는 공유 결합 치환 이외에, 상이한 연결성, 예를 들어 융합된 연결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대표적인 (C2-C9)헤테로아릴 기는 푸릴, 티에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피롤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이미다졸릴, 1,3,5-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3,5-티아디아졸릴, 1,2,3-티아디아졸릴, 1,2,4-티아디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1,2,4-트리아지닐, 1,2,3-트리아지닐, 1,3,5-트리아지닐, 피라졸로[3,4-b]피리디닐, 신놀리닐, 프테리디닐, 푸리닐, 6,7-디하이드로-5H-[1]피린디닐, 벤조[b]티오페닐, 5,6,7,8-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3-일,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소티아졸릴, 벤즈이소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티아나프테닐, 이소티아나프테닐, 벤조푸라닐, 이소벤조푸라닐, 이소인돌릴, 인돌릴, 인돌리지닐, 인다졸릴, 이소퀴놀릴, 퀴놀릴,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및 벤즈옥사지닐, 등을 포함한다. (C2-C9)헤테로아릴 기는 통상적으로, 탄소 원자를 통해 주요 구조에 부착되지만, 당업자는 특정의 다른 원자, 예를 들어 헤테로 고리 원자가 주요 구조에 부착될 수 있을 때를 인식할 것이다. 다른 (C2-C9)헤테로아릴 기는 본 명세서의 이점을 고려해 볼 때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 아민"은 (C1-C10)알킬 아민 및 ((C1-C10)알킬)2 아민으로 표현되는, 하나의 수소 원자 대신에 1차, 2차 또는 3차 아민 기를 함유한 (C1-C10)알킬을 의미한다.
용어 "알킬 에스테르"는 -O(O)C-(C1-C10)알킬로 표현되는, 하나의 수소 원자 대신에 에스테르 기를 함유한 (C1-C10)알킬을 의미한다.
용어 "알킬 산"은 (C1-C10)알킬-COOH로 표현되는, 하나의 수소 원자 대신에 카복실산 기를 함유한 (C1-C10)알킬을 의미한다.
용어 "지방족 산"은 (C3-C10)사이클로알킬-COOH로 표현되는, 비방향족 탄화수소의 산을 의미한다.
용어 "할로"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 또는 아스타틴(At) 이온을 의미한다.
용어 "메톡시"는 -(O)CH3으로 표현되는, 하나의 수소 원자 대신에 산소를 함유하는 (C1)알킬을 의미한다.
용어 "폴리올"은 다수의 하이드록실(-OH) 기를 함유한 알코올을 의미한다.
"치환된"은 알킬, 헤테로시클릭 또는 아릴 기에서의 탄소를 하나 이상의 비-탄소 치환체로 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탄소 치환체는 질소, 산소, 인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
"비치환된"은 기가 단지 수소 및 탄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폴리머"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분자를 의미한다. 용어 "반복 단위" 또는 "모노머"는 폴리머에서 여러번 반복하거나 나타나는 폴리머에서의 기를 의미한다. 폴리머는 반복 단위들 또는 "코모노머들"이 화학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서로 상이한 경우 코폴리머일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은 약제학적 용도를 위해 적합한 음이온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은 할라이드, 카보네이트, 비카보네이트, 설페이트, 비설페이트, 하이드록사이드, 니트레이트, 퍼설페이트, 설파이트,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시트레이트, 디하이드로겐 시트레이트, 하이드로겐 시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타우로콜레이트, 글리코콜레이트, 및 콜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는 약제학적 용도를 위해 적합한 말단 기를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의 예는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구아니디노 기,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구아니디노벤젠 기, 디히드록시 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아니디노 기"는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된다:
[화학식 A]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이다.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는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된다:
[화학식 B]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이다.
"구아니디노벤젠 기"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된다:
[화학식 C]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이다.
"디히드록시 기"는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된다:
[화학식 D]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된다:
[화학식 E]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이다.
기술된 주쇄 폴리아민의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치료할 특정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 및/또는 예방 효과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 예를 들어 점막염, 구강 점막염, 감염증 및 수술 부위 감염증, 및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과 관련된 증상들의 예방 또는 감소를 야기시키는 양이다. 투여되는 기술된 주쇄 폴리아민의 정확한 양은 치료할 점막염 또는 감염증의 타입 및 중증도, 및 개체의 특징, 예를 들어 일반적인 건강, 연령, 성별, 체중, 및 약물에 대한 내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관련 분야
해당사항 없음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I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IV)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V)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V]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V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VI]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V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VII]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VI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VIII]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IX)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X]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X)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X]
Figure pct00015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X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XI]
Figure pct00016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X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XII]
Figure pct00017
상기 식에서,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P이며;
Z는 NH, O, 또는 S이며;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f 및 Rg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거나, Rf 및 Rg는 이러한 것에 결합된 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4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4원 내지 10원 고리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C1-C10)알킬-C(O)O-, COOH-(C1-C10)알킬, COOH-(C3-C10)사이클로알킬, (C1-C10)알킬-O-, -OH, -NH2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점막염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강 점막염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감염증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술 부위 감염증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감염증은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Pseudomonas aeruginosa lung infection)이다. 본 발명은 또한,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바이오필름(biofilm)은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에 존재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점막염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강 점막염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감염증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술 부위 감염증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감염증은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이다. 본 발명은 또한,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바이오필름은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에 존재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면(들)의 여러 도들의 간단한 설명
해당사항 없음
본 발명은 신규한 주쇄 폴리아민에 관한 것이다. 주쇄 폴리아민은 구조가 다양한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로서, 폴리머 골격을 따라 아민 기 및 암모늄 기를 포함한다.
주쇄 폴리아민은 아민 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며, 아민 기는 2차, 3차, 및 4차 암모늄 기일 수 있다. 아민 기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쇄 폴리아민은 다양한 분자량을 갖는다.
주쇄 폴리아민은 수용성이다.
본 발명은 주쇄 폴리아민의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미생물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로서의 주쇄 폴리아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점막염 및 감염증을 주쇄 폴리아민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쇄 폴리아민, 및 주쇄 폴리아민의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여러 투약 형태로 그리고 전신 또는 국소 투여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감염제로서의 주쇄 폴리아민, 및 주쇄 폴리아민의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주쇄 폴리아민, 및 주쇄 폴리아민의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점막염, 감염증, 및 상세하게, 수술 부위 감염증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진균, 및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쇄 폴리아민은 또한, 다양한 생체의학 디바이스(biomedical device)의 표면 및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한 다른 표면을 코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I)의 구조를 포함하는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18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포함하는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19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III)의 구조를 포함하는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20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IV)의 구조를 포함하는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21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V)의 구조를 포함하는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화학식 V]
Figure pct00022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VI)의 구조를 포함하는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VI]
Figure pct00023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VII)의 구조를 포함하는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화학식 VII]
Figure pct00024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VIII)의 구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VIII]
Figure pct00025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IX)의 구조를 포함한다:
[화학식 IX]
Figure pct00026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하기 화학식 (X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XI]
Figure pct00027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X)의 구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X]
Figure pct00028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XII)의 구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XII]
Figure pct00029
상기 식에서,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P이며;
Z는 NH, O, 또는 S이며;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f 및 Rg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거나, Rf 및 Rg는 여기에 부착된 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4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4원 내지 10원 고리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C1-C10)알킬-C(O)O-, COOH-(C1-C10)알킬, COOH-(C3-C10)사이클로알킬, (C1-C10)알킬-O-, -OH, -NH2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폴리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머는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반복 단위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코폴리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코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다른 코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또는 다른 중합 가능한 기와 공중합되는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 또는 표 2에 제시된 주쇄 폴리아민을 형성시키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위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코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2개 내지 10,000개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2개 내지 50개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약 2개 내지 25개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2개 내지 40개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5개 내지 30개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5개 내지 25개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약 25,000 g/mol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약 10,000 g/mol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약 9,000 g/mol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약 5,000 g/mol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약 3,000 g/mol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약 10,000 g/mol 내지 약 3,0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Rx 및 Ry)로 독립적으로 종결된다.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XII) 중 임의 하나에 따른 주쇄 폴리아민은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구아니디노 기,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구아니디노벤젠 기, 디히드록시 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말단 기(Rx 및 Ry)로 종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반복 단위의 수 및 분자량은 주쇄 폴리아민의 합성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주쇄 폴리아민을 제조하는 방법, 및 반복 단위 및 분자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은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다.
