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016A -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016A
KR20170023016A KR1020167036538A KR20167036538A KR20170023016A KR 20170023016 A KR20170023016 A KR 20170023016A KR 1020167036538 A KR1020167036538 A KR 1020167036538A KR 20167036538 A KR20167036538 A KR 20167036538A KR 20170023016 A KR20170023016 A KR 20170023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bsorbent article
sheet
lay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713B1 (ko
Inventor
아야코 모리야
하루키 도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68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 A61F13/70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with openable or removable crotch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8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톱 시트 중 소정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톱 시트(120)로서, 볼록부(122)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121)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하고, 흡수체(140)에, 이 흡수체를 두께 방향(Z)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41)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ABSORBENT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INCLUDING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착용자의 음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흡수체가 배치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용자의 음부에 대한 흡수성 물품의 피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착용자의 음부가 접촉하는 부분이 습윤 상태로 되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자의 불쾌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2∼13에는,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부직포 및 이 부직포의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로서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13에 기재된 부직포에서는,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에 의해, 부직포의 투액성 및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6-9515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9-3021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8-2332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08-25079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2004-174234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개 2009-160035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허공개 2009-201964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허공개 2012-5701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 특허공개 2002-187228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 특허공개 2003-247155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 특허공개 2007-177340호 공보 특허문헌 12: 일본 특허공개 2005-350836호 공보 특허문헌 13: 일본 특허공개 2010-168715호 공보
볼록부가 형성된 투액성의 톱 시트를 흡수성 물품에 탑재한 경우, 흡수성 물품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톱 시트에 형성된 볼록부가 찌부러져, 볼록부의 기능(예컨대, 투액성의 향상, 촉감의 향상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볼록부가 형성된 톱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톱 시트 중 소정 영역(예컨대, 착용자의 음부가 접촉하는 영역)에 형성된 볼록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투액성의 톱 시트와,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액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호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이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 또는 상기 톱 시트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인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이 장착되는 장착면을 갖는 투액성의 톱 시트와, 불투액성의 백 시트를 구비하며, 복측부, 고간부 및 등측부를 갖는 외장체와, 상기 외장체의 상기 피부측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록부가 형성된 톱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톱 시트 중 소정 영역(예컨대, 착용자의 음부가 접촉하는 영역)에 형성된 볼록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뇨 흡수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뇨 흡수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B-B선 단면도(복측부 측의 부분)이고, 도 4(B)는 도 1의 B-B선 단면도(등측부 측의 부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뇨 흡수 패드가 구비하는 톱 시트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장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외장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외장체를 팬츠 형상으로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외장체가 구비하는 사이드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A)는 부직포 제조 장치의 전체도이고, 도 12(B)는 부직포 제조 장치의 분사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기체의, 웹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길이의 양측 중,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중심선의 근위(近位) 측을 「길이 방향의 내측」이라고 표현하고, 원위(遠位) 측을 「길이 방향의 외측」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폭 방향의 양측 중,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중심선의 근위 측을 「폭 방향의 내측」이라고 표현하고, 원위 측을 「폭 방향의 외측」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두께 방향의 양측 중, 착용자의 피부 측에 위치하는 두께 방향의 한 측을 「피부 측」이라고 하고, 착용자의 착의 측에 위치하는 두께 방향의 다른 측을 「착의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포함되는 양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이하「양태 1A」라고 한다)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투액성의 톱 시트와,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액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호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이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 또는 상기 톱 시트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를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다.
양태 1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가해지는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서, 톱 시트의 피부측 표면은, 볼록부 이외의 부분(예컨대, 오목부)을 꺾임 기점으로 하여 착의 측(백 시트 측)으로 향해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쉬운 한편, 흡수체는 피부 측(톱 시트 측)으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 톱 시트는 흡수체의 관통 구멍 내 또는 오목부 내에 들어가기 쉽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톱 시트가 눌리더라도, 톱 시트 중 흡수체의 관통 구멍 내 또는 오목부 내에 들어간 부분은 눌리기 어려워, 이 부분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고령자(특히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의 뇨는 일반 성인의 뇨와 비교하여 불순물을 많이 함유한다. 따라서, 톱 시트의 눌림으로 인해서 볼록부가 찌부러져, 볼록부의 부피 및 공극이 감소하면, 뇨 중의 불순물이 톱 시트에 잔존하기 쉽게 되어, 톱 시트의 투액성 저하를 야기한다. 이 점에서, 양태 1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볼록부의 부피 및 공극이 유지되기 쉽기 때문에, 고령자(특히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의 뇨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예컨대, 뇨 흡수 패드)으로서 적합하다. 여기서, 고령자란 통상 65세 이상인 사람을 의미한다.
양태 1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2A」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랑부(畝部)이다.
양태 2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가해지는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서, 톱 시트의 피부측 표면은, 이랑부 이외의 부분(예컨대, 고랑부)를 꺾임 기점으로 하여 착의 측으로 향해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 톱 시트는 흡수체의 관통 구멍 내 또는 오목부 내에 들어가기 쉽다.
양태 1A 또는 양태 2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3A」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양태 3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가해지는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서, 흡수체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꺾임 기점으로 하여 피부 측으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 톱 시트는 흡수체의 관통 구멍 내 또는 오목부 내에 들어가기 쉽다.
양태 1A∼양태 3A 중 어느 것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4A」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최소 폭보다 작은 최대 폭을 갖는 제2 층이며 상기 제1 층보다 상기 백 시트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층을 갖는다.
양태 4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가해지는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서, 흡수체는, 제1 층 중 제2 층과 겹치지 않는 부분을 꺾임 기점으로 하여 피부 측으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 톱 시트는 흡수체의 관통 구멍 내 또는 오목부 내에 들어가기 쉽다.
양태 1A∼양태 4A 중 어느 것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5A」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일체화하는 압착부이며,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압착부를 갖는다.
양태 5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가해지는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서, 흡수체는 압착부를 꺾임 기점으로 하여 피부 측으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 톱 시트는 흡수체의 관통 구멍 내 또는 오목부 내에 들어가기 쉽다. 또한, 압착부에 의해서 흡수체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기 때문에, 톱 시트가 들어가기 위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의 공간이 유지되기 쉽다.
양태 1A∼양태 5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6A」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중 상기 볼록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은 상기 부직포 중 상기 볼록부 이외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크다.
양태 6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볼록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이 크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톱 시트가 눌리더라도 볼록부의 부피 및 공극이 유지되기 쉽다. 이 때문에, 양태 6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고령자(특히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의 뇨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예컨대, 뇨 흡수 패드)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양태 1A∼양태 6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7A」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투액성의 제1 시트와, 투액성의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폴리머층을 갖는 흡액성 시트이며,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흡액성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액성 시트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양태 7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공급된 액체(예컨대, 뇨)를 흡수성 폴리머층이 흡수하여 팽윤되면, 흡수성 폴리머층의 두께가 증가한다. 따라서,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층이 압력 완충층으로서 기능하여, 톱 시트 중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층과 겹치지 않은 부분을 압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이 때문에, 톱 시트 중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층과 겹치지 않은 부분은 눌리기 어려워, 이 부분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형상은 유지되기 쉽다.
양태 7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8A」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늘어선 복측부, 고간부 및 등측부를 가지고,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고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액성 시트는 상기 등측부에 위치한다. 양태 7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다른 양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층의 양 단연부는, 제1 흡수층의 양 단연부보다 내측에 있으며 또한 제2 흡수층의 양 단연부보다 외측에 있다. 흡수성 폴리머층의 양 단연부가, 제1 흡수층의 양 단연부보다 내측에 있으며 또한 제2 흡수층의 양 단연부보다 외측에 있음으로써, 적어도 제2 흡수층의 전체 폭을 포함하는 톱 시트의 폭 방향의 영역에 걸쳐 톱 시트에 대하여 압력 완충층으로서의 기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데에 더하여, 흡수성 폴리머층이 액체를 흡수하여 팽윤된 후에도, 제1 흡수층과 제2 흡수층과 흡수성 폴리머층의 사이즈의 차에 기인한 단차를 보다 한층 더 착용자가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태 4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이 양태 7A의 특징을 가지고, 더욱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층의 양 단연부는, 제1 흡수층의 양 단연부보다 내측에 있으며 또한 제2 흡수층의 양 단연부보다 외측에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 투영 윤곽선으로 표시된 제1 흡수층과 제2 흡수층과 흡수성 폴리머층의 위치 관계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제1 흡수층과 제2 흡수층과 흡수성 폴리머층이 연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흡수성 폴리머층이 액체를 흡수하여 팽창하더라도, 제1 흡수층과 제2 흡수층과 흡수성 폴리머층의 사이즈의 차에 기인하는 단차, 특히 흡수성 물품 중에서도 두께가 큰 흡수체의 폭 방향 단부에 기인하는 단차를 착용자가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장착감의 향상을 불러온다.
