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053A -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 Google Patents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053A
KR20170025053A KR1020150120897A KR20150120897A KR20170025053A KR 20170025053 A KR20170025053 A KR 20170025053A KR 1020150120897 A KR1020150120897 A KR 1020150120897A KR 20150120897 A KR20150120897 A KR 20150120897A KR 20170025053 A KR20170025053 A KR 2017002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polymer
polymer electrolyte
initiator
group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수
송승환
김성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053A/ko
Publication of KR2017002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9Esters; Ether-esters of carbonic acid, e.g. R-O-C(=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6Solid electrolytes, e.g. gels;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커패시터 또는 수퍼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중합시 분해되어 활성 라디칼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새로운 구조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커패시터 또는 수퍼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INITIATOR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커패시터 또는 수퍼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겔 폴리머 생성과정에서 열중합시 분해되어 활성 라디칼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새로운 구조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커패시터 또는 수퍼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환경 문제가 클로즈업되는 가운데,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클린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고, 전기 에너지로서 축전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축전 디바이스(storage device)로서는, 리튬 이온 2차 전지(LIB)나 전기 2중층 커패시터(EDLC)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단시간에 고(高)용량의 전력을 충방전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고, 전기 2중층 커패시터는 축전할 수 있는 전기량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와 전기 2중층 커패시터(EDLC)의 이점을 겸비하는 대용량의 축전 디바이스로서,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 및 상기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의 성능을 향상시킨 수퍼커패시터 (SC) 가 주목되고 있다.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 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박의 집전체에 활성탄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한 정극(positive electrode)과, 구리박의 집전체에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 가능한 탄소 재료 등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한 부극(negative electrode)과, 비수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 LIC는, LIB와 동일하게 2.5∼4.2V의 고전압을 갖고, 또한 EDLC와 동일하게 고출력에서의 충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의 전해액으로는, LiPF6, LiBF4, LiClO4, LiCF3SO3, LiAsF6, LiN(CF3SO2)2, LiCF3(CF2)3SO3 등의 전해질을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고리형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등의 사슬형 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의 고리형 에스테르류, 아세트산메틸, 프로피온산메틸 등의 사슬형 에스테르류 등의 비수계 용매에 용해시킨 비수계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의 부하 특성, 사이클 특성, 보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을 개량시키기 위해, 비수계 용매나 전해질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전해액의 분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보존 특성,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전지를 제조할 수 있고, 프로판술톤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보존후의 회복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시킨 경우, 보존 특성이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어느 정도 갖지만, 부극 (負極) 측에서 저항이 높은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방전 부하 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수퍼 커패시터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에 비하여 충방전 회수가 거의 무한대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에너지의 충방전 속도가 매우 빨라 그 출력 밀도가 배터리의 수십배 이상이다.
기존의 배터리로 구현 불가능한 이와 같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특성으로 인하여 산업계 전반에 걸쳐 그 응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또는 연료전지자동차(Fuel Cell Vehicle, FCV) 등과 같은 차세대 환경 친화 차량 개발 분야에 있어 에너지 버퍼로서 그 효용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즉, 초고용량 커패시터는 보조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배터리와 병용됨으로써, 순시적인 에너지의 공급과 흡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가 담당하고, 평균적인 차량의 에너지 공급은 배터리가 담당함으로써 전반적인 차량 시스템의 효율 개선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 연장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전화나 동영상 레코더와 같은 휴대용 전자 부품에서 보조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요성 및 용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퍼 커패시터는 크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on double layer capacitor)와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수퍼 커패시터(Hybrid super capacitor)로 분류될 수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표면에 전기 이중층이 생성되어 전하를 축적하는 반면, 하이브리드 수퍼 커패시터는 전극물질 표면에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과 함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하를 축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퍼 커패시터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에 비하여 충방전 회수가 거의 무한대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에너지의 충방전 속도가 매우 빨라 그 출력 밀도가 배터리의 수십배 이상이다.
본 특허는 이와 같이 최근 각광을 받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 나 SC의 고온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겔 폴리머 전해질에 관한 기술이다. 겔 폴리머 전해액은 액체 전해액에 비하여 누액 가능성이 낮아 안전성이 높고, 전지 형상의 초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겔 폴리머 전해질형은 화학가교형과 물리가교형으로 크게 두가지의 형태로 나누어진다. 화학가교형 리튬폴리머전지는 액체 전해액에 저분자량의 단량체(monomer) 및 개시제(initiator)를 소량 첨가하여 용해시켜 전구체를 만든 후, 이것을 알루미늄 파우치내에 주액하여 함침시킨 후, 열중합(curing)을 통하여 전지 내부의 전해질을 균일한 겔상으로 형성시켜 전극 및 격리막을 일체화 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화학가교형의 경우 전해질이 전지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으로 겔화되므로 반응을 균일하게 제어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중합물 내에서 낮은 단량체 함량과 높은 개시제 함량 때문에 낮은 반응효율로 인해 고분자의 가교 구조가 치밀하지 못하며, 열중합 과정에서 개시제가 분해되어 생성되는 부산물 및 미반응 활성화 물질들의 잔재로 인하여 전지의 충방전 수명 단축 및 안전성, 고온 방치특성 등에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상 가스배출공정을 적용할 수 없는 캔타입이나 코인 타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 또는 수퍼커패시터의 고온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개시제에 관한 기술로서,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시 전해질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개시제 분해물을 제공할 수 있는 중합개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 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벤질기,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및 사이클로알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는 열중합에 의해 아래와 같이 분해되는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는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3,3,5-트리메틸헥사노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benzoyl peroxide), m-톨루오일 퍼옥사이드(m-toluoyl peroxide),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4-t-부틸사이크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 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시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i) 중합 또는 가교에 의하여 겔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모노머(monomer) ;