[표 1]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요망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당업자는 개체 및 치료될 질환에 따라 주쇄 폴리아민의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은 모든 형태의 점막염의 치료에서 사용되고, 구강 점막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때에 특히 효과적이다. 치료는 기술된 주쇄 폴리아민의 예방학적 및 치료학적 용도, 및 기술된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요망되는 예방 효과는 주쇄 폴리아민 또는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적용 또는 투여를 통한, 점막염의 예방 및 억제, 점막염의 중증도의 감소, 점막염 병소 크기의 감소, 및 점막염 발달 가능성의 감소를 포함한다. 요망되는 치료 효과는 점막염과 관련된 불편(discomfort)의 개선, 및/또는 점막염 병소의 증가된 치유 속도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주쇄 폴리아민, 및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모든 형태의 SSI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치료는 기술된 주쇄 폴리아민의 예방학적 및 치료학적 용도, 및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기술된 약제 조성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요망되는 예방학적 용도는 SSI를 발달시킬 가능성을 방지하고/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수술 후 수술 상처에 주쇄 폴리아민, 또는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즉시 투여이다. 다른 요망되는 예방학적 용도는 SSI를 발달시킬 가능성을 방지하고/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수술 전에 주쇄 폴리아민 또는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투여이다. 요망되는 치료 효과는 주쇄 폴리아민 또는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적용 또는 투여를 통해 존재하는 SSI의 치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쇄 폴리아민은 단독으로 또는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약제 조성물은 주쇄 폴리아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가 투여되는 형태, 예를 들어, 분말, 정제, 캡슐, 용액, 또는 에멀젼은 투여되는 경로에 일부 의존한다. 주쇄 폴리아민은 예를 들어, 국소적으로, 경구로, 비강내로, 에어로졸에 의해 또는 직장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 예를 들어 젤라틴, 알부민, 락토오즈, 전분, 안정화제, 용융제(melting agent), 에멀젼화제, 염 및 완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국소 제형, 예를 들어, 연고, 크림 및 젤을 위한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알부민, 메틸 셀룰로오즈, 또는 콜라겐 매트릭스가 보충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불활성 젤 또는 액체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주쇄 폴리아민 및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약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쇄 폴리아민 및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과 조합하여 투여되는 추가적인 약물은 점막염 및 SSI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예방학적으로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항생제 및 다른 화합물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약물은 주쇄 폴리아민 또는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과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추가적인 약물은 또한, 주쇄 폴리아민 또는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과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주쇄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또한, 점막염 및 SSI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예방학적으로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시험관내 연구
실시예 1-1: 세포독성 검정, RPTEC 세포
포유류 세포의 세포독성 검정을 인간 신장 근위 세뇨관 상피 세포(RPTEC-Cambrex CC-2553)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서 3,000개 세포/웰(RPTEC)로 플레이팅하고,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을 웰에 첨가하고, 세포를 4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알로마 블루(Alomar Blue)를 한 세트의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을 첨가할 때(시간 0)에 그리고 연구 종결 시에 플레이트를 판독하였다. 제조업체 설명서에 따라 530 nm(여기) 및 590 nm(방출)를 이용하여 형광을 판독하였다. 50% 억제 농도(IC50)를 최대 신호에서 시간 0에서의 수치를 뺀 수치의 50%로서 계산하였다.
표 2는 선택된 화합물에 대한 신장 근위 세뇨관 상피 세포 IC50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2: 세포독성 검정, 인간 폐 상피 세포
인간 폐 상피 세포에 대한 폴리머의 세포독성을 인간 폐 상피 암종 세포주(A 549 -ATCC # CCL-185)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서 5% CO2와 함께 7℃에서 9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CellTiter-Glo®(Promega) 시약을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제조업체의 제시된 프로토콜에 따라 루시페린과 ATP의 루시페라제 촉매화된 반응으로부터 발생하는 발광을 측정하여 플레이트를 판독하였다. ATP의 농도는 세포 생존율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며, 이에 따라, 보다 높은 발광은 높은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다.
표 2는 선택된 화합물에 대한 인간 폐 상피 세포 IC50을 나타낸다.
실시예 1-3: 적혈구 용해 검정
1%의 적혈구 용적율(hematocrit)에서 새로이 세척된 적혈구를 함유한 둘베코의 포스페이트-완충된 염수 중에서 화합물을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에, 플레이트를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평평한 바닥의 96-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상청액을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QuantiChrom 헤모글로빈 키트를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IC50 값을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표 2는 선택된 화합물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1-4: 최소 억제 농도 검정
최소 억제 농도(MIC) 검정은 인큐베이션 후에 시험 유기체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항균제의 가장 낮은 농도를 결정한다. MIC 검정을 항균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식별하기 위하여 유기체의 내부 표준 패널에 대해 수행하였다. MIC 검정을 이후에 다른 특수 미생물 패널(specialized microbial panel)에 대해 반복하였다. 검정을 하기 임상학적으로 관련된 미생물에 대해 수행하였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ubsp.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subsp . aureus),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스(Staphylococcus epidermis), 에셰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 및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ius influenza). 화합물을 살세균 활성(bacteriocidal activity), 사멸 시간 과정, 시험관내에서 성장된 조직 배양 세포에 대한 독성에 대해 시험하였고, 일부 경우에서, 생체 내에서의 항균 활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MIC 검정을 문헌[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2006, vol. M100-S15, Fifteenth Informational Supplement, NCCLS, 940 West Valley Road, Suite 1400, Wayne, PA 19087]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된 폴리머를 0.85% 염수에서, 830 ㎍/mL 또는 1000 ㎍/mL 중 어느 하나의 최종 농도로 용해시키고,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이후에 0.22 ㎛ 필터를 통해 필터-멸균시켰다. 폴리머의 2배 계열 희석을 96-웰 미세적정 플레이트에 분취된 양이온을 갖는 Mueller-Hinton 브로쓰(broth)에서 제조하였다. 플레이트를 이후에 5 × 105 세포/mL의 타겟 유기체로 접종하고, 35℃에서 18 내지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광학 밀도(OD)를 590 nm에서 판독하고, 미생물 성장에 점수를 매겼다(OD > 0.1은 성장하는 것으로 여겨짐; OD < 0.1는 성장 억제된 것으로 여겨짐). MIC 값은 성장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가장 낮은 농도이다. 이에 따라, 보다 높은 MIC 값은 보다 낮은 효능을 지시하며, 여기서 보다 낮은 MIC 값은 보다 높은 효능을 지시한다.
임상학적으로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대표적인 주쇄 폴리아민의 MIC 값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
대표적인 주쇄 폴리아민의 시험관내 결과
세포독성 검정 [신장 상피 IC50], 적혈구 용해 검정 [용혈 IC50], 및 임상적으로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MIC 수치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실시예 2: 생체내 연구
실시예 2-1: 독성-최대 내성 용량
화합물의 최대 내성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급성, 24시간, 독성 연구를 대략 8주령 내지 10주령의 수컷 랫트 및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동물을 표준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 한 마리씩 수용하고, 일반 음식물(normal chow diet)을 공급하였다. 1주의 새 환경 적응 이후에, 화합물을 통상적으로 PBS 비히클 중의 단일 복강내(I.P.) 또는 정맥내(I.V.)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용량은 일반적으로 1 mg/kg 내지 400 mg/kg 정도로 높은 범위였다. 투약후 1시간 동안, 그리고 이후에 투약후 6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동물을 통증의 징후, 고통, 및 독성의 국소 또는 전신 징후에 대해 관찰하였다. 24시간 후-투여 다음날에, 동물을 희생시키고, 혈액을 혈청 화학 분석을 위해 제거하였다. 수행된 혈청 화학 분석은 ALT, AST, 크레아티닌 및 우레아 질소를 포함한다. 주요 장기들을 비정상적 징후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3은 선택된 투여 경로에서 선택된 시험 화합물에 대한 최대 내성 용량(MTD)을 나타낸 것이다.
[표 3]
최대 내성 용량(MTD)
Figure pct00045
실시예 3: 주쇄 폴리아민의 합성
실시예 3-1: 폴리(1,3-비스(1,6-디메틸렌피리딘) 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 디피페리딘을 3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642 mg의 2,6 피리딘 디카르브알데히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0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fluffy)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 폴리(1,3-비스(1,5-디메틸벤젠) 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 디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638 mg의 이소프탈알데히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0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 폴리(1,3-비스 N-(1,4-디메틸벤젠) 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 디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638 mg의 테레프탈디카르브알데히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0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4: 폴리(1,3-비스 N-(디메틸렌) 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 디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441 mg의 40 중량% 수성 글리옥살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0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5: 폴리(1,3-비스(1,4-사이클로헥실) 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553 mg 1,4-사이클로헥산디온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0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6: 폴리 (1,3- 비스(1-펜틸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537 g의 70 중량%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8.05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7: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 (1,3- 비스(1-펜틸피페리딘-4-일)프 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506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고, 이후에, 1.9 g의 50 중량%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8.05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8: 폴리((1,1'-디펜틸)-4,4-디피페리딘)의 합성
1 그램(1 g)의 4,4'-비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774 mg의 글루타르알데히드를 70% 수용액으로서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4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9: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 (1,1'- 디펜틸 )-4,4- 디피페리딘 )의 합성
1 그램(1 g)의 4,4'-비피페리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126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고, 이후에, 1.49 g의 50 중량%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30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10: 4 -(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리(1,3-비스(1-펜틸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실시예 3- 10(a): 4 -(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N-피페리딘-4-일메틸)-2,5,8,11-테트라옥사테트라데칸-14-아미드)의 합성
1.05 g의 상업적 4,7,10,13-테트라옥사테트라데칸산에, 10 mL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중 2,5-디옥소-1-피롤리디닐 에스테르, 1.32 mL 트리에틸아민, 이후에, 675 mg의 1-boc-4-(아미노메틸)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DMF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잔부를 순수한 디클로로메탄에서 10%(v/v) 메탄올/디클로로에탄까지의 구배로 실리카를 통해 정제하였다.