양태 8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가해지는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서, 톱 시트 중 고간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체의 관통 구멍 내 또는 오목부 내에 들어가기 쉽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 공급된 액체(예컨대, 뇨)를 흡액성 시트의 흡수성 폴리머층이 흡수하여 팽윤되면,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층이 압력 완충층으로서 기능하여, 톱 시트 중 등측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압력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톱 시트 중 고간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이하, 본 발명의 착용 물품에 포함되는 양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이하 「양태 1B」라고 한다)에 따른 착용 물품은, 흡수성 물품이 장착되는 장착면을 갖는 투액성의 톱 시트와, 불투액성의 백 시트를 구비하며, 복측부, 고간부 및 등측부를 갖는 외장체와, 상기 장착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양태 1∼양태 8 중 어느 것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이다.
양태 1B에 따른 착용 물품은, 장착되는 흡수성 물품의 양태에 따라서, 양태 1A∼양태 8A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양태 1B에 따른 착용 물품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하 「양태 2B」라고 한다)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기립 가능한 제1 누설 방지부이며,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고정 단부 및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이격 가능한 자유 단부를 갖는 상기 제1 누설 방지부와, 상기 제1 누설 방지부의 자유 단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제1 탄성 부재이며, 신장 방향의 양 단부가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기립 가능한 제2 누설 방지부이며,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고정 단부 및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이격 가능한 자유 단부를 갖는 상기 제2 누설 방지부와, 상기 제2 누설 방지부의 자유 단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제2 탄성 부재이며, 신장 방향의 양 단부가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 부분이 각각 상기 장착면과 상기 제1 누설 방지부의 사이에 그리고 상기 장착면과 상기 제2 누설 방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양태 7A 또는 양태 8A에 따른 흡수성 물품이며, 상기 흡수성 폴리머층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와의 간격보다도 크다.
양태 2B에 따른 착용 물품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 폴리머층이 액체를 흡수하여 팽윤되면, 제1 누설 방지부 및 제2 누설 방지부는 이들의 기립 방향으로 밀어올려진다. 따라서, 제1 누설 방지부 및 제2 누설 방지부가 쓰러지기 어려워, 제1 누설 방지부 및 제2 누설 방지부에 의한 액체 누설 방지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쉽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예컨대, 뇨 흡수 패드,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팬티라이너 등의 위생 용품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도 좋고, 애완동물 등의 인간 이외의 동물을 대상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흡수 대상으로 하는 액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착용자의 액상 배설물(예컨대, 뇨, 설사, 경혈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도 1∼도 5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인 뇨 흡수 패드(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뇨 흡수 패드(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뇨 흡수 패드(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톱 시트(120)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뇨 흡수 패드(100)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는 길이 방향 X, 폭 방향 Y 및 두께 방향 Z를 갖는다.
뇨 흡수 패드(100)는, 피부측 표면(121)을 갖는 투액성의 톱 시트(120)와, 착의 측의 표면(131)을 갖는 불투액성의 백 시트(130)와, 톱 시트(120)와 백 시트(130) 사이에 배치된 흡액성의 흡수체(140)를 구비한다.
뇨 흡수 패드(100)는, 길이 방향 X으로 늘어선 복측부(111), 고간부(112) 및 등측부(113)를 갖는다. 뇨 흡수 패드(100)가 착용될 때, 복측부(111)는 착용자의 복부에 맞닿고, 고간부(112)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맞닿고, 등측부(113)는 착용자의 둔부 및/또는 등에 맞닿는다. 뇨 흡수 패드(100)의 길이는 통상 350∼880 mm, 폭은 통상 160∼460 mm이다.
뇨 흡수 패드(100)는, 톱 시트(120)의 피부측 표면(121)이 착용자의 피부 측에 위치하고, 백 시트(130)의 착의 측의 표면(131)이 착용자의 착의 측에 위치하게 착용된다. 뇨 흡수 패드(100)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외장체(200)에 장착된 상태로 착용된다. 뇨 흡수 패드(100)의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은, 길이 방향 X의 대략 중앙이 잘록하게 된 표주박 형상이기 때문에, 뇨 흡수 패드(100)의 잘록해진 부분이 착용자의 고간에 피트되기 쉽다.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뇨는, 톱 시트(120)를 통하여 흡수체(140)에 침투하여, 흡수체(140)에서 흡수 및 유지된다. 흡수체(140)에서 흡수 및 유지되는 뇨의 누설은 백 시트(130)에 의해서 방지된다.
톱 시트(120)로서 사용되는 투액성 시트는 부직포이다. 부직포로서는,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및 이들 조합(예컨대, 스펀 본드·멜트블로우·스펀 본드(SMS) 부직포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어스루 부직포이다. 톱 시트(120)로서 사용되는 부직포의 평량은 투액성, 촉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에어스루 부직포의 평량은 통상 20∼40 g/㎡, 바람직하게는 25∼35 g/㎡이다.
톱 시트(120)의 피부측 표면(121)에는, 이랑부(122)(볼록부의 일례)가 형성되어 있다. 이랑부(122)는 길이 방향 X로 연장되고, 폭 방향 Y로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늘어서 있으며, 인접하는 2개의 이랑부(122) 사이에는 하나의 고랑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피부측 표면(121)에는,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랑부(122)와,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랑부(123)로 이루어지는 묘구(畝溝) 구조(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하나의 이랑부(122)는, 인접하는 2개의 선 사이의 영역으로서 나타내어져 있고, 하나의 고랑부(123)는 1개의 선에 의해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도 1에서는, 피부측 표면(121)에 형성된 묘구 구조(124)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B-B선은, 이랑부(122)를 지나는 선이기 때문에, B-B선 단면도(도 4)에는 고랑부(123)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랑부(122) 및 고랑부(123)가 길이 방향 X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본 실시형태는, 톱 시트(120)에 공급된 뇨가 이랑부(122) 및 고랑부(123)를 따라서 길이 방향 X으로 퍼지기 쉽고, 폭 방향 Y으로의 뇨의 퍼짐 및 이것에 기인한 뇨 흡수 패드(100)로부터의 뇨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단, 이랑부(122) 및 고랑부(123)의 형태는 변경 가능하다. 변경예로서는, 예컨대, 이랑부(122) 및 고랑부(123)가 폭 방향 Y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X으로 나란히 늘어서는 실시형태, 이랑부(122) 및 고랑부(123)가 방향을 변화시키면서(예컨대, 파상) 연장되는 실시형태, 이랑부(122) 및 고랑부(123)가 길이 방향 X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실시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랑부(122)의 표면은 곡면이며, 이랑부(122)의 단면 형상은 표면을 향하여 대략 역U자 형상이다. 단, 이랑부(122)의 단면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변경예로서는, 예컨대, 이랑부(122)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삼각형 등인 실시형태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이랑부(122)가 꼭대기부로 향해서 끝이 가늘어지는 실시형태는, 뇨 흡수 패드(100)에 가해진 힘(예컨대,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서 이랑부(122)가 찌부러지더라도, 고랑부(123)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랑부(122)는, 두께 T1를 가지고, 고랑부(123)는 두께 T2를 갖는다. 이랑부(122)의 두께 T1는 통상 0.3∼1.5 mm, 바람직하게는 0.6∼1.4 mm, 더욱 바람직하게는0.8∼1.2 mm이고, 고랑부(123)의 두께 T2는 통상 0.1∼0.5 mm, 바람직하게는 0.2∼0.4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3 mm이다. 이랑부 및 고랑부의 두께는, 뇨 흡수 패드로부터 잘라낸 100 mm×100 mm의 톱 시트 샘플과, 레이저 변위계(예컨대, 키엔스가부시키기아샤 제조 고정밀도 2차원 레이저 변위계 LJ-G 시리즈(형식: LJ-G030))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된다. 톱 시트 샘플을 수평의 측정대 위에 놓고, 다른 5개의 이랑부에 관해서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이랑부의 두께(mm)로 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5개의 고랑부에 관해서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계측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고랑부의 두께(mm)로 한다.