ii) 전해액 용매 ;
iii) 전해질 염 ; 및
iv)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 중합 또는 가교에 의하여 겔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모노머로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분자량 50~20,000),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acrylate),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diol di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트리메틸올 프로판 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트리메틸올 프로판 프로폭시레이트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propoxylate triacrylate),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에톡시레이트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ethoxylate tetraacrylate),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5-헥사디엔 디에폭사이드(1,5-hexadiene diepoxide), 글리세롤 프로폭시레이트 트리글리시딜 에테르(glycerol propoxylate triglycidyl ether), 비닐시클로헥센 디옥사이드(vinylcyclohexene dioxide), 1,2,7,8-디에폭시옥탄(1,2,7,8-diepoxyoctane), 4-비닐시클로헥센 디옥사이드(4-vinylcyclohexene dioxide),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butyl glycidyl ether), 디글리시딜 1,2-시클로헥산디카복실레이트(diglycidyl 1,2-cyclohexanedicarboxylate),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 에테르(glycerol triglycidyl ether),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전해질 단량체는 상기 전해액 용매와 전해질 염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머 전해질 단량체가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전지 내에 주액하는 도중 겔화가 너무 빨리 일어나거나 너무 조밀하게 되어 저항이 큰 겔이 얻어지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폴리머 전해질 단량체가 0.01 중량부 미만이면 겔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용매는 전해질 염을 용해 또는 해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전지용 전해액 용매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락톤, 에테르, 에스테르, 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락탐, 케톤 및 이들의 할로겐 유도체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FEC) 등이 있고,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및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등이 있다. 상기 락톤의 예로는 감마부티로락톤(GBL)이 있으며, 상기 에테르의 예로는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등이 있다. 상기 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틸 포메이트, 에틸 포메이트, 프로필 포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부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피발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설폭사이드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이 있고, 상기 락탐으로는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이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 케톤이 있다. 또한, 이들의 할로겐 유도체도 사용 가능하며, 이상의 예시된 전해액 용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전해액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퍼 커패시터의 경우 상기 리튬 이온 커패시터와 같은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극성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및 술포란 등이 사용된다. 지지염으로서는 4불화 붕산 리튬, 6불화 인산 리튬 및, 이미드염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100 중량부당 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이상인 경우 용량 증가에 따라 효과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으며,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이하인 경우 개시제 첨가에 따른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중합시켜 형성된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화학 소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커패시터 또는 수퍼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는 열중합시 분해되어 활성 라디칼 및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여, 본 발명에 의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이용한 수퍼 커패시터 등의 전기 화학 소자의 경우 종래 개시제가 분해되어 질소 기체가 형성됨으로써 부피 팽창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인셀 전지의 상온 방치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의 제조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 1: 2(v: v)의 조성을 가지는 비수 전해액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전해액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머 전해질 단량체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및 개시제로 벤조일퍼옥시드를 0.50 ~ 10.0 중량부 첨가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3.30g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의 제조
중합개시제로서 AIBN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의 열중합 반응 이후 부피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열중합 반응 시키고, 이후 가스발생 결과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 제조예 > 수퍼커패시터의 제조
대칭전극 활물질로 활성탄 분말, 바인더로 PVDF, 도전제로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각각 94 중량%, 3 중량% 및 3 중량%로 하여 용매인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전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개시제를 전체 슬러리 중량 대비 0.5 중량%, 2 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전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10㎛ 의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전극을 적당한 크기로 펀칭하고,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끼워 부극과 대향시켰다. 음극은, 리튬 이온을 도프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고, 셀을 조립 후에 도프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는, 리튬 금속을 접속한 전극을 셀 내에 배치하면 좋다. 세퍼레이터는 셀룰로오스나 폴리올레핀 수지 등으로 구성된 다공막이나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주입하여 함침시켰다. 마지막으로 절연 개스킷을 개재하여 케이스에 덮개를 하여 봉구함으로써 수퍼 커패시터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수퍼커패시터(SC)의 고온 방치에 따른 누액특성 실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퍼커패시터 코인셀을 65℃, 95% 습도 조건에서 방치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누액 발생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시제를 2%, 4% 포함하는 경우 종전 액상 전해질을 사용한 비교예에 비하여 누액 발생량이 70 % 이상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65℃, 95% 습도 조건에서500시간 방치후 누액 발생율
비교예 1 단량체0% + 개시제 0% 100%
비교예 2 단량체 3% + 단량체의 1% (AIBN) 100%
실시예 1 단량체 3% + 단량체의 1% (BPO) 30%
실시예 2 단량체 3% + 단량체의 2% (BPO) 30%
실시예 3 단량체 5% + 단량체의 4% (BPO) 10%
실시예 4 단량체 5% + 단량체의 3% (BPO) 0%
실시예 5 단량체 5% + 단량체의10% (BPO) 30%
<실험예> 수퍼커패시터(SC)의 고온 방치에 따른 내부저항 변화 실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퍼커패시터 코인셀을 65℃, 95% 습도 조건에서 500시간 방치 후, 저항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시제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사용한 수퍼커패시터 코인셀의 경우 종전 액상 전해질을 사용한 비교예에 비하여 저항 증가 현상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65℃500시간 방치 후,내부 저항 증가율
비교예 1 단량체0% + 개시제 0% 800%
비교예 2 단량체 3% + 단량체의 1% (AIBN) 680%
실시예 1 단량체 3% + 단량체의 1% (BPO) 850%
실시예 2 단량체 3% + 단량체의 2% (BPO) 100%
실시예 3 단량체 5% + 단량체의 4% (BPO) 130%
실시예 4 단량체 5% + 단량체의 3% (BPO) 110%
실시예 5 단량체 5% + 단량체의10% (BPO) 200%