860 mg의 3차-부틸 4-(14-옥소-2,5,8,11-테트라옥사-15-아자헥스데칸-16-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를 10 mL 디옥산에 용해시키고, 4 mL의 디옥산 중 4M 염산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옥산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50 mL 물과 혼합하였다. 수용액을 4M 소듐 히드록사이드와 혼합하고, 얻어진 침전물을 50 mL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수상을 50 mL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더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실시예 3- 10(b): 4 -(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1,3-비스(1-펜틸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34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르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530 mg의 4-(테트라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피페리딘(실시예 3-10(a))을 첨가하고, 이후에, 1.59 g의 50 중량%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74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11: 4 -( 도데카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1,3-비스(1-펜틸피페리딘-4-일) 프로판)의 합성
실시예 3- 11(a): 4 -( 도데카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N-(피페리딘-4-일메틸)-2,5,8,11,14,17,20.23,26,29,32,35-도데카옥사옥타트리아콘타인-38-아미드)의 합성
10 mL DMF 중 910 g의 상업적 1-[(38-옥소-2,5,8,11,14,17,20,23,26,29,32,35-도데카옥사옥타트리아콘탄-38-일)옥시]피롤리딘-2,5-디온에 555 ㎕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이후에, 284 mg의 1-boc-4-(아미노메틸)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밤새 교반하였다. DMF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순수한 디클로로메탄에서 10% (v/v) 메탄올/디클로로메탄까지의 구배로 실리카를 통해 정제하였다.
990 mg의 3차-부틸 4-(38-옥소-2,5,8,11,14,17,20,23,26,29,32,35-도데카옥사-39-아자테트라콘탄-40-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를 10 mL 디옥산에 용해시키고, 4 mL의 디옥산 중 4M 염산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후에, 디옥산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50 mL 물과 혼합하였다. 수용액을 4M 소듐 히드록사이드와 혼합하고, 얻어진 침전물을 50 mL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수상을 50 mL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더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실시예 3- 11(b): 4 -( 도데카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1,3-비스(1-펜틸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307 m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르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250 mg의 4-(도데카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피페리딘(실시예 3-11(a))을 첨가하고, 이후에, 366 mg의 50 중량%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12: 4 -( 트리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1,1'-디펜틸)-4,4'-디피페리딘)의 합성
100 mg의 4,4'-비스피페르딘을 15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50 mg의 4-(트리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피페리딘을 첨가하고, 이후에, 106 mg의 70 중량%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30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13: 4 -( 도데카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리((1,1'-디펜틸)-4,4-디피페리딘)의 합성
100 mg의 4,4'-비스피페르딘을 15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102 mg의 4-(4-(도데카에틸렌글리콜 아미도메틸)-피페리딘(실시예 3-11(a))을 첨가하고, 이후에, 70%로서의 글루타르알데히드의 70 중량% 수용액 106 mg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30 m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14: 폴리 (1,3- 비스(1-부틸피페리딘-4-일)프로판의 합성
1 그램(1 g)의 숙신알데히드 비스(디메틸 아세탈)을 실온에서 90분 동안 1.06 mL의 물 및 3 mL의 아세트산과 함께 교반하였다.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르딘 및 101 mg의 피페리딘을 30 mL THF에 용해시켰다. 숙신알데히드 용액을 반응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4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15: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 ( N 1 ,N 6 -디메틸- N 1 ,N 6 - 디펜틸헥산 -1,6-디아민)의 합성
1 그램(1 g)의 N,N'디메틸-1,6-헥산디아민을 35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1.24 g의 글루타르알데히드를 70% 수용액으로서 첨가하고, 이후에, 151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87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16: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 ( N 1 ,N 6 -디메틸- N 1 ,N 6 - 디부틸헥산 -1,6-디아민)의 합성
1.54 g의 숙신알데히드 비스(디메틸 아세탈)(1 g)을 실온에서 120분 동안 1.54 mL의 물 및 3 mL의 아세트산과 함께 교반하였다. 1 그램(1 g)의 4,4'-N,N'디메틸-1,6-헥산 디아민 및 148 mg의 피페리딘을 30 mL THF에 용해시켰다. 숙신알데히드 용액을 반응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7.3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이때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17: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 ( N 1 ,N 6 -디메틸- N 1 ,N 6 - 디에틸헥산 -1,6-디아민)의 합성
1 그램(1 g)의 N,N'디메틸-1,6-헥산디아민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1.25 g의 글리옥살을 40% 수용액으로서 첨가하고, 이후에, 148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7.3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물을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이후에, pH를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14까지 조절하고, 이 때에, 오일상 물질을 분리하였다. 오일상 물질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18: 폴리(N-(4-에틸아미노부틸)-N- (3- 에틸아미노프로필 ) 프로판아미드 )의 합성
실시예 3-18(a): N 1 ,N 8 - 디(3차-부톡시카보닐)스페르미딘의 합성
24.56 g의 1,1'-카보닐디이미다졸을 500 mL의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1.7 g의 칼륨 히드록사이드 및 11.25 g t-부탄올을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60℃까지 가열하였다. 11 g의 스페르미딘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추가 3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이후에,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켰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 회전-진공(roto-vap)에 의해 제거하고, 고형물을 200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100 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4회 추출하였다. 추출물들을 합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율은 20.22 g의 N1,N8-디(3차-부톡시카보닐)스페르미딘이었다.
실시예 3-18(b): N-(4-N-(3차- 부톡시카보닐 ) 아미노부틸 )-N-(3-N-(3차- 부톡시카보닐 )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의 합성
856 mg의 프로피온산을 40 mL DMF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1.72 g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을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으로 펌핑시키고, 질소 대기를 도입하였다. 진공화 및 질소 대기의 도입을 반복하였다. 반응을 얼음물 베쓰와 함께 0℃까지 냉각시켰다. 1.61 g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 g의 N1,N8-디(3차-부톡시카보닐)스페르미딘(실시예 3-18(a))을 첨가하고, 직후에, 1.94 g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에 걸쳐 주변 온도까지 가온시켰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100 mL의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백색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유기물을 25 mL 염수로 추출하고(3회), 이후에, 25 mL의 10% 시트르산으로 추출하고, 마지막으로, 25 mL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추출하고, 이후에, 1시간 동안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추가 정제를 50 g 실리카 컬럼을 이용하여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하였다(1 CV = 66 mL, 1 분획 = 22 mL, 50 mL/min).
컬럼을 3 CV 5% 에틸 아세테이트/95% 헥산으로 프라이밍하였다. 구배를 1 CV 동안 5% 에틸 아세테이트/95% 헥산에서 유지시키고, 이후에, 10 CV에 걸쳐 100% 에틸 아세테이트까지 증가시키고, 2 CV 동안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유지시켰다. 생성물을 TLC에 의해 분획 23 내지 분획 31에서 확인하였다. 분획들을 합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율은 1.98 g N-(4-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틸)-N-(3-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이었다.
실시예 3-18(c): N-(4- 아미노부틸 )-N-(3- 에틸아미노프로필 )- 프로판아미드의합성
1.98 g의 N-(4-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틸)-N-(3-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를 20 mL의 1,4-디옥산 중 4M 염산에 용해시키고,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고, 75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 14까지 조절하고, 50 mL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합하고, 1시간 동안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율은 456 mg의 N-(4-아미노부틸)-N-(3-에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이었다.
실시예 3-18(d): 폴리 (N-(4- 에틸아미노부틸 )-N-(3- 에틸아미노프로필 )- 프로판아미드 )
456 mg의 N-(4-아미노부틸)-N-(3-에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를 3 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211 mg의 글리옥살을 40% 수용액으로서 용액에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 mL의 메탄올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45℃까지 가열하였다. 644 mg의 소듐 보로히드라이드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격렬한 버블링이 일어났다. 가열을 1.5시간 동안 계속하고, 이후에, 이를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켰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25 mL의 물을 반응에 첨가하고, 진한 염산을 용해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를 첨가하여 14의 pH를 얻었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여러 차례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들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1M 염산으로 처리하고, 그 후에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켜 에멀젼을 용해시켰다. pH를 1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반응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를 4회 반복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10 KDa 및 <10 KDa의 분획들을 수득한다. 각 분획을 냉동시키고, 동결건조기 상에 배치시켜 건조시켰다. 거품 같은 백색 고형물을 각 분획에 대해 수득하였다.
실시예 3-19: 폴리(N-(4-에틸아미노부틸)-N- (3- 에틸아미노프로필 ) 부탄아미드 )의 합성
실시예 3-19(a): N-(4-N-(3차- 부톡시카보닐 ) 아미노부틸 )-N-(3-N-(3차- 부톡시카보닐 )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의 합성
1.02 g의 부티르산을 40 mL DMF에 용해시켰다. 1.72 g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을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으로 펌핑시키고, 질소 대기를 도입하였다(2회 반복). 반응을 얼음물 베쓰로 0℃까지 냉각시켰다. 1.61 g의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 g의 N1,N8-디(3차-부톡시카보닐)스페르미딘을 첨가하고, 직후에 1.94 g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에 걸쳐 주변 온도까지 가온시켰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100 mL의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백색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용액을 여과하고, 유기물을 25 mL 염수로 추출하고(3회 반복), 이후에 25 mL의 10% 시트르산 및 이후에 25 mL의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추가 정제를 50 g 실리카 컬럼을 이용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하였다(1 CV = 66 mL, 1 분획 = 22 mL, 50mL/min). 컬럼을 3 CV 5% 에틸 아세테이트/95% 헥산으로 프라이밍하였다. 구배를 1 CV 동안 5% 에틸 아세테이트/95% 헥산에서 유지시키고, 이후에, 10 CV에 걸쳐 100% 에틸 아세테이트까지 증가시키고, 2 CV 동안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유지시켰다. 생성물을 TLC에 의해 분획 23 내지 분획 31에서 확인하였다. 분획들을 합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율은 2.01 g의 N-(4-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틸)-N-(3-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이었다.