이랑부(122)는 폭 W1을 가지고, 고랑부(123)는 폭 W2을 갖는다. 이랑부(122)의 폭 W1은 통상 2.0∼5.0 mm, 바람직하게는 3.0∼4.0 mm이고, 고랑부(123)의 폭 W2은 통상 1.0∼3.0 mm, 바람직하게는 1.0∼2.0 mm이다. 인접하는 2개의 이랑부(122)의 간격은, 통상 고랑부의 폭 W2과 같고, 인접하는 2개의 고랑부(123)의 간격은 통상 이랑부(122)의 폭과 같다. 이랑부(122)의 폭 W1은, 무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톱 시트(120)의 평면 사진 또는 평면 화상에 기초하여, 이랑부(122)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고랑부(123)의 경계선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다. 고랑부(123)의 폭 W2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랑부(122)의 두께 및 폭이 어떤 이랑부에서나 대략 동일하지만, 다른 이랑부와는 두께 또는 폭이 상이한 이랑부가 존재하여도 좋다. 고랑부(123)의 두께 및 폭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톱 시트(120)로서 사용되는 부직포 중, 이랑부(122)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은, 부직포 중 이랑부(122) 이외의 부분(예컨대, 고랑부(12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 배향 섬유」는, 두께 방향 Z에 대하여 +45도∼-45도의 각도로 배향되어 있는 섬유이다. 이랑부(122)에 있어서의 두께 배향 섬유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55∼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00%이다. 이랑부(122)에 있어서의 두께 배향 섬유의 함유율과, 부직포 중 이랑부(122) 이외의 부분(예컨대, 고랑부(12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1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0%이다.
부직포의 소정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1) 부직포를 절단하여, 부직포 샘플을 제작한다.
(2) 가부시키가이샤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현미경 VHX-100을 사용하여, 부직포 샘플의 절단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확대 화상을 촬영한다. 확대 화상은, 50 가닥 이상의 섬유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배율로 확대된 화상이며, 확대 배율은 예컨대 20∼50배이다. 확대 화상을 촬영할 때, 부직포 샘플의 절단면의 가장 앞쪽의 섬유(불규칙하게 앞쪽으로 튀어나온 섬유를 제외한다)에 핀트를 맞춰, 촬영 심도(깊이)를 설정한다. 확대 화상은 3D 화상으로서 PC 화면 상에 작성된다.
(3) 3D 화상을 2D 화상으로 변환하고, 2D 화상 상에, 부직포 샘플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선을 그려, 부직포 샘플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45도∼-45도의 각도로 배향하는 섬유의 가닥수를 카운트한다.
(4) 카운트한 섬유의 가닥수의, 측정 범위 내의 전체 섬유의 가닥수에 대한 비율을 계산한다.
(5) (1)∼(4)를 여러 번(예컨대 3∼5회) 반복하여, 그 평균치를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로 한다.
묘구 구조(124)가 형성된 부직포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함유하는 웹에 묘구 구조를 형성한 후, 가열 처리하여 웹 중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의 교차 부분을 열융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스루 부직포를 제조하는 경우, 가열 처리는 웹에 대하여 열풍을 분무함으로써 실시된다.
웹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이들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EE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젖산, 폴리글리콜산을 비롯한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탄소수 20까지의 폴리히드록시알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이들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다른 성분을 소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로서는, 예컨대, 6-나일론, 6,6-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친수화 처리로서는, 예컨대, 계면활성제, 친수제 등을 이용한 처리(예컨대, 섬유 내부에 계면활성제를 혼련하기, 섬유 표면에 계면활성제의 도포 등), 플라즈마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1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도 좋지만, 2 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복합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복합섬유는, 코어-시스(core-sheath)형 복합 섬유이다.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 성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융점이 코어 성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열가소성 수지가 선택된다.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의 코어 성분 및 시스 성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시스 성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들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등)이며, 코어 성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이다.
웹에 묘구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8-2507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332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30218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웹을 통기성 지지 부재(예컨대, 메쉬형 지지 부재)에 배치하고, 통기성 지지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웹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기체(통상은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웹에 묘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웹의 하면은, 통기성 지지 부재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된다. 예컨대, 메쉬형 지지 부재의 웹 배치면이 평탄한 경우에는, 웹의 하면은 대략 평탄하게 된다(따라서, 부직포의 하면도 대략 평탄하게 된다).
웹의 상면 중, 기체가 분사된 영역에는, 통기성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랑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2개의 고랑부 사이에 이랑부가 형성된다. 이 때, 기체가 분사된 영역의 섬유가 고랑부의 양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랑부의 평량은 통상 고랑부의 평량보다도 높아진다. 또한, 통기성 지지 부재의 불통기부(예컨대, 와이어)에 충돌하여 튕겨진 기체에 의해서 웹 중의 섬유가 감겨 올라가, 웹에 형성되는 묘구 구조 중, 이랑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이 그 밖의 부분(예컨대, 고랑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커진다. 이랑부 및 고랑부의 수, 간격, 평량, 섬유 밀도,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 등은, 노즐의 수, 구경 및 피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의 온도 및 분사량, 웹의 텐션 등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묘구 구조(124)가 형성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부직포 제조 장치(300)의 전체도이고, 도 12(B)는, 부직포 제조 장치(300)의 분사부(33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분사부(330)로부터 분사된 기체의, 웹(W)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직포 제조 장치(300)는, 웹(W)을 지지하는 통기성 지지 부재(310)와, 통기성 지지 부재(310)를 소정 방향 F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어(320)와, 통기성 지지 부재(310)에 지지된 웹(W)의 표면에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부(330)와, 기체 분사 처리 후의 웹(W)을 가열 처리하는 히터부(340)를 구비한다.
통기성 지지 부재(310)는, 불통기부인 소정 굵기의 복수의 와이어가 짜여져 들어감으로써 형성된 메쉬형 지지 부재이다. 통기성 지지 부재(310)에는, 복수의 와이어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짜여져 들어감으로써, 통기부인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는 분사부(330)로부터 분사된 기체(G)를 아래쪽으로 통기한다.
컨베어(320)는, 통기성 지지 부재(310)를 지지하는 통기성 벨트부(321)와, 통기성 벨트부(321)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322, 323)를 구비한다.
분사부(330)는, 송기관(331)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송기부(送氣部)에 통기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분사부(330)에는 복수의 분사구(33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는 송기부로부터 송기관(331)을 통해 분사부(330)에 송기된 기체(G)는, 분사부(330)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332)로부터 통기성 지지 부재(310)에 지지된 웹(W)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분사된다. 통기성 지지 부재(310)를 빠져 나간 기체(G)는, 분사부(330)의 아래쪽에 배치된 흡기부(350)에 의해서 흡인된다.
분사구(332)로부터 분사된 기체(G)가 통기성 지지 부재(310)의 불통기부(와이어)에 충돌하여 튕겨짐으로써, 웹(W) 중의 섬유가 감겨 올라가, 웹(W)의 두께 방향에 대한 배향성이 향상된다(도 13 참조). 이에 따라, 웹(W)에 형성되는 묘구 구조 중, 이랑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이 고랑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커진다.
분사구(332)로부터 분사되는 기체(G)의 온도는 상온이라도 좋지만, 묘구 구조의 성형성 향상이라는 점에서, 웹(W)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연화점 이상이며, 융점의 +50℃∼-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지지 부재(310)에 지지된 웹(W)은, 기체 분사 처리 후, 히터부(340)에 의해서 가열 처리된다. 통기성 지지 부재(310)에 지지된 웹(W)은, 히터부(3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열 공간을 소정 시간의 체류를 가지고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히터부(340)에서의 가열 처리에 의해, 웹(W)에 형성된 묘구 구조가 유지된 상태에서, 웹(W) 중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의 교차 부분이 열융착하여, 묘구 구조(124)가 형성된 부직포가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랑부(122)(길이 방향 X으로 연장하는 볼록 라인부)는 볼록부의 일례이며, 톱 시트(120)의 피부측 표면(121)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형태는 변경 가능하다. 변경예로서는, 예컨대, 점재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가 톱 시트(120)로서 사용되는 실시형태를 들 수 있다. 점재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에 있어서, 볼록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부직포의 하면에서부터 볼록부의 꼭대기부까지의 거리),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오목부)의 두께(부직포의 하면에서부터 오목부의 가장 심부까지의 거리), 볼록부의 피치(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의 꼭대기부 사이의 거리) 등은, 요철 구조의 기능(예컨대, 투액성의 향상, 촉감의 향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점재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어 연신을 이용하는 방법, 열신장성 섬유의 열신장 및/또는 열수축성 섬유의 열수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열신장성 섬유의 열신장 및/또는 열수축성 섬유의 열수축을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부직포에 형성되는 묘구 구조 중, 이랑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이 그 밖의 부분(예컨대, 고랑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커진다고 생각된다.