Claims (8)

  1.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 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벤질기,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및 사이클로알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는 아래와 같이 분해되는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Figure pat00004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는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3,3,5-트리메틸헥사노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m-톨루오일 퍼옥사이드(m-toluoyl peroxide),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4-t-부틸사이크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 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4. i) 중합 또는 가교에 의하여 겔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모노머(monomer) ;
    ii) 전해액 용매 ;
    iii) 전해질 염 ; 및
    iv) 제 1 항에 의한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100 중량부당 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중합시켜 형성된 겔 폴리머 전해질.
  7. 제 6 항의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화학 소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커패시터, 또는 수퍼커패시터인 것인 전기 화학 소자.

KR1020150120897A 2015-08-27 2015-08-27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KR20170025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97A KR20170025053A (ko) 2015-08-27 2015-08-27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97A KR20170025053A (ko) 2015-08-27 2015-08-27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053A true KR20170025053A (ko) 2017-03-08

Family

ID=5840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97A KR20170025053A (ko) 2015-08-27 2015-08-27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0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7648A1 (en) 2017-02-24 2018-08-29 Lg Electronics Inc. Automatic photographing dependent on positioning on preview screen
CN112735848A (zh) * 2020-12-06 2021-04-30 齐鲁工业大学 一种含防冻两性离子水凝胶电解质的超级电容器及其制备方法
CN117543075A (zh) * 2024-01-10 2024-02-09 四川新能源汽车创新中心有限公司 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锂电池及其制备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7648A1 (en) 2017-02-24 2018-08-29 Lg Electronics Inc. Automatic photographing dependent on positioning on preview screen
CN112735848A (zh) * 2020-12-06 2021-04-30 齐鲁工业大学 一种含防冻两性离子水凝胶电解质的超级电容器及其制备方法
CN112735848B (zh) * 2020-12-06 2021-11-30 齐鲁工业大学 一种含防冻两性离子水凝胶电解质的超级电容器及其制备方法
WO2022116497A1 (zh) * 2020-12-06 2022-06-09 齐鲁工业大学 一种含防冻两性离子水凝胶电解质的超级电容器及其制备方法
CN117543075A (zh) * 2024-01-10 2024-02-09 四川新能源汽车创新中心有限公司 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锂电池及其制备方法
CN117543075B (zh) * 2024-01-10 2024-03-26 四川新能源汽车创新中心有限公司 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锂电池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171B1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N110400932B (zh) 一种电化学电芯及其制备方法
KR101947059B1 (ko) 비수전해액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비수전해액 전지
KR102000101B1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802342B1 (ko) 유기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JP4493513B2 (ja) 有機電解液及びそ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KR101546251B1 (ko) 전기화학 장치용 전해액 및 전기화학 장치
KR20080022677A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80001989A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20080101702A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67209A (zh) 一种高低温性能兼顾的高电压锂离子电池
KR20150028787A (ko) 전극 보호막 형성제
KR20190127602A (ko)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KR102517991B1 (ko)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KR20090063615A (ko)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170025053A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JP6116029B2 (ja) ゲル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マー二次電池
KR101835166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156537B1 (ko) 리튬 폴리머 전지
EP2824752A1 (en) ELECTROLYTE FOR Li STORAGE BATTERY, AND Li STORAGE BATTERY
KR102335794B1 (ko)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JP5896154B2 (ja) 固体電解質膜形成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電解液、蓄電デバイス
US20210119261A1 (en) Electrochemical device
KR101629507B1 (ko) 보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CN112542611A (zh) 用于凝胶电解质的组合物、柔性电池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