실시예 3-19(b): N-(4- 아미노부틸 )-N-(3-아미노프로필) 부티르아미드의 합성
2.01 g의 N-(4-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틸)-N-(3-N-(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를 220 mL의 1,4-디옥산 중 4M 염산에 용해시키고,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5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 14로 조절하고, 50 mL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3회 반복). 유기물들을 합하고, 1시간 동안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율은 529 mg의 N-(4-아미노부틸)-N-(3-아미노프로필)부티르아미드이었다.
실시예 3-19(c): 폴리(N-(4-에틸아미노부틸)-N- (3- 에틸아미노프로필 ) 부탄아미드 )의 합성
529 mg의 N-(4-아미노부틸)-N-(3-아미노프로필)부티르아미드를 4 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229 mg의 글리옥살을 40% 수용액으로서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 mL의 메탄올을 반응에 첨가하고, 이를 45℃까지 가열하였다. 698 mg의 소듐 보로히드라이드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격렬한 버블링이 발생하였다. 가열을 1.5시간 동안 계속하였고, 이후에, 반응을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켰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25 mL의물을 반응에 첨가하고, 염산을 용해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를 첨가하여 14의 pH를 획득하고, 이 때에, 백색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반응을 여과하고, 1.2M 염산에서 pH가 1이 될 때까지 용해시켰다. 용액을 5,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를 4회 반복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10 KDa 및 <10 KDa의 분획을 수득한다. 각 분획을 냉동시키고, 동결건조기 상에 배치시켜 건조시켰다. 거품 같은 백색 고형물을 각 샘플에 대해 수득하였다.
실시예 3-20: 폴리(N-(4-에틸아미노부틸)-N- (3- 에틸아미노프로필 ) 헥산아미드 )의 합성
실시예 3- 20(a): 3차 -부틸 (3-(N-(4-((3차- 부톡시카보닐 )아미노)부틸) 헥산아미도 )프로필)카바메이트의 합성
336 mg의 헥산산을 10 mL DMF에 용해시키고, 430 mg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으로 펌핑하고, 질소 대기를 도입하였다(2회 반복). 반응을 얼음물 베쓰로 0℃까지 냉각시켰다. 401 mg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 그램(1 g)의 N1,N8-디(3차-부톡시카보닐)스페르미딘을 첨가하고, 직후에, 486 mg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에 걸쳐 주변 온도까지 가온시켰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고, 100 mL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백색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유기물을 25 mL 염수로 추출하고(3회 반복), 이후에, 25 mL의 10% 시트르산으로 추출하고, 이후에, 25 mL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추가 정제를 50 g 실리카 컬럼을 이용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하였다(1 CV = 66 mL, 1 분획 = 22 mL, 50 mL/min). 구배를 1 CV 동안 5% 에틸 아세테이트/95% 헥산에서 유지시키고, 이후에 10 CV에 걸쳐 100% 에틸 아세테이트까지 증가시키고, 2 CV 동안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유지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TLC에 의해 분획 24 내지 분획 35에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획들을 합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율은 880 mg의 3차-부틸 (3-(N-(4-((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틸)헥산아미도)프로필)카바메이트이었다.
실시예 3-20(b): N-(4- 아미노부틸 )-N-(3-아미노프로필) 헥산아미드의 합성
800 mg의 3차-부틸 (3-(N-(4-((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틸)헥산아미도) 프로필)카바메이트를 10 mL의 1.4-디옥산 중 4M 염산에 용해시키고,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75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 14로 조절하고, 50 mL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3회 반복). 유기물들을 합하고, 1시간 동안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율은 280 mg의 N-(4-아미노부틸)-N-(3-아미노프로필)헥산아미드이었다.
실시예 3-20(c): 폴리 (N-(4- 에틸아미노부틸 )-N-(3- 에틸아미노프로필 )- 헥산아미드의 합성
280 mg의 N-(4-아미노부틸)-N-(3-아미노프로필)헥산아미드를 2 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107 mg의 글리옥살을 수중 40% 수용액으로서 첨가하고,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 mL의 메탄올을 반응에 첨가하고, 이를 45℃까지 가열하였다. 327 mg의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격렬한 버블링이 발생하였다. 가열을 1.5시간 동안 계속하였고, 이후에, 반응을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켰다. 모든 용매를 진공 하에서 회전-진공에 의해 제거하였다. 25 mL의 물을 반응에 첨가하고, 염산을 용해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를 첨가하여 14의 pH를 얻고, 백색 침전물을 관찰하였다. 반응을 여과하고, 1.2M 염산에서 pH가 1이 될 때까지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를 4회 반복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10 KDa 및 <10 KDa의 분획들을 수득한다. 각 분획을 냉동시키고, 동결건조기 상에 배치시켜 건조시켰다. 거품과 같은 백색 고형물을 각 샘플에 대해 수득하였다.
실시예 3-21: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 ( N 1 ,N 6 - 디벤질 - N 1 ,N 6 - 디펜틸헥산 -1,6-디아민)의 합성
실시예 3-21(a): N 1 ,N 6 - 디벤질헥산 -1,6- 디아민의 합성
4.98 g의 벤즈알데히드 및 2.65 g의 1,6-디아미노헥산을 100 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0 g의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밤새 교반하고, 이후에 여과하였다. 여액을 3.45 g의 NaBH4로 처리하고, 반응을 밤새 정치시켰다. 메탄올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수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재-추출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합한 유기상을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중 10% 메탄올/트리에틸아민(1:1)까지의 구배와 함께 실리카를 통해 정제하였다. 수율은 4.2 g의 N1,N6-디벤질헥산-1,6-디아민이다.
실시예 3-21(b):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 ( N 1 ,N 6 - 디벤질 - N 1 ,N 6 - 디펜틸헥산 -1,6-디아민의 합성
1 그램(1 g)의 N1,N6-디벤질헥산-1,6-디아민을 17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703 mg의 50 중량%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 및 72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9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백색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2: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N 1 ,N 6 -디펜틸헥산-1,6-디아민)의 합성
113 mg의 폴리(N1,N6-디벤질-N1,N6-디펜틸헥산-1,6-디아민)의 >10K 분획을 7 mL의 메탄올/1 ml 수성 염산에 용해시켰다. 210 mg의 10% Pd/C를 첨가하였다. 파르 압력 용기(Parr pressure vessel)를 조립하고, 용기를 배기시켰다. 진공을 수소로 배출시키고, 펌프-배출을 파르 압력 용기를 10 bar까지 가압시키기 전에 2회 반복하였다. 반응을 60℃까지 가열시키고, 48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파르 압력 용기에서 압력을 배출시킨 후에, 촉매, Pd/C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2M 염산으로 취하고, 냉동시키고, 동결건조기 상에 배치시켜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3-23: 피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4,4'-프로판-1,3-디일비스[1- (4- 부톡시부틸 )피페리딘])의 합성
517 mg의 폴리(1-(4-부톡시부틸)-4-(3-{1-[4-(펜틸옥시)부틸]피리디늄-4-일}프로필)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의 <3 KDa/>1 KDa 분획을 40 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177 mg의 백금 옥사이드를 첨가하였다. 파르 압력 용기를 조립하고, 수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시키고, 이후에, 파르 압력 용기를 40 bar까지 가압하였다. 반응을 60℃까지 가열시키고, 48시간 동안 방치시켰다. 파르 압력 용기에서 압력을 배출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통과시킴으로써 촉매, 백금 블랙(platinum black)을 여과하였다.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고형물을 수성 염산에 용해시키고, 8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고, 백색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반응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메탄올에 재-용해시켰다. 용액을 다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고형물을 1.2M 염산에 취하고, 냉동시키고, 동결건조기 상에 배치시켜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3-24: 피페리딘 단부 캡핑된 폴리(4,4'-프로판-1,3-디일비스[1- (4- 부톡시부틸 )피페리딘])의 합성
517 mg의 폴리(1-(4-부톡시부틸)-4-(3-{1-[4-(펜틸옥시)부틸]피리디늄-4-일}프로필)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의 <3 KDa/>1 KDa 분획을 40 mL의 메탄올 및 2 mL 1.2M 수성 염산에 용해시켰다. 177 mg의 백금 옥사이드를 첨가하였다. 파르 압력 용기를 조립하고, 수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시키고, 이후에, 파르 압력 용기를 40 bar까지 가압하였다. 반응을 60℃까지 가열시키고, 48시간 동안 방치시켰다. 파르 압력 용기에서 압력을 배출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통과시킴으로써 촉매, 백금 블랙을 여과하였다.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고형물을 수성 염산에 용해시키고, 8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고, 백색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반응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메탄올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액을 다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고형물을 1.2M 염산에 취하고, 냉동시키고, 동결건조기 상에 배치시켜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3-25: 폴리 ( 트리메틸렌 디피페리딘 -코-피페리딘-코-2,3- 부탄디온 )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르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511 mg의 2,3-부탄디온 및 101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백색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6: 폴리 ( 디피페리딘 -코-피페리딘-코-2,3- 부탄디온 )의 합성
1 그램(1 g)의 4,4'-비스피페르딘을 20 mL의 THF 및 10 mL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639 mg의 2,3-부탄디온 및 127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3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백색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1.2M 염산에서 pH 1까지 용해시켰다.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7: 폴리 ( 트리메틸렌 디피페리딘:피페리딘 -코-2,2-디메틸-3,5- 헥산디온 )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르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845 mg의 2,2-디메틸-3,5-헥산디온 및 101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 mL의 1.2M 염산에 용해시켰다. 수성상을 100 mL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수성상을 100 mL 디클로로메탄(DCM)으로 추출하였다(3회 반복). DCM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 mL 1.2M 염산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8: 폴리(트리메틸렌 디피페리딘:피페리딘-코-(±)-캄포르퀴논)의 합성
1 그램(1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르딘을 30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987 mg의 (±)-캄포르퀴논 및 101 mg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 g의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 mL의 1.2M 염산에 용해시켰다. 수성상을 100 mL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4M 소듐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4까지 조절하였고, 수성상을 100 mL 디클로로메탄(DCM)으로 추출하였다(3회 반복). DCM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9: 폴리 (5-((3-(4-(3-(1-(3-아미노프로필)피페리딘-4-일)프로필)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5-옥소펜탄산)의 합성
실시예 3- 29(a): 3 ,3'-(프로판-1,3- 디일비스 (피페리딘-4,1- 디일 )) 디프로판니 트릴의 합성
7 그램(7 g)의 4,4'-트리메틸렌디피페르딘을 몰타르 및 막자로 미세 분말로 그라인딩하고, 80 mL 물에 현탁시켰다. 슬러리를 40℃까지 가열시키고, 아크릴로니트릴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을 1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이후에 냉동시키고, 동결건조시켰다.