기어 연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제1 부직포층을 기어 연신에 의해서 요철를 부형한 후, 볼록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제2 부직포층과 부분적으로 접합시킴으로써, 점재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열신장성 섬유의 열신장 및 열수축성 섬유의 열수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열신장성 섬유층을 피부 측에 가짐과 더불어, 접합부에 의해서 열신장성 섬유층과 부분적으로 접합된 열수축성 섬유층을 착의 측에 갖는 적층 시트를 가열 처리하고, 열신장성 섬유층의 열신장 및 열수축성 섬유층의 열수축에 의해서 열신장성 섬유층을 피부 측으로 융기시킴으로써,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열수축성 섬유의 열수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비열수축성 섬유층을 피부 측에 가짐과 더불어, 접합부에 의해서 비열수축성 섬유층과 부분적으로 접합된 열수축성 섬유층을 착의 측에 갖는 적층 시트를 가열 처리하고, 열수축성 섬유층의 열수축에 의해서 비열수축성 섬유층을 피부 측으로 융기시킴으로써,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열신장성 섬유의 열신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열신장성 섬유층을 피부 측에 가짐과 더불어, 접합부에 의해서 열신장성 섬유층과 부분적으로 접합된 비열신장성 섬유층을 착의 측에 갖는 적층 시트를 가열 처리하고, 열신장성 섬유층의 열신장에 의해서 열신장성 섬유층을 피부 측으로 융기시킴으로써,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백 시트(130)로서 사용되는 불투액성 시트로서는, 예컨대,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예컨대, 포인트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필름, 부직포와 합성수지 필름과의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백 시트(130)의 두께, 평량 등은 불투액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백 시트(130)는, 착용 시의 무더운 느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불투액성에 더하여, 통기성 또는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140)는, 톱 시트(120)와 백 시트(13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복측부(111)로부터 고간부(112)를 통하여 등측부(113)까지 연장되어 있다.
흡수체(140)는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을 갖는다. 단, 흡수체(140)가 갖는 층의 수는 변경 가능하다. 변경예로서는, 흡수체(140)가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실시형태, 흡수체(140)가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 이외의 1 또는 2 이상의 층을 갖는 실시형태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체(140)의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은,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뇨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 재료를 함유한다. 흡수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친수성 섬유, 흡수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염계, 폴리술폰산염계, 무수말레산염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의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SAP) 등을 들 수 있다.
제1 흡수층(140a)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이 잘록한 표주박 형상이며, 제2 흡수층(140b)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이에 따라, 흡수체(140)의 잘록하게 된 부분이 착용자의 고간에 피트되기 쉽게 된다. 단, 흡수체(140)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의 두께, 평량 등은 흡수체(140)의 흡액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제1 흡수층(140a)의 두께는 통상 1.5∼5.0 mm, 바람직하게는 2.5∼3.5 mm이고, 평량은 통상 150∼400 g/㎡, 바람직하게는 200∼300 g/㎡이다. 제2 흡수층(140b)의 두께는, 통상 1.5∼5.0 mm, 바람직하게는 2.5∼3.5 mm이고, 평량은 통상 150∼400 g/㎡, 바람직하게는 200∼300 g/㎡이다. 또한, 흡수체 두께는, 뇨 흡수 패드로부터 잘라낸 100 mm×100 mm의 흡수체 샘플과, 시판되는 두께 측정기(예컨대, PEACOCK사 제조 JA257, 측정면 50 mm(직경), 측정압 3 g/㎠)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두께 측정기에 의해, 흡수체 샘플의 다른 5개의 부위를 정압 3 g/㎠으로 가압하고, 각 부위에 있어서의 가압 10초 후의 두께를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두께(mm)로 한다.
제1 흡수층(140a)보다도 백 시트(130) 측에 위치하는 제2 흡수층(140b)의 최대 폭은 제1 흡수층(140a)의 최소 폭보다도 작다. 즉, 흡수체(140)는,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이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고평량 부분과, 제1 흡수층(140a) 중 제2 흡수층(140b)과 겹치지 않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저평량 부분을 가지고, 저평량 부분은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고평량 및 저평량은 상대적인 평량의 고저를 의미한다. 단,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의 폭은 변경 가능하다.
사이즈가 큰 제1 흡수층(140a)이, 사이즈가 작은 제2 흡수층(140b)보다도 톱 시트(120) 측에 위치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용자가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의 사이즈의 차에 기인하는 단차를 느끼기 어려워, 뇨 흡수 패드(1)의 장착감이 향상된다. 단,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의 위치 관계는 변경 가능하다. 변경예로서는, 예컨대, 제2 흡수층(140b)이 제1 흡수층(140a)보다도 톱 시트(120) 측에 위치하는 실시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는 코어랩으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재료의 층 형상 성형체인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을 코어랩으로 피복함으로써,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코어랩으로서 사용되는 투액성 시트로서는, 예컨대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제1 흡수층(140a)에는, 제1 흡수층(140a)을 두께 방향 Z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4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흡수층(140b)에는, 제2 흡수층(140b)을 두께 방향 Z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41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41a, 141b)은, 뇨 흡수 패드(100)의 고간부(112)에 위치하고 있음과 더불어, 흡수체(140)의 폭 방향 Y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은, 관통 구멍(141a, 141b)의 위치가 일치하도록(즉, 관통 구멍(141a, 141b)이 상호 통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흡수체(140)에는, 흡수체(140)를 두께 방향 Z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41)이 관통 구멍(141a, 141b)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41)은, 관통 구멍(141a, 141b)과 마찬가지로, 뇨 흡수 패드(100)의 고간부(112)에 위치하고 있음과 더불어 흡수체(140)의 폭 방향 Y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41)의 위치가, 착용자의 음부(뇨 배설구)의 위치와 일치하기 쉬워, 착용자에 대한 뇨 흡수 패드(100)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착용자의 음부(뇨 배설구)가 접촉하는 부분이 습윤 상태로 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불쾌감이 방지된다.
흡수체(140)에는, 관통 구멍(141) 대신에, 톱 시트(120)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톱 시트(120)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를 갖는 흡수체는, 예컨대, 관통 구멍(141a)을 갖는 제1 층과, 관통 구멍(141b)을 갖지 않는 제2 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관통 구멍(141a, 141b)의 길이, 폭 등은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의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관통 구멍(141a)의 폭은 통상 5.0∼50 mm, 바람직하게는 10∼20 mm이다. 관통 구멍(141b)의 폭은, 관통 구멍(141a)의 폭과 같거나 또는 그보다도 좁으며, 통상 5.0∼40 mm, 바람직하게는 10∼15 mm이다. 관통 구멍(141a)의 길이는, 통상 50∼300 mm, 바람직하게는 50∼20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50 mm이다. 관통 구멍(141b)의 길이는, 관통 구멍(141a)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도 짧으며, 통상 30∼250 mm, 바람직하게는 30∼150 mm이다. 관통 구멍(141a)의 폭 및 길이가, 관통 구멍(141b)의 폭 및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도 큼으로써,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을 적층하는 공정에서 다소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흡수체(140)의 톱 시트(120) 측의 표면에서 본 관통 구멍(141)의 크기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관통 구멍(141)의 내벽면에 단차가 생겨, 관통 구멍(141)의 내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관통 구멍(141)이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흡수체(140)의 뇨 흡수능이 향상된다.
흡수체(140)에는, 흡수체(140)를 두께 방향 Z으로 일체화하는 압착부(142, 143)가 관통 구멍(141)의 폭 방향 Y의 외측(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142, 143)는, 제1 흡수층(140a) 및 제2 흡수층(140b)을 두께 방향 Z으로 일체화한다. 압착부(142, 143)는, 고간부(112)에 있어서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다. 압착부(142, 143)는, 히트 엠보스 처리에 의해서 형성된, 톱 시트(120)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이다.