실시예 3- 29(b): 3 ,3'- (프로판-1,3-디일비스(피페리딘-4,1-디일) ) 비스(프로판-1-아민)의 합성
4 그램(4 g)의 3,3'-(프로판-1,3-디일비스(피페리딘-4,1-디일))디프로판니트릴을 75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3 g 라니 코발트(Raney cobalt)를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파르 반응기에서 시일링하고, 수소를 5분 동안 용액을 통해 서서히 버블링하였다. 이후에, 반응기를 30 bar까지 가압시키고, 반응을 72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기에서 압력을 제거하고, 반응 슬러리를 셀라이트 패드로 통과시켰다. 메탄올을 증발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9(c): 폴리(5-((3-(4-(3-(1- (3-아미노프로필)피페리딘-4-일)프로필)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5-옥소펜탄산)의 합성
714 mg의 3,3'-(프로판-1,3-디일비스(피페리딘-4,1-디일))비스(프로판-1-아민)을 13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5 mL 디메틸포름아미드 중 597 mg 비스(2,5-디옥소피롤리딘-1-일)글루타레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50℃에서 12 시간 동안 수행하고,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에,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분쇄하였다. 폴리머를 여과하고, 3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0: 폴리(6-((3-(4-(3-(1- (3-아미노프로필)피페리딘-4-일)프로필)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6-옥소헥산산)의 합성
389 mg의 3,3'-(프로판-1,3-디일비스(피페리딘-4,1-디일))비스(프로판-1-아민) 및 340 mg 비스(2,5-디옥소피롤리딘-1-일)아디페이트를 7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반응을 50℃에서 12시간 동안 수행하고,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에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분쇄하였다. 폴리머를 여과하고, 2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1: 폴리(6-((3-(4-(3-(1- (3-아미노프로필)피페리딘-4-일)프로필)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6-옥소옥탄산)의 합성
185 mg의 3,3'-(프로판-1,3-디일비스(피페리딘-4,1-디일))비스(프로판-1-아민)을 1.4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2 mL 디메틸포름아미드 중 174 mg 비스(2,5-디옥소피롤리딘-1-일)옥탄디오에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50℃에서 12시간 동안 수행하고,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에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분쇄하였다. 폴리머를 여과하고, 2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2: 폴리(1-(3-(4-(3-(1- (3-아미노프로필)피페리딘-4-일)프로필)피페리딘-1-일)프로필)-3-(4-우레이도부틸)우레아)의 합성
500 mg의 3,3'-(프로판-1,3-디일비스(피페리딘-4,1-디일))비스(프로판-1-아민)을 8.3 mg N,N-디메틸피리딘-4-아민과 함께 3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3 mL 디클로로메탄 중 159 mg 1,4-디이소시아네이토부탄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50℃에서 12시간 동안 수행하고,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에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분쇄하였다. 폴리머를 여과하고, 3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3: 폴리(6-((3-(4-(3-아미노프로필) 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6-옥소헥산산)의 합성
250 mg의 3,3'-(피페라진-1,4-디일)비스(프로판-1-아민) 및 343 mg 비스(2,5-디옥소피롤리딘-1-일)아디페이트를 7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반응을 50℃에서 12시간 동안 수행하고,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에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분쇄하였다. 폴리머를 여과하고, 2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0분 동안 5,000 rpm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4: 폴리(1-(2-((6-아미노헥실)아미노) -2- 옥소에틸 )-4-( 카복시메 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의 합성
실시예 3- 34(a): 1 ,4- 비스 (2- 에톡시 -2- 옥소에틸 )-1,4- 디아자비사이클로[2.2.2] 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의 합성
1 그램(1 g)의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을 7 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7 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된 1.5 g 에틸 2-브로모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12시간 동안 지속하였고, 그 후에,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작은 부피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취하고, 상당한 부피의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염을 분쇄하였다. 염을 여과하고, 7 mL 아세토니트릴에 다시 용해시키고, 다시 7 mL 아세토니트릴 중에 용해된 1.5 g 에틸 2-브로모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12시간 후에, 반응을 아세토니트릴로 희석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실시예 3- 34(b): 1 ,4- 비스 (2-옥소-2- 페녹시에틸 )-1,4- 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1,4-디윰 브로마이드의 합성
1 그램(1 g)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을 7 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7 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된 5.7 g 페닐 2-브로모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에, 반응을 아세토니트릴로 희석시켜 무거운 침전물로 인해 교반을 촉진시켰다. 12시간 후에, 반응을 아세토니트릴로 추가로 희석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실시예 3-34(c): 폴리(1-(2-((6-아미노헥실)아미노) -2- 옥소에틸 )-4-( 카복시메틸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1:1 디에스테르 / 디아민 )의 합성
250 mg 1,4-비스(2-에톡시-2-옥소에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를 65 mg 1,6-디아미노헥산과 혼합하고, 반응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 밀리미터 물에 용해시키고, 500 Da 분자량 컷-오프 투석 배관(cut-off dialysis tubing)으로 옮겼다. 반응을 밤새 5 L 물에서 투석하였다. 물을 새로운 5 L로 교체하고, 이후에, 밤새 방치시켰다. 수용액을 냉동시키고, 건조될 때까지 동결건조시켰다.
실시예 3-34(d): 폴리 (1-(2-((6- 아미노헥실 )아미노)-2- 옥소에틸 )-4-( 카복시메 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1:1 디에스테르 / 디아민 )의 합성[대안적인 경로]
250 mg 1,4-비스(2-옥소-2-페녹시에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를 54 mg 1,6-디아미노헥산과 혼합하고, 반응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 밀리미터 물에 용해시키고, 500 Da 분자량 컷-오프 투석 배관으로 옮겼다. 반응을 밤새 5 L 물에서 투석하였다. 물을 새로운 5 L로 교체하고, 이후에, 밤새 방치시켰다. 수용액을 냉동시키고, 건조될 때까지 동결건조시켰다.
실시예 3-34(e): 폴리 (1-(2-((6- 아미노헥실 )아미노)-2- 옥소에틸 )-4-( 카복시메 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1:2 디에스테르 / 디아민 )의 합성
250 mg 1,4-비스(2-에톡시-2-옥소에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를 130 mg 1,6-디아미노헥산과 혼합하고, 반응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 밀리미터 물에 용해시키고, 500 Da 분자량 컷-오프 투석 배관으로 옮겼다. 반응을 밤새 5 L 물에서 투석하였다. 물을 새로운 5 L로 교체하고, 이후에, 밤새 방치시켰다. 수용액을 냉동시키고, 건조될 때까지 동결건조시켰다.
실시예 3-35: 폴리(1-(2-((8-아미노옥틸)아미노) -2- 옥소에틸 )-4-( 카복시메 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의 합성
실시예 3-35(a): 폴리 (1-(2-((8- 아미노옥틸 )아미노)-2- 옥소에틸 )-4-( 카복시메 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1:1 디에스테르 / 디아민 )의 합성
250 mg 1,4-비스(2-옥소-2-페녹시에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를 81 mg 1,6-디아미노헥산과 혼합하고, 반응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 밀리미터 물에 용해시키고, 500 Da 분자량 컷-오프 투석 배관으로 옮겼다. 반응을 밤새 5 L 물에서 투석하였다. 물을 새로운 5 L로 교체하고, 이후에, 밤새 방치시켰다. 수용액을 냉동시키고, 건조될 때까지 동결건조시켰다.