뇨 흡수 패드(100)는, 톱 시트(120)와 흡수체(140) 사이에 배치된 흡액성 시트(160)를 추가로 구비한다. 흡액성 시트(160)는,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관통 구멍(141)과 겹치지 않도록 고간부(112)에서부터 등측부(113)에 이르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흡액성 시트(160)는, 투액성 시트(161, 162)와, 투액성 시트(161, 162)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폴리머층(163)을 갖는다. 투액성 시트(161, 162)는 예컨대 부직포이다. 부직포로서는, 톱 시트(120)와 같은 구체예를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층(163)에 함유되는 흡수성 폴리머로서는, 흡수체(140)와 같은 구체예를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층(163)의 평량은, 뇨 흡수 패드(100)에 요구되는 뇨 흡수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예컨대, 투액성 시트(161, 162)가 180 mm×130 mm 사이즈인 경우, 1 g 당 생리식염수 60 g을 흡수하는 흡수성 폴리머 2 g을 사용하여, 투액성 시트(161,1 62)와 대략 동일 사이즈의 흡수성 폴리머층(163)을 형성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층(163)은 최대 폭 D1을 갖는다. 최대 폭 D1은, 흡수성 폴리머층(163)이 투영된, 두께 방향 Z에 수직인 평면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층(163)의 윤곽선 상의 점 중, 폭 방향 Y의 일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있는 점을 지나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과, 폭 방향 Y의 타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있는 점을 지나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과의 거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폴리머층(163)의 폭은 대략 일정하다.
흡수성 폴리머층(163)은, 투액성 시트(161, 162)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공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서, 투액성 시트(161, 16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흡액성 시트(160)에서 흡수체(140)로의 투액성의 관점에서, 접착제는, 투액성 시트(161, 162)의 계면 전체에는 도공되어 있지 않고, 예컨대 도트, 스파이럴, 스트라이프 등의 패턴으로 도공되어 있다.
흡수성 폴리머층(163)은, 임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폴리머 비존재 영역에 의해서 복수 영역으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뇨 흡수 패드(100)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뇨 흡수 패드(100)의 착용 시에 가해지는 폭 방향 Y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서, 톱 시트(120)의 피부측 표면(121)은, 이랑부(122) 이외의 부분(예컨대, 고랑부(123))를 꺾임 기점으로 하여 착의 측(백 시트(130) 측)으로 향해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쉬운 한편, 흡수체(140)는 관통 구멍(141), 제1 흡수층(140a) 중 제2 흡수층(140b)과 겹치지 않는 부분(저평량 부분) 및 압착부(141, 142)를 꺾임 기점으로 하여 피부 측(톱 시트(120) 측)으로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뇨 흡수 패드(100)의 착용 시, 톱 시트(120)는 흡수체(140)의 관통 구멍(141) 내에 들어가기 쉽다. 특히, 관통 구멍(141)은 고간부(112)에 위치하기 때문에, 톱 시트(120) 중 고간부(112)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체(140)의 관통 구멍(141) 내에 들어가기 쉽다. 이 때문에, 뇨 흡수 패드(100)의 착용 시에 톱 시트(120)가 눌리더라도, 톱 시트(120) 중 흡수체(140)의 관통 구멍(141) 내에 들어간 부분은 눌리기 어려워, 이 부분에 있어서의 이랑부(122)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고령자(특히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의 뇨는 일반 성인의 뇨와 비교하여 불순물을 많이 함유한다. 따라서, 톱 시트(120)의 눌림에 의해서 이랑부(122)가 찌부러져, 이랑부(122)의 부피 및 공극이 감소하면, 뇨 중의 불순물이 톱 시트(120)에 잔존하기 쉽게 되어, 톱 시트(120)의 투액성 저하를 야기한다. 이 점에서, 뇨 흡수 패드(100)는, 이랑부(122)의 부피 및 공극이 유지되기 쉽기 때문에, 고령자(특히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의 뇨를 흡수하기 위한 뇨 흡수 패드로서 적합하다.
톱 시트(120)로서 사용되는 부직포 중 고랑부(12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이 이랑부(122) 이외의 부분(예컨대, 고랑부(12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보다 큰 경우, 뇨 흡수 패드(100)의 착용 시에 톱 시트(120)가 눌리더라도, 이랑부(122)의 부피 및 공극이 유지되기 쉽다. 이 때문에, 뇨 흡수 패드(100)는, 고령자(특히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의 뇨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예컨대, 뇨 흡수 패드)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뇨 흡수 패드(100)에 공급된 뇨를 흡수성 폴리머층(163)이 흡수하여 팽윤되면, 흡수성 폴리머층(163)의 두께가 증가한다. 따라서,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층(163)이 압력 완충층으로서 기능하여, 톱 시트(120) 중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층(163)과 겹치지 않은 부분을 압력으로부터 보호한다. 특히, 흡액성 시트(160)는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관통 구멍(141)과 겹치지 않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 시트(120) 중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관통 구멍(141)과 겹치는 부분을 압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이 때문에, 톱 시트(120) 중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관통 구멍(141)과 겹치는 부분이 눌리기 어려워, 이 부분에 있어서의 이랑부(122)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이하 도 6∼도 9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외장체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장체(200)를 설명한다. 도 6은 외장체(20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외장체(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팬츠 형상으로 변형된 외장체(2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외장체(200)가 구비하는 사이드 시트(250a, 25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외장체(200)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는 길이 방향 X, 폭 방향 Y 및 두께 방향 Z를 갖는다. 외장체(200)의 길이 방향 X, 폭 방향 Y 및 두께 방향 Z은, 뇨 흡수 패드(100)의 길이 방향 X, 폭 방향 Y 및 두께 방향 Z과 일치한다.
외장체(200)는,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01, 202) 및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203, 204)를 갖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203, 204)에서부터 폭 방향 Y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 시트(280a, 280b)를 구비한다.
본체부(210)는, 길이 방향 X으로 나란히 늘어선 복측부(211), 고간부(212) 및 등측부(213)를 갖는다. 복측부(211)는 착용자의 복부에 맞닿는 부분이고, 고간부(212)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맞닿는 부분이고, 등측부(213)는 착용자의 둔부 및/또는 등에 맞닿는 부분이다. 본체부(210)의 길이는 통상 650∼1000 mm, 폭은 통상 300∼690 mm이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 시트(280a, 280b)는 본체부(210)의 등측부(213)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 시트(280a, 280b)에 부착된 결합 수단인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부(281a, 281b)에 의해서 복측부(211)의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와 등측부(213)의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가 결합되면, 외장체(200)는 팬츠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01, 202)에 의해서 허리 개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본체부(210)의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213, 214)에 의해서 다리 개구부가 형성된다(도 8 참조).
외장체(200)는, 전개형에서 팬츠형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처음부터 팬츠형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고간부(212)의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와, 등측부(213)의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를 접합함으로써, 외장체(200)를 팬츠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 시트(280a, 280b)는 생략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길이 방향 X의 대략 중앙 부분(고간부(212)에 대응하는 부분)이 잘록한 표주박 형상이다. 이 때문에, 고간부(212)가 착용자의 고간에 피트되기 쉽게 된다. 단, 본체부(210)의 형상은, 팬츠형으로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피부측 표면(221)을 갖는 투액성의 톱 시트(220)와, 착의 측의 표면(231)을 갖는 불투액성의 백 시트(230)와, 톱 시트(220)와 백 시트(230) 사이에 배치된 흡액성의 흡수체(240)와,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의 폭 방향 Y의 양측 부분에 배치된 불투액성의 사이드 시트(250a, 250b)를 구비한다. 단, 흡수체(240)는 생략 가능하다.
톱 시트(220)로서 사용되는 투액성 시트는 예컨대 부직포이다. 부직포로서는 톱 시트(120)와 같은 구체예를 들 수 있다. 톱 시트(220)의 평량, 두께 등은 투액성, 촉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백 시트(230)는, 피부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시트(231)와, 착의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시트(232)를 갖는다. 불투액성 시트(231, 232)로서는, 예컨대,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합성수지 필름, 부직포와 합성수지 필름과의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백 시트(230)의 두께, 평량 등은 불투액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백 시트(230)는, 착용 시의 무더운 느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불투액성에 더하여, 통기성 또는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240)는, 톱 시트(200)와 백 시트(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복측부(211)에서부터 고간부(212)를 지나 등측부(213)까지 연장되어 있다. 흡수체(240)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길이 방향 X의 대략 중앙이 잘록한 표주박 형상이다. 이에 따라, 흡수체(240)의 잘록하게 된 부분이 착용자의 고간에 피트되기 쉽게 된다. 흡수체(240)는,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뇨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 재료를 함유한다. 흡수성 재료로서는 흡수체(140)와 같은 구체예를 들 수 있다. 흡수체(240)는 코어랩으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240)의 두께, 평량 등은 흡액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흡수체(240)의 두께는 통상 3∼10 mm, 바람직하게는 4∼7 mm이고, 150∼500 g/㎡, 바람직하게는 200∼400 g/㎡이다.