실시예 3-35(b): 폴리 (1-(2-((8- 아미노옥틸 )아미노)-2- 옥소에틸 )-4-( 카복시메 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1:2 디에스테르 / 디아민 )의 합성
250 mg 1,4-비스(2-옥소-2-페녹시에틸)-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1,4-디윰 브로마이드를 162 mg 1,6-디아미노헥산과 혼합하고, 반응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 밀리미터 물에 용해시키고, 500 Da 분자량 컷-오프 투석 배관으로 옮겼다. 반응을 밤새 5 L 물에서 투석하였다. 물을 새로운 5 L로 교체하고, 이후에, 밤새 방치시켰다. 수용액을 냉동시키고, 건조될 때까지 동결건조시켰다.
실시예 3-36: 폴리((4-((2-아미노에틸)티오) -6-((1-((3-아미노프로필)아미노)-4-메틸-1-옥소펜탄-2-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류신)의 합성
실시예 3-36(a): 디메틸 2,2'- ((6-클로로-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 디일))비스(4-메틸펜타노에이트)의 합성
738 mg 트리아진 및 6.7 g 소듐 비카보네이트를 20 mL 아세톤에 슬러리화하고, 얼음물 베쓰에서 냉각시켰다. 이러한 슬러리에 20 mL 아세톤/ 20 mL 물 혼합물 중 1.6 g L-류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냉각 베쓰로부터 꺼내고, 반응을 밤새 실온까지 진행시켰다. 반응을 4M 염산으로 산성으로 만들고, 아세톤을 증발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실시예 3-36(b): 디메틸 2,2'- ((6- ((2-((3차- 부톡시카보닐 )아미노)에틸) 티오 )-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비스(4-메틸펜타노에이트)의 합성
0.54 g 디메틸 2,2'-((6-클로로-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비스(4-메틸펜타노에이트) 및 0.35 g 3차-부틸 (2-머캅토에틸)카바메이트를 4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64 mg NaH를 60 중량% 멀(mull)로서 첨가하고(OBS! 수소 형성), 반응을 1시간 동안 에이징시켰다. 반응을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희석시키고, 유기물을 염수로 3회 추출하였다(먼저 염이 떨어져 나간다. 소량 부분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것들을 다시 용해시켰다). 에테르를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우선 미정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0 컬럼 부피에 걸쳐 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50%까지의 구배)을 사용하여 50 g 실리카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이후에,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15 컬럼 부피에 걸쳐 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5%까지의 구배)로 10 g 컬럼으로 통과시켰다.
실시예 3-36(c): 폴리((4-((2-아미노에틸)티오) -6-((1-((3-아미노프로필)아미노)-4-메틸-1-옥소펜탄-2-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류신)의 합성
331 mg 디메틸 2,2'-((6-((2-((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티오)-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비스(4-메틸펜타노에이트를 66 mg 프로판-1,3-디아민과 혼합하고, 반응을 11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검과 같은 물질(gummy mass)을 2 mL 디클로로메탄 및 2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에,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5,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용액을 1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7: 폴리((4-((2-아미노에틸)티오) -6-((2-((3-아미노프로필)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글리신)의 합성
실시예 3-37(a): 디에틸 2,2'-( (6-클로로-1,3,5-트리아진-2,4-디일)비스 ( 아잔디일 ))디아세테이트의 합성
1.4 g 에틸 글리시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2.6 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10 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에서 슬러리화하였다. 922 mg 트리아진을 10 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30분 후에, 1 mL의 물/아세톤(1:1)을 첨가하여, 빠르게 교반된 2상 시스템을 형성시켰다. 반응을 밤새 방치시키고, 후속하여 추가의 THF로 희석시키고, 이후에, 염 수(salt water)(염수(brine)이 아님)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추가의 THF로 다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생성물이 용액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시작할 때까지 농축하였다. 75 mL 물을 첨가하여 생성물을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여과하였다.
실시예 3-37(b): 디에틸 2,2'-( (6- ((2-((3차- 부톡시카보닐 )아미노)에틸) 티오 )-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디아세테이트의 합성
0.36 g 3차-부틸 (2-머캅토에틸)카바메이트를 10 mL 디에틸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64 mg NaH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45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에, 반응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폐기시키고, 백색 분말을 디에틸 에테르에 다시 현탁시켰다. 세척 절차를 2회 더 반복하고, 이후에, 백색 물질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디에틸 에테르를 증발시켰다. 소듐 염을 4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0.32 g 디에틸 2,2'-((6-클로로-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디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그 후에, 메틸 3차-부틸 에테르에 희석시키고, 유기상을 염수로 3회 추출하였다(우선 염이 떨어져 나간다. 소량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것들을 다시 용해시켰다). 에테르를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우선, 미정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0 컬럼 부피에 걸쳐 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50%까지의 구배)을 사용하여 50 g 실리카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그 후에,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15 컬럼 부피에 걸쳐 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5%까지의 구배)를 사용하여 10 g 컬럼으로 통과시켰다.
실시예 3-37(c): 폴리((4-((2-아미노에틸)티오) -6-((2-((3-아미노프로필)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글리신)의 합성
429 mg 2,2'-((6-((2-((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티오)-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디아세테이트를 102 mg 프로판-1,3-디아민과 혼합하고, 반응을 11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검과 같은 물질을 2 mL 디클로로메탄 및 2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후에,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5,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용액을 1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8: 폴리((4-((6-아미노-1-( (3-아미노프로필)아미노)-1- 옥소헥산 -2-일)아미노)-6-(이소펜틸티오)-1,3,5-트리아진-2-일)라이신)의 합성
실시예 3-38(a): 디메틸 2,2'- ((6-클로로-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 디일))비스(6-((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의 합성
1.0 g 메틸 N6-(3차-부톡시카보닐)라이시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및 829 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3 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에서 슬러리화하였다. 295 mg 트리아진을 3 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30분 후에, 1 mL의 물/아세톤(1:1)을 첨가하여, 빠르게 교반된 2상 시스템을 형성시켰다. 반응을 밤새 정치시키고, 후속하여, 추가의 THF로 희석시키고, 이후에, 염 수(salt water)(염수(brine)이 아님)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추가의 THF로 다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생성물이 용액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시작할 때까지 농축하였다. 75 mL 물을 첨가하여 생성물을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여과하였다.
실시예 3-38(b): 디메틸 2,2'- ((6- ( 이소펜틸티오 )-1,3,5-트리아진-2,4- 디일 )비스(아잔디일))비스(6-((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의 합성
0.26 g 3-메틸부탄-1-티올을 10 mL 디에틸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55 mg NaH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45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에, 반응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폐기하고, 백색 분말을 디에틸 에테르에 다시 현탁시켰다. 세척 절차를 2회 더 반복하고, 이후에, 백색 물질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디에틸 에테르를 증발시켰다. 소듐 염을 4 mL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0.79 g 디메틸 2,2'-((6-클로로-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비스(6-((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그 후에, 메틸 3차-부틸 에테르에 희석시키고, 유기상을 염수로 3회 추출하였다(우선 염이 떨어져 나간다. 소량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것들을 다시 용해시켰다). 에테르를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우선, 미정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0 컬럼 부피에 걸쳐 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50%까지의 구배)을 사용하여 50 g 실리카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그 후에,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15 컬럼 부피에 걸쳐 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5%까지의 구배)를 사용하여 10 g 컬럼으로 통과시켰다.
실시예 3-38(c): 폴리((4-((6-아미노-1-( (3-아미노프로필)아미노)-1- 옥소헥산 -2-일)아미노)-6-(이소펜틸티오)-1,3,5-트리아진-2-일)라이신)의 합성
427 mg 2,2'-((6-((2-((3차-부톡시카보닐)아미노) 에틸)티오)-1,3,5-트리아진-2,4-디일)비스(아잔디일))디아세테이트를 45 mg 프로판-1,3-디아민과 혼합하고, 반응을 11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검과 같은 물질을 2 mL 디클로로메탄 및 2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후에,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0 mL 1.2M 염산에 용해시키고, 5,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용액을 110 KDa Macrosep 여과 디바이스(Pall corp.)로 통과시켰다. 잔류 물질을 물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 공정을 4회 더 반복하였다. Macrosep 필터 막으로 통과된 물질을 3 KDa Macrosep로 추가로 정제하고, 전체 원심분리 공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액을 상기와 같이 1 KDa Macrosep로 통과시켜, 4개의 상이한 분자량 범위, >10 KDa, <10 KDa 및 >3 KDa, <3 KDa 및 >1 KDa, 및 <1 KDa의 폴리머를 함유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솜털 같은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Claims (299)

  1. 하기 화학식 (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46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됨).
  2.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
    Figure pct00047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3. 하기 화학식 (I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I]
    Figure pct00048

    (상기 식에서,
    p는 0, 1, 2, 3, 또는 4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4. 제1항에 있어서, p가 0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p가 1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p가 2인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p가 3인 화합물.
  8. 제2항에 있어서, p가 0인 화합물.
  9. 제2항에 있어서, p가 1인 화합물.
  10. 제2항에 있어서, p가 2인 화합물.
  11. 제2항에 있어서, p가 3인 화합물.
  12. 제3항에 있어서, p가 0인 화합물.
  13. 제3항에 있어서, p가 1인 화합물.
  14. 제3항에 있어서, p가 2인 화합물.
  15. 제3항에 있어서, p가 3인 화합물.
  16. 제1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7. 제1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8. 제2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9. 제2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20. 제3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21. 제3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22. 제1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23. 제1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24. 제2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25. 제2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26. 제3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27. 제3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28. 제1항에 있어서, Rc가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29. 제28항에 있어서, Rc가 디히드록시프로필인 화합물.
  30. 제1항에 있어서, Rc가 H인 화합물.
  31. 제2항에 있어서, Rc가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32. 제31항에 있어서, Rc가 디히드록시프로필인 화합물.
  33. 제2항에 있어서, Rc가 H인 화합물.
  34. 제3항에 있어서, Rc가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35. 제34항에 있어서, Rc가 디히드록시프로필인 화합물.
  36. 제3항에 있어서, Rc가 H인 화합물.
  37. 제1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49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050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51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052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053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38. 제37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54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55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39. 제2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56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057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58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059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060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40. 제39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61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62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41. 제3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63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064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65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066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067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42. 제41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68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69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43. 제1항에 있어서, p가 3이며, Ra가 부재이며, Rb가 (C5)알킬이며, Rc가 H인 화합물.
  44. 제1항에 있어서, p가 0이며, Ra가 부재이며, Rb가 (C5)알킬이며, Rc가 H인 화합물.
  45. 제1항에 있어서, p가 0이며, Ra가 (C5)알킬이며, Rb가 부재이며, Rc가 H인 화합물.
  46. 제2항에 있어서, p가 3이며, Ra가 부재이며, Rb가 (C5)알킬이며, Rc가 H인 화합물.
  47. 제2항에 있어서, p가 0이며, Ra가 부재이며, Rb가 (C5)알킬이며, Rc가 H인 화합물.
  48. 제2항에 있어서, p가 0이며, Ra가 (C5)알킬이며, Rb가 부재이며, Rc가 H인 화합물.
  49. 제3항에 있어서, p가 3이며, Ra가 부재이며, Rb가 (C5)알킬이며, Rc가 H인 화합물.
  50. 제3항에 있어서, p가 0이며, Ra가 부재이며, Rb가 (C5)알킬이며, Rc가 H인 화합물.
  51. 제3항에 있어서, p가 0이며, Ra가 (C5)알킬이며, Rb가 부재이며, Rc가 H인 화합물.
  52. 하기 화학식 (IV)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V]
    Figure pct00070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됨).
  53. 제5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V)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화학식 V]
    Figure pct00071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됨).
  54. 하기 화학식 (V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VI]
    Figure pct00072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55. 제54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V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화학식 VII]
    Figure pct00073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56. 하기 화학식 (VI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VIII]
    Figure pct00074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57. 제56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X)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화학식 IX]
    Figure pct00075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58. 하기 화학식 (X)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X]
    Figure pct00076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o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59. 하기 화학식 (X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XI]
    Figure pct00077

    (상기 식에서,
    m은 0 내지 15의 정수이며;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임).
  60. 제52항에 있어서, o가 0, 1 또는 2인 화합물.
  61. 제54항에 있어서, o가 0, 1 또는 2인 화합물.
  62. 제56항에 있어서, o가 0, 1 또는 2인 화합물.
  63. 제58항에 있어서, o가 0, 1 또는 2인 화합물.
  64. 제52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65. 제52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66. 제52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67. 제52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68. 제53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69. 제53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70. 제53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71. 제53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72. 제54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73. 제54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74. 제54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75. 제54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76. 제55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77. 제55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78. 제55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79. 제55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80. 제56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81. 제56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82. 제56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83. 제56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84. 제57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85. 제57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86. 제57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87. 제57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88. 제58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89. 제58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90. 제58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91. 제58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92. 제59항에 있어서, m이 3인 화합물.
  93. 제59항에 있어서, m이 4인 화합물.
  94. 제59항에 있어서, m이 5인 화합물.
  95. 제59항에 있어서, m이 6인 화합물.
  96. 제52항에 있어서, n이 3인 화합물.
  97. 제52항에 있어서, n이 4인 화합물.
  98. 제52항에 있어서, n이 5인 화합물.
  99. 제52항에 있어서, n이 6인 화합물.
  100. 제54항에 있어서, n이 3인 화합물.
  101. 제54항에 있어서, n이 4인 화합물.
  102. 제54항에 있어서, n이 5인 화합물.
  103. 제54항에 있어서, n이 6인 화합물.
  104. 제56항에 있어서, n이 3인 화합물.
  105. 제56항에 있어서, n이 4인 화합물.
  106. 제56항에 있어서, n이 5인 화합물.
  107. 제56항에 있어서, n이 6인 화합물.
  108. 제58항에 있어서, n이 3인 화합물.
  109. 제58항에 있어서, n이 4인 화합물.
  110. 제58항에 있어서, n이 5인 화합물.
  111. 제58항에 있어서, n이 6인 화합물.
  112. 제52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13. 제52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14. 제53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15. 제53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16. 제54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17. 제54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18. 제55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19. 제55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20. 제56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21. 제56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22. 제57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23. 제57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24. 제58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25. 제58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26. 제59항에 있어서, Ra가 부재인 화합물.
  127. 제59항에 있어서, Ra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28. 제52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29. 제52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30. 제53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31. 제53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32. 제54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33. 제54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34. 제55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35. 제55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36. 제56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37. 제56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38. 제57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39. 제57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40. 제58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41. 제58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42. 제59항에 있어서, Rb가 부재인 화합물.
  143. 제59항에 있어서, Rb가 (C1-C10)알킬인 화합물.
  144. 제52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45. 제52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46. 제145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47. 제52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48. 제53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49. 제53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50. 제149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51. 제53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52. 제54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53. 제54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54. 제153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55. 제54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56. 제55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57. 제55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58. 제157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59. 제55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60. 제56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61. 제56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62. 제161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63. 제56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64. 제57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65. 제57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66. 제165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67. 제57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68. 제58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69. 제58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70. 제169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71. 제58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72. 제59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C2-C9)헤테로알킬인 화합물.
  173. 제59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C6-C14)아릴인 화합물.
  174. 제1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톨루엔인 화합물.
  175. 제59항에 있어서, Rc가 각각 H인 화합물.
  176. 제52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78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079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80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081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082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77. 제175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83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84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78. 제53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85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086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87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088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089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79. 제178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90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91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80. 제54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92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093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94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095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096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81. 제180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97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098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82. 제55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099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100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01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102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103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83. 제182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04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05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84. 제56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06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107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08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109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110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85. 제184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11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12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86. 제57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13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114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15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116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117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87. 제186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18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19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88. 제58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20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121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22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123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124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89. 제188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25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26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90. 제59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 기,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 하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디히드록시 기, 또는 하기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27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B]
    Figure pct00128

    (상기 식에서, b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29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D]
    Figure pct00130

    (상기 식에서, d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E]
    Figure pct00131

    (상기 식에서, e는 1 내지 400의 정수임).
  191. 제190항에 있어서, Rx 및 Ry가 각각 독립적으로, -(O)CH3,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 기, 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현되는 구아니디노벤젠 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A]
    Figure pct00132

    (상기 식에서, a는 0 내지 25의 정수임),
    [화학식 C]
    Figure pct00133

    (상기 식에서, c는 0 내지 25의 정수임).
  192.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93. 제2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94. 제3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95. 제52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96. 제53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97. 제54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98. 제55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99. 제56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00. 제57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01. 제58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02. 제59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03. 제192항에 있어서, 점막염(mucositis), 구강 점막염(oral mucositis), 및 감염증(infection)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04. 제193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05. 제194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06. 제195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07. 제196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08. 제197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09. 제198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0. 제199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1. 제200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2. 제201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3. 제202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4. 제192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5. 제193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6. 제194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7. 제195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8. 제196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19. 제197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20. 제198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21. 제199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22. 제200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23. 제201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24. 제202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25.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26. 제22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surgical site infection)인 방법.
  227. 제22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과 관련된 폐 감염증(lung infection)인 방법.
  228. 제227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Pseudomonas aeruginosa lung infection)인 방법.
  229. 제228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biofilm)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30. 제2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31. 제23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32. 제23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33. 제232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34. 제233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35. 제3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36. 제23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37. 제23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38. 제236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39. 제237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40. 제52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41. 제24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42. 제24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43. 제243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44. 제245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45. 제53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46. 제24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47. 제24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48. 제247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49. 제248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50. 제54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51. 제25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52. 제25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53. 제252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54. 제253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55. 제55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56. 제25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57. 제25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58. 제257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59. 제258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60. 제56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61. 제26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62. 제26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63. 제262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64. 제263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65. 제57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66. 제26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67. 제26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68. 제267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69. 제268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70. 제58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71. 제27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72. 제270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73. 제272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74. 제273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75. 제59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76. 제27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77. 제27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78. 제277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79. 제278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280. 하기 화학식 (XII)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XII]
    Figure pct00134

    (q는 2 내지 10,000의 정수이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P이며;
    Z는 NH, O, 또는 S이며;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며;
    Rf 및 Rg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기이거나, Rf 및 Rg는 여기에 부착된 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4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4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C1-C10)알킬-C(O)O-, COOH-(C1-C10)알킬, COOH-(C3-C10)사이클로알킬, (C1-C10)알킬-O-, -OH, -NH2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단 기이거나, 여기에 부착된 탄소와 함께 결합되어 3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3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폴리머에 결합되거나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카보닐, -O(O)C-(C1-C10)알킬, (C1-C10)알킬-COOH, (C3-C10)사이클로알킬-COOH, -(O)CH3, -OH,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기에 의해 치환됨).