흡수체(240)에는, 흡수체(240)를 두께 방향 Z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4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41)은, 외장체(200)의 고간부(212)에 위치하고 있음과 더불어, 흡수체(240)의 폭 방향 Y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뇨 흡수 패드(100)를 외장체(200)에 장착할 때, 뇨 흡수 패드(100)의 관통 구멍(141)의 위치를, 외장체(200)의 관통 구멍(241)의 위치와 일치시키기 쉽다.
흡수체(240)에는, 관통 구멍(241) 대신에 톱 시트(220)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톱 시트(220)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를 갖는 흡수체는, 예컨대, 관통 구멍(241)을 갖는 제1 층과, 관통 구멍을 갖지 않는 제2 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관통 구멍(241)의 길이, 폭 등은 흡수체(240)의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관통 구멍(241)의 폭은 관통 구멍(141)의 폭과 같거나 또는 그보다도 넓으며, 통상 5∼50 mm, 바람직하게는 15∼25 mm이다. 관통 구멍(241)의 길이는 관통 구멍(141)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도 길며, 통상 50∼700 mm, 바람직하게는 90∼350 mm이다. 관통 구멍(241)의 폭 및 길이가 관통 구멍(141)의 폭 및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도 크기 때문에, 뇨 흡수 패드(100)를 외장체(200)에 장착할 때, 뇨 흡수 패드(100)의 관통 구멍(141)의 위치를 외장체(200)의 관통 구멍(241)의 위치와 일치시키기 쉽다.
사이드 시트(250a, 250b)로서 사용되는 불투액성 시트로서는, 예컨대,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예컨대, 포인트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필름, 부직포와 합성수지 필름과의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사이드 시트(250a, 250b)의 두께, 평량 등은 불투액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사이드 시트(250a)는,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51a, 252a) 및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253a, 254a)를 가지고, 사이드 시트(250b)는,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51b, 252b) 및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253b, 254b)를 갖는다. 사이드 시트(250a, 250b)는, 그 일부분으로서, 누설 방지부(255a, 255b)를 갖는다. 누설 방지부(255a)는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56a, 257a) 및 폭 방향 Y의 양 단연부(258a, 259a)를 가지고, 누설 방지부(255b)는 길이 방향 X의 양 단부(256b, 257b) 및 폭 방향 Y의 양 단부(258b, 259b)를 갖는다. 사이드 시트(250a, 250b)의 단연부(253a, 253b)는,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의 폭 방향 Y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는 가상 중심선에 대하여, 단연부(254a, 254b)보다도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다. 이하, 사이드 시트(250a, 250b)의 단연부(253a, 253b)를 근위 단연부라고 하고, 단연부(254a, 254b)를 원위 단연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누설 방지부(255a, 255b)의 단연부(258a, 258b)를 근위 단연부라고 하고, 단연부(259a, 259b)를 원위 단연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누설 방지부(255a, 255b)는, 사이드 시트(250a, 250b) 중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톱 시트(220)와 겹치는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고, 누설 방지부(255a, 255b)의 근위 단부(258a, 258b)는, 사이드 시트(250a, 250b)의 근위 단연부(253a, 253b)와 일치하고 있다.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톱 시트(220)와 겹치는 사이드 시트(250a, 250b)의 영역 중, 누설 방지부(255a, 255b)는,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에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누설 방지부(255a, 255b) 이외의 부분은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누설 방지부(255a, 255b)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 및 원위 단연부(259a, 259b)는,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에 고정된 고정 단부로 되어 있는 한편, 누설 방지부(250a, 250b)의 근위 단연부(258a, 258b)는,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으로부터 이격 가능한 자유 단부로 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250a, 250b)와 톱 시트(220)의 접합 양식으로서는,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을 들 수 있다.
사이드 시트(250a, 250b)는, 원위 단연부(254a, 254b)에서부터 근위 단연부(253a, 253b)까지 폭 방향 Y으로 연장되는 제1 시트 부분(S21a, S21b)과, 근위 단연부(253a, 253b)에서 톱 시트(220) 측으로 되꺾여 제1 시트 부분(S21a, S21b)과 접합된 제2 시트 부분(S22a, S22b)을 갖는다. 사이드 시트(250a)의 제1 시트 부분(S21a)과 제2 시트 부분(S22a)의 사이에는, 근위 단연부(253a)를 따라서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270a)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사이드 시트(250b)의 제1 시트 부분(S21b)과 제2 시트 부분(S22b)의 사이에는, 근위 단연부(253b)를 따라서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270b)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70a, 270b)의 신장 방향은 길이 방향 X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탄성 부재(270a)의 길이 방향 X(신장 방향)의 양 단부(271a, 272a)는, 누설 방지부(255a)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56a, 257a)를 넘어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고, 탄성 부재(270b)의 길이 방향 X(신장 방향)의 양 단연부(271b, 272b)는, 누설 방지부(255b)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56b, 257b)를 넘어 길이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270a)의 길이 방향 X(신장 방향)의 양 단연부(271a, 272a)는, 제1 시트 부분(S21a)과 제2 시트 부분(S22a)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톱 시트(220)에 고정되어 있고, 탄성 부재(270b)의 길이 방향 X(신장 방향)의 양 단부(271b, 272b)는, 제1 시트 부분(S21b)과 제2 시트 부분(S22b)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톱 시트(220)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누설 방지부(255a, 255b)는, 탄성 부재(270a, 270b)의 수축력에 의해서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으로부터 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누설 방지부(255a, 255b)가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으로부터 기립하면, 입체 주름부가 형성된다. 누설 방지부(255a, 255b)가 기립할 때, 원위 단연부(259a, 259b)는 기초부가 되고, 근위 단연부(258a, 258b)는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으로부터 이격되어, 착용자의 피부 측으로 향하여 이동한다. 탄성 부재(270a, 270b)로서는, 예컨대, 고무줄, 평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외장체(200)에 있어서,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은, 뇨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면으로 된다. 뇨 흡수 패드(100)는, 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착용 물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500)을 설명한다. 도 10은 착용 물품(500)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착용 물품(500)은, 외장체(200)와, 외장체(200)의 장착면(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뇨 흡수 패드(100)를 구비한다.
뇨 흡수 패드(100)는, 뇨 흡수 패드(100)의 폭 방향 Y의 양측 부분이 외장체(200)의 장착면(톱 시트(220)의 피부측 표면(221))과 누설 방지부(225a, 255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외장체(200)의 장착면에 배치되어 있다. 뇨 흡수 패드(100)를 외장체에 장착할 때, 뇨 흡수 패드(100)의 톱 시트(120)에 형성된 묘구 구조(124)가 표지가 되어, 뇨 흡수 패드(100)의 길이 방향 X과 외장체(200)의 길이 방향 X의 위치를 맞추기 쉽다.
뇨 흡수 패드(100)가 갖는 흡수성 폴리머층(163)의 최대 폭 D1은, 탄성 부재(270a)와 탄성 부재(270b)의 간격 D2보다도 크다. 흡수성 폴리머층(163)이 뇨 흡수 패드(100)에 공급된 뇨를 흡수하여 팽윤되면, 누설 방지부(255a, 255b)는 이들의 기립 방향으로 밀어올려진다. 따라서, 누설 방지부(255a, 255b)의 기립에 의해서 형성된 입체 주름부가 쓰러지기 어려워, 입체 주름부에 의한 뇨 샘 방지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탄성 부재(270a)와 탄성 부재(270b)의 간격 D2은, 탄성 부재(270a)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71a, 272a)를 지나 장착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가상선과, 탄성 부재(270b)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271b, 272b)를 지나 장착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가상선과의 간격이다. 탄성 부재(270a, 270b)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는, 제1 가상선과 제2 가상선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방지부(255a, 255b)의 길이 방향 X의 양 단연부는, 뇨 흡수 패드(100)의 길이 방향의 양 단연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누설 방지부(255a, 255b)의 기립에 의해서 형성된 입체 주름부가 쓰러지기 어려워, 입체 주름부에 의한 뇨 샘 방지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뇨 흡수 패드(100)의 흡수체(140)에 형성된 관통 구멍(141)은, 외장체(200)의 흡수체(240)에 형성된 관통 구멍(241)과는 두께 방향 Z에 있어서 겹쳐 있다. 따라서, 착용 물품(500)의 착용 시에 톱 시트(120)가 눌리더라도, 톱 시트(120) 중 흡수체(140)의 관통 구멍(141) 내에 들어간 부분은 눌리기 어려워, 이 부분에 있어서의 이랑부(122)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실시예
[실시예 1]
(1) 웹의 제조
제1 층 및 제2 층의 적층체인 웹을 제조했다.