  281. 제280항에 있어서, X가 각각 N인 화합물.
  282. 제280항에 있어서, Z가 S인 화합물.
  283. 제280항에 있어서, Rd가 H인 화합물.
  284. 제280항에 있어서, Rd가 (C1-C10)알킬인 화합물.
  285. 제280항에 있어서, Re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인 화합물.
  286. 제280항에 있어서, Rf 및 Rg가 각각 H인 화합물.
  287. 제280항에 있어서, Rf 및 Rg가 여기에 부착된 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4원 내지 10원 고리를 형성하며, 여기서, 4원 내지 10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C1-C10)알킬-C(O)O-, COOH-(C1-C10)알킬, COOH-(C3-C10)사이클로알킬, (C1-C10)알킬-O-, -OH, -NH2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에 의해 치환되는 화합물.
  288. 제287항에 있어서, 4원 내지 10원 고리가 (C1-C10)알킬, (C2-C9)헤테로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2-C9)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C2-C9)헤테로아릴, (C1-C10)알킬아민, (C1-C10)알킬-C(O)O-, COOH-(C1-C10)알킬, COOH-(C3-C10)사이클로알킬, (C1-C10)알킬-O-, -OH, -NH2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6원 고리인 화합물.
  289. 제280항에 있어서, X가 각각 N이며; Z가 S이며; Rd가 H이며; Re가 치환된 (C1-C10)알킬이며; Rf 및 Rg가 각각 H인 화합물.
  290. 제280항에 있어서, X가 각각 N이며; Z가 S이며; Rd가 (C1-C10)알킬이며; Re가 치환된 (C1-C10)알킬이며; Rf 및 Rg가 여기에 부착된 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치환된 6원 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
  291. 제280항에 있어서, X가 각각 N이며; Z가 S이며; Rd가 치환된 (C1-C10)알킬이며; Re가 (C1-C10)알킬이며; Rf가 치환된 (C1-C10)알킬이며; Rg가 H인 화합물.
  292. 제280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93. 제292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94. 제292항에 있어서,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95. 제280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 구강 점막염, 및 감염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96. 제29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수술 부위 감염증인 방법.
  297. 제295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폐 감염증인 방법.
  298. 제297항에 있어서, 감염증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인 방법.
  299. 제298항에 있어서, 바이오필름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폐 감염증에 존재하는 방법.
KR1020177003470A 2014-07-11 2015-07-10 주쇄 폴리아민 KR20170028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3330P 2014-07-11 2014-07-11
US62/023,330 2014-07-11
PCT/US2015/039881 WO2016007821A2 (en) 2014-07-11 2015-07-10 Main chain polyam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979A true KR20170028979A (ko) 2017-03-14

Family

ID=5368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470A KR20170028979A (ko) 2014-07-11 2015-07-10 주쇄 폴리아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70182087A1 (ko)
EP (1) EP3189091A2 (ko)
JP (1) JP6765363B2 (ko)
KR (1) KR20170028979A (ko)
CN (1) CN106687504A (ko)
AR (1) AR101184A1 (ko)
AU (1) AU2015287661B2 (ko)
BR (1) BR112017000258A2 (ko)
CA (1) CA2954768A1 (ko)
IL (1) IL249963A0 (ko)
MX (1) MX2017000447A (ko)
RU (1) RU2017104223A (ko)
SG (1) SG11201610886VA (ko)
TW (1) TW201615694A (ko)
WO (1) WO20160078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2436A1 (en) 2015-04-23 2016-10-27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Polycationic amphiphiles and polymers thereof as antimicrobial agents and methods using same
US11111216B2 (en) 2016-10-26 2021-09-07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Polycationic amphiphiles as antimicrobial agents and methods using same
GB201700404D0 (en) * 2017-01-10 2017-02-22 Saraswati Res And Dev Inst Compounds and composist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0953A (fr) * 1971-11-05 1973-05-03 Beecham Group Ltd Matiere biologiquement active
BE793157A (fr) * 1971-12-21 1973-06-21 Beecham Group Ltd Substance antivirale
IT981412B (it) * 1973-03-15 1974-10-10 Montedison Spa Poliammidi da acidi eterociclici aromatici ortocarbossilici e pro cedimento per prepararle
US4013507A (en) * 1973-09-18 1977-03-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Ionene polymers for selectively inhibiting the vitro growth of malignant cells
CA1305425C (en) * 1986-12-02 1992-07-21 Raymond J. Bergeron Anti-neoplastic spermine derivative
USRE38417E1 (en) * 1986-12-02 2004-02-03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Anti-neoplastic, anti-viral or anti-retroviral spermine derivatives
JPH02116843A (ja) * 1988-10-27 1990-05-01 Konica Corp 帯電防止された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2847164B2 (ja) * 1989-05-19 1999-01-13 ダウコーニングアジア株式会社 繊維体用抗菌剤
DE10065710A1 (de) * 2000-12-29 2002-07-04 Bayer Ag Arzneimittel enthaltend ein Polyamin als Wirksubstanz
US6955806B2 (en) * 2001-01-18 2005-10-18 Genzyme Corporation Ionene polymers and their use as antimicrobial agents
WO2004045629A1 (en) * 2002-11-19 2004-06-03 Genzyme Corporation Polyionenes for treating infections associated with cystic fibrosis
AU2003291087A1 (en) * 2002-11-19 2004-06-15 Genzyme Corporation Ionene oligomers and polymers
KR20100050523A (ko) * 2007-07-31 2010-05-13 뽈리쁠뤼스-트랑스펙씨옹 트랜스펙션을 위한 선형 폴리에틸렌이민(pei)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선형 pei
JP5465182B2 (ja) * 2008-10-14 2014-04-09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アルキレンイミンを含むウイルス感染症治療薬
EP2522688A4 (en) * 2010-01-04 2014-05-14 Rhodia Operations POLYAM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291642B1 (ko) * 2010-03-03 2013-08-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아미도 아민) 올리고머 하이드로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BR112013004275A2 (pt) * 2010-08-24 2016-08-02 Imp Innovations Ltd glicodendrímeros de polipropileterimina
UA119642C2 (uk) * 2013-03-15 2019-07-25 Меріал, Інк. Протимікробні поліамідні композиції та лікування мастит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6767A (ja) 2017-09-14
CN106687504A (zh) 2017-05-17
TW201615694A (zh) 2016-05-01
SG11201610886VA (en) 2017-01-27
RU2017104223A (ru) 2018-08-14
US20170182087A1 (en) 2017-06-29
AU2015287661A1 (en) 2017-02-02
AR101184A1 (es) 2016-11-30
IL249963A0 (en) 2017-03-30
EP3189091A2 (en) 2017-07-12
WO2016007821A2 (en) 2016-01-14
WO2016007821A3 (en) 2016-05-19
MX2017000447A (es) 2017-04-27
JP6765363B2 (ja) 2020-10-07
AU2015287661B2 (en) 2019-07-11
BR112017000258A2 (pt) 2017-10-31
CA2954768A1 (en)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45493A (ja) アミン官能性ポリアミド
AU2005232159B2 (en) 2-propene-1-ones as HSP 70 inducers
JP2768554B2 (ja) 金属タンパク質加水分解酵素阻害剤であるヒドロキサム酸誘導体
EA032526B1 (ru) Применение ингибитора кинуренин-3-монооксигеназы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и состояний, опосредованных активностью кинуренин-3-монооксигеназы
JP6215827B2 (ja) キサントン化合物の誘導体
TWI710555B (zh) 新穎水溶性前藥
JP6765363B2 (ja) 主鎖ポリアミン
US20220089521A1 (en) Ethylenediamine compound and use thereof
DE69924887T2 (de) Antibakterielle mittel
CN111170997A (zh) 咔唑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588109A1 (en) Use of kynurenic acid 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huntington&#39;s disease
WO2010099573A1 (en) Dioxolane norbornane / norbornene compounds suitable as antimicrobial agents to treat bacterial infections
US20240116857A1 (en)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s antimicrobials
TWI313602B (en)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N116848093A (zh) 具有抗胆碱酯酶活性的6-甲基尿嘧啶衍生物及其用途
TW201929847A (zh) 包含二羧酸之醫藥組合物及其治療應用
CN101781227B (zh) 化合物2-n-[(1r,2r)-1,3-二羟基-1-苯丙基]-脂肪酰胺及其制备和应用
KR20190088551A (ko) 루코트리엔 a4 하이드롤라제의 저해제
JPH0517455A (ja) 新規な環状アミン化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