제1 층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 성분으로 하는 동심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A를, 내구친수성의 친수유제로 코팅한 것을 사용했다. 섬유 A의 평균 섬도는 2.2 dtex, 평균 섬유 길이는 45 mm이다.
제2 층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 성분으로 하는 동심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B를 초기 친수성의 친수유제로 코팅한 것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 성분으로 하는 편심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B를 내구친수성의 친수유제로 코팅한 것의 혼합물(질량비 1:1)을 사용했다. 섬유 B의 평균 섬도는 3.3 dtex, 평균 섬유 길이는 38 mm이다. 섬유 C의 평균 섬도는 2.2 dtex, 평균 섬유 길이는 44 mm이다.
속도 20 m/분의 카드기에 의해서, 제1 층(평량: 20 g/㎡) 및 제2 층(평량: 10 g/㎡)의 적층체인 웹을 제조했다. 이 때, 기체 분사 처리는 제1 층의 표면에 대하여 실시된다.
(2) 부직포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웹과, 도 12에 도시되는 부직포 제조 장치(300)를 사용하여, 묘구 구조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했다.
부직포 제조 장치(300)에 있어서의 각종 설정은 다음과 같다.
분사구(332)의 직경: 1.0 mm(진원)
분사구(322)의 피치: 3.0 mm
분사 기체 온도: 310℃
하나의 분사구 당 분사 기체 풍량: 5 L/분
웹 반송 속도: 속도 100 m/분
통기성 지지 부재(310)(메쉬형 지지 부재): 70 메쉬
히터부(340)에 의한 가열 처리: 가열 처리 온도를 140℃, 통과 풍속 1.2 m/초로 6초간 처리
[비교예 1]
(1) 웹의 제조
제1 층 및 제2 층의 적층체인 웹을 제조했다.
제1 층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 성분으로 하는 동심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D를 내구친수성의 친수유제로 코팅한 것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 성분으로 하는 편심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E를 내구친수성의 친수유제로 코팅한 것의 혼합물(질량비 1:1)을 사용했다. 섬유 D의 평균 섬도는 2.2 dtex, 평균 섬유 길이는 45 mm이다. 섬유 E의 평균 섬도는 2.2 dtex, 평균 섬유 길이는 44 mm이다.
제2 층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 성분으로 하는 동심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F를 초기 친수성의 친수유제로 코팅한 것을 사용했다. 섬유 F의 평균 섬도는 2.8 dtex, 평균 섬유 길이는 44 mm이다.
속도 20 m/분의 카드기에 의해서, 제1 층(평량: 10 g/㎡) 및 제2 층(평량: 20 g/㎡)의 적층체인 웹을 제조했다.
(2) 부직포의 제조
분사부(330)에 의한 기체 분사 처리를 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상기 (1)에서 제조된 웹을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했다.
[시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부직포의 건조 시의 두께 및 습윤 시의 두께를 측정했다.
여기서, 부직포의 건조 시의 두께 및 습윤 시의 두께의 측정 방법은 상기한 것과 같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직포의 건조 시의 두께는 0.86 mm, 습윤 시의 두께는 0.79 mm였다. 습윤 시의 두께는 건조 시의 두께의 91%에 상당했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부직포의 건조 시의 두께는 0.78 mm, 습윤 시의 두께는 0.62 mm였다. 습윤 시의 두께는 건조 시의 두께의 80%에 상당했다.
[시험예 2] 뇨 흡수 시간의 측정
톱 시트의 피부측 표면에 묘구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시판되는 뇨 흡수 패드(비교품)와, 톱 시트로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채용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품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뇨 흡수 패드(본 발명품)를 사용하여 뇨 흡수 시간을 측정했다. 뇨 샘플로서,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 A, B 및 C에게서 채취한 뇨 샘플 A, B 및 C를 사용했다.
뇨 흡수 패드에 직경 60 mm의 원통을 놓고, 원통 안에 뇨 샘플을 10 mL/초의 주입 속도로 80 mL 주입했다. 주입 개시 후, 원통 내에 체류하는 뇨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을 1번째의 뇨 흡수 시간(초)으로 했다.
1번째의 주입 개시로부터 5분 후, 원통에 200 g의 가중을 걸어, 뇨 샘플을 10 mL/초의 주입 속도로 80 mL 주입했다(2번째). 2번째의 주입 시작 후, 원통에 체류하는 뇨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을 2번째의 뇨 흡수 시간(초)으로 했다.
1번째의 주입 개시로부터 10분 후, 뇨 샘플을 10 mL/초의 주입 속도로 80 mL 주입했다(3번째). 3번째의 주입 시작 후, 원통에 체류하는 뇨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을 3번째의 뇨 흡수 시간(초)으로 했다.
비교품을 사용한 경우, 일반적인 성인 뇨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의 흡수 시간은 10초, 16초 및 23초이었던 데 대하여, 뇨 샘플 A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의 흡수 시간은 각각 10초, 31초 및 72초, 뇨 샘플 B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의 흡수 시간은 각각 10초, 34초 및 125초, 뇨 샘플 C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의 흡수 시간은 각각 15초, 57초 및 153초였다. 비교품에 있어서 뇨를 반복해서 흡수시킨 경우, 뇨 흡수 시간이 현저히 증가했다. 비교품의 톱 시트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뇨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세포 조각, 결정 등)이 관찰되었다. 자리보전하고 있는 고령자의 뇨는 일반적인 성인 뇨보다도 세포 조각, 결정 등의 불순물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이 불순물이 톱 시트에 잔존함으로써, 톱 시트의 투액성 저하를 야기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품을 사용한 경우, 뇨 샘플 A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의 흡수 시간은 각각 8초, 17초 및 26초, 뇨 샘플 B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의 흡수 시간은 각각 9초, 20초 및 40초, 뇨 샘플 C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의 흡수 시간은 각각 10초, 32초 및 59초였다. 비교품과 비교하여, 뇨 흡수 시간이 현저히 감소했다.
100: 뇨 흡수 패드
200: 외장체
111, 211: 복측부
112, 212: 고간부
113, 213: 등측부
120, 220: 투액성의 톱 시트
121, 220: 톱 시트의 피부측 면
122: 이랑부(볼록부의 일례)
123: 고랑부(오목부의 일례)
124: 묘구 구조(요철 구조의 일례)
130, 230: 불투액성의 백 시트
140, 240: 흡수체
140a: 제1 층
140b: 제2 층
141: 관통 구멍
141a: 제1 층의 관통 구멍
141b: 제2 층의 관통 구멍
142, 143: 압착부
160: 흡액성 시트
163: 흡수성 폴리머층
250a, 250b: 사이드 시트
255a, 255b: 누설 방지부

Claims (10)

  1. 투액성의 톱 시트와,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액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호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볼록부가 형성된 피부측 표면을 갖는 부직포이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 또는 상기 톱 시트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랑부(畝部)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제1 흡수층과, 상기 제1 흡수층의 최소 폭보다 작은 최대 폭을 갖는 제2 흡수층으로서, 상기 제1 흡수층보다 상기 백 시트 측에 위치하는 제2 흡수층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일체화하는 압착부로서,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압착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중 상기 볼록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이 상기 부직포 중 상기 볼록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배향 섬유의 함유율보다 큰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투액성의 제1 시트와, 투액성의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폴리머층을 갖는 흡액성 시트로서,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된 흡액성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액성 시트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늘어선 복측부, 고간부 및 등측부를 갖고,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고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액성 시트는 상기 등측부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흡수성 물품이 장착되는 장착면을 갖는 투액성의 톱 시트와, 불투액성의 백 시트를 구비하고, 복측부, 고간부 및 등측부를 갖는 외장체와,
    상기 장착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제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기립 가능한 제1 누설 방지부로서,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고정 단부 및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이격 가능한 자유 단부를 갖는 제1 누설 방지부와,
    상기 제1 누설 방지부의 자유 단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제1 탄성 부재로서, 신장 방향의 양 단부가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기립 가능한 제2 누설 방지부로서,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고정 단부 및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이격 가능한 자유 단부를 갖는 제2 누설 방지부와,
    상기 제2 누설 방지부의 자유 단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제2 탄성 부재로서, 신장 방향의 양 단부가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 부분이 각각 상기 장착면과 상기 제1 누설 방지부의 사이에 그리고 상기 장착면과 상기 제2 누설 방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층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간격보다 큰 것인 착용 물품.
KR1020167036538A 2014-06-30 2015-06-11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 KR102478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5461A JP5669976B1 (ja) 2014-06-30 2014-06-30 吸収性物品及び該吸収性物品を備える着用物品
JPJP-P-2014-135461 2014-06-30
PCT/JP2015/066911 WO2016002471A1 (ja) 2014-06-30 2015-06-11 吸収性物品及び該吸収性物品を備える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016A true KR20170023016A (ko) 2017-03-02
KR102478713B1 KR102478713B1 (ko) 2022-12-16

Family

ID=5257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538A KR102478713B1 (ko) 2014-06-30 2015-06-11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67961B2 (ko)
EP (1) EP3162341B1 (ko)
JP (1) JP5669976B1 (ko)
KR (1) KR102478713B1 (ko)
CN (1) CN106659607B (ko)
AU (1) AU2015285607B2 (ko)
MY (1) MY185793A (ko)
TW (1) TWI680750B (ko)
WO (1) WO2016002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076B2 (ja) 2015-09-25 2017-09-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973708B2 (en) 2015-12-09 2021-04-13 Livedo Corporation Absorbent product
JP6234492B2 (ja) 2016-02-10 2017-1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250719B2 (ja) 2016-02-29 2017-12-2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MX2019010203A (es) * 2017-03-31 2019-10-07 Kimberly Clark Co Articulo absorbente con una capa para el manejo de los exudados.
CN110381902A (zh) 2017-03-31 2019-10-2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US11523946B2 (en) 2017-03-31 2022-1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WO2019007511A1 (en) * 2017-07-06 2019-01-1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POROUS POLYMER STRUCTURE
CN107981985B (zh) * 2017-12-01 2020-05-26 贺帅 一种透气防渗的尿不湿
MX2020009958A (es) * 2018-03-26 2022-07-08 Essity Hygiene & Health Ab Producto de higiene absorbente, desechable que comprende un ensamblaje absorbente.
JP7119111B2 (ja) * 2018-03-26 2022-08-16 エシティ・ハイジーン・アンド・ヘルス・アクチエボラグ 吸収性アセンブリを含む使い捨て吸収性衛生製品
JP6488042B1 (ja) * 2018-03-29 2019-03-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834791A1 (en) * 2019-12-11 2021-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net article comprising a lower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system
WO2024057967A1 (ja) * 2022-09-12 2024-03-21 株式会社瑞光 吸収性物品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228A (ja) 2000-10-12 2002-07-02 Kao Corp 立体シート材料
JP2003204987A (ja) * 2002-01-11 2003-07-22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3247155A (ja) 2002-02-25 2003-09-05 Kao Corp 立体シート材料
JP2004174234A (ja) 2002-11-13 2004-06-24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2005350836A (ja) 2004-06-14 2005-12-22 Kao Corp 立体賦形不織布
JP2006095156A (ja) 2004-09-30 2006-04-13 Uni Charm Corp 吸収性パッド
JP2007037660A (ja) * 2005-08-01 2007-02-15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JP2007177340A (ja) 2005-12-27 2007-07-12 Kao Corp 不織布の製造方法
JP2008025079A (ja) 2006-06-23 2008-02-07 Uni Charm Corp 不織布
JP2008023326A (ja) 2006-06-23 2008-02-07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9030218A (ja) 2007-06-22 2009-02-12 Uni Charm Corp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0035A (ja) 2007-12-28 2009-07-23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09201964A (ja) 2007-12-28 2009-09-10 Kao Corp 賦形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10168715A (ja) 2008-12-25 2010-08-05 Kao Corp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5701A (ja) 2010-06-25 2012-01-12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14018280A (ja) * 2012-07-13 2014-02-03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2956A1 (de) 1994-06-30 1996-01-04 Schickedanz Ver Papierwerk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zur Aufnahme von Körperflüssigkeiten
ATE200213T1 (de) * 1995-10-16 2001-04-15 Procter & Gamble Zusammengesetzter saugfähiger einwegartikel mit erhöhungsformenden elementen
JP3490291B2 (ja) * 1998-05-18 2004-0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486379B1 (en) * 1999-10-01 2002-1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pledget and deformation control
US7468114B2 (en) * 2002-11-13 2008-12-23 Kao Corporation Composite sheet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JP3998655B2 (ja) * 2004-03-23 2007-10-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4870365B2 (ja) * 2005-02-23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514620B2 (ja) * 2005-02-23 2010-07-2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DE602005015143D1 (de) * 2005-06-17 2009-08-06 Agfa Graphics N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egativ arbeitenden lithographischen druckplattenvorläufers
US7842020B2 (en) * 2006-11-17 2010-11-30 I Did It, Inc. Double diaper system
JP5550208B2 (ja) * 2007-12-06 2014-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66666B2 (ja) * 2009-11-13 2014-08-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79777B2 (ja) * 2010-11-19 2015-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98513B2 (ja) * 2010-12-14 2015-04-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606570C2 (ru) * 2011-07-07 2017-01-10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JP6004878B2 (ja) 2012-10-03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228A (ja) 2000-10-12 2002-07-02 Kao Corp 立体シート材料
JP2003204987A (ja) * 2002-01-11 2003-07-22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3247155A (ja) 2002-02-25 2003-09-05 Kao Corp 立体シート材料
JP2004174234A (ja) 2002-11-13 2004-06-24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2005350836A (ja) 2004-06-14 2005-12-22 Kao Corp 立体賦形不織布
JP2006095156A (ja) 2004-09-30 2006-04-13 Uni Charm Corp 吸収性パッド
JP2007037660A (ja) * 2005-08-01 2007-02-15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JP2007177340A (ja) 2005-12-27 2007-07-12 Kao Corp 不織布の製造方法
JP2008025079A (ja) 2006-06-23 2008-02-07 Uni Charm Corp 不織布
JP2008023326A (ja) 2006-06-23 2008-02-07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KR20090023338A (ko) * 2006-06-23 2009-03-0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부직포
JP2009030218A (ja) 2007-06-22 2009-02-12 Uni Charm Corp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0035A (ja) 2007-12-28 2009-07-23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09201964A (ja) 2007-12-28 2009-09-10 Kao Corp 賦形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10168715A (ja) 2008-12-25 2010-08-05 Kao Corp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5701A (ja) 2010-06-25 2012-01-12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14018280A (ja) * 2012-07-13 2014-02-03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13209A (ja) 2016-01-28
JP5669976B1 (ja) 2015-02-18
US20170135869A1 (en) 2017-05-18
EP3162341A4 (en) 2017-06-21
WO2016002471A1 (ja) 2016-01-07
KR102478713B1 (ko) 2022-12-16
US10667961B2 (en) 2020-06-02
MY185793A (en) 2021-06-08
TW201611801A (en) 2016-04-01
EP3162341B1 (en) 2020-09-09
TWI680750B (zh) 2020-01-01
CN106659607B (zh) 2020-04-03
EP3162341A1 (en) 2017-05-03
AU2015285607A1 (en) 2017-02-16
CN106659607A (zh) 2017-05-10
AU2015285607B2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713B1 (ko) 흡수성 물품 및 이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착용 물품
TWI684435B (zh) 吸收性物品及具備該吸收性物品的穿著用物品
TWI484946B (zh) 吸收性物品
EP2014269B1 (en) Absorbent product
KR20200074270A (ko) 시각적으로 다른 섀시 및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 용품
JP2008521481A (ja) 吸収用品
KR20160138399A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물품
JP2011136077A (ja) 吸収性物品
CN114615962B (zh) 一次性穿着物品
CN105188630A (zh) 吸收性制品
JP5820706B2 (ja) 吸収性物品
JP2007135785A (ja) 吸収性物品
WO2014196668A1 (ja) 吸収性物品及び該吸収性物品を備える着用物品
JP6701556B2 (ja) 吸収性物品
JP2005143696A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WO2021060130A1 (ja) 吸収性物品
JP6415346B2 (ja) 吸収性物品
JP6931993B2 (ja) 吸収性物品
JP7036532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701555B2 (ja) 吸収性物品
KR20220159356A (ko) 흡수성 물품
JP2021101867A (ja) 吸収性物品
JP2020116156A (ja) 吸収性物品
JP2018089058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